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285B1 - leakage prevention apparatus of water, gas, oil in the pipe - Google Patents
leakage prevention apparatus of water, gas, oil in the pi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13285B1 KR101113285B1 KR1020040034117A KR20040034117A KR101113285B1 KR 101113285 B1 KR101113285 B1 KR 101113285B1 KR 1020040034117 A KR1020040034117 A KR 1020040034117A KR 20040034117 A KR20040034117 A KR 20040034117A KR 101113285 B1 KR101113285 B1 KR 1011132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line
- fluid
- diaphragm
- valve
- pressure chamber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abstract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04—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1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inorganic materials
- A61L2300/102—Metals or metal compounds, e.g. salts such as bicarbonates, carbonates, oxides, zeolites, silicates
- A61L2300/104—Silver, e.g. silver sulfadiazi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적으로 관로내 누수 및 파손을 감지하는 자동누설차단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도관이나 가스관 또는 유류관이 굴삭작업이나 지진과 같은 재난 등에 의하여 파손되어 물, 가스,기름 등이 유출되고 이로 인한 급속한 유량 및 유속의 감소가 있는 경우 종전의 전기적 또는 전자적 장치가 아닌 기계적 장치에 의하여 자동차단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장치는 사용자가 위험발생시 종전의 전기적 또는 수동에 의한 조작으로 제어하기 이전이라도 (즉, 관리자가 사고를 인식하기 이전에) 사고발생 직후에 즉각적으로 밸브가 관로를 잠그는 재난방지장치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leakage shutoff valve that automatically detects leakage and damage in a pipeline, and more particularly, water, gas, oil, etc. are damaged by water pipes, gas pipes, or oil pipes due to disasters such as excavation or earthquak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that can be shut off by a mechanical device rather than a conventional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 in case of a spill and a rapid decrease in flow rate and flow rate. In particular, this device is a disaster prevention device that immediately shuts down the pipeline immediately after an accident, even before the user controls it by conventional electrical or manual operation in case of danger (ie, before an administrator recognizes an accident). will be.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단장치는 관로의 파손으로 인한 기름, 가스등의 누출시 1차적으로 본체내의 스프링의 힘으로 다이어프램과 일체로 연결된 메인샤프트를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 이상과 같이 하부로 이동된 메인샤프트는 관로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는데, 이와 동시에 가압관로에서 본체로 유입된 기름, 가스등에 의하여 다이어프램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In the case of leaking oil or gas due to breakage of the pipeline, the automobile shutoff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he main shaft integrally connected to the diaphragm by the force of the spring in the main body to the lower part, and the main shaft moved to the lower part as described above. This is to block the flow of the pipeline, at the same time to apply pressure to the diaphragm by oil, gas, etc.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from the pressure pipeline.
따라서, 스프링의 힘에 가압관로를 통해 흘러나온 기름,가스와 같은 유체의 압력을 부가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확실한 관로의 차단이 이루어 질 수 있게 하는 자동누설차단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leakage shutoff valve device that enables quick and reliable shutoff of a pipeline by adding a pressure of a fluid such as oil or gas that flows through a pressure pipeline to a spring force.
자동차단밸브, 가압실린더, 가압관로, 비상핀, 가압스프링Automotive shut-off valve, pressure cylinder, pressure line, emergency pin, pressure spring
Description
도 1은 본발명에 따른 누설차단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leakage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누설차단장치의 내부모습을 나타내는 정단면도.2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appearance of a leakage blocking device.
도 3은 누설차단장치가 작동하여 스프링에 의하여 다이어프램이 하강하는 모습을 나타낸 정단면도Figure 3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diaphragm is lowered by the spring to operate the leakage blocking device
도 4는 누설차단장치가 작동하여 다이어프램이 최종하강된 모습을 나타낸 정단면도.Figure 4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aphragm is finally lowered by operating the leakage blocking device.
도 5는 누설차단장치의 작동후 원래 상태로 복원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정단면도Figure 5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on to restore to the original state after the operation of the leakage blocking device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관로 2: 후렌지1: pipeline 2: Hurenji
3: 차단관로3: blocking pipe
10: 누설차단기본체 11: 상부압력실10: Leakage blocking base body 11: Upper pressure chamber
12: 하부압력실 13: 비상핀12: Lower pressure chamber 13: Emergency pin
14: 비상핀튜브 15: 지지스프링14: Emergency fin tube 15: Support spring
16: 스프링 17: 스프링튜브 16: spring 17: spring tube
20: 다이어프램 21: 압력손잡이20: diaphragm 21: pressure knob
22: 나사탭 23: 스프링장력조절판22: thread tap 23: spring tension control plate
30: 드레인 31: 드레인커버30: drain 31: drain cover
32: 메인샤프트 33: 안전차단클립 32: main shaft 33: safety lock clip
34: 잠금밸브게이트 35: 원형구멍34: lock valve gate 35: round hole
36: 브라켓 37: 카바36: bracket 37: cover
40: 상부가압관로 41: 하부가압관로40: upper pressure line 41: lower pressure line
42: 상부압력게이지 43: 하부압력게이지42: upper pressure gauge 43: lower pressure gauge
44: 중간밸브
44: intermediate valve
본 발명은 자동적으로 관로내 누수 및 파손을 감지하는 자동차단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도관이나 가스관 또는 유류관이 파손으로 인해 물, 가스,기름 등이 유출되고 이로 인한 급속한 유량 및 유속의 감소가 있는 경우 전기적 또는 전자적 장치가 아닌 기계적 장치에 의하여 자동차단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ut-off valve that automatically detects leaks and breakage in the pipeline, more specifically, water, gas, oil, etc. are leaked due to breakage of the water pipe, gas pipe or oil pipe resulting in rapid flow rate and flow rate If there is a reduction, it relates to a device which can be shut off by a mechanical device rather than an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
일반적으로 가스, 유류등에 관한 이상배출시 자동차단하는 장치에 관하여 기 계적 장치 및 전자적 장치가 있다. 전자적 장치의 경우 기계식보다 신속하며,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간편한 장점이 있으나, 지진등의 커다란 재난이나 정전등으로 인한 배선계통의 사고가 있는 경우 조작이 제대로 되지 않고, 상시 전기를 공급해야 하므로 유지비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In general, there are mechanical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s with respect to a device that shuts off when an abnormal discharge of gas, oil, and the like is released. In the case of electronic devices, it is faster than mechanical and easy to operate by users.However, in case of accidents of wiring system caused by earthquake or power failure, earthquake, etc. There are a lot of disadvantages.
기계적으로 가스, 기름등을 차단하는 장치로는 다음과 같다.Mechanically blocking the gas, oil, etc. are as follows.
다이어프램을 이용하여 가스가 누설될때 가스압의 감소를 예민하게 감시하여 자동으로 가스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제 1983-0002224호 『저압가스 누설차단기』가 있다.
There is a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83-0002224, `` Low Pressure Gas Leakage Breaker '' regarding the automatic shutoff of gas flow by monitoring the decrease in gas pressure when the gas leaks using a diaphragm.
그러나 상기 발명은 스프링에 의한 압력에만 관로가 차단이 되며 이에 따라 장기간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한 장력의 약화등에 따라 원하는 동작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ipeline is blocked only by the pressure by the spring, and thus, a desired operation may not occur due to a weakening of tension due to not using the spring for a long time.
또한, 스프링에 의해서만 밸브가 작동됨으로써 신속한 차단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In addition, since the valve is operated only by the spring, it is difficult to achieve rapid shutoff.
상기 문제점을 해결한 발명으로 밸브차단수단으로 스프링 뿐 만아니라 흐르는 유체의 압력을 이용하는 것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4-0027324호 "관로내 물, 가스, 기름등의 대량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단 밸브"가 있다.The invention that solves the above problems in relation to using the pressure of the flowing fluid as well as the spring as the valve blocking means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4-0027324 "Automotive for preventing large leakage of water, gas, oil, etc. in the pipeline Stage valve ".
그러나 상기 발명은 본체내부에 압력전달수단으로 가압실린더방식의 압력판 을 두어 장기간 사용시 압력판과 본체와 사이에 부식이 발생하여 압력판이 본체내부를 원활히 이동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blem in that the pressure plate does not move smoothly inside the main body because corrosion occurs between the pressure plate and the main body when the pressure plate of the pressure cylinder method is used as a pressure transmission means in the main bod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자동차단밸브장치에서 제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posed in the conventional shut-off valve device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상부가압관로를 이용하여 스프링에 의한 1차적 차단장치와는 별도로 2차적으로 기존압력의 수배에 달하는 압력을 가하여 완벽한 제어가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hieve a perfect control by applying a pressure several times the existing pressure secondly apart from the primary blocking device by the spring using the upper pressure pipeline.
또한, 본 발명은 다이어프램을 압력전달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diaphragm as a pressure transmitting mean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관로의 파손으로 관로내를 흐르는 유체의 압력이 떨어지면, 관로상에 설치된 누설차단기본체의 스프링과 다이어프램상에 작용하는 유체와 압력차를 이용하여 관로상의 밸브를 차단하는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일반적인 누설차단장치에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essure of the fluid flowing in the pipeline drops due to the breakage of the pipeline, the valve on the pipeline using the fluid and pressure difference acting on the spring and the diaphragm of the leakage blocking base body installed on the pipeline In general leakage blocking device using a diaphragm,
상기 누설차단기본체는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상하로 구분되며 다이어프램의 상부에 있는 상부압력실과 다이어프램의 하부에 있는 하부압력실;The leakage blocking main body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sides by a diaphragm, and an upper pressure chamber at an upper portion of the diaphragm and a lower pressure chamber at a lower portion of the diaphragm;
상기 관로에서 분리되어 자동차단밸브로 유입되는 유체의 일부를 상부압력실 로 이동시키는 상부가압관로;An upper pressurizing pipe line separating a part of the fluid separated from the conduit and flowing into the shutoff valve to the upper pressure chamber;
상기 관로에서 분리되어 자동차단밸브에서 유출되는 유체의 일부를 하부압력실로 이동시키는 하부가압관로;A lower pressure conduit for separating a portion of the fluid flowing out of the shutoff valve to the lower pressure chamber from the conduit;
상기 본체의 하단을 관통하면서 중심부에 다이어프램과 일체로 연결되며 하부는 관로를 차단하는 잠금밸브게이트를 부착하는 메인샤프트;A main shaft which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diaphragm at the center while penetrating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and the lower part has a lock valve gate for blocking a pipe line;
상기 상부압력실내부에는 다이어프램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하동작에 따라 상부가압관로의 유체의 흐름을 통과 및 차단시키는 비상핀을 부가하여 구성한다.
The upper pressure chamber is attached to the diaphragm, and is configured by adding an emergency pin for passing and blocking the flow of the fluid to the upper pressure pipe in accordance with the vertical operation of the diaphragm.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단밸브장치의 구성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hut-off valv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사시도로써 관로(1)에 흐르는 유체가 누설등으로 인한 압력변화시 자동차단밸브가 작동하여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관로(1)에 압력감지장치인 누설차단기본체(10)를 관로(1)와 후렌지(2)연결된 차단관로(3)의 커버(37) 상부에 위치하였으며, 상기 본체(10)와 커버(37)는 브라켓에 의하여 고정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lock the flow of the fluid by operating the shut-off valve when the fluid flowing in the pipe (1) changes pressure due to leakage, etc.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ssure sensing device in the pipe (1) Phosphorus leakage blocking
상기 부설차단기본체(10)의 전방부인 유체의 입력부분에서 상기 관로(1)와는 별도로 일부 유체를 상부압력실(11)로 이동시키는 상부가압관로(40)를 형성하였고, 누설차단기본체(10)의 후방부인 유체의 배출부분에는 상기 관로(1)와는 별도로 일부 유체를 하부압력실(12)로 이동시키는 하부가압관로(41)를 형성하였다. 이때 상부가압관로(40)에는 관로상 유체의 흐름을 열거나 차단할 수 있는 중간밸브(44)를 구비하고 있으며, 도면에는 나타나있지 않지만, 하부가압관로(41)에도 중간밸브를 부착하여 작업상의 편의성을 줄 수도 있다.In the input portion of the fluid which is the front part of the laying cut-off
또한 다이어프램(20)은 메인샤프트(32)의 중심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샤프트는 다이어프램(20)의 상부로 일부돌출되어 있으면, 상기 돌출부에 스프링이 끼워져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메인샤프트(32)의 하단에는 잠금밸브게이트(34)를 일체로 형성한다.
In addition, a
도2에서는 본 장치의 정단면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정상적으로 관로(1)내에서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며 유체가 흐르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Fig. 2 show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apparatus, which shows a case where a fluid flows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pressure in a
상기 자동차단밸브는 유체의 압력강하를 감지하는 누설차단기본체(10)가 있으며, 상기 누설차단기본체(10)는 다이어프램(20)에 의하여 상부압력실(11)과 하부압력실(12)로 구분된다. The shutoff valve has a
상기 누설차단기본체(10)는 관로(1)에서 상기 누설차단기본체(10)로 일부 유체를 이동시키는 가압관로(40)(41)와, 상기 누설차단기본체(10)의 상부에 나사산홈(10a)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산홈(10a)에 상기 나사산홈(10a)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나사탭(22)을 구비하였다.
The leakage blocking
또한, 상기 나사탭(22)의 상부에는 상기 나사탭(22)을 회전시킬수 있는 손잡이(32)를 형성하였으며, 상기 나사탭(22)의 하단에는 스프링(16)보다 반경이 큰 스프링장력조절판(23)을 일체로 형성하였다.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상기 장력조절판(23)의 하단에는 스프링(16)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16)은 다이어프램(20)을 상단에 일체화되어 돌출된 메인샤프트(32)상에 끼워져 있다. 상기 스프링(16)은 비닐로 이루어진 튜브(17)에 의하여 감싸여져 있으며, 이때 튜브의 재질은 비닐이외에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무엇이나 가능하다.또한 상기 메인샤프트(32)의 하단에는 잠금밸브게이트(34)가 형성되어 있다.
The lower end of the
상부압력실(11)에는 상기 스프링(16)이외에 비상핀(13)을 구비하고 있다. The
상기 비상핀(13)은 다이어프램(20)의 상기 스프링(16)의 측면에 상기 다이어프램(20)과 일체화되어 형성되며, 누설차단기본체(10)의 상단부까지 닿아있다. The
상기 다이어프램(20)은 누설차단기본체(10)의 중앙에 수평면상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다이어프램을 누설차단기본체에 고정시키는 방식은 일반적인 공지의 방식과 같다.The
상기 비상핀(13)은 상부는 화살촉 또는 원형돔모양으로 상부가압관로(40)에 쉽게 끼워질수있게 되어있으며 하부는 균일폭을 가진 봉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다만 비상핀 상부의 형상은 위에서 설시한 것에 한하지 않으며 그 형상을 일부 변형 시켜 기밀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라면 무엇이나 가능하다.The
상기 비상핀(13)의 상부로서 상부가압관로(40)와 맞닿아 있는 부분은 고무, 금속, 실리콘, 알루미늄 기타 기밀성을 높일 수 있는 재료를 부착시키며, 비상핀(13)의 주위는 튜브(14)로 감싸게 된다. 또한 상기 비상핀의 하부에는 지지스프링를 두었으며, 상기 지지스프링(15)은 상기 비상핀(13)이 작은 움직임으로 인하여 상부가압관로와 분리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The upper part of the
상기 비상핀(13)의 튜브(14)는 일반적으로 비상핀(13)의 길이방향(종방향)으로는 쉽게 찢어지나, 횡방향으로는 쉽게 찢어지지 않는 재질을 선택하며, 횡방향의 강도개선을 위해 얇은 금속링을 횡방향으로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The
또한, 상부압력실(11)의 압력실케이스(10)의 상부에는 외부로 돌기가 형성된 구멍이 있고 상기 돌기형상의 드레인(30)은 구멍을 막는 마개가 끼워져 있고, 상기 하부압력실(12)하부인 누설차단기본체(10)의 하단은 하부가압관로(41)와 연결된다.
In addition, an upper portion of the
상기 누설차단기본체(10)의 하부에는 관로(1)내의 유체를 개폐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된 차단관로(3)가 있으며, 상기 차단관로(3)는 상부가 카바(37)에 의하여 덮혀있고, 상기 카바(37)와 누설차단기본체(10)은 브라켓(36)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In the lower part of the
상기 차단관로(3)내부에 있는 차단장치는 유체가 통과하는 원형구멍(35)이 있으며, 상기 원형구멍(35)을 막을 수 있는 장치로써 잠금밸브게이트(34)가 있다.The blocking device in the blocking
상기 잠금밸브(34)게이트는 상기 메인샤프트(32)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원형판의 형상으로 상기 원형구멍(35)에 밀착시 완전한 밀폐가 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다만, 밸브게이트(34)와 원형구멍(35)의 형상은 원형에 한하지 않으며 사각이나 기타 다각형도 가능하겠다.However, the shape of the
또, 상기 카바(37)의 상부로써 메인샤프트(32)과 맞닿아있는 곳에는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어있고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고정쇠(32a)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샤프트(32)에는 상기 고정쇠(32a)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32b)이 파져있다. 상기 결합홈(32b)은 메인샤프트(32)이 최하부까지 이동된 경우 상기 고정쇠(33a)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는 위치에 있으며, 상기 메인샤프트(32)의 하단부에는 메인샤프트(32)를 관통하면서 내부가 비어 있는 손잡이구멍(32c)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관한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2에서는 관로(1)의 파손이 없는 정상상태에서 관로(1)내 유체가 흐르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3은 관로(1)내 파손이 있어 하부압력실(12)내 압력이 떨어지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압력밸브가 작동하고 있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fluid in the
도4는 상기 도3에 따른 압력밸브가 완전히 작용하여 관로(1)내 유체의 흐름이 완전히 차단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5는 파손된 관로(1)가 수리된 경우 원상회복하기 위하여 상부압력실(11)내의 가스, 기름, 물들을 빼내고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flow of the fluid in the
도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관로(1)내 유체는 일정한 압력으로 관로(1)내부를 흐르고 있으며, 상기 유체 중 일부는 하부가압관로(41)를 통하여 하부압력실(12)에 유입된다. 다만 일단 유입된 유체가 상기 하부압력실(12)에 가득차게 되면 더 이상 유입되지 않고 유체의 압력만을 다이어프램(20)에 전달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2, the fluid in the
상기 전달된 하부압력실(12)의 압력은 압력실케이스(10)의 스프링(16) 및 상부가압관로(40)에 있는 유체의 압력과 일정한 균형을 이루어 있어, 상기 다이어프램(20)은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하부압력실(12)내의 유체의 힘이 상부압력실(11)의 스프링(16) 및 상부가압관로(40)에 있는 유체의 압력보다 커서 일반적인 관로(1)내의 압력의 변화에 따라 다이어프램(20)이 상하로 움직이지 않는다. The transmitted pressure of the
다만, 본 장치에 미량의 진동이나 흔들림등에 의하여 상부가압관로(40)를 막고있는 비상핀(13)이 움직이게 되면 뜻하지 않게 유체가 흘러내려 관로(1)의 파손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관로가 닫힐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는 비상핀(13)이 상부가압관로(40)와 맞닿는 부분을 기밀성이 좋은 고무, 실리콘등을 감싸놓았으며, 2차적으로는 비상핀(13)의 주위를 튜브(14)로 감싸서 예기치 못한 누설에 대비하여 일정량이상 흘러내리지 않게 하였으며, 3차적으로는 비상핀(13)의 하단에 지지스프링(15)을 설치하여 작은 요동에 대하여 스프링이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하는등 3단계에 걸쳐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고 있다.
However, if the
이때, 상부압력실(11)에 있는 스프링(16)의 장력조절을 위하여 손잡이(21)을 회전시켜 장력조절판(23)이 부착된 나사탭(22)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원하는 정도의 스프링(16)의 장력을 맞추어서 원하는 수준의 압력이하로 떨어지면 본 장치가 작동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의 장력은 초기설계시 설치장소의 유량, 유속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지만, 설치후 사용자가 현장사정에 맞추어 압력계를 이용하여 적정한 압력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도3 및 도4에서는 본 장치의 작동원리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는데, 관로(1)에 파손이 발생하여 유체의 압력이 하강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하부압력실(12)에 작용하는 압력도 점점 내려가게 된다. 하강한 압력이 상부압력실(11)내부의 압력인 스프링과 상부가압관로(40)의 압력보다 낮아지게 되면 다이어프램(20)이 점점 하강하게 된다. (다만 이 경우 상부가압관로(40)의 압력은 당해 단면적이 작아 실제로는 거의 압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3 and 4 show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apparatus, the breakage occurs in the
하강으로 인하여 비상핀(13)이 상부가압관로(40)와 분리되면(비상핀(13)의 보호튜브를 다이어프램(20)의 하강으로 인하여 찢어지게 된다) 상부가압관로(40)에서 유체가 분출되게 되며 분출된 유체는 스프링의 압력과는 별도의 힘을 다이어프램(20)에 가하게 된다. 이때, 분출된 유체가 상부가압관로(40)에 가득차게 되면 유체에 의한 하부압력실(12)의 압력과 상부압력실(11)의 압력이 동일하게 되며, 결국 다이어프램(20)의 하강은 순수한 스프링(16)의 힘에 의하여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종전의 스프링에만 의존하던 방식과는 달리 스프링(16)이 부식에 의하여 탄성력이 감소하더라도 완전한 밀폐가 가능하게 된다.When the
상기 메인샤프트(32)의 완전한 하강이 일어난 후에는 차단관로(3)의 커버(37)상부에 부착된 안전차단클립(33)의 고정쇠(33a)가 결합홈(32b)에 걸리게 되면 메인샤프트는 완전히 고정되고 이에 따라, 완전한 밀폐가 실현된다.After the complete descending of the
도5에서는 관로(1)의 파손을 수리한 경우 원위치로 다이어프램(20)을 복원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restoring the
우선 파손된 관로의 복구작업은 고정쇠(33a)에 의하여 메인샤프트(32)가 고정된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First, the repairing of the broken pipe is performed in the state in which the
상기 복구작업이 끝나서 다이어프램(20)을 원상태로 하고자 할 경우 우선 상부가압관로(40)를 차단하여 부가적인 유체의 유입을 방지하고 상부압력실(11)에 있는 드레인커버(31)를 열게된다. When the
상기 드레인커버(31)가 열면 고정쇠(32a)를 결합홈(32b)에서 분리하고 손잡이(21)돌려 나사탭(22)을 천천히 빼면서 스프링(16)에 가해진 장력을 줄인다.When the
상기 스프링(16)의 장력을 줄이게 되면 다이어프램(20)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다이어프램과 밸브게이트는 상부로 이동하는데, 다만 다이어프램(20)의 복원력이 미흡한 경우 메인봉의 하단에 형성된 손잡이구멍(32c)에 막대(별도로 도시하지 않는다)를 끼워 작업자가 상기 막대를 이용하여 메인샤프트(32)를 상부로 올려준다.When the tension of the
이상과 같이 밸브게이트(34)가 상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관로의 유체를 흐르게 하면 하부압력실(12)에 압력이 발생되어 다이어프램(20)과 밸브게이트(34)가 원 래 위치보다 위로 올라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부압력실(11)내의 유체는 드레인(30)을 통하여 빠져나오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luid in the conduit flows while the
상부압력실(11)에서 유체가 빠져나가게 되면, 상기 드레인커버(31)를 닫고, 스프링(16)의 장력을 다시 원하는 상태로 조절하면 복원작업이 마무리 된다.
When the fluid escapes from the
여기에서 본 발명은 실시례에 나타난 것과 같은 글로우브 밸브의 경우에만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방식으로 관로를 개폐하는 게이트밸브에도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발명과 같은 상하 수직운동이 아닌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관로를 개폐하는 볼밸브의 경우도 공지의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수직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화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Here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not only in the case of the glow valve as shown in the embodiment, but also in the gate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ipe in the same manner, and rotating about the central axis rather than the vertical movement as in the above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ball valve to open and close the pipeline by using a known actuator can also be used to change the vertical motion to a rotary mo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단밸브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hut-off valv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스프링에 의한 1차적 차단장치와 별도로 상부가압관로를 이용한 기존의 압력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는 2차압력장치를 부가함으로써 신속하면서도 확실한 유체의 공급차단을 이룰 수 있다.
First, by adding a secondary pressure device that can increase the existing pressure using the upper pressure line in addition to the primary shut-off device by the spring can achieve a rapid and sure supply of fluid.
둘째, 스프링 및 비상핀의 주위에 튜브를 감싸서 장기간 사용시 스프링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비상핀의 튜브는 예상치 못한 기밀손상을 방지할 수 있 다.Secondly, the tube is wrapped around the spring and emergency pin to prevent spring corrosion during long-term use, especially the tube of the emergency pin can prevent unexpected airtight damage.
셋째, 다이어프램방식을 이용함으로써 금속판이 부식되더라도 동작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한다Third, the diaphragm method allows smooth operation even if the metal plate is corroded.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34117A KR101113285B1 (en) | 2004-05-14 | 2004-05-14 | leakage prevention apparatus of water, gas, oil in the pi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34117A KR101113285B1 (en) | 2004-05-14 | 2004-05-14 | leakage prevention apparatus of water, gas, oil in the pip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08889A KR20050108889A (en) | 2005-11-17 |
KR101113285B1 true KR101113285B1 (en) | 2012-02-20 |
Family
ID=37284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34117A KR101113285B1 (en) | 2004-05-14 | 2004-05-14 | leakage prevention apparatus of water, gas, oil in the pi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13285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69659A1 (en) * | 2012-05-07 | 2013-11-14 | Array Holdings, Inc. | Valve with actuator |
KR101590085B1 (en) | 2015-02-27 | 2016-01-29 | 주식회사 협성히스코 | Valve for automaticaling blocking pressure leak for instrument measuring pressure |
KR101986456B1 (en) * | 2018-07-17 | 2019-06-05 |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 Pipe locking apparatus |
KR102040912B1 (en) * | 2019-08-16 | 2019-11-05 | 민현규 | Pipeline connection structure for supplying oil to bearings for high voltage motors |
CN110886866A (en) * | 2019-12-03 | 2020-03-17 | 中铁五局集团第一工程有限责任公司 | Assembling and debugging method for BIM engineering terminal valve |
CN111022690A (en) * | 2019-12-03 | 2020-04-17 | 中铁五局集团第一工程有限责任公司 | BIM engineering terminal warm accuse valve |
US10788140B2 (en) | 2018-07-16 | 2020-09-29 | Hyundai Motor Company | Solenoid valve for controlling gas supply |
KR102324092B1 (en) * | 2020-06-04 | 2021-11-09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Multiple-stage flow control valve for water met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744577B (en) * | 2020-07-21 | 2022-08-12 | 安徽省阜阳市海泉粮油工业股份有限公司 | Rice polishing machine |
CN111795193A (en) * | 2020-07-22 | 2020-10-20 | 孔令香 | High-stability self-operated pressure regulating valve |
CN118602161B (en) * | 2024-05-30 | 2024-12-24 | 百灵气动科技有限公司 | Accurate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pneumatic proportional valve and storage medium thereof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13775U (en) | 1981-01-06 | 1982-07-14 | ||
JP2002099331A (en) | 2000-09-22 | 2002-04-05 | Smc Corp | Fluid pressure regulator |
KR20050102176A (en) * | 2004-04-21 | 2005-10-26 | 장대순 | Automatic shutting valve for leakage prevention of water, gas, oil in the pipe |
-
2004
- 2004-05-14 KR KR1020040034117A patent/KR101113285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13775U (en) | 1981-01-06 | 1982-07-14 | ||
JP2002099331A (en) | 2000-09-22 | 2002-04-05 | Smc Corp | Fluid pressure regulator |
KR20050102176A (en) * | 2004-04-21 | 2005-10-26 | 장대순 | Automatic shutting valve for leakage prevention of water, gas, oil in the pipe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69659A1 (en) * | 2012-05-07 | 2013-11-14 | Array Holdings, Inc. | Valve with actuator |
KR101590085B1 (en) | 2015-02-27 | 2016-01-29 | 주식회사 협성히스코 | Valve for automaticaling blocking pressure leak for instrument measuring pressure |
US10788140B2 (en) | 2018-07-16 | 2020-09-29 | Hyundai Motor Company | Solenoid valve for controlling gas supply |
KR101986456B1 (en) * | 2018-07-17 | 2019-06-05 |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 Pipe locking apparatus |
KR102040912B1 (en) * | 2019-08-16 | 2019-11-05 | 민현규 | Pipeline connection structure for supplying oil to bearings for high voltage motors |
CN110886866A (en) * | 2019-12-03 | 2020-03-17 | 中铁五局集团第一工程有限责任公司 | Assembling and debugging method for BIM engineering terminal valve |
CN111022690A (en) * | 2019-12-03 | 2020-04-17 | 中铁五局集团第一工程有限责任公司 | BIM engineering terminal warm accuse valve |
KR102324092B1 (en) * | 2020-06-04 | 2021-11-09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Multiple-stage flow control valve for water me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08889A (en) | 2005-1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67136B2 (en) | Wet barrel fire hydrant flow preventer | |
KR101113285B1 (en) | leakage prevention apparatus of water, gas, oil in the pipe | |
CA2704427C (en) | Double block and bleed plug | |
CN101173722B (en) | Emergency shutoff valve for use in a fuel dispensing system | |
JP5128901B2 (en) | Shut-off valve for use in fuel distributor | |
US20080060701A1 (en) | Earthquake safety valve for shutting off overflowing gas | |
KR101036141B1 (en) | Automobile shutoff valve to prevent large leakage of water, gas, oil, etc. in the pipeline | |
JPH09178096A (en) | Disaster corresponding type lp gas vessel valve | |
GB2317382A (en) | Overfill prevention device | |
US5823223A (en) | Retrofittable safety shut-off valve for gas or liquid meter | |
KR20170140566A (en) | Chamber for pressure switch of fire extinguishment system | |
KR101909388B1 (en) | Overpressure preventing valve assembly for sprinkler facilities | |
KR20030041303A (en) | apparatus control fuel leak of fuel-tank vihicles | |
KR20000050172A (en) | A device for preventing the overflowing and automatical controlling the inner pressure of water tank | |
JP3040740B2 (en) | Emergency shut-off valve device | |
JP2908308B2 (en) | Shut-off device | |
JPH09133236A (en) | Gas cutout gear | |
KR20060102229A (en) | Gas valve automatic closing device | |
JP2003120831A (en) | Ball valve and fluid leakage preventing method | |
JP5289876B2 (en) | Fuse fitting | |
JP6585348B2 (en) | Flow control structure in air valve | |
JPH027344Y2 (en) | ||
JPH11141733A (en) | Valve | |
JPS6041267B2 (en) | Seismic isolation valve | |
EP3794292A1 (en) | Fluid material injec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1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4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05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