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7017B1 - 습관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습관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7017B1
KR101107017B1 KR1020100000512A KR20100000512A KR101107017B1 KR 101107017 B1 KR101107017 B1 KR 101107017B1 KR 1020100000512 A KR1020100000512 A KR 1020100000512A KR 20100000512 A KR20100000512 A KR 20100000512A KR 101107017 B1 KR101107017 B1 KR 101107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body
sensor
hab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0337A (ko
Inventor
김선회
Original Assignee
김선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회 filed Critical 김선회
Priority to KR1020100000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017B1/ko
Publication of KR20110080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의 일정한 습관을 고치기 위한 수단으로, 특히 손톱을 물어뜯는 습관을 고치기 위하여 무의식적으로 손톱을 물어뜯는 행위를 방지하고 궁극적으로 이러한 습관을 고치기 위한 보조장치인 습관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관 경보장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기울기를 감지하고 기준 기울기 이상이 되면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300) 및 상기 센서부(300)의 신호를 받아 외부에 표시하는 알람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습관 경보장치{ALRAM APPARATUS FOR ONYCHOPHAGIA}
본 발명은 사람의 일정한 행동 패턴을 고치기 위한 수단으로, 특히 무의식적으로 손톱을 물어뜯는 행위를 방지하고 궁극적으로 이러한 손톱 물어뜯는 습관을 고치기 위한 습관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톱 물어뜯기는 자신의 손톱을 깨무는 습관으로 소아와 젊은 성인에서 가장 흔한 입과 관련된 습관적인 행동이며 일반적으로 창피하고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으로 취급되어 손톱 주위 염증의 흔한 원인이 되기도 한다.
손톱 물어뜯기(nail biting) 또는 손톱을 깨무는 버릇을 영어권에서는 onychophagia라고 하여 손톱이라는 뜻의 onyx와 삼키다, 또는 먹는다라는 뜻을 가진 phagia의 합성어이며, 한자 문화권에서는 교조증(咬爪症) 또는 교조벽(咬爪癖)으로 불려왔다.
손톱 물어뜯기는 오래전부터 존재했던 일반화된 버릇의 한 예로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단순한 습관에서부터 강박적인 행동으로 심한 경우 일종의 자해 행동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선택적으로 하나의 손톱만 뜯기보다는 열 손가락 모두를 물어뜯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손톱 물어뜯기의 후유증은 손톱의 손상, 박테리아에 의한 이차감염, 치아와 구강문제 등 직접적인 신체적 문제를 일으키며, 자신감의 결여나 대인관계의 회피, 부모-자녀관계의 문제 등 심리사회적인 후유증이 동반되기도 한다.
학령전기 아동 중 약 네명 중 한명이 손톱을 물어뜯으며 남자보다는 여자에게서 많이 나타나며, 만 7세부터 10세 사이의 소아에서는 28%-33%가, 청소년에서는 45%가 손톱을 물어뜯는다는 조사결과가 있다.
따라서, 손톱 물어뜯는 버릇을 고치기 위한 많은 방안이 제시되고 있으며 과도한 수준에 이르면 정신과 의사에게 도움을 받는 것이 좋으며 행동치료, 인지치료, 최면, 그리고 약물치료 등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초등학교 이후의 아이 스스로 손톱 물어뜯는 행동을 고치려는 동기가 있다면, 스스로 행동을 모니터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며 스스로 깨물고 싶은 충동이 생기면 본인이나 그런 행동을 먼저 본 다른 가족이 인지하게 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손톱을 깨무는 행동은 자신도 모르게 행해지는 무의식적 습관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스스로 습관을 고치려는 동기가 있는 경우, 이러한 행동을 하려는 순간 이를 자각하고 억제하려는 방법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손목에 고무줄 밴드를 채워서 스스로 깨물고 싶은 충동이 생기면 고무줄을 당겨서 팔목에 통증을 주거나, 혹은 그 행동을 먼저 본 다른 가족이 튕겨주는 방법을 사용한 예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행동은 무의식적으로 순식간에 일어나고 본인이 스스로 인지하고 억제하는 것이 힘들고, 주위에 있는 사람이 계속 관찰하고 일깨우는 것도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손톱을 물어뜯는 습관을 가진 사람이 무의식적으로 손톱을 물어뜯는 행동을 하면 이를 인지시켜 억제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손톱 물어뜯는 버릇을 고칠 수 있도록 하는 습관 경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습관 경보장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기울기를 감지하고 기준 기울기 이상이 되면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300) 및 상기 센서부(300)의 신호를 받아 외부에 표시하는 알람부(4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300) 및 알람부(400)의 작동을 단속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전원 단속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300)의 상기 본체부(100)와 결합 각도를 조절하여 신호가 발생하는 상기 본체부(100)의 기준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센서 조절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본체부(100)와 결합하고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마련된 부착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부착부(6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300)의 신호를 받으면 시각적 변화를 구현하는 디스플레이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람부(400)는 상기 본체부(100)를 진동시키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00)는 외부에서 습기 또는 먼지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는 방수방진 처리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습관 경보장치는 사용자가 손톱을 물어뜯기 위해서 손을 입 주위에 가져가는 행동을 하면,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를 인식시키는 알람을 작동하여 무의식적으로 손톱을 물어뜯는 행동을 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센서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손톱을 물어뜯는 행동을 하는 경우에만 사용자에 따라 최적의 경보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경보를 하는 알람은 진동 외에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어 보다 효과적인 인지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센서부의 신호에 따라 추가적인 디스플레이나 기타 정보를 제공하여 체계적으로 치료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관 경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관 경보장치의 전원 단속부와 센서 조절부가 마련된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관 경보장치의 부착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관 경보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관 경보장치의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관 경보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관 경보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00),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하고 상기 전원부(200)에서 전원을 공급받으며 일정각도 이상이 되면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300), 상기 센서부(300)의 신호를 받아 외부에 표시하는 알람부(400), 상기 전원부(200)의 전원공급을 단락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전원 단속부(500) 및 상기 본체부(100)와 결합하여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마련된 부착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이 가능할 정도의 크기로 마련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관 경보장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이 배치되는 케이스와 같은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본체부(100)는 손목시계의 본체와 같은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부에 부품을 포함하는 구조로 될 수 있으며,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 원형의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100)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나의 케이스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2개의 본체가 상호 대응하여 조립되는 구조를 가지고 내부에 다른 구성요소를 배치하는 것이 제조 및 수리하는 데 용이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00)는 상부 본체(110)와 하부 본체(120)로 구성되고 상기 부착부(600)와 연결되는 부착 연결부(130)가 마련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본체(120)는 상기 구성요소들이 배치되고 상기 상부 본체(11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고, 상기 하부 본체(120)와 상부 본체(110)는 외부에서 습기나 먼지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방수 방진 처리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원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결합하여 배치되고 본 발명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력 공급장치로서 기능을 하며, 일반적으로 크기가 작으면서도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소형전지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200)는 전원 단속부(500)에 의하여 전원 공급을 단속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 단속부(500)를 조작하는 것으로 경보장치를 작동시키거나 멈출 수 있다.
상기 전원 단속부(500)는 일반적으로 전기 스위치와 같은 구성요소로 될 수 있으며, 일정 시간이상 움직임이 없으면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여 전원부(200)의 전력소모를 줄이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부(3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관 경보장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일반적으로 일정한 기준 기울기에 다다르면 신호를 발생하는 각도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좀더 정밀한 위치 감지를 위해 중력감지 센서를 사용하거나 사용목적에 따라 2개 이상의 센서를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에 마련되어 본체부(100)가 기준 기울기가 되면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므로, 상기 센서부(300)가 본체부(100)에 어떻게 배치되느냐에 따라서 신호의 발생 여부가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에 배치되고 센서부(300)의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센서 조절부(3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 조절부(320)의 결합위치를 조정하여 사용자에 따라 신호가 발생하는 상기 본체부(100)의 기준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센서 조절부(32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센서부(300)는 직선형의 각도센서(310)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센서(310)의 일단은 상기 본체부(100)에 고정되고 타단은 센서 조절부(320)와 연결되어 위 아래로 움직여 상기 각도센서(310)의 결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센서 조절부(320)는 센서부(300)의 위치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알람부(400)는 상기 본체부(100)에 부착되고 상기 센서부(300)에서 신호를 받으면 사용자에게 인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일반적으로 본체부(100)를 진동시키는 수단이나 경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 또는 빛으로 발산되는 발광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람부(400)는 진동자나 스피커 이외에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보다 강한 자극인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저주파 치료기에 적용되는 패치와 같은 수단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부착부(600)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손목시계의 밴드와 같은 형태로 부가될 수 있으며, 탄성 재질로 된 밴드나 기타 사용자의 성별이나 연령의 취향에 맞춰 팔찌 형태 등 다양한 재질 및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부착부(600)은 본체부(100)에 대하여 상호 회전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오른쪽 손목 또는 왼쪽 손목에 번갈아 착용하는 경우 상기 본체부(100)를 회전시켜 내부에 마련된 센서부(300)의 방향을 바꾸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관 경보장치는 디스플레이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700)는 사용자가 착용시 시각적으로 잘 인지할 수 있도록 본체부(100)의 상면 또는 상부 본체(110)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700)는 LCD와 같은 소형 액정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300)에서 신호가 인가되면 외부로 표현되는 모양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700)는 외부로 시각적 변화를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에서 전기장치 및 기계적 구조를 가지는 화면 변경장치 등 다양한 구성요소로 마련될 수 있으며 문자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창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관 경보장치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관 경보장치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고 사용자가 손을 입 근처에 가져가면 알람을 발생시켜 무의식적으로 습관을 반복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이 입으로 위치하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그 밖의 자세를 취하는 것에는 알람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본적으로 상기 센서부(300)의 위치는 경보장치를 착용하는 사람이 손을 입에 가져가는 위치를 고려하여 신호를 발생하도록 배치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센서부(300)는 직선형의 각도센서(310)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도센서(310)는 일정 각도에 위치하면 신호를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센서부(300)는 사용자의 손이 입에 접근하는 위치에서 신호를 발생하도록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센서 조절부(320)와 연결되어 각도센서의 결합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센서부(300)가 배치되는 본체부(100)는 사용자가 착용상태에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팔의 각도에 따라 상기 센서부(300)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손이 입으로 위치하는 경우에만 신호가 발생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을 입으로 가져가 특정 방향으로 센서부(300)가 위치하지 않는 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다른 동작을 할 때에는 경보장치가 작동하지 않는다.
즉,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센서 조절부(320) 및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본체부(100)를 조절하여 센서부(3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 따라 손톱을 물어뜯는 위치가 다른 경우 조절이 가능하고 동일한 사용자라도 왼손 또는 오른손에 번갈아 착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관 경보장치가 디스플레이부(700)를 포함하는 경우, 진동이나 소리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도 인지가 가능하고 어린이의 경우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화면을 구현하여 보다 효과적인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디스플레이부(700)는 단순한 화면 구현과 변경 이외에도 상기 센서부(300)의 감지 횟수 등 다양한 정보를 표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며, 사용자의 연령 및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본체부 110; 상부 본체
120; 하부 본체 130; 부착 연결부
200; 전원부 300; 센서부
310; 각도센서 320; 센서 조절부
400; 알람부 500; 전원 단속부
600; 부착부 700; 디스플레이부

Claims (8)

  1.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기울기를 감지하고 기준 기울기 이상이 되면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300);
    상기 센서부(300)의 신호를 받아 외부에 표시하는 알람부(400);
    상기 센서부(300) 및 알람부(400)의 작동을 단속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전원 단속부(500);
    상기 센서부(300)의 상기 본체부(100)와 결합 각도를 조절하여 신호가 발생하는 상기 본체부(100)의 기준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센서 조절부(320);
    상기 본체부(100)와 결합하고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마련된 부착부(600); 및
    상기 센서부(300)의 신호를 받으면 시각적 변화를 구현하는 디스플레이부(700)를 구비하되,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부착부(6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상기 알람부(400)는 상기 본체부(100)를 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관 경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외부에서 습기 또는 먼지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는 방수방진 처리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관 경보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00000512A 2010-01-05 2010-01-05 습관 경보장치 KR101107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512A KR101107017B1 (ko) 2010-01-05 2010-01-05 습관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512A KR101107017B1 (ko) 2010-01-05 2010-01-05 습관 경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337A KR20110080337A (ko) 2011-07-13
KR101107017B1 true KR101107017B1 (ko) 2012-01-25

Family

ID=44919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512A KR101107017B1 (ko) 2010-01-05 2010-01-05 습관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70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3763A (ko) 2020-07-02 2022-01-11 최현배 교조증 교정장치
WO2022015501A1 (en) * 2020-07-15 2022-01-20 William Petty Devices and methods for reducing transmission of pathoge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77820B2 (ja) * 2018-06-29 2022-05-3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感染症予防支援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5553A (en) * 1989-04-27 1990-10-23 Delbiondo Ii Thomas Hand-near-mouth warning device
US6762687B2 (en) * 2002-06-20 2004-07-13 David Perlman Biofeedback device for treating obsessive compulsive spectrum disorders (OCS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5553A (en) * 1989-04-27 1990-10-23 Delbiondo Ii Thomas Hand-near-mouth warning device
US6762687B2 (en) * 2002-06-20 2004-07-13 David Perlman Biofeedback device for treating obsessive compulsive spectrum disorders (OCSD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3763A (ko) 2020-07-02 2022-01-11 최현배 교조증 교정장치
WO2022015501A1 (en) * 2020-07-15 2022-01-20 William Petty Devices and methods for reducing transmission of pathog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337A (ko)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82984B2 (ja) 睡眠姿勢警告装置及び方法
US20170128754A1 (en) Wearable Apparatus
US9781984B2 (en) Dynamic fit adjustment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s
EP2716212B1 (en) Device for tracking masticatory movements
US5190051A (en) Bruxism-relaxing trainer
US8803691B2 (en) Attention assistance device and method
JP2014502203A (ja) 睡眠姿勢検知及び監視システム
WO2016180201A1 (zh) 血液参数监测装置和血液参数监测方法
JP2014054479A (ja) 生体情報通知装置、生体情報通知方法及び生体情報通知プログラム
KR101107017B1 (ko) 습관 경보장치
CN111093418B (zh) 可穿戴设备
WO2015166739A1 (ja) 人体装着型計測装置
US20170103636A1 (en) Improper spinal curvature warning apparatus
US10722147B2 (en) Activation by temperature sensor
JP6440503B2 (ja) 生体装着型計測装置
JP2017104252A (ja) 生体情報測定装置用の装着体
KR101535418B1 (ko) 복대
KR20210009708A (ko) 식사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0123702B1 (en) Patient monitoring system
US20190126098A1 (en) Sports training devices and uses thereof
CN208114662U (zh) 智能型儿童患者身份识别腕带圈
US8031560B1 (en) Open eyes alarm clock
KR101726235B1 (ko) 피에조 센서를 이용한 귀 삽입형 건강 모니터링 장치
KR101705487B1 (ko) 유아관리기
CN114173657A (zh) 使用增强现实最小化认知衰退的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