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622B1 - 오일압력센서 - Google Patents

오일압력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622B1
KR101116622B1 KR1020110107767A KR20110107767A KR101116622B1 KR 101116622 B1 KR101116622 B1 KR 101116622B1 KR 1020110107767 A KR1020110107767 A KR 1020110107767A KR 20110107767 A KR20110107767 A KR 20110107767A KR 101116622 B1 KR101116622 B1 KR 101116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roove
fixing
bracket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주
Original Assignee
동서콘트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콘트롤(주) filed Critical 동서콘트롤(주)
Priority to KR1020110107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0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 G01L7/08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of the flexible-diaphragm type
    • G01L7/08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of the flexible-diaphragm type 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phrag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10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0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 G01L7/02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52/00Hall-effect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압력센서에 관한 것으로, 내측으로 오일이 유입되는 유입홈과 상기 유입홈의 상측으로 공간홈과 계단형태의 거치턱, 걸림턱이 형성되는 아답타와, 상기 아답타의 거치턱에 위치되는 가스켓, 상기 가스켓의 상측으로 위치되되 유입홈으로 유입되는 오일의 압력에 의해 구부러지도록 형성되는 압력상승장치와, 상기 거치턱, 압력상승장치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된 본체와, 프레임과, 센서부와,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상측으로 위치되고 프레임볼트가 삽입되며 일부가 개방된 개방고정홈이 형성된 고정장치와, 상기 브라켓의 중간홈, 고정장치의 개방고정홈과 대응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센서부의 홀센서와 대응되는 자석이 고정되는 자석고정부가 형성되되 축의 직선운동에 대해 회전운동하도록 형성된 회전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오일 등의 압력을 측정할 때, 아답타의 일부분이 오일의 내부에 잠겨지도록 아답타를 위치시키고, 상기 아답타의 내측으로 오일이 차오를 때, 오일이 흐르는 홈의 상측부분을 방사형태로 형성하여, 오일이 아답타의 내부 전체로 원활하게 퍼지도록 하면서 오일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상승장치로 골고루 퍼져 오일의 압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오일압력센서{Oil pressure sensor}
본 발명은 오일압력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엔진 및 기타 부품에 이상부하 발생시 흐르는 오일의 압력을 감지하여 압력의 수치에 따라 엔지 및 부품의 작동을 멈출 수 있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로서, 오일의 압력에 따라 직선방향으로 상승, 하강하는 축, 프레임볼트를 링크방식을 이용하여 브라켓, 회전대를 회전시킴으로써, 축, 프레임볼트가 직선으로 이동한 거리에 비해 거리가 더 길게 형성되는 브라켓, 회전대의 호의 거리를 더욱 세밀하게 나누어 측정길이를 증폭시켜 그 간격에 따라 압력의 수치를 더욱 세밀하게 측정할 수 있어, 오일의 압력수치를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오일압력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오일압력센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1998-47509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통의 내부로 센서를 위치시키고 오일의 압력에 따라 가변저항의 수치가 변화되면서 오일의 압력을 감지하도록 사용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오일압력을 가변저항의 수치를 이용하여 측정하게 되면, 가변저항에 연결된 접점부재가 오일의 압력에 따라 가변저항과 지속적으로 밀착되면서 가변저항이 지속적으로 접촉되어 있어, 가변저항의 측정의 오차 및 가변저항이 파손되어 오일 등의 압력을 제대로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오일압력센서는 내측으로 오일이 유입되는 유입홈과 상기 유입홈의 상측으로 공간홈과 계단형태의 거치턱, 걸림턱이 형성되는 아답타와, 상기 아답타의 거치턱에 위치되는 가스켓, 상기 가스켓의 상측으로 위치되되 유입홈으로 유입되는 오일의 압력에 의해 구부러지도록 형성되는 압력상승장치와, 상기 거치턱, 압력상승장치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아답타에 결합되되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부와 스프링고정부, 위치고정장치와 결합대, 힌지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측 중앙으로 돌출되되 축이 위치되는 중간홈이 형성되는 중간돌출부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결합대에 고정되는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에 결합되며 홀센서가 고정되는 센서판이 형성된 센서부와, 상기 프레임의 힌지부에 결합되며 보조스프링고정부와 상기 스프링고정부, 보조스프링고정부에 결합되는 코일스프링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홈과 대응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되 축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프레임볼트와, 상기 프레임의 위치고정장치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대가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상측으로 위치되고 프레임볼트가 삽입되며 일부가 개방된 개방고정홈이 형성된 고정장치와, 상기 브라켓의 중간홈, 고정장치의 개방고정홈과 대응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센서부의 홀센서와 대응되는 자석이 고정되는 자석고정부가 형성되되 축의 직선운동에 대해 회전운동하도록 형성된 회전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오일 등의 압력을 측정할 때, 아답타의 일부분이 오일의 내부에 잠겨지도록 아답타를 위치시키고, 상기 아답타의 내측으로 오일이 차오를 때, 오일이 흐르는 홈의 상측부분을 방사형태로 형성하여, 오일이 아답타의 내부 전체로 원활하게 퍼지도록 하면서 오일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상승장치로 골고루 퍼져 오일의 압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오일이 아답타의 내측으로 차오르고 압력상승장치가 구부러지면서 상기 압력상승장치에 의해 축과, 프레임볼트가 상승하는 간격보다 자석의 회전간격이 더 크게 되어, 오일의 압력을 측정하는 간격을 더욱 촘촘히 분할함으로써, 오일의 압력의 변화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오일압력의 급변화에 따른 압력센서 등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오일의 압력에 의해 축과 프레임볼트가 상승할 때, 프레임볼트가 고정되는 브라켓과 회전대에 고정장치를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장치에 프레임볼트를 고정킴으로써, 프레임볼트의 직선운동에 의해 브라켓이 회전할 때, 프레임볼트에 의한 브라켓과 회전대의 파손을 예방하며 프레임볼트가 브라켓, 회전대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여, 프레임볼트가 브라켓에서 흔들리지 않으면서 정확하게 움직이도록 하고, 프레임볼트의 직선운동을 브라켓, 회전대가 정확하게 전달받아 프레임볼트의 이동에 따른 오일의 압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덧붙여, 프레임의 내측으로 판스프링을 형성하여 오일의 압력에 의해 구부러지는 압력상승장치가 오일의 압력이 줄어들게 되면, 압력상승장치가 원활하게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고, 브라켓과 프레임에 코일스프링을 형성하여 브라켓과 회전대도 동시에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 위치고정장치를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에도 고정대를 형성하여 상기 위치고정장치와 고정대가 맞닿도록 하여, 오일의 압력이 상승할 때는 위치고정장치와 고정대가 원활하게 이격되고, 오일의 압력이 줄어들게 되면, 위치고정장치와 고정대가 맞닿게 되면서 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브라켓, 회전대가 최초에 위치한 정확한 지점까지 도달하게 되어 오일압력의 측정에 따른 오차를 줄여 오일의 압력을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브라켓과 회전대가 결합되어 회전하게 될 때, 상기 브라켓과 회전대를 고정시키는 회전축에 렌치볼트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회전축이 브라켓, 회전대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브라켓, 회전대의 파손, 흔들림, 분실, 오차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일압력센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오일압력센서의 본체와 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브라켓과 회전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오일압력센서(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프레임(20), 센서부(30), 브라켓(40), 회전대(50)로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본체(10)는 내측으로 오일이 유입되는 유입홈(11)과 상기 유입홈(11)의 상측으로 공간홈(12)과 계단형태의 거치턱(13), 걸림턱(14)이 형성되는 아답타(15)와, 상기 아답타(15)의 거치턱(13)에 위치되는 가스켓(16), 상기 가스켓(16)의 상측으로 위치되되 유입홈(11)으로 유입되는 오일의 압력에 의해 구부러지도록 형성되는 압력상승장치(17)와, 상기 거치턱(13), 압력상승장치(17)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판스프링(18)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아답타(15)에 결합되되 걸림턱(14)에 걸리는 걸림부(21)와 스프링고정부(22), 위치고정장치(23)와 결합대(24), 힌지부(25)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측 중앙으로 돌출되되 축(26)이 위치되는 중간홈(27)이 형성되는 중간돌출부(28)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센서부(30)는 상기 프레임(20)의 결합대(24)에 고정되는 결합판(31)과 상기 결합판(31)에 결합되며 홀센서(32)가 고정되는 센서판(33)이 형성된다.
덧붙여, 상기 브라켓(40)은 상기 프레임(20)의 힌지부(25)에 결합되며 보조스프링고정부(41)와 상기 스프링고정부(22), 보조스프링고정부(41)에 결합되는 코일스프링(42)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홈(27)과 대응되는 삽입홈(43)과 상기 삽입홈(43)에 결합되되 축(26)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프레임볼트(44)와, 상기 프레임(20)의 위치고정장치(23)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대(45)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대(50)는 상기 브라켓(40)의 상측으로 위치되고 프레임볼트(44)가 삽입되며 일부가 개방된 개방고정홈(51)이 형성된 고정장치(52)와, 상기 프레임(20)의 중간홈(27), 고정장치(52)의 개방고정홈(51)과 대응되는 고정홈(53)이 형성되며, 상기 센서부(30)의 홀센서(32)와 대응되는 자석(54)이 고정되는 자석고정부(55)가 형성되되 축(26)의 직선운동에 대해 회전운동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아답타(15)에 형성된 유입홈(11)의 상측부분은 방사형태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프레임(20)의 하부 내측으로 압력상승장치(17)가 원활하게 구부러질 수 있는 보조홈(h)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압력상승장치(17)에는 골(a)이 더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덧붙여, 상기 프레임(20)의 힌지부(25)에는 브라켓(4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재(k)와, 힌지고정부(m)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상기 회전대(50)에는 와셔(56)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아답타(15)의 공간홈(12)으로 가스켓(16)을 위치시키도록 하는데, 상기 가스켓(16)을 아답타(15)에 계단형태로 형성된 거치턱(13)의 아랫부분에 강한 압력으로 누르면서 거치턱(13)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위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가스켓(16)은 아답타(15)의 유입홈(11)을 통해 유입되는 오일 등이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그런 후, 상기 가스켓(16)의 상측으로 압력상승장치(17)를 위치시키고, 상기 압력상승장치(17)의 상측으로 판스프링(18)을 위치시키면서 상기 판스프링(18)이 가스켓(16)이 위치된 거치턱(13)의 상측 거치턱(13)에 놓여 지도록 위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압력상승장치(17)는 오일 등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면 그 압력에 의해 쉽게 구부러지게 되며, 압력이 감소하거나 소멸되게 되면, 판스프링(18)의 탄성에 의해 쉽게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압력상승장치(17)는 모기향, 태엽과 같이 말아져 있는 형태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더욱 원활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판 등에 골(a) 등이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쉽게 구부러지거나 펴질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런 후, 상기 아답타(15)에 가스켓(16), 압력상승장치(17), 판스프링(18)을 결합한 후, 상기 판스프링(18)의 상측으로 프레임(20)의 걸림부(21)가 위치되도록 하되, 상기 걸림부(21)가 아답타(15)의 걸림턱(14)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아답타(15)에 프레임(20)을 결합하도록 한다.
그런 후, 상기 프레임(20)의 중간돌출부(28)에 형성된 중간홈(27)에 축(26)을 위치시키도록 하는데, 상기 축(26)의 하측 부분은 유압에 의해 구부러지도록 형성된 압력상승장치(17)의 상측 부분에 밀착되도록 하여, 압력상승장치(17)의 구부러지는 정도에 따라 축(26)이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축(26)이 압력상승장치(17)에 밀착될 수 있도록 판스프링(18)에 축(26)이 삽입될 수 있는 홈(도면에 미도시)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0)의 힌지부(25)에 브라켓(40)을 결합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20)에는 스프링고정부(22)가 형성되어 있는데, 코일스프링(42)의 일측을 상기 스프링고정부(22)에 고정시키고, 상기 코일스프링(42)의 타측은 브라켓(40)의 보조스프링고정부(41)에 결합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20)에 형성된 위치고정장치(23)에 브라켓(40)의 고정대(45)가 밀착되어 맞대응되도록 하여 프레임(20)에 브라켓(40)을 고정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브라켓(40)에 형성된 프레임볼트(44)를 삽입홈(43)에 결합하도록 하는데, 상기 프레임볼트(44)가 상기 삽입홈(43)가 대응되는 중간홈(27)에 삽입되도록 하면서, 상기 중간홈(27)에 삽입된 축(26)의 상측으로 밀착되도록 하여 위치시킨다.
이는, 액체 등의 압력에 의해 축(26)이 상승, 하강하게 되면, 상기 축(26)에 밀착된 프레임볼트(44)가 축(26)의 힘을 전달받음과 동시에 상승, 하강하면서, 브라켓(40)을 회전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20)의 힌지부(25)를 통해 브라켓(40)을 고정시킬 때, 상기 힌지부(25)에 결합되는 고정부재(k)를 이용하여, 힌지부(25)에 브라켓(40)이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그런 후, 상기 힌지부(25)에 일측으로 브라켓(40)이 힌지부(25)에 고정되어 고정부재(k)와 브라켓(40)이 힌지부(25)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힌지고정부(m)를 결합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k) 및 힌지고정부(m)는 볼트(도면에 미도시), 핀(도면에 미도시), 축형태 등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 등에서 사용자가 임의의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그 형상에 따라 힌지부(25)와 브라켓(40) 등에 그 장치가 결합될 수 있는 구멍(도면에 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20)에 브라켓(40)을 결합한 후, 상기 브라켓(40)의 상측으로 회전대(50)를 위치시키도록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브라켓(40)의 상측으로 개방고정홈(51)이 형성된 고정장치(52)를 위치시키는데, 상기 개방고정홈(51)에 프레임볼트(44)가 삽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장치(52)는 브라켓(40)이나 회전대(50)에 볼트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프레임볼트(44)가 고정장치(52)의 개방고정홈(51)에 삽입되도록 하면서, 고정홈(53)에도 프레임볼트(44)가 삽입되도록 한다.
그런 후, 상기 프레임(20)에 형성된 결합대(24)에 센서부(30)를 고정시키도록 한다.
상기 결합대(24)의 일측으로 센서부(30)의 결합판(31)을 볼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한 후, 상기 결합대(24)의 상측으로 홀센서(32)가 형성된 센서판(33)을 고정시키면서 상기 센서판(33)을 결합판(31)과도 결합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대(24)의 상측으로 센서판(33)을 고정시킬 때, 상기 센서판(33)에 형성된 홀센서(32)가 회전대(50)의 자석(54)과 상기 자석(54)이 고정되는 자석고정부(55)와 대응되도록 위치를 조절하면서 센서판(33)을 결합대(24)에 고정하도록 한다.
덧붙여, 상기 브라켓(40)에 회전대(50)를 결합할 때 와셔(56) 등을 추가로 사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와셔(56)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해당 장치의 표면 등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체(10), 프레임(20), 센서부(30), 브라켓(40), 회전대(50)를 결합한 후, 오일압력센서(100)를 사용자가 설치하고자 하는 오일통 등에 고정시키도록 한다.
상기 오일통은 차량 등에서 오일을 사용하거나 연료 등을 사용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처럼, 상기 오일압력센서(100)를 통에 설치하고 상기 통에 오일 등의 액체가 차오르면서 본체(10)의 아답타(15)의 내측에 형성된 유입홈(11)으로 유입되게 된다.
그런 후, 상기 유입홈(11)으로 유입된 액체가 차오르면서 공간홈(12)으로 유입되면서 그 압력에 의해 압력상승장치(17)를 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홈(11)으로 유입된 오일 등이 아답타(15)의 공간홈(12)으로 흐르게 될 때, 상기 유입홈(11)의 상측 부분이 방사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폭이 좁은 유입홈(12)에서 공간홈(12)으로 흐르는 오일 등이 넓게 퍼지게 되면서 압력상승장치(17)의 전체 면적으로 골고루 퍼지면서 일정한 압력으로 압력상승장치(17)를 밀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압력상승장치(17)가 액체의 압력에 의해 위로 구부러지게 되는데, 상기 프레임(20)의 하부에는 압력상승장치(17)가 프레임(20)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보조홈(h)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보조홈(h)의 간격에 의해 압력상승장치(17)가 프레임(20)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구부러지게 된다.
또한, 상기 압력상승장치(17)에는 골(a)이 형성되어 있어, 액체의 압력 등에 의해 압력상승장치(17)가 더욱 원활히 구부려지거나 펴질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상기 압력상승장치(17)가 구부러지게 되면서, 상기 압력상승장치(17)의 상측에 위치된 판스프링(18)이 구부러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압력상승장치(17)가 구부러지게 되어 압력상승장치(17)의 중앙부분이 돌출되게 되면, 상기 압력상승장치(17)의 상측 부분에 밀착되어 있던 축(26)이 동시에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축(26)이 프레임(20)의 중간돌출부(28)에 형성된 중간홈(27)을 통해 상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축(26)의 상측에 위치된 프레임볼트(44)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런 후, 상기 프레임볼트(44)가 브라켓(40)의 삽입홈(43), 고정장치(52)의 개방고정홈(51), 회전대(50)의 고정홈(53)을 통해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볼트(44)가 상승하게 될 때 상기 프레임볼트(44)가 브라켓(40), 회전대(50)의 몸체에 밀착되면서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되면, 브라켓(40), 회전대(50)가 프레임볼트(44)의 마찰력에 의해 파손되거나 표면이 닳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삽입홈(43), 고정홈(53)의 직경을 프레임볼트(44)의 직경과 동일하게 하거나 크게하도록 하는데, 상기 삽입홈(43), 고정홈(53)의 직경이 프레임볼트(44)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 브라켓(40), 회전대(50)가 밀착되지 않아 회전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브라켓(40)과 회전대(50)에 고정장치(52)를 결합하여 상기 고정장치(52)의 개방고정홈(51)에 프레임볼트(44)가 억지끼움방식과 같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개방고정홈(52)의 일부를 개방하는 이유는 프레임볼트(44)의 직경에 따라 고정장치(52)를 일일이 교체할 필요없이 다양한 크기의 프레임볼트(44)를 고정장치(52)에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 프레임(20), 브라켓(40), 회전대(50) 등을 다양한 재질로 제작할 수 있으며, 제작비용 등과 같이 경제성을 위하여 합성수지재 등으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출 등의 방식으로 브라켓(40) 등을 제작하고 프레임볼트(44), 고정장치(52)를 브라켓(40), 회전대(50)에 압출, 압착 등의 방식으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고정장치(52)의 파손을 예방하기 위해 고정장치(52)를 금속재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볼트(44)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프레임볼트(44)가 브라켓(40), 회전대(50)에 고정된 고정장치(52)에 의해 브라켓(40), 회전대(5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40), 회전대(50)가 회전하게 될 때, 상기 프레임(20)에 형성된 힌지부(25)에 의해 브라켓(40), 회전대(50)가 원활하게 회전되며, 상기 힌지부(25)에 고정된 고정부재(k)와 힌지고정부(m)에 의해 힌지부(25)에서 브라켓(40), 회전대(50)가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브라켓(40), 회전대(5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대(50)에 형성된 자석고정부(55)가 회전하면서 상기 자석고정부(55)에 고정된 자석이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자석(54)가 대응되어 형성된 센서부(30)의 홀센서(32)가 자석의 회전력을 감지하여 자력의 세기의 변화나 자극의 변화를 감지하여 오일 등의 압력을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30)에는 전기적으로 홀센서(32)를 작동시키고 감지할 수 있는 전기장치 등이 연결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40), 회전대(50)가 회전하지 않고 원상태로 위치하였을 때는 상기 프레임(20)에 형성된 위치고정장치(23)와 브라켓(40)의 고정대(45)가 맞닿은 상태로 밀착되어 있다가 브라켓(40), 회전대(50)가 회전함과 동시에 고정대(45)가 위치고정장치(23)에서 이격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오일이 아답타(15)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오일의 압력에 의해 압력상승장치(17), 판스프링(18), 축(26), 프레임볼트(44)가 직선방향으로 상승하고, 상기 브라켓(40), 회전대(50)와 회전대(50)에 형성된 자석(54) 및 자석고정댕(55)가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프레임볼트(44)가 이동하는 직선거리에 대해 자석(54)의 회전거리가 더 길어 그 회전거리를 직선거리에 비해 더욱 세밀하게 나눔으로써, 오일의 량을 더욱 세밀하게 측정할 수 있어 오일의 압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축(26), 프레임볼트(44)가 직선으로 이동한 거리가 1일 때, 자석고정부(55)의 호의 길이는 직선길이에 파이를 곱하여 계산함으로써, 그 길이가 직선의 길이보다 크게 된다.
그래서, 그 호의 길이를 더욱 세밀하게 나눔으로써, 오일의 압력을 측정하는 측정간격을 더욱 세밀하게 나눌 수 있어, 오일압력의 변화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덧붙여, 오일의 압력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오일의 압력이 일정수치이상으로 급상승하거나 이상이 있을 경우 차량의 엔진 및 부품의 작동을 제어하여 각각의 구성의 파손이나 고장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일의 압력의 변화를 측정하는 홀센서(32)나 자석(54)이 오일에 닿지 않은 상태에서 비접촉형태로 오일의 감지함으로써, 오작동이나 파손을 예방할 수 있어 장시간 사용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한편, 상기 아답타(15)의 유입홈(11)에서 오일압력이 줄어들게 되면서, 오일의 압력에 의해 프레임(20)의 보조홈(h)의 공간으로 구부러졌던 압력상승장치(17)가 판스프링(18)의 탄성에 의해 다시 펴지게 되면서, 상기 압력상승장치(17)의 상측에 밀착되었던 축(26)과 프레임볼트(44)가 원상태인 하측으로 내려오게 된다.
그러면, 상기 프레임볼트(44)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고정장치(52)가 고정된 브라켓(40), 회전대(50)가 스프링고정부(22)와 보조스프링고정부(41)에 고정된 코일스프링(42)의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면서, 최초에 프레임(20)의 위치고정장치(23)와 브라켓(40)의 고정대(45)가 다시 맞닿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오일의 압력이 줄어들게 되어 브라켓(40)과 회전대(50)가 원상태로 복귀할 때, 위치고정장치(23)와 고정대(45)에 의해 브라켓(40), 회전대(50)가 코일스프링(42)의 탄성에 의해 더 회전하지 않고, 정확한 지점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아답타(15)에 형성된 계단형태의 거치턱(13)을 통해 압력상승장치(17)나 판스프링(18)을 원활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걸림턱(14)과 프레임(20)의 걸림부(21)에 의해 프레임(20)이 유체의 압력 등에 의해 아답타(15)와 프레임(20)이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10 : 본체 11 : 유입홈
12 : 공간홈 13 : 거치턱
14 : 걸림턱 15 : 아답타
16 : 가스켓 17 : 압력상승장치
18 : 판스프링 20 : 프레임
21 : 걸림부 22 : 스프링고정부
23 : 위치고정장치 24 : 결합대
25 : 힌지부 26 : 축
27 : 중간홈 28 : 중간돌출부
30 : 센서부 31 : 결합판
32 : 홀센서 33 : 센서판
40 : 브라켓 41 : 보조스프링고정부
42 : 코일스프링 43 : 삽입홈
44 : 프레임볼트 45 : 고정대
50 : 회전대 51 : 개방고정홈
52 : 고정장치 53 : 고정홈
54 : 자석 55 : 자석고정부
100 : 오일압력센서

Claims (7)

  1. 내측으로 오일이 유입되는 유입홈(11)과 상기 유입홈(11)의 상측으로 공간홈(12)과 계단형태의 거치턱(13), 걸림턱(14)이 형성되는 아답타(15)와, 상기 아답타(15)의 거치턱(13)에 위치되는 가스켓(16), 상기 가스켓(16)의 상측으로 위치되되 유입홈(11)으로 유입되는 오일의 압력에 의해 구부러지도록 형성되는 압력상승장치(17)와, 상기 거치턱(13), 압력상승장치(17)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판스프링(18)으로 형성된 본체(10);
    상기 아답타(15)에 결합되되 걸림턱(14)에 걸리는 걸림부(21)와 스프링고정부(22), 위치고정장치(23)와 결합대(24), 힌지부(25)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측 중앙으로 돌출되되 축(26)이 위치되는 중간홈(27)이 형성되는 중간돌출부(28)가 형성된 프레임(20);
    상기 프레임(20)의 결합대(24)에 고정되는 결합판(31)과 상기 결합판(31)에 결합되며 홀센서(32)가 고정되는 센서판(33)이 형성된 센서부(30);
    상기 프레임(20)의 힌지부(25)에 결합되며 보조스프링고정부(41)와 상기 스프링고정부(22), 보조스프링고정부(41)에 결합되는 코일스프링(42)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홈(27)과 대응되는 삽입홈(43)과 상기 삽입홈(43)에 결합되되 축(26)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프레임볼트(44)와, 상기 프레임(20)의 위치고정장치(23)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대(45)가 형성된 브라켓(40);
    상기 브라켓(40)의 상측으로 위치되고 프레임볼트(44)가 삽입되며 일부가 개방된 개방고정홈(51)이 형성된 고정장치(52)와, 상기 프레임(20)의 중간홈(27), 고정장치(52)의 개방고정홈(51)과 대응되는 고정홈(53)이 형성되며, 상기 센서부(30)의 홀센서(32)와 대응되는 자석(54)이 고정되는 자석고정부(55)가 형성되되 축(26)의 직선운동에 대해 회전운동하도록 형성된 회전대(5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오일압력센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아답타(15)에 형성된 유입홈(11)의 상측부분은 방사형태로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오일압력센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압력상승장치(17)에는 골(a)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오일압력센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의 하부 내측으로 압력상승장치(17)가 원활하게 구부러질 수 있는 보조홈(h)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오일압력센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의 힌지부(25)에는 브라켓(4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재(k)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오일압력센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에는 힌지부(25)와 브라켓(40)에 결합되는 힌지고정부(m)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오일압력센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대(50)에는 와셔(56)가 결합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오일압력센서.
KR1020110107767A 2011-10-21 2011-10-21 오일압력센서 KR101116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767A KR101116622B1 (ko) 2011-10-21 2011-10-21 오일압력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767A KR101116622B1 (ko) 2011-10-21 2011-10-21 오일압력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6622B1 true KR101116622B1 (ko) 2012-03-07

Family

ID=46141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767A KR101116622B1 (ko) 2011-10-21 2011-10-21 오일압력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66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708A (ko) 2017-12-06 2019-06-14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오일 복합 센서
KR20190081056A (ko)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오일 압력 센서
CN114593866A (zh) * 2022-03-08 2022-06-07 贾秀梅 一种油田用防压力过载的动态调节式油压座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2895A (ko) * 1990-12-10 1992-07-28 시키모리야 압력센서
KR20020049618A (ko) * 2000-12-19 2002-06-26 이계안 일체형 오일 압력 센더 및 오일 압력 스위치
KR20070064497A (ko) * 2005-12-17 2007-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감지 방지용 오일압 스위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2895A (ko) * 1990-12-10 1992-07-28 시키모리야 압력센서
KR20020049618A (ko) * 2000-12-19 2002-06-26 이계안 일체형 오일 압력 센더 및 오일 압력 스위치
KR20070064497A (ko) * 2005-12-17 2007-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감지 방지용 오일압 스위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708A (ko) 2017-12-06 2019-06-14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오일 복합 센서
KR20190081056A (ko)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오일 압력 센서
CN114593866A (zh) * 2022-03-08 2022-06-07 贾秀梅 一种油田用防压力过载的动态调节式油压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6199B2 (ja) リニアポジションセンサー
KR101116622B1 (ko) 오일압력센서
US8950276B2 (en) Torque sensing apparatus
KR102382808B1 (ko) 유체의 유동 감지 장치
US9464929B2 (en) Liquid level transducer with pivoting and linear motion
US11850538B2 (en) Filter life predicting apparatus
KR101560265B1 (ko) 비자성체가 적용된 전자식 수도미터
JP2017096787A5 (ko)
CN101476577A (zh) 带位置自检功能的油缸
JP6654062B2 (ja) ストロークセンサ
CN104344924B (zh) 压力检测装置
KR101437574B1 (ko) 유량 수위 레벨 감지 센서
CN206397719U (zh) 一种可测流量的电磁水泵
US20130093413A1 (en) Sensor apparatus
CN103403425B (zh) 手动阀用开度检测装置
US20210199001A1 (en) Liquid level sensor system
JP5150422B2 (ja) タンクの液面検出装置
EP2827096A1 (en) Testing finger
JP6538414B2 (ja) 差圧検出装置及び濾過装置
CN111255962A (zh) 接头
CN217953306U (zh) 一种用于螺纹检测的浮动机构
CN215521230U (zh) 压缩机及空调器
KR200338140Y1 (ko) 시린지펌프의 막힘 검출 장치
KR200464001Y1 (ko) 바이메탈식 방진 온도계
KR200458864Y1 (ko) 자력식 차압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