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9539B1 - 정밀제어가 가능한 오일공급구조를 가지는 증압기 - Google Patents

정밀제어가 가능한 오일공급구조를 가지는 증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9539B1
KR101109539B1 KR1020090053310A KR20090053310A KR101109539B1 KR 101109539 B1 KR101109539 B1 KR 101109539B1 KR 1020090053310 A KR1020090053310 A KR 1020090053310A KR 20090053310 A KR20090053310 A KR 20090053310A KR 101109539 B1 KR101109539 B1 KR 101109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ylinder
low pressure
intensifier
high pressure
precis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3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4938A (ko
Inventor
이용범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53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539B1/ko
Publication of KR20100134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3/00Intensifiers or fluid-pressure converters, e.g. pressure exchangers; Conveying pressure from one fluid system to another, without contact between the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7/00Systems in which the movement produced is definitely related to the output of a volumetric pump; Telemotors
    • F15B7/06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밀제어가 가능한 오일공급구조를 가지는 증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압실린더와, 상기 고압실린더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가지며 고압실린더의 일단에 연통결합되는 저압실린더와, 상기 고압실린더 및 저압실린더에 내설되어 길이방향으로 유동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저압실린더의 외주연에 착탈가능토록 결합되어 유압을 공급하는 매니폴드 블럭으로 구성되되, 상기 저압실린더의 전, 후단 외주연에 유압 유로가 형성되도록 유입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로에 다수개의 유입공을 등간격으로 천공시키며, 상기 복수개의 유입로에 연통되는 복수개의 서브공급로를 매니폴드 블럭에 형성함으로써, 동작 오일이 복수개의 유동로 중 하나를 통해 공급된 후, 다수개의 유입공을 통해 링 형태로 저압실린더 내에 공급되도록 하여 피스톤 로드의 정밀제어가 가능해지도록 한 정밀제어가 가능한 오일공급구조를 가지는 증압기에 관한 것이다.
증압기, 실린더, 피스톤 로드, 원형 공급, 유로, 매니폴드 블럭

Description

정밀제어가 가능한 오일공급구조를 가지는 증압기{Intensifier using Injection Structure for Precision Control}
본 발명은 증압기에 압력 공급되는 동작 오일이 증압이 내 실린더 외주연에서 링 형태로 공급되도록 한 정밀제어가 가능한 오일공급구조를 가지는 증압기에 관한 것이다.
증압기(增壓機, intensifier)는 유압펌프에서 유입된 압력을 최대 20배 증압시키는 장치로 약 4,000~6,000kg/㎠까지 압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며, 워터젯(water jet)은 상기 압력을 이용하여 피가공물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0.1~0.3의 노즐을 통해 음속의 3배 속도로 물을 공급하는 노즐이 X-Y축으로 이동하며 제품을 절단하는 장치로, 상기 워터젯은 임가공 및 기계가공산업분야, 자동차산업분야, 석재 및 타일산업분야, 항공기분야, 식품가공분야, 제지산업분야 등에 널리 사용된다.
즉, 증압기는 낮은 압력을 높은 압력으로 변환하여 큰 힘을 얻는 장치로서 부스터라고도 부르며, 유압 프레스와 같이 큰 힘을 필요로 하는 장치에 응용된다. 저압쪽에는 공기압을 이용하고 고압측에는 유압을 이용하는 형식과, 저압쪽과 고압 쪽 모두 유압을 이용하는 두 가지 형식이 있다. 기능상으로는 한 방향으로 작동할 때에만 증압되는 단동 증압기와 좌우 왕복 행정 모두 증압되는 복동 증압기가 있다.
즉, 이와 같은 증압기는 공압식과 유압식이 있으며, 그 중 유압식 증압기는 유압만으로 증압하는 방식과, 공압-유압컨버터 또는 공압실린더 등을 이용하여 증압하는 방식이 있다.
상기와 같은 유압 실린더와 유압 실린더는 대부분 가압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주로 클램프기구, 압축기구, 콕킹기구 등에 사용되는데, 이와 같은 클램프 기구나 압축기구는 작동 개시 시에는 그다지 작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나 작동의 종단부근에서 큰 작동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가압용으로 사용되는 실린더는 피스톤 로드의 압출 종단 부근에서 더욱 큰 작동력을 낼 필요가 있다.
즉, 증압기 내의 단면적이 큰 부분에서 압력을 주면 단면적이 작은 반대편의 압력은 증가되는 것인데, 유압실린더의 경우, 큰 작동력을 내기 위해서는 더 많은 양의 작동 오일을 공급해야하고, 증가된 만큼의 작동 오일을 증압기 내에 공급하여 증압기 내의 피스톤 로드를 좌, 우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피스톤 로드가 내설된 실린더에 작동 오일의 유입구를 더 크게 천공해야 해야만 한다.
하지만, 상기 작동 오일의 유입구가 커질수록, 상기 유입구를 통해 실린더 내로 공급되는 작동 오일의 유동이 원활하지 못할 뿐더러, 정밀한 제어가 불가능하기에, 피스톤 로드를 유동시키기 위한 작동 오일의 양에 구애받지 않는 유로를 형 성하고, 이로 인해 증압기의 증압에 대한 정밀제어가 가능한 유압공급구조를 가진 증압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증압기 내 저압실린더로 공급되는 동작 오일을 상기 저압실린더의 외주연에서 링 또는 원형의 형태로 저압실린더 내부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유로형 주입구조를 가지는 정밀제어가 가능한 오일공급구조를 가지는 증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유로형 주입구조를 위해, 상기 저압실린더 전, 후단 외주연에 형성된 제 1, 2유입부에 대응되어 연통되는 서브공급로를 매니폴드 블럭을 형성하되, 상기 저압실린더와 매니폴드 블럭 상호간이 착탈가능토록 한 정밀제어가 가능한 오일공급구조를 가지는 증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증압되어 배출되는 압력을 정밀제어할 수 있도록 한 정밀제어가 가능한 오일공급구조를 가지는 증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고압실린더와; 상기 고압실린더의 일단에 연통결합되며, 전, 후단 외주연에 제 1, 2유입부가 각각 형성되는 저압실린더와; 상기 고압실린더와 저압실린더에 내설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저압실린더를 내설하여 제 1유입부 또는 제 2유입부에 동작 오일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피스톤 로드가 좌, 우로 이동되도록 하는 매니폴드 블럭;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2유입부는 상기 저압실린더의 외주연에 파여져 유로를 형성되는 유입로와, 상기 유입로 내에 등간격 이격되며 천공형성되는 다수개의 유입공으로 각각 구성되어, 상기 다수개의 유입공을 통해, 동작 오일이 저압실린더 내부로 균일하게 퍼지며 원형으로 압력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니폴드 블럭은 동작 오일이 주입되는 메인 공급로와, 상기 저압실린더가 내설되는 내입공과; 상기 메인 공급로와 연통되고, 복수개의 유입로와 각각 대응되도록 내입공에 형성되어 동작 오일의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서브 공급로;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스톤 로드는 상기 고압실린더에 길이방향으로 내입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일단에 연결되어 저압실린더에 내입되며, 상기 제 1, 2유입부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동작 오일에 의해 좌, 우로 이동되는 피스톤;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압실린더는 상기 저압실린더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피스톤 로드가 고압실린더 측으로 이동하면서 압력이 증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압실린더는 상기 고압실린더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고압실린더와 저압실린더 상호간의 체결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압실린더와 매니폴더 블럭은 상호간 착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압기의 양단에는 프론트 커버와 리어 커버가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압실린더는 상기 저압실린더의 일단에 연결되는 고압실린더와 프론트 커버 및 상기 저압실린더의 타단에 연결되는 리어 커버와 각각 다수개의 타이 볼트로 체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압실린더 및 저압실린더를 내설하는 매니폴드 블럭을 분리형으로 구성하여, 상기 저압실린더 외주연에 동작 오일이 유동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압실린더의 전, 후단 외주연에 원형으로 파여지는 복수개의 유입로를 통해 동작 오일이 유동되고, 유동된 동작 오일은 유입로 내 다수개의 유입공을 통해 저압실린더 내부에 링 또는 원형의 형태로 고루 퍼지며 공급됨으로써, 상기 공급된 동작 오일에 의해 피스톤 로드를 좌, 우로 정밀하게 제어하여, 결론적으로, 증압되어 배출되어지는 압력을 정밀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 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밀제어가 가능한 오일공급구조를 가지는 증압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밀제어가 가능한 오일공급구조를 가지는 증압기는 증압기 내에 공급되는 동작 오일을 링 형태로 분사공급함으로써 증압되어지는 유압을 정밀제어할 수 있도록 한 정밀제어가 가능한 오일공급구조를 가지는 증압기이며, 고압실린더(10), 저압실린더(20), 피스톤 로드(30), 매니폴드 블럭(Manifold Block, 40), 프론트 커버(Front Cover, 50), 리어 커버(Rear Cover, 60)를 포함한다.
상기 고압실린더(10)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내경(D1)을 가지는 동공(H1)을 형성하는 관 형상이며, 후술될 저압실린더(20)와의 결합을 위해, 일단 외주연에 수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저압실린더(20)와 나사 체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압실린더(10)는 동공(H1)을 기준으로, 상기 동공(H1)의 외측에서 등간격 이격되며 길이방향으로 천공형성되는 체결공(11)을 다수개 형성하도록 한다. (후술 될 저압실린더(20), 프론트 커버(50), 리어 커버(60)에도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의 체결공(11)과 대응되는 체결공을 다수개 천공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저압실린더(20)는 고압실린더(10)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동공(H2)을 형성하는 관 형상이되, 상기 고압실린더(10)의 내경(D1)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내경(D2)을 가지도록 하며, 상기 고압실린더(10)와 결합되는 일단의 내경 내주연에 상기 수나사산과 대응되어 나사체결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저압실린더(20)는 고압실린더(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D3)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저압실린더(20)와 고압실린더(10) 상호간이 체결시, 증압기 내의 후술 될 피스톤 로드(30)가 좌, 우로 이동하여 증압되는 압력에 의해, 상호간의 체결이 느슨해지거나 풀리지 않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저압실린더(20)의 일단측 외주연 및 타단측 외주연에는 제 1, 2유입부(21a, 21b)를 형성하여 저압실린더(20) 내부로 유입되는 동작 오일(연료, 유압)이 유동되도록 하는데, 상기 제 1, 2유입부(21a, 21b) 각각은 내측을 향해 링(원형) 형태로 파여져 유로를 형성하는 유입로(22)와, (설명상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1유입부(21a)를 저압실린더(20)의 전단, 제 2유입부(21b)를 저압실린더(20)의 후단에 형성함을 기준으로 하겠다.) 상기 유입로(22)에 내측에서 등간격 이격되며 원형 형태로 천공형성되는 다수개의 유입공(23)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상기 제 1유입부(21a)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 1유입부(21a)의 파여진 유입로(22)로 동작 오일이 공급되면, 상기 동작 오일은 링 형태의 유입로(22)를 따라 원형으로 유동되되, 상기 유입로(22)에 천공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유입공(23)을 통해 저압실린더(20) 내부에 원형의 형태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는 제 2유입부(21b)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피스톤 로드(30)는 로드(31)와 피스톤(32)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압실린더(10) 및 저압실린더(20) 내에서 좌, 우로 이동되어 공급된 유압을 증압시키는 것으로,
상기 로드(31)는 일단이 고압실린더(10)의 내부 동공(H1)에 내입되어 있는 형태이고, 타단에는 피스톤(32)이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피스톤(32)은 로드(31)의 타단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 저압실린더(20) 내부 동공(H2)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선술된 제 1, 2유입부(21a, 21b)는 피스톤(32)을 기준으로, 피스톤(32)의 전, 후단에서 동작 오일이 압력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제 1유입부(21a)를 통해 동작 오일이 공급되면 피스톤(32)이 제 2유입부(21b)측으로 이동되어 피스톤 로드(30)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 2유입부(21b)를 통해 동작 오일이 압력 공급되면 피스톤(32)이 제 1유입부(21a)측으로 이동되어 피스톤 로드(30)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시말해, 제 2유입부(21b)측으로 유압을 공급하면, 내경(D2)이 큰 저압실린더(20) 측에서 내경(D1)이 작은 고압실린더(10) 측으로 피스톤 로드(30)가 이동하게 되어 고압실린더(10) 내부의 압력이 증압되는 것으로, 이때 발생되는 압력비는 저압실린더(20)의 내경이 D2이고, 고압실린더(10)의 지름이 D1라 가정하면, 증압압력비는 (D2/D1)의 제곱과 같다.)
상기 매니폴드 블럭(40)은 선술된 저압실린더(20)에 형성된 제 1, 2유입부(21a, 21b)에 선택적으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저압실린더(20)의 외주연에 결합된다. 또한, 유압공급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있는 서보밸브(Servo Valve, 91)가 후술 될 메인 공급로(42)와 연통되어 동작 오일을 공급받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매니폴드 블럭(40)은 길이방향으로 향해 내입공(41)을 천공형성하여, 상기 내입공(41)에 저압실린더(20)가 내입하여 체결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또한, 내입공(41)의 내주연 전, 후단에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원형으로 파여지는 서브 공급로(43)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복수개의 서브 공급로(43)는 제 1, 2유입부(21a, 21b)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한다.
즉, 매니폴드 블럭(40)의 상단에 천공형성된 메인 공급로(42)로부터 유압(동작 오일)이 공급되면, 상기 공급된 유압은 메인 공급로(42)를 통해 매니폴드 블럭(40)의 전, 후단에 형성된 원형 형태의 서브 공급로(43)로 유동하게 된다. (이는 상기 서브 공급로(43)와 상호 대응되는 유입로(22)로 유압이 유동하게 된다고 설명하여도 동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매니폴드 블럭(40)에 저압실린더(20)가 내설되는 순간, 상기 서브 공급로(43)와 유입로(22)가 대응되며 링 형태의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프론트 커버(50)와 리어 커버(60)는 증압기의 전, 후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프론트 커버(50)는, 일단에 저압실린더(20)를 결합하고 있는 고압 실린더(10)의 타측에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고압실린더(10)의 내부 동공(H1)과 연통되는 배출공(51)이 천공형성되어, 상기 고압실린더(10)에서 증압된 유압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리어 커버(60)는 일단에 고압실린더(10)를 결합하고 있는 저압실린더(20)의 타측에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리어 커버(60)의 외측에는 리어 커버(60)를 관통하여 피스톤 로드(30)의 중심에 일단이 일정길이 내입되는 LVDT(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전기 마이크로미터, 70)가 장착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30)의 행정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프론트 커버(50), 고압실린더(10), 저압실린더(20) 상호간 및 저압실린더(20)와 리어 커버(60)는 상호간 대응되는 다수개의 체결공(11)에 타이 볼트(Tie Bolt, 80)가 끼워지고, 상기 타이 볼트(80)의 전, 후단에 너트를 결합하여 상기 구성요소간이 체결되도록 한다.
더불어, 각 구성요소간, 예를 들어, 프론트 커버(50)와 고압실린더(10), 고압실린더(10)와 저압실린더(20), 저압실린더(20)와 리어 커버(60)의 상호간 체결시 오링(O-Ring)이 개재되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증압기 내로 공급되는 동작 오일이 누수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압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내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커버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실린더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 로드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압실린더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니폴드 블럭을 나타내 일실시예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커버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LVDT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매니폴드 블럭과 저압실린더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표시>
10: 고압실린더 11: 체결공
20: 저압실린더 21a: 제 1유입부
21b: 제 2유입부 22: 유입로
23: 유입공 30: 피스톤 로드
31: 로드 32: 피스톤
40: 매니폴드 블럭 41: 내입공
42: 메인 공급로 43: 서브 공급로
50: 프론트 커버 51: 배출공
60: 리어 커버 70: LVDT
80: 타이 볼트 91: 서보밸브

Claims (9)

  1. 고압실린더(10)와;
    상기 고압실린더(10)의 일단에 연통결합되며, 전, 후단 외주연에 제 1, 2유입부(21a, 21b)가 각각 형성되는 저압실린더(20)와;
    상기 고압실린더(10)와 저압실린더(20)에 내설되는 피스톤 로드(30)와;
    상기 저압실린더(20)를 내설하여 제 1유입부(21a) 또는 제 2유입부(21b)에 동작 오일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피스톤 로드(30)가 좌, 우로 이동되도록 하는 매니폴드 블럭(4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2유입부(21a, 21b)는 상기 저압실린더(20)의 외주연에 파여져 동작 오일이 공급되는 유로를 형성되는 유입로(22)와, 상기 유입로(22) 내에 등간격 이격되어 천공형성되는 복수개의 유입공(23)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매니폴드 블럭(40)은 동작 오일이 주입되는 메인 공급로(42)와, 상기 저압실린더(20)가 내설되는 내입공(41)과, 상기 메인 공급로(42)와 연통되고 상기 유입로(22)와 각각 대응되도록 내입공(41)에 형성되어 동작 오일의 유로를 형성하는 서브 공급로(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제어가 가능한 오일공급구조를 가지는 증압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30)는
    상기 고압실린더(10)에 길이방향으로 내입되는 로드(31)와;
    상기 로드(31)의 일단에 연결되어 저압실린더(20)에 내입되며, 상기 제 1, 2유입부(21a, 21b)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동작 오일에 의해 좌, 우로 이동되는 피스톤(32);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제어가 가능한 오일공급구조를 가 지는 증압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실린더(10)는
    상기 저압실린더(2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D1)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피스톤 로드(30)가 고압실린더(10) 측으로 이동하면서 압력이 증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제어가 가능한 오일공급구조를 가지는 증압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실린더(20)는
    상기 고압실린더(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D3)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고압실린더(10)와 저압실린더(20) 상호간의 체결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제어가 가능한 오일공급구조를 가지는 증압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실린더(20)와 매니폴더 블럭(40)은
    상호간 착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제어가 가능한 오일공급구조 를 가지는 증압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압기의 양단에는 프론트 커버(50)와 리어 커버(60)가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제어가 가능한 오일공급구조를 가지는 증압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실린더(20)는
    상기 저압실린더(20)의 일단에 연결되는 고압실린더(10)와 프론트 커버(50) 및 상기 저압실린더(20)의 타단에 연결되는 리어 커버(60)와 각각 다수개의 타이 볼트(80)로 체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제어가 가능한 오일공급구조를 가지는 증압기.
KR1020090053310A 2009-06-16 2009-06-16 정밀제어가 가능한 오일공급구조를 가지는 증압기 KR101109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310A KR101109539B1 (ko) 2009-06-16 2009-06-16 정밀제어가 가능한 오일공급구조를 가지는 증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310A KR101109539B1 (ko) 2009-06-16 2009-06-16 정밀제어가 가능한 오일공급구조를 가지는 증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938A KR20100134938A (ko) 2010-12-24
KR101109539B1 true KR101109539B1 (ko) 2012-01-31

Family

ID=43509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310A KR101109539B1 (ko) 2009-06-16 2009-06-16 정밀제어가 가능한 오일공급구조를 가지는 증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95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55657A (zh) * 2019-10-18 2021-05-28 廖富爱 一种大直径液压油缸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5621B1 (ko) * 1996-08-17 1999-10-15 예스퍼 이베르젠 유체 특히 수증기에 대한 증압기
KR20000055500A (ko) * 1999-02-06 2000-09-05 밍 루 동력조향장치의 로터리밸브
WO2001042662A1 (en) * 1999-12-07 2001-06-14 Industriellt Utvecklingscenter Dalarna Ab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hydraulic pressure
KR100580570B1 (ko) * 2003-11-17 2006-05-16 주마로 고압형 유체 정량공급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5621B1 (ko) * 1996-08-17 1999-10-15 예스퍼 이베르젠 유체 특히 수증기에 대한 증압기
KR20000055500A (ko) * 1999-02-06 2000-09-05 밍 루 동력조향장치의 로터리밸브
WO2001042662A1 (en) * 1999-12-07 2001-06-14 Industriellt Utvecklingscenter Dalarna Ab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hydraulic pressure
KR100580570B1 (ko) * 2003-11-17 2006-05-16 주마로 고압형 유체 정량공급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938A (ko) 201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65935B1 (en) Pump pulsation discharge dampener system
DK179118B1 (en) Cylinder lubrication apparatus for a large two-stroke compression-ignit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9486849B2 (en) Double-action extrusion press
EP1790848A3 (en) Fuel injection device
EP2388470A1 (en) Fuel pump for a direct injection system
KR101109539B1 (ko) 정밀제어가 가능한 오일공급구조를 가지는 증압기
CN105283644A (zh) 用于控制流体到系统的供给以允许流体消耗最优化的设备
JP2011083719A (ja) 間欠塗工装置
KR100219358B1 (ko) 실린더식가공장치
KR100887621B1 (ko) 유압프레스
KR101110812B1 (ko) 증압기의 체결구조
EP1329269B1 (de) Innenhochdruck-Umformvorrichtung und Verwendung derselben
CN104196813A (zh) 一种用于高速压铸机的快速合模油缸
KR101564684B1 (ko) 디젤인젝터노즐용 니들분해지그
KR100219357B1 (ko) 실린더식가공장치
CN110740798B (zh) 燃料喷射系统过滤器
KR102381382B1 (ko) 중심 설정 장치가 구비된 가이드 베어링을 갖는 타격 장치
ATE518064T1 (de) Hydraulische steuervorrichtung
EP2148982B1 (en) Fuel storage in a fuel feed system
CN102734021B (zh) 高压流体轨
CN203962545U (zh) 一种用于高速压铸机的快速合模油缸
CN105003473A (zh) 一种高压液压增压装置
JP2013133913A (ja) 流体圧シリンダ
US20160076560A1 (en) Fluid pressure cylinder
WO2015183278A1 (en) High-pressure pump for a fuel injection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