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254B1 -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의 어셈블리 및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의 어셈블리 및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254B1
KR101113254B1 KR1020090061885A KR20090061885A KR101113254B1 KR 101113254 B1 KR101113254 B1 KR 101113254B1 KR 1020090061885 A KR1020090061885 A KR 1020090061885A KR 20090061885 A KR20090061885 A KR 20090061885A KR 101113254 B1 KR101113254 B1 KR 101113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bidet
groove
ho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202A (ko
Inventor
정수용
서범석
이종원
박종훈
Original Assignee
대림비앤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비앤코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비앤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1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254B1/ko
Publication of KR20110004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즐선단부의 분출구에 오물이 들어가 기생하는 세균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의 어셈블리 및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데, 살균, 노즐

Description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의 어셈블리 및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Assembly for nozzle sterilizer and Nozzle sterilizer}
본 발명은 분사캡에 형성되어 있는 분출공을 살균처리하는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의 어셈블리 및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bidet)는 한국등록실용 제363500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문이나 국부를 세정수로 세정하는 장치로 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최근 들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비데몸체(70)의 저면에 장착되는 지지부(100)와, 상기 비데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항문세정과 비데세정 및 관장기능을 선택하며, 선택된 기능을 정지시키는 콘트롤부(200)와, 상기 지지부(100)의 단부에 결합되어 콘트롤부(200)에서 선택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선택한 기능에 대응하게 삼방향 노즐(500)을 이동시키는 작동부(300)와, 상기 콘트롤부(200)에서 선택한 기능에 따라 세정수가 공급되도록 수로를 변환시키는 수로변환부(400)와, 상기 콘트롤부(200)에서 선택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지지부(100)의 슬라이드공간(110)으로 이동되어 수로변환부(400)를 통과한 세정수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삼방향 노즐(500)이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지지부(100)의 지지편(130) 일측에 작동부(300)의 작동모터(310)를 밀착시켜 작동모터(310)의 회전축(311)이 지지편(130)의 지지공(140)으로 돌출되도록 지지편(130)의 일측면에 고정시킨다.
그 후, 돌출된 작동모터(310)의 회전축(311)에 판스프링(330)을 결합하여 지지부(100)의 슬라이드공간(110)에 안착시킨 권취부재(32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권취부재(320)를 수용부재(340)에서 수용하여 상기 지지편(130)의 타측면에 고정시킨다.
또한, 수로변환부(400)의 스테핑모터(410) 회전축(411)에는 연결부재(420)를 장착하고, 이 연결부재(420)를 수용하여 단부가 돌출되도록 고정부재(430)를 스테핑모터(410)에 밀착시키며, 상기 고정부재(430)로 돌출된 연결부재(420)에 안내부재(440)와 변환부재(450)를 장착한다.
이때, 상기 안내부재(440)의 세정, 비데, 관장 안내공(441)(442)(443)과 변환부재(450)의 세정, 비데, 관장 배수공(451)(452)(453)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460)의 몸체(461) 내부에 안내부재(440)의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결합하여 고정부재(430)에 밀착시키고, 이 지지부재(460)의 내측에 패킹(470)을 장착한다.
한편, 상기 패킹(470)이 장착된 지지부재(460)의 단면에 세정수이동관(510) 을 밀착하여 스크류로 세정수이동관(510)과 지지부재(460) 및 스테핑모터(410)를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세정수이동관(510)의 단부에 분사캡(520)이 장착된 삼방향 노즐(500)을 상기 지지부(100)의 슬라이드공간(110)을 통해 안내공간(120)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세정수이동관(510)의 하단부에 상기 판스프링(330)을 결합한다.
상기의 과정으로 삼방향 노즐(500)이 결합된 지지부(100)를 비데몸체(70)의 내측에 장착하고, 상기 비데몸체(70)의 일측에 콘트롤부(200)를 결합하며, 상기 콘트롤부(200)에 작동부(300)와 수로변환부(400)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상술한 결합과정을 거친, 상기 종래기술의 비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본체에 안착시킨 후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비데에는 상기 분사캡(520)에 형성되어 있는 세정, 비데, 관장 분출공(521)(522)(523)에 기생하는 세균을 위생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사캡에 형성되어 있는 분출공에 기생하는 세균을 살균할 수 있는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의 어셈블리 및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의 어셈블리는, 노즐선단부의 분출구와 연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제1몸체와,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내부에 홈이 형성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는 브라켓; 상기 홈에는 살균램프가 배치되되, 상기 살균램프는, 상기 홈에 삽입되는 패킹을 관통하여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노즐선단부의 분출구에 오물이 들어가 기생하는 세균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의 어셈블리는, 상기 살균램프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몸체에 체결되는 스크류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2몸체에 살균램프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는,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와,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구멍이 후측에 형성되는 제1지지편을 포함하는 노즐몸체와, 상기 노 즐몸체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전면에 결합되되,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분출구가 형성되는 노즐선단부와, 상기 제1지지편에 결합되되, 상기 구멍과 연통되는 세정수유입구가 형성되는 제2지지편을 포함하는 노즐부; 비데 본체에 장착되도록 결합편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가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전방에 형성되되, 상기 분출구와 연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제1몸체와,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내부에 홈이 형성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는 브라켓과, 상기 홈에 삽입되는 패킹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살균램프를 포함하는 살균장치;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의 어셈블리 및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노즐선단부의 분출구를 살균램프로 쬐어주어, 상기 노즐선단부의 분출구에 오물이 들어가 기생하는 세균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따라서, 비데에 기생하는 세균으로부터의 감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쾌적감을 줄 수 있다.
또한, 브라켓의 제2몸체에 형성되는 스크류체결부에 스크류가 삽입되어 상기 제2몸체의 홈에 삽입되는 패킹을 눌러주므로, 상기 패킹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살균램프를 상기 제2몸체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의 어셈블리는, 노즐선단부(600)의 분출구(601)(602)와 연통되도록, 관통공(711)이 형성되는 제1몸체(710)와, 상기 관통공(711)과 연통되도록, 내부에 홈(721)이 형성되는 제2몸체(720)를 포함하는 브라켓(700)으로 구성되고, 상기 홈(721)에는 살균램프(740)가 배치되되, 상기 살균램프(740)는, 상기 홈(721)에 삽입되는 패킹(750)을 관통하여 고정된다.
분출구는 비데노즐인 제1분출구(601)와, 세정노즐인 제2분출구(602)로 구성된다.
브라켓(700)은, 후술할 지지부(800)의 전방에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700)은, 역U자 형상으로 안쪽면에 관통공(711)이 형성되는 제1몸체(710)의 상부에, 상기 관통공(711)과 연통되도록, 내부에 홈(721)이 형성되는 제2몸체(72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몸체(710)의 측면에는, 비데 본체에 장착되도록, 외부로 돌출되어 나사공을 갖는 체결편(705)이 형성된다.
전방에서 볼 때, 상기 홈(721)은 사각형 형상이다.
상기 홈(721)에는, 상기 홈(721)의 형상과 대응되는 패킹(750)이 상기 제2몸체(720)의 후방에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2몸체(720)에는 상기 홈(721)에 삽입된 패킹(750)이 더 이상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턱(752)이 형성된다.
상기 패킹(750)은 육면체 형상이고, 그 재질은 고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킹(750)에는, 상기 패킹(750)의 전후방향을 관통하는 관통홈(75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홈(751)에는 살균램프(74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2몸체(720)의 측면에는, 상기 홈(721)과 연통되도록 스크류체결공을 갖는 스크류체결부(73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2몸체(720)에 형성되는 홈(721)에 패킹(750)을 삽입하고, 상기 패킹(750)에 형성되는 관통홈(751)에 살균램프(740)가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몸체(720)에 형성되는 스크류체결부(731)에 스크류(732)를 삽입하여 체결시키면, 상기 제2몸체(720)의 외측면에서 스크류(732)가 패킹(750)을 눌러준다.
따라서, 제2몸체(720)의 홈(721)에 삽입되는 패킹(750)의 고정력을 더욱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패킹(750)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살균램프(740)도 상기 제2몸체(72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살균램프(740)는 자외선(ultraviolet, UV)램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살균램프(740)의 일측에는, 별도의 전원장치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단자(741)가 형성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는,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611)(612)와, 상기 유로(611)(612)와 연통되는 구멍(636)(637)이 후측에 형성되는 제1지지편(630)을 포함하는 노즐몸체(610)와, 상기 노즐몸체(61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파이프(620)와, 상기 파이프(620)의 전면에 결합되되, 상기 유로(611)(612)와 연통되는 분출구(601)(602)가 형성되는 노즐선단부(600)와, 상기 제1지지편(630)에 결합되되, 상기 구멍(636)(637)과 연통되는 세정수유입구(644)(646)가 형성되는 제2지지편(640)을 포함하는 노즐부와, 비데 본체에 장착되도록 결합편(801)(802)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가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홈(805)이 형성되는 지지부(800)와, 상기 지지부(800)의 전방에 형성되되, 상기 분출구(601)(602)와 연통되도록 관통공(711)이 형성되는 제1몸체(710)와, 상기 관 통공(711)과 연통되도록 내부에 홈(721)이 형성되는 제2몸체(720)를 포함하는 브라켓(700)과, 상기 홈(721)에 삽입되는 패킹(750)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살균램프(740)를 포함하는 살균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노즐몸체(610)의 내부에 상하로 이격 형성되는 유로는, 상기 노즐몸체(6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하부에 배치되어 제1분출구(601)와 연결되는 제1유로(611)와, 상부에 배치되어 제2분출구(602)와 연결되는 제2유로(612)로 구성된다.
이때, 제1분출구(601)와 제1유로(611) 그리고, 제2분출구(602)와 제2유로(612)로 사이에는 O링(613)이 배치된다.
상기 노즐몸체(610)의 후측에는 제1지지편(630)이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편(630)은 상기 제1유로(611)와 제2유로(612)에 각각 연통되는 제1구멍(636)과 제2구멍(63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지지편(630)의 일측면에는 후술할 지지부(800)의 가이드홈(805)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1돌출편(631)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돌출편(631)의 일부분에는 끼움홈(632)이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편(630)의 타측면에는 제1결합공(633)이 형성된다.
한편, 제2지지편(640)의 외부에는, 별도의 물공급원으로부터 세정수가 유입되는 제1세정수유입구(644)와 제2세정수유입구(646)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세정수유입구(644)와 제2세정수유입구(646)는 상기 제2지지편(640) 의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세정수유로(645)와 제2세정수유로(647)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1세정수유로(645)와 제2세정수유로(647)는 상기 제1지지편(630)의 제1구멍(636)과 제2구멍(637)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2지지편(640)의 일측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편(641)이 형성된다.
상기 제2돌출편(641)의 일부분에는, 상술한 끼움홈(632)에 삽입되는 끼움돌기(642)가 형성된다.
상기 제2지지편(640)의 타측면에는 제2결합공(64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지지편(630)에 형성되는 제1결합공(633)과, 제2지지편(640)에 형성되는 제2결합공(640)을 연통시킨 뒤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체결하고, 상기 제1지지편(630)에 형성되는 끼움홈(632)에 제2지지편(640)에 형성되는 끼움돌기(642)를 끼움으로써, 상기 제1지지편(630)과 제2지지편(640)은 결합된다.
이때, 제1지지편(630)과 제2지지편(640) 사이에는 O링(634)과 노즐패킹(635이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제1지지편(630)에 형성되는 제1돌출편(631)과, 제2지지편(640)에 형성되는 제2돌출편(641)의 사이에는, 후술할 판스프링(902)이 배치된다.
상기 판스프링(902)의 일측 끝부분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판스프링(902)의 홈을, 제1지지편(630)에 형성되는 끼움홈(632)과 연통시킨 상태에서, 제2지지편(640)에 형성되는 끼움돌기(642)를 상기 홈과 끼움홈(632)에 삽입시키면, 상기 제1지지편(630)과 제2지지편(640), 그리고 판스프링(902)이 고정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800)는 직사각형 바(bar)형상의 제1지지부(804)와, 상기 제1지지부(804)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지지부(80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지지부(804)의 전방 끝단에는 브라켓(70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지지부(800)와 브라켓(700)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지지부(804)의 일측면에는 복수개의 결합편(801)(802)이 이격 설치되어 있어,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함으로써 비데 본체에 장착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804)의 타측면에는, 상기 제1지지부(804)의 길이방향, 즉 상기 제1지지부(804)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어지는 가이드홈(805)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805)에는, 상술한 노즐부 중 제1지지편(630)의 제1돌출편(631)이 삽입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804) 타측면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제1지지부(804)의 길이방향으로 ㄱ자형상의 제1걸림턱(811)과 제2걸림턱(812) 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805)은, 상기 제1지지부(804)의 타측면과, 상기 제1지지부(804) 타측면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걸림턱(811)과 제2걸림턱(812)으로 둘러싸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지지부(804)의 타측면 중 우측 끝단에는 턱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노즐부의 제1돌출편(631)은, 상기 가이드홈(805)에 삽입되어 가이드되고, 상기 제1지지부(804) 타측면의 우측 끝단에 형성되는 턱에 의해 상기 제1지지부(804)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제1걸림턱(811)에는, 도 9를 기준으로, 상기 제1걸림턱(811)의 좌측 끝단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가이드홈(805)과 연통되는 홈(813)이 형성된다.
따라서, 노즐부의 분해 및 조립시에는, 상기 제1돌출편(631) 및 제2돌출편(641)을 상기 홈(813)과 같은선상에 배치하여, 상기 제1돌출편(631) 및 제2돌출편(641)을 상기 홈(813)을 통하여 빼낼 수 있으므로, 상기 노즐부를 상기 제1지지부(803)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한편, 평상시, 상기 제1돌출편(631) 및 제2돌출편(641)은, 상기 지지부(804)의 좌측 끝단부에 위치하여, 좌측 끝단에 위치하는 제1걸림턱(811)에 의해 고정되므로, 상부로 이탈하지 않는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편(630)의 제1돌출편(631)은, 상기 가이드홈(805)에 삽입된 후, 상기 제1지지부(804) 타측면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걸림턱(811)과 제2걸림턱(812)에 의해 걸리므로, 상기 제1지지부(804)로 부터 이탈되지 않은 상태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된다.
한편, 살균장치는 상술한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의 어셈블리에서 설명한 내용을 참조하기로 한다.
한편, 제2지지부(805)에는 작동부(900)가 지지된다.
상기 작동부(900)는 상기 제2지지부(805)의 하부에 고정되어 정역회전하는 모터(901)와, 제1스프링홀더(903a)와 제2스프링홀더(903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스프링홀더(903a)와 제2스프링홀더(903b) 사이에 판스프링(902)의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모터(901)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판스프링(902)을 감거나 푸는 권취부재(903)와, 상기 권취부재(903)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2지지부(805)의 상부에서 덮어주는 커버(90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지지부(805)와 모터(901), 그리고 커버(904) 각각의 외주면에는 체결공을 갖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공에 체결볼트(905)를 체결하여, 상기 제2지지부(805)에 모터(901)와 커버(904)를 체결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부(805)의 하부에는 모터(901)가 고정되고, 상기 제2지지부(805)의 상부에는 권취부재(903)가 지지되고, 상기 권취부재(903)를 덮는 커버(904)가 고정된다.
상기 제2지지부(805)에 지지되는 작동부(900)의 구조 및 구성은 전술한 종래 기술을 참조하기로 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세정 및 비데를 사용하기 위해 콘트롤부를 조작하면, 조작된 제어신호가 작동부(900)로 전송된다.
이후, 상기 작동부(900)가 노즐부를 슬라이딩 시킴으로써, 세정 및 비데동작이 실시된다.
세정 및 비데동작이 완료되면, 노즐부는 원위치된다.
원위치되는 노즐부의 노즐선단부(600)는 브라켓(700)의 관통공(711)에 배치된다.
한편, 세정 및 비데동작이 실시될 때의 오물들은 상기 노즐선단부(600)에 묻거나 분출구(601)(602)로 들어간다.
이와 같은 오물들에 의해, 상기 노즐선단부(600) 및 분출구(601)(602)에는 세균이 기생하게 된다.
이때, 별도의 전원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살균램프(740)를 작동시켜, 상기 노즐선단부(600) 및 분출구(601)(602)를 쬐어줌으로써 상기 노즐선단부(600) 및 분출구(601)(602)에 기생하는 세균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상기 살균램프(740)는 콘트롤부에서 조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타이머 등을 구비하여 일정주기마다 살균램프(740)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노즐선단부(600)의 하부면에는 탈착이 가능한 캡(605)이 형성되 어 있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캡(605)을 개폐하여 상기 노즐선단부(600)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살균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비데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의 측면도.
도 7은 도 3의 A-A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6의 B-B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중 지지부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중 지지부의 좌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의 좌측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0 : 노즐선단부 601 : 제1분출구 602 : 제2분출구
605 : 캡 610 :노즐몸체 611 : 제1유로
612 : 제2유로 613 : O링 620 : 파이프
630 : 제1지지편 631 : 제1돌출편 632 : 끼움홈
633 : 제1결합공 634 : O링 635 : 노즐패킹
636 : 제1구멍 637 : 제2구멍 640 : 제2지지편
641 : 제2돌출편 642 : 끼움돌기 643 : 제2결합공
644 : 제1세정수유입구 645 : 제1세정수유로 646 : 제2세정수유입구
647 : 제2세정수유로 700 : 브라켓 705 : 체결편
710 : 제1몸체 711 : 관통공 720 : 제2몸체
721 : 홈 731 : 스크류체결부 732 : 스크류
740 : 살균램프 741 : 단자 750 : 패킹
751 : 관통홈 752 : 턱 800 : 지지부
801,802 : 결합편 803 : 제1지지부 804 : 제2지지부
805 : 가이드홈 811 : 제1걸림턱 812 : 제2걸림턱
813 : 홈 900 : 작동부 901 : 모터
902 : 판스프링 903 : 권취부재 903a : 스프링홀더a
903b : 스프링홀더b 904 : 커버 905 : 체결볼트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와,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구멍이 후측에 형성되는 제1지지편을 포함하는 노즐몸체와,
    상기 노즐몸체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전면에 결합되되,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분출구가 형성되는 노즐선단부와,
    상기 제1지지편에 결합되되, 상기 구멍과 연통되는 세정수유입구가 형성되는 제2지지편을 포함하는 노즐부;
    비데 본체에 장착되도록 결합편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가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전방에 형성되되, 상기 분출구와 연통되며 역U자 형상으로 안쪽면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상기 노즐선단부가 배치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내부에 홈이 형성되며, 측면에 상기 홈과 연통하도록 스크류체결공을 갖는 스크류체결부가 형성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는 브라켓과,
    상기 홈에 삽입되는 패킹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살균램프를 포함하는 살균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몸체에는 상기 홈에 삽입되는 상기 패킹이 더 이상 말려들어가지 않도록 턱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체결부에 체결되는 스크류가 상기 제2몸체의 외측면에서 상기 패킹을 눌러주어, 상기 패킹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상기 살균램프도 상기 제2몸체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
KR1020090061885A 2009-07-07 2009-07-07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의 어셈블리 및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 KR101113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885A KR101113254B1 (ko) 2009-07-07 2009-07-07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의 어셈블리 및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885A KR101113254B1 (ko) 2009-07-07 2009-07-07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의 어셈블리 및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202A KR20110004202A (ko) 2011-01-13
KR101113254B1 true KR101113254B1 (ko) 2012-02-20

Family

ID=43611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885A KR101113254B1 (ko) 2009-07-07 2009-07-07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의 어셈블리 및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2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7957B1 (ko) * 2018-03-29 2024-05-22 코웨이 주식회사 물배출구의 살균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122B1 (ko) * 2011-01-19 2013-02-14 대림비앤코주식회사 비데 노즐팁 세척장치 및 비데 노즐 어셈블리
KR101797163B1 (ko) * 2016-07-29 2017-12-12 아이에스동서(주) 비데의 노즐 살균 및 세척장치
KR102284514B1 (ko) * 2019-12-06 2021-08-02 엘에스대원 주식회사 관장 기능을 겸비한 비데용 곡선형 노즐 구조
WO2021241196A1 (ja) * 2020-05-28 2021-12-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ノズルユニットおよびノズルユニットを備える衛生洗浄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5615A (ja) 2001-03-26 2002-10-03 Toto Ltd 衛生洗浄装置
KR200363500Y1 (ko) * 2004-07-12 2004-10-02 (주) 아이젠 관장기능이 부가된 비데용 분사노즐 구조
JP2006274641A (ja) 2005-03-29 2006-10-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人体洗浄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KR20080002305U (ko) * 2006-12-27 2008-07-02 주식회사 노비타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5615A (ja) 2001-03-26 2002-10-03 Toto Ltd 衛生洗浄装置
KR200363500Y1 (ko) * 2004-07-12 2004-10-02 (주) 아이젠 관장기능이 부가된 비데용 분사노즐 구조
JP2006274641A (ja) 2005-03-29 2006-10-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人体洗浄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KR20080002305U (ko) * 2006-12-27 2008-07-02 주식회사 노비타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7957B1 (ko) * 2018-03-29 2024-05-22 코웨이 주식회사 물배출구의 살균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202A (ko)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4309B2 (ja) 浣腸機能を有するビデ
KR101057447B1 (ko) 비데 노즐 세척액 분사장치 및 비데 노즐 어셈블리
US8365317B1 (en) Auto cleaning toilet seat with anal cleaning device and blow dry
KR101113254B1 (ko)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의 어셈블리 및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
ES2691964T3 (es) Válvula de retención para una ducha
KR20130022553A (ko) 구강 세정시스템
KR20070008971A (ko) 비데 장치
KR100884189B1 (ko) 치아세정수단의 탈부착이 가능한 샤워기
KR101569910B1 (ko) 양변기 살균장치
WO2013015763A1 (en) Auto cleaning toilet seat with anal cleaning device and blow dry
KR101927935B1 (ko) 워터젯 타입 구강 세정 장치
KR101663101B1 (ko) 세정액 토출이 가능한 수도꼭지
CN111374581A (zh) 一种具有杀菌功能的洁厕刷装置
KR100697254B1 (ko)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JP3638912B2 (ja) 噴霧式手先等消毒装置体
KR200384276Y1 (ko)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KR20180047315A (ko) 양변기에 설치되는 남성용 소변기
CN215019459U (zh) 一种牙刷架及口腔护理装置
KR101057448B1 (ko) 비데 노즐 세척액 분사장치 및 비데 노즐 어셈블리
KR20100005243U (ko) 자가 세정형 노즐 소독 장치가 구비된 비데기
KR101640596B1 (ko) 살균 소독제가 설치된 싱크볼용 배수커버
KR101722874B1 (ko) 변기 막힘 해소장치
CN215820733U (zh) 一种具有杀菌功能的洁厕刷装置
CN213607071U (zh) 一种可消毒的冲牙器
KR20170110900A (ko) 살균수 분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비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