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5871B1 - 음향 변환 장치 - Google Patents

음향 변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5871B1
KR101115871B1 KR1020090098633A KR20090098633A KR101115871B1 KR 101115871 B1 KR101115871 B1 KR 101115871B1 KR 1020090098633 A KR1020090098633 A KR 1020090098633A KR 20090098633 A KR20090098633 A KR 20090098633A KR 101115871 B1 KR101115871 B1 KR 101115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rotector
diaphragm
sound
bo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1686A (ko
Inventor
김지훈
김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090098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5871B1/ko
Publication of KR20110041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9/00Details of transducers of the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covered by H04R9/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9/024Manufacturing aspects of the magnetic circuit of loudspeaker or microphon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뛰어난 방수 기능을 구비한 음향 변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방출공들을 통하여 물이 유입되더라도 일부 부품을 방수 재질 또는 수압에 견디기 용이한 형상으로 형성시키거나, 부품들 사이의 결합 부분을 방수 재질의 본드로 결합 또는 구조적으로 수밀한 결합을 통하여 방수시키기 때문에 여러 단계에 걸친 방수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나아가 수압이 높은 곳에서도 방수 기능이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음향 변환 장치 {SOUND CONVERTER}
본 발명은 소형 전자 제품에 적용되는 음향 변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수 기능을 높일 수 있는 음향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향 변환 장치는, 자기장이 발생하는 마그네트 주위에 코일을 설치하고, 코일에 전기신호가 가해지면서 자기장과 상기 마그네트에 발생하는 자기장이 서로 밀거나 당기는 작용에 의해 코일이 움직이게 되는데, 코일에 부착된 진동판이 진동을 하면서 음압을 발생시키는 원리로 음향을 만들어내는 장치이다.
이러한 음향 변환 장치의 자기회로는 각각 철금속 성분으로 된 요크 내에 마그네트(영구자석)와 탑 플레이트(또는 어퍼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공극 내에 존재하는 보이스코일에 직각으로 자속이 쇄교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고, 보이스코일은 진동판에 접착되어 있어 입력신호에 의해 상하로 가진력을 발생시켜 프레임에 접착 구속되어 있는 진동판을 진동시켜서 음압을 발생시킨다. 진동판은 상하 진동시에 우수한 응답성과 좌굴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의 웨이브를 가지게 되며, 이러한 진동판의 형상은 주파수 특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설계변수로 작 용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음향 변환 장치의 일예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종래의 음향 변환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과, 프레임(1)의 내측에 삽입 장착되는 요크(2)와, 요크(2)로 자속을 전달하거나 요크(2)로부터 자속을 전달받는 내륜 마그네트(3) 및 외륜 마그네트(4)와, 내륜 마그네트(3) 또는 외륜 마그네트(4)로부터 자속을 전달받아 코일부(7)에 직각으로 자속이 전달되도록 하는 내륜 탑플레이트(5) 및 외륜 탑플레이트(6)와, 내륜 마그네트(3) 및 내륜 탑플레이트(5)와 외륜 마그네트(4) 및 외륜 탑플레이트(6) 간의 공극에 일부분이 삽입되는 코일부(7)와, 코일부(7) 상측에 부착되어 코일부(7)의 상하 운동에 따른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판(8)과, 음방출공(9)이 형성되어 진동판(8)을 보호하는 프로텍터(10)로 이루어진다.
코일부(7)의 인출선은 진동판(8)의 저면에 선처리 본드를 사용하여 부착 고정시키고, 프레임(1)의 측면을 관통하여 또는 프레임(1)에 형성된 홈(미도시)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프레임(1)의 외부 측면을 따라 터미널(미도시)에 각각 납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음향 변환 장치는 요크(2), 내/외륜 마그네트(3,4), 내/외륜 탑플레이트(5,6)가 적층된 다음, 이들을 수용하도록 프레임(1)이 인서트 사출되고, 조립체가 수용된 프레임(1)의 상측에는 코일부(7)가 구비된 진동판(8)과 프로텍터(10)가 본드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음향 변환 장치는 프로텍터의 음방출공을 통하 여 물이 유입될 수 있는데, 이러한 물은 진동판, 프레임과 프로텍터 사이의 결합 부분, 프레임과 진동판 사이의 결합 부분을 통하여 전자기력에 의해 음압을 발생시키는 공간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작동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잦은 고장 및 불량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여러 단계에 걸친 방수 기능을 구비한 음향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은 수압에서도 방수 기능을 구비한 음향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변환 장치는 프레임; 프레임에 장착되며, 일정 간극 사이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회로; 자기회로의 간극에 일부분이 삽입되는 코일부; 그리고, 프레임과 코일부 상단에 부착되고, 코일부의 상하 운동에 따른 진동을 발생시키는 방수 재질의 필름으로 형성된 진동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진동판의 중심부는 중심으로 갈수록 오목한 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진동판의 주변부는 프레임의 상측에 방수 재질의 본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프레임은 음압을 형성하기 위하여 구비된 홀과, 홀을 막아주는 방수 재질의 필름으로 형성된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음향 변환 장치는 진동판을 덮어주도록 프레임 상측에 결합되고, 진동판의 진동에 의한 음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음방출공이 구비된 프로텍터;를 더 포함하고, 프로텍터의 둘레 부분은 프레임의 상측에 방수 재질의 본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프레임과 프로텍터의 결합 부분 사이에는 본드가 수용되는 본드 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프레임은 프로텍터의 결합 부분이 수용되는 외벽을 포함하고, 프로텍터의 결합 부분은 프레임의 외벽 내측 상면과 맞닿도록 외주단에 구비된 수평부와, 수평부 내측에 중심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하며, 본드 홈은 프레임의 외벽, 프로텍터의 수평부 및 경사부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음향 변환 장치는 진동판을 덮어주도록 프레임 상측에 결합되고, 진동판의 진동에 의한 음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음방출공이 구비된 프로텍터;를 더 포함하고, 프레임과 프로텍터의 결합 부분은 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프레임은 외주단에 구비된 외벽과, 외벽 내주 방향에 소정 두께를 가지도록 구비된 안착홈과, 안착홈 내주 방향에 구비된 안착 돌기부를 포함하고, 프로텍터의 결합 부분은 프레임의 안착홈에 끼움되도록 외주단에 구비된 수직부와, 프레임의 안착 돌기부에 안착되도록 수직부 내측에 구비된 수평부와, 수평부 내측에 중심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진동판은 프레임과 프로텍터의 결합 부분 사이에 형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음향 변환 장치는 진동판을 덮어주도록 프레임 상측에 결합되고, 진동판의 진동에 의한 음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음방출공이 구비된 프로텍터; 프레임과 프로텍터에 의해 조립된 유닛이 내장되고, 음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음방출공이 구비된 케이스; 그리고, 음방출공들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프로텍터와 케이스 사이에 링 형상으로 설치되고, 프로텍터를 케이스 내측에 완충 지지하는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완충부재는 방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프로텍터는 완충부재가 안착될 수 있도록 중심부보다 주변부가 낮게 형성된 안착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완충부재는 방수 재질의 테이프에 의해 프로텍터와 케이스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프레임 또는 프로텍터는 코일부의 인출선이 관통되는 홈이 구비되고, 상기 홈은 방수 재질의 본드로 막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변환 장치는 진동판 자체를 방수 재질로 형성하거나, 프레임과 프로텍터 및 진동판의 결합 부분을 방수 재질의 본드 또는 수밀한 형합 구조로 결합하는 다양한 구조를 구비하기 때문에 프로텍터의 음방출공을 통하여 물이 유입되더라도 프레임과 진동판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방수 기능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변환 장치는 프로텍터의 음방출공을 통하여 물이 유입됨에 따라 이와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한 진동판의 중심부를 진동판의 주변부보다 오목한 돔 형상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수압의 물이 프로텍터의 음방출공을 통하여 진동판에 작용하더라도 수압에 유리한 구조에 의해 수압을 견딜 수 있고, 높은 수압에서도 방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변환 장치의 제1실시예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변환 장치의 제1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 내측에 요크(120), 내/외륜 마그네트(131,132), 내/외륜 탑플레이트(141,142)가 적층된 상태로 인서트 사출되는데, 진동판(150)은 저면에 코일부(160)가 부착된 방수 재질의 필름으로 구성되고, 이러한 진동판(150)과 프로텍터(170)는 적층된 상태에서 그 결합 부분은 방수 재질의 본드(B)에 의해 프레임(1110)의 상측에 접착된다. 이때, 요크(120), 내/외륜 마그네트(131,132), 내/외륜 탑플레이트(141,142), 코일부(160)는 종래와 동일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프레임(110)은 프로텍터(170)가 수용되도록 상면 외주단에 수직하게 돌출된 링 형태의 외벽(111)이 구비되고, 진동판(150) 및 프로텍터(170)의 결합 부분이 프레임(110)의 외벽(111) 내측에 안착된 상태에서 일종의 실리콘 계열과 같은 방수 재질의 본드(B)로 부착된다. 그 외에도, 프레임(110)은 음압을 형성하기 저면 외둘레에 홀(112)이 구비되고, 이러한 홀(112)을 통하여 물이 프레임(11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홀(112)을 막아주도록 설치된 발수 또는 방수 재질의 필름으로 형성된 스크린(113)이 구비된다.
진동판(150)은 코일부(160)를 기준으로 그 내측에 구비된 중심부(151)와 그 외측에 구비된 주변부(152)로 이루어지되, 방수 재질의 필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존에 비해 높은 수압에서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유지하도록 전체적으로 두께를 두껍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판(150)의 중심부(151)는 중심으로 갈수록 볼록한 돔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프로텍터(170)의 음방출공(171) 바로 하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수압이 작용하는 것을 견딜 수 있는 구조적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예로, 진동판(150)의 중심부(151)는 일정 구간까지 중심으로 갈수록 볼록하지만, 그 이상의 구간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오목한 돔(dome)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진동판(150)의 중심부(151) 두께가 진동판(150)의 주변부(152)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할 수도 있다. 진동판(150)의 주변부(152)는 외주 부분이 프레임(110)의 외벽(111) 내측 상면에 겹쳐진 다음, 하기에서 설명될 프로텍터(170)의 결합 부분이 적층된 상태에서 방수용 본드로 접착된다.
프로텍터(170)는 프레임(110)의 외벽(111) 내측에 결합되는 일종의 커버로써, 중심부에 복수개의 음방출공(171)이 구비되고, 주변부에 단차진 결합 부분이 구비된다. 이때, 프로텍터(170)의 결합 부분은 외주단에 프레임(110)의 외벽(111) 내측 상면 및 진동판(150)의 주변부(152) 외주단과 겹쳐지는 수평부(172)가 구비되고, 수평부(172) 내측에 중심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부(173)가 구비되며, 이러한 프로텍터(170)의 수평부(172) 및 경사부(173)와 프레임(110)의 외벽(111) 사이에는 본드(B)가 수용되는 소정의 본드 홈이 구비된다. 그 외에도, 프로텍터(170)는 상면에 중심부보다 주변부가 낮게 형성된 안착단(174)이 구비되는데, 프로텍터(170)의 안착단(174) 내측에 프로텍터(170)의 음방출공(171)이 위치하도록 구성되며, 그 기능은 하기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음향 변환 장치의 조립 구조를 살펴보면, 요크(120), 내/외륜 마그네트(131,132), 내/외륜 탑플레이트(141,142)가 수용된 프레임(110) 위에 진동판(150)과 프로텍터(170)를 적층된 상태로 올려놓는데, 진동판(150)의 저면에 구비된 코일부(160)는 내/외륜 마그네트(131,132)와 내/외륜 탑플레이트(141,142)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다음, 프로텍터(170)의 수평부(172)가 진동판(150)의 외주 부분에 적층된 상태에서 프레임(110)의 외벽(111) 내측 상면에 위치하면, 방수 재질의 본드(B)를 프레임(110)의 외벽(111)과 프로텍터(170)의 수평부(172) 및 경사부(173) 사이에 구비된 본드 홈에 소정량을 주입한다. 이때, 본드(B)는 프레임(110)과 프로텍터(170)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유입되고, 프레임(110)에 진동판(150) 및 프로텍터(17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프레임(110)과 프로텍 터(180)의 본드(B) 접착 시에 본드 홈의 구조에 의해 보다 많은 량의 본드(B)에 의해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방수 효과를 높일 수 있고, 나아가 본드(B)가 프레임(110) 외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변환 장치의 장착구조 일예가 도시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변환 장치의 장착구조 일예가 일부 분해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음향 변환 장치는 핸드폰 등과 같은 소형 전자 제품에 장착되는데,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형 케이스(180)에 수용된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110)과 프로텍터(170)에 의해 조립된 음향 변환 유닛(100)은 케이스(180) 내측에 완충부재(190)에 의해 지지되도록 수용된다. 케이스(180)는 음향 변환 유닛(100)에서 발생되는 음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는 음방출공(181)이 구비되는데, 케이스(180)의 음방출공(181)은 프로텍터(170)의 음방출공(171) 외측에 위치하도록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프로텍터(170)의 음방출공(171)이 노출되는 일종의 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완충부재(190)는 링 형태로 구성되는데, 프로텍터(170)의 음방출공(171)을 감싸도록 상기에서 설명한 프로텍터(170)의 안착단(174)에 부착된 다음, 케이스(180)의 음방출공(181) 주변을 감싸도록 케이스(180)의 내측 상면에 부착된다. 이때, 완충부재(190)의 두께는 안착단(174)의 높이보다 더 두껍게 구성되기 때문에 완충부재(190)가 프로텍터(170)와 케이스(180)에 지지되도록 접착된다. 따라서, 케이스(180)의 음방출공(181)을 통하여 유입된 물이 케이스(180)와 프로텍터(170) 사이의 공간에서 외주 방향으로 흘러가 프레 임(110)과 프로텍터(170)의 결합 부분까지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완충부재(190)는 일종의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방수 재질로 형성되며, 완충부재(190)는 접착력이 우수할 뿐 아니라 방수 효과가 있는 일종의 실리콘 테이프 등과 같은 테이프(T)로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에도, 음향 변환 유닛(110)은 코일부(160)으로부터 인출된 전선이 프레임(110) 외부로 인출되는데, 프레임(110) 또는 프로텍터(170)에 구비된 홈이 전선 인출 공간(A)을 형성하며, 이러한 전선 인출 공간(A)에도 별도의 방수 재질의 본드를 도포하여 방수 기능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음향 변환 유닛(100)이 케이스(180)에 조립되면, 물이 케이스(180)의 음방출공(181)을 통하여 유입되더라도 프로텍터(170)의 음방출공(171)으로 유입되지만, 완충부재(190) 및 이를 부착시키는 테이프(T)에 의해 케이스(180)와 프로텍터(170) 사이의 공간을 따라 외주 방향으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이 프로텍터(170)의 음방출공(171)을 통하여 유입되더라도 방수 재질의 진동판(150)에 의해 방수 기능을 유지하되, 진동판(150)의 중심부(151)가 수압에 유리한 강도를 가지도록 소정의 두께 및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수압이 높더라도 방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물이 프로텍터(170)와 진동판(150) 사이의 공간을 따라 외주 방향으로 흘러가더라도 진동판(150)과 프로텍터(170)가 프레임(110)에 방수 재질의 본드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되기 때문에 프레임(110)과 진동판(150) 및 프로텍터(170)의 결합 부분을 통하여 프레임(110)과 진동판(150) 내측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물이 프레임(110)의 저면까지 유입되더라도 프레임(110)의 홀(112)이 방수 재질의 스크린(113)에 의해 막혀 지기 때문에 프레임(110) 내측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변환 장치의 제2실시예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변환 장치의 제2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10) 내측에 요크(220), 내/외륜 마그네트(231,232), 내/외륜 탑플레이트(241,242)가 적층된 상태로 인서트 사출되는데,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진동판(250)은 저면에 코일부(260)가 부착된 방수 재질의 필름으로 구성되고, 이러한 진동판(250)과 프로텍터(270)는 적층된 상태에서 그 결합 부분이 구조적으로 방수 효과를 가지도록 프레임(210)의 상측에 형합된다.
프레임(210)은 프로텍터(270)가 수용되도록 상면 외주단에 수직하게 돌출된 링 형태의 외벽(211)이 구비되고, 외벽(211) 내측에 진동판(250) 및 프로텍터(270)의 결합 부분이 끼워지는 링 형태의 안착홈(212)이 구비되며, 안착홈(212) 내측에 진동판(250) 및 프로텍터(270)의 결합 부분을 지지하는 링 형태의 안착돌기부(213)가 구비된다. 물론, 프레임(210)의 외벽(211)이 프레임(210)의 안착 돌기부(213)보다 높게 형성되며, 프레임(210)의 안착홈(212)은 반경 방향으로 소정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하기에서 프로텍터(270)의 결합 부분이 끼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진동판(250)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진동판(250)의 주변부(252)는 상기 프레임(210)의 안착홈(212) 및 안착 돌기부(213)와 맞닿고, 하기에서 설명된 프로텍터(270)의 결합 부분과 맞닿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프로텍터(270)는 프레임(210)의 외벽(211) 내측에 결합되는 일종의 커버로써, 중심부에 복수개의 음방출공(271)이 구비되고, 주변부에 단차진 결합 부분이 진동판(250)의 주변부(252)와 같이 프레임(210)에 형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프로텍터(270)의 결합 부분은 외주단에 진동판(250)의 주변부(252) 외주단과 겹쳐진 상태로 프레임(210)의 안착홈(212)에 끼워지는 수직부(272)가 구비되고, 수직부(272) 내측에 프레임(210)의 안착 돌기부(213)에 안착되는 수평부(273)가 구비되며, 수평부(273) 내측에 중심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부(273)가 구비된다. 물론, 프로텍터(270)의 수직부(271)는 프레임(210)의 안착홈(212) 반경 방향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방수 기능을 높일 수 있지만, 프레임(210)의 안착홈(212) 두께보다 얇더라도 프레임(210)의 안착홈(212) 바닥면에 밀착되는 소정의 수평 부분을 구비하도록 단차지게 구성하여 방수 기능을 높일 수도 있다. 그 외에도, 프로텍터(270)는 상면에 중심부보다 주변부가 낮게 형성된 안착단(275)이 구비되는데, 프로텍터(270)의 안착단(275) 내측에 프로텍터(270)의 음방출공(271)이 위치하도록 구성되며, 그 기능은 상기의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음향 변환 장치의 조립 구조를 살펴보면, 요크(220), 내/외륜 마그네트(231,232), 내/외륜 탑플레이트(241,242)가 수용된 프레임(210) 위에 진동판(250)과 프로텍터(270)를 적층된 상태로 형합된다. 이때, 프로텍터(270)의 수직부(272)가 프레임(210)의 안착홈(212)에 끼워지고, 프로텍터(270)의 수평부(273)가 프레임(210)의 안착 돌기부(213) 위에 안착되도록 조립되는데, 진동판(250) 역시 프로텍터(270)와 함께 단차진 부분이 프레임(210)에 형합된다. 물론, 진동판(250)과 프로텍터(270)의 단차진 부분은 프레임(210)과 기밀을 유지하도록 형합되기 때문에 물이 유입되더라도 누수를 방지할 수 있지만, 추가로 방수 재질의 본드로 부착하여 더욱 방수 효과를 높일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음향 변환 장치에서 프로텍터(270) 위로 물이 유입되면, 프레임(210)의 안착홈(212)에 프로텍터(270)의 수직부(272)가 기밀이 유지하도록 형합되기 때문에 프레임(210)과 프로텍터(270)의 결합 부분을 통하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로텍터(270)의 음방출공(271)을 통하여 물이 유입되면, 진동판(250) 자체가 방수막 역할을 하여 프레임(210)과 진동판(25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진동판(250)과 프로텍터(270) 사이의 공간으로 외주 방향으로 흘러가더라도 프레임(210)의 안착 돌기부(213)에 진동판(250) 및 프로텍터(270)의 수평부(273)가 기밀을 유지하도록 조립되기 때문에 프레임(210)과 진동판(250) 및 프로텍터(270)의 결합 부분을 통하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음향 변환 장치의 일예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변환 장치의 제1실시예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변환 장치의 장착구조 일예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변환 장치의 장착구조 일예가 일부 분해 도시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변환 장치의 제2실시예가 도시된 측단면도.

Claims (14)

  1. 프레임;
    프레임에 장착되며, 일정 간극 사이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회로;
    자기회로의 간극에 일부분이 삽입되는 코일부; 그리고,
    프레임과 코일부 상단에 부착되고, 코일부의 상하 운동에 따른 진동을 발생시키는 방수 재질의 필름으로 형성된 진동판;을 포함하며,
    프레임은 음압을 형성하기 위하여 구비된 홀과, 홀을 막아주는 방수 재질의 필름으로 형성된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변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진동판의 중심부는 중심으로 갈수록 오목한 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변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진동판의 주변부는 프레임의 상측에 방수 재질의 본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변환 장치.
  4. 프레임;
    프레임에 장착되며, 일정 간극 사이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회로;
    자기회로의 간극에 일부분이 삽입되는 코일부;
    프레임과 코일부 상단에 부착되고, 코일부의 상하 운동에 따른 진동을 발생시키는 방수 재질의 필름으로 형성된 진동판; 그리고,
    음향 변환 장치는 진동판을 덮어주도록 프레임 상측에 결합되고, 진동판의 진동에 의한 음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음방출공이 구비된 프로텍터;를 포함하고,
    프로텍터의 둘레 부분은 프레임의 상측에 방수 재질의 본드로 결합되며, 프레임과 프로텍터의 결합 부분 사이에는 본드가 수용되는 본드 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변환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향 변환 장치는 진동판을 덮어주도록 프레임 상측에 결합되고, 진동판의 진동에 의한 음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음방출공이 구비된 프로텍터;를 더 포함하고,
    프로텍터의 둘레 부분은 프레임의 상측에 방수 재질의 본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변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프레임과 프로텍터의 결합 부분 사이에는 본드가 수용되는 본드 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변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프레임은 프로텍터의 결합 부분이 수용되는 외벽을 포함하고,
    프로텍터의 결합 부분은 프레임의 외벽 내측 상면과 맞닿도록 외주단에 구비된 수평부와, 수평부 내측에 중심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하며,
    본드 홈은 프레임의 외벽, 프로텍터의 수평부 및 경사부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변환 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향 변환 장치는 진동판을 덮어주도록 프레임 상측에 결합되고, 진동판의 진동에 의한 음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음방출공이 구비된 프로텍터;를 더 포함하고,
    프레임과 프로텍터의 결합 부분은 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변환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프레임은 외주단에 구비된 외벽과, 외벽 내주 방향에 소정 두께를 가지도록 구비된 안착홈과, 안착홈 내주 방향에 구비된 안착 돌기부를 포함하고,
    프로텍터의 결합 부분은 프레임의 안착홈에 끼움되도록 외주단에 구비된 수직부와, 프레임의 안착 돌기부에 안착되도록 수직부 내측에 구비된 수평부와, 수평부 내측에 중심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변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진동판은 프레임과 프로텍터의 결합 부분 사이에 형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변환 장치.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향 변환 장치는 진동판을 덮어주도록 프레임 상측에 결합되고, 진동판의 진동에 의한 음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음방출공이 구비된 프로텍터;
    프레임과 프로텍터에 의해 조립된 유닛이 내장되고, 음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음방출공이 구비된 케이스; 그리고,
    음방출공들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프로텍터와 케이스 사이에 링 형상으로 설치되고, 프로텍터를 케이스 내측에 완충 지지하는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완충부재는 방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변환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프로텍터는 완충부재가 안착될 수 있도록 중심부보다 주변부가 낮게 형성된 안착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변환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완충부재는 방수 재질의 테이프에 의해 프로텍터와 케이스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변환 장치.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 또는 프로텍터는 코일부의 인출선이 관통되는 홈이 구비되고,
    상기 홈은 방수 재질의 본드로 막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변환 장치.
KR1020090098633A 2009-10-16 2009-10-16 음향 변환 장치 KR101115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633A KR101115871B1 (ko) 2009-10-16 2009-10-16 음향 변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633A KR101115871B1 (ko) 2009-10-16 2009-10-16 음향 변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686A KR20110041686A (ko) 2011-04-22
KR101115871B1 true KR101115871B1 (ko) 2012-02-28

Family

ID=44047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633A KR101115871B1 (ko) 2009-10-16 2009-10-16 음향 변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58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331B1 (ko) 2012-09-10 2014-03-06 주식회사 이엠텍 음향변환장치
KR101521723B1 (ko) * 2013-12-05 2015-05-19 부전전자 주식회사 사이드 업플레이트 고정수단이 구비된 마이크로 스피커
KR101559304B1 (ko) 2014-02-25 2015-10-19 주식회사 이엠텍 방수 구조를 가지는 마이크로스피커
CN109831722A (zh) * 2018-12-30 2019-05-31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扬声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8424A (zh) * 2012-11-13 2013-10-02 厦门东声电子有限公司 一种微型扬声器
CN106954157B (zh) * 2017-03-31 2019-05-24 歌尔股份有限公司 扬声器单体及其组装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9181A (ja) * 2002-11-07 2004-06-03 Seiko Instruments Inc ダイヤフラム型スピーカを備えた携帯型電子機器
KR20070090694A (ko) * 2006-03-03 2007-09-06 주식회사 이엠텍 마이크로스피커의 방수장치
JP2008278146A (ja) 2007-04-27 2008-11-13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スピーカ装置及び携帯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9181A (ja) * 2002-11-07 2004-06-03 Seiko Instruments Inc ダイヤフラム型スピーカを備えた携帯型電子機器
KR20070090694A (ko) * 2006-03-03 2007-09-06 주식회사 이엠텍 마이크로스피커의 방수장치
JP2008278146A (ja) 2007-04-27 2008-11-13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スピーカ装置及び携帯機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331B1 (ko) 2012-09-10 2014-03-06 주식회사 이엠텍 음향변환장치
KR101521723B1 (ko) * 2013-12-05 2015-05-19 부전전자 주식회사 사이드 업플레이트 고정수단이 구비된 마이크로 스피커
KR101559304B1 (ko) 2014-02-25 2015-10-19 주식회사 이엠텍 방수 구조를 가지는 마이크로스피커
CN109831722A (zh) * 2018-12-30 2019-05-31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扬声器
CN109831722B (zh) * 2018-12-30 2021-06-15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扬声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686A (ko) 201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2054B2 (en) Sound device
KR101115871B1 (ko) 음향 변환 장치
KR101248977B1 (ko) 음향 변환 장치
WO2011080877A1 (ja) スピーカ用振動板及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と携帯端末装置
KR20090013908A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착 구조
US9035513B2 (en) Vibrator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having the vibrator
US20110255732A1 (en) Multifunctional micro speaker
KR101559304B1 (ko) 방수 구조를 가지는 마이크로스피커
KR101760754B1 (ko) 방수 기능 사이드 진동판 및 이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
JP4310791B2 (ja) 電気音響トランデューサを有する防水携帯機器。
KR101538635B1 (ko) 방수 마이크로스피커
US20090003644A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KR101605703B1 (ko) 슬림형 마이크로스피커
KR101552224B1 (ko) 측면 방사형 마이크로스피커 및 이를 구비하는 인클로져스피커
JP6775113B2 (ja) 電気音響変換器、表示装置
JP2005269152A (ja) 多機能型スピーカ
JP5315257B2 (ja) 小型スピーカ
KR20110037439A (ko) 다이내믹 스피커
KR200454024Y1 (ko) 다기능 마이크로 스피커
KR101481649B1 (ko) 마이크로스피커
KR200371619Y1 (ko) 댐퍼가 설치된 박형 스피커
KR20110137697A (ko) 음향변환장치
KR102667297B1 (ko) 방수용 인클로져 스피커
KR101369331B1 (ko) 음향변환장치
KR101050093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밀폐형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