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5138B1 - 차량 충돌 안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충돌 안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5138B1
KR101115138B1 KR1020050093148A KR20050093148A KR101115138B1 KR 101115138 B1 KR101115138 B1 KR 101115138B1 KR 1020050093148 A KR1020050093148 A KR 1020050093148A KR 20050093148 A KR20050093148 A KR 20050093148A KR 101115138 B1 KR101115138 B1 KR 101115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llision
sensor
unit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3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7957A (ko
Inventor
이재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3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5138B1/ko
Publication of KR20070037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7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6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or with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5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04Actuation parameters of safety arrangents
    • B60R2021/01252Devices other than bags
    • B60R2021/01265Seat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안전벨트의 고장을 진단함과 더불어 우천시 경보기능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킨 차량 충돌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선행차량과의 차간거리를 감지하는 차간거리 감지부, 자차의 주행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 충돌위험에 따라 탑승자에게 충돌위험을 경보하는 경보장치, 차량 충돌시 전동안전벨트를 구동하여 에어백에 의한 탑승자 상해를 감소시키는 모터구동부, 모터구동부로부터 전동안전벨트로 인가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센서, 전류센서로부터 감지된 전류값과 모터구동부로 지시된 전류값을 비교하는 비교부, 및 차간거리 감지부와 차속센서로부터 전송된 차간거리와 주행속도 신호, 및 외부의 각종 정보를 수신하여 충돌 위험 여부를 판단하고, 충돌 위험시 구동부를 제어하여 경보장치를 통해 탑승자에게 충돌위험을 경보하고 제동부를 제어하여 자차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한편, 비교부를 통해 출력된 결과값이 임계치를 초가하면 경보장치를 통해 전동안전벨트의 이상 유무를 경보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차량, 충돌 예측 시스템, 레이더, 전동안전벨트, 와이퍼

Description

차량 충돌 안전 시스템{Car pre-crash safety system}
도 1 은 종래의 차량 충돌 안전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돌 안전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장치 12 : 주제어부
14 : 구동부 16 : 우적상태 판단부
16a: 우적센서 16b: 와이퍼 동작상태 감지부
18 : 비교부 20 : 경보장치
22 : 표시부 30 : 제동부
40 : 레이더 50 : 차속센서
60,80 : 모터 구동부 62,64 : 전류센서
70 : 전동안전벨트 80 : 전동안전벨트
본 발명은 운행 중 충돌시 탑승자의 최소화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안전벨트의 고장을 진단함과 더불어 우천시 경보기능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킨 차량 충돌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차량 운행 중에 발생하는 각종 사고로부터 탑승자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안전벨트나 에어백과 같은 사후안전수단에서 벗어나 운전 중에 잠재한 사고를 예측하여 탑승자에게 경보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시도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시도 중의 하나로 자차의 전방에 대한 대살된 레이져빔이 선행차량의 후미등 주위에 부착된 반사판에 의하여 반사된 후에 되돌아오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자차와 선행차량과의 차간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차간거리, 정지거리 및 자차와 선행차량의 상대속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충돌가능성이 있다가 판단될 때 경보를 발하는 시스템에 개발되었다.
도 1 은 종래의 차량 충돌 안전 시스템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제어장치(10), 주제어부(12), 구동부(14), 경보장치(20), 제동장치(30), 차간거리 감지부(40), 차속센서(50), 모터구동부(60,80), 및 전동안전벨트(70,80)로 이루어진다.
먼저 차간거리 감지부(40)는 레이져 빔을 발사하여 레이져 빔이 선행차량의 반사판에 반사되는 되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통해 차간거리를 측정하고, 차속센서(50)는 현재 주행 중인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여 이를 주제어부(12)로 전송한다.
경보장치(20)는 차량의 충돌 가능성이 높을 경우 차량의 충돌위험을 탑승자 에게 경보하는 장치이며, 제동장치(30)는 충돌가능성에 따라서 따라서 선행차량과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차량을 감속시키며, 모터구동부(60,80)는 충돌위험시 전동안전벨트(70,90)를 구동시켜 충돌로 인한 에어백이 전개될 때 압력에 의한 상해를 최소화한다.
주제어장치(10)는 주제어부(12)와 구동부(14)로 이루어지는데, 구동부(14)는 주제어부(12)의 제어하에 경보장치(20)를 구동시킨다.
마지막으로, 주제어부(12)는 차량 충돌 안전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서, 차량의 주행시 차간거리 감지부(40)와 차속센서(50)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자차와 선행차량과의 차간거리와 현재 자차의 주행속도를 수신하여 충돌위험성을 판단하고 충돌위험성이 있는 경우, 구동부(14)를 이용하여 경보장치(20)를 구동시켜 탑승자가 현재 충돌위험이 있음을 인식하도록 함과 더불어 제동장치(30)를 통해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킨다.
이와 더불어, 충돌시엔 모터 구동부(60,80)를 구동시켜 전동안전벨트(70,9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충돌시 탑승자가 에어백에 의한 상해를 최소화시킨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 충돌 안전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충돌 위험성을 판단하고 이를 통해 탑승자의 안전 운행을 지원하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번째로, 전동안전벨트(70,90)의 이상이 있을 경우 전동안전벨트(70,90)의 고장진단기능이 없어 탑승자가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두번째로, 우천시와 같이 날씨가 양호하지 않거나 빗길 주행시 차간거리 감지부(40)의 레이져 빔에 의한 차간거리 측정이 용이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차간거리 측정의 정확성이 떨어지게 되었고, 이에 따라 충돌 위험성 판단이 정확하게 되지 않는 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충돌시 에어백에 의한 상해 예방이 미흡하였고, 날씨가 양호하지 않는 경우에 있서 차간거리 측정의 부정확성으로 인한 충돌 위험성 판단이 부정확하게 되어 차량 충돌시와 충돌 위험성 판단에 있어서 신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동안전벨트의 고장을 진단함과 더불어 우천시 등의 경우 충돌위험성 판단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킨 차량 충돌 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선행차량과의 차간거리를 감지하는 차간거리 감지부, 자차의 주행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 충돌위험에 따라 탑승자에게 충돌위험을 경보하는 경보장치, 차량 충돌시 전동안전벨트를 구동하여 에어백에 의한 탑승자 상해를 감소시키는 모터구동부, 모터구동부로부터 전동안전벨트로 인가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 류센서, 전류센서로부터 감지된 전류값과 모터구동부로 지시된 전류값을 비교하는 비교부, 및 차간거리 감지부와 차속센서로부터 전송된 차간거리와 주행속도 신호, 및 외부의 각종 정보를 수신하여 충돌 위험 여부를 판단하고, 충돌 위험시 구동부를 제어하여 경보장치를 통해 탑승자에게 충돌위험을 경보하고 제동부를 제어하여 자차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한편, 비교부를 통해 출력된 결과값이 임계치를 초가하면 경보장치를 통해 전동안전벨트의 이상 유무를 경보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날씨에 따른 노면의 수분 상태를 감지하는 우적센서, 및 우적센서로부터 수신된 노면의 수분 상태에 따라 우적상태를 판단하여 그 결과값을 주제어부로 전송하는 우적상태 판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와이퍼의 동작 속도를 감지하여 우적상태 판단부로 전송하는 와이퍼 동작상태 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있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돌 안전 시스템은 우적센서(16a)와 와이퍼 동작상태 감지부(16b), 우적상태 판단부(16), 비교부(16), 및 전류센서(62,64)를 더 구비한다.
먼저, 우적센서(16a)는 비나 눈 등에 의한 현재 노면 상태 신호를 전송하고, 와이퍼 동작상태 감지부(16b)는 비나 눈에 의해 탑승자가 작동시킨 와이퍼 동작 신호를 전송한다.
이러한 우적센서(16a)나 와이퍼 동작상태 감지부(16b)는 우천시와 같은 날씨에 의해 레이져 빔을 이용한 차량거리 측정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에 보다 정확한 충돌 위험성 판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전류센서(62)는 모터 구동부(60)의 인가된 전류를 감지하여 이를 비교부(18)로 전송하고, 비교부(18)는 상기한 전류센서(62)로부터 전송된 전류값과 주제어부(12)로부터 모터 구동부(60,80)로 인가되는 전류값을 비교한다.
주제어부(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돌 안전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서, 우적센서(16a)로부터 현재 노면상태 정보 및/또는 와이퍼 동작상태 감지부(16b)로부터 와이퍼 동작 신호가 전송되면 이를 통해 해당 신호에 따른 차량 경보 시점을 제어하는 데, 예를 들어, 노면에 비가 고여 있는 등 노면상태가 좋지 못하거나 폭우로 인한 와이퍼 동작 속도가 빠른 경우 이를 보정하여 날씨가 좋은 정상상태의 차간거리에 비해 차간거리가 멀 때 경보시점과 감속시점을 결정한다.
이는 우천시와 같이 날씨가 좋지 않은 경우엔 일반적인 경우와 달리 제동력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탑승자의 주위가 분산되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주제어부(12)는 전류값을 통해 전동안전벨트(70,90)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데, 이는 전동안전벨트(70,90)로 인가되는 전류값을 전류센서(62,64)가 감지하고, 이 전류값과 주제어부(12)가 모터구동부(60,80)에 지시한 전류값을 비교부(18)가 비교하여 이를 주제어부(12)로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주제어부(12)는 상기한 비교부(18)에 의한 전류값 비교 결과 전류값에 이상이 있을 경우 구동부(14)를 제어하여 그 결과값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엔 표시부(22) 등을 통해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현재 전동안전벨트(70)가 이상있음을 출력한다.
따라서, 탑승자는 현재 전동안전벨트(70,90)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안전벨트로 인가되는 전류값과 주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값 비교를 통한 전동안전벨트의 고장을 진단하고, 이와 더불어 우천시와 같이 날씨가 좋지 않을 경우 경보기능과 제동기능을 보정하여 탑승자가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삭제
  2. 선행차량과의 차간거리를 감지하는 차간거리 감지부, 자차의 주행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와; 충돌위험에 따라 탑승자에게 충돌위험을 경보하는 경보장치와; 차량 충돌시 전동안전벨트를 구동하여 에어백에 의한 탑승자 상해를 감소시키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모터구동부로부터 전동안전벨트로 인가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센서와; 상기 전류센서로부터 감지된 전류값과 상기 모터구동부로 지시된 전류값을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차간거리 감지부와 차속센서로부터 전송된 차간거리와 주행속도 신호, 및 외부의 각종 정보를 수신하여 충돌 위험 여부를 판단하고, 충돌 위험시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경보장치를 통해 탑승자에게 충돌위험을 경보하고 제동부를 제어하여 자차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한편, 상기 비교부를 통해 출력된 결과값이 임계치를 초가하면 상기 경보장치를 통해 상기 전동안전벨트의 이상 유무를 경보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충돌 안전 시스템에 있어서,
    날씨에 따른 노면의 수분 상태를 감지하는 우적센서와; 상기 우적센서로부터 수신된 노면의 수분 상태에 따라 우적상태를 판단하여 그 결과값을 상기 주제어부로 전송하는 우적상태 판단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돌 안전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와이퍼의 동작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우적상태 판단부로 전송하는 와이퍼 동작상태 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돌 안전 시스템.
KR1020050093148A 2005-10-04 2005-10-04 차량 충돌 안전 시스템 KR101115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148A KR101115138B1 (ko) 2005-10-04 2005-10-04 차량 충돌 안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148A KR101115138B1 (ko) 2005-10-04 2005-10-04 차량 충돌 안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957A KR20070037957A (ko) 2007-04-09
KR101115138B1 true KR101115138B1 (ko) 2012-02-24

Family

ID=38159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3148A KR101115138B1 (ko) 2005-10-04 2005-10-04 차량 충돌 안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51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239B1 (ko) * 2017-04-13 2021-10-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eCall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N113985828A (zh) * 2021-11-02 2022-01-28 国以贤智能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agv放货工艺流程的保护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3899A (ko) * 1985-10-15 1987-05-06 로이에이치 메이센길 전기적으로 조정되는 안전보호시스템
JPH11304911A (ja) 1998-04-21 1999-11-05 Nissan Motor Co Ltd 超音波式検知装置
KR20000026957A (ko) * 1998-10-24 2000-05-15 윤종용 차량 충돌경보 시스템
JP2005022522A (ja) * 2003-07-02 2005-01-27 Toyota Motor Corp 車両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3899A (ko) * 1985-10-15 1987-05-06 로이에이치 메이센길 전기적으로 조정되는 안전보호시스템
JPH11304911A (ja) 1998-04-21 1999-11-05 Nissan Motor Co Ltd 超音波式検知装置
KR20000026957A (ko) * 1998-10-24 2000-05-15 윤종용 차량 충돌경보 시스템
JP2005022522A (ja) * 2003-07-02 2005-01-27 Toyota Motor Corp 車両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957A (ko) 2007-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0556B2 (en) Vehicle front blind spot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US511813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motor vehicle occupants
US7565242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iggering emergency braking
US7975798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utomatic emergency braking
EP1944189B1 (en) Automatic collision management system
US85528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bined blind spot detection and rear crossing path collision warning
US6037860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avoiding and/or minimizing vehicle collisions in road traffic
EP1783008B1 (en) Collision determination system for vehicle
US9937888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riggering of at least one passenger protec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safety system for a vehicle
US7504987B2 (en) Obstacle detecting control device of vehicle
JPH10181520A (ja) 車両における乗客拘束装置用始動装置
KR20180030823A (ko) 능동형 안전 장치의 트리거 조정을 위해 앞차의 제동등 인식
KR101303528B1 (ko) 충돌위험도에 기초한 충돌방지 시스템
US8335615B2 (en) Whiplash reduction system
US10885784B2 (en) Driving support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driving support device
US8558732B2 (en) Device for determining a relative speed between a vehicle and an impact object
CN113492786A (zh) 实施加权主动-被动碰撞模式分类的车辆安全系统和方法
US20130124053A1 (en) Vehicle safety system and method with split active/passive processing
US7881842B2 (en) Restraint system with impact recognition, taking into account environmental influences
JP4026400B2 (ja) 車両制御装置
KR101115138B1 (ko) 차량 충돌 안전 시스템
US20060162982A1 (en) Device for recognising an obstacle underride
JPH09190600A (ja) 自動車の衝突防止装置
KR100666360B1 (ko) 차량 동역학에 근거한 충돌예방 안전장치
KR0184815B1 (ko) 자동차의 추돌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