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8139B1 - 변화하중 작용하에서 잔류응력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변화하중 작용하에서 잔류응력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8139B1
KR101108139B1 KR1020090124085A KR20090124085A KR101108139B1 KR 101108139 B1 KR101108139 B1 KR 101108139B1 KR 1020090124085 A KR1020090124085 A KR 1020090124085A KR 20090124085 A KR20090124085 A KR 20090124085A KR 101108139 B1 KR101108139 B1 KR 101108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piece
load
residual stress
fram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7475A (ko
Inventor
김경호
이봉상
김흥회
맹완영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4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8139B1/ko
Publication of KR20110067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 G01N3/36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generated by pneumatic or hydraul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47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measuring forces due to residual stres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42Pneumatic or hydraulic means
    • G01N2203/0048Hydraul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변화하중 작용하에서 잔류응력 측정장치는, 시험편에 하중을 정량적이고 단계적으로 인가하면서 인가된 상기 하중을 유지시키도록 구성되며, 인가되어 유지되는 상기 하중으로 인한 상기 시험편의 잔류응력을 측정한다.
잔류응력, 시험편, 하중인가, 하중유지, 하중인가 유니트, 엑스레이 회절 유니트

Description

변화하중 작용하에서 잔류응력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Apparatus for determining residual stress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sidual stress under variable load}
본 발명은 변화하중 작용하에서 잔류응력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으로서, 시험편에 하중을 정량적이고 단계적으로 인가하면서 인가된 상기 하중을 유지시키도록 하여, 인가되어 유지되는 상기 하중으로 인한 시험편의 잔류응력을 측정할 수 있는 잔류응력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에 의해 용접 이음부가 국부적으로 가열 냉각의 열 이력을 받으면 불균일한 열변의 분포와 고온시의 소성변형 및 용접 금속의 수축 등에 의해 응력이 발생하며 용접 후 피 용접물이 완전히 실온까지 냉각된 후에도 응력이 잔류한다.
이와 같이 열 이력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력을 용접응력이라고 하며, 특히 이음부가 완전히 냉각한 후에도 잔류하는 응력을 용접잔류응력이라 한다.
용접에 의해 발생되는 잔류응력은 용접구조물의 제작에 있어서 각종 장애요인이 될 뿐 아니라, 구조물의 사용 중에 있어서도 때때로 파괴의 발생과 전파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이미 알려져 있다.
또한 용접 잔류응력은 용접 구조물의 좌굴 강도에 영향을 주며 취성 크랙의 진전을 조장한다.
또한 용접은 구조물에 있어서 물리적이고 재질적인 불연속성을 생성시키기 때문에 용접특성은 모재와 용접부 사이의 물성 값의 차이로서 나타나며, 용접부는 순수 모재에 비하여 많은 결합을 발생시킨다.
용접 구조물이 최근처럼 대형화하지 않던 시대에는 구조물을 열처리로 속에서 후열처리 함으로써 용접잔류응력을 제거할 수 있었지만, 오늘날에 있어서는 용접구조물이 대형화, 복잡, 복합화 되어감에 따라서 생산 현장에서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기술적 입장에서 중대한 문제가 되어 가고 있다.
잔류응력이 기기/부품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확한 예측과 효율적 응용을 위해서는 잔류응력을 정량적으로 정확히 그리고 부품 전체에 걸쳐 현장에서 신속히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어 지고 있다.
하지만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전산해석적인 방법은 적합한 경계조건, 재료의 물성, 형상, 치수, 하중조건, 가동 환경, 열 이력, 가공이력 등 검증할 수 있는 정확한 실험적 자료 입력 미비와 복잡한 해석의 절차 때문에 해석적 적용 방법은 간 접적이며 매우 제한적이며, 따라서 예측된 잔류응력의 값들이 부정확하게 되는 한계점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잔류응력 측정기를 통해 이미 잔류응력이 결정된 부재(시험편, 부품)나 기기 또는 정하중을 받고 있는 상태의 고정된 구조물의 잔류응력 값을 측정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측정기 및 그 측정방법으로는, 하나의 시험편으로 변화하중에 대한 잔류응력을 측정할 수 없으며, 측정된 그 시험편에 대한 잔류응력 값을 정량적으로 검증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시험편에 하중을 정량적이고 단계적으로 인가하면서 인가된 상기 하중을 유지시키도록 하여, 인가되어 유지되는 상기 하중으로 인한 시험편의 잔류응력을 측정할 수 있는 변화하중 작용하에서 잔류응력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변화하중 작용하에서 잔류응력 측정장치는, 시험편에 하중을 정량적이고 단계적으로 인가하면서 인가된 상기 하중을 유지시키도록 구성되며, 인가되어 유지되는 상기 하중으로 인한 상기 시험편의 잔류응력을 측정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잔류응력 측정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시험편의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시험편에 하중을 정량적이고 단계적으로 인가하면서 인가된 상기 하중을 유지시키는 하중인가부;를 구비하는 하중인가 유니트를 포함하며, 인가되어 유지되는 상기 하중으로 인한 상기 시험편의 잔류응력을 측정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시험편의 일단을 고정하는 그립부재; 및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시험편의 타단을 고정하는 그립부위가 단부에 구성된 피스톤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시험편의 양단은 각각 갈고리 형상을 지니며, 상기 그립부재 및 피스톤부재에서 상기 시험편에 대한 그립부위에는, 갈고리 형상의 상기 시험편의 양단에 끼워져서 걸려지도록, 돌출된 돌기가 각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중인가부는, 상기 피스톤부재가 내부에서 양방향 구동되는 복동식 유압실린더; 및 상기 복동식 유압실린더에 상기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복동식 유압실린더와 유압펌프는 연결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유압펌프의 유압이 상기 연결라인을 통해 상기 복동식 유압실린더로 공급되며, 상기 연결라인에는 상기 유압의 흐름을 조절하는 조절밸브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시험편에 인가된 하중을 측정하도록, 상기 그립부재가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로드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로드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시험편의 하중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로드셀에 전기적으로 연계된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시험편에 하중을 정량적이고 단계적으로 인가하면서 인가된 상기 하중을 유지시키도록 구성되는 하중인가 유니트; 및 인가되어 유지되는 상기 하중으로 인한 상기 시험편의 잔류응력을 엑스레이 디프렉션 방식으로 측정하는 엑스레이 회절 유니트;를 포함하는 잔류응력 측정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엑스레이 회절 유니트는, 상기 시험편에 엑스레이 빔을 조사하는 조사부; 상기 조사부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시험편을 반사회절한 상기 엑스레이 빔을 받아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데이터에 의해 상기 시험편의 잔류응력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험편은 상기 조사부와 검출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엑스레이 빔이 조사되어 반사회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중인가 유니트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시험편의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시험편에 하중을 정량적이고 단계적으로 인가하면서 인가된 상기 하중을 유지시키는 하중인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시험편의 일단을 고정하는 그립부재; 및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시험편의 타단을 고정하는 그립부위가 단부에 구성된 피스톤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시험편의 양단은 각각 갈고리 형상을 지니며, 상기 그립부재 및 피스톤부재에서 상기 시험편에 대한 그립부위에는, 갈고리 형상의 상기 시험편의 양단에 끼워져서 걸려지도록, 돌출된 돌기가 각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중인가부는, 상기 피스톤부재가 내부에서 양방향 구동되는 복동식 유압실린더; 및 상기 복동식 유압실린더에 상기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복동식 유압실린더와 유압펌프는 연결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유압펌프의 유압이 상기 연결라인을 통해 상기 복동식 유압실린더로 공급되며, 상기 연결라인에는 상기 유압의 흐름을 조절하는 조절밸브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시험편에 인가된 하중을 측정하도록, 상기 그립부재가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로드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로드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시험편의 하중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로드셀에 전기적으로 연계된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시험편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시험편에 하중을 정량적이고 단계적으로 인가하여 유지시키는 단계; 및 인가되어 유지되는 상기 하중으로 인한 상기 시험편의 잔류응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변화하중 작용하에서 잔류응력 측정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변화하중 작용하에서 잔류응력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은, 시험편에 하중을 정량적이고 단계적으로 인가하면서 인가된 상기 하중을 유지시키도록 하여, 인가되어 유지되는 상기 하중으로 인한 시험편의 잔류응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외부환경조건에서 하중이나 응력 상태에서의 기기나 부품의 잔류응력 값을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시험편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잔류응력 측정장치에서 하중인가 유니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잔류응력 측정장치는 시험편(10)에 하중을 정량적이고 단계적으로 인가하면서 인가된 상기 하중을 유지시키도록 하며, 인가되어 유지되는 상기 하중으로 인한 상기 시험편(10)의 잔류응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잔류응력 측정장치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시험편(10)에 하중을 정량적이고 단계적으로 인가하고 유지시키는 하중인가 유니트(100)와, 상기 하중인가 유니트(100)에 의해 인가되어 유지되는 하중에 의해 시험편(10)에 발생된 잔류응력을 측정하는 엑스레이 회절 유니트를 포함한다.
상기 하중인가 유니트(100)는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시험편(10)의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부(120), 및 상기 시험편(10)에 하중을 인가하는 하중인가부(14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110)은 전체적으로 크게 하부(112)와 측부(114) 및 상부(116)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112)는 바닥에 안정하게 배치되도록 적정넓이의 판재형상을 취한다.
또한, 측부(114)는 하부(112)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거나, 하부(112)에 체결되어 상측으로 배치되며, 이때 후술하는 엑스레이 회절 유니트(200)에 의한 엑스레이 빔이 통과하도록 두 개로 나뉘는 구조를 이룬다.
아울러, 상기 상부(116)는 측부(114)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측부(114)에 체결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프레임(110)의 형상 및 구조는 하중인가 유니트(100)의 구성요소들이 적정하게 배치되어 설치되도록 구성되면 될 뿐,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고정부(120)는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시험편(10)의 양단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는데, 그 구성요소로서 그립부재(122)와 피스톤부재(124)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그립부재(122)는 프레임(110)의 일측에 고정설치되어, 시험편(10)의 일단을 고정한다.
상기 피스톤부재(124)는 프레임(110)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시험편(10)의 타단을 고정하는 그립부위가 단부에 구성된다.
이와 같은 피스톤부재(124)는 후술하는 복동식 유압실린더(144) 내부에 장착되어 상하운동 가능한 구조를 지니는데, 이에 의해 시험편(10)은 하중의 인가, 즉 인장, 압축, 및 굽힘 하중을 받게 된다.
한편, 상기 시험편(10)의 양단은 걸림홀(10a)이나 걸림홈(10b)이 형성된다.
시험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판재시험편, 봉상시험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시험편은 일정규격에 따른 것으로서 응력을 받는 부위가 정형화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때, 판재시험편(10)에는 걸림홀(10a)이 형성되고, 봉상시험편(10)에는 걸 림홈(10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그립부재(122) 및 피스톤부재(124)에서 시험편(10)에 대한 그립부위에는 상기 시험편(10)의 양단이 인입되도록 인입홈(122a)(124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그립부재(122) 및 피스톤부재(124)에는, 상기 시험편(10)의 걸림홀(10a)이나 걸림홈(10b)에 끼워져서 걸려지도록, 상기 시험편(1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상기 인입홈(122a)(124a)에 배치된 걸림로드(123)가 장착된다.
상기 하중인가부(140)는 고정부(120)에 연결되어 시험편(10)에 하중을 정량적이고 단계적으로 인가하면서 인가된 하중을 유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중인가부(140)는 피스톤부재(124)가 내부에서 유압에 의해 유압에 의해 양방향 구동되는 복동식 유압실린더(144)와, 복동식 유압실린더(144)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146)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복동식 유압실린더(144)는 프레임의 하부(112) 상에 배치되며, 내부에서 피스톤부재(124)의 양측으로 압유가 출입됨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피스톤부재(124)를 상하 양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피스톤부재(124)가 일단이 그립부재(122)에 고정된 시험편(10)을 잡아당기거나 미는 동작을 구현함으로써, 시험편(10)에 인장, 압축, 및 굽힘 하중을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동식 유압실린더(144)와 유압펌프(146)는 연결라인(145)에 의해 연결되어, 유압펌프(146)의 유압이 연결라인(145)을 통해 복동식 유압실린더(144)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라인(145)에는 유압의 흐름을 조절하는 조절밸브(145a)가 구성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유압펌프(146)에 구성된 가압로드(146a)는 사용자가 직접 힘을 가함에 따라 유압펌프(146)가 펌핑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시험편(10)에 인가된 하중을 측정하도록, 상기 그립부재(122)가 연결되며 프레임(110)에 설치된 로드셀(160)을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로드셀(160)은 압력게이지의 역할을 함으로써, 시험편(10)에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로드셀(160)에 의해 측정된 시험편(10)의 하중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로드셀(160)에 전기적으로 연계된 인디케이터(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드셀(160)은 프레임의 상부(116) 하면에 설치되고, 인디케이터(180)는 프레임의 상부(116) 상면에 장착된다.
도 3은 도 2의 하중인가 유니트에 의해 하중인 인가된 시험편이 엑스레이 회절 유니트에 의해 상기 엑스레이 빔이 조사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술한 같이 구성되는 하중인가 유니트(100)에 의해 하중이 인가된 시험편(10)의 잔류응력 측정을 위해, 엑스레이 회절 유니트(200)로 상기 시험편(10)에 엑스레이 빔을 조사한다.
상기 엑스레이 회절 유니트(200)는, 인가되어 유지되는 상기 하중으로 인한 상기 시험편(10)의 잔류응력을 엑스레이 디프렉션 방식으로 측정한다.
이와 같은 엑스레이 회절 유니트(200)는, 엑스레이 빔을 조사하는 조사부(220)와 검출하는 검출부(240), 및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조사부(220)는 시험편(10)에 엑스레이 빔을 조사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검출부(240)는 조사부(220)로부터 조사되어 시험편(10)을 반사회절한 엑스레이 빔을 받아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검출부(240)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에 의해 시험편(10)의 잔류응력을 결정한다.
여기에서 시험편(10)이 인가된 하중을 유지한 상태에서 엑스레이 빔을 조사받기 위한 적정한 위치에 오기 위해서는, 시험편(10)에 하중을 인가 및 유지시키고 있는 상태의 하중인가 유니트(100)를 엑스레이 회절 유니트(200)로 위치이동시킨다.
다시 말해, 상기 시험편(10)이 조사부(220)와 검출부(240) 사이에 배치되어 엑스레이 빔이 조사되어 반사회절되도록, 하중인가 유니트(100)를 배치한다.
물론, 상기 하중인가 유니트(100)는 도면에서와 같이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 고, 엑스레이 회절 유니트(200)에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잔류응력 측정방법은, 시험편(10)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시험편(10)에 하중을 인가하여 유지시키는 단계, 및 인가되어 유지되는 상기 하중으로 인한 상기 시험편(10)의 잔류응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잔류응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인가된 하중을 유지시키는 것을 중요하며, 이를 위해 상술한 잔류응력 측정장치가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서의 잔류응력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에 의해, 외부환경조건에서 하중이나 응력 상태에서의 기기나 부품의 잔류응력 값을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험적인 방법을 통해 잔류응력 측정결과를 체계적으로 DB 화하고, 전산해석에 입력자료로 활용하여 상호보완하면 보다 정밀한 잔류응력해석이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시험편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잔류응력 측정장치에서 하중인가 유니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하중인가 유니트에 의해 하중인 인가된 시험편이 엑스레이 회절 유니트에 의해 상기 엑스레이 빔이 조사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험편 100 : 하중인가 유니트
110 : 프레임 120 : 고정부
122 : 그립부재 124 : 피스톤부재
140 : 하중인가부 144 : 복동식 유압실린더
146 : 유압펌프 146a : 가압로드
160 : 로드셀 180 : 인디케이터
200 : 엑스레이 회절 유니트 220 : 조사부
240 : 검출부

Claims (17)

  1. 삭제
  2.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시험편의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시험편에 하중을 정량적이고 단계적으로 인가하면서 인가된 상기 하중을 유지시키는 하중인가부;를 구비하는 하중인가 유니트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시험편의 일단을 고정하는 그립부재 및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시험편의 타단을 고정하는 그립부위가 단부에 구성된 피스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중인가부는,
    상기 피스톤부재가 내부에서 유압에 의해 양방향 구동되는 복동식 유압실린더 및 상기 복동식 유압실린더에 상기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를 포함하여 인가되어 유지되는 상기 하중으로 인한 상기 시험편의 잔류응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화하중 작용하에서 잔류응력 측정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편의 양단은 각각 갈고리 형상을 지니며,
    상기 그립부재 및 피스톤부재에서 상기 시험편에 대한 그립부위에는 상기 시험편의 양단이 인입되도록 인입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그립부재 및 피스톤부재에는, 갈고리 형상의 상기 시험편의 양단에 끼워져서 걸려지도록, 상기 시험편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상기 인입홈에 배치된 걸림로드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화하중 작용하에서 잔류응력 측정장치.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동식 유압실린더와 유압펌프는 연결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유압펌프의 유압이 상기 연결라인을 통해 상기 복동식 유압실린더로 공급되며,
    상기 연결라인에는 상기 유압의 흐름을 조절하는 조절밸브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화하중 작용하에서 잔류응력 측정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편에 인가된 하중을 측정하도록, 상기 그립부재가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로드셀;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화하중 작용하에서 잔류응력 측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시험편의 하중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로드셀에 전기적으로 연계된 인디케이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화하중 작용하에서 잔류응력 측정장 치.
  9. 시험편에 하중을 정량적이고 단계적으로 인가하면서 인가되어 유지되는 상기 하중에 대한 상기 시험편의 잔류응력을 측정하는 하중인가 유니트; 및
    인가되어 유지되는 상기 하중으로 인한 상기 시험편의 잔류응력을 엑스레이 디프렉션 방식으로 측정하는 엑스레이 회절 유니트;를 포함하되,
    상기 하중인가 유니트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시험편의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시험편에 하중을 정량적이고 단계적으로 인가하면서 인가된 상기 하중을 유지시키는 하중인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시험편의 일단을 고정하는 그립부재 및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시험편의 타단을 고정하는 그립부위가 단부에 구성된 피스톤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중인가부는,
    상기 피스톤부재가 내부에서 유압에 의해 양방향 구동되는 복동식 유압실린더 및 상기 복동식 유압실린더에 상기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화하중 작용하에서 잔류응력 측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레이 회절 유니트는,
    상기 시험편에 엑스레이 빔을 조사하는 조사부;
    상기 조사부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시험편을 반사회절한 상기 엑스레이 빔을 받아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데이터에 의해 상기 시험편의 잔류응력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험편은 상기 조사부와 검출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엑스레이 빔이 조사되어 반사회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화하중 작용하에서 잔류응력 측정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편의 양단에는 걸림홀이나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그립부재 및 피스톤부재에서 상기 시험편에 대한 그립부위에는 상기 시험편의 양단이 인입되도록 인입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그립부재 및 피스톤부재에는, 상기 시험편의 걸림홀이나 걸림홈에 끼워져서 걸려지도록, 상기 시험편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상기 인입홈에 배치된 걸림로드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화하중 작용하에서 잔류응력 측정장치.
  14. 삭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편에 인가된 하중을 측정하도록, 상기 그립부재가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로드셀;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화하중 작용하에서 잔류응력 측정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시험편의 하중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로드셀에 전기적으로 연계된 인디케이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화하중 작용하에서 잔류응력 측정장치.
  17. 삭제
KR1020090124085A 2009-12-14 2009-12-14 변화하중 작용하에서 잔류응력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KR101108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085A KR101108139B1 (ko) 2009-12-14 2009-12-14 변화하중 작용하에서 잔류응력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085A KR101108139B1 (ko) 2009-12-14 2009-12-14 변화하중 작용하에서 잔류응력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475A KR20110067475A (ko) 2011-06-22
KR101108139B1 true KR101108139B1 (ko) 2012-01-31

Family

ID=44399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085A KR101108139B1 (ko) 2009-12-14 2009-12-14 변화하중 작용하에서 잔류응력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81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274B1 (ko) * 2001-02-22 2003-12-31 최영신 허브 정유를 이용한 지폐 등 유가증권의 소독방법 및소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064B1 (ko) * 2015-11-06 2016-10-27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시험체의 잔류 응력 도입장치
CN106969858B (zh) * 2017-03-07 2022-09-23 浙江工业大学 一种车灯灯罩应力检测的载荷装置
CN110346211A (zh) * 2019-07-19 2019-10-18 东莞市正邦检测设备有限公司 全自动残余凹陷测试机
CN110849521B (zh) * 2019-11-13 2021-05-28 中国石油大学(华东) 一种便携式的应用于现场残余应力的加载及光学测试装置
CN112763318B (zh) * 2020-12-29 2024-04-09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飞机设计研究所 一种金属材料残余应力模拟试验装置及方法
CN114858586B (zh) * 2022-05-19 2023-09-29 成都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受力轴可自行对正的残余应力测量标定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6943A (ja) * 1983-08-08 1985-02-26 Mitsubishi Heavy Ind Ltd X線応力測定装置
KR100324297B1 (ko) 1999-10-18 2002-02-21 정생규 피씨 강선 및 강연선용 응력 이완 시험기
US20050193395A1 (en) * 2004-02-27 2005-09-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erarchical event filtering for multiple parent event types
KR100932454B1 (ko) 2007-12-27 2009-12-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잔류응력 측정장비 보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6943A (ja) * 1983-08-08 1985-02-26 Mitsubishi Heavy Ind Ltd X線応力測定装置
KR100324297B1 (ko) 1999-10-18 2002-02-21 정생규 피씨 강선 및 강연선용 응력 이완 시험기
US20050193395A1 (en) * 2004-02-27 2005-09-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erarchical event filtering for multiple parent event types
KR100932454B1 (ko) 2007-12-27 2009-12-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잔류응력 측정장비 보정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274B1 (ko) * 2001-02-22 2003-12-31 최영신 허브 정유를 이용한 지폐 등 유가증권의 소독방법 및소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475A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8139B1 (ko) 변화하중 작용하에서 잔류응력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US20120053858A1 (en) Fatigue Life Estimation Method and System
KR101886556B1 (ko) 신장 플랜지 균열 예측 방법, 신장 플랜지 균열 예측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JP6070514B2 (ja) レーザ重ね溶接継手の疲労寿命予測方法
Meneghetti et al. A two-parameter, heat energy-based approach to analyse the mean stress influence on axial fatigue behaviour of plain steel specimens
Gandiolle et al. Stability of critical distance approach to predict fretting fatigue cracking: a “ℓopt–bopt” concept
Feng et al. A uniform volume-based fatigue indicator for high-and low-cycle assessment of notched components
JP2008275466A (ja) 高温機器の寿命評価装置、高温機器の寿命評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710997B2 (ja) 疲労限度特定システムおよび疲労限度特定方法
Lin et al. Characterisation of fatigue crack tip field in the presence of significant plasticity
Brighenti et al. Damage mechanics and Paris regime in fatigue life assessment of metals
Keller et al. Real-time health monitoring of mechanical structures
Nowell et al. Investigation of fatigue crack models by micro-scale measurement of crack tip deformation
Abshirini et al. Interaction of two parallel U-notches with tip cracks in PMMA plates under tension using digital image correlation
Wang et al. On the analysis of plasticity induced crack closure in welded specimens: A mechanism controlled by the stress intensity factor resulting from residual stresses
JP4895302B2 (ja) 弾性率測定方法、弾性率測定装置、及びプログラム
Zárate et al. Deterministic and probabilistic fatigue prognosis of cracked specimens using acoustic emissions
Gandiolle et al. Lifetime prediction methodology for variable fretting fatigue loading: Plasticity effect
KR102605631B1 (ko) Lng 극저온화물창 1차 방벽 굽힘피로시험 방법
Pedrosa et al. Fatigue crack growth modelling for S355 structural steel considering plasticity-induced crack-closure by means of UniGrow model
RU2533999C2 (ru) Способ испытания плоских образцов на изгиб
Koh Fatigue analysis of an automotive steering link
KR101113950B1 (ko) 표면 온도 측정을 통한 피로 수명 예측 방법
Li et al. Fatigue life prognosis study of welded tubular joints in signal support structures
KR20140047234A (ko) 소형 시편을 이용한 용접부의 잔류 응력 계측 방법 및 그를 위한 소형 시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