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9687B1 -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 의자 - Google Patents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9687B1
KR101109687B1 KR1020090129797A KR20090129797A KR101109687B1 KR 101109687 B1 KR101109687 B1 KR 101109687B1 KR 1020090129797 A KR1020090129797 A KR 1020090129797A KR 20090129797 A KR20090129797 A KR 20090129797A KR 101109687 B1 KR101109687 B1 KR 101109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support
folding
support memb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2737A (ko
Inventor
최광덕
최영근
Original Assignee
(주) 어퓨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어퓨커뮤니케이션즈 filed Critical (주) 어퓨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to KR1020090129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687B1/ko
Publication of KR20110072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5/00Chairs of special materials
    • A47C5/005Chairs of special materials of paper, cardboard or similar pli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4Beach chairs ; Chairs for outdoor use, e.g. chairs for relaxation or sun-tanning
    • A47C1/146Beach chairs ; Chairs for outdoor use, e.g. chairs for relaxation or sun-tanning of legless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10Camp, travelling, or sports s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8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characterised by materials
    • A47B2220/0083Furniture made of sheet material
    • A47B2220/0086Furniture made of sheet material made of cardboar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의자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가 가능하여 야외 활동 시 편안한 휴식과 사용의 편리함뿐만 아니라 광고가 가능한 구조의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 의자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접이식, 등받이의자

Description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 의자{Potable folded chair having a back}
본 발명은 휴대용 의자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가 가능하여 야외 활동 시 편안한 휴식과 사용의 편리함뿐만 아니라 광고가 가능한 구조의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 의자에 관한 것이다.
목재, 철제, 합성수지제 또는 이들의 복합 재질 등 여러 가지 재질과 여러 형태의 의자가 알려져 있었으나 비교적 중량물일 뿐 아니라 부피가 커서 휴대 및 보관 관리가 불편하였고, 특히 등산이나 낚시 또는 야외놀이 시 간이의자를 준비하는 경우 생산원가 높아서 구입비가 비쌀 뿐만 아니라 절첩식 간이의자라 하더라도 부피가 커서 야외용 짐을 꾸릴 때 상당한 중량과 점유공간을 가지게 되어 휴대에 부담을 주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생산원가가 절감되면서도 중량이 매우 가볍고 또한 휴대나 보관이 매우 간편한 새로운 구조의 휴대용의자에 대한 요구가 다수 존재했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등받이를 지니고 있어 야외 활동 시 편안한 휴식이 가능하고 재사용이 가능한 구조의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이선을 따라 각 면(面)이 펼쳐져 등받이 의자의 형태를 이루게 되어 접고 펼치는 간단한 조작으로 사용이 가능한 구조의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등받이 의자를 이루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구성면으로 이루어져 더 가볍고 적은 부피를 갖도록 구성되고 접는 조작에 의해 평면 형태로 접혀지므로 휴대, 보관 및 운송이 용이하고, 손잡이부를 등받이부 및/또는 좌석부에 두어 더욱 안정감 있게 운송 가능한 구조의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작공정이 간단하여 제조원가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재생용 골판지를 원재료로 사용하는 경우 재료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폐기된 제품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수거 및 폐기가 용이한 친환경인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업의 이미지 광고용 야외용 판촉물 등 다목적 광고 매체로 널리 활용 가능한 구조의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좌석부, 상기 좌석부 길이방향 일단에 형성되는 등받이부, 및 상기 등받이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석부, 등받이부 및 지지부는 서로 접어지는 접이부로 연결되는 일체형 패널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와 등받이부를 연결하는 접이부는 한 개의 접이선 또는 이격된 두 개 이상의 접이선을 갖는 접이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접이부는 한 개의 접이선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등받이부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2개의 측면지지부재, 상기 일측의 측면지지부재에서 연장 형성되는 후면지지부재, 및 상기 후면지지부재와 상기 타측의 측면지지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면지지부재는 이등변삼각형상으로 상기 이등변삼각형을 이루는 두 개의 등변은 접이선을 이루고, 어느 하나의 등변은 상기 등받이부 측단의 일부를 구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면지지부재는 상기 접이부에 인접한 상기 등받이부 측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단부측에 형성된 요홈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면지지부재는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접어지는 중심접이선이 더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타측의 측면지지부재에서 연장 형성되고 그 표면에 접착층을 포함하여 상기 후면지지부재와 상기 타측의 측면지지부재를 일체로 고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타측의 측면지지부재에서 연장 형성되는 측면고정부재와 상기 후면지지부재에 형성되는 후면고정부재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와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접이부를 중심으로 대칭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상기 접이부와 인접하지 않는 어느 하나 이상의 타단 측에 손잡이부가 더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패널은 골판지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제 패널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에 대해 세워진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앉을 수 있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보이는 상기 좌석부, 등받이부 및 지지부 중 하나 이상의 표면에 광고용 문자, 도형, 영상, 기호 중 하나 이상이 인쇄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 의자는 사용자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등받이를 지니고 있어 야외 활동 시 편안한 휴식이 가능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 의자는 접이선을 따라 각 면(面)이 펼쳐져 등받이 의자의 형태를 이루게 되어 접고 펼치는 간단한 조작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 의자는 등받이 의자를 이루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구성면으로 이루어져 더 가볍고 적은 부피를 갖도록 구성되고 접는 조작에 의해 평면 형태로 접혀지므로 휴대, 보관 및 운송이 용이하고, 손잡이부를 등받이부 및/또는 좌석부에 두어 더욱 안정감 있게 운송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 의자는 제작공정이 간단하여 제조원가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재생용 골판지를 원재료로 사용하는 경우 재료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폐기된 제품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수거 및 폐기가 용이한 친환경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 의자는 기업의 이미지 광고용 야외용 판촉물 등 다목적 광고 매체로 널리 활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의 펼친 상태가 도시된 전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가 설치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가 이동 가능하게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100)는 하나의 원단으로부터 각 구성 요소가 접이선에 의해 구분되는 일체형 패널로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좌석부(110)와 좌석부(110) 길이방향 일단에 형성되는 등받이부(120)와 등받이부(120) 양측에 형성되어 등받이부(120)를 지 지하는 지지부(130)가 서로 접어지는 접이부(140)로 연결되는 일체형 패널을 이루기 때문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100)를 형성하는 일체형 패널은 평판을 이루고 접이선에 의해 접어져 접혀진 구조를 형성할 수 있기만 하면 그 재질이 제한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골판지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제 패널일 수 있으며, 제조원가 및 친환경적 요소를 고려하면 재생용 골판지가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좌석부(110)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데 야외의 평평한 곳 어디서든 깔고 앉을 수 있는 부분으로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세로가 가로보다 긴 역사다리꼴을 취하고 있지만 좌석으로서 사용될 수 있기만 하면 형상 및 크기는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좌석부(110)의 길이방향 일단에 제1접이부(141)에 의해 접어지도록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등받이부(120)를 고려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힘의 분산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접이부(141)에 인접한 일단의 폭이 타단의 폭보다 넓은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등받이부(120)는 좌석부(110)의 길이방향 일단에 연속되어 제1접이부(141)에 의해 접어지도록 좌석부(110)와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좌석부(110)에 앉은 사람이 등을 편하게 기댈 수 있는 등받이 영역을 제공하는데, 사용자가 등을 밀착 시켜 휴식을 취할 수 있게끔,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100)가 설치되었을 때 등받이부(120)가 지면에 대해 약 60°각도를 이루도록 지지부(13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는 등받이부(120) 또한 좌석부(110)와 같이 세로가 가로보다 긴 역사다리꼴을 취하고 있지만 등받이로서 사용될 수 있기만 하면 형상 및 크기는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등받이부(120)가 좌석부(110)의 길이방향 일단에 제1접이부(140)에 의해 접어지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고려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힘의 분산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접이부(140)에 인접한 일단의 폭(즉 하부 폭)이 타단의 폭(즉 상부 폭)보다 넓은 형상을 갖는 것이 앉았을 때 더욱 편안함과 안정감을 주므로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등받이부(120)가 제1접이부(141)를 중심으로 좌석부(110)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도록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접이부(141)는 한 개의 접이선 또는 이격된 두 개 이상의 접이선을 갖는 접이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특히 제1접이부(141)가 접이면으로 구성된 경우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100)를 쉽게 펴고 접히도록 할 수 있으며 좌석부(110)와 등받이부(120)사이에서 쿠션 역할을 하여 앉을 때 한층 편안함을 줄 수 있다.
또한, 제1접이부(141)는 도1에 도시된 평면 패널(100)에서 접해 있는 면에 대해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100)의 사용상태에 따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는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 의자(100)가 앉을 수 있도록 설치된 상태에서는 제1접이부(141)가 상방향으로 접혀진 것이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 의자(100)가 접혀진 상태에서는 하방 향으로 접혀진 것이다.
지지부(130)는 등받이부(120) 양측에 형성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 의자(100)가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등받이부(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부(130)는 2개의 측면지지부재(131), 후면지지부재(132), 및 고정부재(133)를 포함하여 등받이부(120)를 입체적으로 지지한다.
먼저, 측면지지부재(131)는 등받이부(120)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좌측면지지부재(131a)와 우측면지지부재(131b)로 구성되는데 형성되는 위치만 다를 뿐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측면지지부재(131)는 등받이부(120)에 대해 직각이하의 각도를 갖게 세워진 상태에서 등받이부(120)의 상부에 연결되는 부분의 폭은 거의 없거나 좁고 하부에 연결되는 부분은 그 폭이 넓은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지지부재(131)가 이등변삼각형상을 이루고 이등변삼각형을 이루는 두 개의 등변은 접이선을 이루며, 상기 두 개의 등변 중 등받이부(120)와 연결되는 어느 하나의 등변은 제2접이부(142a, 142b)로서 등받이부(120) 측단의 일부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제2접이부(142a, 142b)는 도시된 평면 패널상에서 접해 있는 면에 대해 상방향으로 접혀진다.
이와 같이 측면지지부재(131)가 이등변삼각형상의 평면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포함하여 측면지지부재(131)는 요홈(131c)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즉 등받이부(120)의 양측에 형성되는 좌측면지지부재(131a) 및 우측면지지부재(131b)는 각각 제2접이부(142a, 142b)에 의해 등받이부(120)에 대해 잘 접혀지고 접혀질 때 발생하는 마찰력이 감소되도록 제1접이부(141)에 인접한 등받이부(120) 측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단부측에 요홈(131c)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요홈(131c)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측면지지부재(131)는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접어지는 중심접이선(131d)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중심접이선(131d)을 통해 측면지지부재(131)가 접어지면 휴대 및 보관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 중심접이선(131d)은 도시된 평면 패널상에서 접해 있는 면에 대해 하방향으로 접혀져 등받이부(120)와 후면지지부재(132)사이로 접히게 된다.
다음으로, 후면지지부재(132)는 좌측면지지부재(131a) 및 우측면지지부재(131b) 중 어느 하나에서 연장 형성되는데 후면지지부재(132)와 측면지지부재(131)는 제3접이부(143)에 의해 서로 접혀지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평면으로서,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지지부재(132)가 좌측면지지부재(131a)에서 연장 형성된 경우 고정부재(133)에 의해 후면지지부재(132)는 우측면지지부재(131b)와 고정되어 등받이부(120)를 지지하게 된다. 이 때 제3접이부(143)는 도시된 평면 패널상에서 접해 있는 면에 대해 상방향으로 접혀진다.
따라서, 후면지지부재(132)는 본 발명의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등받이부(120)를 그 후면에서 지지하게 되므로 등받이부(120)에 가해지는 힘이 후면지지부재(132)와 지면으로 분산된다. 그 결과 보다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후면지지부재(132)는 전체적인 폭(가로길이)이 지지하기 위해 접혀진 상 태에서 대응하는 등받이부(120)의 폭과 동일하거나 크며, 상부 폭보다 하부 폭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후면지지부재(132)는 좌석부(110)와 등받이부(120)가 제1접이부(141)를 중심으로 접혀진 사이에 외부로 노출됨 없이 수용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정부재(133)는 후면지지부재(132)와 후면지지부재(132)가 형성되지 않은 타측의 측면지지부재(131)를 고정하여 등받이부(120)를 지지하는 지지부(130) 구성을 완성하게 되는데, 후면지지부재(132)와 타측의 측면지지부재(131)가 고정부재(133)에 의해 반영구적으로 고정되는지 또는 탈부착가능하게 고정되는지 여부에 따라 고정부재(133)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구분될 수 있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지지부재(132)와 타측의 측면지지부재(131)가 반영구적으로 고정되는 구성을 갖는 고정부재(133)의 경우, 고정부재(133)는 타측의 측면지지부재(131)에서 제4접이부(144)에 의해 서로 접혀지도록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평면으로서, 그 표면에 아교 또는 본드 등을 포함한 공지된 접착제로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4접이부(144)가 도시된 평면 패널상에서 접해 있는 면에 대해 상방향으로 접혀져서 후면지지부재(132) 하부면에 부착되는 고정부재(133)의 접착층에 의해 후면지지부재(132)와 타측의 측면지지부재(131)가 일체로 고정된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후면지지부재(132)와 타측의 측면지지부재(131)가 탈부착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성을 갖는 고정부재(133)의 경우, 타측의 측면지지부재(131)에서 연장 형성되는 측면고정부재와 후면지지부재(132)에 형 성되는 후면고정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측면고정부재와 후면고정부재는 두 개의 평면을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공지된 부착수단이 모두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벨크로 테이프, 끼움 고리 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측면고정부재의 형상을 후면지지부재(132)에 끼울 수 있도록 형성하고 후면고정부재는 측면고정부재가 빠지지 않도록 후면지지부재(132)에 형성된 특정 요소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손잡이부(150)는 좌석부(110)와 등받이부(120)의 제1접이부(141)와 인접하지 않는 어느 하나 이상의 타단 측에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제1접이부(141)와 인접하지 않는 좌석부(110)의 타단 및 등받이부(120) 타단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3과 같이 접혔을 때 양 단에 형성된 2개의 손잡이가 만나 별도의 고정장치 없이 휴대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어느 하나의 타단 측에만 손잡이부(150)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지지부(1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접이부(141)를 중심으로 접혀진 좌석부(110)와 등받이부(120)가 고정될 수 있는 별도의 고정수단이 필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의 전개도에서 제1접이부(141), 제2접이부(142a, 142b), 제3접이부(143), 제4접이부 및 중심접이선(131d)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접어서 고정하면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100)를 완성할 수 있는데, 중심접이선(131d)은 도시된 평면 패널상에서 접해 있는 면에 대해 하방향으로 접혀지고 제1접이부(141), 제2접이부(142a, 142b), 제3접이부(143), 및 제4접이부(144) 는 도시된 평면 패널상에서 접해 있는 면에 대해 상방향으로 접혀진 것이다. 이 때 제2접이부(142a, 142b) 내지 제4접이부(144)는 한 개의 접이선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100)가 도 2의 형태로 사용 중인 경우, 사람이 앉아 있을 때는 후면지지부재(132) 및 측면지지부재(131)만 공중의 시선에 노출되지만 사람이 잠시 자리를 비워 앉아 있지 않을 때는 좌석부(110) 및 등받이부(120)까지도 공중의 시선에 노출되게 된다.
또한, 도 3의 형태로 본 발명의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100) 접혔을 때는 후면지지부재(132)와 등받이부(120)가 공중의 시선에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100)가 주로 야외 공공장소에서 사용될 것이므로, 도 2와 같이 좌석부(110)에 대해 세워진 등받이부(120)가 지지부(130)에 의해 지지되어 앉을 수 있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보이는 좌석부(110), 등받이부(120) 및 지지부(130) 중 하나 이상의 표면에 광고용 문자, 도형, 영상, 기호 중 하나 이상을 인쇄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하여 다목적 광고 매체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100)가 펼쳐진 상태 및 접혀진 상태에서 항상 공중의 시선에 노출되는 후면지지부재(132)에 브랜드, 로고, 슬로건 등을 인쇄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하여 마케팅 매체로 활용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시 되지는 않았으나 측면지지부재(131) 및 후면지지부재(132)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음료, 도서 등을 포함한 기타 판촉용 상품 혹은 패키 지 상품을 수납할 수 있는 부속 공간을 제공하는 그물주머니를 포함하는 공지된 기술적 구성요소를 더 부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완성된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100)의 접고 펼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100)가 앉을 수 있는 형태로 펼쳐진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하여 이동하기 위해 접혀지는 과정을 살펴본다.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1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접기 위해서는 후면지지부재(132)를 등받이부(120) 방향으로 당기면, 측면지지부재(131)가 중심접이선(131d)를 따라 후면지지부재(132)와 등받이부(120) 사이로 접혀 들어가게 된다. 그 후 좌석부(110)의 바닥(즉 하부면)이 후면지지부재(132)와 마주하게 -270°로 회전시키면 도 3의 형태로 접히게 된다. 이 때, 사용자는 좌석부(110)와 등받이부(120)의 단부에 형성된 2개의 손잡이부(150)를 동시에 잡고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100)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100)가 접혀진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앉을 수 있는 형태로 펼치기 위한 과정을 살펴본다.
도 3의 상태에서 좌석부(110)를 270°로 등받이부(120)와 수직이 되게 펼친다. 그 후 후면지지부재(132)를 바깥쪽으로 당겨 측면지지부재(131)가 중심접이선(131d)를 따라 바깥쪽으로 펼쳐져 삼각형을 이루게 해준다. 이와 같이 간단히 펼 치는 조작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형태로 완성되면, 사용자는 좌석부(110)를 깔고 앉아 등받이부(120)에 안정적으로 등을 기대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의 펼친 상태가 도시된 전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가 설치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가 이동 가능하게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
110 : 좌석부 120 : 등받이부
130 : 지지부 131 : 측면지지부재
131a: 좌측면지지부재 131b: 우측면지지부재
131c: 요홈 131d: 중심접이선
132 : 후면지지부재 133 : 고정부재
140 : 접이부 141 : 제1접이부
142a,142b : 제2접이부 143 : 제3접이부
144 : 제4접이부 150 : 손잡이부

Claims (13)

  1. 좌석부;
    상기 좌석부 길이방향 일단에 형성되는 등받이부; 및
    상기 등받이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석부, 등받이부 및 지지부는 서로 접어지는 접이부로 연결되는 일체형 패널을 이루는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등받이부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2개의 측면지지부재, 상기 일측의 측면지지부재에서 연장 형성되는 후면지지부재, 및 상기 후면지지부재와 상기 타측의 측면지지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지지부재는 이등변삼각형상으로 상기 이등변삼각형을 이루는 두 개의 등변은 접이선을 이루고, 어느 하나의 등변은 상기 등받이부 측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와 등받이부를 연결하는 접이부는 한 개의 접이선 또는 이격된 두 개 이상의 접이선을 갖는 접이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접이부는 한 개의 접이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
  3. 삭제
  4. 삭제
  5. 좌석부;
    상기 좌석부 길이방향 일단에 형성되는 등받이부; 및
    상기 등받이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석부, 등받이부 및 지지부는 서로 접어지는 접이부로 연결되는 일체형 패널을 이루는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등받이부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2개의 측면지지부재, 상기 일측의 측면지지부재에서 연장 형성되는 후면지지부재, 및 상기 후면지지부재와 상기 타측의 측면지지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지지부재는 상기 접이부에 인접한 상기 등받이부 측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단부측에 형성된 요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
  6. 좌석부;
    상기 좌석부 길이방향 일단에 형성되는 등받이부; 및
    상기 등받이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석부, 등받이부 및 지지부는 서로 접어지는 접이부로 연결되는 일체형 패널을 이루는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등받이부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2개의 측면지지부재, 상기 일측의 측면지지부재에서 연장 형성되는 후면지지부재, 및 상기 후면지지부재와 상기 타측의 측면지지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지지부재는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접어지는 중심접이선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
  7. 좌석부;
    상기 좌석부 길이방향 일단에 형성되는 등받이부; 및
    상기 등받이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석부, 등받이부 및 지지부는 서로 접어지는 접이부로 연결되는 일체형 패널을 이루는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등받이부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2개의 측면지지부재, 상기 일측의 측면지지부재에서 연장 형성되는 후면지지부재, 및 상기 후면지지부재와 상기 타측의 측면지지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타측의 측면지지부재에서 연장 형성되고 그 표면에 접착층을 포함하여 상기 후면지지부재와 상기 타측의 측면지지부재를 일체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
  8. 좌석부;
    상기 좌석부 길이방향 일단에 형성되는 등받이부; 및
    상기 등받이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석부, 등받이부 및 지지부는 서로 접어지는 접이부로 연결되는 일체형 패널을 이루는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등받이부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2개의 측면지지부재, 상기 일측의 측면지지부재에서 연장 형성되는 후면지지부재, 및 상기 후면지지부재와 상기 타측의 측면지지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타측의 측면지지부재에서 연장 형성되는 측면고정부재와 상기 후면지지부재에 형성되는 후면고정부재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
  9.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와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접이부를 중심으로 대칭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
  10.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상기 접이부와 인접하지 않는 어느 하나 이상의 타단 측에 손잡이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
  11.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패널은 골판지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제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
  12.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표면에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수납용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
  13.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에 대해 세워진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앉을 수 있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보이는 상기 좌석부, 등받이부 및 지지부 중 하나 이상의 표면에 광고용 문자, 도형, 영상, 기호 중 하나 이상이 인쇄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의자.
KR1020090129797A 2009-12-23 2009-12-23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 의자 KR101109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797A KR101109687B1 (ko) 2009-12-23 2009-12-23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797A KR101109687B1 (ko) 2009-12-23 2009-12-23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737A KR20110072737A (ko) 2011-06-29
KR101109687B1 true KR101109687B1 (ko) 2012-01-31

Family

ID=44403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797A KR101109687B1 (ko) 2009-12-23 2009-12-23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96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124B1 (ko) 2012-12-17 2014-07-30 (주) 어퓨커뮤니케이션즈 다각기둥 형상의 조립식 스툴용 패널 및 상기 패널을 포함하는 다각기둥 형상의 조립식 스툴
KR20190003058U (ko) 2018-06-01 2019-12-11 박대희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519B1 (ko) * 2011-12-30 2013-04-03 한국과학기술원 등받이 의자로 변형이 가능한 휴대용 매트
KR102083738B1 (ko) * 2018-09-17 2020-03-02 김종호 휴대용 등받이 매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02A (ja) * 1993-06-22 1995-01-06 Nippon Steel Corp 加工性に優れた鮮映性鋼板
JPH071002Y2 (ja) * 1992-08-18 1995-01-18 有限会社アム・コーポレーション 段ボールで作った携帯用座椅子
KR20040027977A (ko) * 2001-08-22 2004-04-0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상관 어택의 정확도와 속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및 장치
JP2005021199A (ja) 2003-06-30 2005-01-27 Ai Kato 組み立て椅子
KR200427977Y1 (ko) * 2006-06-27 2006-10-04 김종직 조립식 의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02Y2 (ja) * 1992-08-18 1995-01-18 有限会社アム・コーポレーション 段ボールで作った携帯用座椅子
JPH071002A (ja) * 1993-06-22 1995-01-06 Nippon Steel Corp 加工性に優れた鮮映性鋼板
KR20040027977A (ko) * 2001-08-22 2004-04-0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상관 어택의 정확도와 속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및 장치
JP2005021199A (ja) 2003-06-30 2005-01-27 Ai Kato 組み立て椅子
KR200427977Y1 (ko) * 2006-06-27 2006-10-04 김종직 조립식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124B1 (ko) 2012-12-17 2014-07-30 (주) 어퓨커뮤니케이션즈 다각기둥 형상의 조립식 스툴용 패널 및 상기 패널을 포함하는 다각기둥 형상의 조립식 스툴
KR20190003058U (ko) 2018-06-01 2019-12-11 박대희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737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82980C (en) Multi-function transportable recreation chair
US9247817B2 (en) Portable, collapsible stadium seat
KR101109687B1 (ko)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 의자
US6264078B1 (en) Combination sports bag and chair assembly
WO2010117975A1 (en) Backpack stool
US20090090751A1 (en) Combination backpack seat
US8333428B2 (en) Foldable chair with side table
US8186530B2 (en) Food tray
US9993084B2 (en) Sleep assist device for seated persons
JP6108484B2 (ja) 変換可能な兼用器具
US9189979B2 (en) Display shield having a collapsible holder for a beverage
KR101250519B1 (ko) 등받이 의자로 변형이 가능한 휴대용 매트
AU7165800A (en) Seat
KR20190026417A (ko) 혼자 사는 사람들을 위한 접이식 골판지 홈씨어터와 의자
WO2007076870A1 (en) Chair with display cavity
WO2005020759A2 (en) Portable article of furniture
KR20140095201A (ko) 와이드타입 접이식 등받이 의자
KR102265198B1 (ko) 다기능 야외용 돗자리
KR20140112143A (ko) 돗자리 겸용 가방
GB2464451A (en) Foldable seat formed of sheet material
CN201752270U (zh) 多功能箱包
KR20110011596U (ko) 휴대용 간이의자
JP3787584B1 (ja) 折畳椅子
KR200436966Y1 (ko) 지지구가 설치된 물품 거치대
KR200248696Y1 (ko) 의자 모형 핸드폰 거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