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163B1 - 리모콘 중계장치 - Google Patents

리모콘 중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163B1
KR101117163B1 KR1020100034081A KR20100034081A KR101117163B1 KR 101117163 B1 KR101117163 B1 KR 101117163B1 KR 1020100034081 A KR1020100034081 A KR 1020100034081A KR 20100034081 A KR20100034081 A KR 20100034081A KR 101117163 B1 KR101117163 B1 KR 101117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outlet
power
signal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4764A (ko
Inventor
김남훈
Original Assignee
김남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훈 filed Critical 김남훈
Priority to KR1020100034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163B1/ko
Publication of KR20110114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02J13/0002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involving a local wireless network, e.g. Wi-Fi, ZigBee or Bluetoo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32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J13/00036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elements or equipment being or involving switches, relays or circuit br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모콘 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를 사용하여 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을 감지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한 상태에서 전기기기의 리모콘 하나를 사용하여 전기기기를 작동시킬 경우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를 작동시켜 전원을 복구시킨 후 해당 전기기기가 작동되도록 리모콘 신호를 중계함으로써 하나의 리모콘을 사용하여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를 복구시킬 뿐만 아니라 전기기기도 함께 작동시킬 수 있으며, 전기기기의 전원신호를 학습하여 저장시킴으로써 이미 사용하고 있는 전기기기의 리모콘을 사용하여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및 전기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고, 리모콘을 사용하지 않는 전기기기의 경우에는 간편하게 터치시킴으로써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를 복구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리모콘 중계장치{RELAY APPARATUS OF REMOTE CONTROLLER}
본 발명은 리모콘 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기기의 작동을 위한 리모콘을 작동시킬 경우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를 작동시켜 전원을 복구시킨 후 해당 전기기기가 작동되도록 리모콘 신호를 중계하는 리모콘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콘센트는 다수개의 콘센트에 연결되는 전기기기들의 전원 전체를 콘센트에 부착된 한 개의 스위치로 켜고 끄는 형태의 것이거나 또는 각각의 콘센트마다 독립적으로 부착된 스위치로 사용자가 켜고 꺼야 하는 형태의 제품이 제작되고 있다.
현재, 가정, 사무실 또는 공장 등의 산업 시설에서 사용되는 전기기기는 냉장고와 같이 항상 전원이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아야 하는 것과 TV, 오디오, 컴퓨터 모니터 등과 같이 사용자가 활동하는 특정 시간 동안에만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류된다.
이렇게 후자의 전기기기들의 경우에 있어서도 콘센트가 전력을 사용하는 전기기기의 뒤쪽이나 벽면 또는 바닥에 설치되고 있어 차단의 어려움과 함께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경우에 상시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한다.
위에서 설명한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항상 켜놓은 상태로 있을 경우 리모콘을 사용하는 장치들의 경우 대기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전력을 사용하는 장치들의 수명도 연장하지 못하며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어 국가적인 손실을 초래하고 사람이 시간에 따라서 켜고 끄는 인력의 낭비가 따른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대기전력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 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을 감지하여 전원을 오프시켜 대기전력을 차단함으로써 대기전력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콘센트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의 경우 전원을 오프시켜 대기전력을 차단한 경우 전원을 복구시키기 위해 수동으로 작동스위치를 작동시켜 복구시키거나 리모콘을 사용하여 복구시킨다.
그런데 리모콘을 사용하여 전원을 복구시킬 경우 사용자는 전기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리모콘 뿐만 아니라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를 복구시키기 위한 리모콘이 추가됨에 따라 많은 리모콘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하나씩 작동시켜 전원을 복구시킨 후 사용하고자 하는 전기기기를 작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전기기기의 작동을 위한 리모콘을 작동시킬 경우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를 작동시켜 전원을 복구시킨 후 해당 전기기기가 작동되도록 리모콘 신호를 중계하는 리모콘 중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리모콘 중계장치는 리모콘신호를 수신받는 리모콘 수신부;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콘센트 동작신호 및 전기기기의 전원신호를 송신하는 리모콘 송신부; 콘센트 동작신호 및 전원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스위치; 및 리모콘 수신부를 통해 전기기기의 전원신호가 수신될 경우 저장부에 저장된 전원신호와 비교하여 리모콘 송신부를 통해 콘센트 동작신호 및 전원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며, 터치스위치가 작동될 경우 저장부에 저장된 콘센트 동작신호를 리모콘 송신부를 통해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기기의 전원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학습버튼을 더 포함하여 제어부에서 학습버튼이 입력될 경우 리모콘 수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리모콘 신호를 전원신호로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학습버튼이 롱키로 입력될 경우 리모콘 수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리모콘 신호를 콘센트 동작신호로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를 사용하여 전기기기의 소비전력을 감지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한 상태에서 전기기기의 리모콘 하나를 사용하여 전기기기를 작동시킬 경우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를 작동시켜 전원을 복구시킨 후 해당 전기기기가 작동되도록 리모콘 신호를 중계함으로써 하나의 리모콘을 사용하여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를 복구시킬 뿐만 아니라 전기기기도 함께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전기기기의 전원신호를 학습하여 저장시킴으로써 이미 사용하고 있는 전기기기의 리모콘을 사용하여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및 전기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리모콘을 사용하지 않는 전기기기의 경우에는 간편하게 터치시킴으로써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를 복구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중계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중계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중계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중계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중계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중계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 중계장치(300)는 리모콘 수신부(10), 리모콘 송신부(50), 저장부(60), 제어부(40), 전원부(70), 학습버튼(20) 및 터치스위치(30)를 포함한다.
리모콘 수신부(10)는 전기기기(200)의 리모콘(5)으로부터 송신되는 리모콘신호 및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100)를 동작시키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받는다.
리모콘 송신부(50)는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1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콘센트 동작신호 및 전기기기의 전원신호를 송신한다.
저장부(60)는 콘센트 동작신호 및 전원신호를 저장한다.
이때 저장부(60)에 저장되는 콘센트 동작신호를 기본적으로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100)와 함께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학습버튼(20)을 롱키로 약 3초 가량 길게 입력할 경우 리모콘 수신부(10)를 통해 입력되는 리모콘 신호를 콘센트 동작신호로 인식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전원신호도 다양한 전기기기(200)의 전원신호를 사전에 저장시켜 놓을 수도 있으며, 학습버튼(20)을 입력하여 리모콘 수신부(10)를 통해 입력되는 리모콘신호를 전원신호로 인식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40)는 리모콘 수신부(10)를 통해 전기기기(200)의 전원신호가 수신될 경우 저장부(60)에 저장된 전원신호와 비교하여 리모콘 송신부(50)를 통해 콘센트 동작신호 및 전원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전원부(70)는 리모콘 중계장치(3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충전식 배터리를 사용하거나 태양전지를 사용하여 소비전원을 공급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기기(200)의 리모콘(5)을 통해 전원버튼(미도시)을 입력할 경우 리모콘 중계장치(300)의 리모콘 수신부(10)에서 이를 수신하여 저장부(60)에 저장된 전원신호일 경우 콘센트 동작신호를 리모콘 송신부(50)를 통해 송신하여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100)가 복구될 수 있도록 한 후 0.5초 ~ 1초가 경과할 경우 저장된 전원신호를 리모콘 송신부(50)를 통해 송신함으로써 전기기기(200)가 작동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스위치(30)를 포함하여 터치스위치(30)가 작동될 경우 제어부(40)에서 저장부(60)에 저장된 콘센트 동작신호를 리모콘 송신부(50)를 통해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5)을 사용하지 않는 전자렌지 등의 전기기기(200)에 근접하게 리모콘 중계장치(300)를 배치한 상태에서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100)가 오프된 경우 전기기기(200)를 조작하기에 앞서 간단하게 리모콘 중계장치(300)의 터치스위치(30)를 터치할 경우 리모콘 송신부(50)를 통해 저장부(60)에 저장된 콘센트 동작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전원이 복구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중계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 중계장치의 제어방법은 먼저, 리모콘 수신부(10)를 통해 리모콘 신호가 수신되는가 판단한다(S10).
이때 리모콘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저장부(60)에 저장된 전원신호와 일치여부를 판단한다(S20).
이때 저장부(60)에 저장된 전원신호를 사전에 일반적인 전기기기(200)의 전원신호를 모두 저장해 놓을 수 있으며, 학습버튼(20)을 통해 사용자가 사용하는 전기기기(200)의 전원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즉, 학습버튼(20)이 입력될 경우 리모콘 수신부(10)를 통해 입력되는 리모콘 신호를 전원신호로 인식하여 저장부(60)에 저장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리모콘 수신부(10)를 통해 입력된 리모콘 신호가 전원신호와 일치할 경우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100)를 복구시키기 위한 콘센트 동작신호를 리모콘 송신부(50)를 통해 송신한다(S30).
콘센트 동작신호의 경우에도 저장부(60)에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100)에 대응되도록 사전에 저장시킬 수도 있으며, 학습버튼(20)을 롱키로 약 3초 가량 길게 입력할 경우 리모콘 수신부(10)를 통해 입력되는 리모콘 신호를 콘센트 동작신호로 인식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100)를 복구시키기 위한 콘센트 동작신호를 송신한 후 0.5초 ~ 1초가 경과할 경우 저장된 전원신호를 리모콘 송신부(50)를 통해 송신하여 전기기기(200)가 작동되도록 한다(S40)(S50).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5 : 리모콘 10 : 리모콘 수신부
20 : 학습버튼 30 : 터치스위치
40 : 제어부 50 : 리모콘 송신부
60 : 저장부 70 : 제어부
100 :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200 : 전기기기
300 : 리모콘 중계장치

Claims (5)

  1. 리모콘신호를 수신받는 리모콘 수신부;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콘센트 동작신호 및 전기기기의 전원신호를 송신하는 리모콘 송신부;
    상기 콘센트 동작신호 및 상기 전원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스위치; 및
    상기 리모콘 수신부를 통해 상기 전기기기의 전원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전원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리모콘 송신부를 통해 상기 콘센트 동작신호 및 상기 전원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터치스위치가 작동될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콘센트 동작신호를 상기 리모콘 송신부를 통해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중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기의 전원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학습버튼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학습버튼이 입력될 경우 상기 리모콘 수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리모콘 신호를 상기 전원신호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중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버튼이 롱키로 입력될 경우 상기 리모콘 수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리모콘 신호를 상기 콘센트 동작신호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중계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00034081A 2010-04-14 2010-04-14 리모콘 중계장치 KR101117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081A KR101117163B1 (ko) 2010-04-14 2010-04-14 리모콘 중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081A KR101117163B1 (ko) 2010-04-14 2010-04-14 리모콘 중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764A KR20110114764A (ko) 2011-10-20
KR101117163B1 true KR101117163B1 (ko) 2012-03-07

Family

ID=45029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081A KR101117163B1 (ko) 2010-04-14 2010-04-14 리모콘 중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16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011Y1 (ko) 2006-07-05 2006-10-04 임재근 대기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 콘센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011Y1 (ko) 2006-07-05 2006-10-04 임재근 대기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 콘센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764A (ko) 201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3609B2 (ja) エネルギー管理装置、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及び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
GB2504056A (en) Energy saving device with intelligent power control
WO2009075545A3 (en) Device, system and method that decreasing standby power of electronic appliance and receptacle
US91592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remote control of an electric appliance
KR20140063395A (ko) 하나의 리모트 콘트롤러로 기기와 개폐장치를 함께 제어하는 무선 대기전력 차단 및 공급 시스템
KR101262196B1 (ko)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KR20110009530A (ko) 소비전력 감지에 의한 대기전력 차단 절전형 멀티콘센트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18250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기전력 및 전력 제어시스템
KR101117163B1 (ko) 리모콘 중계장치
KR101201787B1 (ko) 인공지능 자동 절전시스템
CN104601909A (zh) 电视机控制方法、电视机及智能家庭网络
KR20130074428A (ko) 자가발전 기능을 갖는 리모콘 중계장치
KR101041410B1 (ko)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에서 전기 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N204155080U (zh) 自动保持装置和家用电器
CN102540912A (zh) 家庭电器一体化智能控制系统
CN103094788A (zh) 可远程控制的智能插座
WO2017126047A1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CN202494907U (zh) 智能电器管理系统
KR101063438B1 (ko) 대기전력 절감형 멀티콘센트
CN103644626A (zh) 一种红外控制的空调节电电路
KR20110101457A (ko) 절전형 멀티콘센트
CN205081313U (zh) 一种手动自动一体化的多功能插座
KR101296548B1 (ko) 대기전력 차단이 용이한 전기공사 시공방법
KR20100124460A (ko) 멀티탭, 리모트 콘트롤러 및 멀티탭의 원격 제어 방법
KR20110080618A (ko) 대기 전력 차단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