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9426B1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bamboo distillate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bamboo distillat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9426B1
KR101109426B1 KR1020090011581A KR20090011581A KR101109426B1 KR 101109426 B1 KR101109426 B1 KR 101109426B1 KR 1020090011581 A KR1020090011581 A KR 1020090011581A KR 20090011581 A KR20090011581 A KR 20090011581A KR 101109426 B1 KR101109426 B1 KR 101109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ce
bamboo
carbonization
carbonization chamber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5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92285A (en
Inventor
신현재
김선일
권세환
Original Assignee
담양군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담양군,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담양군
Priority to KR1020090011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426B1/en
Publication of KR20100092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2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4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접 가열방식으로 죽력을 추출할 수 있는 죽력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세절된 대나무를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하면에 죽력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부를 구비한 복수 개의 죽력 추출 용기; 복수 개의 죽력 추출 용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탄화실과, 죽력 추출 용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탄화실의 각각에 설치되는 가열부재와, 죽력 추출 용기에서 추출되는 죽력을 받을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탄화실의 각각의 하부에 설치된 죽력 받이, 및 복수 개의 탄화실의 죽력 받이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연결 파이프를 구비하는 죽력 추출로; 연결 파이프와 연결되며, 복수 개의 죽력 추출 용기에서 추출된 죽력을 냉각하는 죽력 냉각장치; 및 죽력 추출로의 복수 개의 탄화실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ure R1020090011581

죽력, 죽력 추출로, 간접 가열, 죽력 냉각장치, 연결 파이프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ce production apparatus capable of extracting bamboo force by an indirect heating method, comprising: a plurality of force extraction vessels formed to accommodate fine bamboo, and having a discharge portion on which a lower force can be discharged; A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s configured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force extraction containers, a heating member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s to heat the pressure extraction container, and a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s to receive the force extracted from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A force extraction furnace having a force receiver installed at each lower portion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and a connection pipe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force receivers of the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s; A force chiller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ipe and cooling the force extracted from the plurality of force extraction containers;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temperatures of the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s of the force extraction furnace.

Figure R1020090011581

Force, force extraction furnace, indirect heating, force chiller, connecting pipe

Description

죽력 제조장치 및 죽력 제조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bamboo distillates}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bamboo distillates

본 발명은 죽력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접 가열 방식의 죽력 추출로를 포함하는 죽력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죽력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duction apparatus for a thrust for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hrust force production apparatus including a force extraction furnace of an indirect heating method, and a thrust force production method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죽력은 대나무 줄기에 열을 가하는 경우 대나무 줄기에서 진액의 형태로 흘러내리는 액체를 말한다. 죽력은 청황색 또는 황갈색의 액즙으로 투명하고 탄내가 나며, 투명하고 윤기가 있는 것이 좋은 제품이다. 이와 같은 죽력은 중풍에 의한 반신 불수에 긴요하게 쓰이며, 담을 멎게 하고 뇌졸증으로 인한 장애와 팔다리가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활용되어 왔다. 또한 눈을 밝게하고 인체의 모든 감각 기관과 배설 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등 죽력은 그 활용도가 매우 다양하다.In general, the killing force refers to a liquid flowing down from the bamboo stem in the form of a essence when the bamboo stem is heated. Bamboo is a yellowish or yellowish brown juice that is transparent and tanned, and transparent and shiny. This type of death is critical for paraplegia caused by paralysis, and has been used to soothe the walls and treat stroke disorders and limb soreness. In addition, the ability to brighten the eyes and smooth all the senses and excretory functions of the human body has a variety of uses.

이와 같은 죽력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옛부터 내려오는 전통적인 죽력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tradi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eath force from the old as a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death force is as follows.

우선, 대나무를 세절(細切)한 후, 이를 옹기에 촘촘히 넣고, 옹기 입구를 천으로 막는다. 다음에, 다른 옹기를 그 옹기의 입구가 땅 속에 들어갈 정도의 깊이 로 땅에 묻는다. 그 후, 세절된 대나무를 넣은 옹기를 뒤짚어서 양 쪽 옹기의 입구가 맞닿도록 땅속에 파 묻은 다른 옹기와 입구를 맞추어 세운다. 그리고, 황토를 물에 개어서 땅 위로 나온 옹기의 결합부를 완전히 봉한다. 마지막으로 옹기 주위에 왕겨를 다량 쌓은 다음 이 왕겨에 불을 지핀다. 그러면, 열을 받은 대나무로 부터 죽력이 추출되어 땅에 파묻은 옹기로 유입되게 된다. First, the bamboo is chopped, and then it is tightly put in the pot, and the inlet of the pot is closed with a cloth. Next, the other pottery is buried in the ground so deep that the entrance of the pottery enters the ground. After that, the pottery with the shredded bamboo is rolled up and aligned with the other pottery buried in the ground so that the entrances of both pots abut. Then, the ocher is opened in water to completely seal the union of the pottery on the ground. Finally, a large amount of rice hulls are piled around the onggi and then the fire is lit. Then, the bamboo force is extracted from the heated bamboo and flows into the pot.

그러나 이와 같은 전통적인 죽력의 제조방법은 자연 상태 하에서 왕겨에 불을 붙여 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주위 온도나 바람의 세기 등 외부의 환경 요인에 따라 죽력이 제조되는 옹기의 내부 온도가 변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전통적인 죽력의 제조 방법에서는 죽력이 제조되는 용기의 내부 온도를 인위적으로 제어할 수 없었다. 옹기의 내부 온도를 제어하지 못하면, 옹기의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전통적인 죽력의 제조방법으로 품질이 일정한 죽력을 얻는 것이 곤란하였다.However, since the tradi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mboo force heats the chaff in a natural state to generate he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Onggi is produced according to the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ambient temperature or wind strength. In other words,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orc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in which the force is manufactured cannot be controlled artificially. If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pot is not controlle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pot may not be kept constant. Therefore, it was difficult to obtain a constant force of quality by the tradi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orce.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죽력이 제조되는 용기의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죽력 제조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제조 용기의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죽력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의 일 예가 특허공개번호 제10-2006-0017325호에 기재되어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force production apparatus has been developed that can maintain a constant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in which the force is manufactured. An example of a force production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which can maintai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such a manufacturing container are describ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17325.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죽력 제조장치(1)는, 내부 용기(10), 외부 용기(20), 죽력 유입 용기(30), 반응 용기(40) 및 온도 제어 장치(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force produc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n inner vessel 10, an outer vessel 20, a force inflow vessel 30, a reaction vessel 40, and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50. Include.

내부 용기(10)에는 세절된 대나무(A)가 수납되며, 외부 용기(20)에는 발열 부(21)가 설치되어 있어 외부 용기(20)의 내부를 일정한 온도로 상승시켜 유지할 수 있다. 죽력 유입 용기(30)는 외부 용기(20)의 바닥에 설치되며, 내부 용기(10)는 입구(11)가 아래로 향하도록 뒤집어진 상태로 외부 용기(20)의 내부에 죽력 유입 용기(30)의 상부에 설치된다. 내부 용기(10)와 죽력 유입 용기(30)가 장착된 외부 용기(20)는 반응 용기(40) 속에 장착된다. 그 후, 온도 제어 장치(50)를 통해 외부 용기(20)의 발열부(21)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면, 내부 용기(10)에 수납된 대나무(A)로부터 죽력이 추출되어 죽력 유입 용기(30)에 모이게 된다.The inner container 10 is housed in finely divided bamboo (A), the outer container 20 is provided with a heat generating portion 21 can maintain the inside of the outer container 20 to a certain temperature. The force inlet container 30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outer container 20, and the inner container 10 is the inlet container 30 inside the outer container 20 with the inlet 11 facing down. ) Is installed on top of it. The outer vessel 20 equipped with the inner vessel 10 and the force inlet vessel 30 is mounted in the reaction vessel 40. Thereafter, when the heat generating portion 21 of the outer container 20 is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rough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50, the death force is extracted from the bamboo A stored in the inner container 10, and the death inflow container ( 30).

이와 같은 죽력 제조장치(1)는 온도 제어 장치(50)와 발열부(21)를 이용하여 내부 용기(10)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Such a force production apparatus 1 can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of the inner container 10 by using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50 and the heat generating unit (21).

그러나, 이와 같은 죽력 제조장치(1)는 세절된 대나무(A)가 수납된 내부 용기(10)를 외부 용기(20)에 꺼꾸로 장착해야 하므로 작업이 어렵고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내부 용기(10)와 죽력 유입 용기(30)를 외부 용기(20)에 장착한 후 다시 외부 용기(20)를 반응 용기(40)에 장착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복잡하고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부 용기(10)에 수납된 대나무(A)로부터 죽력의 추출이 완료되면, 반대로 외부 용기(20)를 반응 용기(40)에서 꺼낸 후, 내부 용기(10)와 죽력 유입 용기(30)를 외부 용기(20)에서 차례로 꺼내야 죽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죽력 제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force production apparatus 1 ha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is difficult and inconvenient because the inner container 10 in which the shredded bamboo (A) is housed upside down to be mounted on the outer container 20, and furthermore, the inner container ( 10) and the force inlet vessel 30, after mounting the outer container 20, the outer container 20 to be mounted again to the reaction vessel 40,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is complicated and inconvenient. In addition, when the extraction of the bamboo force from the bamboo (A) accommodated in the inner container 10 is completed, on the contrary, after removing the outer container 20 from the reaction container 40, the inner container 10 and the death inlet container 30 It is necessary to take out from the outer container 20 in order to obtain a killing force has a problem that takes a long time to manufacture the killing for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전통적인 죽력 제조방법과 같이 불꽃이 대나무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 간접 가열방식을 사용하면서도 대나무의 가열온도를 임의로 제어할 수 있고, 많은 양의 죽력을 쉽게 추출할 수 있으며, 죽력의 추출작업이 용이한 죽력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heating temperature of bamboo arbitrarily while using an indirect heating method in which the flame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bamboo, as in the conventional manufacturing method of bamboo,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strong force that can be easily extracted and easy to extract the forc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세절된 대나무를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하면에 죽력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부를 구비한 복수 개의 죽력 추출 용기; 상기 복수 개의 죽력 추출 용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탄화실과, 상기 죽력 추출 용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탄화실의 각각에 설치되는 가열부재와, 상기 죽력 추출 용기에서 추출되는 죽력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탄화실의 각각의 하부에 설치된 죽력 받이, 및 상기 복수 개의 탄화실의 상기 죽력 받이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연결 파이프를 구비하는 죽력 추출로; 상기 연결 파이프와 연결되며, 상기 복수 개의 죽력 추출 용기에서 추출된 죽력을 냉각하는 죽력 냉각장치; 및 상기 죽력 추출로의 상기 복수 개의 탄화실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죽력 제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finely divided bamboo, a plurality of force extraction container having a discharge portion to discharge the force on the lower surface; A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s formed to accommodate the plurality of force extraction containers, a heating member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s so as to heat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and a force extracted from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A force extraction furnace having a force receiver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s, and a connection pipe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force receivers of the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s; A force cooling devic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and cooling the force extracted from the plurality of force extraction containers; And a control device formed to control the temperatures of the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s of the force extraction furnace.

이때, 상기 복수 개의 탄화실의 각각에는 온도센서가 더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a temperature sensor may be further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s.

또한,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탄화실의 측벽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heating member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또한, 상기 탄화실은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탄화실의 4개의 측벽에 각각 설치되는 4개의 시즈히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4개의 시즈 히터 중 2개의 히터는 병렬로 연결되고, 다른 2개의 히터는 스타결선으로 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rbonization chamber is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the heating member preferably includes four sheath heaters respectively provided on four sidewalls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At this time, two of the four sheath heaters are connected in parallel, the other two heaters can be combined in a star connection.

또한, 상기 죽력 냉각장치는 쉘튜브형 냉각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rce cooling device may include a shell tube type cooling device.

이때, 상기 죽력 냉각장치는 냉각수를 사용하며, 상기 냉각수는 원통형의 쉘 하부에서 인입되어 상부로 배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orce cooling device uses a cooling water, the cooling water may be formed to be drawn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shell and discharged to the upper portion.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탄화실의 온도를 일정 시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is preferably formed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of the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 for a predetermined time.

이때, 상기 제어장치는 비례적분미분(PID; Proportional Integral Derivative)제어로 상기 탄화실의 온도를 제어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control device is preferably formed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by Proportional Integral Derivative (PID) control.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탄화실 사이에는 단열제가 설치되며, 상기 단열제로는 세라크울(Cerakwool)과 미나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n insula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 it is preferable to use cerakwool (Cerakwool) and minaral as the insulatio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세절된 대나무를 죽력 추출 용기에 수납하는 단계; 상기 죽력 추출 용기를 죽력 추출로의 탄화실에 적재하는 단계; 상기 탄화실의 온도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탄화실이 상기 온도 조건을 유지하도록 상기 탄화실에 설치된 가열부재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세절된 대나무에서 추출되는 죽력이 상기 죽력 추출 용기의 하부로 배출되어 연결 파이프를 통해 죽력 냉각장치로 이동되는 단계; 및 상기 죽력이 냉각된 상태로 상기 죽 력 냉각장치에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죽력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tep of receiving the shredded bamboo in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Loading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into a carbonization chamber of the force extraction furnace; Setting a temperature condition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Controlling a heating member installed in the carbonization chamber so that the carbonization chamber maintains the temperature condition; A step of extracting the bamboo force extracted from the shredded bamboo is discharg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mboo extraction vessel and moved to the bamboo cooling apparatus through a connecting pipe; And it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method for producing a force comprising a; the pressure is discharged from the pressure cooling device in a cool state.

이때, 상기 탄화실의 온도 조건은 목표 온도와 상기 목표 온도의 유지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emperature condition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may include a target temperature and a holding time of the target temperature.

또한, 상기 탄화실에 설치된 가열부재를 제어하는 단계는, 비례적분미분(PID; Proportional Integral Derivative) 제어로 상기 탄화실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ontrolling of the heating member installed in the carbonization chamber,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by Proportional Integral Derivative (PID) control.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죽력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의하면, 죽력 추출 용기의 외부에 설치된 가열부재를 통해 죽력 추출 용기에 수납된 대나무를 가열하므로 전통적인 제조방법과 같이 대나무를 불꽃에 직접 접촉시키지 않는 간접 가열방식으로 죽력을 추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bamboo is stored in the bamboo extracting container through a heating member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bamboo extracting container to heat the bamboo as in the traditional manufacturing method The dead force can be extracted by indirect heating without direct contact with the flam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죽력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의하면, 제어장치를 통해 죽력 추출 용기가 설치된 탄화실을 일정 온도까지 상승시키고 일정 시간 그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죽력의 제조과정이 외부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 품질의 죽력을 생산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orce prod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aise the carbonization chamber in which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is installed to a certain temperature and maintain the temperature for a predetermined time through the control device,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orce It can produce a certain quality of force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죽력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의하면, 죽력 추출로에 복수 개의 죽력 추출 용기를 장착할 수 있고, 복수 개의 죽력 추출 용기에서 추출되는 죽력이 연결 파이프를 통해 한 곳으로 모이므로 간편하게 대량의 죽력을 생산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orce prod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stall a plurality of force extraction container in the force extraction furnace, where the force to be extracted from the plurality of force extraction vessels through a connecting pipe As a result, they can easily produce large amounts of bamboo.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죽력 제조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for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mponent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etailed illustration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죽력 제조장치(1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죽력 제조장치(100)에 사용되는 죽력 추출 용기(110)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rce produ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used in the force production apparatus 100 of FIG. .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죽력 제조장치(100)는 복수 개의 죽력 추출 용기(110), 죽력 추출로(120), 죽력 냉각장치(170), 제어장치(18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2, the force produ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the force extraction furnace 120, the force cooling device 170, the controller 180 Include.

복수 개의 죽력 추출 용기(110)는 추출할 대나무(A)가 담기는 용기로서, 죽력 추출로(120)의 복수 개의 탄화실(121)에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죽력 추출 용기(110)가 죽력 추출로(1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죽력 제조장치(100)를 동작시키면, 대나무(A)의 탄화반응이 죽력 추출 용기(110)의 내부에서 발생하여 대나무 증기 또는/및 대나무 액 (이하, 기체상 또는 액체상 죽력이라 함)이 생성된다. 따라서, 죽력 추출 용기(110)는 그 하면에 대나무(A)에서 추출된 기체상 또는 액체상의 죽력이 배출되는 배출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부(1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관통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force extraction containers 110 are containers containing bamboo A to be extracted, and are formed to be mounted on the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s 121 of the force extraction furnace 120. When the force extraction device 110 operates the force production apparatus 100 in a state in which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is mounted, the carbonization reaction of bamboo (A) occurs inside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to generate bamboo steam or And / or bamboo liquid (hereinafter referred to as gas phase or liquid phase force). Therefore, the discharg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discharge portion 111 for discharging the gas or liquid phase force extracted from the bamboo (A). The discharge part 111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s shown in FIG. 3.

또한, 죽력 추출 용기(110)의 상단은 세절된 대나무(A)를 내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투입구(112)가 형성된다. 투입구(112)는 대나무(A)의 수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가능하면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죽력 추출 용기(110)의 상단에는 투입구(112)를 덮어 죽력 추출 용기(110)의 투입구(112)를 밀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 용기 뚜껑(115)이 설치된다. 용기 뚜껑(115)은 죽력 추출 용기(110) 내부에서 대나무(A)의 탄화반응이 일어날 때, 발생하는 증기에 의해 열리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뚜껑(115)과 죽력 추출 용기(110)의 고정방법은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방법 등 압력 용기에 사용되는 다양한 고정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the top of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is formed with an inlet 112 to accommodate the cut bamboo (A) inside. The inlet 112 is preferably formed as large as possible to facilitate the storage of the bamboo (A). The container lid 115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to cover the inlet 112 to seal the inlet 112 of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The container lid 115 is preferably firmly fixed so as not to be opened by steam generated when the carbonization reaction of bamboo A occurs inside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As a method of fixing the container lid 115 and the force extracting container 110, various fixing methods used for pressure vessels, such as a method of fixing using bolts and nuts, may be used,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죽력 추출 용기(110)는 세절된 대나무(A)를 수납할 수 있는 형상이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따라서, 죽력 추출 용기(110)는 하면에 평행하게 절단한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죽력 추출 용기(110)의 하면에 평행한 단면이 대략 정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죽력 추출 용기(110)에는 운반의 편의를 위해 투입구(112)에 호이스트로 걸수 있는 운반용 바(113)를 2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용기 뚜껑(115)에도 죽력 추출 용기(110)의 운반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운반용 손잡이 또는 후크고리 등을 설치할 수 있다.The force extracting container 11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s long as the shape can accommodate the cut bamboo A, but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shown in FIG. 3. Therefore,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is formed so that the cross section cut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3, the cross section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orce extracting container 11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square shap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wo transport bars 113 that can be hooked to the inlet 112 by a hoist for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in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As another example, although not shown, the container lid 115 may be provided with a carrying handle or hook ring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of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또한, 죽력 추출 용기(110)는 내식성이 좋은 스테인레스 스틸(SUS)로 형성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SUS 304 스테인레스 강판을 사용하여 죽력 추출 용기(110)를 형성하였다.In addition,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is preferably formed of stainless steel (SUS) having good corrosion resistanc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was formed using SUS 304 stainless steel sheet.

죽력 추출로(120)는 죽력 추출 용기(110)의 외면을 가열하여 죽력 추출 용기(110) 내부의 대나무(A)에서 탄화반응이 일어나 죽력이 추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죽력 제조장치(100)에서는 대나무(A)가 직접 불꽃과 접촉하지 않는 간접 가열방식으로 대나무를 탄화시켜 죽력을 생산한다. The force extraction furnace 120 is to heat the outer surface of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so that carbonization reaction occurs in the bamboo (A) inside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to extract the death force. Therefore, in the bamboo produ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mboo (A) carbonizes bamboo by an indirect heating method in which no direct contact with the flame produces bamboo.

이와 같은 죽력 추출로(120)는,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죽력 추출 용기(1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탄화실(12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죽력 추출로(120)는 3개의 탄화실(121)을 구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적절한 수의 탄화실(121)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탄화실(121)의 형상은 죽력 추출 용기(110)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3과 같은 직육면체 형상의 죽력 추출 용기(1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탄화실(121)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공간으로 형성된다. 또한, 탄화실(121)의 측벽(121a)의 하단에는 죽력 추출 용기(1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지지 돌기(125)가 설치된다. 따라서, 죽력 추출 용기(110)가 탄화실(121)에 삽입되면, 죽력 추출 용기(110)의 하면이 복수 개의 지지 돌기(125)에 의해 지지된다. 복수 개의 탄화실(121) 사이에는 열의 전도를 차단하도록 단열부재(122)가 설치된다. 단열부재(122)로는 세라크울(Cerakwool)이나 미나랄 등과 같은 단열성이 좋은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2, 4 and 5, such a force extraction path 120 includes a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s 121 formed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force extraction containers 110. The thrust extraction furnac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ree carbonization chambers 121,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 appropriate number of carbonization chambers 121 may be installed as necessary.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may be formed in a space of various shapes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is formed as a space having a rectangular or square cross section so as to accommodate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as shown in FIG. 3. In addition,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125 ar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121a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to support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Therefore, when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is inserted into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the lower surface of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is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125. An insulating member 122 is insta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s 121 to block conduction of heat. As the heat insulating member 122, a material having good heat insulating properties such as cerakool or minaral may be used.

복수 개의 탄화실(121)의 각각의 상단에는 탄화실 뚜껑(140)이 설치된다. 탄 회실 뚜껑(140)은 죽력 추출 용기(110)를 탄화실(121)에 장착하고 탈착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탄화실 뚜껑(140)은 탄화실(121)에 장착된 죽력 추출 용기(110)를 가열할 때, 탄화실(121)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탄화실(121)을 밀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탄화실 뚜껑(140)은 외부의 온도에 의해 탄화실(121) 내부 온도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단열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부재는 탄화실(121)을 형성하는 단열부재(122)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A carbonization chamber lid 140 is installed at each upper end of the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s 121. The bullet chamber lid 140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so that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can be mounted on and detached from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In addition, the carbonization chamber lid 140 may seal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so as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inside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when heating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mounted in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It is formed to be. In addition, the carbonization chamber lid 140 is preferably formed of a heat insulating member so that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is not affected by the external temperature. The heat insulating member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heat insulating member 122 forming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복수 개의 탄화실(121) 각각에는 죽력 추출 용기(110)를 가열할 수 있도록 가열부재(123)가 설치된다. 가열부재(123)는 탄화실(121)에 장착되는 죽력 추출 용기(110)를 소정의 온도까지, 죽력 추출 용기(110)의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열 발생장치들이 가열부재(123)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가열부재(123)로서 시즈 히터(Sheath heater)를 사용하였으며, 4개의 시즈 히터(123)를 각각 탄화실(121)의 4개의 측벽(121a)에 설치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4개의 시즈 히터(123)가 탄화실(121)의 측벽(121a)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측벽(121a)에 매설된 형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시즈 히터(123)를 탄화실(121)의 측벽(121a)에 매설하면, 죽력 추출 용기(110)를 탄화실(121)에 장착하거나 탈착할 때, 시즈 히터(123)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시즈 히터(123)를 탄화실(121)의 측벽(121a)에 매설하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탄화실(121)의 측벽(121a)과 죽력 추출 용기(110)의 측면 사이의 간격을 넓게 하는 경 우에는 시즈 히터(123)를 탄화실(121)의 측벽(121a)에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4개의 시즈 히터(123)는 2개의 시즈 히터(123)는 병렬로 연결하고, 다른 2개의 시즈 히터(123)는 스타결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s 121, a heating member 123 is installed to heat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The heating member 123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mounted on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can be uniformly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ver the entir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Therefore, various kinds of heat generating devices capable of satisfying such a condition may be used as the heating member 123. In the present embodiment, a sheath heater was used as the heating member 123, and four sheath heaters 123 were installed on the four side walls 121a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respectively.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four sheath heaters 123 are installed in a form embedded in the side wall 121a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side wall 121a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In this way, when the sheath heater 123 is embedded in the side wall 121a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it is imperative that the sheath heater 123 collides with the sheath heater 123 when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is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You can prevent it. However, the sheath heater 123 does not have to be embedded in the side wall 121a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 wall 121a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is widened, the sheath heater 123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ide wall 121a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have. In addition, the four sheath heaters 123 may be connected to two sheath heaters 123 in parallel, and the other two sheath heaters 123 may be connected in a star connection.

시즈 히터(123)의 용량은 죽력 추출 용기(110)의 크기와 대나무(A)의 탄화반응의 온도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죽력 추출 용기(110)에 수납된 세절 대나무(A)를 탄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열량은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The capacity of the sheath heater 123 can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and the temperature of the carbonization reaction of bamboo A. At this time, the amount of heat required to carbonize the shredded bamboo (A) accommodated in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can be obtain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필요열량(kcal) = 비열(kcal/kg℃) x 중량(kg) x 온도(℃) Required heat (kcal) = specific heat (kcal / kg ℃) x weight (kg) x temperature (℃)

히터용량(전력,KWH) = 열량(kcal)/860Heater capacity (power, KWH) = calorie (kcal) / 860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각각의 탄화실(121)에 2KWH 용량의 시즈 히터(123)를 4개 설치하였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four sheath heaters 123 each having a capacity of 2KWH were installed in each carbonization chamber 121.

또한, 복수 개의 탄화실(121)에 설치된 가열부재(123)는 개별적으로 동작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와 같이 3개의 탄화실(121)을 구비한 경우, 3개의 탄화실(121) 중 한 개의 탄화실(121)에 설치된 가열부재(123)만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는, 탄화실(121)에 2개 또는 3개의 죽력 추출 용기(110)를 장착한 경우에는, 죽력 추출 용기(110)가 장착된 2개 또는 3개의 탄화실(121)의 가열부재(123)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ing members 123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s 121 may be installed to be individually operable. For example, when three carbonization chambers 121 are provide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heating member 123 installed in one carbonization chamber 121 of the three carbonization chambers 121 may be operated. Alternatively, when two or three force extraction containers 110 are mounted in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the heating member 123 of the two or three carbonization chambers 121 in which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s 110 are mounted. Can be installed to operate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복수 개의 탄화실(121)의 각각의 내부에는 온도 센서(129)가 설치될 수 있다. 온도 센서(129)는 탄화실(121)의 내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탄화실(121)의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온도 센서(129)는 탄 화실(121)에 장착되는 죽력 추출 용기(110)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화실(121)의 일 측벽(121a)에 홈(128)을 형성하고 그 홈(128)에 온도 센서(129)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탄화실(121)의 밑면에 온도 센서(129)를 설치할 수 있다. A temperature sensor 129 may be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s 121. The temperature sensor 129 may be installed to penetrate from the outside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to the inside so as to measur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In addition, the temperature sensor 129 is preferably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mounted on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a groove 128 may be formed in one side wall 121a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and a temperature sensor 129 may be installed in the groove 128. In addition, a temperature sensor 129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한편, 복수 개의 탄화실(121) 각각의 하부에는 죽력 추출 용기(110)에서 배출되는 죽력을 받을 수 있도록 죽력 받이(130)가 설치된다. 죽력 받이(130)는 죽력 추출 용기(110)의 배출부(111)를 통해 배출되는 죽력을 모아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멍(131)으로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죽력 받이(130)의 바닥면은 배출구멍(131)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죽력 받이(130)의 배출구멍(131)과 연결 파이프(150) 사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덕트(133)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죽력 추출 용기(110)에서 추출된 기체상 또는 액체상의 죽력은 죽력 받이(130)와 배출 덕트(133)를 통해 연결 파이프(150)로 이동된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 121 is provided with a force receiving 130 to receive the force discharged from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The die receiving 130 is formed to collect the discharge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111 of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to discharge to the discharge hole 131 formed on one side. Therefore, the bottom surface of the force receiving 130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discharge hole (131). A discharge duct 133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discharge hole 131 and the connection pipe 150 of the force receiving 130 as shown in FIG. 5. Therefore, the gaseous or liquid phase force extracted from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is moved to the connection pipe 150 through the pressure receiver 130 and the discharge duct 133.

연결 파이프(150)는 복수 개의 탄화실(121) 각각에서 배출된 기체상 또는 액체상의 죽력을 죽력 냉각장치(170)로 이송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 파이프(150)는 복수 개의 탄화실(121)의 죽력 받이(130)의 배출 덕트(133)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연결 파이프(150)와 배출 덕트(133) 사이에는 연결 파이프(150)와 배출 덕트(133) 사이의 죽력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는 죽력 차단 밸브(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죽력 차단 밸브를 설치하면, 복수 개의 탄화실(121) 중 한 개의 탄화실(121)만 작동시킬 경우, 연결 파이프(150)로 흐르는 기체상 또는 액체상의 죽력이 다른 탄화실(121)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ipe 150 is formed to transfer the gaseous or liquid phase force discharg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s 121 to the force cooling device 170. Therefore, the connection pipe 15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duct 133 of the pressure receiving member 130 of the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s 121. In addition, between the connecting pipe 150 and the discharge duct 133 may be provided with a force blocking valve (not shown) that can block the movement of the force between the connecting pipe 150 and the discharge duct 133. When the pressure shutoff valve is installed in this way, when only one carbonization chamber 121 of the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s 121 is operated, the gaseous or liquid phase force flowing through the connection pipe 150 is changed to another carbonization chamber 121. Backflow can be prevented.

죽력 냉각장치(170)는 연결 파이프(150)와 연결되며, 복수 개의 죽력 추출 용기(110)에서 추출된 기체상 또는 액체상의 죽력을 냉각시켜 일정 온도 이하의 액체상의 죽력으로 형성한다. 예를 들어, 죽력 냉각장치(170)는 죽력을 상온 내지는 80℃의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체상의 죽력은 죽력 냉각장치(170)를 통과하는 동안 열을 빼앗겨 액체상의 죽력으로 변환되고, 액체상의 죽력은 고온 상태에서 죽력 냉각장치(170)를 통과하는 동안 냉각되어 저온의 액체상의 죽력으로 된다. The pressure cooling device 17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150 and cools the gaseous or liquid phase forces extracted from the plurality of pressure extraction vessels 110 to form a liquid phase pressure below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example, the force cooling device 170 may cool the force to a temperature of room temperature or 80 ℃. Accordingly, the gas phase force is deprived of heat during the passage through the pressure cooling device 170 and converted into the liquid phase force, and the liquid phase pressure is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pressure cooling device 170 in the high temperature state, thereby causing the low temperature liquid phase pressure. Becomes

죽력 냉각장치(170)로는 죽력 추출로(120)에서 배출되는 기체상 또는 액체상의 죽력을 소정 온도의 액체상의 죽력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쉘튜브형 냉각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파이프(150)로 이송된 죽력은 인입구(173)를 거쳐 쉘튜브형 냉각장치(170)의 원통형 쉘(171)의 내부에 설치된 복수 개의 냉각 튜브(172)를 통과하여 배출구(174)로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냉각수(W)는 원통형 쉘(171)의 하부의 냉각수 입구(171a)로 유입되어 복수 개의 냉각 튜브(172)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여 원통형 쉘 상부(171)의 냉각수 출구(171b)로 빠져나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원통형 쉘(171)의 내부에서 복수 개의 냉각 튜브(172)를 사이에 두고 냉각수(W)와 기체상 또는 액체상의 죽력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나 죽력이 냉각되게 된다. 복수 개의 냉각 튜브(172)는 스테인레스 파이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the force cooling device 170, it is preferable to use a shell tube type cooling device so as to convert the gas or liquid phase force discharged from the force extraction path 120 into the liquid force of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connecting pipe 150 is discharged to the outlet 174 through the inlet 173 through the plurality of cooling tubes 172 installed in the cylindrical shell 171 of the shell tube type cooling device 170. Is formed. Cooling water (W) flows into the cooling water inlet (171a)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shell 171 to pas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cooling tubes 172 to exit the cooling water outlet (171b) of the cylindrical shell upper portion 171 Is formed. Therefore, heat exchange occurs between the cooling water W and the gaseous or liquid phase forces between the plurality of cooling tubes 172 in the cylindrical shell 171 so that the death forces are cooled. Preferably, the plurality of cooling tubes 172 are formed of stainless pipes.

제어장치(180)는 죽력 추출로(120)의 복수 개의 탄화실(121)의 온도를 임의로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어장치(1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 이, 탄화실(121)의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181), 탄화실(121)에 공급되는 전기를 온/오프하는 전원 스위치(182), 탄화실(121)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는 온도 설정 버튼(183), 탄화실(121)의 온도 제어와 관련하여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시간 설정 버튼(184)을 포함한다. 이때, 전원 스위치(182), 온도 설정 버튼(183), 시간 설정 버튼(184)은 죽력 추출로(120)에 설치된 탄화실(121)의 개수에 대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와 같이 3개의 탄화실(121)을 구비한 경우에는 제어장치(180)는 전원 스위치(182), 온도 설정 버튼(183), 시간 설정 버튼(184)을 각각 3개씩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80 is formed to arbitrarily control the temperatures of the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s 121 of the force extraction furnace 120. As shown in FIG. 2, the control device 180 includes a display unit 181 indicating a state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and a power switch 182 for turning on / off electricity supplied to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And a temperature setting button 183 for setting a temperature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and a time setting button 184 for setting a time in relation to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In this case, the power switch 182, the temperature setting button 183, and the time setting button 184 may be install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arbonization chambers 121 installed in the force extraction path 120. For example, when the three carbonization chambers 121 are provide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80 has three power switches 182, temperature setting buttons 183, and time setting buttons 184, respectively. It may include.

온도 설정 버튼(183)은 탄화실(121)의 온도를 대략 25-600℃의 범위 내에서 설정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온도 설정은 죽력 추출 용기(110)에 수납된 대나무(A)를 필요한 품질에 따라 탄화시킬 수 있도록 탄화공정 시작부터 완료까지의 기간을 여러 구간으로 나누고 각 구간마다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화시작에서 탄화종료시까지 4시간이 걸리는 경우, 탄화공정을 3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시작부터 1시간까지는 140℃로 설정하고, 그 후 2시간까지는 210℃로 설정하고, 그 뒤 종료까지는 360℃로 설정하는 것이다. 이때, 온도는 온도 설정 버튼(183)으로 설정하고, 시간은 시간 설정 버튼(184)으로 설정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tting button 183 may be configured to set the temperature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within the range of approximately 25-600 ° C. The temperature setting may divide the period from the start of the carbonization process to the completion of the carbonization process in a plurality of sections so as to carbonize the bamboo (A) stored in the bamboo extracting container 110 according to the required quality, and set the temperature for each section. For example, if it takes 4 hours from the start of carbonization to the end of carbonization, the carbonization process i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and set at 140 ° C. from the start to 1 hour, then 210 ° C. for the next 2 hours, and then until the end. It is set to 360 degreeC. In this case, the temperature may be set by the temperature setting button 183, and the time may be set by the time setting button 184.

표시부(181)는 복수 개의 탄화실(121)의 각각의 온도 설정 내용을 보여줄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표시부(181)는 온도센서(129)에 의해 측정된 복수 개의 탄화실(121)의 내부 온도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81 is formed to show the temperature setting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s 121.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81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internal temperatures of the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s 121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29 in real time.

제어장치(180)는 비례제어방식 또는 비례적분미분(PID; Proportional Integral Derivative) 제어방식으로 탄화실(121)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180)는 온도 자동 보정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자동 보정기능을 사용하면, 적분값/미분값이 자동 설정되므로 적기에 온도의 자동 보정을 실시하여 탄화실(121)의 온도를 근소한 오차 범위 내에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장치(180)는 가열부재(123)를 제어하여 탄화실(121)의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까지 상승시킬 수 있고,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in a proportional control method or a proportional integral derivative (PID) control method.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n automatic temperature correction function. When the temperature automatic correction function is used, the integral value / derivative value is automatically set,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can be kept constant within a small error range by automatically correcting the temperature in a timely manner. Therefore,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heating member 123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to a temperature set by the user, and maintain the set temperature for a set time.

죽력 추출로(120)에 죽력 차단 밸브가 설치된 경우, 제어장치(180)는 죽력 추출로(120)에 장착된 죽력 추출 용기(110)의 수에 따라 죽력 차단 밸브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When a force blocking valve is installed in the force extracting furnace 120, the controller 18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force blocking valv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force extracting vessels 110 mounted on the force extracting furnace 120. have.

또한, 제어장치(180)는 죽력 냉각장치(170)를 제어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어장치(180)를 통해 죽력 냉각장치(170)를 온/오프할 수 있고, 죽력 냉각장치(170)의 냉각 온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제어장치(180)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force cooling device 170. That is, the user may turn on / off the force cooling device 170 through the control device 180 and form the control device 180 to set the cooling temperature of the force cooling device 170.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죽력 제조장치(100)를 사용하여 죽력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orce using the force produ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사용자는 대나무를 세절하여 세척한다. 이때, 대나무로는 솜대, 왕대, 맹종죽 등 여러 종류의 대나무를 사용할 수 있다. 세척한 세절 대나무를 일정 시간 건조시킨다.The user cuts and washes the bamboo. In this case, as bamboo, various types of bamboo, such as cotton rod, king, bamboo shoots can be used. The washed thin bamboo is dried for a certain time.

그 후, 세절된 대나무(A)를 죽력 추출 용기(110)에 수납하고(S10), 죽력 추 출 용기(110)의 투입구(112)를 용기 뚜껑(115)으로 닫는다. Thereafter, the chopped bamboo (A) is stored in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S10), and the inlet 112 of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is closed by the container lid 115.

대나무(A)가 수납된 죽력 추출 용기(110)를 죽력 추출로(120)의 탄화실(121)에 장착한다(S20). 그리고, 탄화실 뚜껑(140)으로 탄화실(121)의 상부를 닫는다. The bamboo extracting container 110 in which the bamboo A is stored is mounted on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of the bamboo extracting furnace 120 (S20). Then, the upper portion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is closed by the carbonization chamber lid 140.

이어서, 사용자는 제어장치(180)를 통해 대나무(A)의 죽력을 추출하기 위한 탄화반응의 온도조건을 설정한다(S30). 이를 위해, 사용자는 제어장치(180)의 온도 설정 버튼(182)과 시간 설정 버튼(183)을 사용하여, 탄화실(121)의 온도를 상승시킬 최종 온도인 목표 온도와 목표 온도를 유지하는 유지시간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탄화실(121)의 온도를 400℃까지 상승시킨 후 4시간을 유지하면 죽력 추출 용기(110)의 대나무(A)의 탄화반응이 완료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탄화실(121)의 목표 온도와 유지시간을 각각 400℃, 4시간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탄화실(121)의 온도와 시간이 설정되면, 제어장치(180)는 탄화실(121)의 가열부재(123)에 전기를 공급하여 탄화실(121)의 온도가 400℃에 이르도록 한 후, 4시간 동안 유지하도록 제어한다(S40).Subsequently, the user sets a temperature condition of the carbonization reaction for extracting the bamboo force through the control device 180 (S30). To this end, the user uses the temperature setting button 182 and the time setting button 183 of the control unit 180 to maintain the target temperature and the target temperature, which is the final temperature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Set the time. For example, if the temperature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is raised to 400 ° C. and then maintained for 4 hours, when the carbonization reaction of the bamboo A of the bamboo extraction vessel 110 is completed, the user may change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The target temperature and the holding time of are set to 400 ° C and 4 hours, respectively. As such, when the temperature and time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are set, the controller 180 supplies electricity to the heating member 123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reaches 400 ° C. After that, the control is maintained for 4 hours (S40).

가열부재(123)에 의해 탄화실(121)의 죽력 추출 용기(110)가 가열되면, 죽력 추출 용기(110)에 수납된 세절 대나무(A)에서 기체상 또는 액체상으로 죽력이 추출된다. 추출된 죽력은 죽력 추출 용기(110)의 배출부(111)를 통해 죽력 받기(130)로 배출된다. 죽력 받기(130)로 배출된 죽력은 배출구멍(131)과 배출 덕트(133)를 통해 연결 파이프(150)로 이동한다(S50). 죽력 추출로(120)의 3개의 탄화실(121)에 모두 죽력 추출 용기(110)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른 2개의 죽력 추출 용기(110)에서도 기체상 또는 액체상의 죽력이 상기와 동일한 과정으로 추출되어 연 결 파이프(150)로 이동된다. When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121 is heated by the heating member 123, the force is extracted into the gas phase or the liquid phase from the thin bamboo A stored in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The extracted force is discharged to the receiving force 130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111 of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The dead force discharged to the receiving force 130 is moved to the connection pipe 150 through the discharge hole 131 and the discharge duct 133 (S50). In the case where all of the three carbonization chambers 121 of the force extraction furnace 120 are equipped with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110, the gas or liquid phase force in the other two force extraction containers 110 may be changed to the same process as described above. It is extracted and moved to the connection pipe 150.

연결 파이프(150)로 이동된 기체상 또는 액체상의 죽력은 연결 파이프(150)를 따라 흘러 죽력 냉각장치(170)의 인입구(173)로 인입된다. 죽력 냉각장치(170)의 인입구(173)로 인입된 죽력은 죽력 냉각장치(170) 내부의 복수 개의 냉각 튜브(172)로 분배되어 흐르게 된다. 기체상 또는 액체상의 죽력이 복수 개의 냉각 튜브(172)를 통과하는 동안 냉각수(W)에 의해 냉각되어 소정 온도의 액체상 죽력으로 냉각되어 죽력 냉각장치(170)의 배출구(174)로 배출된다(S60). Gas or liquid phase force moved to the connection pipe 150 flows along the connection pipe 150 and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173 of the pressure cooling device 170. The force drawn into the inlet 173 of the force cooling device 170 is distributed to the plurality of cooling tubes 172 inside the force cooling device 170 to flow. While the gaseous or liquid phase force is passed through the plurality of cooling tubes 172, it is cooled by the cooling water (W) and cooled to the liquid phase force of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discharged to the outlet 174 of the force cooling device 170 (S60). ).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행할 수 있는 단순한 구성요소의 치환, 부가, 삭제,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and simple components that can be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Substitutions, additions, deletions, and alterations of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죽력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r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죽력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rc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죽력 제조장치의 탄화실에 장착되는 죽력 추출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rce extraction container mounted to the carbonization chamber of the force production apparatus of FIG.

도 4는 도 2의 죽력 제조장치의 죽력 추출로에서 죽력 추출 용기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is removed from the force extraction furnace of the force manufacturing apparatus of FIG.

도 5는 도 4의 죽력 제조장치의 죽력 추출로를 나타내는 평면도;FIG.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force extraction path of the force manufacturing apparatus of FIG. 4; FIG.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죽력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ure 6 is a flow chart showing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o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죽력 제조장치 110; 죽력 추출 용기100; Force manufacturing apparatus 110; Thrust extraction container

111; 배출부 112; 투입구111; Outlet 112; Slot

115; 용기 뚜껑 120; 죽력 추출로115; Container lid 120; By force extraction

121; 탄화실 122; 단열부재121; Carbonization chamber 122; Insulation member

123; 가열부재(시즈 히터) 129; 온도 센서123; Heating element (seed heater) 129; temperature Senser

130; 죽력 받이 131; 배출구멍130; Kill tray 131; Discharge hole

133; 배출덕트 140; 탄화실 뚜껑133; Exhaust duct 140; Carbonization chamber lid

150; 연결 파이프 170; 죽력 냉각장치150; Connecting pipes 170; Thrust chiller

171; 원형 쉘 172; 냉각 튜브171; Round shell 172; Cooling tube

180; 제어장치 181; 표시부180; Controller 181; Display

182; 전원 스위치 183; 온도 설정 버튼182; Power switch 183; Temperature setting button

184; 시간 설정 버튼184; Set time button

Claims (13)

세절된 대나무를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하면에 죽력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부를 구비한 복수 개의 죽력 추출 용기;A plurality of bamboo extracting vessels formed to accommodate the shredded bamboo, and having a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bamboo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상기 복수 개의 죽력 추출 용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탄화실과, 상기 죽력 추출 용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탄화실의 측벽에 각각 설치되는 가열부재와, 상기 죽력 추출 용기에서 추출되는 죽력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탄화실의 각각의 하부에 설치된 죽력 받이, 및 상기 복수 개의 탄화실의 상기 죽력 받이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연결 파이프를 구비하는 죽력 추출로; A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s formed to accommodate the plurality of force extraction containers, a heating member respectively installed on sidewalls of the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s so as to heat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s, and the force extracted from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A force extraction furnace having a force receiver installed at each low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s so as to receive and a connection pipe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force receivers of the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s; 상기 연결 파이프와 연결되며, 상기 복수 개의 죽력 추출 용기에서 추출된 죽력을 쉘 하부에서 인입되어 상부로 배출되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냉각하는 쉘튜브형 죽력 냉각장치; A shell tube type force cooling devic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and cooling the force extracted from the plurality of force extraction vessels by using cooling water introduc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hell and discharged to the upper portion; 상기 죽력 추출로의 상기 복수 개의 탄화실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어장치; 및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temperatures of the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s of the force extraction furnace; And 상기 복수 개의 탄화실에 각각 설치되는 온도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력 제조장치. 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s; Die-making apparatus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탄화실은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The carbonization chamber is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탄화실의 4개의 측벽에 각각 설치되는 4개의 시즈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력 제조장치.The heat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four sheath heaters which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four side walls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4개의 시즈 히터 중 2개의 히터는 병렬로 연결되고, 다른 2개의 히터는 스타결선으로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력 제조장치.Two heaters of the four sheath heaters are connected in parallel, the other two heaters, characterized in that combined with a star conn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탄화실의 온도를 일정 시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력 제조장치. Wherein the control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of the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 for a predetermined time.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어장치는 비례적분미분(PID; Proportional Integral Derivative)제어로 상기 탄화실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력 제조장치.The control apparatus is a force produ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by Proportional Integral Derivative (PID) contro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복수 개의 탄화실 사이에는 단열제가 설치되며,Insula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carbonization chamber, 상기 단열제로는 세라크울(Cerakwool)과 미나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력 제조장치.As the thermal insulation, cerakwool (Cerakwool) and minaral produ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using minaral. 세절된 대나무를 죽력 추출 용기에 수납하는 단계;Storing the shredded bamboo in a force extraction container; 상기 죽력 추출 용기를 죽력 추출로의 탄화실에 적재하는 단계;Loading the force extraction container into a carbonization chamber of the force extraction furnace; 목표 온도와 상기 목표 온도의 유지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탄화실의 온도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Setting a temperature condition of the carbonization chamber including a target temperature and a holding time of the target temperature; 상기 탄화실이 상기 온도 조건을 유지하도록 상기 탄화실에 설치된 가열부재를 비례적분미분(PID; Proportional Integral Derivative) 제어로 제어하는 단계;Controlling a heating element installed in the carbonization chamber by Proportional Integral Derivative (PID) control so that the carbonization chamber maintains the temperature condition; 상기 세절된 대나무에서 추출되는 죽력이 상기 죽력 추출 용기의 하부로 배출되어 연결 파이프를 통해 죽력 냉각장치로 이동되는 단계; 및A step of extracting the bamboo force extracted from the shredded bamboo is discharg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mboo extraction vessel and moved to the bamboo cooling apparatus through a connecting pipe; And 상기 죽력이 냉각된 상태로 상기 죽력 냉각장치에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력 제조방법.And a step of discharging from the force cooling device while the force is coole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011581A 2009-02-12 2009-02-12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bamboo distillates KR1011094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581A KR101109426B1 (en) 2009-02-12 2009-02-12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bamboo distillat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581A KR101109426B1 (en) 2009-02-12 2009-02-12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bamboo distilla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285A KR20100092285A (en) 2010-08-20
KR101109426B1 true KR101109426B1 (en) 2012-02-06

Family

ID=42757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581A KR101109426B1 (en) 2009-02-12 2009-02-12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bamboo distillat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942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90226A (en) * 2011-11-14 2012-06-13 朱江福 Method for protecting bamboo chips against mold and moth in bamboo-wood composite floor manufacture process
CN109531736B (en) * 2018-12-18 2021-05-11 广东工业大学 Bamboo burning equipment for oiling and bamboo burning oiling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1615B1 (en) 1999-09-03 2001-10-18 임곤혁 The modernized and new preparation process of Bambusae Calulis in Liquamen
KR20050078794A (en) * 2004-02-03 2005-08-08 문정식 Extraction device for extracting oil from bamboo
KR20080097743A (en) * 2007-05-03 2008-11-06 양대수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bambusaecaulis by the heat-medium and method for manutacturing bambusaecaulis using that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1615B1 (en) 1999-09-03 2001-10-18 임곤혁 The modernized and new preparation process of Bambusae Calulis in Liquamen
KR20050078794A (en) * 2004-02-03 2005-08-08 문정식 Extraction device for extracting oil from bamboo
KR100568529B1 (en) 2004-02-03 2006-04-07 문정식 Extraction Device for Extracting Oil from Bamboo
KR20080097743A (en) * 2007-05-03 2008-11-06 양대수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bambusaecaulis by the heat-medium and method for manutacturing bambusaecaulis using tha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285A (en) 201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65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ing steam distribution in a steam cooker
CN1315390C (en) Overheated steam oven
US8833245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heating food items
US11297857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rapidly cooking food
CN101517320B (en) Grill control systems and methods
RU172122U1 (en) Removable sauna stove
KR1011094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bamboo distillates
CN203873554U (en) Rice cooker
CN102753025B (en) Home yogurt maker and method for the quick preparation of yogurt
KR102172289B1 (en) Extractor for Extracting Plant Active Ingredients
JP2005065819A (en) Steam cooker
JP2006308137A (en) Drying device
JP2005065847A (en) Steam supplier for steam cooker
US6668707B2 (en) Fuel-efficient steam cooking device
CN208286842U (en) Cooking apparatus
RU2738678C1 (en) Electric stove for russian bath and method of maintaining air temperature in electric furnace in paired bath room
ES2803381T3 (en) Method of operating a convection oven with energy savings and higher cleaning efficiency in the pyrolysis cycle
FI66735C (en) KAFFEMASKIN
CN103315622A (en) Cooking pot
CN210643735U (en) Food constant temperature tray frame with adjustable temperature based on phase transition heat transfer
KR101372572B1 (en) Cooker
KR200426694Y1 (en) A Boiling Kettle Of An Anchovy
RU2672480C1 (en) Electrode food kettle
RU2708097C1 (en) Feeding boiler
CN215424105U (en) Electric heating steam barr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