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1692B1 - 복합 롤 프린터 - Google Patents

복합 롤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1692B1
KR101111692B1 KR1020100016385A KR20100016385A KR101111692B1 KR 101111692 B1 KR101111692 B1 KR 101111692B1 KR 1020100016385 A KR1020100016385 A KR 1020100016385A KR 20100016385 A KR20100016385 A KR 20100016385A KR 101111692 B1 KR101111692 B1 KR 101111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doctor blade
lifting
pattern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6878A (ko
Inventor
변창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씨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씨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씨엔
Priority to KR1020100016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1692B1/ko
Publication of KR20110096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1/30Arrangements for tripping, lifting, adjusting, or removing inking rollers; Supports, bearings, or fork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44Squeegees or doctors
    • B41F15/46Squeegees or doctors with two or more operativ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1/20Ink-removing or collec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롤투롤 인쇄와 롤투플레이트 인쇄를 선택적으로 구현하는 복합 롤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롤 프린터는, 베이스, 제1 패턴을 가지는 제1 기판 또는 제1 피인쇄 기판을 장착하여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되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설치되어 왕복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 장착되어 상기 제1 기판에 도포된 잉크를 블레이딩 하는 제1 닥터 블레이드, 상기 바디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닥터 블레이드의 일측에서 상기 바디에 장착되어 수직 방향으로 승강 작동하는 승강체, 제2 패턴을 가지고 상기 승강체에 장착되어 수직 방향으로 승강 작동하는 제1 롤, 상기 제1 롤의 하방에서 상기 승강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롤에 도포할 잉크를 담고 있는 잉크조, 상기 잉크조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롤에 도포된 잉크를 블레이딩 하는 제2 닥터 블레이드, 및 상기 스테이지 상의 상기 제1 닥터 블레이드와 상기 제1 롤 사이에서 상기 승강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롤과의 사이에 제2 피인쇄 기판을 진행시켜 상기 제1 패턴을 상기 제2 피인쇄 기판에 전사하거나, 상기 제2 패턴을 상기 제1 피인쇄 기판에 전사하는 제2 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 롤 프린터 {COMPLEX ROLL PRINTER}
본 발명은 롤투롤 인쇄와 롤투플레이트 인쇄를 선택적으로 구현하는 복합 롤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례를 들어 설명하면, 공지의 인쇄 방식은 패턴이 형성된 그라비어(gravure) 롤을 별도로 만들고, 인쇄장치에 그라비어 롤을 장착한 후, 그라비어 롤에 잉크를 도포하여 패턴에 잉킹된 잉크를 블랭킷 롤에 전사하고, 블랭킷 롤에 전사된 패턴을 기판에 전사한다. 그라비어 롤에 형성된 패턴을 기판에 인쇄할 때, 블랭킷 롤과 가압 롤 사이로 기판을 진행하는 방법(롤투롤, Roll To Roll) 및 블랭킷 롤과 플레이트 사이로 기판을 진행하는 방법(롤투플레이트, Roll To Plate)이 있다.
롤투롤 인쇄 방식과 롤투플레이트 인쇄 방식은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는데 통상적인 인쇄장치는 두 가지 방식 중 한가지 방식만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실험실에서와 같이 두 가지 인쇄 방식이 모두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롤투롤 인쇄장치와 롤투플레이트 인쇄장치를 모두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경제적인 부담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롤투롤 인쇄와 롤투플레이트 인쇄를 선택적으로 구현하는 복합 롤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롤 프린터는, 베이스, 제1 패턴을 가지는 제1 기판 또는 제1 피인쇄 기판을 장착하여 상기 베이스 상에설치되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설치되어 왕복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 장착되어 상기 제1 기판에 도포된 잉크를 블레이딩 하는 제1 닥터 블레이드, 상기 바디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닥터 블레이드의 일측에서 상기 바디에 장착되어 수직 방향으로 승강 작동하는 승강체, 제2 패턴을 가지고 상기 승강체에 장착되어 수직 방향으로 승강 작동하는 제1 롤, 상기 제1 롤의 하방에서 상기 승강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롤에 도포할 잉크를 담고 있는 잉크조, 상기 잉크조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롤에 도포된 잉크를 블레이딩 하는 제2 닥터 블레이드, 및 상기 스테이지 상의 상기 제1 닥터 블레이드와 상기 제1 롤 사이에서 상기 승강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롤과의 사이에 제2 피인쇄 기판을 진행시켜 상기 제1 패턴을 상기 제2 피인쇄 기판에 전사하거나, 상기 제2 패턴을 상기 제1 피인쇄 기판에 전사하는 제2 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닥터 블레이드는, 제1 높이 조절부를 개재하여 상기 바디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높이 조절부는, 상기 바디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닥터 블레이드의 양단을 수용하는 제1 승강 안내홈, 상기 제1 승강 안내홈에 내장되어 상기 제1 닥터 블레이드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상방에서 상기 제1 닥터 블레이드의 상방을 지지하는 제1 마이크로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체는, 제2 높이 조절부를 개재하여 상기 바디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높이 조절부는, 상기 바디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체의 양단을 수용하는 제2 승강 안내홈, 상기 제2 승강 안내홈에 내장되어 상기 승강체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 및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상방에서 상기 승강체의 상방을 지지하는 제2 마이크로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롤은, 제3 높이 조절부를 개재하여 상기 승강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3 높이 조절부는, 상기 승강체에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롤의 양단을 수용하는 제3 승강 안내홈, 상기 제3 승강 안내홈에 내장되어 상기 제1 롤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3 탄성부재, 및 상기 제3 탄성부재의 상방에서 경사진 방향에서 상기 제1 롤의 상방을 지지하는 제3 마이크로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닥터 블레이드는, 제4 높이 조절부를 개재하여 상기 승강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4 높이 조절부는, 상기 승강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닥터 블레이드 및 상기 잉크조의 양단을 수용하는 제4 승강 안내홈, 상기 제4 승강 안내홈에 내장되어 상기 제2 닥터 블레이드 및 상기 잉크조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4 탄성부재, 및 상기 제4 탄성부재의 상방에서 상기 제2 닥터 블레이드 및 상기 잉크조의 상방을 지지하는 제4 마이크로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이지로 제1 패턴의 제1 기판 또는 제1 피인쇄 기판을 선택적으로 이송하고, 제2 패턴의 제1 롤과 제2 롤 사이로 제2 피인쇄 기판을 공급 또는 비공급함에 따라 제1 기판의 제1 패턴을 제2 피인쇄 기판에 전사하거나, 제1 롤의 제2 패턴을 제1 피인쇄 기판에 전사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제1 기판의 제1 패턴을 제2 피인쇄 기판에 전사하는 롤투롤 인쇄, 또는 제1 롤의 제2 패턴을 제1 피인쇄 기판에 전사하는 롤투플레이트 인쇄가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롤 프린터의 평면도이다.
도2는 도1의 Ⅱ-Ⅱ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의 Ⅲ-Ⅲ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의 Ⅳ-Ⅳ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5는 도1의 Ⅴ-Ⅴ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6은 도1의 Ⅵ-Ⅵ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7은 도1의 Ⅶ-Ⅶ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8은 도1의 복합 롤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1 롤의 패턴을 롤투플레이트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는 상태도이다.
도9는 도1의 복합 롤 프린터를 이용하여, 플레이트의 패턴을 롤투롤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는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롤 프린터의 평면도이고, 도2는 도1의 Ⅱ-Ⅱ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롤 프린터(100)는 베이스(1), 스테이지(2), 바디(3), 승강체(4), 잉크조(5), 제1 닥터 블레이드(10), 제2 닥터 블레이드(20), 제1 롤(30) 및 제2 롤(40)을 포함한다.
베이스(1) 상에 스테이지(2)가 구비되며, 베이스(1)는 스테이지(2) 상에서 바디(3)의 제1 방향(x축 방향) 왕복 이동을 안내하도록 x축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y축 방향)의 양측에서 베이스(1)를 관통하면서 x축 방향으로 길게 직선으로 형성되는 안내 홀(101)을 구비한다. 베이스(1)는 내부에 구동장치들, 예를 들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x축 방향으로 설치되는 리드 스크류와 리드 스크류를 구동하는 모터 또는 리니어 가이드와 리니어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바디(3)는 z축 방향에서, 스테이지(2)를 사이에 두고 베이스(1)의 y축 방향 양측에 설치되어 서로 연결되고, 구동장치에 의하여 베이스(1) 및 스테이지(2) 상에서 x축 방향으로 왕복 작동한다.
한편, 바디(3)는 구동장치에 직접 장착될 수 있으나,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131)을 개재하여 구동장치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바디(3)는 브래킷(131)에 체결부재(132)로 장착되므로 체결부재(132)의 분해 결합에 의하여, 브래킷(131)으로부터 간단히 분리 또는 장착될 수 있다. 즉 바디(3)는 베이스(1)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교환 장착이 용이하다.
스테이지(2)는 제1 패턴을 가지는 제1 기판(S1) 또는 피인쇄 대상인 제1 피인쇄 기판(S11)을 장착하여 베이스(1) 상에 설치된다. 스테이지(2)는 제1 패턴을 가지는 제1 기판(S1)에 도포된 잉크를 제1 닥터 블레이드(10)로 블레이딩 하는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즉 스테이지(2)는 플레이트 상태인 제1 기판(S1)의 제1 패턴을 전사하여 제1, 제2 롤(30, 40)에 의한 롤투롤 인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스테이지(2)는 피인쇄 대상인 제1 피인쇄 기판(S11)을 지지하면서 인쇄하여 인쇄막을 형성하는 인쇄 작업과, 동시에 인쇄막을 응고 및 경화시키는 경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즉 제1 롤(30)의 제2 패턴을 전사하여 제2 롤(40)과 스테이지(2)의 제1 피인쇄 기판(S11)에 의한 롤투플레이트 인쇄 가능하게 한다. 롤투플레이트 인쇄시, 인쇄 작업과 응고 및 경화 작업이 제1 피인쇄 기판(S11)의 이동 없이 스테이지(20) 상에서 이루어지므로 제1 피인쇄 기판(S11)의 인쇄막이 균일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인쇄막을 형성하는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테이지(2)는 베이스(1) 상에 적층되는 단열판(221), 하부 플레이트(222) 및 상부 플레이트(223)를 포함한다. 단열판(221)은 베이스(1) 상에 설치되며, 응고 및 경화시, 스테이지(2)에서 발생되는 열이 베이스(1)로 전달되어 스테이지(2)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부 플레이트(222)는 단열판(221) 상에 설치되고 내부에 히터(H)를 구비하여, 스테이지(2)를 가열하여 일정한 온도 수준을 유지시킨다. 상부 플레이트(223)는 하부 플레이트(222)의 상면에 설치되고, 하부 플레이트(222)의 상면과의 사이에 진공 챔버(VC)를 형성하며, 제1 기판(S1) 또는 제1 피인쇄 기판(S11)을 진공 흡착으로 설치할 수 있게 한다. 히터(H)는 y축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직선 상태로 형성되고, x축 방향을 따라 하부 플레이트(222)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상부 플레이트(223)에 균일한 온도 분포를 형성하여, 제1 피인쇄 기판(S11)에 형성되는 인쇄막을 인쇄와 동시에 응고 및 경화시킬 수 있게 한다. 상부 플레이트(223)는 진공 챔버(VC)의 진공압을 이용하여, 상부 플레이트(223)의 상면에 놓여지는 제1 기판(S1) 또는 제1 피인쇄 기판(S11)을 진공 흡착하도록 진공홀(231)을 구비한다. 진공홀(231)은 상부 플레이트(223)를 관통하여, 진공 챔버(VC)의 진공압을 상부 플레이트(223)의 상면에 놓여지는 제1 기판(S1) 또는 제1 피인쇄 기판(S11)에 작용시킨다. 또한 진공홀(231)은 상부 플레이트(223)에 복수로 형성되어, 제1 기판(S1) 또는 제1 피인쇄 기판(S11)에 진공압을 안정적으로 작용시킨다.
도3은 도1의 Ⅲ-Ⅲ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4는 도1의 Ⅳ-Ⅳ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제1 닥터 블레이드(10)는 제1 높이 조절부(A)를 개재하여 바디(3)에 장착되어, 바디(3)와 함께 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테이지(2) 상의 제1 기판(S1)에 도포된 잉크를 블레이딩 한다. 제1 닥터 블레이드(10)는 y축 방향 양단에 제1 높이 조절부(A)를 개재하여 바디(3)에 장착되어 높이 조절됨으로써, 스테이지(2)에 장착되는 제1 기판(S1)에 도포된 잉크를 블레이딩 한다. 또한 제1 닥터 블레이드(10)는 일측에 각도 조절부재(14)를 구비하여, 제1 닥터 블레이드(10)와 제1 기판(S1)의 블레이딩 각도를 조절한다. 제1 닥터 블레이드(10)와 각도 조절부재(14)는 공지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예를 들면, 제1 높이 조절부(A)는 바디(3)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 닥터 블레이드(10)의 양단을 수용하는 제1 승강 안내홈(11), 제1 승강 안내홈(11)에 내장되어 제1 닥터 블레이드(10)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12), 및 제1 탄성부재(12)의 상방에서 제1 닥터 블레이드(10)의 상방을 지지하는 제1 마이크로미터(13)를 포함한다. 제1 마이크로미터(13)의 하강 작동시, 제1 닥터 블레이드(10)는 제1 탄성부재(12)를 압축하면서 제1 패턴을 가지는 제1 기판(S1)에 밀착되어 제1 기판(S1)에 도포된 잉크를 블레이딩 한다. 이때, 각도 조절부재(14)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닥터 블레이드(10)와 제1 기판(S1)의 접촉 각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1 마이크로미터(13)의 상승 작동시, 제1 닥터 블레이드(10)는 제1 탄성부재(12)의 팽창에 의하여 제1 피인쇄 기판(S11)으로부터 이격되어 제1 피인쇄 기판(S11)의 진행을 가능하게 한다. 즉 제1 닥터 블레이드(10)는 스테이지(2)에 제1 패턴을 가지는 제1 기판(S1)이 설치되어 제1 패턴을 인쇄할 때 블레이딩 작용한다.
도5는 도1의 Ⅴ-Ⅴ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 및 도5를 참조하면, 승강체(4)는 바디(3)가 진행하는 x축 방향에 대하여 제1 닥터 블레이드(10)의 일측에서, 제2 높이 조절부(B)를 개재하여 바디(3)에 장착되어, 바디(3)와 함께 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롤(30)과 제2 롤(40)을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킨다. 승강체(4)는 y축 방향 양측에 제2 높이 조절부(B)를 개재하여 바디(3)에 장착되어 높이 조절됨으로써, 제2 롤(40)에서 스테이지(2) 상의 제1 피인쇄 기판(S11)으로 또는 스테이지(2) 상의 제1 기판(S1)에서 제2 롤(40)로 패턴을 전사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제2 높이 조절부(B)는 바디(3)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승강체(4)의 양단을 수용하는 제2 승강 안내홈(21), 제2 승강 안내홈(21)에 내장되어 승강체(4)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22), 및 제2 탄성부재(22)의 상방에서 승강체(4)의 상방을 지지하는 제2 마이크로미터(23)를 포함한다. 제2 마이크로미터(23)의 하강 작동시, 승강체(4)는 제2 탄성부재(22)를 압축하면서 하강하여 제1 롤(30)과 제2 롤(40)을 하강시켜, 제2 롤(40)을 스테이지(2) 상의 제1 기판(S1) 또는 제1 피인쇄 기판(S11)에 밀착시켜 패턴 전사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2 마이크로미터(23)의 상승 작동시, 승강체(4)는 제2 탄성부재(22)의 팽창에 의하여 제1 롤(30)과 제2 롤(40)을 상승시켜, 제2 롤(40)과 스테이지(2)의 제1 피인쇄 기판(S11) 또는 제1 기판(S1)으로부터 이격시켜 패턴 전사를 완료한다.
도6은 도1의 Ⅵ-Ⅵ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 및 도6을 참조하면, 제1 롤(30)은 제2 패턴을 가지고 제3 높이 조절부(C)를 개재하여 승강체(4)에 장착되어 바디(3)와 함께 x축 방향으로 이동 및 승강체(4)와 함께 z축 방향으로 승강 작동하면서, 제2 롤(40)과의 간격을 조절한다. 제1 롤(30)은 상하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제3 높이 조절부(C)를 개재하여 승강체(4)에 장착되어 높이 조절됨으로써, 제2 롤(40)과의 간격을 조절하여, 제2 롤(40)로 제2 패턴을 전사하거나, 제2 롤(40)과의 사이로 제2 피인쇄 기판(S2)을 이송한다(도9 참조).
예를 들면, 제3 높이 조절부(C)는 승강체(4)에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 롤(30)의 양단을 수용하는 제3 승강 안내홈(31), 제3 승강 안내홈(31)에 내장되어 제1 롤(30)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3 탄성부재(32), 및 제3 탄성부재(32)의 상방에서 경사진 방향에서 제1 롤(30)의 상방을 지지하는 제3 마이크로미터(33)를 포함한다. 제3 마이크로미터(33)의 하강 작동시, 제1 롤(30)은 제3 탄성부재(32)를 압축하면서 경사진 방향으로 하강하여 제2 롤(40)과의 간격을 좁게 한다. 또한, 제3 마이크로미터(33)의 상승 작동시, 제1 롤(30)은 제3 탄성부재(32)의 팽창에 의하여 제2 롤(40)과의 간격을 이격시킨다.
도7은 도1의 Ⅶ-Ⅶ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 및 도7을 참조하면, 잉크조(5)는 제1 롤(30)의 하방에서 승강체(4)에 장착되어 제1 롤(30)의 제2 패턴에 도포할 잉크를 담고 있다. 제2 닥터 블레이드(20)는 잉크조(5)의 일측에 장착되어 제1 롤(30)에 도포된 잉크를 블레이딩 한다. 제1 롤(30)이 하강하여 회전하면 잉크조(5)로부터 잉크가 제1 롤(30)의 표면에 도포되고, 동시에 제2 닥터 블레이드(20)에 의하여 제1 롤(30)의 잉크가 블레이딩 된다. 잉크조(5) 및 제2 닥터 블레이드(20)는 제4 높이 조절부(D)를 개재하여 승강체(4)에 장착되어, 바디(3)와 함께 x축 방향으로 이동 및 승강체(4)와 함께 z축 방향으로 승강 작동하면서, 제1 롤(30)에 잉크를 도포하고 또한 블레이딩 한다.
예를 들면, 제4 높이 조절부(D)는 승강체(4)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 닥터 블레이드(20) 및 잉크조(5)의 양단을 수용하는 제4 승강 안내홈(41), 제4 승강 안내홈(41)에 내장되어 제2 닥터 블레이드(20) 및 잉크조(5)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4 탄성부재(42), 및 제4 탄성부재(42)의 상방에서 제2 닥터 블레이드 및 상기 잉크조(5)의 상방을 지지하는 제4 마이크로미터(43)를 포함한다. 제4 마이크로미터(43)의 하강 작동시, 제2 닥터 블레이드(20) 및 잉크조(5)는 제4 탄성부재(42)를 압축하면서 하강하여 제2 닥터 블레이드(20) 및 잉크조(5)를 제1 롤(30)로부터 이격시킨다. 이때, 제1, 제2 롤(30, 40)은 제2 피인쇄 기판(S2)을 이송하면서 제1 기판(S1) 및 제2 롤(40)로부터 제1 패턴을 제2 피인쇄 기판(S2)에 전사할 수 있다. 또한, 제4 마이크로미터(43)의 상승 작동시, 제2 닥터 블레이드(20) 및 잉크조(5)는 제4 탄성부재(42)의 팽창에 의하여 제2 닥터 블레이드(20) 및 잉크조(5)를 제1 롤(30)에 접근시켜, 잉크조(5)의 잉크를 제1 롤(30)에 도포하고 제2 닥터 블레이드(20)로 제1 롤(30)의 표면 잉크를 블레이딩 한다. 이때, 제1, 제2 롤(30, 40)은 제1 롤(30)의 제2 패턴을 제2 롤(40)을 통하여 제1 피인쇄 기판(S11)에 전사할 수 있다.
제2 롤(40)은 스테이지(2) 상에서 승강체(4)에 장착되며, x축 방향에서 제1 닥터 블레이드(10)와 제1 롤(30) 사이에 배치되어, 제2 높이 조절부(B)가 승강체(4)의 높이를 조절함에 따라, 제1 롤(30)의 제2 패턴을 제1 피인쇄 기판(S11)에 전사하거나, 제1 롤(30)과 상호 밀착되어 제2 피인쇄 기판(S2)을 진행시켜 제1 패턴을 제2 피인쇄 기판(S2)에 전사할 수 있게 한다.
도8은 도1의 복합 롤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1 롤의 패턴을 롤투플레이트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는 상태도이다. 도8을 참조하면, 복합 롤 프린터(100)는 제3 높이 조절부(C)의 제3 마이크로미터(33)의 하강 작동으로 제1 롤(30)이 하강되어 제1 롤(30)에 잉크조(5)의 잉크를 도포하고, 제2 닥터 블레이드(20)로 블레이딩 하여, 제1, 제2 롤(30, 40)을 통하여 제2 패턴을 스테이지(2) 상의 제1 피인쇄 기판(S11)에 전사하는 롤투플레이트 인쇄 방식을 구현한다.
도9는 도1의 복합 롤 프린터를 이용하여, 플레이트의 패턴을 롤투롤 인쇄 방식으로 인쇄하는 상태도이다. 도9를 참조하면, 복합 롤 프린터(100)는 제1 높이 조절부(A)의 제1 마이크로미터(13)의 하강 작동으로 제1 닥터 블레이드(10)가 하강되어 제1 기판(S1)에 도포된 잉크를 블레이딩 하여, 제2 롤(40)을 통하여 제1 패턴을 제1, 제2 롤(30, 40) 사이의 제2 피인쇄 기판(S2)에 전사하는 롤투롤 인쇄 방식을 구현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 베이스 2 : 스테이지
3 : 바디 4 : 승강체
5 : 잉크조 10, 20 : 제1, 제2 닥터 블레이드
11, 21, 31, 41 : 제1, 제2, 제3, 제4 승강 안내홈
12, 22, 32, 42 : 제1, 제2, 제3, 제4 탄성부재
13, 23, 33, 43 : 제1, 제2, 제3, 제4 마이크로미터
30, 40 : 제1, 제2 롤 100 : 복합 롤 프린터
131 : 브래킷 132 : 체결부재
221 : 단열판 222 : 하부 플레이트
223 : 상부 플레이트 A, B, C, D : 제1, 제2, 제3, 제4 높이 조절부
H : 히터 VC : 진공 챔버
S1 : 제1 기판 S11, S2 : 제1, 제2 피인쇄 기판

Claims (9)

  1. 베이스;
    제1 패턴을 가지는 제1 기판 또는 제1 피인쇄 기판을 장착하여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되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설치되어 왕복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 장착되어 상기 제1 기판에 도포된 잉크를 블레이딩 하는 제1 닥터 블레이드;
    상기 바디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닥터 블레이드의 일측에서 상기 바디에 장착되어 수직 방향으로 승강 작동하는 승강체;
    제2 패턴을 가지고 상기 승강체에 장착되어 수직 방향으로 승강 작동하는 제1 롤;
    상기 제1 롤의 하방에서 상기 승강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롤에 도포할 잉크를 담고 있는 잉크조;
    상기 잉크조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롤에 도포된 잉크를 블레이딩 하는 제2 닥터 블레이드; 및
    상기 스테이지 상의 상기 제1 닥터 블레이드와 상기 제1 롤 사이에서 상기 승강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롤과의 사이에 제2 피인쇄 기판을 진행시켜 상기 제1 패턴을 상기 제2 피인쇄 기판에 전사하거나, 상기 제2 패턴을 상기 제1 피인쇄 기판에 전사하는 제2 롤을 포함하는 복합 롤 프린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닥터 블레이드는,
    제1 높이 조절부를 개재하여 상기 바디에 장착되는 복합 롤 프린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높이 조절부는,
    상기 바디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닥터 블레이드의 양단을 수용하는 제1 승강 안내홈,
    상기 제1 승강 안내홈에 내장되어 상기 제1 닥터 블레이드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상방에서 상기 제1 닥터 블레이드의 상방을 지지하는 제1 마이크로미터를 포함하는 복합 롤 프린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는,
    제2 높이 조절부를 개재하여 상기 바디에 장착되는 복합 롤 프린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높이 조절부는,
    상기 바디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체의 양단을 수용하는 제2 승강 안내홈,
    상기 제2 승강 안내홈에 내장되어 상기 승강체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 및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상방에서 상기 승강체의 상방을 지지하는 제2 마이크로미터를 포함하는 복합 롤 프린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은,
    제3 높이 조절부를 개재하여 상기 승강체에 장착되는 복합 롤 프린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높이 조절부는,
    상기 승강체에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롤의 양단을 수용하는 제3 승강 안내홈,
    상기 제3 승강 안내홈에 내장되어 상기 제1 롤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3 탄성부재, 및
    상기 제3 탄성부재의 상방에서 경사진 방향에서 상기 제1 롤의 상방을 지지하는 제3 마이크로미터를 포함하는 복합 롤 프린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닥터 블레이드는,
    제4 높이 조절부를 개재하여 상기 승강체에 장착되는 복합 롤 프린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높이 조절부는,
    상기 승강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닥터 블레이드 및 상기 잉크조의 양단을 수용하는 제4 승강 안내홈,
    상기 제4 승강 안내홈에 내장되어 상기 제2 닥터 블레이드 및 상기 잉크조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4 탄성부재, 및
    상기 제4 탄성부재의 상방에서 상기 제2 닥터 블레이드 및 상기 잉크조의 상방을 지지하는 제4 마이크로미터를 포함하는 복합 롤 프린터.
KR1020100016385A 2010-02-23 2010-02-23 복합 롤 프린터 KR101111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385A KR101111692B1 (ko) 2010-02-23 2010-02-23 복합 롤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385A KR101111692B1 (ko) 2010-02-23 2010-02-23 복합 롤 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878A KR20110096878A (ko) 2011-08-31
KR101111692B1 true KR101111692B1 (ko) 2012-02-14

Family

ID=44931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385A KR101111692B1 (ko) 2010-02-23 2010-02-23 복합 롤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6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9636B4 (de) 2012-09-19 2023-07-06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aterials Integriertes beschichtungs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12494A1 (en) 1993-11-03 1995-05-11 Corning Incorporated Color filter and method of printing
JPH10510064A (ja) * 1994-12-02 1998-09-29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輪郭を有する色フィルタ用の平面化層を形成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100056177A (ko) * 2008-11-19 2010-05-27 한국기계연구원 인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
KR101007352B1 (ko) 2009-11-30 2011-01-13 주식회사 디씨엔 롤투롤과 롤투플레이트 겸용 인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12494A1 (en) 1993-11-03 1995-05-11 Corning Incorporated Color filter and method of printing
JPH10510064A (ja) * 1994-12-02 1998-09-29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輪郭を有する色フィルタ用の平面化層を形成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100056177A (ko) * 2008-11-19 2010-05-27 한국기계연구원 인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
KR101007352B1 (ko) 2009-11-30 2011-01-13 주식회사 디씨엔 롤투롤과 롤투플레이트 겸용 인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9636B4 (de) 2012-09-19 2023-07-06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aterials Integriertes beschichtungs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878A (ko) 201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767993U (zh) 一种印刷及刮墨装置
EP2993044B1 (en) Print head assembly, screen printing system and method
KR100969347B1 (ko) 멀티 코터 및 이를 이용한 코팅 방법과 롤 프린팅 방법
KR100918029B1 (ko) 필름 포밍장치 및 방법
KR101007352B1 (ko) 롤투롤과 롤투플레이트 겸용 인쇄장치
KR101111692B1 (ko) 복합 롤 프린터
KR100969332B1 (ko) 멀티 코터
CN101578178A (zh) 具有多个分别以一定间隔设置的存储格的装置
CN106413372A (zh) 搬运装置
KR20190136564A (ko) 정밀 인압 제어부를 갖는 롤투롤 인쇄 장치
KR101198164B1 (ko) 롤 프린터
JP5423537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KR20060086829A (ko) 단색 인쇄기 및 그 운전 방법 그리고 액정 컬러 필터의제조 방법
JP5705368B2 (ja) 通常の又は構造化された表面を有するフロートガラスストリップを所定の長さに切断する装置及び方法
KR100188070B1 (ko) 박막공급장치
CN104924741A (zh) 间歇式丝网印刷装置
KR20170034579A (ko) 프레스형 곡면 글라스 열전사장치
KR101401293B1 (ko) 연성회로기판용 지그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접착장치
KR20120087589A (ko) 그라비아 인쇄용 블레이드 고정 장치 및 그라비아 인쇄 장치
CN103770449A (zh) 丝网印刷机及丝网印刷方法
JP2009154318A (ja) パッド印刷における転写方法、パッド印刷機における転写装置及びパッド印刷機の転写装置におけるパッド部材
JP2010284829A (ja) オフセット印刷方法及び装置
JP2010253770A (ja) オフセット印刷方法及び装置
CN114643171A (zh) 一种计算机薄膜线路板散热胶双涂覆装置
US20110162543A1 (en) Ink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