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849B1 - 강선형 골 신장기 - Google Patents

강선형 골 신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849B1
KR101116849B1 KR1020100038131A KR20100038131A KR101116849B1 KR 101116849 B1 KR101116849 B1 KR 101116849B1 KR 1020100038131 A KR1020100038131 A KR 1020100038131A KR 20100038131 A KR20100038131 A KR 20100038131A KR 101116849 B1 KR101116849 B1 KR 101116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wire
fixed
fixing
kidn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8501A (ko
Inventor
김용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00038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849B1/ko
Publication of KR20110118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4Devices extending alongside the bones to be positioned
    • A61B17/6441Bilateral fixators, i.e. with both ends of pins or wires clam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4Devices extending alongside the bones to be positioned
    • A61B17/6416Devices extending alongside the bones to be positioned with non-continuous, e.g. hinged, pin-clamp connecting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4Devices extending alongside the bones to be positioned
    • A61B17/6433Devices extending alongside the bones to be positioned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body parts other than limbs, e.g. trunk or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61Apparatus for manipulating flexible wires or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97Guide wires or guide p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선형 골 신장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골 결손부에 골조직을 재생시켜 골 결손을 치료하기 위한 골 신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신장하고자 하는 신장 골에 대향되는 타측 골에 고정되는 본체와; 신장 골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고정부재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본체에 권취되어 고정부재 및 신장 골을 이동시키는 신장 강선을 포함한다. 그리고, 신장 골의 양측에는 가이드 강선이 평행하게 설치되어 신장 골 및 고정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세균 감염의 가능성을 줄어들고, 장기간 동안 환자가 골 신장기를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두개골과 같이 곡면형상의 골 결손부를 재생에 있어서 강선을 이용하여 곡선으로 가이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형상을 가진 골 결손부의 치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강선형 골 신장기{Bone distractor with wire}
본 발명은 골 신장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 결손부를 재건할 수 있는 골 신장술에서 피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곡면 형상을 가진 골 결손부에도 적용할 수 있는 강선형 골 신장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두개안면골 부의 골절과 골 결손을 포함하는 광범위 외상 후 발생되는 두개골 부의 광범위 결손, 안면골부의 광범위결손 등이 발생한 경우, 이를 치료하기 위해 자기뼈 이식술, 인공뼈 증대술 또는 조직유도 재생술 등 다양한 수술법이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자기뼈 이식술은 엉덩이 등의 뼈를 이용하기 위해 결손부와 떨어진 부위의 추가수술이 필요하고, 이 과정에서 추가적인 감염 및 골제공 부위의 추가적인 합병증이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다른 사람의 뼈를 이식하는 인공뼈 증대술은 제공되는 뼈와 시술을 받는 환자의 뼈 조직의 유전적 차이에 의한 부작용을 완전히 배제하기 어려우며, 성공적인 이식 후에도 골강도가 저하되며, 만성적인 감염이 추가로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최근 도입 되고 있는 골 신장술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치료기법으로, 골 절편을 점진적으로 이동시켜 골 조직이 부재한 공간에, 다시 말해 이동하는 골 절편과 고정된 골 절편 사이에서 신생 골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골 신장술은 일차로 이동해야 할 골 절편을 분리하고, 이후 분리된 골 절편들을 결합시키는 치유 가골(healing callus)에 견인력이 가해졌을 때 골조직의 신장이 시작되며, 상기 골조직에 인위적인 견인력을 가하는 동안에는 지속적으로 신생골 재생이 동반되는 골신장과 함께 신장된 부위에 새로운 골조직 생성이 진행되고, 동시에 골 신장 시 제공되는 점진적 견인력에 의해 발생되는 인장력의 영향으로 피부, 근막, 근육, 연골, 혈관 및 말초신경을 포함한 다양한 조직에서도 인장 방향에 대응하는 활발한 조직의 형성과 신장이 일어난다.
이와 같은 골 신장술은 신생골 형성을 유도하는 사지 부위에 주로 적용되어 사용되었으나 최근 들어 두개골, 안면골 부위까지 그 적용부위를 확장하고 있으며, 두개악안면(머리 및 턱-얼굴)의 경우 많은 임상가들에 의해 두개 안면부의 선천성, 발육성 기형 또는 기타 안면부위의 결손을 재건하기 위한 골 신장술이 적용되고 있다.
골 신장술에 사용되는 종래의 골 신장기는 일반적으로 절단된 골 양측에 골 신장기의 양단부를 고정시키고 골에 고정되어 있는 이동부재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이동부재는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된 이동레일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부재를 예를 들어 1일에 1mm 정도씩 이동시키면 골 사이에 신생골이 천천히 형성되면서 새로운 골조직의 생성이 진행된다.
그러나, 종래의 골 신장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종래의 골 신장기는 골에 고정시킬 때 고정핀 등이 피부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이동부재의 슬라이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동부재의 슬라이딩 시에 피부가 손상될 우려가 있고, 이에 따른 반흔 발생, 감염 발생 등의 위험도가 증가한다.
또한, 두개골, 두개안면부, 하악골 등에서 직선면뿐만 아니라 곡면형상의 골에서 골 결손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직선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한 종래의 골 신장기에서는 해부학적 3차원 형상에 맞는 골조직의 재건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골 신장 시에 피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세균 감염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강선형 골 신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곡면을 따라 손상된 골 결손부의 골 조직을 재생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강선형 골 신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골 결손부에 골조직을 재생시켜 골 결손을 치료하기 위한 골 신장기에 있어서, 신장하고자 하는 신장 골에 대향되는 타측 골에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신장 골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에 권취되어 상기 고정부재 및 신장 골을 이동시키는 신장 강선; 및 상기 신장 골의 양측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신장 골 및 고정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강선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신장 골에 대향되는 타측 골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신장 강선이 외주면에 권취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권취부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신장 강선이 외주면에 권취되는 권취홈이 형성되고, 상기 권취홈에는 상기 신장 강선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권취부의 상단에는 렌치가 삽입되는 다각형상의 렌치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권취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돌기의 후단은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 및 고정홈은 상기 권취부의 회전중심에 대해 일정한 중심각으로 다수개가 배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강선이 관통하기 위한 강선공이 양측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신장 강선의 일단이 걸어지기 위한 걸이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골 결손부에 골조직을 재생시켜 골 결손을 치료하기 위한 골 신장기에 있어서, 신장하고자 하는 신장 골에 대향되는 타측 골에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신장 골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에 권취되어 상기 고정부재 및 신장 골을 이동시키는 신장 강선과; 상기 신장 골의 양측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신장 골 및 고정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강선; 및 상기 골 결손부의 양측에 위치한 골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강선이 전체적으로 곡선을 형성하도록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골 결손부에 골조직을 재생시켜 골 결손을 치료하기 위한 골 신장기에 있어서, 신장하고자 하는 신장 골에 대향되는 타측 골에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신장 골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에 권취되어 상기 고정부재 및 신장 골을 이동시키는 신장 강선; 및 상기 골 결손부의 양측에 위치한 골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고, 상기 신장 강선이 전체적으로 곡선을 형성하도록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골 신장 과정에서 권취부만 피부의 외부로 노출이 되기 때문에 세균 감염의 가능성을 줄어들고, 장기간 동안 환자가 골 신장기를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술자는 노출된 권취부를 렌치 등으로 조작하는 것이 더욱 간편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두개골과 같이 곡면형상의 골 결손부를 재생에 있어서 강선을 이용하여 곡선으로 가이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형상을 가진 골 결손부의 치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권취부가 일정 각도마다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시술자가 골 신장 거리를 일정하게 조절하면서 치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선형 골 신장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강선형 골 신장기를 구성하는 본체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강선형 골 신장기를 구성하는 신장부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선형 골 신장기의 일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강선형 골 신장기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선형 골 신장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강선형 골 신장기를 구성하는 본체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강선형 골 신장기를 구성하는 신장부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강선형 골 신장기는 크게 신장하고자 하는 신장 골(40)에 대향되는 타측 골에 설치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이격된 위치의 상기 신장 골(4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3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1)에 권취되어 상기 고정부재(30) 및 신장 골(40)을 신장시키는 신장 강선(3)과; 상기 신장 골(40)의 양측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신장 골(4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강선(5)을 더 포함한다.
먼저, 상기 본체(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장 강선(3)이 권취되는 권취부(10)와; 상기 권취부(1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신장 골(40)에 대향되는 타측 골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부(20)를 포함한다.
상기 권취부(10)는 대략 소정의 길이를 가진 원통 형상을 가지고,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신장 강선(3)이 권취될 수 있는 권취홈(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권취홈(12)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13)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3)은 상기 신장 강선(3)의 단부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신장 강선(3)이 관통공(13)을 관통한 상태에서 단부는 매듭이 지어지거나 별도의 물체가 연결되어 관통공(13)을 통해 신장 강선(3)이 다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 권취홈(12)에 관통공(13)이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신장 강선(3)의 단부가 권취홈(12)에 고정되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이든 채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권취부(10)의 하부에는 고정홈(14)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14)은 후술할 고정부(20)의 고정돌기(26)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홈(14)은 상기 권취부(10)의 하부에 외주면에 반구 형상으로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일정한 중심각을 가지고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권취부(10)를 고정부(20)에 대해 회전시키면 일정한 중심각 간격으로 권취부(10)가 고정부(20)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14)과 고정돌기(26)의 역할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고정돌기(26)의 설명 시에 보다 자세히 하도록 한다.
상기 권취부(10)의 상단에는 렌치홈(16)이 형성된다. 상기 렌치홈(16)은 상기 권취부(10)를 회전시키기 위해 렌치(미도시)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렌치홈(16)은 육각형상과 같은 다각형상을 가지고, 시술자는 렌치를 렌치홈(16)에 삽입한 후에 일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권취홈(12)에 신장 강선(3)이 권취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렌치홈(16)은 시술자의 조작이 편리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한 것으로서, 렌치홈(16)을 형성하지 않고 시술자가 펜치 등을 이용하여 직접 권취부(10)를 회전시키는 조작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부(20)는 신장하고자 하는 신장 골(40)의 대향되는 타측 골에 고정되어 상기 권취부(10)에 신장 강선(3)이 안정적으로 권취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부(20)는 대략 원판형상이고, 상기 고정부(20)의 중앙에 상기 권취부(1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20)에는 골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공(22)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22)은 상기 고정부(20)에 일정한 중심각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22)에는 스크류 등이 체결되어 고정부(20)를 골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부(20)에는 수평방향으로 안착홈(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홈(24)에는 고정돌기(26) 및 탄성부재(28)가 안착된다. 상기 탄성부재(28)는 고정돌기(26)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28)는 상기 고정돌기(26)가 상기 권취부(10) 쪽으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한다. 상기 탄성부재(28)는 일반적으로 코일스프링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26)는 상기 고정홈(14)과 함께 상기 권취부(1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돌기(26)는 상기 고정부(20)에 일정한 중심각을 가지고 다수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26)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권취부(10)가 일정한 각도로 회전되면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돌기(26) 및 고정홈(14)이 회전중심에 대해 90°간격으로 4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권취부(10)가 90°만큼 회전되면 상기 신장 강선(3)은 1mm만큼 신장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회전각도에 따른 신장 강선(3)의 신장 길이는 권취부(10)의 직경 설계 등을 통해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돌기(26)의 선단을 반구형상을 가지고, 상기 고정홈(14) 또한 이에 대응되도록 반구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권취부(10)의 회전 시에 상기 고정돌기(26)가 고정홈(14)에 쉽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상기 권취부(1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신장 강선(3)의 신장 길이가 조절되므로, 장기간에 걸쳐 골조직을 생성하여야 하는 골 신장술에서 신장 강선(3)의 신장 정도를 일정하고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신장 골(40)에는 고정부재(30)가 스크류(S)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30)는 신장 골(40)에 고정되어 상기 신장 강선(3)에 의해 함께 이동된다. 상기 고정부재(30)의 구성은 도 3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물론, 상기 고정부재(30)는 본 실시예에서 일 태양으로 제시하는 것이고, 반드시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30)에는 상기 스크류(S)가 체결되는 체결공(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30)의 전후방(신장 골(40)의 이동방향)으로는 강선공(34)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강선공(34)은 상기 고정부재(30)의 양측에 해당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 강선(5)이 관통하게 된다. 만약에 골 신장이 상기 신장 강선(3)에 의해서만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신장 골(40)의 신장 과정에서 신장 골(40)이 좌우로 비틀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부재(30)의 양측에 가이드 강선(5)이 관통하도록 구성하여 신장 골(40)이 좌우로 비틀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가이드 강선(5)이 반드시 상기 강선공(34)을 관통하도록 구성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고정부재(30)의 표면에 강선홈(미도시)을 형성하고 가이드 강선(5)이 강선홈에 안착된 상태로 가이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 강선(5)의 일단은 상기 강선공(34)을 관통한 후에 신장 골(40)에 인접한 골에 스크류(S)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1)가 고정된 골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30)의 상면에는 상기 신장 강선(3)의 일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걸이부(36)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부(36)는 상기 신장 강선(3)의 일단을 고정시켜 상기 신장 강선(3)이 본체(1)와 고정부재(30) 사이에서 팽팽하게 유지되게 한다. 물론, 본 도면에 도시된 걸이부(36)는 예시에 불과하고 신장 강선(3)의 일단이 고정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신장 골(40)은 외부 충격에 의해 두개골 등에 골 결손부(42)가 발생하면 골 결손부(42)를 따라 신장되면서 골 재생부(44)에 골 조직이 재생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도 1에서 실제로는 골 재생부(44)가 골 조직으로 재생되어 있어야 하는데, 설명의 편의상 공간으로 도시하였다.
다음으로,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선형 골 신장기의 일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예를 들어 두개골과 같이 곡면으로 형성된 골에 골 결손부(42)가 발생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곡면으로 형성된 골 결손부(42)를 따라 골 조직을 재생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골 결손부(42)의 양측에 위치한 골(B)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가이드부재(50)를 결합하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50)는 상기 골 결손부(42)의 양측에 형성된 골(B)에 고정되어 신장 골(40)의 신장을 가이드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50)는 직선으로 팽팽하게 유지된 가이드 강선(5)의 일정한 간격마다 고정되어 가이드 강선(5)의 경로가 전체적으로 곡선을 형성하도록 한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50)의 사이마다 가이드 강선(5)이 팽팽하게 직선으로 유지되더라고 상기 가이드 강선(5)은 전체적으로 곡선을 따라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상기 가이드부재(50)에 형성된 가이드공(52)을 가이드 강선(5)이 관통하도록 하는 구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가이드부재(50)의 선단에 가이드 강선(5)을 잡아주는 집게부(미도시)와 같은 구성을 통해 곡면을 따라 골 신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신장 골(40)의 신장이 가이드 강선(5)에 의해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가이드부재(50)가 골 결손부(42)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상기 신장 강선(3)이 상기 가이드부재(50)에 의해 직접 가이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신장 강선(3) 및 가이드 강선(5)은 장력에 의해서 절단되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강성을 가지고 인체에 무해한 것이라면 어떠한 재질 및 형태라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강철, 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강선(3,5)은 강철사, 티타늄사, 티타늄 합금사 등의 금속사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각각의 사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포갠 와이어(wire) 형태, 편조선(braided wire) 형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한 본 발명에 의한 강선형 골 신장기에서 실질적으로 피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상기 본체(1)의 권취부(10)이다. 즉, 권취부(10)의 일부만 피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시술자는 렌치홈(16)에 렌치를 삽입하여 조작할 수 있고, 고정부(20), 고정부재(30) 및 강선(3,5) 등은 모두 피부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시술자가 권취부(10)를 조작하는 것이 쉽고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작아 세균 간염의 위험도 적으며, 장기간 동안 골 신장기를 착용하더라도 환자가 불편하지 않고 강성(3,5) 등은 부피가 작아 골 신장과정에서 피부가 손상될 우려도 적은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강선형 골 신장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두개골 등에 외부 충격에 의해 골 결손이 발생하게 되면 본 발명에 의한 골 신장기를 통해 골조직을 재생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가이드 강선(5)을 각각 골(B)에 고정시켜야 한다. 이때, 가이드 강선(5)을 고정시키기에 앞서 상기 가이드 강선(5)이 고정부재(30)의 강선공(34)을 관통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강선(5)의 양단부는 각각 골(B)(도 4 참조)에 스크류(S)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 강선(5)은 골 결손부(42)의 양측에 평행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 강선(5)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는 고정부(20)는 신장하고자 하는 신장 골(40)에 대향되는 타측 골(B)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20)는 스크류가 체결공(22)을 관통하여 골(B)에 체결됨으로써 고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30)는 상기 신장 골(40)에 스크류(S)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신장 강선(3)의 일단은 관통공(13)을 관통하여 권취홈(12)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부재(30)의 걸이부(36)에 걸어진다. 이 상태에서 상기 권취부(10)를 회전시켜 신장 강선(3)이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권취부(10)의 회전은 렌치홈(16)에 렌치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되면 본 발명에 의한 골 신장기의 설치가 완료된다. 골 신장기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권취부(10)만 피부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고 나머지 구성들은 모두 피부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이다. 따라서, 외부와의 접촉이 최소화되므로 세균 감염의 위험이 적고, 골 신장이 부피가 작은 강선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신장 과정에서 피부에 손상을 가하지 않게 된다.
상기 골 신장기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권취부(10)는 일정 각도만큼 회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부(10)는 고정돌기(26)가 고정홈(14)에 일정 각도마다 삽입되는 구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돌기(26) 및 고정홈(14)이 90°의 중심각마다 형성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시술자는 렌치로 상기 권취부(10)를 90°만큼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고정돌기(26)가 고정홈(14)에 삽입되면서 권취부(10)가 고정되고 상기 권취부(10)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신장 강선(3)은 일정 거리만큼 신장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신장 강선(3)은 권취부(10)의 회전마다 1mm씩 신장될 수 있다.
시술자가 상기 권취부(10)를 90°만큼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신장 골(40)은 일정 기간 동안, 예를 들어 4 내지 10일 동안 방치하여 골 재생부(44)에 골조직을 재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일정 기간이 지나면 시술자는 다시 권취부(10)를 90°만큼 회전시키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신장 골(40)이 신장 강선(3)에 의해 신장되는 동안에 골 재생부(44)에 골조직이 재생되면서 전체 골 결손부(42)의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4와 같이 골 결손부(42)를 따라 다수개의 가이드부재(50)가 설치되어 있어 신장 강선(3)은 가이드부재(50)에 의해 곡면을 따라 가이드되므로 곡면형의 골 결손부(42)의 골조직 재생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 : 본체 3 : 신장 강선
5 : 가이드 강선 10 : 권취부
12 : 권취홈 13 : 관통공
14 : 고정홈 16 : 렌치홈
20 : 고정부 22 : 체결공
24 : 안착홈 26 : 고정돌기
28 : 탄성부재 30 : 고정부재
32 : 체결공 34 : 강선공
36 : 걸이부 40 : 신장 골
42 : 골 결손부 44 : 골 재생부
50 : 가이드부재 52 : 가이드공

Claims (21)

  1. 골 결손부에 골조직을 재생시켜 골 결손을 치료하기 위한 골 신장기에 있어서,
    신장하고자 하는 신장 골에 대향되는 타측 골에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신장 골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에 권취되어 상기 고정부재 및 신장 골을 이동시키는 신장 강선; 및
    상기 신장 골의 양측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신장 골 및 고정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강선을 포함하는 강선형 골 신장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신장 골에 대향되는 타측 골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신장 강선이 외주면에 권취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형 골 신장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신장 강선이 외주면에 권취되는 권취홈이 형성되고, 상기 권취홈에는 상기 신장 강선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형 골 신장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의 상단에는 렌치가 삽입되는 다각형상의 렌치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형 골 신장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권취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돌기의 후단은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형 골 신장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및 고정홈은 상기 권취부의 회전중심에 대해 일정한 중심각으로 다수개가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형 골 신장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강선이 관통하기 위한 강선공이 양측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형 골 신장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신장 강선의 일단이 걸어지기 위한 걸이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형 골 신장기.
  9. 골 결손부에 골조직을 재생시켜 골 결손을 치료하기 위한 골 신장기에 있어서,
    신장하고자 하는 신장 골에 대향되는 타측 골에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신장 골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에 권취되어 상기 고정부재 및 신장 골을 이동시키는 신장 강선과;
    상기 신장 골의 양측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신장 골 및 고정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강선; 및
    상기 골 결손부의 양측에 위치한 골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강선이 전체적으로 곡선을 형성하도록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강선형 골 신장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강선이 관통하기 위한 가이드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형 골 신장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신장 골에 대향되는 타측 골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신장 강선이 외주면에 권취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형 골 신장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신장 강선이 외주면에 권취되는 권취홈이 형성되고, 상기 권취홈에는 상기 신장 강선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형 골 신장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의 상단에는 렌치가 삽입되는 다각형상의 렌치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형 골 신장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권취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돌기의 후단은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형 골 신장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및 고정홈은 상기 권취부의 회전중심에 대해 일정한 중심각으로 다수개가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형 골 신장기.
  16. 제 9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강선이 관통하기 위한 강선공이 양측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형 골 신장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신장 강선의 일단이 걸어지기 위한 걸이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형 골 신장기.
  18. 골 결손부에 골조직을 재생시켜 골 결손을 치료하기 위한 골 신장기에 있어서,
    신장하고자 하는 신장 골에 대향되는 타측 골에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신장 골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에 권취되어 상기 고정부재 및 신장 골을 이동시키는 신장 강선; 및
    상기 골 결손부의 양측에 위치한 골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고, 상기 신장 강선이 전체적으로 곡선을 형성하도록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강선형 골 신장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강선이 관통하기 위한 가이드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형 골 신장기.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강선이 관통하기 위한 강선공이 양측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형 골 신장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신장 강선의 일단이 걸어지기 위한 걸이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형 골 신장기.
KR1020100038131A 2010-04-23 2010-04-23 강선형 골 신장기 KR101116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131A KR101116849B1 (ko) 2010-04-23 2010-04-23 강선형 골 신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131A KR101116849B1 (ko) 2010-04-23 2010-04-23 강선형 골 신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501A KR20110118501A (ko) 2011-10-31
KR101116849B1 true KR101116849B1 (ko) 2012-03-06

Family

ID=45032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131A KR101116849B1 (ko) 2010-04-23 2010-04-23 강선형 골 신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68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9423B (zh) * 2018-02-06 2019-09-13 重庆医科大学附属永川医院 一种骨骼内固定牵引装置
CN108742816B (zh) * 2018-06-22 2021-02-26 吉林大学 一种体内髓外骨搬移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470B1 (ko) 2005-07-07 2007-04-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선 유도형 골 신장기
US20070123857A1 (en) 2005-10-27 2007-05-31 Deffenbaugh Daren L Orthopaedic joint,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470B1 (ko) 2005-07-07 2007-04-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선 유도형 골 신장기
US20070123857A1 (en) 2005-10-27 2007-05-31 Deffenbaugh Daren L Orthopaedic joint,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501A (ko) 2011-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86275B2 (ja) 脊柱変形を治療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20100123709A (ko) 경피적으로 삽입하기 위한 극돌기간 척추 연신기
CN106725781B (zh) 一种脊椎骨固定器及其使用方法
AU2005228482B2 (en) External fixator for osteosynthesis or bone gap manipulation
KR101116849B1 (ko) 강선형 골 신장기
RU2596089C1 (ru) Способ миниинвазивного остеосинтеза флотирующих переломов ребер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126260U1 (ru) Пластина для остеосинтеза при множественных флотирующих переломах ребер
KR100710470B1 (ko) 강선 유도형 골 신장기
RU2006127739A (ru) Способ устранения морщин и лифтинг кожи лица и/или тела пациента и игла для него
KR101209296B1 (ko) 골 신장기
KR100710468B1 (ko) 곡선 이동형 골 신장기
KR101209294B1 (ko) 곡선 운동이 가능한 골 신장기
RU2435531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обширных раневых дефектов в области сосудистого пучка на конечностях
JP2022514024A (ja) 脊椎に結合される線材のための技術
RU2249439C2 (ru) Компрессионно-дистракционный аппарат
RU2316282C1 (ru) Рассасывающийся интрамедуллярный стержень для остеосинтеза длинных трубчатых костей
RU2361533C1 (ru) Способ фиксации отломка кости
WO2009145116A1 (ja) 神経伸長器具
RU2221513C2 (ru) Компрессионно-дистракционный аппарат для замещения дефектов нижней челюсти и мягких тканей
US11806050B2 (en) Tension isolating adjustable adapter for external fixation and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 thereof
KR102108106B1 (ko) 골 신장기
RU2221512C2 (ru) Способ замещения дефектов нижней челюсти методом дистракционного остеогенеза
RU2228723C1 (ru) Способ фиксации метаэпифизарных переломов костей
CN112842494A (zh) 一种腓骨横向骨搬运外固定架装置及其使用方法
RU53136U1 (ru) Шплинтовой ламинарный фиксатор-контрактор для стабилизации шейных позвонк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