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5334B1 - 발전소 내 비상 운전 장치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발전소 내 비상 운전 장치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5334B1
KR101115334B1 KR1020100134985A KR20100134985A KR101115334B1 KR 101115334 B1 KR101115334 B1 KR 101115334B1 KR 1020100134985 A KR1020100134985 A KR 1020100134985A KR 20100134985 A KR20100134985 A KR 20100134985A KR 101115334 B1 KR101115334 B1 KR 101115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power
electricity
power generation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4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이성선
신의섭
Original Assignee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4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5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ntrol Of Turbines (AREA)

Abstract

발전소 내 비상 운전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전소 내 비상 운전장치는, 송전설비의 파손에 따라 전기 공급을 차단하는 차단기; 차단기의 다운을 감지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감지에 따라 발전용 연료의 공급을 정지하는 연료공급부; 연료공급부의 연료공급이 정지된 상태에서 자체적으로 남아 있는 잔열을 이용하여 증기를 생산하는 스팀발생부; 스팀발생부의 작동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개방된 밸브를 통해 잔열 증기가 공급되어 소내부하용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부; 및 발전부에서 생산된 소내부하용 전기를 공급받고, 제어부에 의해 절전모드로 전환되는 소내부하부를 포함하고, 송전설비가 복구된 경우, 차단기의 복귀를 제어부에서 감지하여 소내부하부의 절전모드를 해제하고, 연료공급부, 스팀발생부 및 발전부를 정상 가동하여 생산된 전기를 송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전소 내 비상 운전 장치 그 방법{EMEGENCY OPERATION APPRATUS IN ELECTRIC POWER STATION AND METHOD THEROF}
본 발명은 발전소 내 비상 운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전소의 송전설비 파손시 차단기 상태를 감지한 후 다운시 밸브를 개방하여 스팀발생부의 잔열을 이용하여 발전부를 가동하고, 소내부하부에서 절전모드를 수행하여 소내부하용 전기를 생산하므로 정상 복구시 즉시 송전이 가능하게 하여 기동비용을 줄여주는 발전소 내 비상 운전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는 열에너지 및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물, 석탄이나 천연가스 또는 원자력 등의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터빈을 회전시키고, 터빈과 연결된 발전기를 통하여 전기를 생산한다.
발전소는 이용되는 에너지원의 종류와 그에 따른 발전방식에 따라 수력발전소, 화력발전소, 원자력발전소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발전소들은 설비를 갖추는 데 있어 입지조건에 많은 제약을 받을 뿐만 아니라 초기 투자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는 송전선로 및 고압변전소 등의 송전설비를 거쳐 저압 변전설비로 공급되고, 이 저압 변전설비에서 적당한 전압으로 강하하여 주상변압기를 거쳐 가정, 건물 및 각종 공공시설물 등에 공급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종래의 송전설비는 낙뢰 등에 의해 단선 되거나 기기의 파손으로 인해 외부 전력 공급계통이 차단됨에 따라 스팀발생장치와 터빈, 발전기 등의 발전장치 가동 역시 정지되어 내부 전류공급이 차단되므로 나중에 송전설비가 복구되더라도 발전소의 내부 수습 가동시간이 많이 걸리고 수습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발전소의 송전설비 파손시 차단기 상태를 감지한 후 다운시 밸브를 개방하여 스팀발생부의 잔열을 이용하여 발전부를 가동하고, 소내부하부에서 절전모드를 수행하여 소내부하용 전기를 생산하므로 정상 복구시 즉시 송전이 가능하게 하여 소내부하의 기동비용을 줄여주는 발전소 내 비상 운전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소 내 비상 운전장치는, 송전설비의 파손에 따라 전기 공급을 차단하는 차단기; 상기 차단기의 다운을 감지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감지에 따라 발전용 연료의 공급을 정지하는 연료공급부; 상기 연료공급부의 연료공급이 정지된 상태에서 자체적으로 남아 있는 잔열을 이용하여 증기를 생산하는 스팀발생부; 상기 스팀발생부의 작동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개방된 밸브를 통해 잔열 증기가 공급되어 소내부하용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부; 및 상기 발전부에서 생산된 소내부하용 전기를 공급받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절전모드로 전환되는 소내부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전설비가 복구된 경우, 상기 차단기의 복귀를 상기 제어부에서 감지하여 상기 소내부하부의 절전모드를 해제하고, 연료공급부, 스팀발생부 및 발전부를 정상 가동하여 생산된 전기를 송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팀발생부는 다수 개의 증기보일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는 다수 개의 증기보일러 중에 어느 하나의 증기보일러의 잔열 증기의 사용이 완료되면, 다른 하나의 증기보일러의 잔열 증기를 공급하도록 순차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는 소내부하용 비상작동시, 정상운전 밸브 개방량에 비하여 4 ~ 6 % 범위 내에서 개방되어 증기를 발전부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전부는 상기 스팀발생부에서 공급되는 잔열 증기에 의해 구동하는 터빈; 및 상기 터빈에 의해 구동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소 내 비상 운전방법은, 송전설비에 연결된 차단기의 다운 여부를 제어부에서 감지하고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단기의 다운을 감지한 경우, 제어부에서 연료공급부의 작동을 중지하는 단계; 상기 연료공급부의 작동 중지한 후 제어부에 의한 밸브의 개방을 통해 스팀발생부에서 공급된 잔열 증기로 발전부를 가동하여 소내부하용 전기를 생산하는 단계; 상기 발전부에서 생산된 소내부하용 전기를 소내부하부를 거쳐 공급시, 상기 소내부하부를 절전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절전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후에 상기 차단기를 감지하고 복귀 상태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단기 복귀 상태인 경우, 제어부에 의해 연료공급부, 스팀발생부 및 발전부를 정상 가동하여 정상화시키고, 소내부하부의 절전모드를 해제하며, 생산된 전기를 송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팀발생부는 다수 개의 증기보일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는 다수 개의 증기보일러 중에 어느 하나의 증기보일러의 잔열 증기의 사용이 완료되면, 다른 하나의 증기보일러의 잔열 증기를 공급하도록 순차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는 소내부하용 비상작동시, 정상운전 밸브 개방량에 비하여 4 ~ 6 % 범위 내에서 개방되어 증기를 발전부로 공급하여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전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발전부에서 생산되는 소내부하용 전기는 정상운전의 소내부하용 전기에 비하여 20 ~ 40% 범위 내에서 감소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내 비상 운전장치 및 그 방법은 발전소의 송전설비 파손시 차단기 상태를 감지한 후 다운시 밸브를 개방하여 스팀발생부의 잔열을 이용하여 발전부를 가동하고, 소내부하부에서 절전모드를 수행하여 소내부하용 전기를 생산하므로 정상 복구시 즉시 송전이 가능하게 하여 소내부하의 기동비용을 줄여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 내 비상 운전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 내 비상 운전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소 내 비상 운전장치 및 그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 내 비상 운전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소 내 비상 운전장치의 구성은, 차단기(20), 제어부(30), 연료공급부(40), 스팀발생부(50), 발전부(70) 및 소내부하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차단기(20)는 송전설비(10)의 파손에 따라 전기 공급을 차단한다.
송전설비(10)는 송전선로, 고압변전소 등의 송전에 필요한 송전 구성요소를 을 포괄적으로 일컫는다.
송전설비(10) 중에 송전선로는 높은 산에 설치된 송전탑에 설치되므로 낙뢰등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다.
제어부(30)는 차단기(10)의 다운(down)을 감지한다.
연료공급부(40)는 제어부(30)의 감지에 따라 발전용 연료의 공급을 정지한다.
연료공급부(40)는 석탄 등과 같은 발전용 연료를 공급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연료공급부(40)는 전기를 많이 소비하므로 발전소 내 비상 운전시에는 소내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작동을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발전소 내 정상 운전시에는 연료공급부(40)는 제1경로(42)를 통하여 스팀발생부(50)로 연료를 공급한다.
스팀발생부(50)는 연료공급부(40)의 연료공급이 정지된 상태에서 자체적으로 남아 있는 잔열을 이용하여 증기를 생산한다.
스팀발생부(50)는 다수 개의 증기보일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팀발생부(40)는 제2경로(52)를 통하여 밸브(60)로 잔열 증기를 공급한다.
밸브(60)는 다수 개의 증기보일러 중에 어느 하나의 증기보일러의 잔열 증기의 사용이 완료되면, 다른 하나의 증기보일러의 잔열 증기를 공급하도록 순차 개방되는 것이다.
여기서, "잔열증기"는 증기보일러를 가동하다가 멈추더라도 내부에 남아 있는 증기의 열기를 일컫는다.
1개의 증기보일러는 통상적으로 25 ~ 35분 정도 사용할 수 있는 잔열을 가지고 있으며 이 잔열을 이용하여 증기를 생산한다.
즉, 1시간 30분 정도의 잔열 증기를 이용하고자 한다면, 3개 정도의 증기보일러가 일렬로 배열되고, 이 증기보일러를 순차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밸브(60)를 구비하는 것이다.
밸브(60)는 제3경로(62)를 통하여 발전부(70)의 터빈(72)으로 증기를 공급하여 구동한다.
발전부(70)는 스팀발생부(50)의 작동에 따라 제어부(30)에 의해 개방된 밸브(60)를 통해 잔열 증기가 공급되어 소내부하용 전기를 생산한다.
밸브(60)는 다수 개의 증기보일러 중에 어느 하나의 증기보일러의 잔열 증기의 사용이 완료되면, 다른 하나의 증기보일러의 잔열 증기를 공급하도록 순차 개방되는 것이다.
밸브(60)는 소내부하용 비상운전 작동시, 정상운전 밸브 개방량에 비하여 4 ~ 6% 범위 내에서 개방되어 증기를 발전부(70)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밸브(60) 개방량이 5% 정도인 것이 좋다.
이때, 발전부(70)는 정상운전으로 작동하는 경우, 100%의 전기를 생산한다면, 95%정도의 전기는 송전설비(10)를 통하여 일반용 또는 산업용으로 공급되고, 5% 정도의 전기는 소내부하용으로 소내부하부(80)로 공급되어 연료공급부(40), 스팀발생부(50), 발전부(70) 등의 부하용으로 사용된다.
발전부(70)는 스팀발생부(50)에서 공급되는 잔열 증기에 의해 구동하는 터빈(72) 및 터빈(72)에 의해 구동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74)를 포함한다.
소내부하부(80)는 발전부(70)에서 생산된 소내부하용 전기를 제4경로(76)와 제5경로(82)를 거쳐 공급받고, 제어부(30)에 의해 절전모드로 전환된다.
절전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30)는 연료공급부(40)의 가동을 정지하고, 스팀발생부(50), 발전부(70) 및 기타 발전소 내에 구성물에 사용되는 전기를 최소화하여 공급한다.
절전모드로 전환된 경우, 발전부(70)에서 생산되는 소내부하용 전기는 정상운전의 소내부하용 전기에 비하여 20 ~ 40% 범위 내에서 감소 생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밸브(60)의 전기공급 및 발전부(70)의 감지설비의 전기공급을 최소화하고, 건물의 복도 또는 사무실 등에 설치된 실내등을 1/3만 점등하고 나머지 2/3은 소등하는 것과 같이 제어부(30)의 절전모드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송전설비(10)가 복구된 경우, 차단기(10)의 복귀를 제어부(30)에서 감지하여 소내부하부(80)의 절전모드를 해제하고, 연료공급부(40), 스팀발생부(50) 및 발전부(70)를 정상 가동하여 생산된 전기를 송전설비(10)를 통하여 송전하므로 비상운전을 종료하고 발전계통을 정상화한다.
즉, 송전설비(10)가 복구하자마자, 종래와 같이 소내 전기공급이 차단되어 내부수습에 대한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것과 다르게, 소내부하가 최소 전기를 생산하는 상태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신속한 계통복구가 가능하여 기동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소 내 비상 운전방법의 흐름 상태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전소 내 비상 운전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소 내 비상 운전방법은, 우선, 외부 송전설비(10)에 연결된 차단기(20)의 다운 여부를 제어부(30)에서 감지하고 판단한다.(S10)(S20)
그리고, 차단기(20)의 다운을 감지한 경우, 비상운전을 개시하여 제어부(30)에서 연료공급부(30)의 작동을 중지한다.(S30)
이때, 차단기(20)의 다운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에는 차단기(20) 감지 상태 이전으로 복귀하여 지속적으로 차단기(20)의 다운을 여부를 감지한다.
그리고, 연료공급부(30)의 작동 중지한 후 제어부(30)에 의한 밸브(60)의 개방을 통해 스팀발생부(50)에서 공급된 잔열 증기로 발전부(70)를 가동하여 소내부하용 전기를 생산한다.(S40)
이때, 스팀발생부(50)는 다수 개 형성된 증기보일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개의 스팀발생부(50)는 설정간격을 갖도록 일렬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60)는 다수 개의 증기보일러 중에 어느 하나의 증기보일러의 잔열 증기의 사용이 완료되면, 다른 하나의 증기보일러의 잔열 증기를 공급하도록 순차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60)는 소내부하용 비상작동시, 정상운전 밸브 개방량에 비하여 4 ~ 6 % 범위 내에서 개방되어 증기를 발전부(70)로 공급하여 가동한다.
연이어, 발전부(70)에서 생산된 소내부하용 전기를 소내부하부(80)를 거쳐 공급시, 소내부하부(80)를 절전모드로 전환한다.(S50)
절전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후에 차단기(20)를 감지하고 복귀 상태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한다.(S60)(S70)
절전모드로 전환된 경우, 발전부(70)에서 생산되는 소내부하용 전기는 정상운전의 소내부하용 전기에 비하여 20 ~ 40% 범위 내에서 감소 생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밸브(60)의 전기공급 및 발전부(70)의 감지설비의 전기공급을 최소화하고, 건물의 복도 또는 사무실 등에 설치된 실내등을 1/3만 점등하고 나머지 2/3은 소등하는 것과 같이 절전모드를 가동한다.
그리고, 차단기(20) 복귀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비상운전 상태에 따른 차단기(20) 복귀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지한다.
차단기(20) 복귀 상태인 경우, 제어부(30)에 의해 연료공급부(40), 스팀발생부(50) 및 발전부(70)를 정상화시키고, 소내부하부(80)의 절전모드를 해제하며, 생산된 전기를 송전하므로 비상운전을 종료한다.(S80)(S90)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내 비상 운전장치 및 그 방법은 발전소의 송전설비 파손시 차단기 상태를 감지한 후 다운시 밸브를 개방하여 스팀발생부의 잔열을 이용하여 발전부를 가동하고, 소내부하부에서 절전모드를 수행하여 소내부하용 전기를 생산하므로 정상 복구시 즉시 송전이 가능하게 하여 소내부하의 기동비용을 줄여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송전설비 20 : 차단기
30 : 제어부 40 : 연료공급부
50 : 스팀발생부 60 : 밸브
70 : 발전부 72 : 터빈
74 : 발전기 80 : 소내부하부
S10 ~ S90 : 본 발명의 비상 운전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인 단계들

Claims (10)

  1. 송전설비의 파손에 따라 전기 공급을 차단하는 차단기;
    상기 차단기의 다운을 감지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감지에 따라 발전용 연료의 공급을 정지하는 연료공급부;
    상기 연료공급부의 연료공급이 정지된 상태에서 자체적으로 남아 있는 잔열을 이용하여 증기를 생산하는 스팀발생부;
    상기 스팀발생부의 작동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개방된 밸브를 통해 잔열 증기가 공급되어 소내부하용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부; 및
    상기 발전부에서 생산된 소내부하용 전기를 공급받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절전모드로 전환되는 소내부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전설비가 복구된 경우, 상기 차단기의 복귀를 상기 제어부에서 감지하여 상기 소내부하부의 절전모드를 해제하고, 연료공급부, 스팀발생부 및 발전부를 정상 가동하여 생산된 전기를 송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내 비상 운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부는 다수 개 형성된 증기보일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내 비상 운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다수 개의 증기보일러 중에 어느 하나의 증기보일러의 잔열 증기의 사용이 완료되면, 다른 하나의 증기보일러의 잔열 증기를 공급하도록 순차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내 비상 운전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소내부하용 비상작동시, 정상운전 밸브 개방량에 비하여 4 ~ 6 % 범위 내에서 개방되어 증기를 발전부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내 비상 운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는
    상기 스팀발생부에서 공급되는 잔열 증기에 의해 구동하는 터빈; 및
    상기 터빈에 의해 구동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내 비상 운전장치.
  6. 송전설비에 연결된 차단기의 다운 여부를 제어부에서 감지하고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단기의 다운을 감지한 경우, 제어부에서 연료공급부의 작동을 중지하는 단계;
    상기 연료공급부의 작동 중지한 후 제어부에 의한 밸브의 개방을 통해 스팀발생부에서 공급된 잔열 증기로 발전부를 가동하여 소내부하용 전기를 생산하는 단계;
    상기 발전부에서 생산된 소내부하용 전기를 소내부하부를 거쳐 공급시, 상기 소내부하부를 절전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절전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후에 상기 차단기를 감지하고 복귀 상태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단기 복귀 상태인 경우, 제어부에 의해 연료공급부, 스팀발생부 및 발전부를 정상 가동하여 정상화시키고, 소내부하부의 절전모드를 해제하며, 생산된 전기를 송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내 비상 운전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부는 다수 개 형성된 증기보일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내 비상 운전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다수 개의 증기보일러 중에 어느 하나의 증기보일러의 잔열 증기의 사용이 완료되면, 다른 하나의 증기보일러의 잔열 증기를 공급하도록 순차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내 비상 운전방법.
  9. 제 6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소내부하용 비상작동시, 정상운전 밸브 개방량에 비하여 4 ~ 6 % 범위 내에서 개방되어 증기를 상기 발전부로 공급하여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내 비상 운전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발전부에서 생산되는 소내부하용 전기는 정상운전의 소내부하용 전기에 비하여 20 ~ 40% 범위 내에서 감소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내 비상 운전방법.
KR1020100134985A 2010-12-24 2010-12-24 발전소 내 비상 운전 장치 그 방법 KR101115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985A KR101115334B1 (ko) 2010-12-24 2010-12-24 발전소 내 비상 운전 장치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985A KR101115334B1 (ko) 2010-12-24 2010-12-24 발전소 내 비상 운전 장치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5334B1 true KR101115334B1 (ko) 2012-03-06

Family

ID=46141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985A KR101115334B1 (ko) 2010-12-24 2010-12-24 발전소 내 비상 운전 장치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53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5202A (ja) * 1995-04-07 1996-11-01 Toshiba Corp 流動層ボイラ発電プラント
KR20010038807A (ko) * 1999-10-27 2001-05-15 이종훈 고장감지제어용 전자기판 및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 고장제어설비장치
JP2002227611A (ja) 2001-02-01 2002-08-14 Toshiba Corp 加圧流動床ボイラ発電プラントとそ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5202A (ja) * 1995-04-07 1996-11-01 Toshiba Corp 流動層ボイラ発電プラント
KR20010038807A (ko) * 1999-10-27 2001-05-15 이종훈 고장감지제어용 전자기판 및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 고장제어설비장치
JP2002227611A (ja) 2001-02-01 2002-08-14 Toshiba Corp 加圧流動床ボイラ発電プラントとその制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056682U (zh) 电厂黑启动专用柴油发电机组及其控制系统
JP2008283856A (ja) 風力発電所の起動方法、風力発電所及び風力発電所の利用方法
KR101480770B1 (ko) 무정전 비상 전원 공급 시스템 및 방법
CN109301865B (zh) 用于风电机组的储能系统的控制方法和通讯管理系统
JP2011083088A (ja) 直流配電システム
CN113162215A (zh) 一种代替海上平台柴油发电机系统的新的应急电源系统及控制方法
CN208015451U (zh) 一种海上风力发电机组抗台风后备电源系统
KR101115334B1 (ko) 발전소 내 비상 운전 장치 그 방법
JP2005168258A (ja) 送配電システム、非常用電気機器および送配電システムの運用方法
ATE551743T1 (de) Überbrückung eines netzausfalls bei einer brennstoffzellenanlage
JP2007165070A (ja) 燃料電池起動制御システム、燃料電池起動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5015820A (ja) 遠隔操作受付用電源装置、遠隔操作受付用電源システム、遠隔制御装置、遠隔操作受付用プログラム、遠隔制御用プログラム
CN202049382U (zh) 浆纸厂自备临界火电厂黑启动电力系统
JP2016133267A (ja) 電力供給システム
CN105244906A (zh) 风力发电机变流器的待机状态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14024291A (zh) 一种多种控制的组件级快速关断器
CN206894351U (zh) 一种风电场偏航后备电源系统
CN102183936B (zh) 浆纸厂自备临界火电厂黑启动电力系统及其供电方法
KR101695218B1 (ko) 태양광 발전 설비 운용시스템
CN210003395U (zh) 1200kw单相发电机组控制电路
CN206894350U (zh) 一种风电场偏航用的后备电源系统
CN215733639U (zh) 太阳能不间断电源装置
CN203434734U (zh) 控制发电机和市电向负载供电的控制装置
CN216312743U (zh) 带出口断路器双燃机配置的保安电源系统
CN217813746U (zh) 发电机组制动风闸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