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131B1 - 미세전류를 이용한 마스크 - Google Patents

미세전류를 이용한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131B1
KR101116131B1 KR1020100053689A KR20100053689A KR101116131B1 KR 101116131 B1 KR101116131 B1 KR 101116131B1 KR 1020100053689 A KR1020100053689 A KR 1020100053689A KR 20100053689 A KR20100053689 A KR 20100053689A KR 101116131 B1 KR101116131 B1 KR 101116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metal contact
contact
metal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574A (ko
Inventor
정우협
Original Assignee
정우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협 filed Critical 정우협
Priority to KR1020100053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131B1/ko
Priority to PCT/KR2011/004136 priority patent/WO2011155747A2/ko
Publication of KR20120005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61B2018/0047Upper parts of the skin, e.g. skin peeling or treatment of wrink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미세전류를 이용하기 위한 마스크는, 마스크 내측에서 신체와 접하도록 일 부분에 형성되는 제1 금속 접점, 및 마스크 내측에서 신체와 접하도록 상기 일 부분과 이격된 타 부분에 형성되는 제2 금속 접점을 포함하며, 제1 금속 접점 및 제2 금속 접점 간의 전기적 특성 차이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신체에 미세한 전류에 영향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세전류를 이용한 마스크 {MASK USING MICRO ELECTRICAL CURRENT}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마스크를 착용하는 동안 마스크 본래의 기능 외에도 피로 회복, 노화 방지, 여드름 억제, 피부 개선 등을 겸용할 수 있는 미세전류를 이용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라 함은, 얼굴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가리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신체 착용물을 의미한다. 마스크는 파티나 특정 행사 또는 상황에서 얼굴을 알아보지 못하게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감기나 기타 질병이 걸린 환자가 외부로 또는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해 착용하는 것도 마스크라 할 수 있으며, 피부 개선을 위해 화장품이나 천연재료를 얼굴에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도 마스크라 할 수 있다.
마스크는 얼굴에 일시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는 착용물로서, 얼굴의 전부 또는 일부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얼굴과 관련된 기능을 개선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가 있다.
일본공개특허 평10-24108호에는 "안면 피복 마스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마스크는 안면을 커버할 수 있는 마스크 본체, 마스크 본체의 적소에 마이너스 이온 극성을 갖는 금속과 플러스 이온 극성을 갖는 금속을 서로 절연 또는 근접 상태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본공개특허의 [0011]의 내용을 보면, 2종류의 금속은 마스크 본체에서 얼굴에 접촉하는 특정 적소에서 서로 절연 또는 근접 상태로 박막 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각 금속은 하나로 물리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마스크 본체에 접착된다. 하나의 특정 적소에서 물리적으로 결합된 플러그 이온 극성 금속 및 마이너스 이온 극성 금속이 사용되기 때문에, 특정 적소에서 국한된 영역 내에서만 전기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얼굴 전체적으로 전기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은 마스크 착용과 함께 보호 기능 외에도 신체에 미세한 전기적 영향을 줄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기적 특성이 다른 금속을 이용하여 신체에 미세한 전기적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피부 개선, 노화 방지, 피로 회복, 세균 억제, 여드름 방지, 상처 치료 등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이종의 금속 접점 및 신체의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목적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신체의 건강 증진이나 기능 개선을 보조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얼굴에 일시적 착용을 위해 사용되는 마스크는, 마스크 몸체, 마스크 몸체 내측에서 신체와 접하도록 일 부분에 형성되는 제1 금속 접점, 및 마스크 몸체 내측에서 제1 금속 접점과는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이격된 다른 지점에서 신체와 접하도록 상기 일 부분과 이격된 타 부분에서 별도로 형성되는 제2 금속 접점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금속 접점 및 상기 제2 금속 접점 간의 전기적 특성 차이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신체에 미세한 전류에 영향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접점들은 다른 종류의 금속을 사용함으로써 전기적 특성의 차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기적 특성의 차이에 의해서 양 금속 접점을 매개로 신체에는 미세 전류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접점들은 인체에 특정 지점, 혈 또는 경락 등에 위치함으로써, 착용자로 하여금 의도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눈 주변으로 동자료 또는 태양 혈이 있는데, 이에 대응되는 부분의 양측에 각각 제1 금속 접점 및 제2 금속 접점이 위치하게 할 수가 있다. 이때 금, 은, 동,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스틸 등으로 형성된 금속 접점이 동자료, 태양 혈을 통해서 미세한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데, 착용자는 화장용 마스크를 사용하면서 이들 혈을 통하는 미세전류를 통해 피로 회복, 피부 개선, 여드름 방지, 노화 방지, 주름 개선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다. 이 외에도 착용자의 얼굴에 위치한 양백, 사죽공, 태양, 협차, 거료, 화료, 교근, 관료, 비앙 또는 동자료 혈 등에 금속 접점을 위치시켜 다양한 목적의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미세전류라 함은, 수~수백 마이크로암페어(㎂)의 범위에 속하는 전류로서, 일반적으로 감각수준이하자극(sub-sensory level stimulation)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미세전류에 의한 자극은 경피신경전기자극(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과 같은 형태보다 전류의 강도가 훨씬 낮기 때문에 다른 형태의 전기자극과는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미세전류는 외부의 전류공급장치에 의해서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전기음성도 등과 같이 전기적 특성이 다른 금속에 의해서 발생되는 것으로 지속적이면서 거의 균일한 미세전류 공급을 실현할 수 있다.
종래의 미세전류자극기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미세전류가 공급되는 것과 반대로, 전기적 특성이 다른 금속을 신체에 밀착시킴으로써 신체에 마이크로암페어(㎂) 단위의 미세전류를 생성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미세전류를 신체 중 특정 혈, 경락, 기타 부위에 시킴으로써 인체에 좋은 영향 또는 치료 목적으로 사용될 수가 있다. 비록 외부의 미세전류자극기를 이용한 것이기는 하지만, 미세전류를 이용한 효과에 대해서는 1) 오혜진, 김정우 외, "미세전류전기자극이 흰쥐 창상의 조직학적 구조에 미치는 영향", The Journal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대한물리치료학회, 2008, 2) 오현주, 김종열 외, "만성요통 환자에 대한 미세전류자극 치료가 통증 및 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제3권 제1호, 2008년 2월, 3) 박래준, 최상준 외, "족저근막염 환자의 미세전류발생 신발 착용이 족부 근피로 및 통증완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제18권 제1호, 2006년 2월, 4) 이윤미, 박래준 외, "미세전류발생 신발 착용이 만성 족저근막염 환자의 혈류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제18권 제3호, 2006년 6월, 5) 박영한, "전기자극이 세균성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제6권 제1호, 1994년 등의 논문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마스크이라 함은, 일반적인 마스크를 포함하며 형태나 길이와 무관하게 얼굴에 일시적으로 밀착 가능한 착용물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얼굴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될 수 있으며, 그 목적 역시 의료용, 미용 또는 기타 용도 등을 목적으로 사용될 수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금속 접점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마스크 몸체의 표면 또는 일부 삽입된 형태로 제공되는 금속 접점을 의미하며, 마스크 몸체의 표면에 형성되거나 돌출된 형태로 제공될 수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신체와의 접촉을 위해서 마스크 몸체가 부분적으로 신체 쪽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그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본래 기능 외에도 얼굴에 미세한 전기적 영향을 주어 피로 경감, 시력 회복, 피부 개선, 노화 방지, 세균 억제, 두통 감소, 얼굴 축소, 상처 치료 등 증진된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는 전기적 특성이 다른 금속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신체에서 기존의 전기적 흐름에 미세한 영향을 주거나 새로운 흐름을 형성하여 피부 개선이나 피로 회복 등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도록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지속적으로 미세 전류에 의한 영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종의 금속 접점으로 혈이나 경락을 자극하여 목적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도면이다.
도 1을 보면, 미세전류를 이용한 마스크(100)은 마스크 몸체(110), 제1 금속 접점(140) 및 제2 금속 접점(145)을 포함한다. 마스크 몸체(110)는 원래 화장용 또는 미용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부직포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금속 접점(140)과 제2 금속 접점(145)은 마스크 몸체(110)의 내면에 형성되며, 신체와 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금속 접점(140)과 제2 금속 접점(145)은 동자료 혈에 대응될 수 있으며, 동자료 혈이 위치한 혈 자리에 정확하게 또는 인접하게 위치할 수가 있다. 또한, 제1 금속 접점(140) 및 제2 금속 접점은 혈 자리가 위치한 정확한 위치 또는 그 주변에서 피부와 직접 닿을 수도 있지만 근접한 거리를 두고 이격될 수도 있다. 이는 허용 가능한 범위 및 세기 조절 등을 목적으로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제1 금속 접점(140) 및 제2 금속 접점(145)을 위한 금속 재질을 주로 금, 은, 동, 알루미늄, 스테인리스스틸과 같이 전기적 특성이 동일하지 않은 소재로 사용될 수 있으며, 금-은, 금-알루미늄, 은-알루미늄, 금-스테인리스스틸, 은-스테인리스스틸, 금-동 등 다양한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언급된 금속이 아니더라도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전기 전도도가 높은 물질이라면 기타 다른 재질도 제공될 수가 있다.
제1 금속 접점(140) 및 제2 금속 접점(145)이 동자료 혈에 인접하게 위치함으로써, 착용자는 동자료 혈을 통한 미세한 자극을 통해 주름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미용 팩 성분의 흡수 증가, 얼굴 축소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음성도나 기타 포텐셜 등의 차이로 수~수백 마이크로암페어(㎂) 크기로 미세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신체로서는 부담 없이 변화에 쉽게 적응할 수가 있고, 이러한 미세 전류의 발생은 인체가 거의 감지할 수 없는 낮은 수치로서 거의 영구적으로 지속될 수가 있다.
또한, 얼굴의 교근 등의 혈자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치에 금속 접점(150, 155)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효과를 추가할 수도 있다. 교근 등에 인접하게 위치한 금속 접점(150, 155)은 상호 간에 또는 다른 금속 접점과 상호 작용을 하여 얼굴 축소, 피부 개선, 여드름 방지 등을 위해 좋은 영향을 줄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주요 기술적 내용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마스크 110:마스크 몸체
140, 145:제1 금속 접점, 제2 금속 접점

Claims (3)

  1. 얼굴에 일시적으로 착용하기 위한 마스크에 있어서,
    마스크 몸체;
    상기 마스크 몸체 내측에서 신체와 접하도록 일 부분에 형성되는 제1 금속 접점; 및
    상기 마스크 몸체 내측에서 상기 제1 금속 접점과는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이격된 다른 지점에서 신체와 접하도록 상기 일 부분과 이격된 타 부분에서 별도로 형성되는 제2 금속 접점;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금속 접점 및 상기 제2 금속 접점 간의 전기적 특성 차이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신체 내부를 통해 흐르는 미세한 전류에 영향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접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착용자의 양백, 사죽공, 태양, 협차, 거료, 화료, 교근, 관료, 비앙 또는 동자료 혈과 인접한 위치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접점 중 적어도 하나는 금, 은, 동,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스틸을 사용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KR1020100053689A 2010-06-08 2010-06-08 미세전류를 이용한 마스크 KR101116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689A KR101116131B1 (ko) 2010-06-08 2010-06-08 미세전류를 이용한 마스크
PCT/KR2011/004136 WO2011155747A2 (ko) 2010-06-08 2011-06-07 미세전류를 이용한 마스크, 양말 및 착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689A KR101116131B1 (ko) 2010-06-08 2010-06-08 미세전류를 이용한 마스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0219A Division KR20120014225A (ko) 2012-01-02 2012-01-02 미세전류를 이용한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574A KR20120005574A (ko) 2012-01-17
KR101116131B1 true KR101116131B1 (ko) 2012-02-22

Family

ID=45611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689A KR101116131B1 (ko) 2010-06-08 2010-06-08 미세전류를 이용한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61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0154U (ko) * 1989-11-13 1991-07-12
JPH1024108A (ja) * 1996-07-15 1998-01-27 Japan Giyaruzu:Kk 顔面被覆マスク
JP2008093068A (ja) 2006-10-10 2008-04-24 Soeki Yu 導電按摩効果を持つ顔のマッサージ用の薄膜マス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0154U (ko) * 1989-11-13 1991-07-12
JPH1024108A (ja) * 1996-07-15 1998-01-27 Japan Giyaruzu:Kk 顔面被覆マスク
JP2008093068A (ja) 2006-10-10 2008-04-24 Soeki Yu 導電按摩効果を持つ顔のマッサージ用の薄膜マス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574A (ko) 201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70704B2 (ja) 非侵襲的容量性電気刺激の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ならびに患者の頸部の迷走神経刺激のためのそれらの使用
US6078842A (en) Electrode and iontophoretic device and method
CA2873894A1 (en) Dc output apparatus which can be used for therapeutic purposes
KR101423241B1 (ko) 미세전류 생성 패치
KR200468146Y1 (ko) 마스크
KR20120014225A (ko) 미세전류를 이용한 마스크
KR101299151B1 (ko) 전원공급으로 미세전류를 생성하는 마스크
KR101116131B1 (ko) 미세전류를 이용한 마스크
KR101438143B1 (ko) 신체내 미세 전류에 영향을 주는 마스크
KR20130075948A (ko) 미세전류을 이용한 관절보호대
KR20120000845U (ko) 미세전류를 이용한 마스크
KR101375312B1 (ko) 미세전류 및 온열을 이용한 마스크
KR101526940B1 (ko) 미세전류를 이용한 마스크
KR101231679B1 (ko) 생체 전류 활성용 밴드
KR20130068036A (ko) 미세전류을 이용한 보조기구
Lee Efficacy of scrambler therapy on breast cancer-related lymphedema
KR101526939B1 (ko) 미세전류를 이용한 마스크
KR20120001299U (ko) 미세전류를 이용한 착용물
KR200463511Y1 (ko) 미세전류를 이용한 마스크
US8457765B2 (en) Ear clip with pole
KR20120003028U (ko) 미세전류를 이용한 착용물
JP6742648B1 (ja) 微弱電流具
US11400288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electrical stimulation and their use for vagus nerve stimulation on the neck of a patient
KR20130037591A (ko) 미세전류 자극용 안경
KR20120010532A (ko) 미세전류를 이용한 침구 바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