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290B1 - 회전 및 직선 운동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및 직선 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290B1
KR101116290B1 KR1020090122134A KR20090122134A KR101116290B1 KR 101116290 B1 KR101116290 B1 KR 101116290B1 KR 1020090122134 A KR1020090122134 A KR 1020090122134A KR 20090122134 A KR20090122134 A KR 20090122134A KR 101116290 B1 KR101116290 B1 KR 101116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ar motion
rotation
spindle
main shaft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5584A (ko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1020090122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290B1/ko
Publication of KR20110065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24Base structure
    • G02B21/26Stages; Adjus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24Base structure
    • G02B21/248Base structure objective (or ocular) turr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36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 G02B21/362Mechanical details, e.g. mountings for the camera or image sensor, hou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멈춤돌기와 직선운동 멈춤돌기가 구비된 로킹부재가 주축부재에 결합되어 주축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 멈춤돌기가 삽탈되는 회전 멈치홈을 구비한 회전부재가 주축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로킹부재를 수용하면서 직선운동용 호울이 형성되어 있는 직선운동 베이스가 회전부재와 결합되고, 직선운동 베이스에는 상기 직선운동용 호울에 삽입되어 직선운동할 수 있게 되면서 상기 직선운동 멈춤돌기가 삽탈되는 직선운동 멈치홈을 구비한 직선운동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주축 하우징에는 누름 조작과 해제 조작에 따라 주축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회전 멈춤돌기와 직선운동 멈춤돌기의 삽탈 작동에 의해 회전부재의 회전 및 직선운동부재의 직선운동을 제어하는 버튼부재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회전, 직선 운동, 버튼, 주축, 로킹부재

Description

회전 및 직선 운동 장치{Device capable of rotary motion and rectilineal movement}
본 발명은 각종 기계 및 기구에 적용되어 한 번의 버튼 조작으로 회전 운동과 직선 운동을 동시에 가능케 하거나 정지시킬 수 있게 되는 회전 및 직선 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학 현미경이나 탁상용 조명기구 등 각종 기계 및 기구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해당 기계 또는 기구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회전 운동 및 직선 운동이 이루어지는 수단들이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단면이 원형인 두 개의 축이 상하로 결합된 구조의 기구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의 위치에 상측의 축이 회전하여 놓이도록 하기 위해 상측의 축을 하측의 축 상에서 원둘레 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 운동시키는 수단으로서 베어링과 같은 기계요소가 사용된다. 또, 어느 한 부품을 베이스로 하여 이 베이스 위에서 다른 부품이 직선 운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에 놓이도록 하기 위해 가이 드 레일과 같은 요소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기계 및 기구에 마련된 여러 가지 기계요소를 이용하여 회전 운동 및 직선 운동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어서, 그 작동의 제어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전자적인 제어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기도 한다. 통상적으로 전자제어 시스템의 경우 설계 및 부품 비용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불편이 최소화되는 선에서 수동 조작에 의한 제어 구조가 널리 채용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회전 운동과 직선 운동을 하는 구조가 함께 구비된 기계/기구에 있어서, 회전 운동을 하는 부분과 직선 운동을 하는 부분에 대한 제어 또는 조작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회전 운동 부위와 직선 운동 부위를 개별적으로 조작해야 함으로 인해 사용자가 해당 기계/기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다루는 데에 불편을 겪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간단한 수동 조작에 의해 기계 및 기구의 회전 운동과 직선 운동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회전 및 직선 운동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봉형으로 길게 형성된 주축부재와, 상기 주축부재의 일측 말단부에 결합되며 주축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구비되는 제1플랜지 및 제2플랜지를 포함하되 상기 제1플랜지에 회전 멈춤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플랜지에는 직선운동 멈춤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로킹부재와, 상기 주축부재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주축부재가 회전 및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주축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용 공간을 구비하되 상기 수용 공간의 길이방향 일측단은 상기 주축부재의 일측 말단부가 외향 돌출되도록 개방되고 상기 수용 공간의 길이방향 타측단은 두께방향으로 절곡되어 개방된 주축 하우징과, 상기 주축부재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 멈춤돌기가 삽탈되는 회전 멈치홈을 구비하며 상기 주축 하우징 상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에 일체로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로킹부재를 수용하며 직선운동용 호울이 형성되어 있는 직선운동 베이스와, 상기 직선운동용 호울에 삽입되어 직선운동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직선운동 멈춤돌기가 삽탈되는 직선운동 멈 치홈을 구비한 직선운동부재와, 상기 수용 공간의 길이방향 타측단에 설치되어 누름 조작과 해제 조작에 따라 상기 주축부재의 타측 말단부 쪽을 가압하거나 해제하여 상기 주축부재를 상기 수용 공간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회전 멈춤돌기와 상기 직선운동 멈춤돌기의 삽탈 작동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및 상기 직선운동부재의 직선운동을 제어하는 버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주축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버튼부재의 해제 조작시 상기 주축부재가 탄성적으로 복원되도록 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주축부재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수용 공간의 길이방향 일측단에는 상기 주축부재의 둘레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와 접하여 상기 버튼부재의 누름 조작시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도록 하기 위한 제1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주축부의 타측 말단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와 접하여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되 상기 버튼부재의 누름 조작시 탄성부재를 가압하는 제2스토퍼가 구비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주축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평탄한 가이드면을 구비하고, 상기 주축 하우징의 수용 공간에는 상기 주축부재가 수용 공간에서 이동할 때 상기 가이드면과 접하여 주축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주축부재의 회전시 주축부재를 지지하는 베어링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재의 조작시 상기 주축부재의 길이방향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상기 주축부재의 타측 말단부 측과 상기 버튼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구면체가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버튼부재는 상기 구면체와 접하는 말단부가 구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멈춤돌기는 첨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 멈치홈은 평면도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회전부재의 상면과 측면에 각각 원호형의 개별 홈들이 회전부재의 회전운동 방향을 따라 연속 중첩된 형태로 형성되면서 입구 측이 테이퍼 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직선운동 멈춤돌기는 첨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직선운동 멈치홈은 평면도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직선운동부재에 원호형의 개별 홈들이 직선운동부재의 직선운동 방향을 따라 연속 중첩된 형태로 형성되면서 입구 측이 테이퍼 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에 회전 멈치홈 부재가 별물로서 부속되고, 상기 회전 멈치홈은 상기 회전 멈치홈 부재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회전 멈춤돌기는 첨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 멈치홈은 평면도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회전 멈치홈 부재의 상면과 측면에 각각 원호형의 개별 홈들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운동 방향을 따라 연속 중첩된 형태로 형성되면서 입구 측이 테이퍼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 및 직선 운동 장치는 한 번의 버튼 조작만으로 회전 운동과 직선 운동을 동시에 가능케 하거나 정지시킬 수가 있으므로, 회전 운동과 직선 운동이 함께 이루어지는 광학 현미경, 탁상용 조명기구, 치과 보철 장비 중 하나인 지대치 서베이와 같은 여러 가지 기계 및 기구에 두루 적용되어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외관 사시도와 분리 사시도이고, 도 3과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비되는 회전 멈치홈 부재와 직선운동 멈치홈 및 로킹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과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버튼부재의 조작 전 상태와 누름 조작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로 예시된 회전 및 직선 운동 장치는, 봉 형태의 주축부재(100)와, 제1플랜지(210) 및 제2플랜지(220)를 구비하며 상기 주축부재(100)에 나선 결합이나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는 로킹부재(200), 상기 주축부재(100)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310)이 구비된 주 축 하우징(300), 이 주축 하우징(300) 상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되는 회전부재(400), 이 회전부재(400)에 일체로 결합되는 직선운동 베이스(500), 이 직선운동 베이스(500)에서 직선운동하게 되는 직선운동부재(600), 상기 회전부재(400)의 회전과 상기 직선운동부재(500)의 직선운동을 제어하는 버튼부재(70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주축부재(100)는 대체로 원형 단면의 봉 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주축부재(100)의 일측 말단부 쪽에 상기 로킹부재(200)가 결합되는데, 로킹부재(200)의 제1플랜지(210)와 제2플랜지(220)는 각각 주축부재(100)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도면상에서 로킹부재(200)의 상측 말단부에 제2플랜지(220)가 위치하고, 그 아래쪽에 제1플랜지(210)가 위치한다.
상기 제1플랜지(210)는 원형의 디스크 형태로 예시되어 있는데, 도면상에서 제1플랜지(210)의 저면부에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기는 상기 회전부재(400)의 회전을 멈추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회전 멈춤돌기(211)라 칭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 회전 멈춤돌기(211)는 첨두형(尖頭形)으로 이루어져 90° 간격으로 4개가 형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상기 제2플랜지(220)는 사각형으로 예시되어 있으며, 그 저면부에는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돌기는 상기 직선운동부재(600)의 직선운동방향을 기준으로 전후측에 각각 한 쌍씩 4개의 형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 돌기는 상기 직선운동부재(600)의 직선운동을 멈추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직선운동 멈춤돌기(221)라 칭한다. 이 직선운동 멈춤돌기(221) 역시 첨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축 하우징(300)에 구비되는 수용 공간(310)은 주축부재(100)가 수용된 상태에서 주축부재(100)가 회전하거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어 있다. 특히, 수용 공간(310)의 길이방향 일측단은 상기 주축부재(100)의 일측 말단부가 외향 돌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고, 수용 공간(310)의 타측단은 주축 하우징(300)의 두께방향으로 절곡되어 개방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재(400)는 상기 수용 공간(310)과 일직선으로 연통하여 주축부재(100)가 관통하는 관통공(410)을 구비함과 아울러, 제1플랜지(210)의 회전 멈춤돌기(211)가 삽탈(揷脫)되는 회전 멈치홈(421)을 구비하고 있다. 이 회전 멈치홈(421)은 회전부재(400) 상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의 회전부재(400)는 상기 회전 멈치홈(421)을 가진 회전 멈치홈 부재(420)를 별물로 구비하여 이 회전 멈치홈 부재(420)에 상기 회전 멈치홈(421)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회전 멈치홈 부재(420)는 제1플랜지(210)의 회전 멈춤돌기(211)가 형성된 부위와 대향하도록 회전부재(400)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회전 멈치홈(421)이 회전부재(400)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회전부재(400)를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회전 멈치홈(421)은 회전부재(400)의 상면과 측면에 각각 원호형의 개별 홈들이 회전부재(400)의 회전운동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중첩되는 형태로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회전 멈치홈(421)의 입구 측은 테이퍼 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멈춤돌기(211)가 회전 멈치홈(421)에 어슷하게 삽입되더라도 이탈되지 않고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회전 멈치홈(421) 이 회전 멈치홈 부재(420)에 형성되고 이 회전 멈치홈 부재(420)가 회전부재(400)에 설치되는 구조의 경우에도, 회전부재(400)를 평면도 상에서 보았을 때 회전 멈치홈(421)은 회전 멈치홈 부재(420)의 상면과 측면에 각각 원호형의 개별 홈들이 회전부재(400)의 회전운동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중첩되는 형태로 형성됨과 아울러, 회전 멈치홈(421)의 입구 측은 테이퍼 면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직선운동 베이스(500)는 회전부재(400)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1플랜지(210)와 제2플랜지(220)를 포함한 로킹부재(200)를 수용하게 된다. 제1플랜지(210)와 제2플랜지(220)가 직선운동 베이스(500)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직선운동 베이스(500)는 회전부재(400)와 함께 주축부재(100)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되며, 제1플랜지(210)와 제2플랜지(220)는 상기 버튼부재(700)의 조작시 직선운동 베이스(500) 내에서 주축부재(100)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직선운동 베이스(500)에는 직선운동용 호울(51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직선운동용 호울(510)에 상기 직선운동부재(600)가 삽입되어 직선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직선운동용 호울(510)은 직선운동부재(600)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3개로 예시되어 있다.
상기 직선운동부재(600)는 제2플랜지(220)에 구비된 직선운동 멈춤돌기(221)가 삽탈되는 직선운동 멈치홈(10)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 직선운동 멈치홈(610)은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직선운동부재(600)에 원호형의 개별 홈들이 직선운동부재(600)의 직선운동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중첩된 형태로 형성되면서 그 입구 측이 테이퍼 면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멈춤돌기(211)와 회전 멈치홈(421)의 경우와 같이, 직선운동 멈춤돌기(221)가 직선운동 멈치홈(610)에 어슷하게 삽입되더라도 이탈되지 않고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버튼부재(700)는 주축 하우징(300)의 두께방향으로 절곡되어 개방된 수용 공간(310)의 타측단에 버튼 케이스(710)와 함께 설치되어 있다. 이 버튼부재(700)의 일단부는 주축부재(100)의 타측 말단부을 가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버튼부재(700)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주축부재(100)가 주축 하우징(300)의 수용 공간(310)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서 보았을 때 버튼부재(700)를 누르면 도 7와 같이 주축부재(100)가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주축부재(100)에 결합되어 있는 로킹부재(200)의 제1플랜지(210)에 구비된 회전 멈춤돌기(211)가 회전 멈치홈(421)으로부터 빠져나옴과 동시에 제2플랜지(220)의 직선운동 멈춤돌기(221)가 직선운동 멈치홈(610)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됨으로써, 회전부재(400)와 이에 결합된 직선운동 베이스(500)가 회전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직선운동부재(600)가 직선운동용 호울(510)을 따라 직선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버튼부재(700)를 놓으면(즉, 해제 조작하면) 도 6과 같이 상기 요소들이 원상회복되는데, 주축부재(100)는 그 자중(自重)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탄성부재(11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수용 공간(310)에서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 멈춤돌기(211)가 회전 멈치홈(421)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직선운동 멈춤돌기(221)가 직선운동 멈치홈(610)으로 삽입됨으로써 회전부재(400) 및 직선운동 베이스(500)의 회전이 정지됨과 아울러 직선운동부재(600)의 직선운동이 정지된다.
상기 주축부재(100)의 외주면에는 버튼부재(700)의 해제 조작시 주축부재(100)가 수용 공간(310)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했던 상태로부터 복원되도록 하는 탄성부재(11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것처럼 본 발명의 장치가 주축부재(100)의 길이방향을 상하방향(수직방향)으로 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주축부재(100)의 자중에 의해 복원될 수 있기 때문에 탄성부재(110)가 불필요할 수도 있지만, 주축부재(100)의 길이방향을 수평방향으로 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복원을 위한 탄성부재(110)가 요구된다.
상기 탄성부재(110)는 주축부재(100)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탄성부재(110)의 지지를 위해 주축부재(100)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각각 제1스토퍼(120)와 제2스토퍼(130)가 구비된다. 즉, 제1스토퍼(150)는 제1플랜지(120)와 제2플랜지(130)가 외향 돌출된 주축 하우징(300)의 수용 공간(310)의 길이방향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며, 주축부재(100)의 둘레를 감싸면서 한쪽 끝이 탄성부재(110)의 일단부와 접하여 버튼부재(700)의 누름 조작시 주축부재(100)의 타단부가 가압됨에 따라 탄성부재(110)가 압축되도록 한다. 제1스토퍼(120)의 다른 쪽 끝은 회전 멈치홈 부재(420)에 접하거나 회전부재(400)의 어느 한 부위에 고정될 수 있다.
또, 제2스토퍼(130)는 주축부재(100)의 타측 말단부에 설치되어 탄성부재(110)의 타단부와 접함으로써 탄성부재(11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며, 버튼부재(700)의 누름 조작시에는 탄성부재(110)를 가압하게 된다. 특히, 제2스토퍼(130)는 주축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평탄한 가이드면(131)을 구비하게 되며, 주축 하우징(300)의 수용 공간(310)에는 주축부재(100)가 수용 공간(310)에서 이동할 때 상기 가이드면(131)과 접하면서 주축부재(10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14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400) 내에는 주축부재(100)가 회전할 때 주축부재(100)를 지지함으로써 주축부재(100)가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하기 위한 베어링(800)이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버튼부재(700)의 조작시 주축부재(100)가 주축 하우징(300)의 수용 공간(310)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수용 공간(310)에 구면체(900)가 내장될 수 있는데, 주축부재(100)의 타측 말단부 측과 버튼부재(700) 사이에 상기 구면체(900)가 위치하게 된다. 또, 이 구면체(900)에 대응하여 버튼부재(700)의 말단부도 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및 직선 운동 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버튼부재(700)를 조작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버튼부재(700)의 구면으로 형성된 말단부가 주축 하우징(300)의 두께 방향으로 절곡된 수용 공간(310) 끝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아울러, 주축부재(100)는 탄성부재(110)의 탄발력 및 자중에 의해 도면 상에서 볼 때 주축 하우징(300)의 수용 공간(310) 내에서 아래쪽으로 내려와 있으며, 이에 따라 로킹부재(200)의 제1플랜지(210)에 구비된 회전 멈춤돌기(211)는 회전 멈치홈 부재(420)의 회전 멈치홈(421)에 삽입됨으로써 회전부재(400) 및 이 회전부재(400)에 결합된 직선운동 베이스(500)가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로킹부재(200)의 제2플랜지(220)에 구비된 직선운동 멈춤돌기(221)는 직선운동부재(600)의 직선운동 멈치홈(610)에 삽입됨으로써 직선운동부재(600)가 직선운동 베이스(500)의 직선운동용 호울(510)에서 직선운동을 할 수 없게 된다.
반면에,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버튼부재(700)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버튼부재(700)의 구면으로 형성된 말단부가, 주축 하우징(300)의 수용 공간(310)에 내장된 구면체(900)를 가압함으로써 구면체(900) 위에 위치한 주축부재(100)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주축부재(100)의 일측 말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로킹부재(200)의 제1플랜지(210)에 구비된 회전 멈춤돌기(211)가 회전 멈치홈 부재(420)의 회전 멈치홈(421)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회전부재(400)와 이 회전부재(400)에 결합된 직선운동 베이스(500)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로킹부재(200)의 제2플랜지(220)에 구비된 직선운동 멈춤돌기(221)가 직선운동부재(600)의 직선운동 멈치홈(610)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직선운동부재(600)가 직선운동 베이스(500)의 직선운동용 호울(510)에서 직선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회전 및 직선 운동 장치는 버튼부재(700)를 손가락으로 한 번 누르는 조작만으로 회전 운동과 직선 운동이 동시에 가능하게 되고, 버튼부재(700)를 놓으면 회전 운동과 직선 운동이 정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학 현미경이나 탁상용 조명기구 또는 치과 보철 장비 중 하나 인 지대치 서베이와 같이 회전 운동과 직선 운동이 이루어지는 기계 및 기구에 두루 적용되어 해당 기계 및 기구의 사용 편리성을 증진시키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비되는 회전 멈치홈 부재를 상세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비되는 직선운동 멈치홈을 상세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비되는 로킹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버튼부재의 조작 전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버튼부재가 누름 조작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주축부재 110 : 탄성부재
120 : 제1스토퍼 130 : 제2스토퍼
131 : 가이드면 140 : 가이드 부재
200 : 로킹부재 210 : 제1플랜지
211 : 회전 멈춤돌기 220 : 제2플랜지
221 : 직선운동 멈춤돌기 300 : 주축 하우징
310 : 수용 공간 400 : 회전부재
410 : 관통공 420 : 회전 멈치홈 부재
421 : 회전 멈치홈 500 : 직선운동 베이스
510 : 직선운동용 호울 600 : 직선운동부재
610 : 직선운동 멈치홈 700 : 버튼부재
710 : 버튼 케이스 800 : 베어링
900 : 구면체

Claims (11)

  1. 봉형으로 길게 형성된 주축부재; 상기 주축부재의 일측 말단부에 결합되며, 주축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구비되는 제1플랜지 및 제2플랜지를 포함하되, 상기 제1플랜지에 회전 멈춤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플랜지에는 직선운동 멈춤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로킹부재; 상기 주축부재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주축부재가 회전 및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주축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용 공간을 구비하되, 상기 수용 공간의 길이방향 일측단은 상기 주축부재의 일측 말단부가 외향 돌출되도록 개방되고, 상기 수용 공간의 길이방향 타측단은 두께방향으로 절곡되어 개방된 주축 하우징; 상기 주축부재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 멈춤돌기가 삽탈되는 회전 멈치홈을 구비하며, 상기 주축 하우징 상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일체로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로킹부재를 수용하며, 직선운동용 호울이 형성되어 있는 직선운동 베이스; 상기 직선운동용 호울에 삽입되어 직선운동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직선운동 멈춤돌기가 삽탈되는 직선운동 멈치홈을 구비한 직선운동부재; 상기 수용 공간의 길이방향 타측단에 설치되어 누름 조작과 해제 조작에 따라 상기 주축부재의 타측 말단부 쪽을 가압하거나 해제하여 상기 주축부재를 상기 수용 공간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회전 멈춤돌기와 상기 직선운동 멈춤돌기의 삽탈 작동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및 상기 직선운동부재의 직선운동을 제어하는 버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주축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버튼부재의 해제 조작시 상기 주축부재가 탄성적으로 복원되도록 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구성된 회전 및 직선 운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주축부재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수용 공간의 길이방향 일측단에는 상기 주축부재의 둘레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와 접하여 상기 버튼부재의 누름 조작시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도록 하기 위한 제1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주축부의 타측 말단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와 접하여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되 상기 버튼부재의 누름 조작시 탄성부재를 가압하는 제2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직선 운동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주축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평탄한 가이드면을 구비하고, 상기 주축 하우징의 수용 공간에는 상기 주축부재가 수용 공간에서 이동할 때 상기 가이드면과 접하여 주축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직선 운동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재의 조작시 상기 주축부재의 길이방향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상기 주축부재의 타측 말단부 측과 상기 버튼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구면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직선 운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재는 상기 구면체와 접하는 말단부가 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회전 및 직선 운동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멈춤돌기는 첨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 멈치홈은 평면도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회전부재의 상면과 측면에 각각 원호형의 개별 홈들이 회전부재의 회전운동 방향을 따라 연속 중첩된 형태로 형성되면서 입구 측이 테이퍼 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직선 운동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운동 멈춤돌기는 첨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직선운동 멈치홈은 평면도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직선운동부재에 원호형의 개별 홈들이 직선운동부재의 직선운동 방향을 따라 연속 중첩된 형태로 형성되면서 입구 측이 테이퍼 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직선 운동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에는 회전 멈치홈 부재가 별도의 부재로 부속되고, 상기 회전 멈치홈은 상기 회전 멈치홈 부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직선 운동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멈춤돌기는 첨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 멈치홈은 평면도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회전 멈치홈 부재의 상면과 측면에 각각 원호형의 개별 홈들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운동 방향을 따라 연속 중첩된 형태로 형성되면서 입구 측이 테이퍼 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직선 운동 장치.
KR1020090122134A 2009-12-10 2009-12-10 회전 및 직선 운동 장치 KR101116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134A KR101116290B1 (ko) 2009-12-10 2009-12-10 회전 및 직선 운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134A KR101116290B1 (ko) 2009-12-10 2009-12-10 회전 및 직선 운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584A KR20110065584A (ko) 2011-06-16
KR101116290B1 true KR101116290B1 (ko) 2012-03-14

Family

ID=44398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134A KR101116290B1 (ko) 2009-12-10 2009-12-10 회전 및 직선 운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62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1777A (ko) 2019-12-24 2021-07-02 정 호 조 전기자동차용 무선충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4685B1 (ko) * 1998-01-15 2000-09-01 서정윤 도어록 장치
KR100671089B1 (ko) * 1999-05-19 2007-01-17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스테이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4685B1 (ko) * 1998-01-15 2000-09-01 서정윤 도어록 장치
KR100671089B1 (ko) * 1999-05-19 2007-01-17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스테이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584A (ko)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2704B1 (ko) 실물 화상기의 카메라 회전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실물화상기
US7787795B2 (en) Angle adjustmen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497002B1 (ko) 실물 화상기의 카메라 지지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실물 화상기
JP4448696B2 (ja) 座標位置決め機械上で作動モジュールを交換するための装置
US20220266457A1 (en) Quick connection device, functional arm and robot
CN109869591B (zh) 夹持结构及具有该夹持结构的云台
JP6273765B2 (ja) クランプ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輸液ポンプ装置
US10134542B2 (en) Trigger switch with lock member
JP2007125248A (ja) クランプ装置
CN101660568A (zh) 铰链机构及应用该铰链机构的便携式电子装置
KR101116290B1 (ko) 회전 및 직선 운동 장치
CN107530504A (zh) 用于使针装置脱离护套和重入护套的设备
US10593914B2 (en) Battery cover structure for portable optical communication equipment and optical communication equipment
CN109975971B (zh) 内窥镜动力锁紧与调节机构及内窥镜持镜系统
CN109646157A (zh) 假肢腕部组件
CN213199621U (zh) 电子设备支架及车载支架
CN208061918U (zh) 一种按钮开关
JP2002130586A (ja) 調節脚装置
KR100758340B1 (ko) 공동주택의 실내 전기공급 콘센트 단자함
JP6981396B2 (ja) 押ボタンスイッチ
JP2009000334A (ja) 内視鏡のコネクタ装置
JP2015536221A (ja) ニードルアセンブリ交換デバイス
JP7041227B2 (ja) 文字盤を固定かつ/または取り外すシステム
JP5083674B2 (ja) 電子装置
KR20160147412A (ko) 젖힘덮개식 전자제품의 쌍회전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