KR101117187B1 - 전신주 조류둥지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전신주 조류둥지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187B1
KR101117187B1 KR1020100087713A KR20100087713A KR101117187B1 KR 101117187 B1 KR101117187 B1 KR 101117187B1 KR 1020100087713 A KR1020100087713 A KR 1020100087713A KR 20100087713 A KR20100087713 A KR 20100087713A KR 101117187 B1 KR101117187 B1 KR 101117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d
tooth
bird
shaft
telegraph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7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인
Original Assignee
이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인 filed Critical 이수인
Priority to KR1020100087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1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Architectur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신주(100)의 상부 일측 외주연을 감싸도록 체결되되, 내주면을 따라 미끄럼 방지부(210)가 형성된 원형브라켓(200)과, 상기 원형브라켓(200)의 외면 양측에 체결되는 복수의 지지대(300)와, 상기 지지대(300)의 일단에 체결되어 상기 전신주(100)의 양측에 고정되며 상면이 개폐 가능한 복수의 베이스(400)와, 상기 베이스(400)와 베이스(400)를 연결하는 복수의 고정막대(500)로 구성되되, 상기 베이스(400)는 일정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통공(412) 및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가이드홀(414)을 갖는 복수의 제1수직프레임(410)과, 상기 복수의 제1수직프레임(410)의 상면에 설치되되, 개폐 가능하도록 절첩부(422)가 형성된 개폐부(420)와, 상기 가이드홀(414)에 체결되어 슬라이딩하는 조류퇴치부(430)가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전신주에 까치 등의 조류가 둥지를 축조할 수 없도록 하여 각종 전기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전신주 조류둥지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신주 조류둥지 방지장치{Telegraph pole birds nest prevention system}
본 발명은 전신주 조류둥지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신주에 까치 등의 조류가 둥지를 축조할 수 없도록하여 각종 전기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전신주 조류둥지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까치는 원래 인가 근처의 높은 나무에 집을 짓는 습성을 가지고 있는데 그 이유는 예로부터 까치는 길조라 하여 사람들로부터 위협을 받지 않게 됨으로써 인가 근처에 자유롭게 집을 짓게 되어 왔던 것이다.
그러나 도심엔 높은 나무가 많지 않아 까치가 전신주에 집을 짓게 되고, 특히 전신주의 상단에 설치되는 활선 베이스를 집짓는 장소로 선택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까치가 전신주에 집을 짓게 되는 것은 전신주가 주로 인가 근처에 설치되어 있고 전신주의 높이가 까치집을 짓기에 적합하며, 활선 베이스의 구조 요건이 집짓기에 알맞은 이유 때문인 것이다.
또한, 전신주에 까치집이 늘고 있는 것은 도시개발로 인해 까치집이 들어설 수 있는 수종이 감소하고, 또한 이들 도시 인근지역에 까치가 좋아하는 음식물 쓰레기가 많이 널려 있어, 느티나무ㆍ미루나무 등의 지상 12m지점의 나무 가지에 집을 짓는 습성이 있는 까치들로서는 전신주의 활선 베이스가 집을 짓는데 적당한 높이 있기 때문에, 전신주에 집을 짓곤 한다.
그러나 전신주의 활선 베이스에 까치가 집을 지을 경우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첫째, 까치집으로 인한 문제점은, 활선 베이스의 양쪽으로 연결되는 고압선을 까치집이 연결시킴으로써 우기시에는 합선에 의한 정전 사고의 원인이되고,
둘째, 활선 베이스에 집을 짓기 위하여 고압선의 연결 부위를 까치가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셋째, 까치의 배설물과 먹이 등으로 인하여 활선 베이스가 쉽게 부식되거나 합선되는 원인이 되며,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에 전신주에 지어진 까치집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신주에 지어진 까치집을 제거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전신주에 집을 짓는 까치로 인한 전선의 합선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사고 등으로 매년 적어도 수 백억원 이상의 피해를 감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신주의 상부에 까치 등의 조류가 집을 짖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때의 가장 심각한 문제점은 정전사고인데, 조류가 집을 지을 수 있는 재료로서 철사, 철근토막, 전선토막 등의 도전성 재료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도전성 재료로 인하여 정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종래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 까치의 천적인 뱀, 독수리, 부엉이, 또는 눈동자 모형이나 까치텐트 등 장애물을 설치하는 등의 방법을 써왔지만 지능이 높은 까치는 쉽게 가짜임을 식별해 버리기 때문에 효과를 볼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량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신주의 상부에 위치한 베이스에 바람개비를 설치하여 바람개비가 회전함에 따라 까치 등의 조류가 둥지를 틀 수 없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 조류둥지 방지창치는 작업시에는 상기 베이스를 밟고 잡업을 하는 점을 감안하여 베이스의 상측으로 돌출된 바람개비를 베이스보다 낮게 위치함과 동시에 베이스의 상면이 폐쇠되어 작업자가 밟고 작업하기 용이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 조류둥지 방지장치는 전신주(100)의 상부 일측 외주연을 감싸도록 체결되되, 내주면을 따라 미끄럼 방지부(210)가 형성된 원형브라켓(200)과, 상기 원형브라켓(200)의 외면 양측에 체결되는 복수의 지지대(300)와, 상기 지지대(300)의 일단에 체결되어 상기 전신주(100)의 양측에 고정되며 상면이 개폐 가능한 복수의 베이스(400)와, 상기 베이스(400)와 베이스(400)를 연결하는 복수의 고정막대(500)로 구성되되, 상기 베이스(400)는 일정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통공(412) 및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가이드홀(414)을 갖는 복수의 제1수직프레임(410)과, 상기 복수의 제1수직프레임(410)의 상면에 설치되되, 개폐 가능하도록 절첩부(422)가 형성된 개폐부(420)와, 상기 가이드홀(414)에 체결되어 슬라이딩하는 조류퇴치부(430)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 조류둥지 방지장치는 별도의 전력이나 연료없이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바람개비를 이용하여 전신주에 조류가 접근할 수 없게 차단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까치 등의 조류가 둥지를 축조할 수 없어 전기줄의 파손 및 누전과 합선을 방지하여 전기사고를 미연에 예방하여 관련 물품을 반 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같이 조류둥지의 철거 등에 드는 인력 및 물품의 부대비용이 절감되어 절감되는 예산을 일반 예방보수 작업 시행에 적극적으로 투입할 수 있는 효과 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 조류둥지 방지장치의 개방 및 폐쇄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 조류둥지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 조류둥지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분해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a 내지 도 6b는 도 5에 따른 전신주 조류둥지 방지장치의 요부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 조류둥지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폐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 조류둥지 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 조류둥지 방지장치의 개방 및 폐쇄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 조류둥지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 조류둥지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분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a 내지 도 6b는 도 5에 따른 전신주 조류둥지 방지장치의 요부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 조류둥지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폐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일 실시 예로 도시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 조류둥지 방지장치는 전신주(100)의 상부 일측 외주연을 감싸도록 체결되되, 내주면을 따라 미끄럼 방지부(210)가 형성된 원형브라켓(200)과, 상기 원형브라켓(200)의 외면 양측에 체결되는 복수의 지지대(300)와, 상기 지지대(300)의 일단에 체결되어 상기 전신주(100)의 양측에 고정되며 상면이 개폐 가능한 복수의 베이스(400)와, 상기 베이스(400)와 베이스(400)를 연결하는 복수의 고정막대(50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400)는 일정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통공(412) 및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가이드홀(414)을 갖는 복수의 제1수직프레임(410)과, 상기 복수의 제1수직프레임(410)의 상면에 설치되되, 개폐 가능하도록 절첩부(422)가 형성된 개폐부(420)와, 상기 가이드홀(414)에 체결되어 슬라이딩하는 조류퇴치부(4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류퇴치부(430)는 상기 가이드홀(414)에 체결되도록 슬라이딩부(432a)가 형성된 샤프트(432)와, 상기 샤프트(432)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회전하는 바람개비(434)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432)의 외주면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이드레버(43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400)의 다른 실시예로는,
일정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통공(412) 및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홈(442)을 갖는 복수의 제2수직프레임(440)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440)의 상면을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조류퇴치수단(450)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류퇴치수단(450)은 상기 제2수직프레임(440)의 상면을 개폐하는 복수의 개방부(452)와, 상기 개방부(452) 양단에 그 일측이 체결되는 연결대(454)와, 상기 연결대(454)의 타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톱니(456a)와, 상기 제1톱니와(456a) 제1톱니(456a)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되되,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2톱니(456b)와, 상기 제2톱니(456b)의 내측면 중앙에 체결되는 샤프트(432)와, 상기 샤프트(432)에 일정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람개비(434)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톱니(456b)가 슬라이딩 시 이탈하지 않도록 제2톱니(456b)와 체결되는 이탈방지부(4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부(460)는 상기 제2수직프레임(440)과 제2수직프레임(440)의 내측면에 체결되는 수평바(462)와, 상기 수평바(462)의 상면 중앙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톱니(456b)의 내측에 삽입되는 수직바(46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개방부(452)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파지부(452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 조류둥지 방지장치의 사용과정을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조립과정은 당업자에 따라 변형 및 다양한 타 실시 예가 시행될 수 있다.
먼저, 전신주(100) 상부 일측에 내측면에 미끄럼 방지부(210)가 형성된 원형브라켓(200)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원형브라켓(200)의 양측에 지지대(300)를 각각 설치한 후 상기 지지대(300)에 복수의 베이스(400)를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400)와 베이스(400) 사이에 고정막대(500)를 개재하여 복수의 베이스(400)를 고정한다.
상기 베이스(400)는 하부가 개구된 형상으로서, 일정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통공(412)과 가이드홀(414)을 갖는 복수의 제1수직프레임(410)과, 상기 복수의 제1수직프레임(410)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절첩부(422)가 형성된 개폐부(420)와, 상기 가이드홀(414)에 체결되는 조류퇴치부(4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홀(414)는 "ㄹ"자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류퇴치부(430)는 상기 가이드홀(414)에 체결되도록 슬라이딩부(432a)가 형성된 샤프트(432)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회전하는 바람개비(434)로 이루어지며, 상기 샤프트(432)의 외주면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이드레버(436)가 더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개폐부(420)를 개방한 후 상기 가이드레버(436)를 조작하여 제1수직프레임(410)에 형성된 "ㄹ"자 형상의 가이드홀(414)의 상부로 슬라이딩부(432a)가 형성된 샤프트(432)를 슬라이딩 시킨다.
이에 상기 샤프트(432)에 형성된 바람개비(434)의 상단부가 상기 제1수직프레임(410)의 상단보다 상측으로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제1수직프레임(410) 및 개폐부(420)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412)을 통해 유입되는 바람의 풍압이 강해져 보다 용이하게 바람개비(434)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보수 및 점검 시 작업자가 발을 딛고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버(436)를 조작하여 "ㄹ"자 형상의 가이드홀(414)의 하부로 샤프트(432)를 슬라이딩 시켜 바람개비(434)가 회손도지 않게 한 후 개폐부(420)를 폐쇄하고 발을 딛을 수 있다.
따라서, 회전되는 바람개비(434) 때문에 대표적인 까치를 비롯한 조류 등이 둥지는 물론 착지할 수 없어 이에 대한 전기사고를 완벽히 방지하여 민가, 또는 국가예산에 피해가 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400)의 다른 실시예로는,
먼저, 전신주(100)와 원형브라켓(200)과 지지대(300)와 베이스(400)와 고정막대(500)를 설치한다.
그리고, 베이스(400) 하부가 개구된 형상으로서, 일정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통공(412) 및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홈(442)을 갖는 복수의 제2수직프레임(440)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440)의 상부를 개폐 가능함과 더불어 조류를 퇴치하는 조류퇴치수단(45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조류퇴치수단(450)은,
상기 조류퇴치수단(450)은 상기 제2수직프레임(440)의 상면을 개폐하며 파지부(452a)가 형성된 개방부(452)와, 상기 개방부(452) 양단에 그 일측이 체결되는 연결대(454)와, 상기 연결대(454)의 타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톱니(456a)와, 상기 제1톱니와(456a) 제1톱니(456a)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되되,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2톱니(456b)와, 상기 제2톱니(456b)의 내측면 중앙에 체결되는 샤프트(432)와, 상기 샤프트(432)에 일정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람개비(434)로 구성된다.
상기 제2톱니(456b)가 슬라이딩 시 이탈하지 않도록 제2톱니(456b)와 체결되는 이탈방지부(460)를 더 포함하여 설치되되,
상기 이탈방지부(460)는 상기 제2수직프레임(440)과 제2수직프레임(440)의 내측면에 체결되는 수평바(462)와, 상기 수평바(462)의 상면 중앙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톱니(456b)의 내측에 삽입되는 수직바(464)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파지부(452a)를 이용하여 개방부(452)를 개방한다. 이때, 상기 개방부(452)에 체결된 연결대(454)가 제1톱니(456a)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제1톱니(456a)가 회전함에 따라서, 샤프트(432)와 체결된 제2톱니(456b)가 수직상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432)에 설치된 바람개비(434)가 풍압에 의해 회전하여 조류의 접근을 차단함으로써, 조류둥지를 비롯한 조류에 의한 전기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것이고, 보수 및 점검 시 파지부(452a)를 이용하여 개방부(452)를 폐쇄함에 따라 상기 제1,2톱니(456a)(456b)에 의해 개방부(452)는 폐쇄되고 바람개비(434)가 설치된 샤프트(432)는 수직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작업자가 발을 딛고 작업하기 용이한 것이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일 뿐, 의미 한정이나 특허등록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신주 200 : 원형브라켓
300 : 지지대 400 : 베이스
410 : 제1수직프레임 412 : 통공
414 : 가이드홀 420 : 개폐부
422 : 절첩부 430 : 조류퇴치부
432a : 슬라이딩부 434 : 바람개비
436 : 가이드레버 440 : 제2수직프레임
442 : 홈 450 : 조류퇴치수단
452 : 개방부 452a : 파지부
454 : 연결대 456a : 제1톱니
456b : 제2톱니 460 : 이탈방지부
462 : 수평바 464 : 수직바
500 : 고정막대

Claims (5)

  1. 전신주(100)의 상부 일측 외주연을 감싸도록 체결되되, 내주면을 따라 미끄럼 방지부(210)가 형성된 원형브라켓(200)과, 상기 원형브라켓(200)의 외면 양측에 체결되는 복수의 지지대(300)와, 상기 지지대(300)의 일단에 체결되어 상기 전신주(100)의 양측에 고정되며 상면이 개폐 가능한 복수의 베이스(400)와, 상기 베이스(400)와 베이스(400)를 연결하는 복수의 고정막대(500)로 구성되되,
    상기 베이스(400)는,
    일정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통공(412) 및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가이드홀(414)을 갖는 복수의 제1수직프레임(410)과;
    상기 복수의 제1수직프레임(410)의 상면에 설치되되, 개폐 가능하도록 절첩부(422)가 형성된 개폐부(420)와;
    상기 가이드홀(414)에 체결되어 슬라이딩하는 조류퇴치부(4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주 조류둥지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류퇴치부(430)는,
    상기 가이드홀(414)에 체결되도록 슬라이딩부(432a)가 형성된 샤프트(432)와;
    상기 샤프트(432)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회전하는 바람개비(4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주 조류둥지 방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432)의 외주면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이드레버(43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주 조류둥지 방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400)는,
    일정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통공(412) 및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홈(442)을 갖는 복수의 제2수직프레임(440)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440)의 상면을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조류퇴치수단(450)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류퇴치수단(450)은,
    상기 제2수직프레임(440)의 상면을 개폐하며 파지부(452a)가 형성된 개방부(452)와;
    상기 개방부(452) 양단에 그 일측이 체결되는 연결대(454)와;
    상기 연결대(454)의 타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톱니(456a)와;
    상기 제1톱니와(456a) 제1톱니(456a)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되되,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2톱니(456b)와;
    상기 제2톱니(456b)의 내측면 중앙에 체결되는 샤프트(432)와;
    상기 샤프트(432)에 일정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람개비(4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주 조류둥지 방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톱니(456b)가 슬라이딩 시 이탈하지 않도록 제2톱니(456b)와 체결되는 이탈방지부(4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이탈방지부(460)는,
    상기 제2수직프레임(440)과 제2수직프레임(440)의 내측면에 체결되는 수평바(462)와;
    상기 수평바(462)의 상면 중앙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톱니(456b)의 내측에 삽입되는 수직바(46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주 조류둥지 방지장치.
KR1020100087713A 2010-09-08 2010-09-08 전신주 조류둥지 방지장치 KR101117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713A KR101117187B1 (ko) 2010-09-08 2010-09-08 전신주 조류둥지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713A KR101117187B1 (ko) 2010-09-08 2010-09-08 전신주 조류둥지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7187B1 true KR101117187B1 (ko) 2012-03-07

Family

ID=46141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7713A KR101117187B1 (ko) 2010-09-08 2010-09-08 전신주 조류둥지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1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85029A (zh) * 2016-07-22 2017-01-04 国网山东省电力公司齐河县供电公司 电线杆加高装置及方法
KR20180060039A (ko) 2016-11-28 2018-06-07 (주)대륙전설 전신주 조류 퇴치 장치
KR101970165B1 (ko) * 2019-02-18 2019-04-18 대한기술단(주) 배전선로의 조류퇴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264U (ko) * 1997-03-03 1998-11-05 박상식 전주의 조류접근 방지용 바람개비
KR200207523Y1 (ko) 2000-07-12 2000-12-15 한보공업주식회사 조류집 방지용 경완금
KR20010069099A (ko) * 2000-01-12 2001-07-23 김기현 전주의 조류둥지 퇴치장치
JP2007282438A (ja) 2006-04-11 2007-10-2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閉塞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264U (ko) * 1997-03-03 1998-11-05 박상식 전주의 조류접근 방지용 바람개비
KR20010069099A (ko) * 2000-01-12 2001-07-23 김기현 전주의 조류둥지 퇴치장치
KR200207523Y1 (ko) 2000-07-12 2000-12-15 한보공업주식회사 조류집 방지용 경완금
JP2007282438A (ja) 2006-04-11 2007-10-2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閉塞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85029A (zh) * 2016-07-22 2017-01-04 国网山东省电力公司齐河县供电公司 电线杆加高装置及方法
CN106285029B (zh) * 2016-07-22 2019-05-31 国网山东省电力公司齐河县供电公司 电线杆加高装置及方法
KR20180060039A (ko) 2016-11-28 2018-06-07 (주)대륙전설 전신주 조류 퇴치 장치
KR101970165B1 (ko) * 2019-02-18 2019-04-18 대한기술단(주) 배전선로의 조류퇴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187B1 (ko) 전신주 조류둥지 방지장치
US8893662B2 (en) Raptor perch apparatus and system
US20190059356A1 (en) Fowl management system
CN104823958A (zh) 多功能输电线路防鸟装置
KR20080011840A (ko) 전주용 새둥지 방지갓
KR100718683B1 (ko) 전주와 송전철탑의 넝쿨식물 차단장치
KR200460914Y1 (ko) 조류퇴치장치
US9078422B1 (en) Animal deterrent apparatuses
CN211091537U (zh) 防鸟刺
CN205071971U (zh) 一种用于变电站设备门架的防鸟网
CN205409318U (zh) 一种电力线路铁塔的驱鸟装置
JP2018064549A (ja) コンテナ防虫ネット
CN110710524A (zh) 防鸟刺
US8353224B1 (en) Electrical substation and animal mitigation system therefor
US20230090430A1 (en) Apparatus and methods of preventing power outages
KR102256905B1 (ko) 전주용 조류둥지 방지 장치
KR200169885Y1 (ko) 전신주용 조류집 유도장치
CN204046082U (zh) 电缆桥架
CN203969025U (zh) 一种鸟园防黄鼠狼入侵装置
KR200234438Y1 (ko) 까치퇴치용 모형
CA3232666A1 (en) Apparatus and methods of preventing power outages
JP3171684U (ja) 鳥忌避剤入れ容器付き鳥忌避具
KR200413179Y1 (ko) 부직포가 설치된 전기 울타리
CN205409100U (zh) 一种带感应门的人工鸟巢
CN205882627U (zh) 一种用于阻止鸟类在架空线路筑巢及防止鸟粪污闪的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