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698B1 - Apparatus for transferring pots with pot hold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ansferring pots with pot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698B1
KR101113698B1 KR1020110005936A KR20110005936A KR101113698B1 KR 101113698 B1 KR101113698 B1 KR 101113698B1 KR 1020110005936 A KR1020110005936 A KR 1020110005936A KR 20110005936 A KR20110005936 A KR 20110005936A KR 101113698 B1 KR101113698 B1 KR 101113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cylinder
plate
coupled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9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세용
김순자
Original Assignee
김순자
김세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자, 김세용 filed Critical 김순자
Priority to KR1020110005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69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6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9Handling or transporting of soil blocks 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2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PURPOSE: A pot-transporting device using a pot holder is provided to enable users to easily and rapidly move pots to a working board using the pot holder and a cylinder capable of moving the pot holder to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CONSTITUTION: A pot-transporting device using a pot holder(100) comprises the following: an upper plate(210) including a moving cylinder(231), an eject cylinder(232), and a fine adjustment cylinder(233); a connection unit(240) including an outer frame combined with the pot holder, an eject plate moving upward and downward in the outer frame by the operation of the eject cylinder and the fine adjustment cylinder; a working board(250) including a first pot working board(2) for mounting pots; a mounting plate(260) including a second pot working board(3)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working board; a first fixing plate(4) including a shaking prevention wall; and a second fixing plate for mounting the second pot working board.

Description

포트 홀더를 이용한 포트 이동 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Pots With Pot Holder}Apparatus for Transferring Pots With Pot Holder}

본 발명은 상토가 담겨져 모종이 키워지는 포트를 포트 작업판에 이동시키기 위한 포트 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트 홀더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포트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작업판에 이동시킬 수 있는 포트 홀더를 이용한 포트 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 shifting device for moving a port containing seedlings and growing seedlings to a port working plate. More specifically, a port capable of efficiently and effectively moving several ports to a working plate using a port holder. A port moving device using a holder.

본 발명은 포트 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 mobile device.

기존의 포트를 작업판에 이동시키는 수단은 사람이 직접 포트들을 작업판에 일일이 이동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었다.As a means of moving an existing port to a work board, a method of manually moving ports to a work board has been used.

따라서, 상당한 인력과 작업 시간이 소요되고 작업 공정의 비효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nsiderable manpower and work time are required and work process inefficiency occurs.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포트 홀더와 포트 홀더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는 실린더를 구비함으로써, 복수 개의 열과 복수 개의 행으로 적층되어 있는 포트들을 쉽고 빠르게 작업판에 옮겨 담을 수 있도록 하는 포트 홀더를 이용한 포트 이동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include a port holder and a cylinder capable of vertically moving a port holder, so that ports stack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a plurality of rows can be easily and quickly transferred to a work board. It is to provide a port moving device using a port hold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각각 독립적으로 상하 운동하는 위치 이동 실린더와 이젝트 실린더 및 미세 조정 실린더를 포함하는 실린더부를 포함하는 상판; 상기 실린더부와 결합하고 상기 위치 이동 실린더에 의해 상하 이동하며 포트 홀더가 결합된 외부 프레임과 상기 외부 프레임 내부에서 상기 이젝트 실린더와 미세 조정 실린더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이젝트 판을 포함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 하측에 배치되고 포트들이 복수 개의 열과 복수 개의 행으로 안착되는 제1 포트 작업판이 배치되는 작업판; 상기 작업판 하측에 배치되고 포트들이 상기 복수 개의 열과 복수 개의 행으로 적층되어 안착되는 제2 포트 작업판이 배치되는 적층판; 상기 작업판 상에 상기 제1 포트 작업판이 안착되어 상기 제1 포트 작업판의 외측면과 접촉되도록 일정높이로 돌출되며 상측부분이 외측으로 기울어진 흔들림방지벽이 형성된 제1 고정판; 및 상기 적층판 상에 상기 제2 포트 작업판이 안착되는 제2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포트 홀더는, 복수 개의 열과 복수 개의 행으로 배치되는 성토가 담기는 포트를 동시에 홀딩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포트 홀더로서, 상측으로 제2 손잡이가 고정 결합되고, 하측면에는 샤프트 형태의 연결축의 일측이 복수 개의 열과 복수 개의 행으로 각각 고정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상측으로 제1 손잡이가 고정 결합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 하측으로부터 일정한 이격 거리가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각 연결축이 아래로 관통하여 상기 이격 거리 범위 내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한 하부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각 연결축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 하측으로 관통된 상기 각 연결축의 말단에는 포트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포트의 내측면과 밀착 접촉되는 홀딩 부재가 십자 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제1 손잡이는 상기 외부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손잡이는 상기 이젝트 판의 동작에 의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위치 이동 실린더의 동작에 의해 상기 포트 홀더가 결합된 결합부가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이젝트 실린더의 동작에 의해 상기 포트 홀더의 제1 손잡이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손잡이가 하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미세 조정 실린더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2 손잡이를 미세 조정함에 따라서 상기 연결축과 함께 상기 홀딩 부재도 상기 이격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측으로 이동하는 포트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딩 부재는, 거친 표면을 형성한 테이프에 의해 테이핑되고, 스폰지 재질이며, 상기 하부 프레임 아래로 돌출된 연결축의 말단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와, 하측은 양 측면이 벌어지는 테이퍼 형태이고 상측은 양 측면이 평행한 형태로 형성되고 2개가 상기 연결축의 말단에 결합된 결합 부재에 십자 형태로 결합되며 형성된 접촉 부재 및 상기 접촉 부재의 평행한 양 외측면에 상측 방향으로 향하며 돌설되고 돌설되는 외측 끝단이 모서리로 형성되어 포트를 홀딩하는 돌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op plate including a cylinder portion including a position movement cylinder and an eject cylinder and a fine adjustment cylinder each independently up and down; A coupling part including an outer frame coupled to the cylinder part and moved up and down by the position shifting cylinder and a port plate coupled thereto, and an eject plate moved up and down by the eject cylinder and the fine adjustment cylinder inside the outer frame; A work plate disposed under the coupling part and having a first port work plate on which ports are seated in a plurality of columns and a plurality of rows; A laminated plate disposed below the working plate and having a second port working plate on which ports are stacked and seated in the plurality of columns and a plurality of rows; A first fixing plate on which the first port working plate is mounted,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ort working plate, and having an anti-shake wall having an upper portion inclined outwardly; And a second fixing plate on which the second port working plate is seated on the laminate, wherein the port holder includes: a port holder capable of simultaneously holding and moving a port containing fills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a plurality of rows; As an upper side, the second handle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ide, the lower side has an upper frame one side of the coupling shaft in the form of a shaft fixedly coupl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a plurality of rows, respectively; A lower frame configured to be fixedly coupled to a first handle upward to form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lower side of the upper frame, and to allow the connecting shaft to penetrate downward to move upward and downward within a range of the distance; And each of the connection shafts is provided with an elastic body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respectively, to impart an elastic force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nd each connection penetrated below the lower frame. At the end of the shaft, a holding member inserted into the port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 is coupled in a cross shape, wherein the first handle is fixed to the outer frame and the second handle is moved up and down by operation of the eject plate. By being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so as to move, the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port holder is moved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position shifting cylinder, and by the operation of the eject cylinder relative to the first handle of the port holder The second handle moves downward, and the second hand is moved by the operation of the fine adjustment cylinder. As the fine adjustment is performed, the holding member also includes a port holder moving downwardly within the separation distance within the separation distance with the connecting shaft, and the holding member is taped by a tape having a rough surface, Sponge material, the coupling member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connecting shaft protruding below the lower frame, the lower side is formed in the tapered form on both sides and the upper side is formed in a parallel form on both sides and two are coupled to the end of the connecting shaf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act member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in the form of a cross and the protrusions for holding the port is formed in the corner of the outer end facing upward and protruding upwards on both parallel outer surfaces of the contact me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포트 홀더를 이용한 포트 이동 장치는, 상기 작업판이 프레임 틀 사이에서 정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미닫이 방식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rt shifting device using the port hold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ork plate is installed in a sliding manner so that the reciprocating movement and sliding in the front direction between the frame fram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열과 복수 개의 행으로 적층되어 있는 포트들을 쉽고 빠르게 작업판에 옮겨 담을 수 있는 포트 홀더를 이용한 포트 이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rt moving device using a port holder that can be easily and quickly transferred to the work plate port stacked in a plurality of columns and a plurality of row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포트 홀더를 이용한 포트 이동 장치를 구성하는 포트 홀더의 정면도이다.
도 2는 포트 홀더의 측면도이다.
도 3은 포트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4는 포트 홀더의 참고도이다.
도 5는 홀딩 부재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포트 홀더를 이용한 포트 이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표시된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8 및 도 9는 결합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포트 홀더를 이용한 포트 이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포트 홀더를 이용한 포트 이동 장치의 측면도로서 작업판이 전방 방향으로 이동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포트 홀더를 이용한 포트 이동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제1 고정판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2 고정판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1 포트 작업판 또는 제2 포트 작업판의 사시도이다.
도 16는 포트의 사시도
1 is a front view of a port holder constituting a port moving device using a port hol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the port holder.
3 is a top view of the port holder.
4 is a reference diagram of a port holder.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holding member.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 moving apparatus using a port hol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shown in FIG. 6.
8 and 9 are enlarged views of the coupling unit.
10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 moving apparatus using a port hol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view of a port moving apparatus using a port hol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of the port moving apparatus using the port holder.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fixing plate.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fixing plate.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port working plate or the second port working plate.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포트 홀더를 이용한 포트 이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port movement apparatus using a port hold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는 우선 상기 포트 홀더(100)에 관한 구성과 작동 원리에 관하여 설명한 후 상기 포트 홀더(100)를 이용한 포트 이동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ng principle of the port holder 100 will be described first, and then a port moving apparatus using the port holder 100 will be described.

포트 홀더(100)Port holder (100)

도 1은 포트 홀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측면도이며, 도 3은 평면도이고, 도 4는 포트 홀더의 참고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 holder, FIG. 2 is a side view, FIG. 3 is a plan view, and FIG. 4 is a reference view of the port hold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트 홀더를 이용한 포트 이동 장치에 결합하는 포트 홀더(100)는 복수 개의 열과 복수 개의 행으로 배치되어 성토가 담기는 포트(1)를 동시에 홀딩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포트 홀더로서, 상측으로 제2 손잡이(40)가 고정 결합되고, 하측면에는 샤프트 형태의 연결축(60)의 일측이 복수 개의 열과 복수 개의 행으로 각각 고정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20)을 포함한다.The port holder 100 coupled to the port moving apparatus using the port hold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 which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columns and a plurality of rows and simultaneously holds and moves the port 1 containing the fill. As the holder, the second handle 40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includes an upper frame 20 to which one side of the shaft 60 is fixedly coupled to a plurality of rows and a plurality of rows, respectively.

또한, 상측으로 제1 손잡이가 고정 결합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20) 하측으로부터 일정한 이격 거리가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각 연결축(60)이 아래로 관통하여 상기 이격 거리 범위 내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한 하부 프레임(10)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handle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ide is arranged to form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frame 20 and each connecting shaft 60 is penetrated downward to move up and down within the separation distance range And a frame 10.

이때, 상기 상부 프레임(20)과 하부 프레임(10)은 상기 각 연결축(60)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각 연결축(60)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20)과 하부 프레임(10)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20)과 하부 프레임(10) 사이에 상하 방향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50)가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upper frame 20 and the lower frame 10 are connected by the respective connecting shaft 60, each of the connecting shaft 60 and one end and the upper frame 20 and the lower frame 10 The other end is coupled to each other is provided with an elastic body 50 for imparting an elastic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upper frame 20 and the lower frame 10.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10) 하측으로 관통된 상기 각 연결축의 말단에는 포트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포트의 내측면과 밀착 접촉되는 홀딩 부재가 십자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손잡이(30)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손잡이(40)가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상기 연결축(60)과 함께 상기 홀딩 부재(80)도 상기 이격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a holding member inserted into the port at the end of each of the connecting shafts penetrating downward of the lower frame 10 to be in intimat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 is joined in a cross shape, thereby referring to the first handle 30. As the second handle 40 moves downward, the holding member 80 together with the connecting shaft 60 may also be moved downward of the lower frame 10 within the separation distance range.

상기 홀딩 부재(80)는 거친 표면을 형성한 스폰지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holding member 80 is preferably a sponge material having a rough surface.

또한, 상기 홀딩 부재(80)의 외측면 상측에는 상측 방향으로 돌설된 돌기(83)들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protrusions 83 protruding upward may be formed on an outer side of the holding member 80.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10)은 상기 각 연결축(60)이 관통되는 연결관(70)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frame 10 may further include connecting tubes 70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shafts 60 pass.

이때, 본 명세서에서의 포트(1)는 일반적으로 모종 등을 옮겨 심기 위해 사용되는 화분으로서 폴리에틸렌 재질을 사용하여 유동성을 크게 하여 화분에서 모종을 쉽게 뺄 수 있는 폴리에틸렌 화분 등을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port (1)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generally refers to a polyethylene pot that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pot by increasing the fluidity using a polyethylene material as a pot used for planting seedlings and the like.

즉, 포트 홀더(100)는 복수 개의 열과 복수 개의 행으로 배치된 성토가 담기는 포트(1)를 동시에 홀딩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포트 홀더로서, 상측으로는 제2 손잡이(40)가 고정 결합되고, 하측으로는 상기 복수 개의 열과 복수 개의 행으로 배치된 연결축(60)의 일측과 상하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탄성체(50)의 일측이 결합된 상부 프레임(20)과, 상기 상부 프레임(20) 하측으로 일정한 이격 거리가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탄성체(50)의 타측과 결합하며 상기 연결축(60)의 타측이 관통하여 상기 이격 거리 범위 내에서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상측으로 제1 손잡이(30)가 고정 결합된 하부 프레임(10)을 포함한다.That is, the port holder 100 is a port holder capable of simultaneously holding and moving a port 1 containing fills arranged in a plurality of columns and a plurality of rows, and a second handle 40 is fixedly coupled upward. On the lower side, the upper frame 2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60 arranged in a plurality of columns and a plurality of rows and one side of the elastic body 50 to provide an elastic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upper frame ( 20) is arranged to form a predetermined separation distance to the lower side and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body 50 and coupled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60 can be moved up and down within the separation distance range and the first upward Handle 30 includes a lower frame 10 fixedly coupled.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10) 하부에는 단면이 테이퍼 형태인 홀딩 부재(80)가 상기 연결관(70) 각각에 십자 형태로 결합된다.In addition, a holding member 80 having a tapered shap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10 is coupled to each of the connecting pipes 70 in a cross shape.

즉, 상기 제1 손잡이(30)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손잡이(40)가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상기 상기 하부 프레임(10) 및 홀딩 부재(80)도 상기 상부 프레임(2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That is, the lower frame 10 and the holding member 80 also move toward the upper frame 20 as the second handle 40 moves upward based on the first handle 30.

이때, 상기 탄성체(50)는 상기 상부 프레임(20)과 하부 프레임(10) 사이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되, 바람직하게는 4개의 탄성체(50)가 대칭적으로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elastic body 50 is coupled to connect between the upper frame 20 and the lower frame 10, preferably four elastic bodies 50 are symmetrically coupled.

또한, 상기 탄성체(50)는 일반적으로 스프링에 의한 탄성체인 것이 바람직하나, 스프링과 같은 탄성력을 갖는 다른 부품으로 대체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the elastic body 50 is generally preferably an elastic body by a spring, but may be replaced with another component having an elastic force such as a spring.

상기 하부 프레임(10)에는 속이 빈 관형태의 연결관(70)이 상기 복수 개의 열과 복수 개의 행의 배치에 대응되도록 결합된다.A hollow tube-shaped connecting tube 70 is coupled to the lower frame 10 so as to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columns and the plurality of rows.

상기 상부 프레임(20)에는 샤프트 형태의 연결축(60) 일측이 역시 상기 복수 개의 열과 복수 개의 행의 배치에 대응되도록 결합된다.One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60 in the form of a shaft is coupled to the upper frame 20 so as to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columns and the plurality of rows.

상기 연결축(60)의 타측은 상기 연결관(70)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이격 거리의 범위 내에서의 일정한 간격만큼씩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60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connecting pipe 70 is coupled to enable vertical movemen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in the range of the separation distance.

상기 하부 프레임(10)에는 상측으로 제1 손잡이(30)가 결합된다.The first handle 30 is coupled to the lower frame 10 upward.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20)에는 상측으로 제2 손잡이(40)가 결합된다.In addition, the second handle 40 is coupled to the upper frame 20 upward.

이때, 상기 제1 손잡이(30)가 상기 제2 손잡이(40)보다 일정한 간격만큼 아래에 위치하도록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first handle 30 is coupled to be positioned below the second handle 4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또한, 상기 제1 손잡이(30)와 상기 제2 손잡이(40)의 간격은 상기 하부 프레임(10)과 상부 프레임(20)의 이격 거리와 비슷한 간격이 형성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handle 30 and the second handle 40 is preferably coupled to form a distance similar to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lower frame 10 and the upper frame 20.

상기 연결축(60) 말단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기 홀딩 부재(80)가 결합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holding member 80 is coupled to an end of the connecting shaft 60.

상기 홀딩 부재(80)는 결합 부재(81), 접촉 부재(82) 및 돌기(83)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lding member 80 may include a coupling member 81, a contact member 82, and a protrusion 83.

상기 결합 부재(81)는 상기 하부 프레임(10) 아래로 도출된 연결축(60)의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접촉 부재(82)가 결합되는 부재이다.The coupling member 81 is a member to which the contact member 82 is coupled by being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connecting shaft 60 which is led under the lower frame 10.

단, 상기 접촉 부재(82)는 상기 결합 부재(81) 없이 직접 상기 연결축(60)의 말단에 결합될 수도 있다.However, the contact member 82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end of the connecting shaft 60 without the coupling member 81.

이때. 상기 홀딩 부재(80)는 하나의 테이퍼 형태(원뿔 형태)를 갖는 홀딩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70) 각각에 결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의 홀딩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측은 양 측면이 서서히 벌어지는 테이퍼 형태이고 상측은 양 측면이 평행한 형태의 접촉 부재(82) 2개가 상기 연결축(60)의 말단에 결합된 결합 부재(81)에 또는 상기 연결축(60)에 직접 십자 형태로 결합되도록 형성된다(도 5 참조).At this time. The holding member 80 may be formed as a holding member having a single taper shape (conical shape) to be coupled to each of the connection pipes 70, and the like. Preferably, the lower side has a tapered shape in which both sides gradually open, and the upper side has a contact member 82 having a parallel shape on both sides, or a coupling member 81 coupled to the end of the connection shaft 60 or the connection shaft. It is formed to be directly coupled to the cross-shaped (60) (see Fig. 5).

즉, 상기 홀딩 부재(80)는, 포트(1, 혹은 홀더)의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포트(1)의 내측면에 홀딩 부재(70)의 측면들이 접촉하여 홀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at is, when the holding member 80 is inserted into the port 1 or the holder, the side surfaces of the holding member 70 are formed to be hel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 1.

상기 홀딩 부재(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접촉 부재(82)가 결합 부재(81)를 중심으로 십자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접촉 부재(82)의 상측 외주면에는 상측 방향으로 향하는 작은 돌기(83)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트(1)는 일반적으로 바닥면에서 상부 입구쪽으로 갈수록 양 측면의 거리가 증가하도록 형성되되 상측에서는 양 측면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포트(1)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포트(1)를 홀딩하는 상기 홀딩 부재의 접촉 부재(82)는 상기 포트(1)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포트(1)의 내측면과 밀착 접촉되어 상기 포트의 내측면을 바깥 방향으로 밀어내게 됨으로써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포트(1)를 홀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접촉 부재(82)가 상기 포트 내측면과 밀착 접촉되며 상기 포트의 내측면을 바깥 방향으로 미는 작용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상기 포트를 홀딩하게 된다.As shown in FIG. 5, the holding member 80 has two contact members 82 coupled to each other in a cross shape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member 81, and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ct member 82 in an upward direction. Facing small projections 83 can be formed. At this time, the port (1) is generally formed so as to increase the distance between both sides from the bottom toward the upper inlet, the upper side is formed so as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on both sides, th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 (1) The contact member 82 of the holding member holding the port 1 is inserted into the port 1 to be in intimat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 1 to push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 outward. It is formed to hold the port 1 by the friction force generated thereby. That is, the contact member 8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 and holds the port by a frictional force by the action of pushing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 outward.

상기 돌기(83)들은 상기 홀딩 부재(80)가 상기 포트(1)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포트(1)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홀딩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protrusions 83 are intended to allow the holding member 80 to be inserted into the port 1 to hold the port 1 more effectively.

이때, 상기 접촉 부재(82)의 재질은 스펀지와 같은 재질을 사용되고, 상기 결합 부재(81)의 재질은 플라스틱과 같이 단단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material of the contact member 82 is a material such as spong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terial of the coupling member 81 is made of a hard material such as plastic.

즉, 상기 제1 손잡이(30)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손잡이(40)가 하측, 즉 상기 제1 손잡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상기 연결축(60)이 상기 하부 프레임(10)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증가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second handle 40 is moved downward, that i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handle, based on the first handle 30, the connecting shaft 60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frame 10. The length is increased.

다시 상기 제2 손잡이(40)를 원래의 자리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탄성체(50)에 의해 상기 연결축(60)이 상기 하부 프레임(10) 아래쪽으로 돌출된 길이는 원래대로 줄어들게 된다.When the second handle 40 is moved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shaft 60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frame 10 by the elastic body 50 is reduced.

즉, 상기 복수 개의 열과 복수 개의 행으로 적층된 포트들 중 최상단에 배치된 포트들에 대하여 상기 홀딩 부재(80)를 각 포트에 끼워 빼어낸 후 상기 홀딩 부재(80)에 홀딩된 포트(1)들을 상기 복수 개의 여과 복수 개의 행을 포트들이 배치되는 포트 작업판 상에서 상기 제1 손잡이(30)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 손잡이(40)를 하측 방향을 이동시키면, 상술한 동작에 의해 상기 홀딩 부재(80)에 끼워진 포트들은 상기 포트 작업판의 각 위치에 끼워지게 된다.That is, the port 1 held in the holding member 80 after the holding member 80 is inserted into each port with respect to the ports disposed at the top of the ports stacked in the plurality of columns and the plurality of rows. When the second handle 40 is mov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first handle 30 on the port working plate on which the plurality of rows of the plurality of filtration ports are arranged, the holding member is operated by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Ports fitted to 80 are fitted to respective positions of the port working plate.

그리고, 상기 제2 손잡이를 다시 원위치 시키게 되면 상기 포트 작업판에 끼워진 포트들은 상기 포트 작업판에 끼워져 남겨진 채로 상기 홀딩 부재(80)가 원위치로 상승하게 됨으로써, 한번에 여러 개의 포트를 상기 포트 작업판에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handle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ports inserted into the port working plate are raised to the port working plate, and the holding member 80 is raised to its original position. You can move it.

상기 홀딩 부재(80)는 거친 표면을 형성한 테이프에 의해 테이핑될 수도 있다.The holding member 80 may be taped by a tape forming a rough surface.

이는, 홀딩 부재(80)가 포트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포트를 보다 떨어뜨리지 않고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is is to allow the holding member 80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 and to move the port without dropping the port further.

포트 홀더를 이용한 포트 이동 장치Port shifter using port holder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포트 홀더를 이용한 포트 이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표시된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며,도 8 및 도 9는 결합부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포트 홀더를 이용한 포트 이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포트 홀더를 이용한 포트 이동 장치의 측면도로서 작업판이 전방 방향으로 이동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포트 홀더를 이용한 포트 이동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13은 제1 고정판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제2 고정판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제1 포트 작업판 또는 제2 포트 작업판의 사시도이고, 도 16는 포트의 사시도이다.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 movement apparatus using a port hol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A' shown in Figure 6, Figures 8 and 9 is a coupling portion 10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 moving apparatus using a port hol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view of a port moving apparatus using a port hol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plan view of a port moving apparatus using a port holder,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fixing plate,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fixing plate, and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port working plate or the second port working plate, and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r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트 홀더를 이용한 포트 이동 장치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하 운동하는 위치 이동 실린더(231)와 이젝트 실린더(232)를 포함하는 실린더부를 포함하는 상판과, 상기 실린더부와 결합하되 상기 위치 이동 실린더(231)에 의해 상하 이동하고 포트 홀더(100)가 설치된 외부 프레임(241)과 상기 외부 프레임(241) 내부에서 상기 이젝트 실린더(232)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이젝트 판(242)을 포함하는 결합부(240)과, 상기 결합부(240) 하측에 배치되고 포트들이 복수 개의 열과 복수 개의 행으로 안착되는 제1 포트 작업판(2)이 배치되는 작업판(250)을 포함한다.Port movement apparatus using a port hol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upper plate and the cylinder portion including a cylinder portion including a position movement cylinder 231 and an eject cylinder 232 each independently moves up and down, The outer frame 241 is moved up and down by the position movement cylinder 231 and the eject plate 242 is moved up and down by the eject cylinder 232 in the outer frame 241. And a coupling plate 240 including a working plate 250 disposed below the coupling portion 240 and having a first port working plate 2 on which ports are seated in a plurality of columns and a plurality of rows.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포트 홀더를 이용한 포트 이동 장치는 상기 작업판(250) 하측에 배치되고 포트(1)들이 상기 복수 개의 열과 복수 개의 행으로 적층되어 안착되는 제2 포트 작업판(3)이 배치되는 적층판(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 movement apparatus using the port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cond port working plate 3 is disposed below the working plate 250 and the ports 1 are stacked and seated in the plurality of rows and the plurality of rows. It may further include a laminated plate 260 is disposed.

이때, 상기 포트 홀더(100)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다.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 holder 100 is as described above.

상기 포트 홀더(100)의 제1 손잡이(30)는 상기 외부 프레임(241)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손잡이(40)는 상기 이젝트 판(242)의 동작에 의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24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위치 이동 실린더(231)의 동작에 의해 상기 포트 홀더(100)가 결합된 결합부(240)가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이젝트 실린더(232)의 동작에 의해 상기 포트 홀더(100)의 제1 손잡이(30)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손잡이(40)가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상기 연결축(60)과 함께 상기 홀딩 부재(80)도 상기 이격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first handle 30 of the port holder 100 is fixed to the outer frame 241 and the second handle 40 can be moved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eject plate 242 (coupling portion ( By being coupled to the 240, the coupling portion 240 coupled to the port holder 100 is moved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position movement cylinder 231 and the port holder (by the operation of the eject cylinder 232) As the second handle 40 moves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first handle 30 of 100, the holding member 80 together with the connecting shaft 60 also has the lower frame within the separation distance range. 10) to the lower side.

즉, 본 발명에 의한 포트 홀더를 이용한 포트 이동 장치는 상판(210), 결합부(240), 작업판(250)을 포함한다.That is, the port movement device using the port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p plate 210, the coupling portion 240, the working plate 250.

상기 상판(210), 결합부(240) 및 작업판(250)은 위에서 아래로 차례대로 배치되며 전체적으로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프레임 틀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적층판(26)은 상기 작업판(250) 아래에 배치된다.The top plate 210, the coupling part 240, and the working plate 250 are arranged in order from top to bottom, and are generally coupled by a constant frame frame as shown in FIGS. 9 to 11. In this case, the laminate 26 is disposed below the working plate 250.

상기 상판(210)에는 위치 이동 실린더(221)와 이젝트 실린더(232)를 포함하는 실린더부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이젝트 실린더(232)는 상기 위치 이동 실린더(221)의 하측 말단에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upper plate 210 is provided with a cylinder portion including a position moving cylinder 221 and an eject cylinder 232. In this case, the eject cylinder 232 may be installed to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position movement cylinder 221.

즉, 상기 위치 이동 실린더(231)가 상기 상판(210)에 결합하고 상기 위치 이동 실린더(231)의 하측 말단에 상기 이젝트 실린더(232)가 부착될 수 있다.That is, the displacement cylinder 231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late 210 and the eject cylinder 232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displacement cylinder 231.

상기 상판(210)에는 상기 위치 이동 실린더(231)를 기준으로 2개의 위치 고정 가이드(220)가 더 설치될 수 있다.Two position fixing guides 220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210 based on the position moving cylinder 231.

상기 위치 고정 가이드(220)는 속이 빈 관 형태로서 위치 고정 샤프트(221)가 관통된다.The positioning guide 220 is a hollow tube form the positioning shaft 221 is penetrated.

상기 위치 고정 샤프트(221)는 상기 고정 가이드(220)를 관통하여 하측 말단이 결합부(240)의 상측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결합부(240)가 고정된 위치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 position fixing shaft 221 penetrates through the fixing guide 220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upling part 240, thereby serving as a guide to move the coupling part 240 in a fixed position. Will perform.

상기 실린더부의 하측 말단은 상기 결합부(240)의 상측면에 결합된다.The lower end of the cylinder portion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240.

즉, 상기 실린더부의 위치 이동 실린더(231)의 동작에 따라 상기 결합부(240) 전체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That is, the entire coupling portion 240 is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231 position movement cylinder.

상기 결합부(240)는 외부 프레임(241)과 이젝트 판(242)을 포함한다.The coupling part 240 includes an outer frame 241 and an eject plate 242.

상기 결합부(240)의 외부 프레임 상측면 중심에는 상기 실린더부의 하측 말단이 결합되고 상기 위치 고정 샤프트(221)의 하측 말단이 대칭적으로 결합된다.The lower end of the cylinder portion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side of the outer frame of the coupling portion 240 and the lower end of the positioning shaft 221 is symmetrically coupled.

이때, 상기 실린더부의 위치 이동 실린더(231)의 상하 이동 동작에 의해 상기 결합부(240) 전체가 상하로 이동되고, 상기 위치 고정 샤프트(221)에 의해 상기 결합부(240)가 고정된 위치에서 상하 이동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entire coupling portion 240 is moved up and down by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ylinder 231 position movement cylinder, the coupling portion 240 is fixed by the position fixing shaft 221 It can be moved up and down.

상기 결합부(240) 내부 상측에는 이젝트 판(242)이 구비된다.An eject plate 242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upling part 240.

이때, 상기 실린더부의 이젝트 실린더(232)의 하측 말단이 상기 외부 프레임(241)을 통과하여 상기 이젝트 판(242)과 결합되도록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eject cylinder 232 of the cylinder portion is installed to be coupled to the eject plate 242 through the outer frame 241.

즉, 상기 위치 이동 실린더(231)에 의해 상기 결합부(240) 전체가 상하 이동하고, 상기 이젝트 실린더(232)에 의해 상기 결합부(240)의 이젝트 판(242)이 소정 간격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That is, the entire coupling part 240 is moved up and down by the position movement cylinder 231, and the eject plate 242 of the coupling part 240 is moved up and down at predetermined intervals by the eject cylinder 232. It becomes possible.

이때, 상기 포트 홀더(100)가 상기 결합부(240)에 결합한다.At this time, the port holder 1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240.

즉, 상기 포트 홀더(100)의 제2 손잡이(40)가 상기 결합부(240)의 외부 프레임 내부 상측에 위치한 이젝트 판(242) 아래에 위치하도록 제1 손잡이(30)가 상기 결합부(240)의 외부 프레임(241)에 고정 결합된다.That is, the first handle 30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240 such that the second handle 40 of the port holder 100 is positioned below the eject plate 242 located above the inner side of the outer frame of the coupling part 240. Is fixedly coupled to the outer frame 241.

즉, 상기 포트 홀더(100)는 상기 위치 이동 실린더(231)에 연동하는 상기 결합부(240)와 함께 상하 이동하게 되고, 상기 결합부(240)의 이젝트 판(242)은 상기 이젝트 실린더(232)에 연동하여 상기 포트 홀더(100)의 제2 손잡이(40)를 아래로 소정 간격만큼씩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port holder 100 mov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coupling part 240 interlocked with the position movement cylinder 231, and the eject plate 242 of the coupling part 240 is the eject cylinder 232. ), The second handle 40 of the port holder 100 can be mov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즉, 상기 이젝트 실린더(232)가 아래로 이동하여 상기 이젝트 판(242)을 아래로 이동시키면 상기 포트 홀더(100)의 제2 손잡이(40)가 상기 제1 손잡이(30)에 근접하도록 아래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홀드 부재(80)가 상기 하판(10) 아래로 소정 간격만큼 내려가게 된다. 상기 이젝트 실린더(232)가 원 위치로 복귀하게 되면 상기 제2 손잡이(40) 역시 원 위치로 복귀하게 됨은 당연하다.That is, when the eject cylinder 232 moves downward to move the eject plate 242 downward, the second handle 40 of the port holder 100 moves downward to approach the first handle 30. By moving, as described above, the holding member 80 is lowered below the lower plate 1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Naturally, when the eject cylinder 232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second handle 40 also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이때, 상기 실린더부에는 상기 위치 이동 실린더(231)과 이젝트 실린더(232) 이 외에도 미세 조정 실린더(233)이 더 포함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ylinder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ne adjustment cylinder 233 in addition to the position movement cylinder 231 and the eject cylinder 232.

상기 미세 조정 실린더(233)는 상기 이젝트 실린더(232)가 상기 이젝트 판(242)을 아래로 이동시켜 상기 포트 홀더(100)의 제2 손잡이(40)를 아래로 이동시키고 상기 홀딩 부재(80)가 제2 포트 작업판(3)에 복수 개의 열과 복수 개의 행으로 적층되어 있는 포트(1)들에 끼워지거나 또는 상기 홀딩 부재(80)가 포트(1)들을 제1 포트 작업판(2)의 복수 개의 열과 복수 개의 행으로 구성된 자리에 끼워 내려놓는 경우, 상기 제2 손잡이(40)를 가장 적절한 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미세 조정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the fine adjustment cylinder 233, the eject cylinder 232 moves the eject plate 242 downward to move the second handle 40 of the port holder 100 downward and the holding member 80. Is inserted into the ports 1 stacked on the second port working plate 3 in a plurality of rows and a plurality of rows, or the holding member 80 allows the ports 1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port working plate 2. In the case of placing in a seat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lumns and a plurality of rows, the function of fine adjustment for moving the second handle 40 to the most suitable position is performed.

즉, 상기 위치 이동 실린더(231)와 이젝트 실린더(232) 및 미세 조정 실린더(233)의 동작은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되어 동작하게 되나, 포트(1)들이 복수 개의 열과 복수 개의 행으로 적층되어 배치되는 제2 작업판(3)이 위치한 적층판(260)의 일정 간격 높이 까지는 상기 위치 이동 실린더(231)만에 의해 상기 결합부(240)에 결합되어 있는 포트 홀더(100)가 이동하게 되고, 상기 위치 이동 실린더(231)은 동작을 멈춘 상태에서 상기 이젝트 실린더(232)에 의해 상기 포트 홀더(100)의 제2 손잡이(40)가 아래로 이동하며 상기 홀딩 부재(80)가 각각 포트(1) 안으로 삽입되어 끼워진다. 이때, 보다 정확하게 홀딩 부재(80)가 각 포트(1)들 안으로 삽입되어 제2 포트 작업판(3)에 복수 개의 열과 복수 개의 행으로 적층되어 있는 포트(1)들 중 가장 위에 적층된 포트들만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미세 조정 실린더(233)이 상기 홀딩 부재(80)가 각 포트(1)의 적절한 위치까지 삽입되도록 미세 조정을 할 수 있다. 상기 미세 조정 등은 상기 적층판(260)에 배치된 제2 포트 작업판(3)의 위치와 적층되어 있는 포트의 높이 등에 의해 조정되며, 이를 감지하여 조정하는 센서들이 사용될 수 있다. 단, 이러한 미세 조정을 위한 센서 등의 구성은 널리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at is,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movement cylinder 231, the eject cylinder 232 and the fine adjustment cylinder 233 are controlled individually, but the ports 1 are stacked and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a plurality of rows. The port holder 100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240 is moved by the position movement cylinder 231 only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laminated plate 260 on which the second working plate 3 is positioned, and the pos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movement cylinder 231 is stopped, the second handle 40 of the port holder 100 moves downward by the eject cylinder 232, and the holding members 80 respectively move into the port 1. Inserted and inserted. At this time, more accurately the holding member 80 is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ports (1) so that only the ports stacked on the top of the ports (1) stack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a plurality of rows on the second port working plate (3) The fine adjustment cylinder 233 can be fine tuned so that the holding member 80 can be inserted to an appropriate position of each port 1 so that it can be fitted. The fine adjustment is adjusted by the position of the second port working plate 3 disposed on the laminate 260 and the height of the stacked ports, and sensors for detecting and adjusting the same may be used. However, since the configuration of such a sensor for fine adjustment is well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홀딩 부재(80)에 포트(1)들을 끼워 상기 작업판(250)의 일정 간격 높이까지 상기 위치 이동 실린더(231)만에 의해 이동시키게 되고 그 후, 상기 이젝트 실린더(232)만에 의해 상기 홀딩 부재(80)에 끼워진 각 포트(1)들을 상기 작업판(250) 상에 배치되는 제1 포트 작업판(2)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각 포트(1)들이 상기 제1 포트 작업판(2)의 각 위치에 정확이 끼워져 상기 홀딩 부재(80)로부터 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미세 조정 실린더(233)가 사용되게 된다.In addition, the port 1 is inserted into the holding member 80 to be moved by the position moving cylinder 231 only up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working plate 250. Then, only the eject cylinder 232 is moved. By doing so, each port 1 fitted to the holding member 80 is fitted to the first port working plate 2 disposed on the working plate 250. In this case, the fine adjustment cylinder 233 is used to allow the respective ports 1 to be accurately inserted at respective positions of the first port working plate 2 and to be separated from the holding member 80.

즉, 상기 홀딩 부재(80)에 홀딩된 포트들을 상기 제1 포트 작업판(2) 상에서 상기 제1 포트 작업판(2)에 안착시키는 경우, 상기 위치 이동 실린더(231)는 그대로 멈춘 상태에서 상기 이젝트 실린더(232) 또는 상기 이젝트 실린더(232) 및 미세 조정 실린더(233)에 의해 상기 홀딩 부재(80)에 끼워져 있는 포트(1)들을 복수 개의 열과 복수 개의 행으로 포트(1)들이 끼워질 자리가 형성된 상기 제1 포트 작업판(2)에 끼워져 배치되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ports held in the holding member 80 are seated on the first port working plate 2 on the first port working plate 2, the position movement cylinder 231 is stopped in the state as it is. Ports 1 fitted in the holding member 80 by the eject cylinder 232 or the eject cylinder 232 and the fine adjustment cylinder 233 are seats where the ports 1 are fitt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a plurality of rows. Is inserted into the first port working plate (2) formed.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240) 아래에는 작업판(250)이 구비된다.As described above, a working plate 250 is provided below the coupling part 240.

상기 작업판(250)은 상기 복수 개의 열과 복수 개의 행으로 배치된 포트들을 성토를 담기 위한 장소로 동시에 이동하고 성토를 각 포트들에 담기 위해 제1 포트 작업판(2)에 상기 복수 개의 열과 복수 개의 행으로 포트들을 한번에 안착시키기 위한 장소로서,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The working plate 250 simultaneously moves the ports arranged in the plurality of columns and the plurality of rows to a place for filling the fill, and the plurality of rows and the plurality of rows on the first port working plate 2 to contain the fill. It is a place for seating the ports in one row at a time, and is installed to be movable by sliding in the forward direction.

즉, 상기 작업판(250)은 미닫이 형식에 의해 전방 방향으로 끌어 당길 수 있도록 설치된다.That is, the working plate 250 is installed to be pulled in the forward direction by the sliding type.

이때, 상기 작업판(250)의 미닫이 틀 역할을 수행하는 프레임 틀(252)이 전방 방향으로 형성되고, 프레임 틀(252) 사이를 상기 작업판(250)이 미닫이 형식에 의해 앞으로 전진 또는 원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At this time, a frame frame 252 which serves as a sliding door of the working plate 250 is formed in a forward direction, and the working plate 250 is moved forward or in the original state between the frame frames 252 by a sliding type. Will return to.

이때, 상기 작업판(250)이 전방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결합부(240)에 결합된 포트 홀더(100)가 후술하는 적층판(160)의 바로 위 상부까지 하강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In this case, in the state in which the working plate 250 is moved in the forward direction, a space is formed in which the port holder 100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240 can descen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aminated plate 160 to be described later. .

즉, 상기 작업판(250)을 전방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위치 이동 실린더(231)와 이젝트 실린더(232)를 포함하는 실린더부에 의해 상기 포트 홀더(100)가 결합된 결합부(240)를 상기 적층판(160) 위로 하강시키고, 상기 제2 포트 작업판(3)에 상기 복수 개의 열과 복수 개의 행으로 각각 적층된 포트들 중 가장 위에 위치한 포트들만 상기 포트 홀더(100)의 홀딩 부재(80)에 끼워 홀딩하여 다시 상기 작업판(250)위로 이동시킨다.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working plate 250 is mov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coupling part 240 to which the port holder 100 is coupled by a cylinder part including the position movement cylinder 231 and the eject cylinder 232. ) Is lowered onto the stacking plate 160, and only the ports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ports stacked on the second port working plate 3 in the plurality of columns and the plurality of rows, respectively, are held by the holding member of the port holder 100. 80 to hold and move back onto the working plate 250.

계속하여, 상기 작업판(250)에 제1 포트 작업판(2)을 안착시킨 후 상기 작업판을 원 위치로 집어 넣고 상기 복수 개의 열과 복수 개의 행으로 포트들이 안착될 수 있는 제1 포트 작업판(2) 상에서 상기 홀딩 부재(80)에 홀딩 되어 있는 포트들을 상기 제1 포트 작업판(2)의 각 열과 행에 안착시킨다.Subsequently, after the first port working plate 2 is seated on the working plate 250, the working plate may be inserted into the original position, and the first port working plate may allow the ports to be seated in the plurality of columns and the plurality of rows. Ports held on the holding member 80 on (2) are seated in each column and row of the first port working plate 2.

상기 적층판(26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작업판(25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포트 작업판(3)을 상기 적층판(260) 상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제2 고정판(5)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aminated plate 260 is installed below the working plate 250, and the second fixing plate 5 for stably positioning the second port working plate 3 on the laminated plate 260. ) May be further included.

이때, 상기 작업판(250) 상에는 상기 제1 포트 작업판(2)이 안착되어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제1 고정판(4)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orking plate 25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fixing plate 4 to prevent the first port working plate 2 from being seated and shaken.

또한, 상기 적층판(260) 상에는 상기 제2 포트 작업판(3)이 안착되어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제2 고정판(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aminate plate 26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fixing plate 5 to prevent the second port working plate 3 is seated and shaken.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 concept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 포트(홀더) 2: 제1 포트 작업판
3: 제2 포트 작업판 4: 제1 고정판
5: 제2 고정판 10: 하부 프레임
20: 상부 프레임 30: 제1 손잡이
31: 제1 손잡이 연결부 40: 제2 손잡이
41: 제2 손잡이 연결부 50:탄성체
60: 연결축 70: 연결관
80: 홀딩 부재 90a,90b,90c,90d: 체결 부재
100: 포트 홀더 210; 상판
220: 위치 고정 가이드 221: 위치 고정 샤프트
231: 위치 이동 실린더 232: 이젝트 실린더
233: 미세 조정 실린더 240; 결합부
241: 외부 프레임 242: 이젝트 판
250: 작업판 260: 적층판
270: 하부판 274: 이동 수단
1: port (holder) 2: first port working plate
3: second port working plate 4: first fixing plate
5: second fixing plate 10: lower frame
20: upper frame 30: first handle
31: first handle connecting portion 40: second handle
41: second handle connecting portion 50: elastic body
60: connecting shaft 70: connector
80: holding member 90a, 90b, 90c, 90d: fastening member
100: port holder 210; Tops
220: position fixing guide 221: position fixing shaft
231: position shift cylinder 232: eject cylinder
233: fine adjustment cylinder 240; Engaging portion
241: outer frame 242: eject plate
250: working plate 260: laminate
270: bottom plate 274: means of transport

Claims (6)

각각 독립적으로 상하 운동하는 위치 이동 실린더와 이젝트 실린더 및 미세 조정 실린더를 포함하는 실린더부를 포함하는 상판;
상기 실린더부와 결합하고 상기 위치 이동 실린더에 의해 상하 이동하며 포트 홀더가 결합된 외부 프레임과 상기 외부 프레임 내부에서 상기 이젝트 실린더와 미세 조정 실린더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이젝트 판을 포함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 하측에 배치되고 포트들이 복수 개의 열과 복수 개의 행으로 안착되는 제1 포트 작업판이 배치되는 작업판;
상기 작업판 하측에 배치되고 포트들이 상기 복수 개의 열과 복수 개의 행으로 적층되어 안착되는 제2 포트 작업판이 배치되는 적층판;
상기 작업판 상에 상기 제1 포트 작업판이 안착되어 상기 제1 포트 작업판의 외측면과 접촉되도록 일정높이로 돌출되며 상측부분이 외측으로 기울어진 흔들림방지벽이 형성된 제1 고정판; 및
상기 적층판 상에 상기 제2 포트 작업판이 안착되는 제2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포트 홀더는,
복수 개의 열과 복수 개의 행으로 배치되는 성토가 담기는 포트를 동시에 홀딩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포트 홀더로서,
상측으로 제2 손잡이가 고정 결합되고, 하측면에는 샤프트 형태의 연결축의 일측이 복수 개의 열과 복수 개의 행으로 각각 고정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상측으로 제1 손잡이가 고정 결합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 하측으로부터 일정한 이격 거리가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각 연결축이 아래로 관통하여 상기 이격 거리 범위 내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한 하부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각 연결축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 하측으로 관통된 상기 각 연결축의 말단에는 포트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포트의 내측면과 밀착 접촉되는 홀딩 부재가 십자 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제1 손잡이는 상기 외부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손잡이는 상기 이젝트 판의 동작에 의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위치 이동 실린더의 동작에 의해 상기 포트 홀더가 결합된 결합부가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이젝트 실린더의 동작에 의해 상기 포트 홀더의 제1 손잡이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손잡이가 하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미세 조정 실린더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2 손잡이를 미세 조정함에 따라서 상기 연결축과 함께 상기 홀딩 부재도 상기 이격 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측으로 이동하는 포트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딩 부재는,
거친 표면을 형성한 테이프에 의해 테이핑되고, 스폰지 재질이며, 상기 하부 프레임 아래로 돌출된 연결축의 말단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와, 하측은 양 측면이 벌어지는 테이퍼 형태이고 상측은 양 측면이 평행한 형태로 형성되고 2개가 상기 연결축의 말단에 결합된 결합 부재에 십자 형태로 결합되며 형성된 접촉 부재 및 상기 접촉 부재의 평행한 양 외측면에 상측 방향으로 향하며 돌설되고 돌설되는 외측 끝단이 모서리로 형성되어 포트를 홀딩하는 돌기들을 포함하는 포트 홀더를 이용한 포트 이동 장치.
An upper plate including a cylinder portion including a position movement cylinder, an eject cylinder, and a fine adjustment cylinder each independently moving up and down;
A coupling part including an outer frame coupled to the cylinder part and moved up and down by the position shifting cylinder and a port plate coupled thereto, and an eject plate moved up and down by the eject cylinder and the fine adjustment cylinder inside the outer frame;
A work plate disposed under the coupling part and having a first port work plate on which ports are seated in a plurality of columns and a plurality of rows;
A laminated plate disposed below the working plate and having a second port working plate on which ports are stacked and seated in the plurality of columns and a plurality of rows;
A first fixing plate on which the first port working plate is mounted,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ort working plate, and having an anti-shake wall having an upper portion inclined outwardly; And
And a second fixing plate on which the second port working plate is seated on the laminate.
The port holder,
A port holder capable of simultaneously holding and moving a port containing fills arranged in a plurality of columns and a plurality of rows,
An upper frame having a second handle fixedly coupled to an upper side thereof, and having a lower side thereof having one side of a shaft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plurality of rows and a plurality of rows;
A lower frame configured to be fixedly coupled to a first handle upward to form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lower side of the upper frame, and to allow the connecting shaft to penetrate downward to move upward and downward within a range of the distance; Including,
Each of the connecting shafts is provided with an elastic body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respectively, to impart an elastic force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Holding members which are inserted into the ports and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 are cross-shaped at the ends of the respective connecting shafts penetrating the lower frame lower side,
The first handle is fixed to the outer frame and the second handle is coupled to the engaging portion to move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eject plate,
The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port holder is moved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position shifting cylinder, and the second handle is moved downward based on the first handle of the port holder by the operation of the eject cylinder, and the fine The holding member also includes a port holder which moves downwardly within the separation distance within the separation distance as the second shaft is finely adjusted by the operation of the adjustment cylinder.
The holding member,
Taped by a tape forming a rough surface, and is a sponge material, the coupling member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connecting shaft protruding below the lower frame, the lower side is a tapered form that both sides open and the upper side is parallel to both sides Formed in the form of a cross is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end of the connecting shaft and the outer end is formed in the corner is formed by the upper end in the direction of the upward and bulging upwards on both parallel outer surface of the contact member A port moving device using a port holder including holding projectio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홀더를 이용한 포트 이동 장치는,
상기 작업판이 프레임 틀 사이에서 정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미닫이 방식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 홀더를 이용한 포트 이동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ort moving device using the port holder,
Port moving device using a port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ork plate is installed in a sliding manner so as to slide between the frame frame in the front direction and reciprocating movem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10005936A 2011-01-20 2011-01-20 Apparatus for transferring pots with pot holder KR1011136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936A KR101113698B1 (en) 2011-01-20 2011-01-20 Apparatus for transferring pots with pot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936A KR101113698B1 (en) 2011-01-20 2011-01-20 Apparatus for transferring pots with pot hol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3698B1 true KR101113698B1 (en) 2012-02-27

Family

ID=45840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936A KR101113698B1 (en) 2011-01-20 2011-01-20 Apparatus for transferring pots with pot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69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1835A (en) * 2000-12-05 2002-10-02 Chubu Nozai Kk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pot
JP2006094765A (en) * 2004-09-29 2006-04-13 Nippon Poribachi Hanbai Kk Raising seedling pot repacking apparatus
JP2010022203A (en) * 2008-07-15 2010-02-04 Tokai Kasei Corp Holder and pot gripper
JP2010263882A (en) * 2009-04-15 2010-11-25 Tokai Kasei Corp Pot gripp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1835A (en) * 2000-12-05 2002-10-02 Chubu Nozai Kk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pot
JP2006094765A (en) * 2004-09-29 2006-04-13 Nippon Poribachi Hanbai Kk Raising seedling pot repacking apparatus
JP2010022203A (en) * 2008-07-15 2010-02-04 Tokai Kasei Corp Holder and pot gripper
JP2010263882A (en) * 2009-04-15 2010-11-25 Tokai Kasei Corp Pot gripp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3584B1 (en) Beverage package dropping structure in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CN209299980U (en) A kind of shifting worm element
CN104477647B (en) Automatic tray filler
KR101135392B1 (en) Port shifter using port holder
WO2016061900A1 (en) Beverage brewing device allowing beverage capsule to be removed easily
CN106629155A (en) Suction disc device with ejection structure
KR101113698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pots with pot holder
CN105775237A (en) Poking and separating type automatic cup falling device
CN106044132B (en) Bottle inserting needle feeding mechanism
JP2015051803A (en) Article boxing apparatus
CN210280376U (en) Umbrella processing piercing press
KR101145838B1 (en) Pot holder
CN204777489U (en) Automatic feeding device that opens and shuts links
CN204036386U (en) Piston O type circle apparatus for assembling
CN206241087U (en) A kind of punching press sheet material oil supply separator
CN210202541U (en) Automatic cuttage equipment of nursery stock
CN107186792B (en) Automatic feeding device of plastic cup punching equipment
CN104354995B (en) A kind of touch screen protection tool
CN212469770U (en) Flexible platform of metal printer
CN211514581U (en) Portable pipette head inserting device
CN210908508U (en) Ultrasonic wire harness welding machine
CN201907677U (en) Cup conveying device for paper cup
CN110340928A (en) Overlay film foam diaphragm positioning grabbing device
CN218035790U (en) Sampling equipment for liquid food detection
CN113635016B (en) Magnet assembling method and assembl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