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260B1 -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260B1
KR101113260B1 KR1020090126851A KR20090126851A KR101113260B1 KR 101113260 B1 KR101113260 B1 KR 101113260B1 KR 1020090126851 A KR1020090126851 A KR 1020090126851A KR 20090126851 A KR20090126851 A KR 20090126851A KR 101113260 B1 KR101113260 B1 KR 101113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pressure
risk
shift
gas par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0139A (ko
Inventor
원병희
최윤정
전경진
임도형
홍재수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26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260B1/ko
Publication of KR20110070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0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69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flatable chambers
    • A61G7/05776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flatable chambers with at least two groups of alternately inflated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6Measuring bloo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9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p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34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pressure

Abstract

본 발명은 교대부양식 매트리스의 각 부양채널의 부양패턴에 따른 매트리스에 의해 지지되는 인체 피부의 접촉압력 및 경피성 가스분압 측정을 통해 욕창발생 위험을 측정할 수 있는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교대부양식 매트리스의 제1교대부양주기를 설정하는 제1설정단계, 제1교대부양주기에 따른 피 실험자 인체 피부의 혈류상태를 측정하는 제1측정단계, 교대부양식 매트리스의 상기 제1교대부양주기와는 다른 제2교대부양주기를 설정하는 제2설정단계, 제2교대부양주기에 따른 피 실험자 인체 피부의 혈류상태를 측정하는 제2측정단계, 상기 제1측정단계와 제2측정단계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욕창발생 위험이 어느 것이 더 낮은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방법이 제공되며, 조직내 혈류상태를 조직내 가스분압 또는 접촉압력을 측정하여 판단하여 욕창발생 위험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고, 각 환자 개인 특성에 따른 최적화된 부양주기 패턴을 알 수 있어 환자의 욕창발생 위험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욕창, 교대부양, 매트리스, 가스분압, 접촉압력

Description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 방법{Method for Evaluating Risk of Pressure Ulcer}
본 발명은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대부양식 매트리스의 각 부양채널의 부양패턴에 따른 매트리스에 의해 지지되는 인체 피부의 접촉압력 및 경피성 가스분압 측정을 통해 욕창발생 위험을 측정할 수 있는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체마비환자 등 자력 거동이 불가능한 중환자는 하루의 대부분을 누워서 지내거나 또는 휠체어에 앉아 보내며, 간병인의 도움으로 살아가게 된다.
그런데, 장시간 누워있거나 앉아있다 보면, 등이나 엉덩이 부위 등 바닥과 닿는 부분에 국부적으로 과도한 압력이 지속적으로 또는 반복적으로 작용되어 모세혈관의 폐색상태가 지속됨으로써 피부조직에 피가 통하지 않게 되어 욕창이 발생하게 된다.
욕창의 형성에는 병변 부위에 작용하는 응력과 이러한 응력이 작용하는 시간이 영향을 미치는데, 초기엔 피부 표피에 손상은 없으나 변색되며, 진행될수록 피부표피조직에 상처가 생기기 시작해 하부조직인 진피가 손상될 수도 있고, 심한 경우 피하지방층이나 심지어는 근육과 골조직까지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환자에게 큰 고통을 주어 삶의 질을 저하시키며, 일단 욕창이 발생한 경우 거동이 불편한 환자 특성상 회복속도가 더디며 신체치유능력이 떨어지는 고령자의 경우 회복속도가 더욱 더디게 되어 일단 발병하게 되면 회복이 어렵고 상처가 악화되기 쉬워 치료에 드는 경제적 손실은 물론 환자의 사망까지 야기할 수 있어 사회적 손실이 매우 크다.
이러한 욕창을 방지하고자, 최근에는 욕창 방지 용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근래에 들어 대표적으로 공기를 불어넣어 환자의 신체를 보다 균일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방석이나 매트리스 및 공기패드가 복수구획으로 분할되어 독립적인 팽창과 수축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패드가 교대로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는 교대 부양기능으로 인체 피부에 접촉되어 지지하는 접촉압력을 감소시켜 장기간 한 지점의 조직에 과다한 접촉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제작된 교대부양식 매트리스 등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교대부양식 매트리스도 부양주기 등의 부양패턴에 따라 욕창발생의 위험이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는데, 아직까지 부양 패턴에 따른 욕창발생의 위험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비 및 방법이 개발되지 못하여, 부양패턴을 임의로 설정하여 작동시키고 있다.
또한, 환자마다 개인 특성이 모두 달라 각 개인에 따른 부양주기가 최적화 되어야 욕창발생의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는데, 아직까지 부양 패턴에 따른 욕창발생의 위험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비 및 방법 개발되지 못하여 획일화 된 부양패턴만을 제공하므로 환자에게 최적화된 부양패턴을 알 수 없어 욕창발생 위험이 최 소화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교대부양식 방석 또는 매트리스의 부양주기 등의 부양패턴에 따른 욕창발생 위험을 측정할 수 있는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대부양식 매트리스의 제1교대부양주기를 설정하는 제1설정단계, 제1교대부양주기에 따른 피 실험자 인체 피부의 혈류상태를 측정하는 제1측정단계, 교대부양식 매트리스의 상기 제1교대부양주기와는 다른 제2교대부양주기를 설정하는 제2설정단계, 제2교대부양주기에 따른 피 실험자 인체 피부의 혈류상태를 측정하는 제2측정단계, 상기 제1측정단계와 제2측정단계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욕창발생 위험이 어느 것이 더 낮은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1측정단계는, 제1교대부양주기에 따른 피 실험자 인체 피부의 경피성 가스분압을 측정하는 제1가스분압 측정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제2측정단계는, 제2교대부양주기에 따른 피 실험자 인체 피부의 경피성 가스분압을 측정하는 제2가스분압 측정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제1가스분압 측정단계 및 제2가스분압 측정단계는, 인체 피부조직의 경피성 산소 가스분압(tcpO2) 또는 경피성 이산화탄소 가스분압(tcpCO2)를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측정단계는, 제1교대부양주기에 따른 피 실험자 인체 피부의 접촉압력을 측정하는 제1접촉압력 측정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제2측정단계는, 제2교대부양주기에 따른 피 실험자 인체 피부의 접촉압력을 측정하는 제2접촉압력 측정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제1측정단계와 제2측정단계에서, 인체 피부의 혈류상태를 측정하는 지점은, 인체의 천골(薦骨, sacrum)부위 또는 발 뒤꿈치 부위 또는 견갑골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판단단계는, 제1교대부양주기와 제2교대부양주기에 따른 경피성 산소 가스분압의 회복속도를 비교하여 욕창발생 위험을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판단단계는, 제1교대부양주기와 제2교대부양주기에 따른 경피성 산소 가스분압이 일정치 이하인 총 시간을 비교하여 욕창발생 위험을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판단단계는, 제1교대부양주기와 제2교대부양주기에 따른 경피성 산소 가스분압의 평균치 및 경피성 이산화탄소 가스분압의 평균치를 비교하여 욕창발생 위험을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판단단계는, 제1교대부양주기와 제2교대부양주기에 따른 PAI 지수를 비교하여 욕창발생 위험을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판단단계는, 제1교대부양주기와 제2교대부양주기에 따른 PRI 지수를 비교하여 욕창발생 위험을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욕창발생 위험도를 부양주기 등의 부양패턴 별로 측정할 수 있으므로, 환자 개인의 특성에 맞는 최적의 부양패턴을 알 수 있어 환자의 욕창발생 위험이 최소화 되는 부양패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각 환자 개인 특성에 따른 최적화된 부양주기 패턴을 찾을 수 있으므로, 환자의 욕창발생 위험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욕창발생의 가장 큰 요인인 조직내 혈류상태를 조직내 가스분압을 측정하거나 조직에 가해지는 접촉압력을 측정하여 판단하므로, 욕창발생 위험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측정을 위한 장치 및 기기들의 구성을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욕창방지용 교대부양식 매트리스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교대부양식 매트리스(10)는 복수의 서로 구획된 공기 패드(12)가 구비되고, 상기 각 공기 패 드(12)에 공기를 독립적으로 공급하거나 배출시키도록 서로 독립적인 공기의 유동통로인 부양채널(15, 16, 17)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교대부양식 매트리스(10)는 3개의 부양채널(15, 16, 17)이 형성되어 교대로 번갈아 가면서 부양되는 것을 예로 들기로 한다.
즉, 도 2 a 내지 도 2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양채널(15)과 연결된 공기 패드(12)와 제2부양채널(16)과 연결된 공기패드(12)와 제3부양채널(17)과 연결된 공기 패드(12)가 각각 교대로 또는 순차적으로 부양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교대부양식 매트리스(10)의 각 부양채널(15, 16, 17)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펌프(14)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양채널(15, 16, 17)을 통해 공기 패드(12)에 공기가 공급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지만, 공기 외에도 물 등 다른 물질이 공급될 수도 있으며, 이는 당업자들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다.
한편, 상기 교대부양식 매트리스(10)의 각 공기 패드(12)는 일정한 시간의 주기별로 부양되거나 가라앉을 수 있는데, 이러한 주기를 부양주기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 펌프(14)에는 각 부양채널(15, 16, 17)별로 공기가 공급되는 압력 및 부양주기 등의 부양패턴을 측정하는 측정기(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교대부양식 매트리스(10)와 접촉되어 지지되는 인체 피부의 접촉지점의 접촉압력을 측정하는 접촉압력 측정기(30)가 구비된다.
상기 접촉압력 측정기(30)는 교대부양식 매트리스(10)와 인체 피부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가 복수개가 넓게 분포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대부양식 매트리스(10)를 사용하는 인체의 피부 조직 내의 가스분압을 측정하는 경피성 가스분압 측정기(50)가 구비된다.
상기 경피성 가스분압 측정기(50)는 조직 내의 산소 또는 이산화탄소의 분압(tcpO2, tcpCO2)을 측정함으로써, 조직 내에 산소가 많이 분포되어 있는지 또는 이산화탄소가 많이 분포되어 있는지를 측정할 수 있어 조직의 혈류상태가 좋은지 나쁜지를 추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피성 가스분압 측정기(50)는 상기 교대부양식 매트리스(10)와 접하는 인체 피부조직의 접촉지점의 가스분압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욕창이 주로 인체의 등 부분의 천골(薦骨, sacrum) 부위에서 젤 먼저 발생하므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상기 천골부위의 가스분압을 측정하는 것을 예로 들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뒤꿈치 또는 견갑골 등 환자의 병변예상부위 및 매트리스의 사용형태(누워서 사용하는지 또는 앉아서 사용하는지)에 따라 다른 부위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경피성 가스분압을 측정할 때는 해당지점의 피부온도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상기 경피성 가스분압을 측정하는 지점의 피부온도를 측정하는 피부온도 측정기(40)도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동기화 모듈(100)이 구비된다. 상기 동기화 모듈(100)은 부양패턴을 측정하는 부양패턴 측정기(20) 및 접촉압력 측정기(30), 경피성 가스분압 측정기(50) 및 피부온도 측정기(40)와 각각 연결되고,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받아 이를 해당시간에 따라 이 데이터 들을 동기화 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동기화 모듈(100)은 피부온도 측정기(40) 및 상기 공기펌프(14)와 연결된 부양패턴 측정기(20) 등과 접속되는 제1포트(110) (예를 들어 RS 232 시리얼 포트) 및 접촉압력 측정기(30), 경피성 가스분압 측정기(50)와 그 외 외부기기와 접속되어 데이터를 수신받거나 송신하는 USB포트 등의 제2포트(120)가 구비된다.
또한, 전송받은 데이터를 연산하여 처리하는 데이터 변환부(130) 및 A/D 컨버터(140)와 각종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15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동기화 모듈(100)의 제1포트(110) 또는 제2포트(120)와 연결되어 전송받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교대부양식 매트리스(10)에 의해 지지되는 인체피부 접촉지점의 혈류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기화 모듈(100)에 입력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30) 및 상기 동기화 모듈(100)로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240)가 상기 동기화 모듈(100)의 제1포트(110) 또는 제2포트(12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판단부(220) 및 디스플레이(230)와 저장부(240)는 각각 별도의 장치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동기화 모듈(100)과 연결되는 노트북 PC 등의 컴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장치들을 사용하는 제1설정단계(S10)와 제1측정단계(S20), 제2설정단계(S50)와 제2측정단계(S60) 및 판단단계(S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설정단계(S10)는, 상기 교대부양식 매트리스(10)의 교대부양주기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교대부양식 매트리스(10)의 교대부양주기를 10분 또는 5분 등 임의의 주기로 설정하는 단계이다. 이하, 상기 제1설정단계(S10)에서 설정한 주기를 제1교대부양주기라 칭하기로 한다. 물론, 상기 제1설정단계(S10)에서는 교대부양주기 이외에도 부양압력 등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1설정단계(S10) 후에는 제1측정단계(S20)가 수행된다. 상기 제1측정단계(S20)는, 상기 제1교대부양주기로 설정된 교대부양식 매트리스(10)에 피 실험자가 눕고, 상기 제1교대부양주기에 따른 피 실험자 인체 피부의 혈류상태를 측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측정단계(S20)는 피 실험자 인체 피부의 경피성 가스분압을 측정하는 제1가스분압 측정단계(S22)일 수 있다.
상기 제1가스분압 측정단계(S22)는 상기 경피성 가스분압 측정기(50)를 통해 인체 피부조직내의 경피성 산소가스분압(tcpO2) 또는 경피성 이산화탄소 가스분압(tcpCO2)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에, 전술한 바와 같이, 인체 피부의 상기 교대부양식 매트리스의 공개 패드(12)에 의해 지지되는 지점의 경피성 가스분압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제1측정단계(S20)는, 상기 접촉압력 측정기를 통해 상기 제1교대부양주기에 따른 교대부양식 매트리스(10)의 공기 패드(12)에 의해 지지되는 인체의 각 부분의 접촉압력을 측정하는 제1접촉압력 측정단계(S24)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가스분압 측정단계(S22) 및 제1접촉압력 측정단계(S24)는 소정주기 동안 측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제1가스분압 측정단계(S22) 및 제1접촉압력 측정단계(S24)는 둘 중 하나만 수행되거나 또는 둘 다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가스분압 측정단계(S22) 및 제1접촉압력 측정단계(S24)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상기 동기화 모듈(100)로 전송되어 동기화 된 후에(S30), 디스플레이 되거나 저장된다(S40).
그리고, 상기 제2설정단계(S50)가 수행된다. 상기 제2설정단계(S50)는 상기 교대부양식 매트리스(10)의 부양주기를 상기 제1교대부양주기와는 다른 제2교대부양주기로 설정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제1교대부양주기가 5분으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제2교대부양주기는 10분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와 같은 교대부양주기의 설정시간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여러 종류의 시간으로 설정 가능하다.
그리고, 제2측정단계(S60)가 수행된다. 상기 제2측정단계(S60)는 전술한 제1측정단계(S20)와 유사하게 제2가스분압 측정단계(S62) 및 제2접촉압력 측정단 계(S6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가스분압 측정단계(S62)는 상기 제1가스분압 측정단계(S22)와 유사하게 상기 경피성 가스분압 측정기를 통해 제2교대부양주기에 따른 인체 피부조직내의 경피성 산소가스분압(tcpO2) 또는 경피성 이산화탄소 가스분압(tcpCO2)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가스분압 측정단계(S62)에서 측정하는 지점은 상기 제1가스분압 측정단계(S22)에서 측정하는 지점과 동일한 지점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접촉압력 측정단계(S64)는, 상기 접촉압력 측정기(30)를 통해 제2교대부양주기에 따른 접촉압력을 측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측정단계(S20)가 제1가스분압 측정단계(S22)로 이루어진다면 상기 제2측정단계(S60)도 제2가스분압 측정단계(S62)로 이루어진다. 또는, 상기 제1측정단계(S20)가 제1접촉압력 측정단계(S24)로 이루어진다면 상기 제2측정단계(S60)도 제2접촉압력 측정단계(S64)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제1측정단계(S20)가 제1가스분압 측정단계(S22)와 제1접촉압력 측정단계(S24)로 이루어진다면 상기 제2측정단계(S60) 또한 제2가스분압 측정단계(S62)와 제2접촉압력 측정단계(S64)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가스분압 측정단계(S62) 및 제2접촉압력 측정단계(S64)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상기 동기화 모듈(100)에서 동기화 된 후에(S70), 디스플레이 되거나 저장된다(S80).
그리고,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제1측정단계에서 측정한 제1교대부양주기에 따른 경피성 가스분압 또는 접촉압력과 제2측정단계에서 측정한 제2교대부양주기에 따른 경피성 가스분압 또는 접촉압력을 비교하여 상기 제1교대부양주기에 따른 매트리스의 교대부양과 제2교대부양주기에 따른 매트리스의 교대부양 중 어느 것이 욕창발생 위험도가 낮은지를 비교하는 단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가스분압 측정단계 및 제2가스분압 측정단계에서 측정한 측정치로서 혈류의 상태를 어떻게 판단하는지에 대하여 간략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5는 상기 교대부양 주기에 따라 교대부양식 매트리스(10)의 천골부를 지지하는 공기 패드(12)가 주기적으로 가압되거나 압력이 해제될 때의 압력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6은 도 5의 상태일 때, 인체피부의 해당 가압지점의 경피성 산소가스분압(tcpO2) 및 경피성 이산화탄소 가스분압(tcpCO2)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에서 Tc는 매트리스에 공기가 유입될 때를 나타내며, Ts는 유입된 공기에 의해 압력이 유지될 때를 나타내고, Td는 공기가 배출되어 압력이 해제될 때를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대부양식 매트리스(10)에 압력이 가해질 때 경피성 산소분압의 수치가 떨어지며, 해제될 때 경피성 산소분압의 수치가 상승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피부조직이 산소를 소비하므로, 산소분압이 클수록 혈류의 상태가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산소를 소비하면 이산화탄소가 생성되므로 이산화탄소 분압이 클수록 혈류의 상태가 좋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해당지점의 혈류가 폐색되며, 압력이 해제됨 에 따라 해당지점의 혈류가 회복됨을 알 수 있다.
상기 판단단계(S90)는 제1교대부양주기와 제2교대부양주기에 따른 경피성 산소 가스분압의 평균치 및 경피성 이산화탄소 가스분압의 평균치를 비교하여 욕창발생 위험을 판단하는 단계(S92)일 수 있다.
도 7은 교대부양 주기별로 천골부에서 측정한 경피성 가스분압의 평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그래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부양주기가 5분일 때의 경피성 산소가스분압(tcpO2)평균이 부양주기가 10분일 때의 경피성 산소가스분압 평균보다 높고, 부양주기가 5분일 때의 경피성 이산화탄소 가스분압 평균이 부양주기가 10분일 대의 경피성 이산화탄소 가스분압 평균보다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교대부양주기가 5분일 때가 10분일 때보다 경피성 산소 가스분압의 평균이 높고, 경피성 이산화탄소 가스분압의 평균이 낮으므로, 교대부양주기가 5분일 때가 교대부양주기가 10분일 때보다 욕창발생위험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단계(S90)는 상기 제1교대부양주기와 제2교대부양주기에 따른 경피성 산소 가스분압이 일정치 이하인 총 시간을 비교하여 욕창발생 위험을 판단하는 단계(S93)일 수 있다.
도 8은 주기적인 부양에 따라 조직내의 산소 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일반적으로, 조직에서의 산소 분압이 40mmHg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조직에 서 콜라겐이 생성되기 시작하는데, 이 때를 기점으로 하여 욕창발생 위험도가 커지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작동시간 동안 상기 경피성 가스분압 측정기(50)에서 측정한 산소분압이 40mmHg 이하로 떨어지는 총량을 계산하여 욕창발생 위험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9는 교대부양 주기별로 천골부에서 측정한 욕창발생 위험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상기 욕창발생 위험도는 산소분압이 40mmHg 이하로 떨어진 크기에 시간을 곱한 수치, 즉 그래프 상 산소분압이 40mmHg 이하인 면적의 합을 비교하여 평가할 수 있다.
그래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교대부양주기가 5분일 때의 욕창발생 위험도가 교대부양주기가 10분일 때의 대략 45% 정도로 5분일 때가 더 낮은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로서 교대부양주기가 5분일 때가 10분일 때보다 더 유리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단계(S90)는 상기 제1교대부양주기와 제2교대부양주기에 따른 산소 가스분압의 회복속도를 비교하여 욕창발생 위험을 판단하는 단계(S94)일 수 있다.
전술한 설명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기적인 부양에 따라 공기 패드가 인체를 지지하면 접촉압력에 의해 인체피부의 해당지점의 경피성 산소가스 분압 측청치가 하락하고, 공기 패드의 압력이 사라지면 해당 지점의 경피성 산소가스 분 압 측정치가 상승하여 회복되는데, 이렇게 경피성 산소가스 분압 측정치가 회복되는 시간에 역치값을 적용하면, 피부조직의 혈류의 폐색 및 회복여부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양주기에 따른 조직내 경피성 산소가스분압의 회복속도를 비교하면, 교대부양주기가 5분일 때의 회복속도가 교대부양주기가 10분일 때 회복속도의 약 75%정도로 5분일 때가 보다 더 빠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대부양주기가 5분일 때의 욕창발생 위험도가 교대부양주기가 10분일 때 보다 더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욕창발생 위험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직내 가스분압으로 평가할 수도 있지만, 인체 피부에 작용되는 접촉압력으로서 평가할 수도 있다. 이렇게 인체 피부에 작용되는 접촉압력으로서 평가할 때에는 후술하는 PAI 지수 또는 PRI 지수를 활용할 수 있다.
상기 판단단계(S90)는 제1교대부양주기와 제2교대부양주기의 PAI 지수를 비교하여 욕창발생 위험을 판단하는 단계(S96)일 수 있다.
PAI(Pressure Area Index)란 상기 접촉압력 측정기의 각 센서에서 측정된 압력의 세기별 개수에 각 센서의 면적을 곱한 수치의 지수이다.
본 PAI 지수를 통해 인체피부에 어떤 세기의 압력이 얼마만큼의 너비에 작용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도 12는 교대부양주기가 5분일 때와 10분일 때의 인체의 중간부분(등부터 둔부까지의 부위)에 작용하는 PAI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상기 그래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교대부양주기가 5분일 때가 10분일 때보다 PAI 수준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교대부양주기가 5분일 때가 10분일 때보다 욕창발생 위험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또는, 상기 판단단계(S90)는 제1교대부양주기와 제2교대부양주기의 PRI지수를 비교하여 욕창발생 위험을 판단하는 단계(S97)일 수 있다.
상기 PRI 지수란 상기 접촉압력 측정기의 각 센서에 작용되는 압력의 총 합에 각 센서의 면적을 곱한 수치이다.
본 PRI 지수를 통해, 접촉압력 총량의 시간 변화를 알 수 있으며, 시간에 따른 접촉압력 총량의 추이 및 총량 분석을 통해 욕창발생 위험도를 비교 평가할 수 있다.
즉, 도 13은 부양주기가 5분일 때와 10분일 때의 시간에 따른 PRI지수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인데, 이 그래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실험시간 전체에 걸쳐 부양주기가 5분일 때가 10분일 때보다 PRI 지수가 낮은 수준을 기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부양주기가 5분일 때와 10분일 때의 PRI 지수 총량을 도시한 도 14의 그래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부양주기가 5분일 때의 PRI 지수가 부양주기가 10분일 때의 PRI 지표의 95% 수준을 기록함으로써 부양주기가 5분일 때가 10분일 때보다 욕창발생 위험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부양주기에 따른 경피성 가스분압수준, 경피성 산소가스분압의 회복속도, 경피성 산소가스분압이 일정수치 이하로 내려가는 총 시간 및 PAI, PRI 지표 비교를 통해, 어떤 부양주기가 욕창발생 위험도가 더 낮은지를 알 수 있으며, 부양주기를 달리하면서 상기와 같은 실험을 소정횟수 반복하면 환자 개개인에게 보다 낮은 욕창발생 위험도를 가지는 최적의 부양주기 패턴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 방법이 적용되는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교대부양식 매트리스가 교대부양하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1의 동기화 모듈을 개략적인 형태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도 1의 교대부양식 매트리스의 천골부를 지지하는 공기패드의 부양주기에 따른 압력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도 5의 압력의 변화에 따라 천골부에서 측정되는 경피성 가스분압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7은 교대부양주기에 따른 경피성 가스분압을 비교한 그래프;
도 8은 매트리스의 교대부양에 따라 천골부에서 측정된 경피성 산소가스 분압의 변화 중 산소가스 분압이 40mmHg이하로 내려간 것을 측정한 그래프;
도 9는 교대부양주기에 따른 경피성 산소가스분압이 40mmHg 이하로 내려간 총량을 비교한 그래프;
도 10은 매트리스의 교대부양에 따라 천골부에서 측정된 경피성 산소가스 분압이 회복되는 시간을 나타낸 그래프;
도 11은 교대부양주기에 따른 경피성 산소가스 분압이 회복되는 시간을 비교한 그래프;
도 12는 교대부양주기에 따른 PAI 지수를 비교한 그래프;
도 13은 PRI 지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교대부양주기별로 표시한 그래프;
도 14는 교대부양주기에 따른 PRI 지수의 총량을 비교한 그래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교대부양식 매트리스 12: 공기패트
14: 펌프 15: 제1부양채널
16: 제2부양채널 17: 제3부양채널
20: 채널별 공기부양패턴 측정기
30: 피부 접촉압력 측정기 40: 피부온도 측정기
50: 경피성 가스분압 측정기 100: 동기화 모듈
220: 판단부 230: 디스플레이
240: 저장부
S10: 제1설정단계 S20: 제1측정단계
S22: 제1가스분압 측정단계 S24: 제1접촉압력 측정단계
S30: 데이터 동기화 단계 S40: 디스플레이/데이터 저장단계
S50: 제2설정단계 S60: 제2측정단계
S62: 제2가스분압 측정단계 S64: 제2접촉압력 측정단계
S70: 데이터 동기화 단계 S80: 디스플레이/데이터 저장단계
S90: 판단단계
S92: 경피성 가스평균분압 비교단계
S93: 경피성 산소가스 미달총량 비교단계
S94: 경피성 산소가스 회복속도 비교단계
S96: PAI 지수 비교단계 S97: PRI 지수 비교단계

Claims (13)

  1. 교대부양식 매트리스의 제1교대부양주기를 설정하는 제1설정단계;
    제1교대부양주기에 따른 피 실험자 인체 피부의 혈류상태를 측정하는 제1측정단계;
    교대부양식 매트리스의 상기 제1교대부양주기와는 다른 제2교대부양주기를 설정하는 제2설정단계;
    제2교대부양주기에 따른 피 실험자 인체 피부의 혈류상태를 측정하는 제2측정단계;
    상기 제1측정단계와 제2측정단계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욕창발생 위험이 어느 것이 더 낮은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정단계는,
    제1교대부양주기에 따른 피 실험자 인체 피부의 경피성 가스분압을 측정하는 제1가스분압 측정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정단계는,
    제2교대부양주기에 따른 피 실험자 인체 피부의 경피성 가스분압을 측정하는 제2가스분압 측정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스분압 측정단계 및 제2가스분압 측정단계는,
    인체 피부조직의 경피성 산소 가스분압(tcpO2) 또는 경피성 이산화탄소 가스분압(tcpCO2)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정단계는,
    제1교대부양주기에 따른 피 실험자 인체 피부의 접촉압력을 측정하는 제1접촉압력 측정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정단계는,
    제2교대부양주기에 따른 피 실험자 인체 피부의 접촉압력을 측정하는 제2접촉압력 측정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정단계와 제2측정단계에서,
    인체 피부의 혈류상태를 측정하는 지점은,
    인체의 천골(薦骨, sacrum)부위 또는 발 뒤꿈치 부위 또는 견갑골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제1교대부양주기와 제2교대부양주기에 따른 경피성 산소 가스분압의 회복속도를 비교하여 욕창발생 위험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제1교대부양주기와 제2교대부양주기에 따른 일정치 이하의 경피성산소 가스분압의 총량을 비교하여 욕창발생 위험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교대부양식 매트리스의 부양주기에 따른 경피성 산소 가스분압의 평균치 및 경피성 이산화탄소 가스분압의 평균치를 비교하여 욕창발생 위험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제1교대부양주기와 제2교대부양주기에 따른 경피성 산소 가스분압의 평균치 및 경피성 이산화탄소 가스분압의 평균치를 비교하여 욕창발생 위험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제1교대부양주기와 제2교대부양주기에 따른 PAI 지수를 비교하여 욕창발생 위험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방법.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제1교대부양주기와 제2교대부양주기에 따른 PRI 지수를 비교하여 욕창발생 위험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방법.
KR1020090126851A 2009-12-18 2009-12-18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 방법 KR101113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851A KR101113260B1 (ko) 2009-12-18 2009-12-18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851A KR101113260B1 (ko) 2009-12-18 2009-12-18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139A KR20110070139A (ko) 2011-06-24
KR101113260B1 true KR101113260B1 (ko) 2012-02-29

Family

ID=44401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851A KR101113260B1 (ko) 2009-12-18 2009-12-18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2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059B1 (ko) * 2016-06-27 2018-06-18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압력감응식 에어패드
SE542896C2 (en) * 2018-03-28 2020-08-18 Pusensor Ab A system and a control element for assessment of blood flow for pressure ulcer risk assess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6317A (ja) 1997-09-09 1999-03-23 Calsonic Corp 流体圧利用マット装置
JP2004229875A (ja) 2003-01-30 2004-08-19 Yokogawa Electric Corp 就寝用具制御装置
KR20060007507A (ko) * 2004-07-20 2006-01-26 산재의료관리원 체압저하를 위한 공기 매트리스의 공압제어방법
KR101027367B1 (ko) 2009-12-18 2011-04-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6317A (ja) 1997-09-09 1999-03-23 Calsonic Corp 流体圧利用マット装置
JP2004229875A (ja) 2003-01-30 2004-08-19 Yokogawa Electric Corp 就寝用具制御装置
KR20060007507A (ko) * 2004-07-20 2006-01-26 산재의료관리원 체압저하를 위한 공기 매트리스의 공압제어방법
KR101027367B1 (ko) 2009-12-18 2011-04-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139A (ko) 201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7367B1 (ko)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 시스템
Goossens et al. Influence of shear on skin oxygen tension
US20110040221A1 (en) System and Method to Reduce Stasis-Induced Reperfusion Injury
KR20240036736A (ko) 표피하 수분값을 이용한 압박성 궤양의 전략적 치료법
US200501652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risk of ulcer onset
Schubert et al. The effects of pressure and shear on skin microcirculation in elderly stroke patients lying in supine or semi-recumbent positions
US20140345058A1 (en) Pressure Monitoring and Management Cushion System And Method Of Use
Bar Evaluation of cushions using dynamic pressure measurement
Chai et al. The physiological response of skin tissues to alternating support pressures in able-bodied subjects
US11864909B2 (en) Perfusion and oxygenation measurement
Chai et al. Pressure signatures can influence tissue response for individuals supported on an alternating pressure mattress
KR101113260B1 (ko) 욕창발생 위험도 측정 방법
Kenny et al. The effect of exercise intensity on the post-exercise esophageal temperature response
Henni et al. Intra-test and test-retest reliability of exercise oximetry in arterial claudication
Rithalia et al. Assessment of alternating air mattresses using a time-based interface pressure threshold technique
Thorfinn et al. Sitting pressure and perfusion of buttock skin in paraplegic and tetraplegic patients, and in healthy subjects: a comparative study
Jonsson et al. Evaluation of antidecubitus mattresses
Ostadabbas et al. A posture scheduling algorithm using constrained shortest path to prevent pressure ulcers
Takeshima Kohara et al. Relationship between pressure ulcers in elderly people and physiological indices of the skin
Clark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Measurement of Interface (or Contact) Pressure.
Meffre et al. MAPI: Active interface pressure sensor integrated into a seat
Yamamoto et al. Evaluation of preventive effect on buttocks immersion of independently controlled inner air cell pressure in air mattress
Phillips Interface pressure measurement: Appropriate interpretation of this simple laboratory technique used in the design and assessment of pressure ulcer management devices
Reenalda Dynamic sitting to prevent pressure ulcers in spinal cord injured
Caggiari Bioengineering technologies to monitor movements in supported postures: a potential strategy to prevent pressure ulc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