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8655B1 - 경질 염화비닐제 물받이 - Google Patents

경질 염화비닐제 물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8655B1
KR101108655B1 KR1020080067076A KR20080067076A KR101108655B1 KR 101108655 B1 KR101108655 B1 KR 101108655B1 KR 1020080067076 A KR1020080067076 A KR 1020080067076A KR 20080067076 A KR20080067076 A KR 20080067076A KR 101108655 B1 KR101108655 B1 KR 101108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wage
inlet pipe
drip tray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9921A (ko
Inventor
이종호
이일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평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평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평화
Publication of KR20090129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4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made of plastic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질 염화비닐제 물받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경질 염화비닐제 물받이에 있어서, 물받이몸체와, 물받이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관와, 물받이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오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와, 유입관 및 배출관에 쌓이는 슬러지를 확인하도록 유입관 및 배출관에 연결되는 연결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수받이에 형성된 유입관 및 배출관에 쌓인 슬러지를 확인하고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오수, 물받이, 투명, 연결캡

Description

경질 염화비닐제 물받이 {SUMP FOR SEWAGE}
본 발명은 경질 염화비닐제 물받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생활 오수를 처리함에 있어서는 각 가정에서 사용되는 생활오수를 오수처리장까지 이동시켜 처리하고 있다. 이때, 지하에 매설되는 오수관에 의해 오수는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오수는 직접 오수관에 연결하여 배수처리하고 있었기 때문에 각 가정에서 버려지는 침전물의 유입으로 오수관의 통수단면적을 좁게하여 오수의 이동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오수관에 침전물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수관의 중간부분에 오수받이를 설치하고 오수받이의 내부를 개폐하는 뚜껑을 지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오수받이는 오수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복수의 가지관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가지관의 연결된 부분에 슬러지가 쌓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지관은 토압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수받이에 형성된 유입관 및 배출관에 쌓인 슬러지를 확인하고 제거할 수 있는 경질 염화비닐제 물받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경질 염화비닐제 물받이에 있어서, 물받이몸체와, 물받이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관와, 물받이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오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와, 유입관 및 배출관에 쌓이는 슬러지를 확인하도록 유입관 및 배출관에 연결되는 연결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수받이에 형성된 유입관 및 배출관에 쌓인 슬러지를 확인하고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물받이몸체(10)와, 물받이몸체(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1)와, 물받이몸체(10)의 타측에 형성되어 오수가 배출되는 배출관(13)와, 유입관(11) 및 배출관(13)에 쌓이는 슬러지를 확인하도록 유입관(11) 또는 배출관(13)에 연결되는 연결관(30)을 포함한다.
여기서, 물받이몸체(10)는 유입관(11) 및 배출관(13)이 설치되어, 유입관(11)으로 오수가 유입되어 물받이몸체(10)에 모여지고, 모여진 오수는 다시 배출관(13)을 통해 오수관(도시생략)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오수에 포함된 슬러지는 물받이몸체(10)의 저면에 모여지게 되므로, 관리자는 물받이몸체(10)의 저면에 모여진 슬러지를 뚜껑(15)을 통해 관찰 및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물받이몸체(10)의 저면에 모여진 슬러지가 많고 이를 미처 처리하지 못한 경우에는, 슬러지들이 유입관(11) 또는 배출관(13)에 쌓여서 오수의 흐름을 방지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여기서, 연결관(30)은 유입관(11)와 물받이몸체(10)의 사이에 또는 배출관(13)와 물받이몸체(10)의 사이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물받이몸체(10)에서 넘치는 슬러지들이 제일 먼저 쌓이는 부분이기 때문에 가장먼저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물받이몸체(10)에는 유입관(11) 또는 배출관(13)이 동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물받이몸체(10)와 유입관(11) 또는 배출관(13)의 사이에는 리브(40)가 더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리브(40)는 물받이몸체(10)와 유입관(11) 및 배출관(13)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으므로, 물받이몸체(10)와 유입관(11) 및 배출관(13)이 지하에 매설될 때 토압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관(30)은 연결관몸체(31)와, 연결관몸체(31)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유입관(11) 또는 배출관(13)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결캡(33)과, 유입관(11) 또는 배출관(13)에 각각 형성되는 수 나사산(35)과, 수 나사산(35)에 대응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연결캡(33)에 각각 형성되는 암 나사산(3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수 나사산이 형성된 파이프(1)는 연결캡(33)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관몸체(31)의 양단에는 연결턱(32)이 형성되고, 연결캡(33)의 일단에는 연결턱(32)과 결합되는 걸림턱(34)이 형성되어 있다. 즉, 연결턱(32)과 걸림턱(34)이 결합되어 연결관몸체(31)와 연결캡(33)은 상호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연결턱(32) 및 걸림턱(34)에는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 경사면(36)(38)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동일한 방향의 경사면(36)(38)들에 의해 연결턱(32) 및 걸림턱(34)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관몸체(31)는 투명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관리자는 유입관(11) 또는 배출관(13)에 연결되며, 투명재질로 제작된 연결관몸체(31)를 통하여 유입관(11) 또는 배출관(13)에 쌓인 슬러지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물받이몸체(10)를 통하여 확인할 수 없는 슬러지들은 유입관(11) 또는 배출관(13)을 매운 흙을 치운 후에 결관몸체(31)를 통해 슬러지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몸체(31)의 양단에 각각 연결돌기(32a)가 형성되고, 연결돌기(32a)와 결합되도록 유입관(11) 또는 배출관(13)의 끝단에 연결홈(32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돌기(32a)와 연결홈(32b)은 서로 대응되게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돌기(32a)와 연결홈(32b)이 결합되면 연결관몸체(31)는 회전되지 않으면서 유입관(11) 또는 배출관(13)에 고정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관몸체(31)는 마개(31a)과, 마개(31a)과 결합되도록 연결관몸체(31)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관(31b)과, 마개(31a)과 수직관(31b)이 상호 결합되도록 마개(31a)의 내측에 형성되는 암 나사산(31c) 및 수직관(31b)의 외측에 형성되는 수 나사산(31d)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관몸체(31)에 쌓인 슬러지가 확인되면 연결관몸체(31)에 결합된 마개(31a)를 연결관몸체(31)에서 분리하여 연결관몸체(31)의 내부에 쌓인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슬러지를 제거한 후에는 마개(31a)를 연결관몸체(31)에 결합시켜 오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연결돌기(32a)와 연결홈(32b)이 결합될 때, 마개(31a)가 상부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연결관몸체(31)를 유입관(11) 또는 배출관(13)에 결합시킬 수 있다. 즉, 마개(31a)가 상부를 향하도록 한 상태이면 관리자는 마개(31a)를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다.
또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받이몸체(10)는 저면에 오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방지턱(17)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방지턱(17)은 물받이몸체(10)의 저면에 유입관(11)과 배출관(13)의 사이에 설정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방지턱(17)에 의해 배출관(13)으로 배출된 오수가 유입관(11)으로 역류되는 것이 방지 수 있다.
이때, 유입관(11)은 1개 내지 3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관(13)은 유입관(11)의 직경보다 약1.5배 이상 크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입관(11)의 직경보다 큰 배출관(13)은 유입관(11)들에 의해 유입되는 오수를 역류시키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물받이몸체(10)는 하부몸체(12)와 이 하부몸체(12)에 결합되는 상부몸체(1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몸체(12)에는 암나사산(도시생략)이 형성된 캡(16)이 설치되고, 상부몸체(14)의 하단외측에는 수나사산(도시생략)이 형성되어, 하부몸체(12)와 상부몸체(14)는 결합이 용이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입관(11) 또는 배출관(13)에 쌓인 슬러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슬러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해 유입관(11) 또는 배출관(13)에 연결된 파이프(1)를 절개하거나 교체하지 않아도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경질 염화비닐제 물받이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질 염화비닐제 물받이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요부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물받이몸체
11 : 유입관
13 : 배출관
30 : 연결관

Claims (7)

  1. 경질 염화비닐제 물받이에 있어서,
    저면에 오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방지턱(17)이 형성된 물받이몸체(10);
    상기 물받이몸체(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1);
    상기 물받이몸체(10)의 타측에 상기 유입관(11)과 동일체로 형성되어 오수가 배출되는 배출관(13);
    상기 물받이몸체(10)와 상기 유입관(11) 또는 배출관(13)의 사이에 형성된 리브;
    마개(31a), 상기 마개(31a)와 결합되도록 연결관몸체(31)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관(31b), 상기 마개(31a)와 수직관(31b)이 상호 결합되도록 상기 마개(31a)의 내측에 형성되는 암 나사산(31c) 및 상기 수직관(31b)의 외측에 형성되는 수 나사산(31d)으로 구성된 연결관몸체(31);
    상기 연결관몸체(31)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유입관(11) 또는 배출관(13)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결캡(33), 상기 유입관(11) 또는 배출관(13)에 각각 형성되는 수 나사산(35), 상기 수 나사산(35)에 대응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연결캡(33)에 각각 형성되는 암 나사산(37)을 포함하는 구성되어 상기 유입관(11) 및 배출관(13)에 쌓이는 슬러지를 확인하도록 상기 유입관(11) 또는 배출관(13)에 연결되는 연결관(30);
    상기 연결관몸체(31)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연결돌기(32a);
    상기 연결돌기(32a)와 결합되도록 상기 유입관(11) 또는 배출관(13)의 끝단에 형성된 연결홈(32b);을 포함하는 경질 염화비닐제 물받이.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몸체(31)는 투명재질인 경질 염화비닐제 물받이.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80067076A 2008-06-13 2008-07-10 경질 염화비닐제 물받이 KR1011086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55882 2008-06-13
KR1020080055882 2008-06-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921A KR20090129921A (ko) 2009-12-17
KR101108655B1 true KR101108655B1 (ko) 2012-01-31

Family

ID=41689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076A KR101108655B1 (ko) 2008-06-13 2008-07-10 경질 염화비닐제 물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865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882A (ko) * 2002-04-23 2003-11-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벤조산의 수용액상 수소화 반응에 의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제조되는 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산
KR200383882Y1 (ko) * 2005-02-17 2005-05-10 신우산업주식회사 오수받이
KR100684174B1 (ko) * 2005-02-28 2007-02-20 보성포리테크 주식회사 악취 차단 오수받이
KR100712315B1 (ko) * 2006-12-07 2007-04-27 상지이앤씨(주) 건축 전기배관 누수 방지시설구조
KR100806547B1 (ko) * 2007-08-06 2008-02-26 주식회사 고리 가변연결부를 구비한 오수받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882A (ko) * 2002-04-23 2003-11-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벤조산의 수용액상 수소화 반응에 의한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제조되는 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산
KR200383882Y1 (ko) * 2005-02-17 2005-05-10 신우산업주식회사 오수받이
KR100684174B1 (ko) * 2005-02-28 2007-02-20 보성포리테크 주식회사 악취 차단 오수받이
KR100712315B1 (ko) * 2006-12-07 2007-04-27 상지이앤씨(주) 건축 전기배관 누수 방지시설구조
KR100806547B1 (ko) * 2007-08-06 2008-02-26 주식회사 고리 가변연결부를 구비한 오수받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921A (ko) 200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3373B1 (en) Stormwater pollu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WO2008142879A1 (ja) 除塵管理枡
JP6013893B2 (ja) 雨水貯溜配管構造
JP2019512631A (ja) 油水分離機能を有するマンホール
KR102060940B1 (ko) 다단계 빗물 저장탱크를 이용한 빗물 저장 및 수질 처리 시스템
KR20110033546A (ko) 바스켓이 구비된 저수형 오수받이
KR101108655B1 (ko) 경질 염화비닐제 물받이
CN206376323U (zh) 一种家用节水装置
KR100816677B1 (ko) 침전물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KR200395213Y1 (ko) 세면기용 배수트랩
KR200383882Y1 (ko) 오수받이
CN209437167U (zh) 水箱排水防堵结构和清洁机器人
KR101212948B1 (ko) 그리스 트랩
KR100659400B1 (ko)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US20160289935A1 (en) Clear Lavatory Undersink Drain Assembly with Removable Trap &amp; Safety Clips
KR100923133B1 (ko) 내장형 봉수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KR101925564B1 (ko) 저류조를 구비한 빗물집수장치
JP5643908B1 (ja) 排水システム
KR100995348B1 (ko) 맨홀구조체
KR101130162B1 (ko) 습식 싱크대 배수전의 건식 배수장치
KR102046131B1 (ko) 초기우수 수질 처리 시스템
KR102290677B1 (ko)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
JP5315045B2 (ja) 雨水貯溜及び流出抑制のためのタンク
CN211080518U (zh) 一种基于海绵城市理念的多级沉淀井结构
RU2592376C2 (ru) Сливной колодец для сточной вод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