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9619B1 - 유희용 로봇새의 날개 회동구조 - Google Patents

유희용 로봇새의 날개 회동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9619B1
KR101109619B1 KR1020100004421A KR20100004421A KR101109619B1 KR 101109619 B1 KR101109619 B1 KR 101109619B1 KR 1020100004421 A KR1020100004421 A KR 1020100004421A KR 20100004421 A KR20100004421 A KR 20100004421A KR 101109619 B1 KR101109619 B1 KR 101109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main
rear frame
unit
suppor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4718A (ko
Inventor
장일형
한진욱
Original Assignee
(주)피코스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코스넷 filed Critical (주)피코스넷
Priority to KR1020100004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619B1/ko
Publication of KR20110084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4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008Propelled by flapping of w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001Making or assembling thereof, e.g. by fold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1/00Gearing for toys
    • A63H31/08Gear-control mechanisms; Gears for imparting a reciprocating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킨을 지지하는 프론트프레임로드(211)와 리어프레임로드(212) 및 트래버스프레임로드(213)로 되는 주익윙프레임(210), 미익윙프레임(310) 구조를 이루는 좌우 주익(200) 및 미익(300), 상기 리어프레임로드(212) 후단측과 결합되어 주익(200)을 지지하는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 주익(200)의 회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동력부(400)와, 동력부(400) 전면측으로 주익(200)의 프론트프레임로드(211)와 연결되어 회동되는 회동연결부(530)를 갖는 주익회동부(500)와, 상기한 장치 등이 결합 되기 위한 패널부(100)와, 상기 패널부(100)를 감싸는 동체(2) 등으로 구성되는 유희용 로봇새의 날개 회동구조에 있어서, 상기 주익회동부(500)에서 동력부(400)의 구동모터(410) 동력을 받아 상기 주익(200)이 상하 운동 되는 한조의 회동연결부(530) 각 후방측으로 연결되는 연결바(230)가 제2모터(250)에 의해 좌우 회동 되는 회동구(240)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리어프레임로드(210)의 후단측이 패널부(100) 후방측에 고정되는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와 고정되어지되, 상기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는 그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 하방측에 구비되는 상하승강부(120)의 운동에 의해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를 지지하며 가이드하는 가이드블럭(130)의 안내에 따라 상하 승강되도록 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여, 주익이 상하 운동 및 전후 운동은 물론 주익의 선단부를 기점으로 후단측의 상하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비행체의 선회각 및 선회운동이 부드러울 수 있고, 주익의 운동에 따라 비행체의 비행각도 조절이 유연할 수 있어, 유희용 비행체의 운전에 스릴감을 만끽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유희용 로봇새의 날개 회동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희용 로봇새의 날개 회동구조{A GAME ROBOT-BIRD WING REVOLU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완구용으로 사용되는 프리 플라이트 비행체로 분류될 수 있는 유희용 로봇새의 날개 구조에 관한 것으로, 주익의 회동 구조를 간소화하면서도 방향 선회가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이고, 주익의 방향 조작이 정교하도록 구성하여 비행체의 비행 조절 능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유희용 로봇새의 날개 회동구조에 관한 것이다.
유희용 비행기 중, 날개짓으로 추력과 양력을 형성하여 비행하게 되는 일명 날개치기형 비행체의 경우, 일반적으로 동체의 좌우 주익을 커넥팅 로드 및 기어열 등을 이용하고, 전기모터와 연결하여 상기 전기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좌우주익의 날개치기 운동에 따른 반력의 수직성분이 양력으로 작용하여 비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날개치기형 비행체(원격 또는 수동을 포함한다)의 좌우 방향으로의 선회를 위한 방식은 수직 미익을 설치하여 상기 수직 미익의 좌우 방향 회전에 따라 비행체가 좌우로 선회하게 할 수 있었다.
또는 이와 달리 수평미익이 진행방향에서 받는 항력에 따른 모멘트(Moment)를 동체의 중심선에 대하여 불균형하게 형성하여 이에 따라 좌우 선회를 이루는 구성이 일반적 구성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날개치기형 비행체는 주익의 날개치기 동작에 의해 발생 되는 양력과 추력의 해석이 고정익 및 회전익 비행체에 비해 매우 복잡하고 비행안전성이 보장되는 비행 역학적 설계 자체가 어렵고, 날개치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작동기구 등의 설계가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 등을 감안하여 본원인이 발명에 의해 개발되어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 등록된 특허등록 제 451984 호(동력식 날개치기형 비행기)가 개시되어 있는바, 기존의 날개치기형 비행기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극복한 예로서, 동체의 가벼움 및 구조의 단순함에 따라 안정적이고 충분한 양력과 추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기체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가볍고 단순하면서도 내구성이 강한 전동기구와 무게에 비해 장시간의 비행 시간을 제공할 수 있고, 조작이 간단한 동력원을 구비하여서 되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특허의 경우에 있어서도 좌우주익의 구동력은 구동부에서의 전기모터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기어열 동력전달에 따른 치차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인데, 그 치차 결합에 의한 동력전달시 결합 되는 치차와 치차간 이격 현상이 발생되어지는바, 그 이격 현상에 의한 좌우 주익의 동일 각도 범위내에서의 좌우 회동운동이 정확하게 균일한 각도로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같은 문제점은 좌우 주익의 날개짓의 범위각도를 각각 다르게 할 수 있어 비행체의 안정적 비행을 방해하는 심각한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다.
또한, 좌우 주익 스킨으로 양력이 심하게 작용되어질 때 그 양력에 의해 좌우 주익의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로드의 연결부분이나 이음부분에 전단력이 발생되어,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 되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된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 등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5-106253 호에 의해, 비행체의 날개 즉 주익(主翼)과 미익(尾翼)의 조정 및 회동에 의해 비행시 선회각 조정에 따른 선회반경을 작게 할 수 있는 날개 회동장치를 제공하여 초보자도 손쉽게 비행체의 안정적 선회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주익의 날개짓을 위한 동력부로부터의 동력전달에 의해 주익회동부가 구동되어질 때 캠 및 링크 등에 의해 상하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드 구동부와의 연동으로 그 구동력이 정확하게 양 좌우 주익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치차결합에 의한 기어열 방식의 운동시 균일한 회동각 제공이 어려워 비행에 대한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어, 정확한 주익 제어에 따른 안정적 비행을 기대함은 물론이거니와, 주익에 발생되는 바람의 양력 세기에 따라 능동적으로 주익의 프론트프레임로드가 휘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탄력적인 비행은 물론 강한 양력에 의해 제공되는 파단력에 의해 기존의 프론트프레임로드의 연결부분이 파단되는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와 더불어, 새와 같은 유연성 있는 날개짓이 가능하므로, 유연한 비행을 유도할 수 있고, 미익의 회동과 연동하여 주익이 좌우 회동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미익과 주익에 의한 선회 반경 조정이 가능하여 역동적이면서도 안정적 비행의 유도는 물론, 미익의 회동각이나 회동시간 및 시각 등을 타이머 수단을 통하여 원격 조정가능한 구성 제공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비행 유도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바 있다.
상기한 선행 특허의 경우, 전술한 효과 등을 기대할 수는 있으나, 구성면에서 있어서 복잡한 부분이 존재하고 미익의 조절시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조절하게 되는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장력 조절 문제가 발생되는 현상이 있어 이를 보완 할 필요성이 대두 된다.
또한 주익이 상하로 움직이면서 동시에 전후로 움직이는 구성에 의해 선회각을 좁게 형성하는데,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주익윙프레임이 관절형태인 완충연결체를 이용하여 주익의 전후 움직임을 유도하고 있는바, 이러한 구성에 의할 경우 주익윙프레임의 강도 및 견고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익이 상하 전후로 운동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어 비행체의 비행시 상승 및 하강을 유도하고자 할 경우, 비교적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주익의 좌우 및 상하 운동이 자유로울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비행체의 선회각 및 선회운동이 부드러울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주익의 상하 및 전후 운동은 물론, 주익의 선단부 대비하여 후단측이 상하로 운동 가능하도록 구성하므로서, 주익의 운동에 따라 비행체인 유희용 로봇새의 비행각도 조절이 유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킨을 지지하는 프론트프레임로드(211)와 리어프레임로드(212) 및 트래버스프레임로드(213)로 되는 주익윙프레임(210), 미익윙프레임(310) 구조를 이루는 좌우 주익(200) 및 미익(300), 상기 리어프레임로드(212) 후단측과 결합되어 주익(200)을 지지하는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 주익(200)의 회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동력부(400)와, 동력부(400) 전면측으로 주익(200)의 프론트프레임로드(211)와 연결되어 회동되는 회동연결부(530)를 갖는 주익회동부(500)와, 상기한 장치 등이 결합 되기 위한 패널부(100)와, 상기 패널부(100)를 감싸는 동체(2) 등으로 구성되는 유희용 로봇새의 날개 회동구조에 있어서,
상기 주익회동부(500)에서 동력부(400)의 구동모터(410) 동력을 받아 상기 주익(200)이 상하 운동 되는 한조의 회동연결부(530)가 장착되는 플레이트(510)를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450)의 상단측과 연결되는 연결바(230)가 제2모터(250)에 의해 좌우 회동 되는 회동구(240)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리어프레임로드(210)의 후단측이 패널부(100) 후방측에 고정되는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와 고정되어지되, 상기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는 그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 하방측에 구비되는 상하승강부(120)의 운동에 의해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를 지지하며 가이드하는 가이드블럭(130)의 안내에 따라 상하 승강되도록 하는 것을 구성을 제공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익이 상하 운동 및 전후 운동은 물론 주익의 선단부를 기점으로 후단측의 상하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유희용 로봇새의 선회각 및 선회운동이 부드러울 수 있고, 주익의 운동에 따라 비행체의 비행각도 조절이 유연할 수 있어, 유희용 로봇새의 운전에 스릴감을 만끽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적용되는 일예를 도시한 유희용 로봇새의 전체적 사시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주요 구성부분을 도시한 것으로 패널부와 동력부, 주익회동부, 회동안내구 등이 결합 된 상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동력부와 주익회동부 및 회동안내구를 각각 분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주익회동부를 세분화하여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2에서 패널부와 리어프레임지지홀더를 상하 승강시키기 위한 상하승강부의 구성을 분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의 주익회동부 전면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 내지 도 8은 도 6에 의한 도면에서 주익회동부의 회동에 의해 주익의 주익윙프레임이 상하로 회동 되기 위한 작동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전체 프레임을 평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2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동되는 회동구의 회동 상태에 따라 연결바와 연결되는 고정플레이트의 회동 작동에 따라 전체 주익의 전후 회동이 가능하게 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패널부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것으로 주익 후단부의 상하 승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상하승강부의 작동 관계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11 내지 도 12은 본 발명에서 리어프레임지지홀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유희용으로 즐기기 위한 유희용 로봇새의 날개 회동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주익(200)의 상하 전후 운동은 물론 선단을 기점으로 주익(200)의 후단측이 상하 운동 가능하도록 하여 비행체의 선회각 및 비행 방향의 용이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아울러 구조의 복잡성에서 탈피하기 위한 구성을 제공하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희용 로봇새를 이루기 위한 비행체(1)를 이루는데 있어서, 비행체(1)의 뼈대라 할 수 있는 패널부(100)를 형성하고 그 패널부(100) 선단측에 주익회동부(500)가 구비되고, 상기 주익회동부(500)에 의해 상하 운동 되는 주익(200)이 이루어지고, 상기 주익회동부(500)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동력부(400)가 패널부(100)의 선단부중 주익회동부(500)의 후방측에 고정 구비되고, 상기 주익(200)의 구성을 이루는 요소 중에서 리어프레임로드(212)의 후단부가 연결되는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를 상하 승강시키기 위한 상하승강부(120)가 패널부(100)의 후방측에 구비되고, 상기 패널부(100)의 최후미측에 미익(300)이 구성된다.
상기 패널부(100)는 날개치기형 유희용 로봇새를 구성하는 비행체(1)의 뼈대를 이루는 구성으로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큰 일체형 패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종래와 같이 동체(2)의 중심축선 상에 배치되어 그 길이가 동체(2)의 전단부 근처로부터 후단부 가까이까지 연장되어 구성된다.
한편, 패널부(100) 전단측으로 동력부(400)의 구동모터(410)가 고정된다.
상기 주익(200)은 상기 패널부(100)의 전단부측으로 결합 되는 주익회동부(500)의 회동에 따라 상하 운동을 하여 마치 새의 날개와 같은 운동력 발현에 의해 비행체(1)의 비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주익(200)은 상기 패널부(100)를 중심으로 좌우로 나누어지며, 다수의 주익윙프레임(210)에 의해 상기 주익(200)의 골체를 이루며, 상기 주익윙프레임(210) 표면상으로 바람의 양력을 받기 위한 스킨(201)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주익(200)의 스킨(201)은 가볍고 신축율이 적으며 내습성 및 내구성이 강한 천이나 수지 시트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주익윙프레임(210)의 한면에만 부착하거나 또는 양면에 부착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익(200)의 뼈대를 구성하는 주익윙프레임(210)은 도 1에서 보듯이 주익(200)의 전면부측을 이루는 프론트프레임로드(211)를 다수 구비하되 다수의 연결구(220)를 이용하여 각각의 프론트프레임로드(211)간을 연결한다.
상기 연결구(220)는 대체로 "T"자형으로 형성되어 양측방으로 각각 분리되는 프론트프레임로드(211)를 각각 연결하되 그 후방측(도면상 보았을 때)으로 트래버스프레임로드(213)를 각각 연결 고정하게 된다.
아울러, 최단측 연결구(220')는 도면에서 보듯이 패널부(100)의 후단측과 고정되기 위한 리어프레임로드(212)의 고정을 위해 구성되는데, 이러한 연결구(220')의 중앙부는 중앙의 패널부(100)로 예각을 이루며 향하도록 하여, 상기 리어프레임로드(212) 일측이 상기 연결구(220')와 삽입 고정되고 타측은 패널부(100) 후미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지는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의 고정돌부(111)와 결합되며 사선방향으로 고정 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주익윙프레임(210)의 프론트프레임로드(211)의 각 대향 되는 내측방으로는 후술하게 되는 주익회동부(500)의 회동연결부(530)와 연결되도록 하여, 좌우익의 주익(200) 상하 회동각이 일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한 주익(200) 및 주익회동부(500)의 구성은 종래 본원인의 발명자에 의해 출원된 내용에 의한 선행기술과 유사하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주익(200)은 그 운동 방식이 상하로만 움직이게 되고, 전후의 움직임에 대하여는 기존의 경우 스프링을 이용하였으나 그 스프링에 의하여 주익(200)의 전후 운동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장력이 저하되는 등, 여타의 조건에 의해 주익(200)의 전후 이송에 제약이 따르는 점이 있어 왔는바,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 도 2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바(230) 및 회동구(240)의 구성에 의해 이러한 점을 극복하였다.
즉 도 3 , 4 및 도 6 내지 8에서 보듯이, 주익(200)의 전후 운동에 의해 비행체(1)의 좌우 선회 방향을 결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동을 위한 것으로 상기 주익회동부(500)에서 동력부(400)의 구동모터(410) 동력을 받아 상기 주익(200)이 상하 운동 되는 한조의 회동연결부(530)가 장착되는 플레이트(510)를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450)의 상단측과 연결되는 연결바(230)가 제2모터(250)에 의해 좌우 회동 되는 회동구(240)와 연결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도 2,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모터(250)의 정역 구동에 의해 회동구(240)가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좌우 반복 회동에 의하게 되면, 회동구(240)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바(230)에 의해 고정플레이트(450), 플레이트(510)는 물론 회동연결부(530)가 전후로 일정각 회동되는 동작을 갖게 되는바, 이러한 회동연결부(530)의 동작에 따라 주익(200)이 전후로 일정각 회동 될 수 있어 양력의 조절에 의해 비행체(1)의 선회 방향 또는 비행 방향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주익(200)이 일정각 회동을 하기 위해서는 주익(200) 전체와 주익(200)의 날개짓을 유도하는 주익회동부(500) 및 동력부(400)도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좌우 일정각 회동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이를 위해서는 주익회동부(500)와 연결되어지는 동력부(400)와, 패널부(100)의 결합 구성이 종래의 구성과는 달라야 하는데, 이의 일예를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다.
즉, 도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력부(400)의 구성 중 고정플레이트(450) 하단과 연결되는 회동안내구(600)를 구성하여 상기한 주익(200) 및 동력부(400) 및 주익회동부(500)의 일정각 회동을 가이드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설명을 위해 먼저, 동력부(400)와 주익회동부(500)의 구성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상기 동력부(400)는 비행체(1)의 비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주익(200)의 날개짓을 유도하는 구성으로, 도 2 내지 도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패널부(100)의 전단부측으로 구동모터(410)를 고정하고, 그 구동모터(410) 전면측으로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450) 전방측으로 축설되는 구동기어(420)와, 상기 구동기어(420)와 치차결합되는 종동기어(430)로 구성한다.
상기 종동기어(430)가 장착되는 축(440)은 후술하게 되는 주익회동부(500)의 일구성과 연결되어 구동모터(410)의 구동에 의해 전달되는 동력이 주익회동부(500)로 전달 된 후 주익(200)의 상하 운동으로 변환함으로써 비행체(1)의 비행을 유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플레이트(450)의 하단부는 절곡 되며 그 단부가 이격 된 형상을 갖는 체결부(451)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체결부(451)는 후술하게 되는 회동안내구(600)에서의 삽입구(631)와 삽입된 후 볼트 등에 의해 체결 되어진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력부(400)와 주익회동부(500) 및 주익(200) 등이 연동되며 일정각 회동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전술한 체결부(451)와 회동안내구(600)의 구성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위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플레이트(450)의 절곡되는 일단의 체결부(451)와 결합되기 위해, 원통형상의 지지구(630)가 내합되며 고정플레이트(450)가 회동 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한 회동안내구(600)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안내구(600)의 후방측으로 이어지는 패널체결구(610)에 의해 패널부(100)와 체결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회동안내구(600)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방이 개구되는 원통형체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지지구(630)가 내합되어져 그 안에서 회동이 자유롭도록 하는 것인데, 상기 지지구(630)의 상면으로 수직상 일체로 연결되는 삽입구(631)가 구비되어 전술한 고정플레이트(450)의 체결부(451)에 끼워져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어진다.
아울러, 그 삽입구(631)의 선단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632)가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632)의 회동각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회동안내구(600)의 상면에 2개의 스토퍼(62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스토퍼(620) 사이의 간격으로 회동각이 제어되는바 즉, 제2모터(250)의 정역 구동에 의해 회동구(240)가 좌우 회동되어지면서, 상기 회동구(240)와 주익(200)의 주익윙프레임(210)을 이루는 요소 중 프론트프레임로드(211)가 끼워지는 회동연결부(530)를 연결하는 연결바(230)에 의해 주익(200) 전체가 일정각 회동될 수 있게 된다.
물론 그 회동각의 범위는 스토퍼(620)의 간격 구간이 된다.
따라서 이와같은 회동 작동에 의해 양 주익(200)이 주익회동부(500)를 중심으로 대향되며 전후 회동되면서 비행체(1)의 비행 방향등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동력부(400)로부터 발생 되는 동력을 주익(200)이 상하로 회동 운동 되는 운동력으로 변환시켜 주기 위한 주익회동부(500)의 구성은 종래의 구성과 유사한데 예를 들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한 동력부(400)의 축(44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 동력을 상하 수직운동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슬라이드구동부(520)와, 상기 슬라이드구동부(520)로부터 전달되는 수직운동을 회동운동으로 변환하여 주익(200)의 날개짓이 가능하도록 회동력으로 변환하는 회동연결부(530)로 구성된다.
한편 동력부(400)의 전면부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슬라이드구동부(520)와 회동연결부(530)를 각각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플레이트(510)를 형성한다.
상기 플레이트(510)는 도면 도 3 내지 도 4에서 보듯이 상방측은 비교적 넓고 하방측은 비교적 좁은 "T"형상을 갖도록 하였는데, 상방 양측단으로 각각 회동연결공(a)을 천공하고, 수직방향으로 각각 이격되는 다수의 고정공(b)을 천공하고, 상기 고정공(b) 최하단측 중앙으로 축공(c)을 천공하여서 된다.
상기의 회동연결공(a)은 회동연결부(530)와 연동되도록 연결되어 수직운동을 상하 회동운동으로 변환되어 주익(200)의 날개짓이 가능할 수 있도록 힌지점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510)의 전면측으로 동력부(400)의 구동모터(410) 구동에 의한 회전운동을 수직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가이드부(512)를 구비하게 되는데, 이러한 가이드부(512)에는 다수의 가이드로울러(511)가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플레이트(510)의 전면부측에 고정된다.
상기 슬라이드구동부(520)는 주익회동부(500)의 구성요소로, 상술한 플레이트(510)의 가이드부(512)를 따라 상하 승강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는데, 도 3서 보듯이 상기한 동력부(400)의 축(440)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캠(521) 및 링크(522)와 상기 링크(522)의 운동에 따라 상하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더(524)와 상기 슬라이더(524)로 구성되어 그 슬라이더(524)가 상기 가이드부(512)에 의해 안내되며 상하 운동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캠(521)은 동력부(400)의 축(440)과 연동되도록 연결되는데, 캠(521)의 편심되는 측으로 고정되는 고정축(523)에 의해 링크(522)가 도 3에서와 같이 연결된다.
이와같은 링크(522)의 일단은 슬라이더(524)의 축(525)와 연결되어 캠(521)의 운동에 따라 슬라이더(524)를 상기한 가이드부(512)의 안내를 받으며 상하 직선운동으로 변환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더(524)의 후면측으로는 상술한 플레이트(510)의 가이드로울러(511)와 접하며 구름운동하며 원할히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주익(200), 동력부(400), 주익회동부(500)가 제2모터(250)의 구동에 따라 일정각 회동안내구(600)에 의해 지지되며 회동되어지는데, 이러한 회동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연결지지바(540)를 이용하여 플레이트(510)의 상단측과 패널부(100)의 중앙 부분을 연결하되 상기 연결지지바(540) 선단측 하방으로 삽입축(541)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축(541)이 삽입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플레이트(510)의 후면 상단측에 고정구(513)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삽입축(541)이 상기 고정구(51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주익(200), 동력부(400), 주익회동부(500)가 제2모터(250)의 구동에 따라 회동구(240)와 연동되는 연결바(230)를 직선상 왕복 운동시키면서 연결바(230) 단부측에 연결되어 있는 회동연결구(530)의 회동에 따라 전체적으로 좌우 일정각 회동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 과정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플레이트(450) 하단측과 연결되면서 패널부(100)와 연결되어지는 상기한 회동안내구(600)에 의해 고정플레이트(450) 하단이 지지되며 회동되어지는 것이며, 그 회동각은 스토퍼(620)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주익(200)이 전후로 일정각 회동하는 작용과 함께, 주익(200)이 선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후단측이 상하 승강되는 구성을 제공하게 된다.
즉, 주익(200)의 후단측이 일정길이 상하 승강하게 되는 작용에 의해 비행체(1)의 비행로가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의 비행 방향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익(200)의 선단측이 고정될 수 있는 상기 리어프레임로드(210)의 후단측이 패널부(100) 후방측에 고정되는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와 고정되고, 상기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는 그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 하방측에 구비되는 상하승강부(120)의 운동에 의해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를 지지하며 가이드하는 가이드블럭(130)의 안내에 따라 상하 승강되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는 리어프레임로드(212)의 끝단을 잡아주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한 리어프레임로드(212)는 도면에서 보듯이, 주익윙프프레임(210)의 최단부측에 구비되는 연결구(220)에 그 일단이 삽입 고정되고 타단 즉 전술한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의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각 돌부(111)와 연결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는 상하로 승강 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되는데, 예컨데 도 5 ,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승강부(120)의 구동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상하승강부(120)는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를 상하 승강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블럭(122)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모터(121)에 의해 회동되는 제1링크(123)가 고정블럭(122)의 타측면 축(123a))에 회동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링크(123)와 연결되는 제2링크(124)의 타단이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구(113)와 결합 되어,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가 상하 승강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상하승강부(120)는 패널부(100)의 상단측 적정위치에 고정하게 되는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익(300)의 전방측에 고정되어진다.
한편, 제2링크(124)의 타단은 상기한 바와 같이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의 결합구(113)에 결합되는데, 상기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의 전면측으로는 슬라이더(112)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가이드블럭(130)의 가이드홈(131)을 따라 상하 승강되도록 하였다.
즉, 상기 가이드블럭(130)은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의 상하 승강을 가이드 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112)가 끼워지기 위한 가이드홈(131)이 일측방으로 형성되고 하단측으로는 체결구(132)를 형성하여, 패널부(100)와 고정되도록 하였다.
즉 패널부(100)에서 미익(300)의 선단측 위치에 삽입구(140)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구(140)에 상기 가이드블럭(130)의 체결구(132)가 삽입되어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하승강부(120)의 모터(121)가 구동하게 되면 축(123a)과 연결되어 있는 제1링크(123)가 회동하게 되는데, 제1링크(123)와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제2링크(124)는 수직상으로 움직이게 된다.
제2링크(124)의 수직운동은 그 타단측으로 연결되는 결합구(113)에 의해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가 전체적으로 상하 승강 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하 승강운동의 가이드 역할은 전기한 바와 같이 가이드블럭(130)의 가이드홈(131)을 따라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는 달리 도 11 내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 승강부(120)를 달리 실시할 수 있는데, 예컨데 고정블럭(122)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모터(121)에 의해 회동되는 제1링크(123)가 고정블럭(122)의 타측면 축(123a)에 회동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링크(123)와 연결되는 제2링크(124)의 타단이 결합되어 회동플레이트(125) 일측 힌지(126)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가 회동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의 상하 승강 운동에 의해 주익(200)의 후단측은 상승하거나 또는 하강하게 되는 작동을 하게 되는 것인바, 예컨데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가 상승 작동하게 되면, 주익(200)의 후단측은 상승하게 되어 주익(200)이 수평선상에서 보았을 때 뒤쪽이 들려지는 위치에 있게 되어 양력의 작용에 의해 비행체는 아래로 하강하는 비행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가 하강 작동하게 되면 주익(200)의 후단측은 하강하게 되는바, 주익(200)을 수평선상에서 보았을 때 뒤쪽이 내려앉는 형태를 취하게 되므로, 공기 저항에 의한 양력의 작용으로 비행체는 위로 비상하는 비행을 하게 되는 것이다.
1; 비행체 2; 동체
100; 패널부 110; 리어프레임지지홀더
111; 돌부 112; 슬라이더
113; 결합구 120; 상하승강부
121; 모터 122; 고정블럭
123; 제1링크 124; 제2링크
200; 주익 201; 스킨
210; 주익윙프레임 211; 프로트프레임로드
212; 리어프레임로드 213; 트래버스프레임로드
220; 연결구 230; 연결바
240; 회동구 250; 제2모터
300; 미익 400; 동력부
410; 구동모터 420; 구동기어
430; 종동기어 440; 축
450; 고정플레이트 451; 체결부
500; 주익회동부 510; 플레이트
511; 가이드로울러 512; 가이드바
513; 고정구 520; 슬라이드구동부
530; 회동연결부 540; 연결지지바
541; 삽입축 600; 회동안내구
610; 패널체결구 620; 스토퍼
630; 지지구 631; 삽입구
632; 돌출부

Claims (8)

  1. 스킨을 지지하는 프론트프레임로드(211)와 리어프레임로드(212) 및 트래버스프레임로드(213)로 되는 주익윙프레임(210), 미익윙프레임(310) 구조를 이루는 좌우 주익(200) 및 미익(300), 상기 리어프레임로드(212) 후단측과 결합되어 주익(200)을 지지하는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 주익(200)의 회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동력부(400)와, 동력부(400) 전면측으로 주익(200)의 프론트프레임로드(211)와 연결되어 회동되는 회동연결부(530)를 갖는 주익회동부(500)와, 상기한 장치 등이 결합 되기 위한 패널부(100)와, 상기 패널부(100)를 감싸는 동체(2) 등으로 구성되는 유희용 로봇새의 날개 회동구조에 있어서,
    상기 주익회동부(500)에서 동력부(400)의 구동모터(410) 동력을 받아 상기 주익(200)이 상하 운동 되는 한조의 회동연결부(530)가 장착되는 플레이트(510)를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450)의 상단측과 연결되는 연결바(230)가 제2모터(250)에 의해 좌우 회동 되는 회동구(240)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리어프레임로드(210)의 후단측이 패널부(100) 후방측에 고정되는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와 고정되어지되, 상기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는 그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 하방측에 구비되는 상하승강부(120)의 운동에 의해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를 지지하며 가이드하는 가이드블럭(130)의 안내에 따라 상하 승강되도록 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유희용 로봇새의 날개 회동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410) 일측이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450)의 하단부는 절곡되어지되 그 단부는 이격 되는 형상을 갖으며 벌어지는 체결부(451)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희용 로봇새의 날개 회동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451)에 삽입되는 삽입구(631)가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체의 지지구(630)를 이루고, 상기 지지구(630)가 내합되는 원형체의 회동안내구(600)와, 상기 회동안내구(600) 후단측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패널체결구(610)를 구비하여 패널부(100)와 고정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희용 로봇새의 날개 회동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631)의 선단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632)가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632)의 회동각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회동안내구(600)의 상면에 2개의 스토퍼(62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유희용 로봇새의 날개 회동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주익회동부(500)의 플레이트(510) 상단측과 패널부(100)의 중앙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지지바(540)를 구비하고, 상기 상기 연결지지바(540) 선단측 하방으로 삽입축(541)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축(541)이 삽입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플레이트(510)의 후면 상단측에 고정구(513)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포함하는 유희용 로봇새의 날개 회동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승강부(120)는 고정블럭(122)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모터(121)에 의해 회동되는 제1링크(123)가 고정블럭(122)의 타측면 축(123a)에 회동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링크(123)와 연결되는 제2링크(124)의 타단이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구(113)와 결합 되어,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가 상하 승강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희용 로봇새의 날개 회동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럭(130)은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이 전면측에 구비되는 슬라이더(112)가 끼워지기 위한 가이드홈(131)이 일측방으로 형성되고 하단측으로는 체결구(132)를 형성하여 패널부(100)와 고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유희용 로봇새의 날개 회동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하 승강부(120)는 고정블럭(122)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모터(121)에 의해 회동되는 제1링크(123)가 고정블럭(122)의 타측면 축(123a)에 회동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링크(123)와 연결되는 제2링크(124)의 타단이 결합되어 회동플레이트(125) 일측 힌지(126)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리어프레임지지홀더(110)가 회동 승강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희용 로봇새의 날개 회동구조.
KR1020100004421A 2010-01-18 2010-01-18 유희용 로봇새의 날개 회동구조 KR101109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421A KR101109619B1 (ko) 2010-01-18 2010-01-18 유희용 로봇새의 날개 회동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421A KR101109619B1 (ko) 2010-01-18 2010-01-18 유희용 로봇새의 날개 회동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718A KR20110084718A (ko) 2011-07-26
KR101109619B1 true KR101109619B1 (ko) 2012-01-31

Family

ID=44921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421A KR101109619B1 (ko) 2010-01-18 2010-01-18 유희용 로봇새의 날개 회동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96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620B1 (ko) * 2011-11-23 2013-08-26 국방과학연구소 날개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날갯짓 비행체
KR101510876B1 (ko) * 2013-02-14 2015-04-1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곤충 모방형 날갯짓 비행체의 자세 제어를 위한 날개 끝단부 조작기구
KR101744721B1 (ko) * 2015-10-02 2017-06-0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곤충 모방형 날갯짓 비행체
NL2018549B1 (en) * 2017-03-20 2018-09-28 Univ Delft Tech Flapping wing mav
CN108656121A (zh) * 2017-03-29 2018-10-16 深圳光启合众科技有限公司 机器人翅膀装置及机器人
CN211685616U (zh) * 2020-01-05 2020-10-16 仿翼(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飞行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0894A (ko) * 2001-11-16 2003-05-23 주식회사 뉴로스 동력식 날개치기형 비행기
KR20070049271A (ko) * 2005-11-08 2007-05-11 장일형 비행체의 날개 회동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0894A (ko) * 2001-11-16 2003-05-23 주식회사 뉴로스 동력식 날개치기형 비행기
KR20070049271A (ko) * 2005-11-08 2007-05-11 장일형 비행체의 날개 회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718A (ko) 201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9619B1 (ko) 유희용 로봇새의 날개 회동구조
US10850837B2 (en) Air vehicle flight mechanism and control method for non-sinusoidal wing flapping
US8382546B2 (en) Flying toy able to move by the flapping of wings
US7997526B2 (en) Moveable wings on a flying/hovering vehicle
CN110588970B (zh) 一种具有可偏转驱动机构的仿生扑翼飞行机器人
KR100919066B1 (ko) 원격조정용 날개짓 비행체
KR101200762B1 (ko) 입식전진비행이 가능한 원격조종 날갯짓 비행체
JP4150799B2 (ja) 羽ばたき式飛行装置
CN108454850B (zh) 一种圆柱凸轮万向节式仿鸟扑翼飞行装置
KR101350839B1 (ko) 소형 비행체의 시소운동을 이용한 날개 플랩핑 장치
JP5207463B2 (ja) 往復揺動機構およびこれを用いた羽ばたき飛行機
CN110171568A (zh) 一种可悬停扑翼飞行器
WO2012112816A1 (en) Air vehicle flight mechanism and control method for non-sinusoidal wing flapping
KR20070049271A (ko) 비행체의 날개 회동 장치
CN107161339A (zh) 一种扑动‑扭转耦合仿生鸟
JP6702639B2 (ja) 模型飛行機
US20140162524A1 (en) Flying toy configured to move by wing flapping
JP2020179691A (ja) 航空機特に回転翼飛行と固定翼飛行ができる航空機の改良
KR101350840B1 (ko) 소형 비행체의 날갯짓 속도 가변형 플랩핑 장치
JP2000317148A (ja) 複葉の羽ばたき飛行機
KR20060110241A (ko) 두 쌍의 날개를 갖는 잠자리 유형 날갯짓 비행체
KR200336766Y1 (ko) 날개짓 비행체 구동 메커니즘
KR20130138936A (ko) 날개짓 인력비행체
US11511855B2 (en) Ornithopter aircraft
KR101826230B1 (ko) 날개짓 비행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