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886B1 - 잠금핀을 이용한 브래킷 장치 - Google Patents

잠금핀을 이용한 브래킷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6886B1
KR101106886B1 KR1020080126362A KR20080126362A KR101106886B1 KR 101106886 B1 KR101106886 B1 KR 101106886B1 KR 1020080126362 A KR1020080126362 A KR 1020080126362A KR 20080126362 A KR20080126362 A KR 20080126362A KR 101106886 B1 KR101106886 B1 KR 101106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attachment
protrusions
portions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7810A (ko
Inventor
구자상
Original Assignee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6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886B1/ko
Publication of KR20100067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7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2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locking-pins or split-pins thrust into holes
    • F16B21/125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locking-pins or split-pins thrust into holes radially resilient or with a snap-action member, e.g. elastic tooth, pawl with spring, resilient coil or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2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locking-pins or split-pins thrust into holes
    • F16B21/14Details of locking-pins or split-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핀(50)을 이용해 신속하게 탈착 및 부착할 수 있는 브래킷 장치에 대한 것이다. 돌출부(14, 24)를 갖는 고정 부재(10)와, 돌출부(14, 24)를 수용하는 수용홈(32, 42) 및 잠김 관통공(34, 44)을 갖는 부착 부재(30)를 포함하는 브래킷 장치로서, 상기 수용홈(32, 42)은 개구되어 연장되는 제1 관통부(32a, 42a)와, 제1 관통부에서 연속되며 제1 관통부의 연장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관통부(32b, 42b)와, 제2 관통부에서 연속되며 제3 관통부(32c, 42c)로 이루어지고, 돌출부(14, 24)가 제1 관통부를 통해 삽입되어 제3 관통부에 유지되면, 상기 부착 부재(30)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통부 및 상기 잠김 관통공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핀구멍(36, 46)에 잠금핀(50)을 삽입함으로써 돌출부(14, 24)의 이동이 억제된다.
브래킷, 잠금핀, 퀵릴리즈핀

Description

잠금핀을 이용한 브래킷 장치{BRACKET APPARATUS USING LOCKING PIN}
본 발명은, 브래킷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시판되어 있는 체결부재를 이용해 신속하게 탈착 및 부착할 수 있는 브래킷 장치에 대한 것이다.
브래킷 장치는, 2개 이상의 부재를 분해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이용되는 장치로서, 특히 기계 모듈이나 전자 모듈 등을 베이스 부재에 결합하는 등에 널리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브래킷 장치는 베이스 부재 및 모듈에 각각 마련되는 고정 부재와 부착 부재로 이루어지고, 고정 부재와 부착 부재에는 서로에 대해 평행한 면이 각각 마련되고, 이들 평행한 면을 상호 접촉시켜 고정 부재와 부착 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베이스 부재와 모듈을 결합시키게 된다.
미국 특허 공보 제6,123,314호(이하, '특허문헌')에는 종래의 브래킷 장치가 개시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특허문헌의 브래킷 장치(100)의 구조 및 결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브래킷 장치(100)는 고정 부재(110)과 부착 부재(120)으로 이루어진다. 부착 부재(120)와 고정 부재(110)는 서로에 대해 평행한 하나 이상의 면을 각각 가진다. 고정 부재(100)에는 돌기부(114, 124)가 마련되어 있고, 부착 부재(120)에는 이 돌기부(114, 124)를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고정 부재의 모서리로부터 개구되어 연장되는 수용부(132, 142)가 마련된다.
또한, 고정 부재(110)와 부착 부재(120)에 결합되었을 때에 상기 돌기부(114, 124)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래치 기구(150)를 부착 부재(120)에 마련함으로써 부착 부재(120)부터 고정 부재(110)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래치 기구(150)는 래치(156)와 래치 스프링(158)을 포함한다. 래치(156)는 부착 부재(120)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며, 래치 스프링 (158)은 래치(156)에 고정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브래킷 장치(100)의 고정 부재(110)과 부착 부재(120)의 결합을 위해서는, 먼저, 고정 부재(110)와 부착 부재(120)의 상기 평행한 면들을 상호 접촉시킴으로써 고정 부재(110)의 돌기부(114, 124)를 부착 부재(120)의 수용부(132, 142)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삽입한다.
그런 다음, 돌기부(114 ,124)가 수용부(132, 142)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 부재(110)를 부착 부재(120)에 대해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돌기부(114, 124)가 수용부(132, 142)에 최대한 깊이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래치 기구(150)의 래치 스프링(158)의 단부를 돌출부(124)의 단부에 마련된 돌기에 걸고, 래치(156)를 부착 부재(30)의 표면을 향해 회전시켜 부착 부재에 고정시킴으로써, 돌출부(124)가 수용부(132)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고정 부재(110)와 부착 부재(120)의 결합을 완성한다.
하지만, 래치 기구를 이용해 고정 부재와 부착 부재를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래치 기구를 부착 부재에 일일이 설치하여야만 하므로, 부착 부재의 구조가 복잡해 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래치 기구의 래치 스프링으로써 돌기부에 힘을 가하여 안정적으로 돌기부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래치 기구의 치수 정밀도뿐만 아니라, 부착 부재상에 래치 부재를 설치하는 과정에서도 높은 정밀도가 요구된다. 아울러, 래치 기구는 고정 부재의 돌기부의 치수 및 형상에 맞춤 제작되어야 하므로, 한 종류의 브래킷 장치에 맞춤 제작된 래치 기구를 다른 치수를 갖는 브래킷 장치에 이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고정 부재 및 부착 부재의 치수에 따라 제작된 래치 기구 를 대신하여 시판되어 있는 체결구인 잠금핀(퀵릴리즈핀, quick release pin)을 이용해 브래킷 장치의 체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브래킷 기구를 제공함으로써, 브래킷 장치의 구조를 간소하여 브래킷 장치의 제조 비용 저감 및 제조 공정의 간소화를 도모할 뿐만 아니라, 브래킷 장치의 탈부착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는 본원 명세서의 제1 수단 내지 제3 수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수단은, 제1 표면을 갖는 고정부와,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 고정 부재와; 상기 제1 표면에 평행한 제2 표면을 갖는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이 맞닿게 되었을 때에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부착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잠김 관통공을 갖는 부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부착부의 모서리로부터 개구되어 연장되는 제1 관통부과, 상기 제1 관통부에서 연속되며 상기 제1 관통부의 연장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관통부와, 상기 제2 관통부에서 연속되며 상기 돌출부의 몸통부를 수용할 수 있는 제3 관통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통부의 폭은 상기 제1 관통부 내지 상기 제3 관통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의 길이는 상기 부착부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의 폭은 상기 제1 관통부 내지 상기 제3 관통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부착부에는, 상기 제2 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부착부의 모서리로부터 상기 제2 관통부 및 상기 잠김 관통공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핀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통부와 상기 잠김 관통공 사이에서의 상기 핀구멍의 직경은, 단부에 마련된 돌기부를 가지는 잠금핀이, 상기 돌기부를 돌출시키지 않은 상태로 통과될 수 있지만 상기 돌기부를 돌출시킨 상태로 통과될 수 없는 크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2 수단은, 제1 수단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에는 상기 돌출부가 복수 개 마련되고, 상기 부착 부재에는 복수 개의 상기 돌출부에 각각 대응하는 수용홈, 잠김 관통공, 핀 구멍이 각각 복수 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3 수단은, 제1 수단 또는 제2 수단에 있어서, 상기 잠금핀은, 몸통부와 그 몸통부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가압에 의해서 상기 돌기부를 상기 몸통부 내부로 들어가게 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핀구멍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돌기부는 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 장치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브래킷 장치의 구조를 간소하여 브래킷 장치의 제조 비용 저감 및 제조 공정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고, 브래킷 장치의 탈부착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잠금핀(50)은 퀵릴리즈핀(quick release pin)으로 호칭되며, 시중에서 널리 판매되고 있는 부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판되고 있는 퀵릴리즈핀(50)의 전형적인 구조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다.
퀵릴리즈핀(50)은, 기둥 모양의 몸통부(54)와, 이 몸통부(54)의 상단면에 마련된 버튼부(52), 이 몸통부(54)의 하부에 마련되며, 몸통부(54)가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56)를 포함한다. 돌기부(56)는, 평상시에는 몸통부(54)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버튼부(52)을 가압하면 상기 몸통부(54)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돌기부는 볼 형상을 갖는다. 또한, 몸통부의 상단에는 퀵릴리즈핀의 탈착을 위한 고리부(58)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며, 시판되고 있는 퀵릴리즈핀(50)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그 대표적인 타입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고정 부재(10) 및 부착 부재(30)에 대해 설명한다.
고정 부재(10)는, 제1 표면(12a)을 갖는 고정부(12)와, 이 제1 표면(12a)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돌출부(14, 24)를 포함한다.
부착 부재(30)는, 고정 부재(10)의 제1 표면(12a)에 평행한 제2 표면(31a)을 갖는 부착부(31)와, 이 부착부(31)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 표면(12a)과 상기 제2 표면(31a)이 맞닿게 되었을 때에, 상기 돌출부(14, 24)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용홈(32, 42)을 포함한다.
또한, 부착부(31)에는 수용홈(32, 42)와 이격된 위치에서 부착부(31)를 관통하는 잠김 관통공(34, 44)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32, 42)은, 부착부(31)의 모서리로부터 개구되어 연장되는 제1 관통부(32a, 42a)과, 제1 관통부에서 연속되며 제1 관통부의 연장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관통부(32b, 42b)와, 제2 관통부에서 연속되며 상기 돌출부의 몸통부(14a, 24a)를 수용할 수 있는 제3 관통부(32c, 42c)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 부재(10)의 돌출부(14, 24)는, 몸통부(14a, 24a)와 이 몸통부(14a, 24a)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14b, 24b)를 포함한다.
돌출부(14, 24)의 몸통부(14a, 24a)의 길이는 상기 부착부(31)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돌출부(14, 24)가 수용홈(32, 42)에 수용되었을 때에 상기 부착부(31)를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14, 24)의 몸통부(14a, 24a)의 폭은 상기 수용홈(32, 42)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반면, 돌출부(14, 24)의 걸림부(14b, 24b)의 폭은 상기 수용홈(32, 42)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돌출부(14, 24)가 수용홈(32, 42)의 제1 수용홈(32a, 42a)으로 삽입되어 제2 수용홈(32b, 42b)을 거쳐 제3 수용홈(32c, 42c)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그리고 돌출부(14, 24)가 제3 수용홈(32c, 42c)에서 유지될 때에, 고정 부재(10)가 상기 부착 부재(30)로부터 상기 제1 표면(12a)의 법선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된다.
상기 부착 부재(30)의 부착부(31)에는, 상기 제2 표면(31a)과 평행한 방향으로, 부착부(31)의 모서리로부터 상기 제2 관통부(32b, 42b) 및 상기 잠김 관통공(34, 44)을 일직선으로 관통하여 연결하는 핀구멍(36, 46)이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 구멍(36, 46)의 내부로 상술한 퀵릴리즈핀(50)이 삽입될 수 있다.
퀵릴리즈핀(50)은 부착부(31)를 관통하여 제2 관통부(32b, 42b)를 통과해 관통공(34, 44)을 잇는 핀구멍(36, 46)에 삽입된다. 퀵릴리즈핀(50)이 핀구멍(36, 46)에 완전히 삽입되면, 돌기부(56)는 상기 잠김 관통공(34, 44)에 수용된다.
핀구멍(36, 46)의 직경은, 퀵릴리즈핀(50)이 삽입될 수 있는 치수로 정해지지만, 상기 제2 관통부(32b, 42b)와 상기 잠김 관통공(34, 44) 사이에서의 핀구멍(36, 46)의 직경은, 퀵릴리즈핀(50)이 돌기부(56)가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통과될 수 있지만 돌기부(56)가 돌출된 상태로는 통과될 수 없는 크기로 설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퀵릴리즈핀(50)이 핀구멍(36, 46)으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원에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돌출부(14, 24)와 대응하는 수용홈(32, 42), 잠김 관통공(34, 44) 및 핀구멍(36, 46)의 개수가 2개인 경우가 도시되었지만, 돌출부의 개수와 대응하는 수용홈, 잠김 관통공 및 핀구멍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다.
이하, 도 6(a)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부재(10)와 부착 부재(30)를 퀵릴리즈핀(50)을 이용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10)의 제1 표면(12a)와 부착 부재(30)의 제2 표면(31a)를 맞닿게 하여, 돌출부(14, 24)가 대응하는 수용홈(32, 42)의 제1 관통부(32a, 32a)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 때에, 돌출부(14, 24)의 걸림부(14b, 24b)에 의해 고정 부재(10)가 부착 부재(30)로부터 제1 표면(12a)의 법선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4, 24)가 수용홈의 제1 관통부(32a, 42a)에서 제2 관통부(32b, 42b)를 거쳐 제3 관통부(32c, 42c)로 이동하도록 고정 부재(10)를 부착 부재(30)에 대해 상대 이동시킨다.
그리고, 돌출부(14, 24)의 몸통부(14a, 24a)가 제3 관통부에 완전히 수용되면, 돌기부(56)가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퀵릴리즈핀(50)을 핀구멍(36, 46)에 삽입한다.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퀵릴리즈핀(50)이 핀구멍(36, 46)에 완전히 삽입되면, 퀵릴리즈핀(50)의 돌기부(56)를 돌출시킴으로써 돌기부(56)가 잠김 관통공(34, 44)에 수용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3 관통부(32c, 42c)에 수용된 돌출부(14, 24)의 수평방향 이동은 퀵릴리즈핀(50)에 의해 제한되어, 고정 부재(10)가 부착 부재(30)로부터 제1 표면(12a)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발명에 따른 브래킷 장치가 결합이 완성된 모습은 도 7에 도시된다.
삭제
고정 부재(10)와 부착 부재(30)의 해제는 상술한 과정을 역으로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브래킷브래킷 사시도.
도 2(a)는, 시판되어 있는 잠금핀의 대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
도 2(b)는, 시판되어 있는 잠금핀의 대표적인 형태들이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고정 부재의 사시도.
도 4(a),(b)는, 부착 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부착 부재의 핀구멍을 통해 잠금핀이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확대도.
도 6(a) 내지 (d)은, 부착 부재에 고정 부재를 조립하는 과정이 도시된 도면.
도 7은, 부착 부재와 고정 부재가 잠금핀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 설명>
10 : 고정 부재 12 : 고정부
14, 24 : 돌출부 30 : 부착 부재
31: 부착부 32, 42 : 수용홈
32a, 42a : 제1 관통부 32b, 42b : 제2 관통부
32c, 42c : 제3 관통부 34, 44 : 잠김 관통공
36, 46 : 핀구멍 50 : 잠금핀
52 : 버튼부 54 : 몸통부
56 : 돌기부

Claims (3)

  1. 제1 표면(12a)을 갖는 고정부(12)와, 상기 제1 표면(12a)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돌출부(14, 24)를 갖는 고정 부재(10)와;
    상기 제1 표면(12a)에 평행한 제2 표면(31a)을 갖는 부착부(31)와, 상기 부착부(31)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이 맞닿게 되었을 때에 상기 돌출부(14, 24)를 수용하는 수용홈(32, 42)과, 상기 수용홈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부착부(31)를 관통하여 형성된 잠김 관통공(34, 44)을 갖는 부착 부재(30);
    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14, 24)는 몸통부(14a, 24a)와 상기 몸통부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14b, 24b)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32, 42)은, 상기 부착부(31)의 모서리로부터 개구되어 연장되는 제1 관통부(32a, 42a)과, 상기 제1 관통부에서 연속되며 상기 제1 관통부의 연장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관통부(32b, 42b)와, 상기 제2 관통부에서 연속되며 상기 돌출부의 몸통부를 수용할 수 있는 제3 관통부(32c, 42c)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통부의 폭은 상기 제1 관통부 내지 상기 제3 관통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의 길이는 상기 부착부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14b, 24b)의 폭은 상기 제1 관통부 내지 상기 제3 관통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부착부에는, 상기 제2 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부착부의 모서리로부터 상기 제2 관통부 및 상기 잠김 관통공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핀구멍(36, 46)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통부와 상기 잠김 관통공 사이에서의 상기 핀구멍(36, 46)의 직경은, 단부에 마련된 돌기부(56)를 가지는 잠금핀(50)이, 상기 돌기부(56)를 돌출시키지 않은 상태로 통과될 수 있지만 상기 돌기부를 돌출시킨 상태로 통과될 수 없는 크기로 설정되는 것인 브래킷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10)에는 상기 돌출부(14, 24)가 복수 개 마련되고, 상기 부착 부재(30)에는 복수 개의 상기 돌출부(14, 24)에 각각 대응하는 수용홈(32, 42), 잠김 관통공(34, 44) 및 핀 구멍(36, 46)이 복수 개 마련되는 것인 브래킷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핀(50)은, 몸통부(54)와 그 몸통부(54)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가압에 의해서 상기 돌기부(56)를 상기 몸통부(54) 내부로 들어가게 하는 버튼부(52)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56)는, 상기 핀구멍(36, 46)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돌기부(56)는 볼 형상인 것인 브래킷 장치.
KR1020080126362A 2008-12-12 2008-12-12 잠금핀을 이용한 브래킷 장치 KR101106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362A KR101106886B1 (ko) 2008-12-12 2008-12-12 잠금핀을 이용한 브래킷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362A KR101106886B1 (ko) 2008-12-12 2008-12-12 잠금핀을 이용한 브래킷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810A KR20100067810A (ko) 2010-06-22
KR101106886B1 true KR101106886B1 (ko) 2012-01-25

Family

ID=42366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362A KR101106886B1 (ko) 2008-12-12 2008-12-12 잠금핀을 이용한 브래킷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8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0474A (zh) * 2018-06-06 2018-10-19 广州市万缘电子有限公司 一种电动牙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1340A (ja) 1996-03-01 1998-05-26 Federal Hoffmann Inc 部材保持装置
JPH11129833A (ja) 1997-10-31 1999-05-18 Tokai Kogyo Kk 車両用モールディングの取付構造
US6123314A (en) 1994-11-30 2000-09-26 Lockheed Martin Corporation Quick mounting mechanism and method
JP2002295424A (ja) 2001-03-28 2002-10-09 Maruhachi Mawata Co Ltd 枠組立金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3314A (en) 1994-11-30 2000-09-26 Lockheed Martin Corporation Quick mounting mechanism and method
JPH10141340A (ja) 1996-03-01 1998-05-26 Federal Hoffmann Inc 部材保持装置
JPH11129833A (ja) 1997-10-31 1999-05-18 Tokai Kogyo Kk 車両用モールディングの取付構造
JP2002295424A (ja) 2001-03-28 2002-10-09 Maruhachi Mawata Co Ltd 枠組立金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810A (ko) 201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11777B1 (en) Coupling device for a baby crib frame structure
US7423869B2 (en) Hard disk drawing device
US8252445B2 (en) Battery lock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battery lock
US7954212B2 (en) Sheet attaching instrument
US7670165B2 (en) Restriction mechanism for card
US8419079B2 (en) Latch mechanism
GB2396488A (en) PCB connector device having daughter board retainer
KR101106886B1 (ko) 잠금핀을 이용한 브래킷 장치
JP5017672B2 (ja) モニタの着脱機構
JP2945281B2 (ja) 両開きパイプファイルの綴じ具
US20060205255A1 (en) Card type peripheral apparatus
JP6707229B2 (ja) コネクタ
JP2018004028A (ja) ドラムブレーキのシューホールド装置
US6361344B1 (en) Retainer for mounting on a card edge connector
JP2004238889A (ja) ラッチ装置
CN107545196B (zh) 数据存取器锁定装置
JP6570318B2 (ja) 基板ユニットのロック構造
CN114828466B (zh) 机壳的锁定机构
JP2013001300A (ja) クリップ
JP5089653B2 (ja) 携帯機器ホルダの着脱式クリップ
JPH11274758A (ja) 小型電子機器の着脱装置
JP2522791Y2 (ja) 電気機器の取付装置
JP4566118B2 (ja) 小型電子機器
JP3094988U (ja) ドーターボード保持器を有するカード・コネクタ装置
JP2007150061A (ja) ノイズ吸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