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0468B1 - 곡선 이동형 골 신장기 - Google Patents

곡선 이동형 골 신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0468B1
KR100710468B1 KR1020050061296A KR20050061296A KR100710468B1 KR 100710468 B1 KR100710468 B1 KR 100710468B1 KR 1020050061296 A KR1020050061296 A KR 1020050061296A KR 20050061296 A KR20050061296 A KR 20050061296A KR 100710468 B1 KR100710468 B1 KR 100710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guide groove
moving member
tooth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1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6192A (ko
Inventor
김용욱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061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468B1/ko
Publication of KR20070006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6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4Devices extending alongside the bones to be positioned
    • A61B17/6433Devices extending alongside the bones to be positioned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body parts other than limbs, e.g. trunk or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6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 A61B17/663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for jaw bones, e.g. subcutaneous distractors with external acc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장하고자 하는 골의 곡면에 대응되는 곡선을 갖도록 길이방향으로 확장되고 그 내부에 곡면을 따라 이동부재(4)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안내홈(6)이 형성된 본체(2) 및 상기 본체(2)의 안내홈(6)에 삽입되어 연결설치되는 동시에 그 일측이 신장하고자 하는 골에 연결설치되어 고정되는 이동부재(4)를 포함하는 골 신장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형태의 굴곡으로 이루어진 골 결손부에 골 신장기를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골 신장기, 곡면부, 이동부재, 결손부

Description

곡선 이동형 골 신장기{Curvillinear Bone Distrac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 신장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 신장기 본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 신장기 이동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 신장기의 좌/우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 신장기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본체 4 : 이동부재
6 : 안내홈 8 : 제 1 톱니
10 : 수용홈 12 : 지지수단
14 : 안내돌기 16 : 체결홈
18 : 제 2 톱니 20 : 이동부
22 : 체결부 24 : 홈
본 발명은 골(骨)조직 결손부를 재생시키기 위한 골 신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골조직 재생이 필요한 부위의 서로 다른 곡면적 구조에 대응되는 곡선을 갖도록 길이 방향으로 확장된 장치를 구비시킨 후 상기 장치를 골조직 결손부에 연결설치하여 일정기간 동안 골신장과 골강화 시기를 통해 결손부의 곡면을 따라 골조직을 재생시키는 골 신장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턱-얼굴 기형 즉 비정상적인 악골(턱뼈) 및 얼굴뼈, 치아의 성장/발육에 의한 구강기능의 장애 및 얼굴의 심미성에 문제가 야기된 질환이나 교통사고 등에 의하여 안면부 등의 골조직이 결손될 경우, 이를 치료하기 위해 자기뼈 이식술, 인공뼈 증대술 또는 조직유도 재생술 등 다양한 수술법이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자기뼈 이식술은 엉덩이 등의 뼈를 이용하기 위해 추가적인 수술을 해야 하는 단점과, 이 과정에서 감염이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다른 사람의 뼈나 송아지 등 면역성 제거 처리된 동물뼈를 이식하는 인공뼈 증대술 역시 제공되는 뼈와 시술을 받는 환자의 뼈 조직의 유전적 차이에 의한 부작용을 완전히 배제하기 어려우며, 성공적인 이식 후에도 골강도가 저하되며, 만성적인 감염의 추가적 발생 가능성, 고가의 비용소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도입 되고 있는 골 신장술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치료기법으로, 골 절편을 점진적으로 이동시켜 골 조직이 부재한 공간에, 다시 말해 이 동하는 골 절편과 고정된 골 절편 사이에서 신생 골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골 신장술은 일차로 이동해야 할 골 절편을 분리하고, 이후 분리된 골 절편들을 결합시키는 치유 가골(healing callus)에 견인력이 가해졌을 때 골조직의 신장이 시작되며, 상기 골조직에 인위적인 견인력을 가하는 동안에는 지속적으로 신생골 재생이 동반되는 골신장이 진행되고, 점진적 견인력에 의해 발생된 인장력의 영향으로 피부, 근막, 근육, 연골, 혈관 및 말초신경을 포함한 다양한 조직에서도 인장 방향에 대응하는 활발한 조직의 형성과 신장이 일어난다.
이와 같은 골 신장술은 신생골 형성을 유도하는 사지 부위에 주로 적용되어 사용되었으나 최근 들어 두개골, 안면골 부위까지 그 적용부위를 확장하고 있으며, 두개악안면(머리 및 턱-얼굴)의 경우 1992년 맥카시(McCarthy)가 인간의 구강외 장치를 이용하여 하악골(아래턱)을 처음으로 신장한 이래로 많은 임상가들에 의해 두개 안면부의 선천성, 발육성 기형 또는 기타 안면부위의 결손을 재건하기 위한 골 신장술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두개골, 두개 안면부, 하악골 등과 같이 서로 다른 곡면적인 구조를 갖는 부위에 선천성, 발육성 기형 및 결손이 발생할 경우, 결손된 곡면의 뼈에 강한 인장력을 제공하기 위해 종래의 직선으로 구성된 골 신장기를 적용하는 것은 기하학적으로 곤란한 문제점 등이 있다.
특히, 전술한 치료방법은 단순 골조직 결손부 및 턱-얼굴 미 발육 기형의 치료를 가능하게 하였으나, 외상 또는 악성종양 치료 후 발생할 수 있는 광범위하게 결손된 뼈의 경우 복잡한 곡면구조를 갖는 상기 결손된 뼈를 재생할 수 없어 인체 에 적합한 금속 등을 결손부에 설치하는 등의 제한적인 치료방법이 수행 될 수밖에 없고, 안면부 또는 두개골과 같은 만곡성 구조를 갖고 있는 골조직의 재생이 필요한 경우와 부위가 서로 다른 곡면적 구조에 대응되는 곡선 이동면을 갖는 경우에는 기존의 골 신장기로는 골조직을 재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곡면적 구조를 갖는 골 부위에 결손된 골을 재건할 수 있도록 곡면을 갖는 골 신장기를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신장하고자 하는 골의 곡면에 대응되는 곡선을 갖도록 길이 방향으로 확장되고, 그 내부에 곡면을 따라 이동부재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안내홈에 삽입되어 연결설치되는 동시에 그 일측이 신장하고자 하는 골에 연결설치되어 고정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골 신장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골 신장기는 상기 본체에 형성된 안내홈의 일측에 다수개의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에 체결되는 이동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톱니에 맞물리는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본체에 형성된 안내홈은 필요에 따라 그 일측 종단에 이동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내홈을 가진 본체의 서로 다른 곡면의 만곡도에 따라 유연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제작 시 필요부의 만곡도에 따라 제작될 수 있어 서로 다른 만곡 정도에 대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하기의 설명은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 신장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 신장기 본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 신장기 이동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 신장기의 좌/우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 신장기의 평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 신장기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신장하고자 하는 골의 곡면에 대응되는 곡선을 갖도록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본체(2) 및 상기 본체(2)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본체(2)의 곡면을 따라 이동하는 동시에 신장하고자 하는 골의 일측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이동부재(4)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2)는 신장하고자 하는 골의 곡면에 대응되는 곡선을 갖도 록 길이방향으로 확장되며, 그 내부에 본체(2)를 따라 이동하며 신장하고자 하는 골을 신장시킬 수 있는 수단이 장착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 및 구조로 이루어져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눈금자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판상을 골의 곡면에 대응되도록 휜 형태를 갖는 것이 좋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그 내부에 곡면을 따라 신장시킬 수 있는 수단, 예를 들면 이동부재(4)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안내홈(6)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내홈(6)은 그 일측,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안내홈(6)의 일측에 다수개의 톱니(이하 "제 1 톱니(8)"로 명칭하기로 함)가 형성될 수 있는 바, 상기 제 1 톱니(8)는 신장하고자 하는 골이 연결설치되어 고정된 이동부재(4)가 안내홈(6)에 안착되어 체결되는 경우, 상기 이동부재(4)가 안내홈(6)의 제 1 톱니(8)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안내홈(6)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 높이는 안내홈(6)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이동부재(4)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4)가 안내홈(6)에 안착되어 연결설치될 경우 상기 안내홈(6)으로부터 이동부재(4)가 탈착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내홈(6)의 일측 종단에는 안내홈(6)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 높이가 이동부재(4)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 수용홈(10)이 형성되는 바, 이를 통하여 상기 이동부재(4)는 이동부재(4)의 크기보다 작은 수직 높이를 갖는 본체(2)의 안내홈(6)으로 안착되어 연결설치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재(4)는 상기 본체(2)의 안내홈(6)에 삽입되어 연결설치되는 동시에 그 일측이 신장하고자 하는 골에 연결설치되어 고정되는 것으로서, 본체(2)의 안내홈(6)을 따라 이동하며 연결설치되고 고정된 골을 신장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안내홈(6)의 일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 1 톱니(8)에 맞물리는 제 2 톱니(18)가 형성된 것이 좋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재(4)는 특정 양태로서, 본체(2)의 안내홈(6)에 형성된 제 1 톱니(8)를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제 1 톱니(8)에 맞물리는 제 2 톱니(18), 상기 제 1 톱니(8)를 따라 이동된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이동부재(4)의 위치를 고정하는 지지수단(12) 및 신장하고자 하는 골을 이동부재(4)에 연결시켜 고정하는 고정수단(미도시)이 삽입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는 체결홈(1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4)는 보다 특정적으로, 직사각형을 갖는 판상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그 일측을 원형으로 마무리하고, 상기 원형으로 마무리된 판상부분을 기준으로 일측면에 안내홈(6)의 제 1 톱니(8)에 맞물리는 제 2 톱니(18)가 형성된 톱니바퀴를 설치한 후 상기 톱니바퀴의 외벽면에 상기 톱니바퀴의 크기를 갖고 그 일측이 이동부재(4)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반대로 길게 연장된 판상의 지지수단(12)이 설치되며, 제 2 톱니(18)가 형성된 톱니바퀴가 연결설치된 판상부에 대향되는 타측 종단으로 나사 등의 고정수단이 관통하여 신장하고자 하는 골에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홈(1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수단(12)은 안내홈(6)의 제 1 톱니(8)의 돌출부에 안착되 어 이동부재(4)가 이동된 후 뒤로 후퇴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재(4)는 그 일측에 본체(2)의 안내홈(6)을 관통하는 안내돌기(14)가 형성될 수 있는 바, 상기 안내돌기(14)는 본체(2)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부재(4)의 이동시 신장하고자 하는 골과 연결설치되어 고정되는 이동부재(4)의 판상부분이 안내홈(6)의 경로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재(4)는 필요에 따라, 제 2 톱니(18)가 형성된 톱니바퀴의 내부 중심에 육각렌치 등의 수단을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이동부재(4)를 인위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홈(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동부재(4)의 제 2 톱니(18)가 형성된 톱니바퀴 및 지지수단(12)이 형성된 부분을 임의로 이동부(20)라하고, 상기 이동부(20)에 대향되는 타측, 즉 체결홈(16)이 형성되어 있는 판상부분을 체결부(22)라 지칭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재(4)를 구성하는 체결부(22) 및 상기 체결부(22)에 구비된 안내돌기(14)는 골의 곡면에 대응되는 곡선을 갖는 본체(2)의 안내홈(6)을 따라 이동부재가(4)가 이동할 경우 이동에 따라 곡면의 기울기가 증가하여도 상기 체결부(22)에 구비된 안내돌기(14)에 의해 체결부(22)가 이동부재(4)의 이동경로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체결부(22)는 본체의 최대 곡면기울기에 대응되는 곡면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동부재(4)가 본체(2)의 곡선 중 아치의 첨부에 위치하더라도 상기 이동부재(4)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기울기가 작은 부분에서도 상기 이동부재(4)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골 신장기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골조직 재생이 필요한 부위의 서로 다른 곡면적 구조의 곡면에 대응되도록 본체(2)를 형성시킨 후 상기 본체(2)의 안내홈(6)에 이동부재(4)를 연결설치하여 안착시킨다.
그 다음, 상기 본체(2)를 신장하고자 하는 골에 위치하는 결손부에 대응하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신장하고자 하는 골의 일측에 이동부재(4)의 체결부(22)에 구비된 체결홈(16)을 관통하도록 나사 등의 고정수단을 삽입하여 체결부(22)와 신장하고자 하는 골을 서로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그 다음, 상기 이동부재(4)의 일측에 구비된 홈(24)을 회전시켜 안내홈(6)의 제 1 톱니(8)를 따라 안내홈(6)의 제 2 톱니(18)가 맞물리며 회전하여 이동부(20)가 전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4)의 이동부(20)가 전진하며 이동부(20)에 연결설치된 체결부(22)가 함께 이동하여, 상기 체결부(22)에 체결된 신장하고자 하는 골에 인장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4)를 구성하는 체결부(22) 및 안내돌기(14)는 상기 이 동부재(4)의 이동을 따라 본체(2)의 안내홈(6)과 이웃하게 이동한다.
그 다음, 상기 이동부(20)의 전진에 따라 이동된 이동부재(4)가 후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이동부(20)의 일측에 구비된 지지수단(12)을 제 1 톱니(8)에 안착시켜 고정한다.
그 다음, 전술한 상태를 일정시간 동안, 예를 들면 4 내지 10일 동안 방치하여 골을 성숙 및 유합한 뒤 상기 이동부재(4)의 이동부(20)를 조금씩 앞으로 전진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골을 연속적으로 신장시키게 된다. 골의 연속적인 신장이 끝난 후에는 6 내지 8주간의 골 강화기간을 거쳐 신생된 골조직과 기존 골조직 간의 유합이 확인된 후 역순으로 본 신장기는 제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 신장기는 다양한 형태의 굴곡으로 이루어진 골 결손부, 특히 상악골 및 하악골과 같은 부위의 결손부에 골 신장기를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신장하고자 하는 골의 곡면에 대응되는 곡선을 갖도록 길이방향으로 확장되고 그 내부에 곡면을 따라 이동부재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 일측 종단에 이동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이동부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수용홈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안내홈에 삽입되어 연결설치되는 동시에 그 일측이 신장하고자 하는 골에 연결설치되어 고정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골 신장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안내홈의 일측면에 제 1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에 체결되는 이동부재의 일측에 상기 제 1 톱니에 맞물리는 제 2 톱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신장기.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가 안내홈에 형성된 제 1 톱니를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제 1 톱니에 맞물리는 제 2 톱니, 상기 제 1 톱니를 따라 이동된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이동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지지수단 및 신장하고자 하는 골을 이동부재에 연결시 켜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는 체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신장기.
  5.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에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결설치되어 이동부재의 이동시 신장하고자 하는 골과 연결설치되어 고정되는 이동부재가 안내홈의 경로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안내돌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신장기.
KR1020050061296A 2005-07-07 2005-07-07 곡선 이동형 골 신장기 KR100710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296A KR100710468B1 (ko) 2005-07-07 2005-07-07 곡선 이동형 골 신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296A KR100710468B1 (ko) 2005-07-07 2005-07-07 곡선 이동형 골 신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6192A KR20070006192A (ko) 2007-01-11
KR100710468B1 true KR100710468B1 (ko) 2007-04-24

Family

ID=37871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1296A KR100710468B1 (ko) 2005-07-07 2005-07-07 곡선 이동형 골 신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04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431B1 (ko) * 2007-01-19 2007-04-18 태형전기(주) 지하에 설치되는 전선의 고정식 송배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0263A (en) 1996-06-17 1997-12-23 Schendel; Stephen A. Bone distraction apparatus
US6139316A (en) * 1999-01-26 2000-10-31 Sachdeva; Rohit C. L. Device for bone distraction and tooth movement
US20050043731A1 (en) 2001-09-14 2005-02-24 Daniel Labbe External bone distra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0263A (en) 1996-06-17 1997-12-23 Schendel; Stephen A. Bone distraction apparatus
US6139316A (en) * 1999-01-26 2000-10-31 Sachdeva; Rohit C. L. Device for bone distraction and tooth movement
US20050043731A1 (en) 2001-09-14 2005-02-24 Daniel Labbe External bone distr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6192A (ko) 200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2304A (en) Telescopic bone plate for use in bone lengthening by distraction osteogenesis
MXPA04010743A (es) Distractor maxilar compacto.
US20130310880A1 (en) Distractor device including multiple diameter internal post and related methods
CN201171708Y (zh) 下颌骨内置式弧形牵引式牵张成骨器
KR100710468B1 (ko) 곡선 이동형 골 신장기
US9867638B2 (en) Transport distraction apparatus
Nanjappa et al. “Transport distraction osteogenesis for reconstruction of mandibular defects”: our experience
RU2597281C1 (ru) Дистракционный аппарат
RU2430698C2 (ru) Способ внеочагового-стержневого остеосинтеза при переломах верхней челюсти по типу ле-фор - ii средний и комплект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Feng et al. Reconstruction of partial maxillary defect with intraoral distraction osteogenesis assisted by miniscrew implant anchorages
KR101116849B1 (ko) 강선형 골 신장기
KR100710470B1 (ko) 강선 유도형 골 신장기
CN113197644A (zh) 一种胫骨远端前外侧接骨板
RU2380051C1 (ru) Способ остеосинтеза переломов верхней челюсти
KR101209296B1 (ko) 골 신장기
RU2286110C1 (ru) Способ реконструкции стенок глазницы при переломе
CN109965957A (zh) 一种骨延长、骨搬移、骨畸形纠正器及其使用方法
RU2355335C1 (ru) Способ хируг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переломов-вывихов головки суставного отростка нижней челюсти
RU2807946C1 (ru) Способ репозиции отломков скуло-верхнечелюстного комплекс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болта-фиксатора
CN210204886U (zh) 一种骨延长、骨搬移、骨畸形纠正器
KR102108106B1 (ko) 골 신장기
KR101209294B1 (ko) 곡선 운동이 가능한 골 신장기
RU22319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деформации в области основания мыщелкового отростка нижней челюсти
RU2668807C1 (ru) Способ устранения расщелины альвеолярного отростка верхней челюсти
Zhou et al. Curvilinear Distraction Osteogenesis with a New Internal Curved Distractor in Beag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