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702B1 - 상수도 정수장의 취수탑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상수도 정수장의 취수탑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702B1
KR101113702B1 KR1020090086294A KR20090086294A KR101113702B1 KR 101113702 B1 KR101113702 B1 KR 101113702B1 KR 1020090086294 A KR1020090086294 A KR 1020090086294A KR 20090086294 A KR20090086294 A KR 20090086294A KR 101113702 B1 KR101113702 B1 KR 101113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water
tower
screen
intake t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6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8727A (ko
Inventor
조맹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Priority to KR1020090086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702B1/ko
Publication of KR20110028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4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surface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 E02B8/026Clean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 정수장의 취수탑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취수구(11)를 갖는 취수탑(10)의 주위에 취수벽(20)이 이격 설치되고, 원수의 유입이 취수지의 하층부로부터 취수구(11)로 오버플로우되어 취수탑(1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취수탑(10)과 취수벽(20) 사이의 공간부가 하향 개방되며, 취수중 수상에 떠있는 협잡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30)이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30)에 끼어 있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노즐(41)이 구비된 역세파이프(40)가 상기 스크린(30)에 인접되어 설치되는 공지의 상수도 정수장의 취수탑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취수구(11)가 취수탑(10)의 상부쪽으로 이동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30)이 취수탑(10)과 취수벽(20) 사이의 하향 개방된 공간부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노즐(41)이 구비된 역세파이프(40)가 상기 스크린(30)과 인접한 취수탑(10)과 취수벽(20) 사이의 안쪽 공간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취수를 취수지의 상층부로부터 실시하지 아니하고 수상에 떠있는 협잡물을 피해 수중, 즉 취수지의 하층부로부터 용이하게 취수할 수 있어 상기 협잡물에 의한 취수중단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또한 취수탑과 취수벽 사이의 하향 개방된 공간부 입구에 설치된 스크린에 의해 협잡물의 유입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세파이프에 의한 스크린의 세척이 가능하여 양호한 원수만을 취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수도 정수장, 취수탑, 취수구, 협잡물.

Description

상수도 정수장의 취수탑 설치구조{Installation structure for intake tower of filtration plant}
본 발명은 상수도 정수장의 취수설비인 취수탑의 취수구조를 수중유입식 구조로 개량하여 취수중 수상에 떠있는 협잡물이 취수탑의 내측으로 동반 유입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상수도 정수장의 취수탑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취수를 위한 취수설비는 하천, 댐, 저수지 등과 같은 취수지에 기반을 두고 설치된다.
종래에는 통상 도 3에 도시된 형태의 취수탑(1)을 통한 취수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한 취수구조는 취수탑(1)의 둘레에 원수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취수탑(1)으로부터 이격 설치되는 취수벽(3) 사이의 공간부가 상향 개방된 상태로 구성되어 취수시설이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는 펌프(미도시)를 가동시키게 되면, 취수지의 상층부에 있는 원수가 취수탑(1)과 취수벽(3) 사이의 공간부 안쪽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취수탑(1)의 하단부에 형성된 취수구(2)를 통해 취수탑(1)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장마철과 같이 각종 협잡물이 취수탑(1) 주변에 밀집될 경우 취수탑(1)을 통해 원수를 끌어들이는 과정에서 상기 협잡물들이 취수탑(1)과 취수벽(3) 사이의 공간부 안쪽으로 동반 유입되어 취수구(2)를 막아버리거나 크기가 작은 협잡물이 취수구(2)를 통해 취수탑(1)의 안쪽으로 유입됨에 따라 부득이 취수를 중단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는 구조적으로 종래 취수구조가 취수지의 상층부 원수가 가장 먼저 유입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취수중 원수와 함께 수상에 떠있는 협잡물이 동반 유입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지 못하는 데에서 비롯된 결과일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상수도 정수장의 취수설비인 취수탑의 취수구조를 수중유입식 구조로 개량하여 취수중 수상에 떠있는 협잡물이 취수탑의 내측으로 동반 유입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정수장의 취수탑 설치구조는, 취수구를 갖는 취수탑의 주위에 취수벽이 이격 설치되고, 원수의 유입이 취수지의 하층부로부터 상기 취수탑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취수탑과 취수벽 사이의 공간부가 하향 개방되며, 취수중 수상에 떠있는 협잡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이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에 끼어 있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노즐이 구비된 역세파이프가 상기 스크린에 인접되어 설치되는 공지의 상수도 정수장의 취수탑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취수구가 취수탑의 상부쪽으로 이동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이 취수탑과 취수벽 사이의 하향 개방된 공간부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노즐이 구비된 역세파이프가 상기 스크린과 인접한 취수탑과 취수벽 사이의 안쪽 공간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은 취수를 취수지의 상층부로부터 실시하지 아니하고 수상에 떠있는 협잡물을 피해 수중, 즉 취수지의 하층부로부터 용이하게 취수할 수 있어 상기 협잡물에 의한 취수중단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또한 취수탑과 취수벽 사이의 하향 개방된 공간부 입구에 설치된 스크린에 의해 협잡물의 유입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세파이프에 의한 스크린의 세척이 가능하여 양호한 원수만을 취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정수장의 취수탑 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취수탑 설치구조의 단면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 "A"부의 확대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부호중 M은 수상에 떠있는 협잡물, 50은 스틸그레이팅을 나타낸다.
취수구(11)를 갖는 취수탑(10)의 주위에 취수벽(20)이 이격 설치되고, 원수의 유입이 취수지의 하층부로부터 상기 취수탑(1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취수탑(10)과 취수벽(20) 사이의 공간부가 하향 개방되며, 취수중 수상에 떠있는 협잡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30)이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30)에 끼어 있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노즐(41)이 구비된 역세파이프(40)가 상기 스크린(30)에 인접되어 설치되는 공지의 상수도 정수장의 취수탑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취수구(11)가 취수탑(10)의 상부쪽으로 이동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30)이 취수탑(10)과 취수벽(20) 사이의 하향 개방된 공간부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노즐(41)이 구비된 역세파이프(40)가 상기 스크린(30)과 인접한 취수탑(10)과 취수벽(20) 사이의 안쪽 공간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은 상수도 정수장의 취수설비인 취수탑(10)의 취수구조를 수중유입식 구조로 개량하고 있는 것이다.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지, 즉 하천, 댐, 저수지의 하층부 원수를 취수탑(10)과 취수벽(20) 사이의 공간부로 유입하여 취수탑(10)의 안쪽으로 오버플로우되면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취수구(11)를 취수탑(10)의 상부로 이동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원수를 취수지의 하층부로부터 유입되도록 취수탑(10)과 취수벽(20) 사이의 공간부를 하향 개방하고 있어 수상에 떠있는 협잡물의 동반 유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취수탑(10)과 취수벽(20) 사이의 하향 개방된 공간부 입구에는 취수중 협잡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30)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취수탑(10)과 취수벽(20) 사이의 공간부로 쉽게 유입되지 않는다.
그러나 연속적으로 취수하게 되는 경우 취수지의 바닥에 가라앉은 협잡물에 의해 스크린(30)이 막힐 우려가 있기 때문에 스크린(30)과 인접한 취수탑(10)과 취수벽(20) 사이의 안쪽 공간부에 설치된 역세파이프(40)를 이용하여 스크린(30)에 끼어있는 협잡물을 스크린(30)의 외부로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 역세파이프(40)의 작동은 취수시설에 설치되어 있는 펌프의 취수용 송수압을 일부 이용하게 되며 상기 송수압에 의해 마치 콤프레셔와 같은 압축공기가 역세파이프(40)의 노즐(41)을 통해 분사되어 스크린(30)에 붙어 있는 협잡물 분리시킴으로써 스크린(30)을 통해 항시 불순물이 포함되지 않은 원수만을 취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취수를 취수지의 상층부로부터 실시하지 아니하고 수상에 떠있는 협잡물을 피해 수중, 즉 취수지의 하층부로부터 용이하게 취수할 수 있어 상기 협잡물에 의한 취수중단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또한 취수탑(10)과 취수벽(20) 사이의 하향 개방된 공간부 입구에 설치된 스크린(30)에 의해 협잡물의 유입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세파이프(40)에 의한 스크린(30)의 세척이 가능하여 양호한 원수만을 취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단순한 설계변경이나 관용수단의 치환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취수탑 설치구조의 단면구성도
도 2는 도 1 "A"부의 확대도
도 3은 종래 취수탑 설치구조의 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취수탑 11 : 취수구
20 : 취수벽 30 : 스크린
40 : 역세파이프 41 : 노즐

Claims (2)

  1. 취수구(11)를 갖는 취수탑(10)의 주위에 취수벽(20)이 이격 설치되고, 원수의 유입이 취수지의 하층부로부터 상기 취수탑(1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취수탑(10)과 취수벽(20) 사이의 공간부가 하향 개방되며, 취수중 수상에 떠있는 협잡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30)이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30)에 끼어 있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노즐(41)이 구비된 역세파이프(40)가 상기 스크린(30)에 인접되어 설치되는 공지의 상수도 정수장의 취수탑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취수구(11)가 취수탑(10)의 상부쪽으로 이동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30)이 취수탑(10)과 취수벽(20) 사이의 하향 개방된 공간부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노즐(41)이 구비된 역세파이프(40)가 상기 스크린(30)과 인접한 취수탑(10)과 취수벽(20) 사이의 안쪽 공간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정수장의 취수탑 설치구조.
  2. 삭제
KR1020090086294A 2009-09-14 2009-09-14 상수도 정수장의 취수탑 설치구조 KR101113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294A KR101113702B1 (ko) 2009-09-14 2009-09-14 상수도 정수장의 취수탑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294A KR101113702B1 (ko) 2009-09-14 2009-09-14 상수도 정수장의 취수탑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727A KR20110028727A (ko) 2011-03-22
KR101113702B1 true KR101113702B1 (ko) 2012-02-27

Family

ID=43934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294A KR101113702B1 (ko) 2009-09-14 2009-09-14 상수도 정수장의 취수탑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7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183A (ko) 2019-01-02 2020-07-10 현대건설주식회사 내진보강말뚝과 변위제어슬래브를 이용한 파일 서포트 취수탑 및 취수탑 내진보강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993A (ja) * 1994-07-05 1996-01-23 Hitachi Ltd 流入施設
KR200225775Y1 (ko) * 2000-11-27 2001-06-01 주식회사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토사 및 조류의 유입을 최소화 하는 취수탑 구조
KR100321942B1 (ko) 1999-04-26 2002-02-04 이정희 어도 겸용 취수탑
KR100689855B1 (ko) * 2002-12-26 2007-03-08 주식회사 타 셋 자동 역세 사여과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993A (ja) * 1994-07-05 1996-01-23 Hitachi Ltd 流入施設
KR100321942B1 (ko) 1999-04-26 2002-02-04 이정희 어도 겸용 취수탑
KR200225775Y1 (ko) * 2000-11-27 2001-06-01 주식회사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토사 및 조류의 유입을 최소화 하는 취수탑 구조
KR100689855B1 (ko) * 2002-12-26 2007-03-08 주식회사 타 셋 자동 역세 사여과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183A (ko) 2019-01-02 2020-07-10 현대건설주식회사 내진보강말뚝과 변위제어슬래브를 이용한 파일 서포트 취수탑 및 취수탑 내진보강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727A (ko) 2011-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2097B2 (ja) 地下排水ポンプ設備
CN104906855A (zh) 一种前置式反冲洗过滤器
KR101113702B1 (ko) 상수도 정수장의 취수탑 설치구조
KR20130120052A (ko) 비점오염원 저감 기능을 갖는 도로 및 교량용 집수정 시스템
KR100762981B1 (ko) 도수로의 비점오염 저감장치
CN108114526A (zh) 一种升流式污水沉淀过滤设备
KR100681933B1 (ko) 저류지에서의 수질 정화 증대 장치
KR101764398B1 (ko) 정체수 배재 및 역세척 설비를 이용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943655B1 (ko) 스마트 침사조를 이용한 빗물이용 시스템
KR100673818B1 (ko) 세면수 정화식 절수형 양변기
JP2006322148A (ja) 雨水の地下貯留浸透施設
RU2576964C1 (ru) Устье дренажного коллектора
KR101194025B1 (ko) 배수구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KR20090098297A (ko) 강변여과수 취수정의 스트레이너에 흡입균형관을 설치하여스트레이너의 폐공을 방지하는 방법
KR20160095811A (ko) 친환경 다목적 댐
CN2897996Y (zh) 喷射冲洗式净水器
KR100883616B1 (ko) 협잡물 거름용 스크린을 구비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CN211738619U (zh) 一种阀体结构和倒置桶型蒸汽疏水阀
KR101288605B1 (ko) 잔류수 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JP5577482B2 (ja) 伏越管
KR102068627B1 (ko) 하천의 수질개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천의 수질개선구조물
KR200410182Y1 (ko) 물과 공기를 병용하는 역세척방식의 급속여과기
KR101232215B1 (ko) 우수 처리 장치
CN211635913U (zh) 液膜吸收塔
KR20110005094U (ko) 집수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