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1756B1 - 교차슬라이드장치 - Google Patents

교차슬라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1756B1
KR101111756B1 KR1020070021311A KR20070021311A KR101111756B1 KR 101111756 B1 KR101111756 B1 KR 101111756B1 KR 1020070021311 A KR1020070021311 A KR 1020070021311A KR 20070021311 A KR20070021311 A KR 20070021311A KR 101111756 B1 KR101111756 B1 KR 101111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andoned
payment
sliding
fe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1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2934A (ko
Inventor
박경희
Original Assignee
박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희 filed Critical 박경희
Priority to KR1020070021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1756B1/ko
Publication of KR20070102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2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9Sliding mechanism with two degree of freedom, e.g. translation in two different dir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방식의 개폐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 전자수첩 등 각종 휴대용기기에 장착되어 각 기기 본체 간에 서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휴대용기기를 개폐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슬라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 mobil phone, cellular phone 구이(GUI) : graphic user interface

Description

교차슬라이드장치{A CROSS SLIDING MEANS FOR PORTABLE TERMINAL}
도1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
도2 (가)화면 세로보기시에 슬라이딩(Sliding)의 정면 동작도; (나)화면 가로보기시에 슬라이딩의 정면 동작도
도3 상기 세로보기, 가로보기 동작을 유도하기 위한 다른 동작도(가)배면부를 노출시키기 전단계; (나)가로보기; (다)상기 가로보기에서 연속되는 동작에 의한 세로보기
도4 배면부의 (가)평면도, 정면도, 측면도; (나) 전면부의 배면(120)에서 본 것을 절단면(K)를 따라 절단한 것을 보인 전면부의 평단면도와 측단면도, 부분 투시한 정면도
도5 (가)전면부와 배면부를 분해한 것을 측면에서 보인 분해도; (나)전면부와 배면부를 분해한 것을 평면에서 보인 분해도; (다)안내부 및 활주부를 측면에서 확대하여 보인 확대도
도6 안내부상에서 교차레일을 슬라이딩 활주하는 활주부의 이동을 나타내기 위한 동작도로서 (가)슬라이딩 전단계; (나)세로보기 슬라이딩; (다)가로보기 슬라이딩
도7 안내부에서 교차레일 배치하는 실시례들을 도시한 것으로서, (가)2개의 교차레일; (나)1개의 교차레일; (다)서로 다른 교차레일을 연속적으로 연결한 실시례
도8 교차레일의 다양한 실시례 특히, (마, 바)의 경우 대각선으로 방향을 두어 횡방향(H) 종방향(P)을 통과하도록 함.
도9 (가, 나, 다)는 각각 다른 실시례의 안내부 및 활주부의 결합을 보인 예시도
도10 탄성부재의 결합하기 위한 상태를 보인 것으로, (가)배면부 전면의 정면도; (나)전면부 배면의 정면도; (다)상기 전면부 및 배면부의 분해상태를측면에서 보인 분해도
도11 탄성부재의 동작을 보인 동작도, (가)압축스프링; (나)굴절스프링
휴대전화(cellular phone) 또는 전자수첩과 같은 휴대용기기를 개폐시키는 방법은, 플립방식, 폴더방식(Folder-type) 및 슬라이드방식(Slide-type)으로 작동방법에 따라 구분된다.
이 중에서 본 발명은 슬라이드방식(Slide-typ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기기에 장착되어 각 기기 본체 간에 서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휴대용기기를 개폐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슬라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2에서 휴대전화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면, 상호 슬라이드 가능한 2개의 전면부(100) 및 배면부(200) 몸체를 겹쳐서 배치하고,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후면에 가려진 디스플레이부 또는 도면처럼 키입력부(211)를 노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슬라이드장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453644호가 있으며, 가이드레일부재, 가이드레일부재상에서 활주하는 슬라이드부재, 슬라이드부재의 활주를 돕는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2(가)와 같은 세로보기의 대표적인 예로서, 도1의 휴대전화(M)의 경우를 보면 번호 버튼과 배터리(121)가 탈장착되는 배면부(120)에 폴더 타입이나 슬라이딩타입으로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100) 전면(110)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Display) 화면(111)이 최근에는 그 크기가 확대되고, 구이(Graphic User Interface)환경상에서 게임, 인터넷 등의 정보 선택 기능이 다양하여지고 복잡하여지고 있고 영화, 텔레비전 등의 디엠비(DMB) 환경이 증가하고 있어서 도2(나)처럼 가로보기의 기능이 점점 중요시 되고 있으며 또 다른 키입력부(212)를 요구한다.
역으로, 전자수첩의 경우를 보면 가로보기가 일반화 되어 있지만 최근 디지털컨버젼스(Digital Convergence)의 경향으로 세로보기 기능 또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가로보기 및 세로보기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슬라이드장치가 필요한 시점이며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06466호가 있고, 그 내용은 제1 슬라이드 힌지부, 제1 슬라이드 힌지부의 안내를 받아 슬라이드 이동을 하는 제1 레일 힌지부, 제1 레일 힌지부의 하부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제2 슬라이드 힌지부 및 제1 레일 힌지부 하부에서 슬라이드 가이드의 안내를 받아 이동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하며, 제1 레일 힌지부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 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레일 힌지부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제1 슬라이드부 하부에 또, 제2 슬라이드부를 2중으로 구비하는 방식을 사용하므로써, 휴대전화의 두께가 커질 수 밖에 없고, 제작과정이 복잡하여 비용과 시간면에서 불리하며, 슬라이드부가 2중으로 겹치어 슬라이딩하는 구조로 인하여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약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가로보기 및 세로보기의 기능을 모두 제공할 수 있는 교차슬라이드장치가 제공되면서도, 각각 가로보기 기능 또는 세로보기 기능만을 별도로 제공하던 방식의 종래 휴대용기기와 동일한 두께의 유지가 가능하고, 기존의 교차 슬라이드장치를 제공하는 기기보다 장치가 간단하여 제작측면에서 유리하고 내구성이 강한 교차 슬라이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휴대용기기의 전면부(100) 및 배면부(200)를 슬라이딩 방법으로 개폐시키는 슬라이드장치에 있어서,
도4에서,
상기 전면부의 배면(120)에 구비되는 안내부(400)와;
상기 배면부의 전면(210)에 구비되는 활주부(300)와;
단, 상기 활주부 및 안내부는 그 위치를 교환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활주부(300)는 상기 안내부(400)의 안내를 받아 슬라이딩(Sliding)방법으로 활주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안내부(400)는 단수 이상의 교차레일(410)을 포함하고, 상기 교차레일은 횡방향(H) 및 종방향(P)을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교차레일은 대략적인 횡방향과 대략적인 종방향으로 연결이 가능하고,
또한, 도8에서 상기 교차레일은 곡선 형태나, 원을 포함하는 타원 형태가 가능하고, 단수 이상의 횡방향과 단수 이상의 종방향이 연결되어서 3각이상의 다각형 형태가 가능하므로 도3(나, 다)처럼 다양한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활주부는 단수 이상의 돌출부 또는 요부와 같은 요철을 포함하고; 상기 교차레일은 상기 돌출부, 요부 또는 요철의 형태와 수용, 결합하도록 형성하고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한 후 도6에서 처럼 상기 돌출부가 상기 요부를 활주하도록 한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상기 활주부는 단수 이상의 돌출부(T)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안내부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요부(U) 형태를 취하고 있다. 도5(다)에서 상기 돌출부의 단부(T2)는 상기 돌출부의 시작부(T1)보다 광폭으로서 대략 T형태를 취하고; 상기 안내부의 교차레일(410)은 상기 돌출부의 형태를 수용하는 형태를 취하므로써 상호 이탈을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돌출부의 단부는 L형태로 절곡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L형태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4 및 도6을 참조하면, 상기 안내부는 상기 배면부의 일 모퉁이 측에 구비되고; 상기 안내부와 상기 활주부를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활주부도 상기 전면부의 일 모퉁이 측에 구비되어 상호 대향되도록 하고 있다.
도 10에서, 상기 전면부에 일단(520)을 고정(521)하고 상기 배면부에 타단(510)을 고정(511)하는 강철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구비하므로써, 도11에서처럼 상기 전면부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배면부를 개폐, 노출시킬 시에 (a, b)로 위치변위를 하면서 탄성력이 압축,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탄성력으로 (b, c)의 구간을 자동으로 진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로보기 및 세로보기의 기능을 모두 제공할 수 있는 슬라이드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고 각각 가로보기 기능 또는 세로보기 기능만을 별도로 제공하던 방식의 종래 휴대용기기와 동일한 두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10-0606466호 보다 필요한 부속이 줄어들어 제작측면에서 유리하고 장치가 간단하여 내구성이 강하다.

Claims (1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휴대용기기의 전면부 및 배면부를 슬라이딩 방법으로 개폐시키는 슬라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의 배면에 구비되는 활주부 또는 안내부와;
    상기 배면부의 전면에 구비되는 안내부 또는 활주부와;
    상기 활주부는 상기 안내부의 안내를 받아 슬라이딩방법으로 활주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안내부는 단수 이상의 교차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교차레일은 횡방향 및 종방향을 포함하되,
    상기 교차레일은 횡방향과 종방향을 포함하는 다각형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슬라이드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상기 전면부의 배면에 구비되는 활주부 또는 안내부와;
  6. 삭제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상기 전면부의 배면에 구비되는 활주부 또는 안내부와;
  8. 삭제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상기 전면부의 배면에 구비되는 활주부 또는 안내부와;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상기 전면부의 배면에 구비되는 활주부 또는 안내부와;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상기 전면부의 배면에 구비되는 활주부 또는 안내부와;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상기 전면부의 배면에 구비되는 활주부 또는 안내부와;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상기 전면부의 배면에 구비되는 활주부 또는 안내부와;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상기 전면부의 배면에 구비되는 활주부 또는 안내부와;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상기 전면부의 배면에 구비되는 활주부 또는 안내부와;
KR1020070021311A 2007-03-05 2007-03-05 교차슬라이드장치 KR101111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311A KR101111756B1 (ko) 2007-03-05 2007-03-05 교차슬라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311A KR101111756B1 (ko) 2007-03-05 2007-03-05 교차슬라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2934A KR20070102934A (ko) 2007-10-22
KR101111756B1 true KR101111756B1 (ko) 2012-02-22

Family

ID=38817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1311A KR101111756B1 (ko) 2007-03-05 2007-03-05 교차슬라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7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2296A (ko) * 2004-10-12 2006-04-17 조영길 슬라이딩 타입 휴대전화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2296A (ko) * 2004-10-12 2006-04-17 조영길 슬라이딩 타입 휴대전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2934A (ko) 2007-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5102B2 (en)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567830B2 (en) Rotating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17673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및 이를채용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KR101141238B1 (ko) 휴대 통신 단말기
US7363066B2 (en)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KR100655114B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
KR100662869B1 (ko) 단말기
KR20080077228A (ko) 폴더식 휴대기기
KR20120069167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모듈
US7529573B2 (en) Slide apparatus of slide-type portable terminal
US7869846B2 (en) Sliding module for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KR101111756B1 (ko) 교차슬라이드장치
KR20060122583A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1236709B1 (ko)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20110093010A (ko) 단말기
KR20120058389A (ko)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KR101051415B1 (ko) 슬라이딩 힌지 장치
KR20090047416A (ko)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어셈블리
KR101086723B1 (ko) 슬라이드 앤 스윙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1007846B1 (ko) 힌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153473B1 (ko) 휴대용기기의 링크힌지장치
KR200353355Y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
KR20110019251A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1144133B1 (ko) 스플릿 키패드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KR101052609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