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7631B1 - 다중입출력 채널상의 코드분할다중접속 통신을 위한 송출 - Google Patents

다중입출력 채널상의 코드분할다중접속 통신을 위한 송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7631B1
KR101107631B1 KR1020067024372A KR20067024372A KR101107631B1 KR 101107631 B1 KR101107631 B1 KR 101107631B1 KR 1020067024372 A KR1020067024372 A KR 1020067024372A KR 20067024372 A KR20067024372 A KR 20067024372A KR 101107631 B1 KR101107631 B1 KR 101107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spreading
data
code
antenn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4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8958A (ko
Inventor
라파앨르 삐쏘즈
앙?B느 뻬르때
Original Assignee
프랑스 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랑스 텔레콤 filed Critical 프랑스 텔레콤
Publication of KR20070038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8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04L1/0625Transmitte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6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elayed versions of sam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6Code allocation
    • H04J13/18Allocation of orthogonal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04L1/0637Properties of the code
    • H04L1/0668Orthogonal systems, e.g. using Alamouti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송신안테나와 복수의 수신안테나를 사용하여 주파수 선택형 채널 상으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는 복수의 사용자를 위한 송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코딩되고 인터리빙된 데이터 (d[n])에 대해 K개의 채널로의 역다중화(105) 및 역다중화된 데이터의 변조(107) 단계, 및 N×K 발생기 행렬 (W,W n )에 의해 규정된 내부선형코딩(108) 단계를 적용하며, 이 경우 K는 송신안테나의 개수 T보다 확실히 크고, N은 T보다 확실히 크며, 또한 상기 내부 코딩은 변조된 데이터의 K차원 벡터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송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중입출력 채널, 주파수 선택형 채널, 내부선형코딩, 인터리빙, 역다중화, 발생기 행렬

Description

다중입출력 채널상의 코드분할다중접속 통신을 위한 송출{EMISSION FOR CDMA COMMUNICATIONS SYSTEMS ON THE MIMO CHANNEL}
본 발명은 디지털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펙트럼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주파수 선택형 다중입출력(MIMO:Multi Input Multi Output) 채널 상에서의 디지털 데이터의 경로정하기(routing)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송신
안테나 기술의 출현에 따라, 다양한 다중접속 기법(시분할 다중 접속(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및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에 기초한 통신 모델들이 다중입출력 채널을 포함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검토되고 있다. 스펙트럼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시스템은 과부하 조건하에서, 즉, 검출시에 복수의 사용자를 분리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가용 자원(별개의 시간 슬롯 또는 주파수 슬롯 및/또는 직교 확산 코드의 관점에서)보다 많게 복수의 사용자들을 선택하는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예를 들어 참조문헌 [1] 참조).
[1] 에이치. 사리(H. Sari ), 에프. 반하베르베케 (F. Vanhaverbeke ), 엠. 모에네클래이(M. Moeneclaey ), "복수 사용자 및 단일 사용자 통신에서의 채널 과부하(Channel Overloading in Multiuser and Single User Communications )", ref .
최근의 이론적 연구는 송신을 위한 복수의 안테나(T개의 안테나) 및 수신을 위한 복수의 안테나(R개의 안테나)의 잠재성을 탐구해 왔으며, 또한 용량의 상당한 잠재적인 증가를 조명해왔다. 다중입출력 전송에 적응된 공간-시간 코딩 방안 중에서, 용량이 min(T, R)(에르고딕(ergodic)적인 경우)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블래스트(BLAST:Bell Lab Layered Space Time) 기술(참조문헌 [2], 아래 참조)만이 상당히 높은 비트율을 지원할 수 있다.
[2] 지.제이. 포쉬니 (G.J. Foschini ), "복수의 안테나를 사용할 때 페이딩 환경에서의 무선통신을 위한 계층화된 공간-시간 구조( Layered Space - Time Architect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a Fading Environment When Using Multiple Antennas )", Bell Lab Tech . J., vol .2, no .2, pp .41-59, 1996.
도 1을 참조하면, 다양한 송신 층 상으로의 데이터에 대한 단순한 공간적 역다중화 V-블래스트(V-BLAST:Vertical Bell Lab Layered Space Time) 기술에 상당하는 송신(100)에서의 블래스트 개념은 임의적인 유형의 변조 방안(스펙트럼 확산을 구비하거나 또는 구비하지 않는 다중 반송파(multi carrier), 단일 반송파(single carrier))을 확립하고, 비트 인터리빙(bit interleaving)(STBICM 인터리빙된 코딩된 변조)이 후속되는 외부 채널(300)의 코딩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층에서 특정 혼합화(scrambling) 코드를 사용하는 STBICM 형 송신 모델이 예를 들어 참조문헌 [3](아래 참조)에 개시되어 있다. 확산이 주파수 영역에서 이루어질 때 다중반송파 코드분할다중접속(MC-CDMA)을 가지고 정규적인 분석이 행해질 수 있다.
도 1에는 수신(200)도 표시되었다.
참조문헌 [3] 디.엘. 쉴링 (D.L. Shilling ), "확산 스펙트럼을 위한 효율적인 음영 감소 안테나 시스템( Efficient Shadow Reduction Antenna System for Spread Spectrum)", 미국 특허 제6 128 330호, 2000년 10월
본 발명의 제1측면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송신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제2측면은 특허청구범위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송신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송신시에 채널상태정보(CSI)가 없을 경우를 가정하여 T개의 송신안테나와 R개의 수신안테나를 사용해서 주파수 선택형 다중입출력 송신 채널의 스펙트럼 효율을 증가시키는 한편 유해한 효과를 제거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단순한 메커니즘과 기법의 조합을 기초로 한 공간-시간 코딩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들은 추가적으로
ㆍ채널 교정기 코딩 및 외부 인터리빙(interleaving) 방법을 포함하는 송신 공간-시간 코딩 방법;
ㆍ부호 코딩되고 인터리빙된 데이터로 된 K>T인 별개의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한 역다중화 코딩된 데이터에 기초한 송신 공간-시간 코딩 방안;
ㆍ길이 N 또는 N/T인 직교 코드들에서 제한된 자원을 이용하는 공간-시간 또는 공간-주파수 내부선형코딩(또는 확산)에 기초한 송신 공간-시간 코딩 방안, 포화상태를 넘어서는 시스템의 동작이 스펙트럼 효율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시도되도록 이 코드들이 재사용된다.;
ㆍ코딩되고, 변조되며, T개의 별개인 송신안테나 상으로 공간적으로 그리고 시간적으로 확산된 데이터의 다중화;
ㆍ 그 스펙트럼 효율이 전파 조건에 매우 근접하도록 적응될 수 있는 송신 공간-시간 코딩 방법들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다중안테나간섭(MAI:multi antenna interference) 및 심볼간간섭(ISI:inter symbol interference)가 없을 경우에 K명의 사용자를 갖는 다중 접속 모델을 수신시에 재구성할 때 칩에 영향을 미치는 잡음의 샘플의 시간적인 비상관성을 보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송신 시스템을 제안하며, 상기 수단은 다중입출력 채널 상으로의 전송 이전에, 칩 인터리빙이 후속되는 주기적 내부선형코딩 또는 비주기적 내부선형코딩으로 이루어진다. 비록 칩 인터리빙이 비주기적 내부선형코딩에 대해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칩 인터리빙이 여전히 선택 사양이라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도 1은 주파수 선택형 다중입출력 채널에 적용된 V-블래스트 기법의 개념을 도시한다.
도 2는 디지털 정보의 외부 채널 코딩, 인터리빙 및 K개의 스트림으로의 역다중화의 일반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3은 T개의 송신안테나로의 다중화가 후속되는 공간-시간(또는 공간-주파수) 내부선형코딩(또는 확산)의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4는 단일 채널로의 다중화, 칩 레벨 인터리빙 및 T개의 송신안테나 상으로의 역다중화가 후속되는 공간-시간(또는 공간-주파수) 내부선형코딩(또는 확산) 방법을 도시한다.
도 5는 디지털 정보의 외부 채널 코딩, 인터리빙, 및 U개의 스트림으로의 제2 역다중화(코드 역다중화)가 후속되는 T개의 스트림으로의 제1 역다중화(공간 역다중화)의 일반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6은 통합이동통신시스템(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고속하향패킷접속(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모드와 양립 가능한, 내부선형코딩(또는 확산) 및 각 안테나에서의 독립적인 다중화의 시간(또는 주파수)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은 통합이동통신시스템 고속하향패킷접속 모드와 양립 가능한, 단일 스트림으로의 다중화, 칩 레벨로의 인터리빙 및 T개의 송신안테나 상으로의 역다중화가 후속되는, 시간(주파수) 내부선형코딩(또는 확산) 및 각 안테나에서의 독립적인 다중화의 방법을 도시한다.
도 8은 다중 반송파 변조를 구현하기 위해 통상 사용되는, 푸리에 기반에서 주파수 선택형 다중입출력의 분해에 의해 획득되는 평탄 에르고딕 또는 블록 페이딩 등가 채널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1. 송신기의 일반적인 구조
본 발명은 복수의 송신안테나 및 복수의 수신안테나의 사용에 따라 달라지며 또한 확산 스펙트럼 변조의 사용에 따라 달라지는 높은 스펙트럼 효율 및 높은 적응성 용량을 갖는 변조/코딩 방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송신 채널상태정보는 없고 수신 채널상태정보는 완전히 있다고 가정하는 경우의 해결책에 관한 것이다.
1.1 데이터의 외부코딩
가용 디지털 데이터는 수집되어 송신 디지털 데이터의 소스를 구성하는 K 0 비트의 메시지 m으로 그룹화(101)된다. 임의의 메시지 m에 대해, N 0 ×K 0 발생기 행렬 G 0를 구비하고 F2 상에 구성된 선형 외부 코드 C0는 행렬식
v = G 0 m
에 의해 규정된 길이 N 0 비트인 부호워드 v를 할당하여 외부코딩(102)한다.
외부코딩 수율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6085137150-pct00001
부호워드의 길이 N 0 는 식
N 0 =K×L×q
에 의해 시스템의 여러 변수에 연결되며, 여기서 K는 전체 사용자 수를 나타내고, L은 패킷의 길이(부호 시간으로)를 나타내며, q는 변조 부호당 비트수를 나타낸다. 코드는 임의의 유형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돌림형 부호(convolutional code), 터보 코드(turbocode), 엘디피씨(LDPC:Low-density parity check) 부호 등일 수 있다. 다중 접속 유형 구성에서, 메시지 m는 상이한 소스로부터의 복수의 다중화 메시지로 구성된다. 코딩은 각각의 구성 요소 메시지에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 부호워드 v는 생성된 다양한 코드 워드의 연쇄로부터 얻어진다.
1.2 비트 인터리빙
다중화(103) 이후에, 부호워드 v는 (비트 레벨로 동작하면서 적절한 경우에 특정 구조를 갖는) 비트 인터리빙(104) 수단으로 송신된다. 다중 접속식 구성에서, 인터리빙은 순차적으로 위치된 다양한 부호워드에 대해 하나씩 이루어진다. 이러한 비트 인터리빙(104) 수단의 출력은 정수로 지칭되는 q비트의 KL 세트로 분배된다.
1.3 역다중화 및 변조
K는 T보다 확실히 크고 임의로 선택되는 상태에서, 정수 스트림은 K개의 별개인 채널 상으로의 역다중화(105)의 프로세스 하에 놓여 진다. 이러한 동작으로부터의 출력은 정수들로 된 K×L 행렬 D이다. 이 행렬 D
Figure 112006085137150-pct00002
의 L개의 칼럼은 다음과 같은 구조
Figure 112006085137150-pct00003
를 가지며, 여기서, 구성 정수
Figure 112006085137150-pct00004
들은
Figure 112006085137150-pct00005
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그런 다음, 도 3을 참조하면, 행렬 D의 정수 들은 변조 데이터로 개별적으로 변조(107)되며,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변조 테이블
Figure 112010015847279-pct00007
을 통해
Figure 112010015847279-pct00008
개의 원소를 갖는 컨스텔레이션(constellation)
Figure 112010015847279-pct00101
의 복소 부호
Figure 112010015847279-pct00010
로 변조된다. 이러한 동작은 정수 행렬 DK×L 복소 행렬 S로 변환시키며, 또한 여기에서 L개의 열
Figure 112010015847279-pct00011
은 다음과 같이 구조화된다.
Figure 112010015847279-pct00102
다음과 같이 역 관계를 구체화하는 것이 유용하다.
Figure 112010015847279-pct00103
1.4 내부선형코딩 (또는 확산) 전략
송신기의 구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또한 수신시에 선형 선단의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복소수들로 된 본체 상으로의 내부선형코딩(또는 확산)을 규정하는 발생기 행렬 W의 정의에 대한 몇 가지 선택 사양은,
ㆍ각각의 부호 시간에 W가 재사용되는 주기적 확산(또는 내부 코딩).주기적 확산은 등화(equalization) 이후에 다중 접속 시스템을 재구성할 때 칩에 영향을 미치는 잡음 샘플들의 시간적인 비상관성(decorrelation)을 보장하기 위해, 다중입출력 채널 상으로의 칩 인터리빙이 전송 이전에 적용되어야 한다; 또는
W가 부호 시간에 따라 명시적으로 달라지는 비주기적 확산(또는 내부 코딩). 비주기적인 확산은 등화 이후에 다중 접속 시스템이 재구성될 때 칩에 영향을 미치는 잡음 샘플들의 시간적인 비상관성을 보장한다. 칩 인터리빙은 더 이상 필수가 아닌 선택 사양으로 남는다.
또한, 확산이 모든 안테나에 대해 하나의 블록에서 수행되면 확산은 공간-시간 확산(또는 공간-주파수 확산)일 수 있으며, 또는 확산이 각각의 안테나에 대해 독립적으로 달성되면 확산은 오직 시간(또는 주파수) 확산일 수 있다.
그러므로, 4개의 주요 유형의 내부 선형 코드는,
ㆍ비주기적인 공간-시간(또는 공간-주파수) 내부선형코딩(또는 확산);
ㆍ비주기적인 시간(또는 주파수) 내부선형코딩(또는 확산);
ㆍ주기적인 공간-시간(또는 공간-주파수) 내부선형코딩(또는 확산);
ㆍ주기적인 시간(또는 주파수) 내부선형코딩(또는 확산)일 것이다.
1.5 칩 인터리빙이 없는 비주기적인 공간-시간(또는 공간-주파수) 확산(또는 내부선형코딩)
도 3을 참조하면, 여기에서 비주기적인 공간-시간(공간-주파수) 확산이 가정된다. 공간-시간(공간-주파수) 확산은
Figure 112010015847279-pct00104
인, N×K 내부 코딩 행렬 W n 에 의해 각각의 행렬 S에 대해 달성된다. 시스템의 내부 코딩 수율(또는 부하)은
Figure 112006085137150-pct00015
이다.
부호 벡터 s[n]에 내부 코딩 행렬 W를 곱하면 벡터
Figure 112010015847279-pct00105
이 얻어진다.
이러한 상관성은 또한 행렬 레벨
Figure 112010015847279-pct00106
로 기재될 수도 있다.
칩 벡터
Figure 112006085137150-pct00018
는 T개의 별개인 칩 스트림(각각의 송신안테나당 하나씩)으로 다중화된다. 이러한 동작의 효과는 N×K 칩 행렬 Z
Figure 112010015847279-pct00107
T×LS F 칩 행렬 X
Figure 112010015847279-pct00108
로 변환시키며,
Figure 112006085137150-pct00021
Figure 112010015847279-pct00109
로 정의되는 행렬의 열들은 다중입출력 채널의 입력을 구성한다.
길이 N인 N개의 직교 코드들이 내부 코딩 행렬 W n 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 가능하다. 시스템은
K > N
되는 즉시 과부하된다.
K를 N으로 다항 나눗셈한 결과인
K =AN + B
를 고려하자.
그에 따라, K개의 사용자는 N명의 사용자로 구성된 A개의 포화 그룹과 B명의 사용자로 구성된 하나의 비포화 그룹으로 분할된다. 우리는 구조적으로 식
Figure 112006085137150-pct00023
을 만족시키는 N개의 직교 코드(예를 들어, 하다마드(Hadamard) 행렬)로 형성된 확산 코드의 단위 그룹을 표시하는 N×N 행렬
Figure 112010015847279-pct00110
Figure 112006085137150-pct00025
에서 무작위로 뽑아낸 B개의 열로 구성된 절단 형태
Figure 112010015847279-pct00111
을 설정한다.
마찬가지로,
Figure 112006085137150-pct00027
이다.
대각 원소들이 의사 무작위(pseudo-random)로 뽑아낸 정규화된 직교위상편이변조(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칩들인 N×N 대각 행렬은 사용자
Figure 112006085137150-pct00028
의 포화 그룹을 위한 혼합화 행렬로 지칭되며,
Figure 112010015847279-pct00112
라고 기재된다.
마찬가지로, B명의 사용자로 된 비포화 그룹을 위한 N×N 혼합화 행렬은
Figure 112010015847279-pct00113
로 지칭된다.
그러므로,
Figure 112010015847279-pct00114
와 같은 내부 코딩 행렬 W n을 형성하기 위해서 혼합화 행렬이 확산 행렬에 적용할 때, 이러한 혼합화 행렬은 (혼합화 코드를 사용해서) 다양한 안테나 상으로 송신되는 칩 스트림의 비상관성을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내부 코딩 행렬 W n은 항상
Figure 112010015847279-pct00115
로 기재될 수 있다.
1.6 칩 인터리빙이 없는 각각의 송신 안테나를 위한 독립적이고 비주기적인 시간(또는 주파수) 확산 (재사용 원리)
도 6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통합이동통신시스템(UMTS) 표준의 고속하향패킷접속(HSDPA) 모드와 양립 가능한 본 발명의 이러한 상이한 변형예에서 길이
Figure 112006085137150-pct00033
Figure 112006085137150-pct00034
직교 코드가 있다. 변수 N은 항상 T의 배수이다.
Figure 112010015847279-pct00116
Figure 112006085137150-pct00036
코드는 각각의 송신 안테나를 위해 재사용된다(이것이 코드 재사용 원리이다). 각각의 안테나에 대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확산은 시간 확산 또는 주파수 확산이다. 이로 인해 K도 T의 배수이다.
Figure 112010015847279-pct00117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비제한적인 조건들은 내부 코딩 수율(부하)에 대한 새로운 표현으로 귀결된다.
Figure 112006085137150-pct00038
내부 코딩 행렬 W n
Figure 112010015847279-pct00118
은 블록 대각 구조를 가지며, 내부 코딩 행렬의 블록
Figure 112006085137150-pct00040
은 차수
Figure 112006085137150-pct00041
을 갖는 안테나(t)와 연관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시간 n에 송신된 (외부코딩(102)되고 비트 인터리빙(104)된 이후에 역다중화(105)된) 정수 벡터
Figure 112006085137150-pct00042
Figure 112006085137150-pct00043
라는 특별한 구조를 가지며, 여기서 부호 벡터
Figure 112006085137150-pct00044
Figure 112006085137150-pct00045
와 같이 규정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다중화된 데이터
Figure 112006085137150-pct00046
의 변조(107)는 시간 n에서 송신된
Figure 112010015847279-pct00119
라는 특별한 구조를 갖는 부호들의 벡터를 산출하며, 여기서 부호 벡터
Figure 112006085137150-pct00048
Figure 112010015847279-pct00120
로 정의된다.
부호 벡터 s[n]의 내부 코딩 행렬 W n 에 의한 곱(108)은 벡터
Figure 112010015847279-pct00121
를 생성하며,
Figure 112010015847279-pct00122
라는 특별한 구조도 갖는데, 여기서 칩 벡터
Figure 112006085137150-pct00052
Figure 112010015847279-pct00123
와 같이 정의된다.
그러면, 각각의 안테나(t)에 대해, 칩 벡터
Figure 112010015847279-pct00124
는 이와 연관된 송신 안테나(t)상으로 다중화(109-t)된다.
이러한 송신의 변형예에서, 공간적인 다양성의 회복은 외부 코드 G0(102에서의) 및 외부 비트 인터리빙(104)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확산 코드의 길이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진 과부하 용량은 낮아진다.
과부하 조건 및 행렬 Wn의 명시적인 구성은 이하에서 설명될 수 있다. 시스 템은
Figure 112006085137150-pct00055
일 경우 과부하된다.
이는 반드시
Figure 112006085137150-pct00056
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각각의 안테나에 반드시 과부하가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06085137150-pct00057
일 때, 다양한 안테나들이 개별적으로 과부하된다. 그런 다음, 조건
Figure 112006085137150-pct00058
은 증명하기에 하찮은 것이며, 또한 복수의 안테나를 갖는 시스템은 전적으로 과부하된 것으로 평가된다.
U의
Figure 112006085137150-pct00059
에 의한 다항 나눗셈의 결과
Figure 112006085137150-pct00060
를 고려하자.
그에 따라, 송신안테나 각각에 연관된 U명의 사용자는
Figure 112006085137150-pct00061
명의 사용자로 된 A개의 포화 그룹과 B명의 사용자로 된 하나의 그룹으로 분할된다.
우리는 구조적으로 식
Figure 112006085137150-pct00062
을 만족시키는
Figure 112006085137150-pct00063
개의 직교 코드(예를 들어, 하다마드 행렬)로 형성된 확산 코드의 단위(unitary) 그룹을 표시하는
Figure 112006085137150-pct00064
행렬
Figure 112010015847279-pct00125
Figure 112006085137150-pct00066
에서 무작위로 뽑아낸 B 열로 구성된, 안테나(t)에 특유한 절단 형태
Figure 112010015847279-pct00126
을 설정한다.
마찬가지로,
Figure 112006085137150-pct00068
이다.
대각 원소들이 무작위로 뽑아낸 정규화된 직교위상편이변조(QPSK) 칩들인 S F ×S F 대각 행렬은 사용자
Figure 112006085137150-pct00069
의 포화 그룹을 위한 혼합화 행렬로 지칭되며,
Figure 112010015847279-pct00127
라고 기재된다.
마찬가지로, S F ×S F 행렬
Figure 112010015847279-pct00128
는 안테나(t)에 연관된 비포화 그룹을 위한 혼합화 행렬로 지칭된다.
혼합화 행렬이 내부 코딩 행렬 W n 의 블록 W n (t) 을 형성하기 위해서 확산 행렬
Figure 112010015847279-pct00129
에 적용될 때, 블록 W n (t) 에 연관된 혼합화 행렬은 (혼합화 코드를 사용해서) 안테나(t) 상으로 송신된 칩 스트림의 비상관성을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혼합화 행렬은 항상
Figure 112010015847279-pct00130
와 같은 형태로 기재될 수 있다.
주: 간략화를 위하여, 이 단락은 완전히 서로 동일한 차원(SF×U)을 갖는 블록 W n (t) (T∈[1;T])으로 내부 코딩 행렬 W n 이 구성된 상황을 포함한다.
이 경우는 내부 코딩 행렬 W n (t) 이 서로 상이한 차원을 갖는 블록으로 이루어진 보다 일반적인 경우로 확장될 수 있는데, 특히 블록 W n (t) 이 차원 SF×Ut (Ut는 안테나(t)의 잠재적인 채널의 수)를 갖고 그에 따라 한 안테나로부터 또 다른 안테나까지 반드시 동일하지는 않는 가장 일반적인 경우로 확장될 수 있다.
그러므로, 행렬 W n
Figure 112006085137150-pct00074
를 갖는 차원 N×K로 된다.
그런 다음, 송신 방법은 이 변형예에 적용될 수 있다.
1.7 주기적 확산
이 경우의 프로세싱은 이 경우에서의 발생기 행렬이 시간상 주기적으로 적용되며 또한
Figure 112006085137150-pct00075
와 같이 표현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절 1.5 또는 절 1.6의 프로세싱과 동일하다.
1.8 칩 인터리빙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절 1.5 내지 절 1.6에 기술된 전략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임의의 유형의 내부선형코딩(108)(또는 확산)이 이 경우에 가정되지만 칩 인터리빙과는 결합되지 않는다.
칩 확산 이후에, 칩 벡터
Figure 112006085137150-pct00076
이 칩들로 된 단일 스트림으로 다중화(109)된다. 그런 다음, 칩 스트림은 인터리빙(110) 수단을 구동하며, 그 출력은 각각의 안테나당 하나씩 T개의 별개인 칩 스트림으로 역다중화(111)된다. 이러한 동작의 효과는 N×L 칩 행렬 Z
Figure 112010015847279-pct00131
T×LS F 칩 행렬 X
Figure 112010015847279-pct00132
로 변화시키는 것이며, 여기서
Figure 112010015847279-pct00079
로 정의되는 열은 다중입출력 채널의 입력
Figure 112010015847279-pct00133
을 구성한다.
1.9 스펙트럼 효율
송신 방법은 공간-시간 코드의 일반적인 클래스와 자연스럽게 조화되게 된다. 제한된 대역의 이상적인 나이키스트 필터(Nyquist filter)를 가정하면, 시스템의 스펙트럼 효율(채널 사용당 비트로서의)은
Figure 112006085137150-pct00081
와 같다.
실제로, 송신 형상화 필터(shaping filter)는 비널 오버플로우 인자(non-null overflow factor)(ε)를 갖는다. 수신기에서, 송신 필터에 정합된 필터는 모든 수신 안테나를 위해 사용된다. 채널 평가, 타이밍 및 반송파 동기화 함수는 채널의 임펄스 응답(impulse response)의 계수들이 칩 시간과 같은 양(이산 기저 대역에서 칩 시간에 상당하는 채널)만큼 규칙적으로 이격되도록 구현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가정은 적절하며, 샤논 표본화 이론 (Shannon sampling theorem)은 비널 오버플로우 인자(ε)가 작을 때 1/Tc로 근사될 수 있는 (1+ε)/Tc 속도에서 표본화한다.
1/Tc의 배수와 동일한 표본화 속도에 대해 이하에 기술된 수식에 대한 직접적인 일반화가 가능하다.
2. 채널 모델
전송은 다음의 다중입출력을 갖는 주파수 선택형 B-블록 채널 상에서 이루어진다:
Figure 112010015847279-pct00134
채널 H (b)는 다음의 규정을 가진 L x 칩에 대하여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Figure 112010015847279-pct00135
칩 행렬 X는 (필요하다면 물리적인 0으로 또는 보호 시간으로 오른쪽 및 왼 쪽 상에 덧붙여지는) B개의 별개의 L X 칩 행렬 X (1),...,X (B)로 분할될 수 있으며, 또한 각각의 행렬 X (b)은 채널 H (b)을 인지한다.
B 블록 모델의 극단적인 경우는 다음과 같다.
B=1 이고 L x =LS F => L s =L 준-정적 모델
B=LS F 이고 L x =1 => L s =1 에르고딕(칩) 모델
칩에 대한 번호 재할당(renumbering)은 각각의 블록 내에서 적용된다.
임의의 블록 색인 b에 대해, 이산적인 시간 기저 대역 등가 채널 모델(칩 타이밍)이 칩 시간(l)에 수신된 벡터
Figure 112010015847279-pct00136
Figure 112006085137150-pct00085
라는 형태로 기재하기 위해 사용되며, 여기서 P는 채널의 제약 길이(칩 단위로의) 이며,
Figure 112010015847279-pct00137
는 칩 시간 (1)에서 송신된 T개의 칩의 복소 벡터이고,
Figure 112010015847279-pct00138
는 b로 색인된 블록 다중입출력 채널의 임펄스 응답의 p로 색인된 행렬 계수이며, 또한
Figure 112010015847279-pct00139
는 추가적인 복소 잡음 벡터이다. 추가적인 복소 잡음 벡터
Figure 112010015847279-pct00089
는 평균값 0과 공분산(covariance) 행렬 σ 2 I를 갖는 원형 대칭인 R차원 가우시안 법칙에 따라 독립적이면서 동일하게 분포된다고 가정된다. 임펄스 응답의 P개의 계수들은, 동력이 송신안테나 사이에서 동일하게 분포된 시스템인 경우에 평균값이 0이고 공분산 행렬이 전체 동력 표준화 제약 조건
Figure 112006085137150-pct00090
을 만족시키면서 그 입력이 동일하게 분포된 독립적인 가우시안 입력인 R×T개의 복소 행렬들이다. 이러한 가정이 주어지면, 다중입출력 채널의 계수의 상관 행렬(correlation matrix)의 8개의 값들은 위샤르트(Wishart) 분포와 합치한다. 송신 채널상태정보가 없는 경우에 송신안테나에 대한 동력의 동일한 분포가 적절한 동력 할당 방안임이 강조된다.
3. 다중경로 다중입출력 채널 단일 캐리어 전송( 고속하향패킷접속 )
이 경우에 비트율이 매우 높고 채널의 도플러 주파수가 낮아서
Figure 112010015847279-pct00140
라고 가정된다. 통합이동통신시스템(UMTS) 표준의 고속하향패킷접속(HSDPA) 모드에 대해, 채널은 준-정적(quasi-static)이며, 다시 말해서 B=1이다.
4. 다중경로 다중입출력 채널 다중 캐리어 전송(다중반송파 코드분할다중접속: MC - CDMA )
이 경우에 내부선형코딩(108)은 공간-주파수 코딩 또는 주파수 코딩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송신 역고속푸리에변환(IFFT) (120) 및 수신 고속푸리에변환(FFT) (220)의 도입이 주파수 선택적이 아닌 등가 채널(순환적인 접두어를 사용하는 순환 행렬에 의해 구현되고 푸리에(Fourier) 기초로 대각화된 채널)을 (인터리빙을 무시하면서) 초래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각각의 반송파는 평탄한 다중입출력 등가 (flat MIMO equivalent) 채널을 인지한다. 전술한 형식을 사용하면, FFT 이후의 채널은 비선택형 B 블록 채널(P=1, M=0)로 인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기재된 "송신"은 그것을 구현하기 위한 송신 방법뿐만 아니라 그것을 실행하기 위한 송신 시스템도 지칭한다.

Claims (25)

  1. 복수의 송신안테나와 복수의 수신안테나를 이용하여 주파수 선택형 채널 상에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는 복수의 사용자를 위한 송신 방법에 있어서,
    코딩되고 인터리빙된 데이터(d[n])를 K개의 채널로 역다중화 (demultiplexing)(105)하는 단계;
    상기 역다중화된 데이터를 변조(107)하는 단계; 및
    상기 변조된 데이터의 K차원 벡터에 적용시키기 위하여, N×K 발생기행렬(W,W n )을 이용하여 내부선형코딩(108)을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T:송신안테나의 개수, K>>T, N>>T, K와 N은 자연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선형코딩(108)의 수율(K/N)은 1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생기행렬(W,W n )은 길이 N인 N개의 직교 확산코드로부터 구성되어 N과 같은 확산 인자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확산코드는 복수의 확산코드 그룹을 그 내부에 형성하도록 발생기행렬(W,W n ) 내에서 여러 차례 재사용되어 각각의 확산코드 그룹의 확산코드들이 상호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발생기행렬(W,W n )은 확산코드 상에 중첩된 복수의 혼합화(scrambling) 코드(Σ)로부터 추가로 구성되어 각각의 확산코드 그룹이 그 자신의 혼합화 코드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선형코딩은 T개의 송신안테나 각각에서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며, 안테나(t)에 대해 1보다 큰 차원 Ut의 변조 데이터 벡터에
    Figure 112011056017915-pct00092
    를 사용해서 적용되고, 상기 발생기행렬(W,W n )은 대각 블록 행렬이며, 블록의 수는 송신안테나의 개수(T)와 같으며, 또한 안테나(t)에 연관된 블록은 차원 (N/T)×Ut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안테나(t)에 연관된 블록의 차원 Ut은 발생기행렬(W,W n )의 다른 블록들 각각의 차원과 같고, Ut는 U로 표시되며, 또한 각 블록은 차원 (N/T)×Ut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발생기행렬의 상기 블록들 각각은 길이 N/T인 N/T개의 직교 확산 코드로부터 구성되어 확산 인자 N/T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블록들은 동일한 직교 확산코드들로부터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발생기행렬은 확산 코드 상에 중첩된 복수의 혼합화 코드(Σ)로부터 추가로 구성되어 확산 행렬의 상기 블록들 각각이 그 자신의 혼합화 코드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채널의 개수 K는 상기 N/T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Ut는 t의 값에 상관없이 상기 N/T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블록들 각각은 복수의 확산코드 그룹으로부터 구성되며, 각각의 그룹은 길이 N/T인 N/T개의 직교 확산코드로부터 구성되어 확산 인자(N/T)를 생성하고, N/T개의 확산코드는 블록마다 상기 복수의 확산코드 그룹을 형성하도록 블록마다 여러 차례 재사용되어, 각각의 확산코드 그룹의 확산코드들이 상호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발생기행렬(W,W n )은 각각의 확산코드 그룹이 그 자신의 혼합화 코드에 할당되도록 확산코드 상에 중첩된 혼합화 코드(Σ)로부터 추가로 구성되며, 또한 각각의 그룹 및 각각의 블록에 대한 상기 혼합화 코드들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선형코딩(108) 단계 이후에,
    (a) 다중화(multiplexing)(109) 단계;
    (b) 상기 다중화된 데이터의 인터리빙(110) 단계; 및
    (c) 상기 인터리빙된 데이터를 T개의 송신안테나 상으로 분배하는 역다중화(111)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16. 청구항 1에 있어서, 내부선형코딩(108) 단계이후에, T개의 송신안테나 상으로 분배하는 다중화(111)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선형코딩(108) 단계는 시간상 주기적으로 변조 데이터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선형코딩(108) 단계는 시간상 비주기적으로 변조 데이터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역다중화(105) 단계 이전에, 상기 코딩되고 인터리빙된 데이터(d[n])를 형성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코딩(102) 단계와 비트 인터리빙(104)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선형코딩은 주파수 영역에서 달성되며, 또한 전송은 다중 반송파 유형 (multi-carrier ty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선형코딩은 시간 영역에서 달성되며, 또한 전송은 단일-캐리어(single-carrier) 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22. 복수의 송신안테나와 복수의 수신안테나를 이용해서 주파수 선택형 채널 상으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는 복수의 사용자를 위한 송신 시스템에 있어서,
    코딩되고 인터리빙된 데이터(d[n])에 대한 K개의 채널 상으로의 역다중화(105) 수단;
    상기 역다중화 수단의 출력 데이터에 대한 변조(107) 수단;
    상기 변조 수단에 의해 변조된 데이터의 K차원 벡터에 적용시키기 위하여, N×K 발생기행렬(W,W n )을 사용해서 코딩하도록 구성된 내부선형코딩(108) 수단; 및
    T개의 송신안테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시스템.
    (T:송신 안테나의 개수, K>>T, N>>T, K와 N은 자연수)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내부선형코딩 수단에 의해 코딩된 데이터에 대한 다중화(109) 수단;
    상기 다중화 수단에 의해 다중화된 데이터에 대한 인터리빙(110) 수단; 및
    상기 인터리빙 수단에 의해 인터리빙된 데이터를 T개의 송신안테나 상으로 분배하기 위한 역다중화(111) 수단;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시스템.
  24. 청구항 22에 있어서, 인터리빙된 데이터를 T개의 송신안테나 상으로 분배하도록 상기 내부선형코딩(108) 수단에 의해 코딩된 데이터에 대한 다중화(111)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시스템.
  25. 청구항 22 내지 청구항 2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역다중화(105) 수단의 상류측에,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외부코딩(102) 수단; 및
    비트 인터리빙(104) 수단;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시스템.
KR1020067024372A 2004-04-22 2005-04-21 다중입출력 채널상의 코드분할다중접속 통신을 위한 송출 KR101107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291041.1 2004-04-22
EP04291041A EP1589686B1 (fr) 2004-04-22 2004-04-22 Emission pour systèmes de communications CDMA sur canal mimo
PCT/EP2005/004411 WO2005114888A1 (fr) 2004-04-22 2005-04-21 Emission pour systemes de communications cdma sur canal mimo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958A KR20070038958A (ko) 2007-04-11
KR101107631B1 true KR101107631B1 (ko) 2012-01-25

Family

ID=34931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4372A KR101107631B1 (ko) 2004-04-22 2005-04-21 다중입출력 채널상의 코드분할다중접속 통신을 위한 송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885316B2 (ko)
EP (1) EP1589686B1 (ko)
JP (1) JP4809328B2 (ko)
KR (1) KR101107631B1 (ko)
CN (1) CN1973474B (ko)
AT (1) ATE372002T1 (ko)
DE (1) DE602004008579T2 (ko)
ES (1) ES2293180T3 (ko)
WO (1) WO20051148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4051B2 (ja) * 2006-09-06 2012-11-28 シャープ株式会社 送受信装置、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送受信方法
WO2008120925A1 (en) 2007-03-29 2008-10-09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8156293A2 (en) 2007-06-19 2008-12-2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KR101397039B1 (ko) 2007-08-14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송 다이버시티를 사용하는 다중안테나 시스템에서 채널예측 오류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cdm 방식 신호전송 방법
WO2009022790A1 (en) 2007-08-14 2009-02-19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293905B1 (en) 2007-08-14 2021-02-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cquiring resource region information for phich
KR101405974B1 (ko) 2007-08-16 2014-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에서 코드워드를 전송하는 방법
KR101507785B1 (ko) 2007-08-16 2015-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입출력 시스템에서, 채널품질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US8995559B2 (en) 2008-03-28 2015-03-31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message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2557747B1 (en) * 2010-04-07 2019-02-13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back and constructing correlation matrix in multi-input multi-output system
DE102011079972B4 (de) * 2011-07-28 2017-07-06 Siemens Convergence Creators Gmbh Verfahren zum Übertragen von Informationsdat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35762A1 (en) 2000-10-27 2002-05-02 Nortel Networks Limited Combination of space-time coding and spatial multiplexing, and the use of orthogonal transformation in space-time coding
US20020168017A1 (en) 2001-02-21 2002-11-14 Antoine Berthet Method and system of iterative coding/decoding of digital data streams coded by spatio-temporal combinations, in multip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WO2003001726A1 (en) 2001-06-21 2003-01-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imo transmission system in a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725995T2 (de) * 1996-08-29 2004-11-11 Cisco Technology, Inc., San Jose Raumzeitliche signalverarbeitung für übertragungssysteme
EP1035677A1 (en) 1999-03-10 2000-09-13 Lucent Technologies Inc. Code branch allocation for CDMA systems
US6351499B1 (en) * 1999-12-15 2002-02-26 Iospan Wireless, Inc. Method and wireless systems using multiple antennas and adaptive control for maximizing a communication parameter
US20020154705A1 (en) * 2000-03-22 2002-10-24 Walton Jay R. High efficiency high performance communications system employing multi-carrier modulation
US7068628B2 (en) * 2000-05-22 2006-06-27 At&T Corp. MIMO OFDM system
US6879576B1 (en) 2000-09-06 2005-04-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physical channel with partial transport format information
US7133459B2 (en) * 2001-05-01 2006-11-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pace-time transmit diversity
EP1449275A4 (en) * 2001-11-29 2010-05-05 Interdigital Tech Corp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YSTEM EFFICIENT FOR MULTIFRAJECT CHANNELS SUBJECT TO GETAWAY
US7542446B2 (en) * 2002-07-31 2009-06-02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Space time transmit diversity with subgroup rate control and subgroup antenna selection in multi-input multi-output communications systems
KR100457188B1 (ko) 2002-10-07 2004-11-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확산 방식 전환이 가능한 적응형 다중반송파코드분할다중접속 장치 및 그 방법
EP1511211B1 (en) * 2003-08-29 2008-04-09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Technology Centre Europe B.V.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a MIMO telecommunication system offering a high diversity as perceived from a receiver end
TWI264194B (en) * 2004-02-06 2006-10-11 Univ Nat Chiao Tung Framework and method f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multi-carrier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35762A1 (en) 2000-10-27 2002-05-02 Nortel Networks Limited Combination of space-time coding and spatial multiplexing, and the use of orthogonal transformation in space-time coding
US20020168017A1 (en) 2001-02-21 2002-11-14 Antoine Berthet Method and system of iterative coding/decoding of digital data streams coded by spatio-temporal combinations, in multip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WO2003001726A1 (en) 2001-06-21 2003-01-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imo transmission system in a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73474A (zh) 2007-05-30
CN1973474B (zh) 2015-10-07
ATE372002T1 (de) 2007-09-15
JP2007534246A (ja) 2007-11-22
US7885316B2 (en) 2011-02-08
DE602004008579T2 (de) 2008-05-15
DE602004008579D1 (de) 2007-10-11
KR20070038958A (ko) 2007-04-11
WO2005114888A1 (fr) 2005-12-01
JP4809328B2 (ja) 2011-11-09
ES2293180T3 (es) 2008-03-16
EP1589686A1 (fr) 2005-10-26
EP1589686B1 (fr) 2007-08-29
WO2005114888A8 (fr) 2007-06-21
US20070206662A1 (en) 200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7631B1 (ko) 다중입출력 채널상의 코드분할다중접속 통신을 위한 송출
KR101766489B1 (ko)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US9680616B2 (en) Tone reorder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080155B1 (ko) 낮은 피크 대 평균 전력비 다중 반송파 파형을 가지는 mc-cdma
US8228784B2 (en) Configurable block CDMA scheme
KR102114719B1 (ko) 낮은 피크 대 평균 전력 비 다중 액세스 통신들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534349B1 (ko) Stbc 기법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CN101218845B (zh) 多载波通信中的无线通信基站装置、无线通信移动台装置和导频信号序列分配方法
KR20170093752A (ko) 다중 액세스 방법, 및 대응하는 송신 방법, 수신기 및 송신기
WO2008117957A1 (en) Spatial interleaver for 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4633054B2 (ja) 直交周波数分割多重変調を使用して超広帯域信号を通信する方法および送信機
CN107317612B (zh) 发送装置、接收装置、发送方法、接收方法以及通信系统
Jehan et al. Comparative performance analysis of code-domain noma and power-domain noma
KR2009000907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송신기
Akbil et al. Improved IDMA for multiple access of 5G
EP342745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preading and co-orthogonal multi-stream spreading
CN101378283A (zh) 基于空频编码的mimo-ofdm系统的分集方法
CN100586221C (zh) 基于正交频分多址接入的反向信号收发方法和设备
Zerrouki et al. A physical layer simulation for WiMAX MIMO-OFDM system: Throughput comparison between 2× 2 STBC and 2× 2 V-BLAST in Rayleigh fading channel
Khrwat et al. Reduced complexity and improved performance receiver for downlink MIMO MC-CDMA systems
Mukati et al. A variable rate multi-user CI/GO-OFDMA scheme over frequency selective channel
Kim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a downlink MIMO MC-CDMA system with turbo coding and channel interleaving
Kadhim et al. Improvement of fixed WiMax OSTBC-OFDM transceiver based wavelet signals by non-linear precoding using SDR platform
Ngajikin et al. Peak to average power ratio in WLAN-OFDM system
Kadhim et al. Design and Improvement of WiMAX OSTBCCOFDM Transceiver Based Multiwavelet Signals by TomlinsonHarashima Precoding on SFF SDR Development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