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7304B1 - 강선 케이블의 충진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강선 케이블의 충진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7304B1
KR101107304B1 KR1020090123051A KR20090123051A KR101107304B1 KR 101107304 B1 KR101107304 B1 KR 101107304B1 KR 1020090123051 A KR1020090123051 A KR 1020090123051A KR 20090123051 A KR20090123051 A KR 20090123051A KR 101107304 B1 KR101107304 B1 KR 101107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able
filler
main body
steel wire
remov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3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6412A (ko
Inventor
박규식
성택룡
윤태양
노명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23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304B1/ko
Publication of KR20110066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강선 케이블의 정착부에 충진된 고형의 충진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강선 케이블의 충진물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강선 케이블의 충진물 제거장치는: 강선 케이블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강선 케이블의 정착부에 충진된 고형의 충진물을 가열하여 녹이는 가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강선 케이블의 정착부에 충진된 고형의 충진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강선 케이블, 충진물, 왁스, 마이크로웨이브, 마그네트론

Description

강선 케이블의 충진물 제거장치{DEVICE FOR REMOVING ADDITION FROM STEEL WIRE CABLE}
본 발명은 강선 케이블의 충진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강선 케이블의 정착부에 충진된 고형의 충진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강선 케이블의 충진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량 등에 적용되는 강선 케이블(10)은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정착부(11)가 형성되고, 정착부(11)에서 피복이 벗겨진 연선(12)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착부(11) 내에는 왁스와 같은 충진물(20)이 고형으로 충진된다.
이러한 충진물(20)은 강선 케이블(10)의 결함 탐상을 위해 정착부(11)가 개봉된 상태에서 제거되는데, 통상은 작업자가 직접 끌과 같은 도구로 충진물(20)을 긁어냄으로써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충진물 제거 방법은 정착부(11)의 내부 구조가 복잡하고 피복이 벗겨진 연선(12)의 표면 형상이 매우 불규칙하기 때문에 고형의 충진물(20)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람이 직접 작업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노동이 투입되어야 하고, 작업 중에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강선 케이블의 정착부에 충진된 고형의 충진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강선 케이블의 충진물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선 케이블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강선 케이블의 정착부에 충진된 고형의 충진물을 가열하여 녹이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강선 케이블의 충진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열부는 고형의 충진물을 마이크로웨이브로 녹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된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마그네트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에는 강선 케이블이 수용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수용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를 강선 케이블에 탈부착시키는 탈부착 결합부; 및 가열되어 녹은 충진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본체에서 상기 수용부 측에 구비된 충진물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진물 배출부는 가열되어 녹은 충진물을 저장하는 충진물 저장부에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선 케이블의 정착부에 충진된 고형의 충진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거된 충진물을 재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환경을 보호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선 케이블의 충진물 제거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와, 가열부(12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선 케이블(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강선 케이블(10)이 수용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수용부(111)가 형성되고, 가열부(12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에 구비되어 본체(110)를 강선 케이블(10)에 탈부착시키는 탈부착 결합부(130)와, 가열되어 녹은 충진물(20)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본체(110)에서 수용부(111) 측에 구비된 충진물 배출부(11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부착 결합부(130)는 탄성재질로 마련되고, 수용부(111)의 저면에는 충진물 배출부(113)가 연결되는 배출공이 형성된다.
한편, 충진물 배출부(113)는 가열되어 녹은 충진물(20)을 저장하는 충진물 저장부(140)에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강선 케이블(10)의 정착부(11) 케이싱을 분리하여 강선 케이블(10)의 단부를 본체(110)의 수용부(111)로 삽입하고, 탈부착 결합부(130)의 나사부를 조여줌으로써 수용부(111)가 밀폐되어 가열부(120)에 의해 녹은 액상의 충진물(20)이 수용부(111)의 개방된 영역으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액상의 충진물(20)은 충진물 배출부(113)를 통해 하부로 흘러 내려가게 되어 충진물 저장부(140)에 저장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선 케이블(10)의 결함 탐상 작업이 완료된 후 정착부(11)로 주입되어 재사용될 수 있다.
강선 케이블(10)의 정착부(11) 케이싱에는 충진물 주입구가 형성되고, 충진물 주입구에는 충진물 저장부(140)에 구비된 주입 호스가 연결된다. 또한, 주입 호스에는 펌프가 구비되어 액상의 충진물(20)이 저장된 충진물 저장부(140)가 배치된 위치에 상관없이 충진물(20)을 정착부(11) 내부로 재주입할 수 있다.
가열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에 구비되어 강선 케이블(10)의 정착부(11)에 충진되어 있던 고형의 왁스(녹는점이 대략 120℃~150℃ 정도임)와 같은 충진물(20)을 매우 짧은 파장 영역(예컨대, 파장이 10cm ~ 1m, 주파수가 30MHz ~300GHz)의 전자파인 마이크로웨이브로 녹여 액상으로 만들며, 본체(110)에 구비된 전원부(121)와, 전원부(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마그네트론(123)을 포함한다.
마그네트론(123)은 음극의 축방향으로 자기장을 걸면 음극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튀어 나온 전자가 양극에 흡인됨과 동시에 자기장에 의해서 진행방향으로 직 각의 힘을 받아 나선상의 운동을 하게 되는 원리로 수용부(111)에 수용된 강선 케이블(10)의 고형 충진물(20) 입자구조의 진동을 유발하여 열에너지를 발생시킴으로써 점성을 갖는 액상 충진물(20)이 되도록 고형의 충진물(20)을 가열하여 녹인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전원부(121)가 초고주파 발진관인 마그네트론(123)에 고압 전기를 인가하면 마그네트론(123)에서는 대략 2450MHz 정도의 초고주파가 발생되어 고형 충진물(20)의 입자를 대략 24억 5천만번 정도 회전시켜 많은 마찰열이 발생되고, 이 열이 수초 내지 수십초 동안 충진물(20)에 가해지면 고형의 충진물(20)은 액체로 녹는다.
이에 따라, 수초 내지 수십초의 짧은 시간 안에 고형의 충진물(20)이 녹아 액상이 됨으로써 강선 케이블(10)의 정착부(11)에 충진된 고형의 충진물(20)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열에너지 유도는 고형의 충진물(20) 내부까지 단시간에 균일하게 가열시킬 뿐만아니라 마이크로웨이브가 충진물(20)의 내부로 침투하여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므로 에너지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탈부착 결합부(130)에는 수용부(111)에 가해지는 마이크로웨이브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탈부착 결합부(130)의 공극을 차단하는 특수도포장치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강선 케이블(10)의 정착부(11)에 충진된 고형의 충진물(20)을 단시간 안에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작업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선 케이블의 충진물 제거장치(100)에 의해 고 형의 충진물(20)을 제거하고, 강선 케이블(10)의 결함 탐상 작업이 완료된 후 정착부(11)로 충진물(20)을 주입하여 재사용하는 과정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강선 케이블(10)의 정착부(11) 케이싱을 분리하여 강선 케이블(10)의 단부를 본체(110)의 수용부(111)로 삽입하고, 탈부착 결합부(130)의 나사부를 조여주어 충진물 제거장치(100)의 본체(110)를 강선 케이블(10)에 결합시킨다.
다음에, 가열부(120)를 작동시켜 연선(12) 사이에 충진된 고형의 충진물(20)을 녹인다.
그리고, 충진물 배출부(113)의 밸브를 개방하여 가열부(120)에 의해 녹은 액상의 충진물(20)이 수용부(111)를 빠져 나가 충진물 저장부(140)로 저장되도록 한다.
한편, 강선 케이블(10)의 결함 탐상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충진물 주입구가 형성된 정착부(11) 케이싱을 강선 케이블(10)의 단부에 결합시키고, 충진물 주입구에 주입 호스를 연결한다. 이때, 주입 호스의 경로 중에는 펌프를 연결하고 주입 호스의 타측을 충진물 저장부(140)로 인입시킨다.
마지막으로, 펌프를 구동하여 충진물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던 액상의 충진물(20)을 강선 케이블(10)의 정착부(11)로 주입한다. 강선 케이블(10)의 정착부(11)로 주입되어 재충진된 액상의 충진물(20)은 점차 냉각되어 고형의 충진물(20)로 되어진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강선 케이블(10)의 정착부(11)에 충진된 고형의 충 진물(20)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제거된 충진물(20)을 재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환경을 보호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강선 케이블의 정착부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진물 제거장치의 구성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강선 케이블 정착부에 충진물을 재충진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본체 111: 수용부
113: 충진물 배출부 120: 가열부
121: 전원부 123: 마그네트론
130: 탈부착 결합부 140: 충진물 저장부

Claims (6)

  1. 강선 케이블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강선 케이블의 정착부에 충진된 고형의 충진물을 가열하여 녹이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강선 케이블의 충진물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고형의 충진물을 마이크로웨이브로 녹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케이블의 충진물 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된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마그네트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케이블의 충진물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강선 케이블이 수용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케이블의 충진물 제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를 강선 케이블에 탈부착시키는 탈부착 결합부; 및
    가열되어 녹은 충진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본체에서 상기 수용부 측에 구비된 충진물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케이블의 충진물 제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물 배출부는 가열되어 녹은 충진물을 저장하는 충진물 저장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 케이블의 충진물 제거장치.
KR1020090123051A 2009-12-11 2009-12-11 강선 케이블의 충진물 제거장치 KR101107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051A KR101107304B1 (ko) 2009-12-11 2009-12-11 강선 케이블의 충진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051A KR101107304B1 (ko) 2009-12-11 2009-12-11 강선 케이블의 충진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412A KR20110066412A (ko) 2011-06-17
KR101107304B1 true KR101107304B1 (ko) 2012-01-20

Family

ID=44399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051A KR101107304B1 (ko) 2009-12-11 2009-12-11 강선 케이블의 충진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73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9052A (zh) * 2015-07-01 2015-09-23 湖南省交通规划勘察设计院 缆索加热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90334B (zh) * 2012-08-15 2016-05-04 深圳市市政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具有防腐功能的拉索结构及拉索的防腐保护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0951A (ko) * 1982-06-14 1984-03-26 허버트 지. 버카드 경수성 충진조성물
KR20040001569A (ko) * 2002-06-28 2004-01-07 김영길 냉동육 해동고 및 해동방법
KR100867414B1 (ko) 2008-03-12 2008-11-06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인장력이 도입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KR20090041015A (ko) * 2007-10-23 2009-04-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압착돌기가 부착된 에프알피 긴장재용 정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0951A (ko) * 1982-06-14 1984-03-26 허버트 지. 버카드 경수성 충진조성물
KR20040001569A (ko) * 2002-06-28 2004-01-07 김영길 냉동육 해동고 및 해동방법
KR20090041015A (ko) * 2007-10-23 2009-04-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압착돌기가 부착된 에프알피 긴장재용 정착장치
KR100867414B1 (ko) 2008-03-12 2008-11-06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인장력이 도입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9052A (zh) * 2015-07-01 2015-09-23 湖南省交通规划勘察设计院 缆索加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412A (ko) 201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26769B (zh) 用于清洗焊炬的装置和方法
KR101107304B1 (ko) 강선 케이블의 충진물 제거장치
US11254071B2 (en) Flexible molding process and system for magnetic pole protective layer
KR102422703B1 (ko) 전기적으로 도전성의 전력 전송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인터페이스 형성 장치 및 전력 전송 인터페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냉간 스프레이 장치
US20100163607A1 (en) Device for igniting an alumino-thermal composition, crucible containing same and related methods
FR2638224A1 (fr) Four de fusion pour traiter les dechets et methode de chauffage de celui-ci
US9975782B2 (en) SiOx nanoparticl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crucible for silicon melting having sliding type tapping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iOx nanoparticle using the same
KR101143988B1 (ko) 와셔액 가열 장치
KR20150135261A (ko) 보관될 금속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유도로 및 방법
CN102230709B (zh) 制冷设备电磁除冰霜方法及装置
KR101500421B1 (ko) 도료의 점도 및 유동성 관리장치
US20120012566A1 (en) Protective Shell for a Hand Held Plasma Cutting Torch
KR20150013820A (ko) 퍼지 플러그
EP0845789B1 (en) Method of melting treatment of radioactive solid wastes
CN116054039A (zh) 一种高压电缆外护套便携式热融修复方法
KR101960935B1 (ko) 래들 및 이를 이용한 용강 처리 방법
EP31786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elding together a first object and a second object
FR2908763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protection d&#39;un chauffe-eau electrique contre le tartre
JP5730124B2 (ja) ライニングの補修方法
KR20150058319A (ko) 투명한 도파관 플라즈마 광원을 위한 도가니
KR20220023394A (ko) 기판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04967B1 (ko) 2액형 도장면 예열 및 도막제거 장치
JPH0696856A (ja) 電磁波複合加熱炉
KR101173088B1 (ko) 플라즈마 토치
KR101599940B1 (ko) 코팅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