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4070B1 - Driving device for moving body - Google Patents
Driving device for moving bod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14070B1 KR101114070B1 KR1020100018414A KR20100018414A KR101114070B1 KR 101114070 B1 KR101114070 B1 KR 101114070B1 KR 1020100018414 A KR1020100018414 A KR 1020100018414A KR 20100018414 A KR20100018414 A KR 20100018414A KR 101114070 B1 KR101114070 B1 KR 1011140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ar
- base
- engaging
- rack
- movable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adjustable clamping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과제) 기어와 래크의 톱니부의 맞물림 위치가 설계대로 유지되고, 이것에 의해서 작동 특성을 확실하게 또한 최적한 상태로 얻을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이동체(2)가 베이스(1)에 대해서 래크(14)와 기어(5)의 맞물림을 통해서 베이스(1)측의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또한 기어(5)와의 사이에 개재된 탄지수단(6)을 가지며, 기어(5)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탄지수단(6)에 탄지력이 축적되고, 기어(5)가 상기 축적된 탄지력에 의해서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체(2)를 결정된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에 있어서, 이동체(2)를 베이스(1)에 조립할 때에 베이스(1)를 따르는 이동체(2)의 이동조작에 의해서 기어(5)와 래크(14)의 톱니부를 소정 개소에서 맞물리게 하는 위치결정수단{걸어맞춤 오목부(54)와 볼록부(19) 또는 이형상 톱니(14a)와 걸어맞춤부(54a)}을 가지고 있는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2)는 상기 베이스(1)의 내부공간을 출입함과 아울러,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베이스(1)의 내부공간을 구획하고 있는 구획벽(10)의 내측에 형성되되 내부공간의 내측으로 향하여 갈수록 돌출량이 증가하는 볼록부(19)와, 상기 기어(5)에 형성되되 상기 볼록부(19)와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 오목부(54)로 이루어지는 것이다.(Problem)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gear and the tooth part of the rack is maintained as designed, thereby ensuring that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can be reliably and optimally obtained.
(Solution means) The movable body 2 is assembled so as to be movable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on the base 1 side through the engagement of the rack 14 and the gear 5 with respect to the base 1, It also has a holding means 6 interposed between the gear 5, the holding force is accumulated in the holding means 6 in the course of rotating the gear 5 in one direction, the gear 5 is stored In the drive device which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by the mental force and moves the moving body 2 to the determined one side, when the moving body 2 is assembled to the base 1 by the movement operation of the moving body 2 along the base 1 With positioning means (engaging recess 54 and convex portion 19 or convex portion 19a or engagement tooth 54a and engaging portion 54a) for engaging the tooth portion of the gear 5 and the rack 14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 drive system,
The movable body 2 enters and leaves the inner space of the base 1, and the positioning means is formed inside the partition wall 10 partitioning the inner space of the base 1. It is composed of a convex portion 19, which is increased toward the inner side, and a concave portion 54 formed on the gear 5 and engaging with the convex portion 19.
Description
본 발명은 베이스에 대해서 이동체를 래크와 기어의 맞물림을 통해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체가 기어와의 사이에 개재된 탄지수단을 가지며, 기어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탄지수단에 이동용의 탄지력을 축적하는 구성의 이동체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device for moving a mobile body through engagement of a rack and a gear with respect to a base, and in particular, the mobile body has an interlocking means interposed between the gear and the moving body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gear in one direction. It relates to a driving device of a mobile body of the configuration that accumulates the force of the.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구동장치는, 이동체를 베이스측의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형식의 것에 있어서, 이동 특성과 사용의 편리성을 양호하게 할 목적에서 특허문헌 1이나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동체를 래크와 기어의 맞물림을 통해서 이동시킴과 아울러, 기어와의 사이에 개재된 탄지수단을 가지며, 기어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탄지수단에 탄지력이 축적되고, 기어가 상기 축적된 탄지력에 의해서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체를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 중 어느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구조이다.The drive device which becomes the object of this invention is a form which moves a movable body between the 1st position and the 2nd position of a base side,
이 구조에서는 기어가 탄지수단과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이동체에 대한 기어의 배치나 조립에 오차가 생기게 되면, 제품마다 탄지수단에 탄지력이 축적되는 정도가 달라짐으로써, 이동체의 탄지력에 저항한(즉, 탄지력 축적과정에서의) 누름 조작력, 탄지력에 의해서 작동하는 이동체의 이동속도가 불규칙하게 되는 요인이 된다.In this structure, since the gear is connected to the holding means, for example, if an error occurs in arranging or assembling the gear with respect to the moving object, the degree of holding force accumulated in the holding means varies depending on the product. It is a factor that causes the movement speed of the moving body to be operated by the resistive pressing force (ie, during the accumulation of the force) and the force of the force.
여기서, 특허문헌 1은 조작자의 조작에 의해서 탄지수단의 탄지력을 변경하는 탄지력 변경수단을 가지며, 상기 탄지력 변경수단에 의해서 제품마다 탄지력의 분산을 조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탄지수단은 탄지부재의 단부측 고정부 및 고정부의 위치변경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가지고 있다. 탄지력 변경수단은 고정부의 이동을 허용하는 허용부와 고정부의 이동범위 내에 배치되어 고정부를 걸을 수 있게 하는 복수의 걸림부를 가지며, 고정부가 걸리는 걸림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탄지수단의 탄지력을 변경하는 구조이다.Here,
또, 특허문헌 2는 기어(피니언)의 외주에 형성된 제 1 스토퍼부와, 이동체(홀더 본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체)에 부착되며 적어도 일부가 제 1 스토퍼부의 이동영역으로 돌출되는 걸림위치와 전체가 이동영역 밖으로 물러나는 해제위치의 사이를 이동 하는 제 2 스토퍼부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구조에서는 제 2 스토퍼부를, 이동체를 베이스에 조립할 때에는 걸림위치에 배치되어 제 1 스토퍼부와 걸리고, 이동체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의 사이를 이동할 때에는 해제위치에 배치되도록 하여, 탄지수단에 초기 탄지력을 갖게 한 상태로 이동체를 베이스에 조립할 수 있게 한 것이다.
In addition,
상기 특허문헌 1의 탄지력 변경 구조에서는 설계상에 있어서 탄지수단의 배치부에 제약이 있으며, 제품화한 후에 위치변경하기 위해서 조작부를 쥐고서 조작할 수 있는 배치부를 확보할 수 없는 것이 많다. 또, 조작자(즉, 비전문가)가 수동조작에 의해서 고정부의 걸림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최적한 상태로 세트할 수 있다고는 말할 수 없다.In the holding force changing structure of
또, 상기 특허문헌 2의 스토퍼 구조에서는 제 2 스토퍼부가 이동체에 부착되며 일부가 제 1 스토퍼부의 이동영역으로 돌출되는 걸림위치와 전체가 이동영역 밖으로 물러나는 해제위치의 사이를 이동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그 구성이 복잡하고, 기어측의 제 1 스토퍼부에 대한 위치 정밀도도 요구된다. 또, 이 구조에서는 제 2 스토퍼부가 회동하는 부재(도 2의 바닥부 지지부재나 도 6의 연결부재)에 형성되기 때문에, 양 스토퍼부가 서로 걸어맞춰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동체를 베이스의 내부공간에 삽입조작하기 어렵고, 삽입력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이 해제되거나 기어와 래크의 톱니부의 맞물림 위치가 어긋나는 일도 발생한다.Moreover, in the stopper structure of the said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예를 들면 탄지력에 의한 작동 특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탄지수단에 초기 탄지력을 갖게 한 상태로 기어를 이동체에 지지시키고, 또한 이 상태에서 베이스에 조립하는 구성이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위치결정수단에 의해서 기어와 래크의 톱니부의 맞물림 위치가 설계대로 유지되고, 이것에 의해서 작동 특성을 확실하게 또한 최적한 상태로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다른 목적은 상기 위치결정수단을 부품수를 증가시키는 일 없이 간이하게 실현하는 것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ort the gears on the movable body with the initial holding force on the holding means and to assemble the base in this state so as to fully exhibit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due to the holding force, for example. By means of the positioning means of the invention,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gear and the tooth of the rack is maintained as design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reliably and optimally obtain operating characteristics. Another object is to simply realize the positioning means without increasing the number of par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1~도 6의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특정하면, 이동체(2)가 베이스(1)에 대해서 래크(14)와 기어(5)의 맞물림을 통해서 상기 베이스(1)측의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또한 상기 기어(5)와의 사이에 개재된 탄지수단(6)을 가지며, 상기 기어(5)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탄지수단(6)에 탄지력이 축적되고, 상기 기어(5)가 상기 축적된 탄지력에 의해서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이동체(2)를 상기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 중 어느 일측으로 이동시키게 하며, 상기 이동체(2)를 상기 베이스(1)에 조립할 때에 상기 베이스(1)를 따르는 상기 이동체(2)의 이동조작에 의해서 상기 기어(5)와 상기 래크(14)의 톱니부를 소정 개소에서 맞물리게 하는 위치결정수단{걸어맞춤 오목부(54)와 볼록부(19) 또는 이형상 톱니(14a)와 걸어맞춤부(54a)}을 가지고 있는 것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2)는 상기 베이스(1)의 내부공간을 출입함과 아울러,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베이스(1)의 내부공간을 구획하고 있는 구획벽(10)의 내측에 형성되되 내부공간의 내측으로 향하여 갈수록 돌출량이 증가하는 볼록부(19)와, 상기 기어(5)에 형성되되 상기 볼록부(19)와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 오목부(5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based on the embodiment of Figs. 1 to 6, the
The
삭제delete
삭제delete
여기서, 상기 기어(5)는 상기 이동체(2)가 상기 베이스(1)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초기 과정에서 상기 구획벽(10)측의 탄성변위를 수반하면서 상기 볼록부(19)를 통과하였을 때에 상기 래크(14)와 맞물림과 동시에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54)와 상기 볼록부(19)가 걸어맞춰지고, 또한 이 걸어맞춤상태에서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54)를 구획하고 있는 수평편(55b)을 상기 볼록부(19)의 단면에 걸어서 상기 래크(14)와의 맞물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구성이다.Here, the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기어(5)와 상기 래크(14)의 톱니부에 다른 톱니들의 형상과는 상이한 이형상(異形狀)을 이루며 또한 서로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54a)와 피걸어맞춤부(14a)를 각각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The positioning means is engaged with the
상기 기어(5)에 형성된 돌조부(59)가 상기 이동체(2)에 형성된 끼워맞춤구멍(25a)에 끼워맞춰짐으로써 상기 기어(5)가 상기 탄지수단(6)에 소정의 탄지력을 축적한 초기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탄지수단(6)의 초기 상태에서 탄지력을 약화시키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는 규제수단{끼워맞춤구멍(25a)과 돌조부(59)}을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
The protruding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이동체가 베이스를 따르는 통상의 이동조작에 의해서 기어와 래크의 톱니부가 위치결정수단에 의해서 항상 소정 개소에서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이동체의 구동장치로서는 탄지수단에 초기 탄지력을 갖게 한 상태로 기어를 이동체에 지지시키고, 또한 이 상태에서 베이스에 조립하는 구성이라 하더라도 제품마다의 탄지력의 분산을 없게 함으로써 래크와 기어에 의한 맞물림 기구 및 탄지력을 이용한 작동 특성을 확실하게 또한 최적한 상태로 부여할 수 있다.In the invention of
또, 위치결정수단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의 내부공간을 구획하고 있는 구획벽의 내측에 형성되되 내부공간의 내측으로 향하여 갈수록 돌출량이 증가하는 볼록부와 기어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 오목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의 구조에 비해서 부품수를 증가시키는 일 없이 간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오작동도 일어나기 어렵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positioning means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inner space of the base, and the engaging concave portion formed in the convex portion and the gear which increases the protrusion amount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space. Since it is made, for example, compared with the structure of
또, 이동체를 베이스의 내부공간으로 삽입하는 초기 과정에서 베이스측 구획벽의 탄성변위를 수반하면서 볼록부를 통과하였을 때에 기어가 래크와 맞물림과 동시에 걸어맞춤 오목부와 볼록부가 걸어맞춰진다. 또한, 이 걸어맞춤상태에서 걸어맞춤 오목부를 구획하고 있는 수평편을 볼록부의 단면에 걸어서 래크와의 맞물림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이동체의 구동장치로서는 이동체가 기어를 지지한 상태로 베이스의 내부공간으로 삽입 조작되면, 베이스측 구획벽의 탄성변위 후의 복원시에 '찰칵'하는 조립음을 수반하면서 기어와 래크의 톱니부가 소정 개소에서 맞물리기 때문에, 조립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initial process of inserting the moving body into the inner space of the base, the gear engages with the rack and engages the engaging recess and the convex portion at the same time as the gear passes through the convex portion with the elastic displacement of the partition wall on the base side. Moreover, in this engagement state, the horizontal piece which partitions the engagement recessed part is hanged on the end surface of a convex part, and the engagement state with a rack is maintained. Therefore, as the driving device of the movable body, when the movable body is inserted and oper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ase while supporting the gear, the gear and the teeth of the rack are accompanied by the assembly sound that 'clicks' upon restoration after the elastic displacement of the base side partition wall. Since it engages in a predetermined position, assembly operability can be improved.
그리고, 위치결정수단이 기어와 래크의 톱니부에 다른 톱니들의 형상과는 상이한 이형상을 이루며 또한 서로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와 피걸어맞춤부를 각각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예를들면 특허문헌 2의 구조에 비해서 부품수를 증가시키는 일 없이 간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 이동체의 구동장치로서는 '위치결정이 정상으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걸어맞춤부와 피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nd since the positioning means has the engagement part and the engaged part which can form a heterogeneous shape different from the shape of other teeth, and can engage with each other, respectively, for example in the structure of
또한, 소정의 탄지력을 축적한 탄지수단의 초기 상태에서 탄지력을 약화시키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는 규제수단으로서 이동체측의 끼워맞춤구멍과 기어측의 돌조부로 이루어지는 간단한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특허문헌 2의 구조에 비해서 간이화되어 실시가 용이하며, 오작동도 일어나기 어려운 것이 된다.
Further, as a restricting means for preventing rotation in the direction of weakening the force of the finger in the initial state of the finger which accumulated the predetermined force, it has a simple configuration consisting of a fitting hole on the side of the moving body and a protrusion on the side of the gear. Compared with the structure of
도 1은 본 발명의 베이스(실시형태에서의 케이스)와 이동체(실시형태에서의 홀더 본체)의 일례로서, (a)는 이동체의 사용위치, (b)는 이동체의 격납위치에서 나타내는 작동도
도 2는 도 1의 구동장치를 분해한 구성도
도 3에 있어서, (a)는 도 1의 기어와 이동체의 사이에 형성된 규제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b)는 상기 기어를 위에서 본 상태로 나타내는 모식 평면도
도 4에 있어서, (a)는 상기 이동체를 베이스에 대해서 도 3(a)와 같이 조립할 때의 자세를 나타내고, (b)는 (a)의 A부를, (c)는 (a)의 B부를 확대한 구성도
도 5에 있어서, (a) 내지 (c)는 상기 이동체가 도 4의 상태에서 도 3(a)의 상태로 될 때까지의 이동과정을 도 4(b)의 C-C선 단면에 대응하여 나타내는 요부 모식도
도 6에 있어서, (a) 내지 (c)는 도 5에 대응한 각 과정에서의 기어부분을 나타내는 모식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ample of the base (case in the embodiment) and the moving body (holder main bod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is a use position of the moving body, and (b) is an operation view of the moving posi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driving device of FIG.
In FIG. 3, (a)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restricting means formed between the gear of FIG. 1, and a movable body, (b) is a schematic plan view which shows the said gear in the state seen from the top.
In FIG. 4, (a) shows the attitude | position at the time of assembling the said moving body with respect to a base like FIG. 3 (a), (b) is A part of (a), (c) is B part of (a) Enlarged Diagram
In Figure 5, (a) to (c) is a main portion showing the moving process from the state of Figure 4 to the state of Figure 3 (a)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line CC of Figure 4 (b) Schematic
In FIG. 6, (a)-(c)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gear part in each process corresponding to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장치구조, 조립, 작동의 순서로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FIGS. This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order of device structure, assembly and operation.
(장치구조)(Device structure)
본 실시형태의 구동장치(용기홀더장치)(9)는 래크(14)를 가지고 있는 케이스(1)와, 케이스(1) 내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된 홀더 본체(2)와, 홀더 본체(2)의 용기삽입구멍(2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바닥부 지지부재(3)와, 홀더 본체(2)의 전방측 오목부(25)에 지지된 기어(5)와, 바닥부 지지부재(3)와 기어(5)의 작동을 연결하고 있는 암(4)과, 기어(5)와 오목부(25)의 사이에 배치된 코일스프링 타입의 탄지수단(6)과, 푸쉬ㆍ푸쉬식 래치수단{회동편(7)의 핀부(7a)와 캠홈(16)}과, 회전댐퍼(8)를 구비하고 있다.The drive device (container holder device) 9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장치구조의 특징은, 홀더 본체(2)가 케이스(1)에 대해서 래크(14)와 기어(5)의 맞물림을 통해서 케이스(1)에서 돌출되는 사용위치와 케이스(1) 내에 수납되는 수납위치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조립되는 구성과; 홀더 본체(2)와 기어(5)의 사이에 개재된 코일스프링 타입의 탄지수단(6)을 가지며, 기어(5)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탄지수단(6)에 탄지력이 축적되고, 기어(5)가 상기 축적된 탄지력에 의해서 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홀더 본체(2)를 사용위치(또는 수납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성과; 홀더 본체(2)를 케이스(1)에 조립할 때에, 케이스(1)의 내부공간을 따르는 홀더 본체(2)의 이동조작에 의해서 기어(5)의 톱니부(50)와 래크(14)의 톱니부를 소정 개소에서 맞물리게 하는 위치결정수단{걸어맞춤 오목부(54)와 볼록부(19) 또는 이형상 톱니(14a)와 걸어맞춤부(54a)}을 가지고 있는 구성;에 있다.The device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베이스를 케이스(1)로 하고, 본 발명의 이동체를 홀더 본체(2)로 하고, 제 1 위치를 홀더 본체(2)가 케이스(1)에서 돌출된 사용위치로 하고, 제 2 위치를 홀더 본체(2)가 케이스(1) 내에 수납된 수납위치로 한 경우의 예이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base of this invention is made into the
다만, 본 발명의 베이스 및 이동체는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특허문헌 1과 같이 본 발명의 베이스를 박스 본체로 하고, 본 발명의 이동체를 덮개로 하고, 제 1 위치를 박스 본체의 개구부를 폐쇄한 덮개체의 폐쇄위치로 하고, 제 2 위치를 박스 본체의 개구부를 개방한 덮개체의 개방위치로 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의 베이스를 수납부를 형성하고 있는 책상 등의 수납 본체로 하고, 본 발명의 이동체를 상기 수납부에 출입하는 인출체로 하여도 좋다.However, the base and the moving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For example, as in
구동장치(9)를 구성하고 있는 부재는 탄지수단(6)을 제외하고, 케이스(1), 홀더 본체(2), 바닥부 지지부재(3), 암(4), 기어(5), 래치수단용 회동편(7) 및 회전댐퍼(8)의 구성부재가 모두 수지제로 이루어지는데, 수지 이외의 것으로 하여도 지장없다. The members constituting the
이것들 중 케이스(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내부공간이 상벽(10)과 하벽(11)과 양 측벽(12)과 전단벽에 의해서 구획된 편평한 직육면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후단이 개구되어 있다. Among them, the
상벽(10)은 좌우 중간 위치에 전후로 연이어 형성되어 있는 광폭의 개구부(13)와, 개구부(13)의 일측 내면을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래크(14)와, 양측 위치에 전후로 연이어 형성되어 있는 소폭의 1쌍의 가이드 홈(15)과, 상벽(10)의 내면(10a)측에 형성되며 각각의 전단이 대응하는 가이드 홈(15)의 후단에 연이어 통하여 있는 1쌍의 위치결정홈(10b)과,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크(14)의 후방측에 돌출형성되어 위치결정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볼록부(19)를 가지고 있다.The
래크(14)의 톱니부는 그 후단측의 톱니형상을 도 2에 확대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형상(異形狀)의 톱니(14a){이하, 단순히 "이형상 톱니"라 한다}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이형상 톱니(14a)는 위치결정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피걸어맞춤부에 상당하며, 다른 톱니들에 비해서 2~3배 두꺼운 톱니형상으로 되어 있다. 1쌍의 가이드 홈(15) 중 일방의 가이드 홈(15)에는 그 전방측에 직사각형의 창부(15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창부(15a)를 통해서 케이스(1) 내부가 노출되어 있다. 볼록부(19)는 래크(14)의 이형상 톱니(14a)의 후방측에 위치하며, 내부공간의 입구측에서 내부공간의 내측으로 향하여 갈수록 돌출량이 점차 증가하는 경사면(19a)을 가지고 있다.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in Fig. 2, the toothed portion of the
이것에 대해서, 하벽(11)의 내면에는 상기 창부(15a)의 직하에 래치수단을 구성하는 하트형의 캠홈(1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캠홈(16)은 후술하는 홀더 본체(2)를 회동편(7)의 핀부(7a)를 통해서 홀더 본체(2)의 수납위치에 걸어 유지한다. On the other han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또, 양 측벽(12)에는 부착용 고정부(17)가 후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양 측벽(12)의 내면에는 가이드 홈(18)이 서로 대향한 상태로 전후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Moreover, the fixing | fixed
홀더 본체(2)는 상기 케이스(1)의 내부공간에 대응한 대략 직육면체 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틀부(20)로 되어 있으며, 이 틀부(20)는 용기삽입구멍(21)을 구획하고 있는 후방부분(20a)과 이 후방부분(20a)의 전방측에 일체화되어 있는 전방부분(20b)으로 이루어진다. The holder
후방부분(20a)은 그 용기삽입구멍(21)이 용기류(容器類)를 여유있게 상측에서 삽입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으며, 양측의 대향 내면에 각각 경사지게 형성된 바닥부 지지부재용 가이드 홈(22)과, 후단측에 일체화된 화장판(27)과, 용기삽입구멍(21) 내에 있어서의 화장판(27)에 대응한 좌우 중간부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항시 수평하게 되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는 서브 홀더(28)를 가지고 있다.The
전방부분(20b)은 기능부재용 배치부로서, 양측의 대향 내면에 각각 형성된 축구멍(23)과, 양 측면의 전방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리브(24a)와, 상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리브(24b)와, 일측의 리브(24b)의 하측에 형성되어 회동편(7)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지지부와, 좌우 중간에서 약간 편측으로 치우쳐 형성되어 있는 큰 원형상의 오목부(25)와, 오목부(25)의 저면을 관통하는 끼워맞춤구멍(25a) 및 오목부(25)의 주위의 일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댐퍼용 부착부(25b)와, 오목부(25)의 중심에 돌출형성된 지지축(26)을 가지고 있다.The
각 리브(24a)는 상기 케이스(1)의 각 가이드 홈(18)에 끼워맞춰진다. 한편, 리브(24b)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후단측이 일단 낮은 단차부(24c)로 형성됨과 아울러, 전단측이 전방측으로 향하여 갈수록 점차 낮아지게 되도록 경사시킨 경사부(24d)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리브(24b)는 상기 케이스(1)의 각 가이드 홈(15)에 대해서 각각 대응하는 경사부(24d)를 맞대고서 밀어 넣음으로써 끼워맞춰지게 되며, 이 끼워맞춤상태로 케이스(1)에 대한 홀더 본체(2)의 이동을 안내한다. 또, 단차부(24c)는 홀더 본체(2)가 돌출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에 가이드 홈(15)의 대응 단면에 맞닿음으로써 케이스(1)에 대한 홀더 본체(2)의 빠짐을 저지한다.Each
이것에 대해서, 끼워맞춤구멍(25a)은 오목부(25)의 후방측에 비교적 큰 대략 직사각형상의 개구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워맞춤구멍(25a)의 일단면에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기어(5)의 돌조부(59)가 끼워맞춰진다. 한편, 이 실시형태에서는 끼워맞춤구멍(25a)에 관련하여, 오목부(25)의 저면에 지지축(26)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상의 얕은 홈(25d)이 끼워맞춤구멍(25a)의 타단면에서 일단면의 근처까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조부(59)는, 기어(5)가 탄지력을 축적하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얕은 홈(25d)을 따라서 슬라이드하여 약 1회전하게 되며, 상기 얕은 홈(25d)을 탄성적으로 통과하여 끼워맞춤구멍(25a)과 끼워맞춰진다.On the other hand, the
오목부(25)에는 탄지수단(6) 및 기어(5)가 지지축(26)에 대해서 동일 축선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배치된다. 지지축(26)은 도 2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25)의 중심에서 돌출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하로 관통된 슬릿을 가지고 있으며, 이 슬릿에 대해서 탄지수단(6)인 코일스프링의 대응 단부(6b)를 걸어 고정하고 있다.In the recessed
기어(5)는 축구멍(5a)을 축 중심으로 한 주위에 있어서의 상측 주위에 형성되어 래크(14)와 맞물리는 톱니부(50)와, 톱니부(50)의 하측에 일체화된 원통부(51)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캠홈(56)과, 하면에 접근한 측연부(側緣部)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조부(59)를 가지고 있다.The
이것들 중 캠홈(56)은 원통부(51)의 주위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되 경사편(51b)과 경사편(51c)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는 경사홈(57)과, 원통부(51)의 상측 주위에 형성되되 경사홈(57)과 연속하여 있는 상측 수평홈(58)과, 원통부(51)의 하측 주위에 형성되되 경사편(51c)의 배면측에서 경사홈(57)의 하측 입구에 연이어 통하여 있는 하측 수평홈(58a)으로 이루어진다. 돌조부(59)는 경사편(51c)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한 끼워맞춤구멍(25a)과 함께 본 발명의 규제수단을 구성한다. 그리고, 돌조부(59)는 끼워맞춤구멍(25a)의 일단면에 끼워맞춰짐으로써 기어(5)가 탄지수단(6)에 소정의 탄지력을 축적한 초기 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탄지수단(6)의 초기 상태에서 탄지력을 약화시키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한다.Among these, the
또, 기어(5)의 상단면측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구멍(5a)의 상측을 구획하고 있는 링부(52a), 링부(52a)의 하측 주위에 일체화되어 있는 원통 단면부(52b)와, 원통 단면부(52b)의 일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탄지수단용 걸림구멍(52e)과, 원통 단면부(52b)와 톱니부(50)의 사이를 일단 낮게 하고 있는 단차 오목부(52c)와, 원통 단면부(52b)의 외주와 단차 오목부(52c)의 톱니부측 내주를 연결하고 있는 복수의 보강 리브(52d)와, 걸림구멍(52e)의 반대측에 위치하며 톱니부(50)의 일부와 함께 약간 낮게 한 도피부(53)와, 도피부(53)의 후방측을 더욱 낮게 한 걸어맞춤 오목부(54)와, 톱니부(50) 중 도피부(53)를 구성하고 또한 걸어맞춤 오목부(54)에 접근한 톱니부분을 일단(一段) 낮게 잘라낸 걸어맞춤부(54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 3, the upper end of the
이것들 중 걸림구멍(52e)에는 탄지수단(6)의 대응 단부(6a)가 걸려 고정된다. 즉, 이 구조에 있어서, 탄지수단(6)은 예를 들면 그 하측 단부(6b)가 상기한 지지축(26)의 슬릿에 대해서 걸려 고정되고, 상측 단부(6a)가 걸림구멍(52e)에 걸려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탄지수단(6)은 기어(5)가 소정 각도 회전됨으로써 초기 탄지력을 축적하고, 동시에 돌조부(59)가 끼워맞춤구멍(25a)의 일단면에 끼워맞춰져서 상기 초기 탄지력을 약화시키는 방향으로의 기어(5)의 회전을 저지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규제수단은 돌조부(59)가 끼워맞춤구멍(25a)의 일단면에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탄지력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의 기어(5)의 회전은 허용한다.Among them, the
도피부(53)는 대략 L자형 리브(55)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으며, 홀더 본체(2)가 케이스(1)에 조립될 때에 상기 케이스(1)의 볼록부(19)와 맞닿는 부분이다. 걸어맞춤 오목부(54)는 상기 케이스(1)의 볼록부(19)와 걸어맞춰지는 개소이다. 걸어맞춤부(54a)는 위치결정수단을 구성하며, 상기 피걸어맞춤부인 이형상 톱니(14a)와 걸어맞춰진다. 리브(55)는 수직편(55a)과 수평편(55b)으로 이루어진다. 수평편(55b)은 걸어맞춤 오목부(54)의 일부도 구획하고 있다.The
이것에 대해서, 홀더 본체(2)의 용기삽입구멍(21) 내에는 양측의 가이드 홈(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홀더 본체(2)의 용기삽입구멍(21) 내에 수납되는 비(非)지지위치와 상기 홀더 본체(2)에 대해서 회전하여 적어도 그 일부가 용기삽입구멍(21) 내의 하측에 배치되는 지지위치로 전환되는 바닥부 지지부재(3)와, 바닥부 지지부재(3)와 기어(5)를 연결하는 암(4)이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암(4)은 상기 용기삽입구멍(21) 내의 전방측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간(40) 및 지지간(40)의 양단에 돌출형성된 축부(42)와, 지지간(40)의 좌우에 일체화되며 상측으로 굴곡되어 있는 1쌍의 완부(腕部)(41) 및 각 완부(41)의 선단 외면에 돌출형성된 축부(43)와, 지지간(40)의 중앙에서 약간 좌측으로 치우친 개소에서 전방측으로 돌출된 슬라이드 접촉자(44) 및 슬라이드 접촉자(44)의 후방측에서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돌기(45)를 구비하고 있다.The
한편, 바닥부 지지부재(3)는 상기 용기삽입구멍(21) 내측에 수납되는 크기의 대략 직사각형 틀체(30)로 이루어지며, 용기류의 바닥부를 지지하는 바닥판부(31)와, 바닥판부(31)와 대향하며 용기류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32)와, 양측에 동일 축선상에 형성되어 있는 1쌍의 축부(34) 및 축구멍(35)을 가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또, 상기 회동편(7)은 상기 캠홈(16)의 홈형상을 따라서 선회하는 트레이스용 핀부(7a)를 가지며, 홀더 본체(2)의 지지부에 대해서 소정 각도만큼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회동편(7)은 상기한 하트형의 캠홈(16)과 함께 래치수단인 푸쉬ㆍ푸쉬 걸림기구를 구성하며, 홀더 본체(2)를 탄지력에 저항하여 격납위치로 전환하였을 때에 걸리고, 다음의 누름조작에 의해서 걸림이 해제된다.Moreover, the said rotation piece 7 has the
회전댐퍼(8)는, 예를 들면 공지의 회전기어(8a)를 가진 유압식 회전댐퍼로서, 회전기어(8a)가 본체(8b) 내의 작동유에 의해서 저항을 받고 있다. 또, 회전댐퍼(8)는 본체(8b)에 일체화된 부착편부(8c)를 가지며, 부착부(25b)에 대해서 압입조작에 의해서 장착된다. 이 회전댐퍼(8)의 작동은, 회전기어(8a)가 상기 기어(5)의 톱니부(50)와 맞물려 있으며, 이 맞물림에 의해서 홀더 본체(2)가 탄지수단(6)의 탄지력에 의해서 격납위치에서 사용위치까지 이동될 때에 회전댐퍼(8)의 제동력을 받아 저속으로 이동되도록 한다.The
(조립)(Assembly)
이상의 각 부재는 다음과 같은 수순의 일례에 의해서 조립된다. 즉, 작업 수순으로서는 홀더 본체(2)에 대해서 상술한 요령으로 기어(5) 및 탄지수단(6)과 회동편(7)과 회전댐퍼(8)가 조립된다. 또, 홀더 본체(2)의 용기삽입구멍(21) 내에는 바닥부 지지부재(3) 및 암(4)이 조립된다. 이 경우, 암(4)은 홀더 본체(2)에 대해서 각 축부(42)를 대응하는 축구멍(23)에 끼워맞춤으로써 홀더 본체(2)에 소정 각도만큼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이 때는 슬라이드 접촉자(44)가 기어(5)의 캠홈(56){통상은 경사홈(57)}에 끼워맞춰진다. 따라서, 암(4)은 각 완부(41)가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가 된다. 바닥부 지지부재(3)는, 예를 들면 각 축부(34)를 용기삽입구멍(21) 내의 대응하는 가이드 홈(2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춘 후, 각 축구멍(35)에 대해서 암(4)의 대응하는 축부(43)를 끼워맞춤으로써 조립된다.Each member mentioned above is assembled by an example of the following procedures. That is, as a work procedure, the
그리고, 바닥부 지지부재(3)는 홀더 본체(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암(4)에 대해서 축구멍(35) 및 축부(43)의 끼워맞춤을 통해서 작동이 연결되며, 슬라이드 접촉자(44)가 경사홈(57)의 하측에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도 1(b) 및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류의 바닥면을 받는 지지위치가 된다. 또, 바닥부 지지부재(3)는 홀더 본체(2)가 케이스(1) 내로 압입되어 도 1(b)의 사용위치에서 도 1(a)의 수납위치로 전환되는 최초 단계, 즉 슬라이드 접촉자(44)가 경사홈(57)을 따라서 상측 수평홈(58)의 입구 부근까지 슬라이드되면, 홀더 본체(2)의 용기삽입구멍(21) 내에 거의 수평상태로 수납되는 비지지위치가 된다. 이후는 홀더 본체(2)의 케이스(1) 내로의 삽입 정도에 따라서 슬라이드 접촉자(44)가 상측 수평홈(58)을 따라서 슬라이드된다.Then, the
(작동) (work)
홀더 본체(2)는 도 4의 상태에서 케이스(1) 내로의 삽입조작에 의해서 그 전방부분(20b)에 조립된 기어(5)가 거의 케이스(1)의 내부공간 내로 들어간 상태, 정확하게는 도 1(b)의 사용위치의 상태로 조립되어 지지된다. 도 5 및 도 6은 이 때의 세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The holder
(1) 도 5 및 도 6에 있어서의 (a)는 홀더 본체(2)가 케이스(1)에 대해서 화살표 방향으로 압입되고 있는 초기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1) (a) in FIG. 5 and FIG. 6 shows the initial stage in which the holder
이 때는 홀더 본체(2)가 케이스(1)에 대해서,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측의 리브(24a)를 대응하는 가이드 홈(18)에 일치시키고 또한 양측의 경사부(24d)를 대응하는 위치결정홈(10b)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압입 조작된다. 이와 같이 하면, 홀더 본체(2)는 양측의 경사부(24d)가 대응하는 위치결정홈(10b)을 따라서 들어감으로써 각 리브(24b)가 가이드 홈(15)에 끼워맞춰지게 되고, 또한 홀더 본체(2)를 다시 돌출방향으로 이동시키려고 할 때에 각 단차부(24c)가 가이드 홈(15)의 대응 단면에 맞닿음으로써 케이스(1)에 대한 빠짐이 저지된다.At this time, the holder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스(1)에 대한 홀더 본체(2)의 조립조작에 있어서, 홀더 본체(2)에 지지되어 있는 기어(5)가 케이스(1)의 래크(14)에 맞물리는 초기상태, 즉 도 1(b)의 홀더 본체(2)의 사용위치에서의 기어(5)의 초기상태{기어(5)의 톱니부(50)에 있어서의 상기 래크(14)의 첫번째 톱니와 맞물리는 개소}가 제품마다 달라지게 되면, 기어(5)의 탄지력에 의한 회전 및 이것에 수반되는 홀더 본체(2)의 상기 기어(5) 및 래크(14)의 맞물림을 통한 이동속도가 변하게 됨으로써 설계대로의 이동 특성이 얻어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다음과 같은 작동에 의해서 해소한 것이다.By the way, in the assembling operation of the holder
(2) 도 5 및 도 6에 있어서의 (b)와 (c)는 상기한 바와 같이 홀더 본체(2)가 케이스(1)에 조립되는 도중상태와 조립완료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이 구조에 있어서, 기어(5)는 홀더 본체(2)가 케이스(1)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된 초기 과정에서 상기 케이스(1)의 내부공간을 구획하고 있는 구획벽 중 상기한 볼록부(19)를 형성하고 있는 구획벽{상벽(10)}의 탄성변위를 수반하면서 볼록부(19)를 통과한다. (2) (b) and (c) in FIG. 5 and FIG. 6 show the intermediate state and the completed state in which the holder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5(b) 및 도 6(b)는 홀더 본체(2)가 케이스(1) 내로 삽입됨에 따라서 기어(5)의 도피부(53)가 볼록부(19)와 맞닿게 되고, 이 맞닿음상태에서 더 삽입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 구조에서는, 볼록부(19)가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측으로 갈수록 돌출량이 점차 증가하는 경사면(19a)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볼록부(19)가 당해 볼록부(19)를 형성하고 있는 구획벽{상벽(10)}의 탄성변위를 수반하면서 비교적 부드럽게 기어(5)의 도피부(53)에 올라타게 된다. 또한, 볼록부(19)의 대응 측면이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브(55)의 수직편(55a)을 따라서 위치결정되도록 안내되면서 도 6(b)의 화살표 방향으로 압입된다. 그 후, 기어(5)의 도피부(53)가 볼록부(19)를 통과하면, 볼록부(19)가 걸어맞춤 오목부(54)와 걸어맞춰짐과 동시에, 기어(5)의 톱니부(50)에 있어서의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54)에 인접하는 톱니를 일단 낮게 형성한 걸어맞춤부(54a)가 래크(14)의 이형상 톱니(14a), 즉 피걸어맞춤부와 맞물리게 된다.In detail, FIGS. 5 (b) and 6 (b) show that the
(3) 이상의 각 맞물림은 상기 구획벽 부분{본 실시형태에서는 볼록부(19)가 형성되어 있는 상벽(10)의 후단측 좌우 중간부분}이 탄성변위상태에서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때의 '찰칵'하는 조립음을 수반하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작업자는 홀더 본체(2)가 확실하게 케이스(1)에 조립된 것을 상기한 조립음을 들음으로써, 또한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54a)와 이형상 톱니(14a)의 걸어맞춤상태를 눈으로 점검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3) The engagement between the above-mentioned engagements is obtained when the partition wall portion (in this embodiment, the rear left and right middle portions of the
또, 이 구조에서는 기어(5)가 래크(14)와 맞물림과 동시에 볼록부(19)가 걸어맞춤 오목부(54)와 걸어맞춰지고, 또한 이 걸어맞춤상태에서 도피부(53) 및 걸어맞춤 오목부(54)를 구획하고 있는 리브(55)의 수평편(55b)을 볼록부(19)의 단면에 걸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이 구조에서는 기어(5)와 래크(14)의 맞물림상태가 유지됨으로써 기어(5)가 불필요하게 래크(14)에서 빠지는 우려를 확실하게 해소하고 있다.In this structure, the
(4) 이상의 구동장치(9)는,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 본체(2)를 케이스(1) 내로 밀어 넣은 수납위치에 있어서, 탄지수단(6)에는 상기 홀더 본체(2)가 사용위치에서 수납위치로 전환될 때에 기어(5)가 래크(14)와 맞물리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기어(5)의 회전량에 비례한 탄지력이 축적되게 된다. 홀더 본체(2)는 상기 탄지력에 저항하여 래치수단{즉, 회동편(7)의 핀부(7a)와 하트형의 캠홈(16)의 걸어맞춤}을 통해서 케이스(1)에 수납된 수납위치에 유지된다. 이 수납상태에서는, 상기한 슬라이드 접촉자(44)가 상측 수평홈(58)에 끼워맞춰져 있고, 상기한 돌기(45)가 전방부분(20b)의 상벽(10) 내면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맞닿음부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부재 간에 생기기 쉬운 요동이 확실하게 방지된다.(4) The
이것에 대해서, 홀더 본체(2)를 사용위치로 전환할 경우에는 홀더 본체(2)의 화장판(27)을 누른다. 이와 같이 하면, 홀더 본체(2)는 핀부(7a)와 캠홈(16)의 걸어맞춤이 해제됨과 동시에 기어(5)가 탄지수단(6)에 축적되어 있던 탄지력에 의해서 래크(14)와 맞물리면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도 1(b)의 사용위치로 전환된다. 이 전환과정에서는 기어(5)가 회전댐퍼(8)에 의해서 저속으로 회전되게 됨으로써 홀더 본체(2)의 급속한 이동이 완화된다. 또, 바닥부 지지부재(3)는 암(4)의 슬라이드 접촉자(44)와 기어(5)의 캠홈(56)의 캠작용에 의해서 비지지위치에서 홀더 본체(2)와 상하로 교차하는 지지위치로 전환되게 된다. 이 사용상태에서는 상기한 슬라이드 접촉자(44)가 경사홈(57)에 끼워맞춰지고, 또한 경사홈(57)의 하측에서 좌측의 경사편(51b)에 누름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부재 간에 생기기 쉬운 요동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용기류가 홀더 본체(2)의 용기삽입구멍(21) 내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워지면, 용기류의 바닥부가 바닥부 지지부재(3)의 바닥판부(31)에 놓여져 지지됨과 동시에 용기류의 주위가 측면 지지부(32)와 서브 홀더(28)의 사이에 구속되어 안정하게 유지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switching the holder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하등 제약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를 참고로 하여 다양한 장치에 전개 가능한 것이다. 그 일례는, 베이스 및 홀더 본체로서는 책상이나 소물함 및 그 인출체, 각종 장치 본체 및 그 덮개나 도어로서 전개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above embodiment does not restrict this invention at all.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ployed in various devices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For example, the base and the holder main body are developed as a desk, a small box, a drawer, various device main bodies, and a cover and a door.
1 - 케이스(베이스에 상당) 10 - 구획벽을 구성하고 있는 상벽
15 - 가이드 홈 2 - 홀더 본체(이동체에 상당)
21 - 용기삽입구멍 22 - 가이드 홈
25 - 오목부 3 - 바닥부 지지부재
34 - 축부 35 - 축구멍
4 - 암 44 - 슬라이드 접촉자
42,43 - 축부 5 - 기어
5a - 축구멍 50 - 톱니부
52e - 걸림구멍 56 - 캠홈
6 - 탄지수단 6a,6b - 단부
7 - 회동편(래치수단) 7a - 트레이스용 핀부
8 - 회전댐퍼 9 - 구동장치(용기홀더장치)
14 - 래크
14a - 이형상(異形狀) 톱니(위치결정수단으로서의 피걸어맞춤부에 상당)
16 - 캠홈(래치수단) 19 - 볼록부(위치결정수단)
19a - 경사면 25a - 끼워맞춤구멍(규제수단)
53 - 도피부 54 - 걸어맞춤 오목부
54a - 걸어맞춤부(위치결정수단) 55 - 리브
55a - 수직편 55b - 수평편
59 - 돌조부(규제수단)1-Case (equivalent to base) 10-Upper wall constituting partition wall
15-Guide groove 2-Holder body (equivalent to moving body)
21-Receptacle insertion hole 22-Guide groove
25-recess 3-bottom support member
34-Shaft 35-Shaft Bore
4-Female 44-Slide Contact
42,43-shaft 5-gear
5a-shaft hole 50-toothed
52e-Hole 56-Cam groove
6-Gantry means 6a, 6b-End
7-Rotating piece (latch means) 7a-Trace pin
8-Rotary damper 9-Driving device (container holder device)
14-rack
14a-Toothed tooth (corresponding to the engaged portion as the positioning means)
16-Cam groove (latch means) 19-Convex portion (positioning means)
19a-
53-Escape 54-Recessed Recess
54a-engaging parts (positioning means) 55-ribs
55a-
59-stonework (regulation)
Claims (6)
상기 이동체(2)는 상기 베이스(1)의 내부공간을 출입함과 아울러,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베이스(1)의 내부공간을 구획하고 있는 구획벽(10)의 내측에 형성되되 내부공간의 내측으로 향하여 갈수록 돌출량이 증가하는 볼록부(19)와, 상기 기어(5)에 형성되되 상기 볼록부(19)와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 오목부(5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의 구동장치.The movable body 2 is assembled so as to be mov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on the side of the base 1 through engagement of the rack 14 and the gear 5 with respect to the base 1, and the gear And a gripping means (6) interposed between (5), a fingering force is accumulated in the gripping means (6) during the rotation of the gear (5) in one direction, and the gear (5) is accumulated. The base 1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by the holding force to move the movable body 2 to either one of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nd when the movable body 2 is assembled to the base 1, the base 1 In the drive device having a positioning means for engaging the gear part of the gear 5 and the rack 14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y the moving operation of the movable body 2 along
The movable body 2 enters and leaves the inner space of the base 1, and the positioning means is formed inside the partition wall 10 partitioning the inner space of the base 1. Drive device of the moving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vex portion 19, the protrusion amount increases toward the inner side, and the engaging concave portion 54 formed on the gear (5) and engaging with the convex portion (19). .
상기 기어(5)는 상기 이동체(2)가 상기 베이스(1)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초기 과정에서 상기 구획벽(10)측의 탄성변위를 수반하면서 상기 볼록부(19)를 통과하였을 때에 상기 래크(14)와 맞물림과 동시에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54)와 상기 볼록부(19)가 걸어맞춰지고, 또한 이 걸어맞춤상태에서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54)를 구획하고 있는 수평부(55b)를 상기 볼록부(19)의 단면에 걸어서 상기 래크(14)와의 맞물림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의 구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gear 5 passes through the convex portion 19 with the elastic displacement on the side of the partition wall 10 in the initial process of inserting the movable body 2 into the inner space of the base 1, The engaging portion 54 and the convex portion 19 are engaged with the rack 14 at the same time, and the horizontal portion 55b which partitions the engaging recess 54 in this engaging state. ) Is held on the end face of the convex portion (19) to maintain the engaged state with the rack (14).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기어(5)와 상기 래크(14)의 톱니부에 다른 톱니들의 형상과는 상이한 이형상(異形狀)을 이루며 또한 서로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54a)와 피걸어맞춤부(14a)를 각각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의 구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positioning means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54a which forms a heterogeneous shape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other teeth and engages with each other in the toothed portion of the gear 5 and the rack 14 and is able to engage with each other. A drive device for moving bodies, each having a portion (14a).
상기 기어(5)에 형성된 돌조부(59)가 상기 이동체(2)에 형성된 끼워맞춤구멍(25a)에 끼워맞춰짐으로써 상기 기어(5)가 상기 탄지수단(6)에 소정의 탄지력을 축적한 초기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탄지수단(6)의 초기 상태에서 탄지력을 약화시키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는 규제수단(25a와 59)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의 구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protruding portion 59 formed in the gear 5 is fitted into the fitting hole 25a formed in the movable body 2 so that the gear 5 accumulates a predetermined finger force in the holding means 6. And a restricting means (25a and 59) for retaining one initial state and for preventing rotation in a direction of weakening the holding force in the initial state of the holding means (6).
상기 기어(5)에 형성된 돌조부(59)가 상기 이동체(2)에 형성된 끼워맞춤구멍(25a)에 끼워맞춰짐으로써 상기 기어(5)가 상기 탄지수단(6)에 소정의 탄지력을 축적한 초기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탄지수단(6)의 초기 상태에서 탄지력을 약화시키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는 규제수단(25a와 59)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의 구동장치.The method of claim 4,
The protruding portion 59 formed in the gear 5 is fitted into the fitting hole 25a formed in the movable body 2 so that the gear 5 accumulates a predetermined finger force in the holding means 6. And a restricting means (25a and 59) for retaining one initial state and for preventing rotation in a direction of weakening the holding force in the initial state of the holding means (6).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9-055580 | 2009-03-09 | ||
JP2009055580A JP5421620B2 (en) | 2009-03-09 | 2009-03-09 | Driving device for moving bod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1524A KR20100101524A (en) | 2010-09-17 |
KR101114070B1 true KR101114070B1 (en) | 2012-02-22 |
Family
ID=42728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18414A KR101114070B1 (en) | 2009-03-09 | 2010-03-02 | Driving device for moving body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5421620B2 (en) |
KR (1) | KR101114070B1 (en) |
CN (1) | CN102348578B (en) |
MY (1) | MY156137A (en) |
WO (1) | WO2010103980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290633B (en) * | 2013-07-19 | 2017-02-01 |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 Cup supporting component for vehicle and vehicle with cup supporting component |
FR3065684B1 (en) | 2017-04-28 | 2019-06-28 |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 TRIM ASSEMBLY COMPRISING A DEPLOYABLE PIECE |
CN111055781B (en) * | 2019-12-26 | 2021-09-17 |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 Saucer mechanism, instrument board assembly and vehicle |
US11186373B1 (en) * | 2020-07-09 | 2021-11-30 | B/E Aerospace, Inc. | System including resettable cupholder apparatu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36605Y1 (en) * | 1995-07-06 | 1999-04-01 | 구자홍 | Gear coupling structure |
JP2008062694A (en) * | 2006-09-05 | 2008-03-21 | Toyoda Gosei Co Ltd | Container holder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579835A (en) * | 2003-07-31 | 2005-02-16 | 株式会社利富高 | Damper device |
KR100767304B1 (en) * | 2006-03-22 | 2007-10-17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Push type cup holder |
JP4969331B2 (en) * | 2007-06-19 | 2012-07-04 | 株式会社ニフコ | Cup holder |
CN201092273Y (en) * | 2007-08-30 | 2008-07-30 | 吴志光 | Vehicle cup holder |
-
2009
- 2009-03-09 JP JP2009055580A patent/JP5421620B2/en active Active
-
2010
- 2010-03-02 KR KR1020100018414A patent/KR101114070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0-03-03 WO PCT/JP2010/053461 patent/WO201010398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3-03 CN CN201080011166.3A patent/CN102348578B/en active Active
- 2010-03-03 MY MYPI2011004241A patent/MY156137A/en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36605Y1 (en) * | 1995-07-06 | 1999-04-01 | 구자홍 | Gear coupling structure |
JP2008062694A (en) * | 2006-09-05 | 2008-03-21 | Toyoda Gosei Co Ltd | Container holder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1524A (en) | 2010-09-17 |
WO2010103980A1 (en) | 2010-09-16 |
CN102348578A (en) | 2012-02-08 |
JP2010208442A (en) | 2010-09-24 |
CN102348578B (en) | 2014-03-12 |
MY156137A (en) | 2016-01-15 |
JP5421620B2 (en) | 2014-0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501926C2 (en) | Opening mechanism for coplanar doors with combined movement | |
KR101114070B1 (en) | Driving device for moving body | |
JP4704861B2 (en) | Drawer side plate | |
US20060230574A1 (en) | Door checker for automobile | |
KR102132133B1 (en) | Lock device | |
US8100455B2 (en) | Overhead console | |
KR20090082215A (en) | Sliding assistance mechanism and pull-in unit | |
JP2016117313A (en) | Lid opening/closing device | |
EP3059363A1 (en) | Locking device | |
KR20110104968A (en) | Stay for opening and closing of door | |
DE112019001030T5 (en) | Lid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vehicle | |
JP4969125B2 (en) | Automatic slide device for movable body | |
KR100968034B1 (en) | Lid device | |
KR101103965B1 (en) | Push-up device | |
TWI523998B (en) | Door block and rod locking mechanism | |
CN107542326B (en) | Sliding key | |
KR101607555B1 (en) | Damper system for sliding door | |
JP5710044B2 (en) | Table or desk | |
KR20100101536A (en) | Container holder device | |
EP2613503A1 (en) | Sliding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 |
JP2009100816A (en) | Wiring cover device | |
JP2017048502A (en) | Double sliding door device | |
KR20090093811A (en) | Interlocking device for biparting lid | |
KR101093430B1 (en) | Lock structure of rotator and storage device | |
JP2013231332A (en) | Grip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31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