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922B1 -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922B1
KR101116922B1 KR1020100033366A KR20100033366A KR101116922B1 KR 101116922 B1 KR101116922 B1 KR 101116922B1 KR 1020100033366 A KR1020100033366 A KR 1020100033366A KR 20100033366 A KR20100033366 A KR 20100033366A KR 101116922 B1 KR101116922 B1 KR 101116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ravel
speed
time
travel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3986A (ko
Inventor
오철
박준형
임희섭
강경표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33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922B1/ko
Publication of KR20110113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25Traffic data processing
    • G08G1/0133Traffic data processing for classifying traffic situ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6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 G08G1/096791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where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is another vehic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방법은 상기 차량의 하나 이상의 선행차량에 대한 통행이력 정보(선행차량 통행이력 정보)를 기설정된 시간주기 단위로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선행차량 통행이력 정보는 상기 선행차량의 위치 및 상기 위치에서의 상기 선행차량의 속도를 포함함 -; 상기 선행차량 통행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목적지까지의 통행구간을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들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 각각을 대표하는 대표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 각각의 대표 속도 및 상기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 각각의 길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 각각을 통행하는데 소요되는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 각각에 대한 통행시간들을 합산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목적지까지 통행하는데 소요되는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방법{METHOD FOR ESTIMATING TRAVEL TIME OF VEHICLE}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이 목적지까지 운행하는데 소요되는 잔여 통행시간의 산출의 정확도를 높이고, 실시간으로 차량 운전자에게 잔여 통행시간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차량이 목적지까지 운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가변전광표지(VMS: Variable Message Signs),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운전정보 서비스 등이 활용되었다.
특히, TPEG 운전정보 서비스는 통행구간(도로)의 각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지점 검지기 또는 구간 검지기를 통해 수집된 자료 교통 관제 센터에서 집계하여 교통 소통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TPEG 단말기가 장착된 차량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잔여 통행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이와 같이, TPEG 운전정보 서비스는 교통 소통정보의 제공을 의해 지점 검지기 또는 구간 검지기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런데, 지점 검지기의 경우, 특정 지점의 속도 및 차량 점유율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때문에 소정의 구간을 대표하는 정보로 활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간 검지기의 경우, 검지 구간을 차량이 완전히 통과하여야만 정보가 생성될 수 있기 때문에 자료를 수집하고 정보를 생성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하는데 시간적 차이가 존재하여 실시간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TPEG 운전정보 서비스를 포함한 종래의 기술들은 다수의 운전자들에게 동일한 정보를 제공하는바, 개별 운전자들의 주행 특성을 반영하거나 개별 운전자들의 요구를 반영한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차량이 목적지까지 운행하는데 소요되는 잔여 통행시간의 산출의 정확도를 높이고, 실시간으로 차량 운전자에게 잔여 통행시간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하나 이상의 선행차량에 대한 통행이력 정보(선행차량 통행이력 정보)를 기설정된 시간주기 단위로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선행차량 통행이력 정보는 상기 선행차량의 위치 및 상기 위치에서의 상기 선행차량의 속도를 포함함 -; 상기 선행차량 통행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목적지까지의 통행구간을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들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 각각을 대표하는 대표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 각각의 대표 속도 및 상기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 각각의 길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 각각을 통행하는데 소요되는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 각각에 대한 통행시간들을 합산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목적지까지 통행하는데 소요되는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차량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선행차량에는 무선 통신 모듈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 간에 형성된 애드혹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선행차량 통행이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선행차량 각각은 기설정된 속도 범위로 분류된 복수의 차량 분류군들 중 어느 하나의 차량 분류군에 속하고 - 상기 하나 이상의 선행차량 각각은 상기 선행차량의 속도의 변화에 의해 상기 통행구간의 서로 다른 지점에서 서로 다른 차량 분류군에 속할 수 있음 -, 상기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 각각은 상기 복수의 차량 분류군들 중 하나 이상의 차량 분류군 내의 선행차량들에 의해 점유되며, 상기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들 중 n번째 서브 통행구간을 점유하는 선행차량들의 차량 분류군의 개수 또는 종류는 n+1번째 서브 통행구간을 점유하는 선행차량들의 차량 분류군의 개수 또는 종류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통행구간 내에서 차량 사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차량 사고와 관련된 정보(차량 사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들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사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행구간을 사고 영향권 통행구간 및 사고 비영향권 통행 구간으로 분할하고, 상기 사고 영향권 통행구간 및 상기 사고 비영향권 통행 구간 각각을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들로 분할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속도 범위는 상기 사고 영향권 통행구간과 상기 사고 비영향권 통행구간에서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차량 분류군의 개수는 상기 사고 영향권 통행구간과 상기 사고 비영향권 통행구간에서 서로 같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상기 위치에서의 상기 차량의 속도를 포함하는 차량 통행이력 정보를 기설정된 시간주기 단위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주기 단위 별로 다음 시간주기 단위에서의 상기 차량의 속도를 예측하는 단계 - 상기 다음 시간주기 단위에서의 상기 차량의 속도는 이전 시간주기 단위에서 예측된 현재 시간주기 단위에서의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상기 현재 시간주기 단위에서 수신된 상기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예측됨 -; 상기 통행시간을 산출하고자 하는 시점과 대응되는 시간주기 단위에서 수신된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상기 차량의 목적지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잔여 통행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응되는 시간주기 단위에서 예측된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상기 산출된 차량의 잔여 통행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목적지까지 통행하는데 소요되는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차량의 속도를 예측하는 단계는 지수 평활화 기법에 기초하여 상기 이전 시간주기 단위에서 예측된 상기 현재 시간주기 단위에서의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상기 현재 시간주기 단위에서 수신된 상기 차량의 속도로부터 상기 다음 시간주기 단위에서의 상기 차량의 속도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잔여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통행이력 정보 및 상기 차량의 하나 이상의 선행차량의 통행이력 정보를 기설정된 시간주기 단위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 통행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목적지까지의 통행구간을 통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제1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선행차량의 통행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목적지까지의 통행구간을 통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제2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통행시간 및 상기 제2 통행시간에 대해 회귀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목적지까지의 통행구간을 통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제3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회귀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산출된 제3 통행시간은 아래의 수학식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0023189907-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10023189907-pat00002
는 상기 제3 통행시간,
Figure 112010023189907-pat00003
는 상기 제1 통행시간,
Figure 112010023189907-pat00004
는 상기 제2 통행시간,
Figure 112010023189907-pat00005
는 제1 회귀 계수,
Figure 112010023189907-pat00006
는 제2 회귀 계수,
Figure 112010023189907-pat00007
는 제3 회귀 계수를 각각 의미한다.
상기 제1 회귀 계수, 상기 제2 회귀 계수, 및 상기 제3 회귀 계수는 상기 통행구간을 통행한 선행차량 중에서 상기 선행차량의 통행이력 정보를 전송한 선행차량의 비율 및 상기 통행구간 내에서의 차량 사고의 발생 유무, 상기 통행구간 내에서 차량사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3 통행시간 산출 시 상기 차량 사고의 지속 여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이 목적지까지 운행하는데 소요되는 잔여 통행시간의 산출의 정확도를 높이고, 실시간으로 차량 운전자에게 잔여 통행시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자차량의 통행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통행시간(제1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선행차량의 통행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통행시간(제2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분류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통행구간을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으로 분할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통행 구간 내에서 차량 사고가 발생한 경우, 통행구간을 사고 영향권 통행구간과 사고 비영향권 통행구간으로 분할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자차량의 통행이력 정보 및 선행차량의 통행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통행시간(제3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장치(100)는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통신부(110), 통행시간 산출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 요소 별로 그 기능을 상술하기로 한다.
통신부(110)는 외부로부터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을 위한 교통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교통정보는 기설정된 시간 주기 단위로 반복적으로 수신된다.
일례로, 통신부(110)는 인공위성으로부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GPS 단말(1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교통 관제 센터로부터 교통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고, 자차량(Subject Vehicle)보다 먼저 통행구간을 지나간 선행차량(선행차량은 하나 이상임)으로부터 교통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통신부(110)는 무선 통신 모듈(112)을 포함하고, 이를 이용하여 교통 관제 센터 또는 선행차량으로부터 교통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무선 통신 모듈(112)는 선행차량에 장착된 무선 통신 모듈 사이에 형성된 애드혹 네트워크를 통해 선행차량으로부터 교통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GPS 정보는 자차량의 통행이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선행차량으로부터 수신한 교통정보는 선행차량의 통행이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교통 관제 센터로부터 수신한 교통정보는 자차량이 통행하는 도로에서의 발생한 사고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도로를 통행한 선행차량 중에서 자차량으로 교통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장착한 선행차량의 비율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통행이력 정보들은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위치에서의 차량의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자차량의 통행이력 정보는 상기 통행이력 정보가 생성되는 시점에서의 자차량의 위치 및 상기 위치에서의 자차량의 속도를 포함하고, 선행차량의 통행이력은 선행차량의 통행이력 정보가 생성되는 시점에서의 선행차량의 위치 및 상기 위치에서의 선행차량의 속도를 포함한다.
또한, 도 1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자차량에는 중력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 센서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장지(100)는 중력 센서 내지 가속도 센서를 통해 획득한 중력/가속도 정보를 통해 지면으로부터 차량이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는 자차량이 일반도로 상에서 통행하고 있는지, 고가도로 상에서 통행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통행시간 산출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자차량이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통행시간)을 산출한다. 이 때, 통행시간 산출부(120)는 기설정된 시간 주기 단위로 통행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부(110)는 자차량의 통행이력 정보 및 선행차량의 통행이력 정보를 수신하므로, 통행시간 산출부(120)는 자차량의 통행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통행시간(제1 통행시간)을 산출할 수도 있고, 선행차량의 통행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통행시간(제2 통행시간)을 산출할 수도 있으며, 자차량의 통행이력 정보와 선행차량의 통행이력 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통행시간(제3 통행시간)을 산출할 수도 있다.
통행시간 산출부(120)가 자차량의 통행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통행시간(제1 통행시간 및 제3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경우, 개별 운전자들의 주행 특성 내지 요구를 반영하여 통행시간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행시간 산출부(120)가 선행차량의 통행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통행시간(제2 통행시간 및 제3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교통 상황을 반영하여 통행시간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산출된 통행시간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일례로, 디스플레이부(130)는 통행시간 산출부(120)에서 산출된 모든 통행시간(제1 통행시간, 제2 통행시간, 제3 통행시간)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일부의 통행시간(일례로, 제3 통행 시간)만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행시간 산출 장치(100)가 차량의 통행시간(제1 통행시간, 제2 통행시간, 제3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장치(100)가 자차량이 목적지까지 통행하는데 소요되는 통행시간(제1 통행시간, 제 통행시간, 제3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동작(즉,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부(110)는 기설정된 시간 주기 단위로 자차량의 통행이력 정보 및 선행차량의 통행이력 정보를 수신하고, 통행시간 산출부(120)는 기설정된 시간 주기 단위로 자차량의 통행시간을 산출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통행시간 산출부(120)에서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시간주기 단위를 "제1 시간 주기 단위"로 칭하고, 통신부(110)에서 통행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시간주기 단위를 "제2 시간주기 단위"로 칭하기로 한다. 이 때, 제2 시간주기 단위는 제1 시간주기 단위보다 짧을 수 있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자차량의 통행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통행시간(제1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2를 참고하여 각 단계별로 수행되는 과정을 상술하기로 한다.
단계(S210)에서는 자차량의 통행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자차량이 목적지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제1 통행시간을 산출할 제1 시간주기 단위를 설정한다. 일례로, 제1 시간주기 단위는 30초, 1분, 3분 등일 수 있다.
단계(S220)에서는 자차량의 위치 및 상기 위치에서의 자차량의 속도를 포함하는 자차량 통행이력 정보를 제2 시간주기 단위로 반복하여 수신한다. 일례로, 단계(S210)에서는 매초단위로 자차랑의 통행이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즉, 제2 시간주기 단위는 1초일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차량 통행이력 정보는 GPS 단말기(111)를 이용하여 획득한 정보일 수 있다.
단계(S230)에서는 수신된 자차량의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시간주기 단위 별로 다음 제2 시간주기 단위에서의 자차량의 속도를 예측한다. 즉, 단계(S230)에서는 제1 통행시간의 산출에 이용될 자차량의 속도 정보를 제2 시간주기 단위로 생성한다.
이 때, 단계(S230)에서는 이전 제2 시간주기 단위에서 예측된 현재 제2 시간주기 단위에서의 자차량의 속도 및 현재 제2 시간주기 단위에서 수신된 자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다음 제2 시간주기 단위에서의 자차량의 속도를 예측한다.
다시 말해, 제2 시간주기 단위의 인덱스를
Figure 112010023189907-pat00008
라 하면, 단계(S230)에서는
Figure 112010023189907-pat00009
시점에서 예측된 자차량의 속도(
Figure 112010023189907-pat00010
)와
Figure 112010023189907-pat00011
시점에서 수신된 자차량의 속도(
Figure 112010023189907-pat00012
)에 기초하여
Figure 112010023189907-pat00013
시점에서의 자차량의 속도(
Figure 112010023189907-pat00014
)를 예측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230)에서는 지수 평활화 기법을 이용하여 이전 제2 시간주기 단위에서 예측된 현재 제2 시간주기 단위에서의 자차량의 속도 및 현재 제2 시간주기 단위에서 수신된 자차량의 속도로부터 다음 제2 시간주기 단위에서의 자차량의 속도를 예측할 수 있다. 이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0023189907-pat00015
여기서,
Figure 112010023189907-pat00016
는 평활화 계수를 의미한다.
정리하면, 단계(S230)에서는 과거 시점에서 예측된 속도 정보 및 현재 시점에서 측정된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미래의 속도를 예측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자차량의 미래의 속도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게 된다.
단계(S240)에서는 제1 시간주기 단위의 종료시점(즉, 제1 통행시간을 산출하고자 하는 시점)과 대응되는 제2 시간주기 단위에서 수신된 자차량의 위치 및 자차량의 목적지의 위치에 기초하여 자차량의 잔여 통행거리를 산출한다. 이 때, 자차량의 목적지의 위치 정보는 GPS 단말(111)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단계(S250)에서는 제1 시간주기 단위의 종료시점과 대응되는 제2 시간주기 단위에서 예측된 자차량의 속도 및 단계(S240)에서 산출된 자차량의 잔여 통행거리에 기초하여 자차량이 목적지까지 통행하는데 소요되는 통행시간(제1 통행시간)을 산출한다. 이는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0023189907-pat00017
여기서,
Figure 112010023189907-pat00018
는 제1 시간주기 단위의 종료시점과 대응되는 제2 시간주기 단위,
Figure 112010023189907-pat00019
Figure 112010023189907-pat00020
시점에서 산출된 제1 통행시간,
Figure 112010023189907-pat00021
Figure 112010023189907-pat00022
시점에서 산출된 잔여 통행거리,
Figure 112010023189907-pat00023
는 예측된
Figure 112010023189907-pat00024
시점에서의 자차량의 속도를 각각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장치(100)는 위와 같은 단계(S210) 내지 단계(S250)를 제1 시간주기 단위로 반복 수행하여 자차량의 차량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제1 통행시간을 산출하여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선행차량의 통행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통행시간(제2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3을 참고하여 각 단계별로 수행되는 과정을 상술하기로 한다.
단계(S310)에서는 선행차량의 통행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자차량이 목적지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제2 통행시간을 산출할 제1 시간주기 단위를 설정한다. 단계(S310)에서의 제1 시간주기 단위는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단계(S210)에서의 제1 시간주기 단위와 동일할 수 있다.
단계(S320)에서는 선행차량의 위치 및 상기 위치에서의 선행차량의 속도를 포함하는 선행차량 통행이력 정보를 제2 시간주기 단위로 반복하여 수신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행차량의 통행이력 정보는 무선 통신 모듈(112)과 선행차량에 장착된 무선 통신 모듈 간에 형성된 애드혹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단계(S320)에서의 제2 시간주기 단위 역시 앞서 도 3에서 설명한 단계(S320)에서의 제2 시간주기 단위와 동일할 수 있다.
이 때, 선행차량은 기설정된 속도 범위에 따라 분류된 복수의 차량 분류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차량 분류군에 속할 수 있다.
차량 분류군은 속도를 차량의 특성으로 하여 차량을 종류별로 분류한 그룹을 의미한다. 일례로, 차량 분류군은 아래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차량 분류군 1단위 2단위 3단위
속도 범위 0 ~ 30 (Km/H) 30 ~ 60 (Km/H) 60 ~ 90 (Km/H)
여기서, 기설정된 속도 범위는 30 (Km/H) 이다.
즉, 선행차량은 자신의 통행이력 정보에 따라서 특정 시점에서 복수의 차량 분류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차량 분류군에 속할 수 있다. 만약, 선행차량의 속도가 서로 다른 두 시점에서 변화하였다면 선행차량의 차량 분류군은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차량의 통행구간(410) 내에서 선행차량 A(420)에 대한 4개의 통행이력 정보([제1 위치, 25 Km/H], [제2 위치, 35Km/H], [제3 위치, 65Km/H], [제4 위치, 20Km/H])가 수신되었고, 차량 분류군이 상기의 표 1과 같다면, 선행차량 A(420)는 제1 위치 및 제4 위치에서는 1단위 차량 분류군에 속하고, 제2 위치에서는 2단위 차량 분류군에 속하며, 제3 위치에서는 3단위 차량 분류군에 속하게 된다.
이 때, 차량 분류군을 정의하는 속도 범위는 도로의 유형, 제한속도 등에 의해 유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고,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도로에서의 사고 발생 유무에 의해서도 변경될 수 있다.
단계(S330)에서는 제2 통행시간의 산출에 이용되는 선행차량의 통행이력 정보를 수집할 제3 시간주기 단위를 설정한다. 즉, 단계(S330)에서는 제2 통행시간을 산출하는데 사용되는 선행차량의 통행이력 정보의 시간적 범위를 설정한다.
앞서 도 4에서 설명한 일례와 같이, 4개의 선행차량의 통행이력 정보가 제2 통행시간의 산출에 사용되고, 제2 통행시간의 산출시점이 12시 00분이며 제3 시간주기 단위가 30초로 가정하면, 4개의 선행차량의 통행이력 정보는 모두 11시 59분 30초 ~ 12시 00분 00초 사이에서 측정되어 전송된 통행이력 정보이다.
단계(S340)에서는 자차량의 통행구간에서 발생한 차량 사고에 대한 정보(차량 사고 정보)를 수신한다. 일례로, 단계(S340)에서는 무선 통신 모듈(112)를 통해 교통 관제 센터 또는 선행차량으로부터 전송된 차량 사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차량 사고 정보는 차량 사고가 발생한 위치에 대한 정보, 차량 사고가 발생한 차로에 대한 정보 및 차량 사고 발생에 의해 통행이 제한된 차로에 대한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만약, 통행구간 내에서 차량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단계(S340)는 생략될 수 있다.
단계(S350)에서는 수신된 선행차량 통행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자차량의 목적지까지의 통행구간을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들로 분할한다.
이 때,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 각각은 복수의 차량 분류군들 중 하나 이상의 차량 분류군 내의 선행차량에 의해 점유되며,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들 중 n번째 서브 통행구간을 점유하는 선행차량들의 차량 분류군의 개수 또는 종류는 n+1번째 서브 통행구간을 점유하는 선행차량들의 차량 분류군의 개수 또는 종류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차량의 통행구간(510)을 3대의 선행차량(선행차량 A(520), 선행차량 B(530), 선행차량 C(540))이 통과하였고, 차량 분류군이 상기의 표 1과 같으며, 제3 시간주기 단위 내에 수집된 선행차량 통행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3대의 선행차량들의 차량 분류군이 도 5와 같이 결정된다고 가정하면, 통행구간은 5개의 서브 통행구간으로 분할되게 된다. 이 때, "서브 통행구간 1과 서브 통행구간 2", "서브 통행구간 2와 서브 통행구간 3", 및 "서브 통행구간 3과 서브 통행구간 4"은 점유하는 차량 분류군의 개수가 상이하고, "서브 통행구간 4와 서브 통행구간 5"는 점유하는 차량 분류군의 개수는 동일하지만 차량 분류군의 종류가 상이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행구간 내에서 차량 사고가 발생하여 단계(S340)에서 차량 사고 정보를 수신하였다면, 단계(S350)에서는 차량 사고 정보에 기초하여 통행구간을 사고 영향권 통행구간 및 사고 비영향권 통행 구간으로 분할하고, 사고 영향권 통행구간 및 사고 비영향권 통행 구간 각각을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들로 분할한다.
즉, 통행구간 내에서 차량 사고가 발생한 경우, 단계(S350)에서는 먼저 수신한 차량 사고 정보에 기초하여 사고 지점의 위치를 파악하고, 선행차량의 통행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사고의 영향이 통행 구간의 어느 지점까지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통행 구간을 사고 영향권 통행구간과 사고 비영향권 통행구간으로 분할한 후, 각각을 서브 통행구간으로 분할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점에서 차량 사고가 발생하였다면, 단계(S350)에서는 차량 사고 정보를 이용하여 통행 구간(610)내의 사고 지점(제1 지점)을 파악하고, 선행차량의 통행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고의 영향이 미치는 종단 지점(제2 지점)을 산출한 후,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의 통행구간을 사고 영향권 통행구간으로 분할하고, 그 이외의 통행구간을 사고 비영향권 통행구간으로 분할한다. 각각의 통행구간을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으로 분할하는 동작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분류군을 설정하기 위한 기설정된 속도 범위는 사고 영향권 통행구간과 사고 비영향권 통행구간에 대해 서로 다른 값이 적용될 수 있고, 분류된 차량 분류군의 개수는 사고 영향권 통행구간과 사고 비영향권 통행구간에서 서로 같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고가 발생한 지역에서의 차량 속도가 사고 비발생지역의 차량 속도보다 느리다는 점을 제2 통행시간 산출에 적절하게 반영하기 위함이다.
단계(S360)에서는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 각각을 대표하는 대표 속도(서브 통행구간 대표 속도)를 산출한다. 즉, 서브 통행구간의 대표 속도는 자차량이 통행구간을 지나가는 경우 적용될 각 서브 통행구간에서의 속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360)에서는 아래의 수학식 3에 기초하여 각각의 서브 통행구간의 대표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0023189907-pat00025
여기서,
Figure 112010023189907-pat00026
는 상기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들 중 어느 하나의 서브 통행구간의 대표 속도, r은 상기 어느 하나의 서브 통행구간을 점유하는 선행차량의 차량 분류군의 개수, m은 상기 어느 하나의 서브 통행구간을 점유하는 선행차량의 속도의 개수,
Figure 112010023189907-pat00027
는 상기 r개의 차량 분류군 중 k번째 차량 분류군에 속하는 선행차량의 i번째 속도,
Figure 112010023189907-pat00028
는 상기 r개의 차랑 분류군 중 k번째 차량 분류군에 적용되는 가중치를 각각 의미한다.
단계(S370)에서는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 각각의 대표 속도(
Figure 112010023189907-pat00029
) 및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 각각의 길이(
Figure 112010023189907-pat00030
)를 이용하여 자차량이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 각각을 통행하는데 소요되는 통행시간(
Figure 112010023189907-pat00031
)을 산출한다
마지막으로, 단계(S380)에서는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 각각에 대한 통행시간들을 합산하여 자차량이 목적지까지 통행하는데 소요되는 통행시간(제2 통행시간)을 산출한다. 이는 아래의 수학식 4 또는 수학식 5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이 때, 수학식 4는 단계(S350)에서 통행구간을 사고 영향권 통행구간과 사고 비영향권 통행구간으로 분할한 경우의 수학식이고, 수학식 5는 통행구간을 사고 영향권 통행구간과 사고 비영향권 통행구간으로 분할하지 않은 경우의 수학식이다.
Figure 112010023189907-pat00032
Figure 112010023189907-pat00033
여기서,
Figure 112010023189907-pat00034
는 제2 통행시간,
Figure 112010023189907-pat00035
는 사고 영향권 통행구간의 통행시간,
Figure 112010023189907-pat00036
는 사고 비영향권 통행구간의 통행시간, b는 분할된 서브 통행구간의 총 개수, j는 사고 영향권 통행구간 내의 서브 통행구간의 개수, q는 사고 비영향권 통행구간 내의 서브 통행구간의 개수를 각각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장치(100)는 위와 같은 단계(S310) 내지 단계(S380)를 제1 시간주기 단위로 반복 수행하여 선행차량의 차량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행시간을 산출하여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자차량의 통행이력 정보 및 선행차량의 통행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통행시간(제3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7을 참고하여 각 단계별로 수행되는 과정을 상술하기로 한다.
먼저, 단계(S710)에서는 자차량의 통행이력 정보 및 선행차량의 통행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자차량이 목적지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제3 통행시간을 산출할 제1 시간주기 단위를 설정한다. 단계(S710)에서의 제1 시간주기 단위는 앞서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단계(S210) 및 단계(S310)에서의 제1 시간주기 단위와 동일할 수 있다.
단계(S720)에서는 자차량의 통행이력 정보 및 선행차량의 통행이력 정보를 제2 시간주기 단위로 수신한다. 이는 앞서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단계(S220) 및 단계(S320)과 대응된다.
단계(S730)에서는 자차량 통행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자차량이 목적지까지의 통행구간을 통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제1 통행시간을 산출한다. 일례로, 단계(S730)에서는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단계(S230) 내지 단계(S250)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 제1 통행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단계(S740)에서는 선행차량의 통행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자차량이 목적지까지의 통행구간을 통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제2 통행시간을 산출한다. 일례로, 단계(S740)에서는 앞서 도 3에서 설명한 단계(S330) 내지 단계(S380)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 제2 통행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단계(S750)에서는 제1 통행시간 및 제2 통행시간에 대해 회귀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자차량이 목적지까지의 통행구간을 통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제3 통행시간을 산출한다.
회귀 분석(Regression Analysis) 알고리즘은 통계학에서 관찰된 연속형 변수들에 대해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의 인과관계에 따른 수학적 모델인 선형적 관계식을 구하여 어떤 독립변수가 주어졌을 때 이에 따른 종속변수를 예측하는 알고리즘으로서, 단계(S740)에서는 1개의 종속변수와 여러 개의 독립변수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다중 회귀 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알고리즘을 통해 제3 통행시간을 산출한다. 본 발명의 경우, 제3 통행시간이 종속변수이고, 제1 통행시간, 제2 통행시간, 통행구간의 길이, 및 차량 사고 발생시 차량 사고 발생 지점까지의 거리가 독립변수가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회귀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산출된 제3 통행시간은 아래의 수학식 6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0023189907-pat00037
여기서,
Figure 112010023189907-pat00038
는 제3 통행시간,
Figure 112010023189907-pat00039
는 제1 통행시간,
Figure 112010023189907-pat00040
는 제2 통행시간,
Figure 112010023189907-pat00041
는 제1 회귀 계수,
Figure 112010023189907-pat00042
는 제2 회귀 계수,
Figure 112010023189907-pat00043
는 제3 회귀 계수를 각각 의미한다.
즉 단계(S750)에서는 회기 분석을 통해 제1 회귀 계수, 제2 회귀 계수, 및 제3 회귀 계수를 산출하여 제3 통행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제1 회귀 계수, 제2 회귀 계수, 및 제3 회귀 계수는 통행구간을 통행한 선행차량 중에서 선행차량의 통행이력 정보를 전송한 선행차량의 비율(프로브 차량 비율(PPV)) 및 통행구간 내에서의 차량 사고의 발생 유무, 통행구간 내에서 차량사고가 발생한 경우 제3 통행시간 산출 시 차량 사고의 지속 여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서, 통행구간 진입 시 통행구간 내에 차량 사고가 발생하지 아니하였다면, 제1 회귀 계수, 제2 회귀 계수, 및 제3 회귀 계수의 값은 프로브 차량 비율에 따라 표 2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프로브 차량 비율 제1 회귀 계수 제2 회귀 계수 제3 회귀 계수
1% 2.453 0.032 0.972
3% 1.003 0.804 0.206
5% 9.557 0.005 0.974
7% 1.887 0.347 0.657
9% 2.613 0.052 0.947
또한, 통행구간 진입 시 통행구간 내에 차량 사고가 발생하였지만 제3 통행시간 산출 시 차량 사고가 종료되었다면, 제1 회귀 계수, 제2 회귀 계수, 및 제3 회귀 계수의 값은 프로브 차량 비율에 따라 표 3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프로브 차량 비율 제1 회귀 계수 제2 회귀 계수 제3 회귀 계수
1% 4.082 0.066 0.959
3% 5.927 0.129 0.794
5% 8.466 0.252 0.640
7% 8.589 0.200 0.685
9% 8.566 0.263 0.626
이 때, 만약 프로브 차량 비율이 1% 미안이라면, 제3 통행시간은 상기의 수학식 6이 아닌 아래의 수학식 7과 같이 표현되고, 이 경우의 제1 회귀 계수, 제2 회귀 계수, 및 제3 회귀 계수의 값은 아래의 표 4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Figure 112010023189907-pat00044
여기서,
Figure 112010023189907-pat00045
은 차량 사고 발생시 차량 사고 발생 지점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프로브 차량 비율 제1 회귀 계수 제2 회귀 계수 제3 회귀 계수
1% 미만 260.86 -0.364 0.099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장치(100)는 위와 같은 단계(S710) 내지 단계(S750)를 제1 시간주기 단위로 반복 수행하여 자차량의 통행이력 정보 및 선행차량의 차량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제3 통행시간을 산출하여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7)

  1. 통신부 및 통행시간 산출부를 포함하는 통행시간 산출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차량의 하나 이상의 선행차량에 대한 통행이력 정보(선행차량 통행이력 정보)를 기설정된 시간주기 단위로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선행차량 통행이력 정보는 상기 선행차량의 위치 및 상기 위치에서의 상기 선행차량의 속도를 포함함 -;
    상기 통행시간 산출부가 상기 선행차량 통행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목적지까지의 통행구간을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들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통행시간 산출부가 상기 선행차량 통행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 각각을 대표하는 대표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통행시간 산출부가 상기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 각각의 대표 속도 및 상기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 각각의 길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 각각을 통행하는데 소요되는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통행시간 산출부가 상기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 각각에 대한 통행시간들을 합산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목적지까지 통행하는데 소요되는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선행차량에는 무선 통신 모듈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 간에 형성된 애드혹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선행차량 통행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선행차량 각각은 기설정된 속도 범위로 분류된 복수의 차량 분류군들 중 어느 하나의 차량 분류군에 속하고 - 상기 하나 이상의 선행차량 각각은 상기 선행차량의 속도의 변화에 의해 상기 통행구간의 서로 다른 지점에서 서로 다른 차량 분류군에 속할 수 있음 -,
    상기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 각각은 상기 복수의 차량 분류군들 중 하나 이상의 차량 분류군 내의 선행차량들에 의해 점유되며,
    상기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들 중 n번째 서브 통행구간을 점유하는 선행차량들의 차량 분류군의 개수 또는 종류는 n+1번째 서브 통행구간을 점유하는 선행차량들의 차량 분류군의 개수 또는 종류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행구간 내에서 차량 사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차량 사고와 관련된 정보(차량 사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들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사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행구간을 사고 영향권 통행구간 및 사고 비영향권 통행 구간으로 분할하고,
    상기 사고 영향권 통행구간 및 상기 사고 비영향권 통행 구간 각각을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들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속도 범위는 상기 사고 영향권 통행구간과 상기 사고 비영향권 통행구간에서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량 분류군의 개수는 상기 사고 영향권 통행구간과 상기 사고 비영향권 통행구간에서 서로 같거나 또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아래의 수학식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 각각의 대표 속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방법.

    Figure 112010023189907-pat00046


    여기서,
    Figure 112010023189907-pat00047
    는 상기 복수의 서브 통행구간들 중 어느 하나의 서브 통행구간의 대표 속도, r은 상기 어느 하나의 서브 통행구간을 점유하는 선행차량의 차량 분류군의 개수, m은 상기 어느 하나의 서브 통행구간을 점유하는 선행차량의 속도의 개수,
    Figure 112010023189907-pat00048
    는 상기 r개의 차량 분류군 중 k번째 차량 분류군에 속하는 선행차량의 i번째 속도,
    Figure 112010023189907-pat00049
    는 상기 r개의 차랑 분류군 중 k번째 차량 분류군에 적용되는 가중치를 각각 의미함.
  8. 통신부 및 통행시간 산출부를 포함하는 통행시간 산출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상기 위치에서의 상기 차량의 속도를 포함하는 차량 통행이력 정보를 기설정된 시간주기 단위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행시간 산출부가 상기 수신된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주기 단위 별로 다음 시간주기 단위에서의 상기 차량의 속도를 예측하는 단계;
    상기 통행시간 산출부가 상기 통행시간을 산출하고자 하는 시점과 대응되는 시간주기 단위에서 수신된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상기 차량의 목적지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잔여 통행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통행시간 산출부가 상기 대응되는 시간주기 단위에서 예측된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상기 산출된 차량의 잔여 통행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목적지까지 통행하는데 소요되는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의 속도를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주기 단위 별로, 이전 시간주기 단위에서 예측된 현재 시간주기 단위에서의 차량의 속도와 상기 현재 시간주기 단위에서 수신된 상기 차량의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다음 시간 주기 단위에서의 상기 차량의 속도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속도를 예측하는 단계는
    지수 평활화 기법에 기초하여 상기 이전 시간주기 단위에서 예측된 상기 현재 시간주기 단위에서의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상기 현재 시간주기 단위에서 수신된 상기 차량의 속도로부터 상기 다음 시간주기 단위에서의 상기 차량의 속도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속도를 예측하는 단계는
    아래의 수학식에 기초하여 상기 다음 시간주기 단위에서의 상기 차량의 속도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방법.

    Figure 112010023189907-pat00050


    여기서,
    Figure 112010023189907-pat00051
    는 상기 예측된 다음 시간주기 단위에서의 상기 차량의 속도,
    Figure 112010023189907-pat00052
    는 상기 현재 시간주기 단위에 수신된 상기 차량의 속도,
    Figure 112010023189907-pat00053
    는 상기 이전 시간주기 단위에서 예측된 현재 시간주기 단위에서의 상기 차량의 속도,
    Figure 112010023189907-pat00054
    는 평활화 계수를 각각 의미함.
  11. 통신부 및 통행시간 산출부를 포함하는 통행시간 산출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잔여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차량의 통행이력 정보 및 상기 차량의 하나 이상의 선행차량의 통행이력 정보를 기설정된 시간주기 단위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행시간 산출부가 상기 차량 통행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목적지까지의 통행구간을 통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제1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통행시간 산출부가 상기 하나 이상의 선행차량의 통행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목적지까지의 통행구간을 통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제2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통행시간 산출부가 상기 제1 통행시간 및 상기 제2 통행시간에 대해 회귀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목적지까지의 통행구간을 통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제3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선행차량에는 무선 통신 모듈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선행차량에 장착된 무선 통신 모듈 간에 형성된 애드혹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선행차량에 대한 통행 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는 GPS 단말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GPS 단말을 통해 GPS 정보 형태의 상기 차량의 통행 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귀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산출된 제3 통행시간은 아래의 수학식과 같이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방법.

    Figure 112010023189907-pat00055


    여기서,
    Figure 112010023189907-pat00056
    는 상기 제3 통행시간,
    Figure 112010023189907-pat00057
    는 상기 제1 통행시간,
    Figure 112010023189907-pat00058
    는 상기 제2 통행시간,
    Figure 112010023189907-pat00059
    는 제1 회귀 계수,
    Figure 112010023189907-pat00060
    는 제2 회귀 계수,
    Figure 112010023189907-pat00061
    는 제3 회귀 계수를 각각 의미함.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귀 계수, 상기 제2 회귀 계수, 및 상기 제3 회귀 계수는 상기 통행구간을 통행한 선행차량 중에서 상기 선행차량의 통행이력 정보를 전송한 선행차량의 비율 및 상기 통행구간 내에서의 차량 사고의 발생 유무, 상기 통행구간 내에서 차량사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3 통행시간 산출 시 상기 차량 사고의 지속 여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방법.
  16. 삭제
  17. 삭제
KR1020100033366A 2010-04-12 2010-04-12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방법 KR101116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366A KR101116922B1 (ko) 2010-04-12 2010-04-12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366A KR101116922B1 (ko) 2010-04-12 2010-04-12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986A KR20110113986A (ko) 2011-10-19
KR101116922B1 true KR101116922B1 (ko) 2012-03-12

Family

ID=45029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366A KR101116922B1 (ko) 2010-04-12 2010-04-12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69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81511A (zh) * 2017-03-22 2017-05-31 北京工业大学 一种基于gps数据和交通事故类型的拥堵时间预测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46925B (zh) * 2013-07-31 2016-08-31 国际商业机器公司 预测行车时间的方法和系统
KR20220063035A (ko) 2020-11-09 2022-05-17 한국과학기술원 도로 분기점 방향별 통행시간 산출 기반의 교통정보 서비스 방법
KR102517212B1 (ko) * 2022-02-22 2023-03-31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셀 단위로 통행 속도를 추정하는 관제 서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0900A (en) 1974-10-04 1976-04-06 Nippon Signal Co Ltd Jidoshano tsukojikansuiteihoho
KR100502423B1 (ko) * 2000-11-10 2005-07-20 에스케이 주식회사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구간통행시간추정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0900A (en) 1974-10-04 1976-04-06 Nippon Signal Co Ltd Jidoshano tsukojikansuiteihoho
KR100502423B1 (ko) * 2000-11-10 2005-07-20 에스케이 주식회사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구간통행시간추정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81511A (zh) * 2017-03-22 2017-05-31 北京工业大学 一种基于gps数据和交通事故类型的拥堵时间预测方法
CN106781511B (zh) * 2017-03-22 2019-07-26 北京工业大学 一种基于gps数据和交通事故类型的拥堵时间预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986A (ko) 201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7993B2 (en) Electronic logging and track identification system for mobile telematics devices, and corresponding method thereof
Ortigosa et al. Study on the number and location of measurement points for an MFD perimeter control scheme: a case study of Zurich
JP5900454B2 (ja) 車両用車線案内システム及び車両用車線案内方法
CN103748621B (zh) 用于收集交通数据的方法和系统
CN110969857B (zh) 一种交通信息处理方法及装置
CN107000750A (zh) 用于车辆经济性改进的设备及方法
CN108592932A (zh) 一种无人车调度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04778834A (zh) 一种基于车辆gps数据的城市道路交通拥堵判别方法
JP2007241987A (ja) 交通情報生成方法及び交通情報生成装置
JP7413503B2 (ja) 車両の安全性能を評価すること
Kumar et al. A model based approach to predict stream travel time using public transit as probes
JP5907249B2 (ja) 不慮予測感度判定装置
KR20080029505A (ko) 도로 차선 종류를 고려한 구간 교통량 예측 시스템 및 그방법
CN101644584A (zh) 安全驾驶评价系统以及安全驾驶评价程序
KR101116922B1 (ko) 차량의 통행시간 산출 방법
CN113538952B (zh) 公交车间隔异常识别与预警系统、方法、设备及存储介质
JP2010086070A (ja) 道路交通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CN106530748A (zh) 车道拥堵指数预测系统和方法
WO2014116153A1 (en) Apparatus,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ffic flow in road network
KR101497988B1 (ko) 안전 운행 지수 산정 시스템에서 차량의 안전 운행 지수 산정 방법, 안전 운행 지수 산정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보험료 산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안전 운행 지수 산정 시스템
JP4865922B1 (ja) 走行情報演算装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走行情報演算方法
Pu et al. Evaluating the interference of bicycle traffic on vehicle operation on urban streets with bike lanes
JP2003016569A (ja) Od交通量決定装置及び方法
CN106157657A (zh) 一种移动用户的运动状态识别系统及其方法
JP2011221960A (ja) 起終点交通量算出装置、交通シミュレータ及び起終点交通量算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