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7278B1 - High temperature generating apparatus using food garbage - Google Patents

High temperature generating apparatus using food garb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7278B1
KR101107278B1 KR1020090099800A KR20090099800A KR101107278B1 KR 101107278 B1 KR101107278 B1 KR 101107278B1 KR 1020090099800 A KR1020090099800 A KR 1020090099800A KR 20090099800 A KR20090099800 A KR 20090099800A KR 101107278 B1 KR101107278 B1 KR 101107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ombustion chamber
high heat
combustion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8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42926A (en
Inventor
박두헌
Original Assignee
박두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두헌 filed Critical 박두헌
Priority to KR1020090099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278B1/en
Publication of KR20110042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9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2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40/00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B40/02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the fuel being fed by scattering over the fuel-supporting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1/00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 F23B1/02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for indirect heating of a medium in a vessel, e.g. for boil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15/00Cleaning arrangements for grates; Moving fuel along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00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combustion chambers
    • F23J1/02Apparatus for 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ash-pits, e.g. by employing trucks or conveyors, by employing suc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쓰레기를 포함하는 고체원료를 완전 연소시켜 고열을 발생시키며 연소공간, 토출로 및 저장공간으로 구분되는 연소실; 상기 연소실에 고체원료를 공급하는 원료투입기; 상기 연소실의 하측부에 구비되어 완전 연소된 고체원료의 탄화재가 투입시 부피보다 작은 부피를 가지며 연소실의 하측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기; 상기 토출기를 통해 연소실의 하측으로 토출되는 탄화재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토출량조절기; 상기 연소실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토출기로부터 토출되는 탄화재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기; 및 상기 연소실로부터 고체원료 연소시 발생되는 고열을 포집하는 고열포집기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기는, 상기 연소실의 연소공간과 토출로의 경계 부위에 구비되는 원판 또는 원통형의 제1 및 제2 토출판과; 상기 제1 및 제2 토출판 사이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구동모터와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회전되는 원판 또는 원통형의 제3 토출판을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열발생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mbustion chamber which generates high heat by completely burning a solid material including food waste and is divided into a combustion space, a discharge path, and a storage space; A raw material input device for supplying a solid raw material to the combustion chamber; An ejector which is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so that the carbonized material of the completely burned solid material has a volume smaller than the volume at the time of input and is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A discharge amount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discharge amount of the carbonized material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through the discharger; An ejector provided below the combustion chamber to discharge carboniz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ejector to the outside; And a high temperature collector for collecting the high heat generated when the solid material is combusted from the combustion chamber, wherein the ejector comprises: a disc or cylindrical first and second discharge plates provided at a boundary between the combustion space and the discharge path of the combustion chamber; ;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late is provided a high heat generating apparatus using a food waste including a disc or a cylindrical third discharge plate rotated through a drive motor and a power transmission means from the outside.

음식물, 쓰레기, 분뇨, 재활용, 가열, 발전, 고열, 가스, 포집 Food, garbage, manure, recycling, heating, power generation, high temperature, gas, collection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열발생장치{High temperature generating apparatus using food garbage}High temperature generating apparatus using food garbage

본 발명은 고열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쓰레기를 포함하는 고체원료(건조된 가스발생용 원료)로 고온을 발생시켜 발생된 열로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건조시키는 공정에 사용하고, 남은 잔열을 타 시설의 난방용이나 산업용 열원으로 재활용하거나 전기를 생산하도록 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열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heat genera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process of drying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food waste with heat generated by generating a high temperature with a solid raw material (dry gas generating raw material) including food wast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heat generating device using food waste, which can recycle residual heat remaining in other facilities for heating or industrial heat source or produce electricity.

일반적으로 가정과 요식업계에서는 많은 음식물쓰레기가 발생된다. 이러한 음식물쓰레기는 땅에 매립되면 침출수가 발생되거나 상기 침출수가 다시 땅속에 흡수되어 지질 및 지하수를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발생하게 되며 또한, 음식물쓰레기를 소각시켜 제거하고자 할 때는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음식물쓰레기가 불완전 연소되어 다이옥신이 발생하고 대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갖는다.In general, many food wastes occur in the home and food industry. When the food waste is buried in the ground, leachate is generated or the leachate is absorbed into the ground again and contaminates geological and groundwater. Also, when the waste is to be incinerated and removed, the food contains a lot of moisture. Garbage is incompletely burned, resulting in dioxins and air pollution.

또한, 음식물쓰레기로 사료 등 퇴비로 재활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의 문제, 염분 등을 해결해야 하는 어려움의 문제점이 있어 사료나 퇴비로도 적합하지 않을 뿐 아니라 사료나 퇴비로 만들 때 발생되는 폐수는 재처리를 하거나 해양투기로 2차 공해문제가 여전히 발생되고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In addition, if you want to recycle food waste as compost, such as food waste, there is a problem that must solve the problems of heavy metals, salinity, etc. contained in the food waste is not suitable for feed or compost as well as make the feed or compost Wastewater generated at the time of reprocessing or ocean dumping has a problem that secondary pollution problem still occurs.

또한, 부패된 음식물쓰레기로 만든 가축사료 등은 가축의 질병을 유발하고 집단폐사의 원인을 제공할 우려가 있으며, 당장 발병은 없다 할지라도 이들 가축은 다시 사람이 먹어야 하는 식자재 재료로 공급되는 것이어서 더 큰 유전적 질병을 야기할지도 모를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livestock feeds made from decayed food waste may cause livestock diseases and cause mass mortality. Even if there is no immediate outbreak, these livestock are supplied with food materials that humans must eat again. There is a problem that may cause a large genetic disease.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10-0718865호의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가스발생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Thu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Gas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food waste' of Patent No. 10-0718865 has been disclosed.

도 1은 종래의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가스발생장치(등록특허 10-0718865호)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as generator (registered patent No. 10-0718865) using a conventional food wast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가스발생장치는, 고체원료가 일시 저장되며 상기 고체원료를 연소실(10)에 자동 투입시키는 투입수단(20)으로 구성된 원료투입장치(30)와, 상기 원료투입장치(30)에 의해 투입된 원료를 연소하고 혼합가스를 발생시키는 1차 가스발생장치(40)와, 상기 1차 가스발생장치(40)를 거친 고체원료를 저 산소 상태로 유지하여 수성가스상태를 발생시키는 2차 가스발생장치(50)가 하나의 시스템을 구성하여 각각 발생하는 가스를 가스발화 고열증강장치(60)에 공급라인을 통해 보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1차 가스발생장치(40)의 내부에, 상기 연소실(10)의 내부에 화덕블럭(41)이 설치된 체인컨베이어(42)가 구비되며, 상기 체인컨베이어(42)의 하부방향에 상기 체인컨베이어(42) 아래로 떨어지는 고체원료의 탄화재가 배출되도록 하는 이송스크류(43)가 축설되도 록 하여, 상기 고체원료의 연소되도록 하고 상기 연소시 발생되는 가스와 고열증기를 재활용하도록 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e gas generator using the conventional food waste, the raw material input device 30 composed of a feeding means 20 for temporarily storing the solid raw material and automatically inserting the solid raw materia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0. And a primary gas generator 40 for burning the raw material introduced by the raw material input device 30 and generating a mixed gas, and maintaining a solid raw material passed through the primary gas generator 40 in a low oxygen state. The secondary gas generator 50 for generating a water gas state is configured to send a gas to each of the gas firing high temperature intensifier 60 through a supply line to form a system, the primary gas generation Inside the apparatus 40, a chain conveyor 42 is provided with a furnace block 41 in the combustion chamber 10, and below the chain conveyor 42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chain conveyor 42. Falling carbonized material The transfer screw 43 to be discharged is built up so that the solid material is combusted, and the gas and the hot steam generated during the combustion are recycl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가스발생장치는, 상기 1차 가스발생장치(40)의 내부에 상기 원료투입장치(30)로부터 공급되어 연소된 고체원료의 탄화재가 상기 2차 가스발생장치(50)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서 체인컨베이어(42)와 이송스크류(43)가 축설되어 있어, 설치 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이에 따른 설치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gas generator using the conventional food waste as described above, the carbonaceous material of the solid raw material supplied and combusted from the raw material input device 30 inside the primary gas generator 40 generates the secondary gas. In order to supply the inside of the device 50, the chain conveyor 42 and the transfer screw 43 is bui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work is very complicated and the installation cost accordingly increases.

또한, 상기 1차 가스발생장치(40) 내부에서의 연소시 상기 체인컨베이어(42)가 고열로 인하여 열화(熱火)되어 성질이 물러지게 되어 쉽게 커팅되게 되어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mbustion inside the primary gas generator 40, the chain conveyor 42 is deteriorated due to high heat (熱火) is a property that is easily withdrawn because it is a problem that a high cost of maintenance have.

또한, 상기 1차 가스발생장치(40)로부터 2차 가스발생장치(50)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고체원료는 1차 가스발생장치(40)에 투입될 때의 크기 또는 부피를 유지하는 숯 상태이기 때문에, 완전 연소되지 않으며 잠열(潛熱)을 포함한 상태에서 상기 고체원료가 외부로 배출되어 고열 포집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olid raw material discharged to the outside via the secondary gas generator 50 from the primary gas generator 40 is charcoal to maintain the size or volume when the primary gas generator 40 is input to the primary gas generator 40 Because it is a st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olid raw material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a state that does not completely burn and contains latent heat, thereby deteriorating high heat collection efficienc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쓰레기를 포함하는 고체원료의 연소시 연소실 내부에 상기 고체원료의 탄화재가 작은 부피로 으깨진 상태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기를 구성하여 상기 고체원료에 포함된 잠열까지도 포집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열생산 및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an ejector to discharge the carbonized material of the solid material in a crushed state in a small volume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during the combustion of the solid material including food waste to collect even the latent heat contained in the solid material It is to provide a high heat production and power generation apparatus using food wast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고체원료의 탄화재를 작은 부피로 으깨는 토출기의 구성를 간단히 구성하여 설치비용 절감과 용이한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열생산 및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igh heat production and power generation apparatus using food waste that can easily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and easy maintenance by simply configur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jector crushing the carbonized material of the solid raw material in a small volume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고체원료가 완전 연소되도록 하여 최대의 고열을 포집하고 이를 타 시설의 난방용으로 재활용하거나 전기를 생산하도록 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열생산 및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temperature production and power generation apparatus using food waste that allows the solid raw material to be completely burned to collect the maximum high heat and to recycle it for heating of other facilities or to produce electricity. will be.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쓰레기를 포함하는 고체원료를 완전 연소시켜 고열을 발생시키며 연소공간, 토출로 및 저장공간으로 구분되는 연소실; 상기 연소실에 고체원료를 공급하는 원료투입기; 상기 연소실의 하측부에 구비되어 완전 연소된 고체원료의 탄화재가 투입시 부피보다 작은 부피를 가지며 연소실의 하측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기; 상기 토출기를 통해 연소실의 하측으로 토출되는 탄화재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토출량조절기; 상기 연소실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토출기로부터 토출되는 탄화재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기; 및 상기 연소실로부터 고체원료 연소시 발생되는 고열을 포집하는 고열포집기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기는, 상기 연소실의 연소공간과 토출로의 경계 부위에 구비되는 원판 또는 원통형의 제1 및 제2 토출판과; 상기 제1 및 제2 토출판 사이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구동모터와 동력전 달수단을 통해 회전되는 원판 또는 원통형의 제3 토출판을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열발생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mbustion chamber which generates high heat by completely burning a solid material including food waste and is divided into a combustion space, a discharge path, and a storage space; A raw material input device for supplying a solid raw material to the combustion chamber; An ejector which is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so that the carbonized material of the completely burned solid material has a volume smaller than the volume at the time of input and is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A discharge amount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discharge amount of the carbonized material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through the discharger; An ejector provided below the combustion chamber to discharge carboniz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ejector to the outside; And a high temperature collector for collecting the high heat generated when the solid material is combusted from the combustion chamber, wherein the ejector comprises: a disc or cylindrical first and second discharge plates provided at a boundary between the combustion space and the discharge path of the combustion chamber; ;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late is provided a high heat generating apparatus using a food waste including a disc or a cylindrical third discharge plate rotated through a drive motor and a power transmission means from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토출판은 제1 토출공을 가지고 상기 제3 토출판은 제2 토출공을 가지며, 상기 2 토출공의 직경은 제1 토출공의 직경 보다 작은 크기를 가져 상기 제3 토출판의 회전에 의해 고체원료가 으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late has a first discharge hole, the third discharge plate has a second discharge hole, the diameter of the second discharge hole has a smaller size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discharge hole 3 It is preferable that the solid raw material is crushed by the rotation of the discharge plate.

또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연결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에 수직한 상태로 치합되어 회전하는 종동기어; 및 상기 종동기어에 연결되며 일단이 상기 제3 토출판의 중심부에 축설되어 상기 제3 토출판을 회전시키는 중심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the rotating shaft rotatably arranged in the drive motor; A drive gea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A driven gear meshed with and rotated in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drive gear; And a central axis connected to the driven gear, one end of which is arranged at the center of the third discharge plate to rotate the third discharge plate.

또한, 상기 토출기는, 상기 제3 토출판의 일측에 연결된 샤프트의 타단이 진동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수단의 진동에 따라 제3 토출판이 제1 및 제2 토출판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진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ejector, the other end of the shaf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hird discharge plate is connected to the vibration means so that the third discharge plate is vibrated horizontall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late in accordance with the vibration of the vibration means. It is preferable.

또한, 상기 연소실은, 연소공간; 상기 연소공간의 상단에 형성되어 고체원료가 투입되는 투입구; 상기 연소공간의 외측에 격벽에 의해 형성되는 수증기발생실; 상기 수증기발생실에 급수를 가능하게 하여 고체원료의 연소시 수증기가 발생되도록 하는 급수관; 상기 연소공간의 하측부에 관통되며 별도의 점화장치에 의해 발화되어 연소되는 고체원료에 공기를 공급하여 충분한 발화가 가능하게 하는 송풍관; 상기 수증기발생실에 연통되어 상기 고체원료의 연소시 발생되는 수증기를 연소공간에 분사되도록 하는 수증기분사관; 상기 연소공간에 연통되어 상기 고체원료의 연소시 발생되는 고열을 상기 고열포집기에 공급하는 고열공급관; 상기 연소실본체의 하측부에 상기 연소된 고체원료의 탄화재가 토출되는 토출로; 및 상기 토출로에 토출된 탄화재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mbustion chamber, the combustion space; An inlet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ombustion space and into which a solid raw material is input; A steam generating chamber formed by a partition wall outside the combustion space; A water supply pipe enabling water supply to the steam generation chamber to generate water vapor upon combustion of a solid material; A blowing pipe penetra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ombustion space and supplying air to the solid raw material ignited and combusted by a separate ignition device to allow sufficient ignition; A water vapor injectio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vapor generating chamber to inject water vapor generated during combustion of the solid material into a combustion space; A high heat supply pipe communicating with the combustion space and supplying high heat generated during combustion of the solid raw material to the high temperature collector; A discharge path through which the carbonized material of the combusted solid raw material is discharged to a low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body; And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carbonized material discharged in the discharge path is stored.

또한, 상기 고열포집기는, 상기 고열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고열을 열교환기 또는 발전기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igh temperature collector, it is preferable to supply a high heat supplied through the high heat supply pipe to a heat exchanger or a generator.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소실에서 연소된 고체원료의 탄화재가 제1 내지 제3 토출판으로 간단하게 구성된 토출기에 의해 토출로에 용이하게 토출됨으로써, 종래의 체인컨베이어와 이송스크류 등의 구성에 비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상기 연소실 내부의 고열에도 강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어 유지보수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bonized material of the solid raw material combus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is easily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ath by the discharger simply composed of the first to third discharge plates, so that it i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hain conveyor and the transfer screw.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nd to have a high durability even in the high temperature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can reduce the maintenance cost.

또한, 상기 고체원료의 탄화재가 상기 토출기에 의해 으깨진 상태로 토출됨으로써, 토출시 고체원료의 잠열(潛熱)까지도 연소실 내부에 포집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rbonized material of the solid raw material is discharged in a crushed state by the ejector, so that the latent heat of the solid raw material may be collec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during the discharge.

또한, 상기 고열포집기에 포집된 고열을 열교환기 또는 발전기에 공급하여 상기 고열을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건조시키거나 타 시설의 난방용으로 재활용되도록 하거나 또는, 전기를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igh heat collected in the high temperature collector may be supplied to a heat exchanger or a generator to dry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food waste or to recycle for heating of other facilities, or to generate electricity.

또한, 상기 고체원료가 완전 연소되도록 함으로써, 많은 양의 고열을 수집하여 발전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allowing the solid raw material to be completely burned, it is possible to collect a large amount of high heat to increase the power generation capacity.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열발생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고열발생장치에 있어서 투입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고열발생장치에 있어서 배출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고열발생장치에 있어서 토출기를 일부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high heat generating device using food was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put device in the high heat generating device of Figure 2, Figure 4 is a high heat generating device of Figure 2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jector,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ejector in the high heat generator of Fig. 2.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열발생장치는, 음식물쓰레기를 포함하는 고체원료를 완전 연소시켜 고열을 발생시키는 연소실(110), 상기 연소실(110)에 고체원료를 공급하는 원료투입기(120), 상기 연소실(110)의 하측부에 구비되어 완전 연소된 고체원료의 탄화재가 작은 부피를 가지면서 연소실(110)의 바닥부에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기(130), 상기 토출기(130)를 통해 연소실(110)의 바닥부에 토출되는 탄화재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토출량조절기(140), 상기 연소실(110)의 바닥부에 구비되어 상기 토출기(130)로부터 토출되는 탄화재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기(150) 및 상기 연소실(110)로부터 고체원료 연소시 발생되는 고열을 포집하는 고열포집기(16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2 to 5, the high heat generating apparatus using food was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ustion chamber 110 to generate high heat by completely burning the solid raw material including food waste, the combustion chamber The raw material feeder 120 for supplying the solid raw material to the 110, the low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110 is provided so that the carbonized material of the solid combustion material is completely discharged to the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110 with a small volume A discharge amount controller 140 for adjusting the discharge amount of the carbonized material discharged to the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110 through the discharger 130 and the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110 It includes an ejector 150 for discharging the carboniz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ejector 130 to the outside and a high temperature collector 160 for collecting the high heat generated during the combustion of the solid material from the combustion chamber 110.

여기서,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포함하는 고체원료는, 음식물쓰레기 70-85 중 량%, 톱밥 8-17 중량%, 볏짚 3-5 중량%, 왕겨 3-5 중량% 및 밀풀접착제 1-3 중량% 범위로 원료배합탱크에서 반죽하여 제공되는 반죽물을 1차 건조로에서 배출시키고, 1차 건조로는 컨베이어식 다단 트레이나 철망형식의 건조기로 제공되고 건조로의 내부 온도가 110℃-150℃ 범위의 가열된 공간을 지나면서 배합 반죽된 음식물쓰레기를 포함한 고체원료 반죽물 중의 함수율을 50% 미만으로 건조시키는 단계를 가지며, 상기 1차 건조된 원료는 고체원료성형기에서 계란이나 조개탄 형태의 고체성형원료로 성형된다.Here, the solid raw material including the food waste, food waste 70-85% by weight, sawdust 8-17% by weight, rice straw 3-5% by weight, chaff 3-5% by weight and 1-3% by weight of wheat glue adhesive Dough from the raw material mixing tank is discharged from the primary drying furnace, and the primary drying furnace is provided as a conveyor type multi-stage tray or wire mesh type dryer, and the heated space of the drying furnace is 110 ℃ -150 ℃. After passing through the step of drying the moisture content in the solid raw material dough including the food waste kneaded compounding, the primary dried raw material is molded into a solid molding material in the form of eggs or briquettes in a solid raw material molding machine.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체원료가 음식물쓰레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하고 있으나, 상기 음식물쓰레기 대신에 축산인분뇨를 포함하여도 무방하여 상기 음식물쓰레기와 축산인분뇨를 모두 포함하여도 좋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id material is limited to include food waste, but may include both livestock waste and livestock manure instead of livestock manure instead of the food waste.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조된 음식물쓰레기를 포함하는 고체원료는, 수분이 약 70-80%, 기름성분이 약 6-8%, 섬유질 성분이 약 9-15%, 각종 식품의 영양성분 등이 약 5-7% 정도 함유되어 있는 바, 음식물쓰레기 중에 포함된 기름성분을 활용하여 열이 발생되도록 제조된다.Therefore, the solid raw material including the food waste prepared as described above has a water content of about 70-80%, an oil content of about 6-8%, a fiber content of about 9-15%, and nutritional ingredients of various foods. Since it contains about -7%, it is manufactured to generate heat by using oil contained in food waste.

상기 연소실(110)은, 상기 고체원료를 완전 연소시켜 고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호퍼 형상을 가지는 연소실본체(110a)의 내부에 형성되는 연소공간(111), 상기 연소공간(111)의 상단에 형성되어 후술된 원료투입기(120)로부터 고체원료가 투입되는 투입구(112), 상기 연소실본체(110a)의 상측부 즉, 상기 고체원료가 연소되는 연소공간(111)의 외측에 격벽(113a)에 의해 형성되는 수증기발생실(113), 상기 수증기발생실(113)에 급수를 가능하게 하여 고체원료의 연소시 수증기가 발생되도록 하는 급수관(114), 상기 연소공간(111)의 하측부에 관통되며 별도의 점화장치에 의해 발화되어 연소되는 고체원료에 공기를 공급하여 충분한 발화가 가능하게 하는 송풍관(115), 상기 수증기발생실(113)에 연통되어 상기 고체원료의 연소시 발생되는 수증기를 연소공간(111)에 분사되도록 하는 수증기분사관(116), 상기 연소공간(111)에 연통되어 상기 고체원료의 연소시 발생되는 고열을 상기 고열포집기(160)에 공급하는 고열공급관(117), 상기 연소실본체(110a)의 하측부에 상기 연소된 고체원료의 탄화재가 토출되는 토출로(118) 및 상기 토출로(118)에 토출된 탄화재가 저장되는 저장공간(119)을 포함한다. The combustion chamber 110 is to generate a high heat by completely burning the solid material, the combustion space 111 formed in the combustion chamber body (110a) having a hopper shape, the upper end of the combustion space 111 Formed in the inlet 112 through which the raw material is introduced from the raw material injector 120 to be described later,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body 110a, that is, the partition 113a outside the combustion space 111 in which the solid raw material is combusted. It is formed through the steam generating chamber 113, the water supply pipe 114 to enable water supply to the steam generating chamber 113 so that water vapor is generated during combustion of the solid raw material, and penetrates the lower portion of the combustion space 111. The combustion space 115 is connected to the blower tube 115 and the steam generating chamber 113 to supply sufficient air to the solid raw material ignited and combusted by a separate ignition device so as to allow sufficient ignition. Min to 111 The high temperature supply pipe 117 and the combustion chamber body 110a which communicate with the steam injection pipe 116 and the combustion space 111 to supply the high heat generated when the solid material is burned to the high temperature collector 160. The lower side includes a discharge path 118 through which the carbonized material of the combusted solid raw material is discharged, and a storage space 119 in which the carbonized material discharged by the discharge path 118 is stored.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연소실(110)에 의하면, 상기 수증기발생실(113)에 급수관(114)으로부터 일정량의 물이 공급되고 상기 투입구(112)를 통하여 연소공간(111)에 고체원료가 투입된 상태에서 별도의 점화장치에 의해 발화가 시작되고 송풍관(115)으로부터 공기가 공급되게 되면, 상기 고체원료의 연소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수증기발생실(113)의 내부의 물이 가열되면서 수증기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연소공간(111)의 내부에 고열이 발생하게 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combustion chamber 11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ing chamber 113 from the water supply pipe 114 and a solid raw material is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space 111 through the inlet 112. When the ignition is started by a separate ignition device and the air is supplied from the blower tube 115, the water inside the steam generating chamber 113 is heated by the heat generated during the combustion of the solid raw material to generate steam. And high heat is generated in the combustion space 111.

이때, 상기 수증기는 상기 수증기분사관(116)을 통해 연소공간(111)의 고체원료에 분사되어 고체원료가 적열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고열은 상기 고열공급관(117)을 통하여 상기 고열포집기(160)에 공급되어 상기 고열포집기(160)로 하여금 열교환기 또는 발전기에 공급하게 하여 상기 고열이 재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ater vapor is injected into the solid raw material of the combustion space 111 through the water vapor injection pipe 116 to maintain a solid raw material, the high heat through the high heat supply pipe 117 the high temperature collector ( 160 may be supplied to the high temperature collector 160 to supply a heat exchanger or a generator so that the high heat is recycled.

여기서, 상기 연소실(110)에서 상기 고체원료가 완전 연소됨으로써, 많은 양 의 고열을 포집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발전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solid raw material is completely burn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10, so that a large amount of high heat may be collected, thereby increasing power generation capacity.

상기 원료투입기(120)는, 상기 연소실(110)에 고체원료를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고체원료가 저장되는 저장호퍼(121), 상기 저장호퍼(121)로부터 배출되어 대기상태인 고체원료를 정량공급하기 위한 이송컨베이어(122) 및 상기 이송되는 고체원료를 이송로(123)를 통해 상기 연소실(110)의 투입구(112)에 자동으로 투입되도록 하는 투입수단(124)을 포함한다. The raw material feeder 120 i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the solid raw material to the combustion chamber 110, and the storage raw material 121 is stored in the storage hopper 121, the solid raw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storage hopper 121 is in the atmospheric state It includes a conveying conveyor 122 for quantitatively supplying and the feeding means 124 to be automatically fed into the inlet 112 of the combustion chamber 110 through the conveying path 123.

여기서, 상기 투입수단(124)은, 이송로(123)와 연통되면서 연소실(110)과 수평상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투입관(124a)에 끼워지고 후방에 양측으로 가이드판(124b)으로 안내되도록 밀대(124c)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판(124b)의 외측면에 설치된 제1 가이드봉(124d)을 따라 전후진되도록 하는 연동판(124e)을 밀대(124c)에 연결하여 밀대(124c)와 함께 전후진되도록 구비된다.Here, the input means 124 is fitted into the input pipe 124a which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transfer path 123 and horizontally communicate with the combustion chamber 110, and to be guided to the guide plate 124b to both sides in the rear. A push rod 124c is provided, and a linkage plate 124e for advancing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first guide rod 124d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plate 124b is connected to the push rod 124c and the push rod 124c. It is provide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together.

또한, 상기 투입수단(124)은, 상기 제1 가이드봉(124d)의 한쪽 외측으로 구비된 또 다른 제2 가이드봉(124f)을 따라 전후진하는 연동구(124g)의 후방으로 양측에 작동핀(124h,124i)을 가지는 작동간(124j)이 연결되고, 별도로 지지되는 지지간(124k)에 회전되도록 축설된 회동간(124l)의 한측단이 작동간(124j)의 양 작동핀(124h,124i)의 사이에 위치되고 타측단이 이송로(123)를 개폐하는 개폐판(124m)에 연동되도록 연결되어 작동간(124j)의 전후진시 밀대(124c)와 개폐판(124m)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전후진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input means 124, the operation pins on both sides to the rear of the linkage 124g forward and backward along another second guide rod 124f provided to one outside of the first guide rod 124d. An operation rod 124j having 124h and 124i is connected, and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124l which is arranged to be rotated by a support shaft 124k that is separately supported is connected to both operation pins 124h, It is located between the 124i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interlock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124m)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ransfer path 123, the push rod 124c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124m)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each other when the operation 124j It is configure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또한, 상기 투입수단(124)은, 상기 연동구(124g)의 축상으로 끼워져 탄성부재(124n)를 포함하면서 연동판(124e)에 연결된 감지구(124o)에 설정된 위치에서 제 어되도록 설치된 감지스위치(S1)를 작동시키는 감지핀(124p)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input means 124, the sensing switch is installed so as to be controlled in the position set in the sensing port 124o connected to the interlocking plate 124e, including the elastic member 124n is inserted into the shaft of the linkage 124g. And a sensing pin 124p for operating (S1).

또한, 상기 투입수단(124)은, 상기 제2 가이드봉(124f)의 외측으로 모터(M)의 구동으로 동력전달수단(124q)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구비된 나선축(124r)의 회전에 따라 전후진되도록 나사결합 되어 설정된 범위 내에서 이동되는 작동구(124s)와, 상기 작동구(124s)에 설정된 작동거리범위 양측으로 구비된 감지스위치(S2,S3)를 작동시키는 감지핀(124t)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losing means 124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piral shaft 124r provided to be rotated by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24q by the drive of the motor M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guide rod 124f. And a sensing pin 124t for activating the sensing switches S2 and S3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operating distance range set in the actuating tool 124s and screwed so as to move in the set range. do.

따라서 상기 원료투입기(120)에 의하면, 상기 연소실(110)에 저장호퍼(121)에 저장된 고체원료가 자동으로 정량 공급됨으로써, 상기 고체원료가 과잉 공급되어 연소가 잘 진행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거나 상기 고체원료가 결핍 공급되어 연소가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raw material input machine 120, the solid raw material stored in the storage hopper 121 is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110, thereby preventing the combustion of the solid raw material is not supplied excessively or the soli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mbustion efficiency by preventing the supply of the raw material shortage to stop the combustion.

상기 토출기(130)는, 상기 고체원료를 지지하면서 상기 고체원료가 연소되도록 하고 상기 고체원료의 탄화재가 토출로(118)에 토출되도록 하는 화덕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연소실(110)의 상측부 즉, 연소공간(111)과 하측부 즉, 토출로(118)의 경계 부위에 구비되는 원판 또는 원통형의 제1 및 제2 토출판(131,132)과, 상기 제1 및 제2 토출판(131,132) 사이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구동모터(M)와 동력전달수단(134)을 통해 회전되어 상기 탄화재가 투입될 때의 부피보다 작은 부피를 가지는 상태로 으깨지도록 하는 원판 또는 원통형의 제3 토출판(133)을 포함한다.The ejector 130 performs the oven function to allow the solid material to be burned while supporting the solid material and to allow the carbonized material of the solid material to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ath 118. Original or cylindrical first and second discharge plates 131 and 132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that is,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combustion space 111 and the lower portion, that is, the discharge passage 118, and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lates ( 131, 132 is provided between the third motor of the disc or cylindrical to be crushed to have a volume smaller than the volume when the carbonized material is rotated through the drive motor (M)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34 from the outside Publication 133.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토출판(131,132)은, 상기 연소실(110)의 연소공간(111)과 저장공간(119)의 경계 부위인 토출로(118)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고정 설치되고, 상기 고체원료의 탄화재가 연소실(110)의 토출로(118)로 토출되도록 하며, 상기 고체원료의 투입 당시의 부피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는 복수개의 제1 토출공(135)들을 포함한다. Here,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lates 131 and 132 are fixedly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discharge passage 118 which is a boundary between the combustion space 111 and the storage space 119 of the combustion chamber 110, The carbonized material of the solid raw material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assage 118 of the combustion chamber 11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discharge holes 135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volume at the time of the solid raw material input.

또한, 상기 제3 토출판(133)은, 상기 연소실(110) 외부에 구비된 구동모터(M)의 구동력을 동력전달수단(134)을 통해 전달받아 상기 제1 및 제2 토출판(131,132) 사이의 공간에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토출판(131)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토출판(131)의 제1 토출공(135)을 통해 토출되는 고체원료의 탄화재의 부피가 작아지도록 으깨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으깨진 탄화재가 제2 토출판(132)의 제1 토출공(135)을 통해 토출로(118)로 토출되도록 하는 제2 토출공(136)들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third discharge plate 133 receives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M provided outside the combustion chamber 110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34 and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lates 131 and 132. More preferably, the solid material is rotatably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discharge plate 131 and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hole 135 of the first discharge plate 131. A second discharge to crush the carbonized material to reduce the volume of the carbonized material, and to discharge the crushed carbonized material to the discharge path 118 through the first discharge hole 135 of the second discharge plate 132. Balls 136.

여기서, 상기 제2 토출공(136)의 직경은 제1 토출공(135)의 직경 보다 약간 작은 크기를 가지게 되어 상기 제1 토출공(135)을 통해 토출된 탄화재가 제3 토출판(133)의 회전에 따라 으깨지면서 상기 제2 토출공(136)을 통해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Here, the diameter of the second discharge hole 136 has a size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discharge hole 135 so that the carbonized material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hole 135 is the third discharge plate 133. As it is crush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hole (136).

또한, 상기 동력전달수단(134)은, 외부의 구동모터(M)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된 회전축(134a), 상기 회전축(134a)의 일단에 연결되는 베벨 기어 형상의 구동기어(134b), 상기 구동기어(134b)에 수직한 상태로 치합되어 회전하는 베벨 기어 형상의 종동기어(134c) 및 상기 종동기어(134c)에 연결되며 일단이 상기 제3 토출판(133)의 중심부에 축설되어 상기 제3 토출판(133)을 회전시키는 중심축(134d)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34, a rotating shaft 134a rotatably arranged in an external drive motor M, a bevel gear-shaped drive gear 134b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134a, the It is connected to the bevel gear-shaped driven gear 134c and the driven gear 134c which are engaged with and rotated in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drive gear 134b, and one end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third discharge plate 133 and is formed. 3 includes a central axis 134d for rotating the discharge plate 133.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M)는, 상기 토출판(131,132,133)을 통과하는 고체원료의 탄화재의 양에 따라 제3 토출판(133)의 회전수가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drive motor (M),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rotation speed of the third discharge plate 133 according to the amount of carbonization material of the solid material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plate (131, 132, 133).

이때, 상기 제2 토출판(132)의 중심부에는 상기 중심축(134d)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central axis 134d penetrates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discharge plate 132.

따라서 상기 토출기(130)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토출판(131,132)의 사이에 회전가능한 제3 토출판(133)을 통하여 상기 연소실(110)에서 완전 연소된 고체원료의 탄화재를 으깨어 작은 부피를 가지는 상태로 연소실(110)의 토출로(118)에 용이하게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체인컨베이어와 이송스크류 등의 구성에 비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상기 연소실(110) 내부의 고열에도 상기 체인컨베이어에 비하여 강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어 유지보수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discharger 130, the carbonized material of the solid raw material completely burn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10 through the third discharge plate 133 rotatabl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late (131,132). By crushing and easily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ath 118 of the combustion chamber 110 in a state having a small volum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with a simple configuration compared to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chain conveyor and a transfer screw, the combustion chamber ( 110) It can have a strong durability compared to the chain conveyor even in the high temperature inside it can reduce the maintenance cost.

또한, 상기 고체원료의 탄화재가 으깨질 때 상기 고체원료에 포함된 잠열(潛熱)까지도 연소공간(111)을 통해 포집되도록 하여 최대한 많은 양의 열을 포집하고 열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arbonized material of the solid raw material is crushed, latent heat (潛 熱) included in the solid raw material may be collected through the combustion space 111 to collect as much heat as possible and prevent heat waste.

한편, 도 6은 도 2의 고열발생장치에 있어서 배출기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nother embodiment showing an ejector in the high heat generating device of FI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출기(130)는 상기 제3 토출판(133)이 구동모터(M)와 동력전달수단(134)에 의해 제1 및 제2 토출판(131,132) 사이에서 회전되도록 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토출기(130)는, 도 6에 도시된 바 와 같이, 상기 제3 토출판(133)의 일측에 연결된 샤프트의 타단이 진동수단(137)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수단(137)의 진동에 따라 제3 토출판(133)이 제1 및 제2 토출판(131,132) 사이에서 수평방향(X방향)으로 진동되도록 하여도 좋다. In the ejector 13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discharge plate 133 is rot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lates 131 and 132 by the driving motor M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34. 6, the other end of the shaf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hird discharge plate 133 is connected to the vibration means 137, as shown in FIG. 6. The third discharge plate 133 may be vibr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dir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lates 131 and 132 according to the vibration of the vibrating means 137.

여기서, 상기 진동수단(137)은, 상판(137a)과 하판(137b)이 탄성부재(137c)를 매개하여 서로 상/하판(137a,137b)의 사각 꼭지점 부위가 연결되며, 상기 하판(137b) 상면의 중앙에는 전자석(137d)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상판(137a) 하면의 중앙에는 상기 전자석(137d)에 흡인될수 있는 인자코어(137e)가 전자석(137d)의 축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편차 나도록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전자석(137d)에 동작 전원 공급시 인자코어(137e)의 흡인에 따라 상판(137a)과 하판(137b)이 진동되는 상태를 가지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진동 전달시 제1 토출판(131)으로부터 토출되는 고체원료의 탄화재가 상기 제3 토출판(133)의 수평 진동에 따라 으깨져 고체원료의 잠열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Here, the vibration means 137, the upper plate (137a) and the lower plate (137b) is connected to the rectangular vertex of the upper / lower plates (137a, 137b) through the elastic member 137c, the lower plate (137b) An electromagnet 137d is fixed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nd a printing core 137e which can be sucked by the electromagnet 137d is fix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37a so as to devi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axis of the electromagnet 137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upper plate 137a and the lower plate 137b is vibrated according to the suction of the printing core 137e when the operating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 137d. The carbonized material of the solid raw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late 131 may be crushed according to the horizontal vibration of the third discharge plate 133 to prevent the latent heat of the solid raw material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토출기(130)는, 상기 제3 토출판(133)이 구동모터(M)와 동력전달수단(134)에 의해 제1 및 제2 토출판(131,132) 사이에서 회전되도록 하고 있으나, 중공을 가지는 제3 토출판(133)의 내부에 상기 구동모터(M)와 동력전달수단(134)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날개(미도시)가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회전날개에 의해 고체원료의 탄화재가 으깨진 상태로 제2 토출판(132)을 통해 토출되도록 하여도 좋다.In the discharger 130, the third discharge plate 133 is rot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lates 131 and 132 by the driving motor M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34. A rotary blade (not shown)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M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34 is provided in the third discharge plate 133 having a hollow, so that the rotary blade burns the solid raw material. The fire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late 132 in a crushed state.

상기 토출량조절기(140)는, 상기 토출기(130)를 통해 연소실(110)의 토출로(118)에 토출되는 탄화재의 토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소실(110)의 토출로(118)에 구비되어 상기 토출로(118)를 개폐하는 개폐기능을 가지는 상/하부 댐퍼(141,142)와 상기 상/하부댐퍼(141,142)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작시키는 구동수단(143)을 포함한다.The discharge amount controller 140 controls the discharge amount of the carbonized material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ath 118 of the combustion chamber 110 through the discharger 130, and discharge path 118 of the combustion chamber 110. It is provided in the upper / lower dampers (141, 142)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ath 118 and the driving means (143) for operating the upper / lower dampers (141, 142) in opposite directions.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143)은, 모터의 구동을 동력전달수단(143a)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나선축(143b)에 나사결합으로 끼워져 회전방향에 따라 전후진하도록 끼워진 작동간(143c)의 단부에 상부댐퍼(141)와 연결되도록 구비된 랙(143d)과 하부댐퍼(142)와 연결되는 랙(143e) 사이에 피니언기어(143f)가 치합되도록 축설되고, 상기 피니언기어(143f)의 회전에 따라 상/하부댐퍼(141,142)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전후진되며, 상기 작동간(143c)의 작동거리범위 양측으로 감지스위치(143g)를 작동시키는 감지핀(143h)을 포함한다. Here, the driving means 143, the operation of the motor (143c) is inserted into the screw shaft coupled to the rotating screw shaft 143b to receive the drive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43a)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The pinion gear 143f is constructed to be engaged between the rack 143d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damper 141 and the rack 143e connected to the lower damper 142 at an end thereof, and the pinion gear 143f rotates. The upper and lower dampers 141 and 142 are advanced back and forth in opposite directions, and include a sensing pin 143h for operating the sensing switch 143g at both sides of the operating distance range of the operation 143c.

따라서 상기 토출량조절기(140)에 의하면, 상기 토출기(130)를 통해 연소실(110)의 토출로(118)에 토출되는 탄화재의 토출량이 자동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discharge amount controller 140, the discharge amount of the carbonized material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ath 118 of the combustion chamber 110 through the discharger 130 can be automatically discharged.

상기 배출기(150)는, 상기 연소실(110)의 저장공간(119)에 구비되어 상기 토출기(130)로부터 토출되는 탄화재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모터의 구동을 동력전달수단(151)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되는 이송스크류(152)와 상기 토출되는 탄화재가 밀집되면서 외부로 서서히 배출되도록 긴 관체로 형성된 배출관(153)을 포함한다.The discharger 150 is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119 of the combustion chamber 110 to discharge carboniz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r 130 to the outside,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51 drives the motor. It includes a discharge pipe 153 formed of an elongated tube so that the transfer screw 152 is rotated by receiving through the discharge and the discharged carbonized material is gradu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고열포집기(160)는, 상기 연소실(110)로부터 고체원료 연소시 발생되는 고열을 포집하여 상기 고열을 저열로 교환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열교환기(EX)로 공급하여 저열로 변환된 열을 음식물쓰레기의 1,2차 건조공정 등의 전처 리 공정에 필요한 에너지원으로 이용되도록 하거나, 공지의 발전기(EG)로 공급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증기발생실(113)에 급수관(114)으로부터 일정량의 물이 공급되고 상기 투입구(112)를 통하여 연소공간(111)에 고체원료가 투입된 상태에서 별도의 점화장치에 의해 발화가 시작되고 송풍관(115)으로부터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 연소공간(111)과 수증기발생실(113)에 연통된 고열공급관(117)으로부터 상기 고체원료의 연소시 발생되는 고열을 포집하는 공지의 구성을 가진다.The high temperature collector 160 collects the high heat generated during the combustion of the solid material from the combustion chamber 110 and supplies the heat converted to low heat by supplying it to a known heat exchanger (EX) that exchanges the high heat with low heat. It is to be used as an energy source for pretreatment processes such as the first and second drying processes of food waste, or to supply electricity to a known generator (EG) to generate electricity, and the water supply pipe to the steam generating chamber 113. As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supplied from the 114 and a solid raw material is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space 111 through the inlet 112, ignition is started by a separate ignition device and air is supplied from the blower tube 115. It has a well-known configuration for collecting the high heat generated during the combustion of the solid raw material from the high heat supply pipe 117 communicated with the combustion space 111 and the steam generating chamber 113.

따라서 상기 고열포집기(160)에 의하면, 고체원료의 연소시 발생되는 고열을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건조시키거나 타 시설의 난방용으로 재활용되도록 할 수 있고, 전기를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high temperature collector 160, the high heat generated during the combustion of the solid raw material can be made to dry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food waste or recycled for heating of other facilities, and to generate electricity.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열발생장치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high heat generating device using the food wast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원료투입기(120)의 저장호퍼(121)로부터 투입수단(124)에 의해 연소실(110)의 투입구(112)에 설정된 주기에 따라 연속 투입되는 고체원료가 토출기(130)의 제1 토출판(131)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별도의 점화수단에 의해 발화와 동시에 송풍관(115)으로부터 발화부분에 송풍으로 인한 충분한 발화가 이루어진다.First, the solid raw material continuously inputted from the storage hopper 121 of the raw material injector 120 by the input means 124 to the inlet 112 of the combustion chamber 110 is the first soil of the discharger 130. Sufficient ignition due to blowing from the blower tube 115 to the ignition portion is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ignition by a separate ignition means in a state supported by the publication 131.

이에 따라, 상기 연소실(110)의 수증기발생실(113)의 물이 고열에 의해 가열되면서 고열의 수증기가 발생되게 되고 수증기분사관(116)을 통해 상기 고열의 수증기는 연소공간(111)에 분사되어 상기 연소되는 고체원료가 적열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ccordingly, as the water in the steam generating chamber 113 of the combustion chamber 110 is heated by high heat, high heat steam is generated and the high heat steam is injected into the combustion space 111 through the water vapor injection pipe 116. As a result, the solid material to be burned is kept in a red state.

또한, 상기 적열상태가 된 고체원료의 연소에 따라 고열의 증기가 약 700℃-900℃ 범위온도를 가지게 되고 상기 고열의 증기는 고열공급관(117)을 통하여 고열포집기(160)에 공급되게 되어 열교환기(EX) 또는 발전기(EG)에 선택적으로 공급되게 된다.In addition, the steam of high heat according to the combustion of the solid material in the red state has a temperature range of about 700 ℃-900 ℃ and the high temperature steam is supplied to the high temperature collector 160 through the high heat supply pipe 117 heat exchange It may be selectively supplied to the group EX or the generator EG.

한편, 상기 완전 연소된 고체원료의 탄화재는 설정된 회전속도로 회전 중인 토출기(130)의 제3 토출판(133)에 의해 제1 토출판(131)을 통과하면서 으깨진 상태로 제2 토출판(132)을 통과하면서 토출로(118)에 토출되게 된다.Meanwhile, the carbonized material of the completely burned solid raw material is crush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late 131 by the third discharge plate 133 of the discharger 130 rotating at the set rotation speed. While passing through the publication 132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ath (118).

또한, 상기 토출로(118)에 토출된 고체원료의 탄화재는 토출량조절기(140)에 의해 연소실(110)의 저장공간(119)으로 토출되게 되고, 상기 저장공간(119)에 구비된 배출기(15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In addition, the carbonized material of the solid raw material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ath 118 is discharged to the storage space 119 of the combustion chamber 110 by the discharge amount controller 140, the discharger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119 (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150).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소실(110)에서 연소된 고체원료의 탄화재가 제1 내지 제3 토출판(131,132,133)으로 간단하게 구성된 토출기(130)에 의해 토출로(118)에 용이하게 토출됨으로써, 종래의 체인컨베이어와 이송스크류 등의 구성에 비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상기 연소실(110) 내부의 고열에도 강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어 유지보수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arbonized material of the solid raw material burn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10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ath 118 by the ejector 130 is simply composed of the first to third discharge plate (131, 132, 133) Easily discharg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with a simple configuration compar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onventional chain conveyor and the transfer screw, etc. It can have a strong durability even in the high temperature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110 can also reduce the maintenance cost. .

또한, 상기 고열포집기(160)에 포집된 고열을 열교환기(EX) 또는 발전기(EG)에 공급하여 상기 고열을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건조시키거나 타 시설의 난방용으로 재활용되도록 하거나 또는, 전기를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igh heat collected in the high temperature collector 160 is supplied to a heat exchanger (EX) or a generator (EG) to dry the water contained in the food waste or recycle for heating in other facilities, or Can be generated.

또한, 상기 고체원료가 완전 연소되도록 함으로써, 많은 양의 고열을 수집하 여 발전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allowing the solid raw material to be completely burn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ower generation capacity by collecting a large amount of high heat.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have various permutations and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other specific forms, since modifications may be mad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도 1은 종래의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가스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gas generating device using food waste;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열발생장치를 나타낸 구성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high heat generating device using food waste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고열발생장치에 있어서 투입기를 나타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put device in the high heat generating device of FIG.

도 4는 도 2의 고열발생장치에 있어서 배출기를 나타낸 사시도;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jector in the high heat generating device of FIG.

도 5는 도 2의 고열발생장치에 있어서 토출기를 일부 나타낸 단면도; 및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n ejector in the high heat generating device of FIG. And

도 6은 도 2의 고열발생장치에 있어서 배출기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FIG. 6 is another embodiment illustrating an ejector in the high heat generating device of FIG. 2.

Claims (9)

음식물쓰레기를 포함하는 고체원료를 완전 연소시켜 고열을 발생시키며 연소공간(111), 토출로(118) 및 저장공간(119)이 순차적으로 형성 구분되는 연소실(110);A combustion chamber 110 in which a solid material including food waste is completely burned to generate high heat, and the combustion space 111, the discharge passage 118, and the storage space 119 are sequentially formed and divided; 상기 연소실(110)의 연소공간(111)에 고체원료를 공급하는 원료투입기(120);A raw material input device 120 for supplying a solid raw material to the combustion space 111 of the combustion chamber 110; 상기 연소실(110)의 토출로(118)에 구비되어 완전 연소된 고체원료의 탄화재가 투입시 부피보다 작은 부피를 가지며 연소실(110)의 저장공간(119)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기(130);Discharger 130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passage 118 of the combustion chamber 110 to allow the carbonized material of the solid material, which is completely burned, to be discharged into the storage space 119 of the combustion chamber 110 when the carbonized material of the completely burned solid material is smaller than the volume. ; 상기 연소실(110)의 저장공간(119)에 구비되어 토출기(130)로부터 토출되는 탄화재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기(150); An ejector 150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119 of the combustion chamber 110 to discharge carboniz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ejector 130 to the outside; 상기 토출기(130)와 배출기(150) 사이에 구비되어 토출기(130)로부터 배출기(150)로 토출되는 탄화재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토출량조절기(140); 및A discharge amount adjuster 140 provided between the discharger 130 and the discharger 150 to adjust the discharge amount of the carboniz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r 130 to the discharger 150; And 상기 연소실(110)로부터 고체원료 연소시 발생되는 고열을 포집하는 고열포집기(160)를 포함하며,It includes a high temperature collector 160 for collecting the high heat generated when the solid material combustion from the combustion chamber 110, 상기 토출기(130)는, The ejector 130, 상기 연소실(110)의 연소공간(111)과 토출로(118)의 경계 부위에 구비되는 원판 또는 원통형의 제1 및 제2 토출판(131,132)과;First and second discharge plates 131 and 132 of a disc or a cylindrical shape provided at a boundary between the combustion space 111 and the discharge passage 118 of the combustion chamber 110; 상기 제1 및 제2 토출판(131,132) 사이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구동모터(M)와 동력전달수단(134)을 통해 회전되는 원판 또는 원통형의 제3 토출판(1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열발생장치.It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late (131,132)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c or cylindrical third discharge plate 133 which is rotated through the drive motor (M)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34 from the outside. High heat generating device using food was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토출판(131,132)은 제1 토출공(135)을 가지고 상기 제3 토출판(133)은 제2 토출공(136)을 가지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lates 131 and 132 have a first discharge hole 135, and the third discharge plate 133 has a second discharge hole 136. 상기 2 토출공(136)의 직경은 제1 토출공(135)의 직경 보다 작은 크기를 가져 상기 제3 토출판(133)의 회전에 의해 고체원료가 으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열발생장치.The diameter of the second discharge hole 136 has a siz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discharge hole 135, so that the solid raw material is crushed by the rotation of the third discharge plate 133, high heat using food waste Gener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134)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34, 상기 구동모터(M)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축(134a);A rotating shaft 134a rotatably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M; 상기 회전축(134a)의 일단에 연결되는 구동기어(134b);A drive gear 134b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134a; 상기 구동기어(134b)에 수직한 상태로 치합되어 회전하는 종동기어(134c); 및 A driven gear 134c that is engaged with and rotates in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drive gear 134b; And 상기 종동기어(134c)에 연결되며 일단이 상기 제3 토출판(133)의 중심부에 축설되어 상기 제3 토출판(133)을 회전시키는 중심축(134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열발생장치.Food wast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driven gear 134c and one end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third discharge plate 133 to rotate the third discharge plate 133 High heat generator 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기(130)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jector 130, 상기 제3 토출판(133)이 구동모터(M)와 동력전달수단(134)에 의해 제1 및 제2 토출판(131,132) 사이에서 회전되는 대신에, Instead of the third discharge plate 133 being rot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lates 131 and 132 by the driving motor M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34, 상기 제3 토출판(133)의 일측에 연결된 샤프트의 타단이 진동수단(137)에 연 결되어 상기 진동수단의 진동에 따라 제3 토출판(133)이 제1 및 제2 토출판(131,132)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진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열발생장치.The other end of the shaf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hird discharge plate 133 is connected to the vibration means 137 so that the third discharge plate 133 is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lates 131 and 132 according to the vibration of the vibration means. High heat generating device using food waste, characterized in that the vibr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단(137)은,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vibration means 137, 상판(137a)과 하판(137b)이 탄성부재(137c)를 매개하여 서로 상/하판(137a,137b)의 사각 꼭지점 부위가 연결되며, The upper and lower plates 137a and 137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rectangular vertex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137a and 137b through the elastic member 137c. 상기 하판(137b) 상면의 중앙에는 전자석(137d)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상판(137a) 하면의 중앙에는 상기 전자석(137d)에 흡인될수 있는 인자코어(137e)가 전자석(137d)의 축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편차 나도록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전자석(137d)에 동작 전원 공급시 인자코어(137e)의 흡인에 따라 상판(137a)과 하판(137b)이 진동되는 상태를 가지는 것을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열발생장치.An electromagnet 137d is fixed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37b, and a printing core 137e that can be sucked by the electromagnet 137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37a is predetermined from the axis of the electromagnet 137d. It is fixed so as to deviate by a distance is a high heat generating device using food waste that has a state that the upper plate (137a) and the lower plate (137b) vibrates according to the suction of the printing core (137e) when the operating power supply to the electromagnet (137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110)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mbustion chamber 110, 연소공간(111);Combustion space 111; 상기 연소공간(111)의 상단에 형성되어 고체원료가 투입되는 투입구(112);An inlet 112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ombustion space 111 and into which a solid raw material is input; 상기 연소공간(111)의 외측에 격벽(113a)에 의해 형성되는 수증기발생실(113);A steam generating chamber 113 formed by a partition wall 113a on an outer side of the combustion space 111; 상기 수증기발생실(113)에 급수를 가능하게 하여 고체원료의 연소시 수증기가 발생되도록 하는 급수관(114);A water supply pipe 114 to enable water supply to the steam generating chamber 113 to generate water vapor upon combustion of a solid material; 상기 연소공간(111)의 하측부에 관통되며 별도의 점화장치에 의해 발화되어 연소되는 고체원료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관(115);A blowing pipe 115 penetra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ombustion space 111 and supplying air to the solid raw material ignited and combusted by a separate ignition device; 상기 수증기발생실(113)에 연통되어 상기 고체원료의 연소시 발생되는 수증기를 연소공간(111)에 분사되도록 하는 수증기분사관(116);A steam injection pipe 116 communicating with the steam generating chamber 113 to inject the steam generated during the combustion of the solid raw material into the combustion space 111; 상기 연소공간(111)에 연통되어 상기 고체원료의 연소시 발생되는 고열을 상기 고열포집기(160)에 공급하는 고열공급관(117);A high heat supply pipe 117 communicating with the combustion space 111 to supply the high heat generated when the solid material is combusted to the high temperature collector 160; 연소실본체(110a)의 하측부에 연소된 고체원료의 탄화재가 토출되는 토출로(118); 및 A discharge path 118 through which the carbonized material of the solid raw material combusted is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body 110a; And 상기 토출로(118)에 토출된 탄화재가 저장되는 저장공간(1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열발생장치.And a storage space (119) for storing the carbonized material discharged in the discharge path (11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열포집기(160)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high temperature collector 160, 상기 고열공급관(117)을 통해 공급되는 고열을 열교환기(EX) 또는 발전기(EG)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열발생장치.A high heat generating device using food waste, characterized in that for supplying high heat supplied through the high heat supply pipe 117 to a heat exchanger (EX) or a generator (E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원료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olid raw material, 음식물쓰레기 70-85 중량%, 톱밥 8-17 중량%, 볏짚 3-5 중량%, 왕겨 3-5 중량% 및 밀풀접착제 1-3 중량%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열발생장치.High temperature generator using food wast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lended with food waste 70-85% by weight, sawdust 8-17% by weight, rice straw 3-5% by weight, chaff 3-5% by weight and wheatgrass glue 1-3% by weight.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기(130)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jector 130, 상기 제3 토출판(133)이 구동모터(M)와 동력전달수단(134)에 의해 제1 및 제2 토출판(131,132) 사이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대신에,Instead of allowing the third discharge plate 133 to be rot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lates 131 and 132 by the driving motor M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34, 중공을 가지는 제3 토출판(133)의 내부에 상기 구동모터(M)와 동력전달수단(134)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날개(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열발생장치.High heat generating device using food wast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or blade (not shown) is rotated by the drive motor (M)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34 inside the third discharge plate 133 having a hollow. .
KR1020090099800A 2009-10-20 2009-10-20 High temperature generating apparatus using food garbage KR1011072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800A KR101107278B1 (en) 2009-10-20 2009-10-20 High temperature generating apparatus using food garb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800A KR101107278B1 (en) 2009-10-20 2009-10-20 High temperature generating apparatus using food garb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926A KR20110042926A (en) 2011-04-27
KR101107278B1 true KR101107278B1 (en) 2012-01-19

Family

ID=44048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800A KR101107278B1 (en) 2009-10-20 2009-10-20 High temperature generating apparatus using food garb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727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0785Y1 (en) * 1982-10-12 1984-05-15 윤상철 Chaff-ash crashing apparatus
KR19980025083U (en) * 1998-05-01 1998-07-25 최동석 Carbon ash discharge device of boiler
KR20000003376A (en) * 1998-06-27 2000-01-15 윤종용 Menu searching method of radio terminal
JP2007240134A (en) 2006-03-06 2007-09-20 Chitose Kogyo Kk Double furnace inciner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0785Y1 (en) * 1982-10-12 1984-05-15 윤상철 Chaff-ash crashing apparatus
KR19980025083U (en) * 1998-05-01 1998-07-25 최동석 Carbon ash discharge device of boiler
KR20000003376A (en) * 1998-06-27 2000-01-15 윤종용 Menu searching method of radio terminal
JP2007240134A (en) 2006-03-06 2007-09-20 Chitose Kogyo Kk Double furnace incin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926A (en)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8431B1 (en) Biomass fuel burning stove and method
US20180163962A1 (en) Bio-Fuel Furnace
CN104791767A (en) Biomass particle burner and use method thereof
KR20120058027A (en) Eco-friendly wood-pellets multipurpose stove
RU122465U1 (en) AUTOMATED SOLID FUEL BOILER
CN210241969U (en) Heating furnace with biomass capable of being fully combusted
CN203560892U (en) Mobile type grate boiler capable of burning biomass granular fuel
CN103436291B (en) Biomass reacting furnace
KR101732664B1 (en) Pellet stove
CN107420914B (en) A kind of low heat value sludge cooperates with incineration system and technique with edible fungi residues
KR100898175B1 (en) A incinerate boiler
KR101107278B1 (en) High temperature generating apparatus using food garbage
JP3607636B2 (en) Carbonization furnace
US20210363918A1 (en) Baler Boiler Apparatus and Method
CN203442792U (en) Intelligent boiler using biomass particles for burning
CN202281216U (en) Organic-fuel fired boiler
CN201606904U (en) Full-automatic biomass particle fuel cooking and warming double-purpose stove
JP2014052174A (en) Organic compound carbonization and combustion furnace
CN203949159U (en) A kind of biomass fuel combustion system
KR100718865B1 (en) Gas generating method and its apparatus using food waste
CN206755179U (en) A kind of equipment for burning domestic garbage
CN203440316U (en) Biomass reaction furnace
EP4092320A1 (en) Bale boiler apparatus and method
CN217952300U (en) Incinerator for garbage power generation
CN106765138A (en) A kind of energy-efficient domestic garbage dispo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