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8807A - 고장감지제어용 전자기판 및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 고장제어설비장치 - Google Patents

고장감지제어용 전자기판 및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 고장제어설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8807A
KR20010038807A KR1019990046925A KR19990046925A KR20010038807A KR 20010038807 A KR20010038807 A KR 20010038807A KR 1019990046925 A KR1019990046925 A KR 1019990046925A KR 19990046925 A KR19990046925 A KR 19990046925A KR 20010038807 A KR20010038807 A KR 20010038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ntrol
valve
loop
control lo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6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7829B1 (ko
Inventor
노연숙
김상섭
Original Assignee
이종훈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훈,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이종훈
Priority to KR1019990046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7829B1/ko
Publication of KR20010038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8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7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78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afety Devices In Control Systems (AREA)
  • Feedback Control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장감지제어용 전자기판(NFT) 및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 고장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형이면서 고장율이 적고 열발생이 적은 전자기판 내장형 직류-직류 변환기 사용 및 전원 퓨즈 이중화로 신뢰도를 증진시키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밸브제어기 전자기판의 출력값을 기준값(A)으로 하고, 현장밸브개도전송기의 신호값(B), 정상제어루프밸브 제어신호(C) 및 비상제어루프밸브 제어신호(D)를 입력받아 상기 각각의 신호를 비교하는 입력신호 처리부, 상기 입력신호 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신호, 케비넷에 설치된 운전모드 선택용 조작스위치 메뉴얼 전환 혹은 오프/리셋 신호 등을 검출하여 정상제어루프-비상제어루프 전환용 릴레이 동작신호와 현장 운전루프 선택용 솔레노이드 밸브 여자신호 및 주제어실 경보신호를 제공하는 비교 및 감시부, 상기 비교 및 감시부로부터 제공된 신호 중 고장신호를 감지하여 설정치(디지털로 설정되어 필요시 변경 가능)를 초과한 경우 상기 주제어실에 경보 및 현장 루프선택용 솔레노이드밸브에 동작신호를 제공하여 대기중인 비상제어루프로 자동 전환시켜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의 계속적인 정상운전을 가능하게 하고, 운전모드 선택용 조작스위치를 이용하여 메뉴얼로 전환한 후 가동중 정비를 가능하게 하는 고장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무정지 안정운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고, 증기발생기 수위제어루프 건전성을 상시 확보할 수 있으며, 타 발전소의 동일 제어루프에 직접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장감지제어용 전자기판 및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 고장제어설비 장치{NFT Card and S/G Level control loop Fault Tolerance Facility}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의 핵심 제어설비로 사용되고 있는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의 단일 제어구성품 고장으로 발생할 수 있는 발전소 과도현상을 방지하고 불시정지를 예방하기 위한 고장감지제어용 전자기판 및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 고장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는 크게 전자제어설비 및 공기식제어설비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이들 설비들이 단일제어루프로 이루어져 있어 고장발생시 가동중 정비가 불가능하고 고장이 발전소 불시정지에 직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발전소의 과도현상이나 불시정지로부터 발전소를 보호하고 원자력 발전소의 제어루프에 대한 신뢰성을 상시 확보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발전소 과도현상을 방지하고 불시정지를 예방하기 위해, 소형이면서 고장율이 적고 열발생이 적은 전자기판 내장형 직류-직류 변환기 사용 및 전원 퓨즈 이중화로 신뢰도를 증진시키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밸브제어기 전자기판의 출력값을 기준값(A)으로 하고, 현장밸브개도전송기의 신호값(B), 정상제어루프밸브 제어신호(C) 및 비상제어루프밸브 제어신호(D)를 입력받아 상기 각각의 신호를 비교하는 입력신호 처리부와, 상기 입력신호 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신호, 케비넷에 설치된 운전모드 선택용 조작스위치 메뉴얼 전송 혹은 오프/리셋 신호 등을 검출하여 정상제어루프-비상제어루프 전환용 릴레이 동작신호와 현장 운전루프 선택용 솔레노이드 밸브 여자신호 및 주제어실 경보신호를 제공하는 비교 및 감시부, 그리고 상기 비교 및 감시부로부터 제공된 신호 중 고장신호를 감지하여 설정치(디지털로 설정되어 필요시 변경 가능)를 초과한 경우 상기 주제어실에 경보 및 현장 루프선택용 솔레노이드밸브에 동작신호를 제공하여 대기중인 비상제어루프로 자동 전환시켜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의 계속적인 정상운전을 가능하게 하고, 운전모드 선택용 조작스위치를 이용하여 메뉴얼로 전환한 후 가동중 정비를 가능하게 하는 고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고장감지제어용 전자기판(NFT)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고장감지제어용 전자기판(NFT) 논리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기 수위제어루프 공정제어 블럭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의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 개선 개략 구성 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의 개선된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POSITIONER 설치용 BRACKET 제작공정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FEEDBACK-BAR 제작 공정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POSITIONER & SOV 설치용 BRACKET 제작공 정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SOV 설치용 BRACKET 제작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고장감지제어용 전자기판 110 : 전원부
120 : 입력신호 처리부 130 : 프로그램부
131 : 비교 및 감시 처리부 132 : 고장 제어부
133 : LED 표시부 140 : 고장제어 신호구동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고장감지제어용 전자기판(NFT) 구성도로서, 정상운전중에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의 고장발생시 고장신호를 감지하여 대기중인 제어루프로의 자동전환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각종 제어 구성품의 단순고장시에도 계통의 동요 및 발전소 불시정지없이 주급수 제어밸브의 정상적인 제어를 가능하게 하며, 주제어실에 관련정보를 발생시켜 운전원에게 상황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개발된 고장감지 제어용 전자기판의 구성을 보면, 크게 전원부(110), 입력신호처리부(120), 비교 및 감시부(131), 고장제어부(132), LED 표시부(133) 및 고장제어 신호 구동부(14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장감지제어용 전자기판의 각 구성요소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전원부(1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원공급기와는 달리 소형이면서 고장율이 적고 열발생이 적은 전자기판 내장형 DC-DC 변환기 사용 및 전원 퓨즈(Fuse) 이중화로 신뢰도를 증진시킨다.
다음 상기 입력신호 처리부(120)는 상기 전원부(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밸브제어기 전자기판(NCB)의 출력값을 기준값(REF Signal; A)으로 하고, 현장 밸브개도전송기의 신호값(VPT Signal; B), 정상제어루프밸브 제어신호(NCD 1 Signal; C) 및 비상제어루프밸브 제어신호(NCD 2 Signal; D)를 입력받아 A-B, A-C 및 A-D 신호를 서로 비교한다.
이때 프로그램(PROGRAM)내의 비교 및 감시부(131)에서는 상기 입력신호 처리부(120)로 들어온 신호, 제어캐비넷에 설치된 운전모드 선택용 조작스위치의 메뉴얼 전송(Manual Transfer) 혹은 오프/리셋(Off/Reset) 신호 등을 검출하여 정상제어루프-비상제어루프 전환용 릴레이(Relay) 동작신호와 현장 운전루프 선택용 솔레노이드 밸브 여자신호 및 주제어실 경보신호를 제공하면, 상기 고장제어부(132)는 상기 비교 및 감시부(131)로부터 제공된 신호중 고장신호를 감지하여 설정치(디지털로 설정되어 필요시 임의로 변경 가능)를 초과한 경우 상기 주제어실에 경보 발생 및 현장 운전루프선택용 솔레노이드밸브(SOV 1 & 2)에 동작신호를 제공하여 대기중인 비상제어루프로 자동전환시킴으로써,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의 계속적인 정상운전을 가능하게 하고, 운전모드 선택용 조작스위치를 이용하여 매뉴얼로 전환한 후 가동중 정비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LED 표시부(133)는 입력신호 처리부(120)의 신호를 전자기판의 전면에 디지털로 표시하여 별도의 추정장비 없이 신호의 정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임의의 설정치 변경이 가능하고, 고장제어부(132)의 상태를 LED로 표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고장감지제어용 전자기판(NFT) 논리구성도로서, 입력상태가 밸브제어기 전자기판(NCB)의 신호(A) < 밸브의 상태(VPT) 신호(B) 또는 NCB 신호A) > VPT 신호(B)일 때, 상기 설정치에 따라 출력(Output)의 채널(Channel) 변환용 릴레이(Relay), 채널 감시용 릴레이, 입력 A-B 비교용 릴레이 및 현장 운전루프 선택용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 릴레이가 여자되고, 기판전면의 채널 변환 LED(CH C), 채널 감시 LED(CH), A-B 동작 LED(AB) 및 현장 운전루프 선택용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 LED(SOV)가 점등(ON)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입력상태가 밸브제어기 전자기판(NCB)의 신호(A) < 정상제어루프 밸브(NCD1) 전자기판 신호(C) 또는 A > C일 때 설정치에 따라 출력(Output)이 채널(Channel) 변환용 릴레이(Relay), 채널 감시용 릴레이, 입력 A-C 비교용 릴레이 및 현장 은전루프 선택용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 릴레이가 여자되고, 기판전면의 채널 변환 LED(CH C), 채널 감시 LED(CH), A-C 동작 LED(AC) 및 현장 운전루프 선택용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 LED(SOV)가 점등(ON)되도록 한다.
상기 입력상태가 밸브제어기 전자기판(NCB)의 신호(A) > 비상제어루프 밸브(NCD2) 전자기판 신호(D) 또는 A < D일 경우 설정치에 따라 A-D 단독 실행이거나 A-D 동작 후 A-B, A-C가 동작하면 출력의 채널 변환용 릴레이가 동작하지 않고, A-D 비교용 릴레이만 동작하며, 신호 동작 상태에 따라 기판 전면의 A-D 동작 LED(AD)가 점등(ON)되도록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기 수위제어루프 공정제어 블럭구성도로서, 주제어실 부분의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에 NCD 2 전자기판(240)을 추가 설치하여 기존의 NCD 1 전자기판(230)과 병렬운전함으로써, 정상운전 중에는 NCD 1 계열의 정상제어루프가 담당하고, 고장발생시 고장감지 제어용 전자기판(NFT)에서 감지된 고장신호에 의해 대기중인 건전한 NCD 2 계열의 비상제어루프로 자동 전환되게 함으로써, 계통의 동요없이 계속적인 원활한 정상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의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 개선 개략 구성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의 개선된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 구성도이다.
상기 도 4의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는 기존 정상 제어루프와 신설된 비상 제어루프 선택기능 및 각종 신호를 전기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기능을 갖도록 릴레이 전자기판(NRC)을 추가로 설치하였으며, 신설된 현장 밸브개도전송기(VPT)에 전원을 공급하고 밸브위치를 전송받기 위한 NLP 전자기판을 설치하고, 고장에 의해 대기중인 비상 제어루프로 전환된 후 복구과정에서 복구신호 제공 및 필요시 수동전환 신호제공 기능을 가진 선택스위치를 신설함과 아울러 고장발생시 운전원에게 상황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관련경보를 신설하였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의 개선된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 구성도로서, NFT 전자기판을 설치한 후의 구성도로 기존의 설비에 NCD 전자기판(FCV 478A), 전류/공기 변환기(I/P Converter), 주급수제어밸브 위치제어기(Positioner), 전류/전압 변환용 전자기판(NLP) 및 릴레이 전자기판(NRC)을 추가 설치하여 안정성에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정상동작일 때는 상기 도 3의 정상제어루프(FCY 478)을 통하여 운전상태를 유지하며, 동작조건이 발생되면 NFT 전자기판이 동작하여 이중화된 FCY 478A를 통하여 계통이 운전되므로 정상운전에 영향을 주지 않고 경보만을 발생한다.
이때 리셋(Reset) 기능을 주어 기존의 고장점을 수리한 후 리셋하여 정상이면 기존 구성도로 복귀하고, 비정상이면 동작하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하는 정상판정 리셋 기능을 갖는다.
메뉴얼(Manual) 기능을 주어 모든 기판이 고장이면 메뉴얼 상태로 전환한 후 정상운전에 영향을 주지 않고 고장 제어구성품을 수리할 수 있으며, 인위적으로 리셋 기능과 메뉴얼 기능을 취할 수 있다.
한편, 입력전원 이상시 전원 실패(Power Fail) 신호를 보내 운전원에게 경보를 제공하고, 퓨즈(Fuse)를 이중화하여 감지기능으로 전자기판 전면에 LED 1, 2를 설치하였으며, 입력전원과 동작전원을 분리하여 분리에 의한 발진이 없도록 DC-DC 변환기를 사용하였다. 또한 지연회로(LAG)와 시간 지연기(Time Delay)를 기판 내에 독립적으로 제작하고, 중앙처리장치(CPU) 정상동작 상태를 감시하기 위해 LED를 점멸하도록 하였다. 동작조건 설정값은 소거가능한 롬(EEPROM)에 재기록 전까지 영구 보존하고, 필요시 수시로 재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고, 디스플레이(Display)를 통하여 별도의 장비없이 손쉽게 감시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정상 운전중에 NFT 전자기판이 고장이거나, 제거해도 계통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POSITIONER 설치용 BRACKET 제작공정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FEEDBACK-BAR 제작 공정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POSITIONER & SOV 설치용 BRACKET 제작공정도 그리고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SOV 설치용 BRACKET 제작공정도이다.
현장 제어설비 부분으로 주급수제어밸브 위치제어기(Positioner) 이중화, 주급수제어밸브 개도 검출용 VPT 루프 신설, 운전루프 선택용 SOV 및 전류/공기압 변환기(I/P Converter)를 추가 설치하였다.
상기 주급수제어밸브 위치제어기 이중화로 비상제어루프용 주급수제어밸브 위치제어기를 각 제어밸브에 1개씩 추가로 설치하여 기존의 정상 제어루프에 속한 밸브위치제어기와 병렬운전함으로써, 정상제어루프 고장시 밸브위치 편차신호에 의해 건전한 비상제어루프 밸브위치제어기로 자동전환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주급수제어밸브 밸브개도 검출용 VPT 루프는, 밸브개도 검출용 VPT 내장형 밸브위치제어기를 설치하여 주급수제어밸브제어기 전자기판의 출력값(NCB 출력)과 실제 밸브 개도(VPT 신호)의 차이를 검출하여 설정치 초과시 고장상태로 간주하도록 한다.
상기 운전루프 선택용 SOV 설치로는, 밸브위치제어기 후단에 운전루프 선택용 SOV를 도 9와 같은 Bracket를 제작하여 주급수제어밸브 상/하부에 각 1개씩 설치하여 SOV의 여자/비여자에 의해 밸브위치제어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즉 정상제어시 SOV 비여자시에는 정상제어용 밸브위치제어기로 제어하도록 공기배관을 배열하고, 고장감지에 의한 SOV 여자시에는 비상제어용 밸브위치제어기로 제어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전류/공기압 변환기(I/P Converter) 추가 설치는, 기존의 전류공기압 변환기와 별도로 독립적인 전류/공기압 변환기를 설치함으로써 전류/공기압 변환기의 고장에 대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증기발생기 수위제어루프 주요 구성품의 단순고장에 의한 영향을 극복하여 발전소 불지정지를 방지함으로써 무정지 안정운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고, 증기발생기 수위제어루프 주요 구성품의 고장시 가동중 정비가 가능하므로 증기발생기 수위제어루프 건전성을 상시 확보할 수 있으며, 국내·외 타 발전소의 동일 제어루프에 직접 적용이 가능하며, 기타 주요 계통 유사 설비 국산화 및 신기술개발을 위한 기반기술을 축적할 수 있는 기술적인 효과를 갖는다.
1) 전자제어설비 부분
항목 발명전 발명 후
단일 제어부품 고장시 제어 상태 ◆ 발전소 불지정지와 직 결 ◆ BACK-UP 제어루프 로 자동변환◆ 발전소 불시정지 없음
제어루프고장 감지 및 경보 기능 ◆ 없음 ◆ 있음
가동중 정비성 ◆ 정비 불가능 ◆ 정비 가능
고장시 원인 분석시간 ◆ 장시간 소요 ◆ 단시간 소요
2) 공기식제어설비 부분
항 목 발 명 전 발 명 후
단일제어부품 고장시 제어 상태 ◆ 발전소 불시정지와 직결 ◆ BACK-UP 제어루프 자동전환◆ 발전소 불시정지 없 음
제어밸브 개도확인 능력 ◆ 단순 개/폐 상태만 인지 ◆ 정확한 개도 인지 가능

Claims (11)

  1. 발전소 과도현상을 방지하고 불시정지를 예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소형이면서 고장율이 적고 열발생이 적은 전자기판 내장형 직류-직류 변환기 사용 및 전원 퓨즈 이중화로 신뢰도를 증진시키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밸브제어기 전자기판의 출력값을 기준값(A)으로 하고, 현장밸브개도전송기의 신호값(B), 정상제어루프밸브 제어신호(C) 및 비상제어루프밸브 제어신호(D)를 입력받아 상기 각각의 신호를 비교하는 입력신호 처리부와;
    상기 입력신호 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신호, 캐비넷에 설치된 운전모드 선택용 조작스위치 메뉴얼 전송 혹은 오프/리셋 신호 등을 검출하여 정상제어루프-비상제어루프 전환용 릴레이 동작신호와 현장 운전루프 선택용 솔레노이드 밸브 여자신호 및 주제어실 경보신호를 제공하는 비교 및 감시부와;
    상기 비교 및 감시부로부터 제공된 신호 중 고장신호를 감지하여 설정치(디지털로 설정되어 필요시 임의로 변경 가능)를 초과한 경우 상기 주제어실에 경보 및 현장 루프선택용 솔레노이드밸브에 동작신호를 제공하여 대기중인 비상제어루프로 전환시켜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의 계속적인 정상운전을 가능하게 하고, 운전모드 선택용 조작스위치를 이용하여 메뉴얼을 전송한 후 가동중 정비를 가능하게 하는 고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감지제어용 전자기판(NFT) 및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 고장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밸브제어기 전자기판(NCB) 신호와, 밸브의 상태 신호(B)와, 정상제어루프 밸브(NCD1) 전자기판 신호(C) 및 비상제어루프의 밸브(NCD2) 전자기판 신호((D)의 비교를 통해 고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감지제어용 전자기판(NFT) 및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 고장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입력상태가 밸브제어기 전자기판(NCB)의 신호(A) < 밸브의 상태(VPT) 신호(B) 또는 NCB 신호(A) > VPT 신호(B)일 때, 상기 설정치에 따라 출력의 채널 변환용 릴레이(Relay), 채널 감시용 릴레이, 입력 A-B 비교용 릴레이 및 현장 운전루프 선택용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 릴레이가 여자되고, 기판전면의 채널 변환 LED(CH C), 채널 감시 LED(CH), A, B 동작 LED(AB) 및 현장 운전루프 선택용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 LED(SOV)가 점등(ON)하고,
    상기 입력상태가 밸브제어기 전자기판(NCB) 신호(A) < 정상제어루프밸브(NCD1) 전자기판 신호(C) 또는 A > C일 때 설정치에 따라 출력(Output)의 채널 변환용 릴레이(Relay), 채널 감시용 릴레이, 입력 A-C 비교용 릴레이 및 현장 운전루프 선택용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 릴레이가 여자되고, 기판전면의 채널 변환 LED(CH C), 채널 감시(CH), A-C 동작 LED(AC) 및 현장 운전루프 선택용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 LED(SOV)가 점등(ON)되도록 하며,
    상기 입력상태가 밸브제어기 전자기판(NCB)의 신호(A) > 비상제어루프 밸브(NCD2) 전자기판 신호(D) 또는 A < D일 경우 설정치에 따라 A-D 단독 동작이거나 A-D 동작 후 A-B, A-C가 동작하면 출력의 채널 변환용 릴레이가 동작하지 않고, A-D 비교용 릴레이만 동작하며, 신호 동작 상태에 따라 기판 전면의 A-D 동작 LED(AD)가 점등(ON)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감지제어용 전자기판(NFT) 및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 고장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정상운전 중에는 NCD1 계열의 정상제어루프가 담당하고, 고장발생시 고장감지 제어용 전자기판(NFT)에서 감지된 고장신호에 의해 대기중인 건전한 NCD 2 계열의 비상제어루프로 자동 전환되도록 하여 계통의 동요없이 계속적인 정상제어가 가능하도록 상기 주제어실 부분의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에 NCD2 전자기판을 추가로 설치하여 NCD1 전자기판을 병렬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감지제어용 전자기판(NFT) 및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 고장제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는
    정상제어루프와 비상제어루프 선택기능 및 각종 신호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기능을 갖는 NRC 전자기판(NRC)과;
    신설된 현장 밸브개도전송기(VPT)에 전원을 공급하고 밸브위치를 전송받기 위한 NLP 전자기판과;
    고장에 의해 대기중인 비상 제어루프로 전환된 후 복구과정에서 복구신호 제공 및 필요시 수동전환 신호제공 기능을 가진 선택스위치; 및
    고장발생시 운전원에게 상황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관련경보기를 신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감지제어용 전자기판(NFT) 및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 고장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제어 설비는
    주급수제어밸브 위치제어기 이중화, 주급수제어밸브 밸브개도 검출용 VPT 루프 신설, 운전루프 선택용 SOV 및 전류/공기압 변환기를 현장 제어설비로 추가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감지제어용 전자기판(NFT) 및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 고장제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급수제어밸브 위치제어기 이중화는
    비상제어루프용 주급수제어밸브 위치제어기를 각 제어밸브에 1개씩 추가로 설치하여 정상 제어루프에 속한 밸브위치제어기와 병렬운전을 수행함으로써 정상제어루프 고장시 밸브위치 편차신호에 의해 건전한 비상제어루프 밸브위치제어기로 자동전환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감지제어용 전자기판(NFT) 및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 고장제어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급수제어밸브 밸브개도 검출용 VPT 루프는
    주급수제어밸브제어기 밸브개도 검출용 VPT 내장형 밸브위치제어기를 설치하여 주급수제어밸브제어기 전자기판의 출력값과 실제 밸브개도의 차이를 검출하여 설정치 초과시 고장상태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감지제어용 전자기판(NFT) 및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 고장제어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루프 선택용 SOV는
    밸브위치제어시 후단에 운전루프 선택용 SOV를 제작하여 주급수제어밸브 상/하부에 각 1개씩 설치하여 상기 SOV의 여자/비여자에 의해 밸브위치제어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감지제어용 전자기판(NFT) 및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 고장제어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비여자시는 정상제어용 밸브위치제어기로 제어하도록 공기배관을 배열하고, 고장감시에 의한 여자시에는 비상제어용 밸브위치제어기로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감지제어용 전자기판(NFT) 및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 고장제어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공기압 변환기는
    기존의 전류공기압 변환기와 별도로 독립적인 전류/공기압 변환기를 설치하여 전류/공기압 변환기의 고장에 대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감지제어용 전자기판(NFT) 및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 고장제어장치.
KR1019990046925A 1999-10-27 1999-10-27 고장감지기능 및 고장제어기능을 구비한 주급수제어밸브 제어루프 KR100357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925A KR100357829B1 (ko) 1999-10-27 1999-10-27 고장감지기능 및 고장제어기능을 구비한 주급수제어밸브 제어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925A KR100357829B1 (ko) 1999-10-27 1999-10-27 고장감지기능 및 고장제어기능을 구비한 주급수제어밸브 제어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807A true KR20010038807A (ko) 2001-05-15
KR100357829B1 KR100357829B1 (ko) 2002-10-25

Family

ID=19617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925A KR100357829B1 (ko) 1999-10-27 1999-10-27 고장감지기능 및 고장제어기능을 구비한 주급수제어밸브 제어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78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334B1 (ko) * 2010-12-24 2012-03-06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발전소 내 비상 운전 장치 그 방법
US8811560B2 (en) 2010-12-30 2014-08-19 Kepco Engineering & Construction Company System of controlling steam generator level during main feed-water control valve transfer for nuclear power plant
CN112684778A (zh) * 2020-12-24 2021-04-20 武汉第二船舶设计研究所(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九研究所) 基于多源信息强化学习蒸汽发生器给水系统诊断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665B1 (ko) 2017-05-08 2018-08-22 브이아이브이 인터내셔날(주) 자기진단 및 안전 기능을 갖는 지능형 콘트롤 밸브 관리시스템
KR101975230B1 (ko) 2017-10-16 2019-05-07 (주)케이에스티플랜트 밸브의 상태 및 현상을 모바일로 모니터링이 가능한 컨트롤 밸브
KR101975228B1 (ko) 2017-10-16 2019-09-10 (주)케이에스티플랜트 모바일로 모니터링이 가능한 컨트롤 밸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334B1 (ko) * 2010-12-24 2012-03-06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발전소 내 비상 운전 장치 그 방법
US8811560B2 (en) 2010-12-30 2014-08-19 Kepco Engineering & Construction Company System of controlling steam generator level during main feed-water control valve transfer for nuclear power plant
CN112684778A (zh) * 2020-12-24 2021-04-20 武汉第二船舶设计研究所(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九研究所) 基于多源信息强化学习蒸汽发生器给水系统诊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7829B1 (ko) 200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295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d distributing standby power
CN101946185B (zh) 压缩机保护和电网故障检测设备
CN101931218B (zh) 与母线连接的组件供电电流电子监控装置
KR100808787B1 (ko) 발전소 보호 시스템
KR20110025061A (ko) 전력공급 시스템
JP5758692B2 (ja) 原子力プラントの監視制御システム
KR101992299B1 (ko) 원자력 발전소 디지털 보호계통
KR20080013153A (ko) 디지털 원자로 보호 시스템
KR20190044791A (ko) 강화된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 장치의 접속반
KR20010038807A (ko) 고장감지제어용 전자기판 및 증기발생기 수위 제어루프 고장제어설비장치
KR100825359B1 (ko) 변전소 운영상태 감시를 위한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배전반의 마스터씨피유 이중화구조
KR100308538B1 (ko) 분전반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KR101997638B1 (ko)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통 시스템
CN109150038B (zh) 百万千瓦级核电站柴油发电机励磁状态判断系统
KR100442326B1 (ko) 자기진단형 안전 계전기
KR101899892B1 (ko)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통 시스템
KR20190104506A (ko) 부하 쇼트 감시 기능을 가진 자동 전원 절체 제어장치를 이용한 자동 전원 절체방법
CN219329643U (zh) 储能系统急停控制系统和储能场站
CN213750118U (zh) 主控室后备盘马赛克离线检测装置
CN114326493B (zh) 核电厂信号通道切换控制电路及控制装置
CN111052526A (zh) 用于电厂电力系统的双输入断路器系统
RU2538193C2 (ru) Система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потребителей
WO2023135968A1 (ja) プラント監視システム及びプラント監視装置
KR100799435B1 (ko) 열병합 발전 디지털 전기 수력 제어설비의 시스템안정화장치
JP4227552B2 (ja) 単独運転防止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単独運転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