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743B1 -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 - Google Patents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6743B1
KR101106743B1 KR1020110123001A KR20110123001A KR101106743B1 KR 101106743 B1 KR101106743 B1 KR 101106743B1 KR 1020110123001 A KR1020110123001 A KR 1020110123001A KR 20110123001 A KR20110123001 A KR 20110123001A KR 101106743 B1 KR101106743 B1 KR 101106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ain frame
flip
advertisement
adverti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0380A (ko
Inventor
강신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크자인라이트패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크자인라이트패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크자인라이트패널
Priority to KR1020110123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743B1/ko
Publication of KR20110130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45Frames
    • G09F13/0447Frames compartmen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54Slidable panels or p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1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on tunnel walls for underground tr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은 외곽 틀을 이루도록 복수개가 연결되며 광고용 이미지 시트가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광고용 이미지 시트의 테두리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어 회동하는 플립커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어 직선이동 및 회전이동이 혼합된 형태로 작동하여 상기 플립커버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한 하기덮개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직선이동 및 회전이동이 혼합되어 작동하는 고정 장치가 구비되어 오작동이나 고의에 의해 플립커버가 개방됨으로써 광고용 패널이 손상되거나 광고용 이미지 시트가 도난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광고용 패널을 얻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Panel for Advertisement Having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선이동 및 회전이동이 혼합되어 작동하는 고정 장치가 구비되어, 오작동이나 고의에 의해 플립커버가 개방됨으로써 광고용 패널이 손상되거나 광고용 이미지 시트가 도난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고용 패널은 음식, 음료 및 서비스 상품 등을 대중에게 알리기 위한 것으로, 일정한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에 BLU(Back Light Unit), LED(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은 조명을 설치하고, 조명의 전면에 이미지 시트를 위치시켜 조명에 의해 가시성을 좋게 하여 대중들에게 광고를 전달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광고용 패널은 지하철역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근래의 지하철역에서는 승객의 안전을 위해 플랫폼(Platform)에 스크린 도어(Screen door)를 설치하고 있으며, 스크린 도어의 주변 공간에 광고용 패널을 설치하여 광고를 함과 동시에 승객이 선로 내로 떨어져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지하철역에 설치된 광고용 패널은 스크린 도어의 사이 공간에 설치되기 때문에 비교적 큰 크기로 설치되며, 이에 따라, 광고를 위한 이미지 시트 역시 큰 크기가 사용된다.
광고용 이미지 시트는 일정 주기로 교체가 되어 다른 광고를 하게 되는데, 광고용 이미지 시트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이를 교체하기 위한 방법이 용이하지 않아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광고용 이미지 시트의 교체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 의해 패널과 시트가 손상을 입지 않도록 보호를 해야 하는 문제가 병존하기 때문이다. 즉, 광고용 패널을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하면 교체의 용이성은 향상되나 일반인들 또한 쉽게 조작할 수 있어 파손의 우려가 증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교체작업 등과 같은 유지보수가 용이함과 동시에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광고용 패널의 제작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고용 이미지 시트의 보호가 가능하고, 손쉬운 작동에 의해 광고용 이미지 시트의 교체가 가능한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의 부주의에 따른 오작동이나 타인의 고의에 의해 플립커버가 개방됨으로써 광고용 패널이 손상되거나 광고용 이미지 시트가 도난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레임이 결합되는 날카로운 부분에 의해 승객 등의 상해가 방지되도록 라운드 코너를 구비한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레임이 결합되는 부분 등으로 빗물, 이물질 및 벌레 등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되는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곽 틀을 이루도록 복수개가 연결되며 광고용 이미지 시트가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광고용 이미지 시트의 테두리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어 회동하는 플립커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어 직선이동 및 회전이동이 혼합된 형태로 작동하여 상기 플립커버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한 고정덮개를 포함하는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덮개는 상기 플립커버와 일부가 중첩되게 하거나 상기 플립커버에는 상기 고정덮개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덮개에 의해 가압되어 회동이 제한되는 돌출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 부재는 상기 플립커버에 삽입된 축 형태의 바(Bar)이거나 상기 플립커버에 일체로 형성된 돌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덮개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모서리부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플립커버는 일정 부분이 제거되어 형성된 공간에 상기 고정덮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덮개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고정홀이 형성된 돌출편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측에서 삽입되어 상기 고정홀에 체결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외곽 틀을 이루도록 복수개가 연결되며 광고용 이미지 시트가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광고용 이미지 시트의 테두리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어 회동하는 플립커버; 상기 메인 프레임에 탈부착되어 상기 플립커버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한 분리덮개;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플립커버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 덮개를 포함하는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분리덮개 및 상기 회동덮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플립커버와 일부분이 중첩되거나 상기 플립커버에는 상기 분리덮개 및 상기 회동덮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분리덮개 및 상기 회동덮개에 의해 고정되어 회동이 제한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 부재는 상기 플립커버에 삽입된 축 형태의 바(Bar) 또는 상기 플립커버에 일체로 형성된 돌기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분리덮개 및 상기 회동덮개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모서리부분 또는 상기 플립커버의 일정 부분이 제거되어 형성된 공간에 상기 분리덮개 및 상기 회동덮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분리덮개 및 상기 회동덮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고정홀이 형성된 돌출편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측에서 삽입되어 상기 고정홀에 체결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분리덮개와 상기 회동덮개는 중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직선이동 및 회전이동이 혼합되어 작동하는 고정 장치가 구비되어 광고용 이미지 시트의 보호가 가능하고, 손쉬운 작동에 의해 광고용 이미지 시트의 교체가 가능한 광고용 패널을 얻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라운드 코너를 구비하여 프레임의 결합에 의한 날카로운 부분이 감싸져 승객 등의 상해가 방지되는 광고용 패널을 얻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이 결합되는 부분 등으로 빗물, 이물질 및 벌레 등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되어 외관이 미려한 광고용 패널을 얻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의 주요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의 부분을 절개한 상태의 부분절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에 고정덮개가 설치된 상태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에 메인 프레임이 중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의 교체작업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10 내지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의 변형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의 변형된 형태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면부호(′, PRIME)는 수직 메인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100)은 복수개가 연결되어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가 되도록 외곽 틀을 이루는 수평 및 수직 메인 프레임(110)(110′)을 포함하며, 수평 및 수직 메인 프레임(110)(110′)에는 광고용 이미지 시트(S)가 설치된다. 메인 프레임(110)(110′)에는 광고용 이미지 시트(S)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광고용 이미지 시트(S)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112)가 구비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12)는 광고용 이미지 시트(S)를 지지함과 더불어 메인 프레임(110)(110′)에 설치된 조명(190)의 빛을 광고용 이미지 시트(S)에 균일하게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112)는 도광판(Light Guide Plate)과 같은 형태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일부 구성요소 및 그 부호는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110)(110′)에는 광고용 이미지 시트(S) 또는 광고용 이미지 시트(S)와 베이스 플레이트(112)를 함께 고정하기 위한 고정 클립(120)이 구비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12)와 고정클립(120) 및 후술하는 보조 프레임(130)은 수평 및 수직 메인 프레임(110)(110′) 각각에 설치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수평 메인 프레임(110) 또는 수직 메인 프레임(110′) 한 곳에만 설치하는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클립(120)은 광고용 이미지 시트(S)와 베이스 플레이트(112)의 둘레를 가압하여 고정하고, 광고용 이미지 시트(S)를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교체가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110)(110′)에는 메인 프레임(110)(110′)에 구 형태로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는 보조 프레임(130)이 설치된다. 보조 프레임(130)에는 광고용 이미지 시트(S)의 전면에 위치하여 광고용 이미지 시트(S)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커버(140)가 구비된다. 보호 커버(140)는 아크릴(Acrylic)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 투명한 형태 등을 사용한다.
구 형태의 힌지 결합을 위해 수평 및 수직 메인 프레임(110)(110′)에는 단부에 구 형태가 구비된 제 1 돌출부(110a)(110a′)가 형성되며, 보조 프레임(130)에는 제 1 돌출부(110a)(110a′)가 둘러싸이는 형태로 위치하도록 제 1 힌지 홈(130a)(130a′)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 형태의 힌지 결합으로 수평 또는 수직 메인 프레임(110)(110′)에 대해 보조 프레임(130)은 회동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 형태의 힌지 결합에 의해 보조 프레임(130)은 수평 또는 수직 메인 프레임(110)(110′)에 대해 자유로운 각도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광고용 이미지 시트(S)를 교체할 경우 보호 커버(140)를 일정 각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교체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보호 커버(140)를 별도의 공간에 위치시킨 후 다시 옮기는 작업이 배제됨에 따라 교체에 따른 작업의 용이성 및 효율성이 증대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 및 수직 메인 프레임(110)(110′)에는 보호 커버(140) 및 광고용 이미지 시트(S)의 테두리를 가압하기 위해 구 형태로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는 플립 커버(150)(150′)가 설치된다. 이러한 힌지 결합을 위해 수평 및 수직 메인 프레임(110)(110′)에는 단부에 구 형태가 구비된 제 2 돌출부(110b)(110b′)가 형성되며, 플립 커버(150)(150′)에는 제 2 돌출부(110b)(110b′)가 둘러싸이는 형태로 위치하도록 제 2 힌지 홈(150b)(150b′)이 형성된다.
상기 플립 커버(150)(150′)에는 구 형태의 힌지 결합이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도록 지지 탄성체(152)(152′)가 구비된다. 지지 탄성체(152)(152′)는 와이어(Wire) 형태 또는 판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지지 탄성체(152)(152′)가 위치하도록 2′의 메인 프레임(110)(110′)과 플립 커버(150)(150′)에는 2′ 설치홈(110c, 150c)(110c′, 150c′)이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 탄성체(152)(152′)의 탄성력이 플립 커버(150)(150′)에 가해짐에 따라 메인 프레임(110)(110′)에 대해 탄성력이 제공되는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보호 커버(140)와 광고용 이미지 시트(S)의 둘레를 효과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또한, 메인 프레임(110)(110′)에는 직선이동 및 회전이동이 혼합된 형태로 작동하여 플립커버(150)(150′)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한 고정덮개(160)가 구비된다.
고정덮개(160)는 사각형의 형태로 제작하며, 직선이동과 회전이동이 혼합된 형태로 작동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왼쪽 부분은 수직 상태로 위치한 수직 메인 프레임(110′)의 제 2 돌출부(110b′)에 걸쳐지는 형태로 위치하여 직선이동을 하며, 이와 수직되는 상단 부분은 수평 상태로 위치한 수평 메인 프레임(110)의 제 2 돌출부(110b)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형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직선이동과 회전운동을 위해 고정덮개(160)에는 제 3 힌지홈(162b)과 제 4 힌지홈(160b)이 형성된다. 제 3 힌지홈(162b)은 수직 메인 프레임(110′)에 구비된 제 2 돌출부(110b′)를 감싸는 상태로 위치한 상태에서 직선이동을 통해 제 2 돌출부(110b′)로부터 이격되며, 제 4 힌지홈(160b)은 수평 메인 프레임(110)에 구비된 제 2 돌출부(110b)를 감싸는 상태를 유지하며 회전한다.
고정덮개(160)에는 메인 프레임(110)(110′)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고정홀(166a)이 형성된 돌출편(166)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편(166)은 수직 메인 프레임(110′)과 평행한 상태로 설치된다. 돌출편(166)의 고정홀(166a)에는 메인 프레임(110)(110′)에 형성된 삽입홀(161)을 통해 삽입되는 체결볼트(198)가 삽입된다. 이러한 체결볼트(198)에 의해 고정덮개(160)는 메인 프레임(110)(1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로 인해 플립커버(150)(150′) 또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일반인들에 의한 조작이 제한되어 공고용 이미지 시트(S) 등의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
고정덮개(160)에 의해 플립커버(150)(150′)는 고정된 상태 및 회동이 가능한 상태가 되며, 고정된 상태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돌출부재(168)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재(168)는 고정부재(160)에 접한 플립커버(150)(150′)의 측면에 구비하여 고정덮개(160)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플립커버(150)(150′)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돌출부재(168)는 볼트 등과 같은 바(Bar) 형태 또는 플립커버(150)(150′)에 일체로 형성된 돌기 등으로 구현한다.
그리고 플립커버(150)(150′)가 접촉되는 고정덮개(160)의 측면에는 물 또는 이물질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부재(170)가 구비된다. 기밀부재(170)는 고무 등과 같은 유연한 재질을 사용하며, 물 또는 이물질 등이 위한 기밀부재(17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조명(190)에 의해 벌레들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또한, 고정덮개(160)에 의해 플립커버(150)(150′)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다른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덮개(160)와 플립커버(150)(150′) 일부를 중첩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 플립커버(150)(150′)의 단부 일부는 고정덮개(160)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고정덮개(160)가 회전하지 않으면 회동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고정덮개(160)는 수평 메인 프레임(110)과 수직 메인 프레임(110′)이 결합되는 모서리 부분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고정덮개(160)는 메인 프레임(110)(110′)이 연결된 모서리 부분에서 경사진 형태로 직선 이동하여 플립커버(150)(150′)의 회동을 제한하는 형태로도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덮개(160)는 모서리 부분에서 메인 프레임(110)(110′)에 대해 각각 45°의 경사를 유지하는 상태로 직선 이동하는 형태가 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에 광고용 이미지 시트를 교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광고용 이미지 시트(S)를 교체하기 위하여 도 6과 같이 돌출편(166)의 고정홀(166a)에 체결볼트(198)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렌치(wrench)등과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돌출편(166)의 고정홀(166a)에 체결되어 있는 체결 볼트(198)를 분리한다. 체결볼트(198)가 분리됨에 따라 고정덮개(160)는 메인 프레임(110)(110′)으로부터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직선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덮개(160)를 잡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이동(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시킨다. 고정덮개(160)를 직선이동 시키게 되면 고정덮개(160)에 의해 눌려 있던 돌출부재(168)는 가압이 해제된다. 이 경우 수평 메인 프레임(110)과 고정덮개(160)의 사이 간격(c1)은 넓어진 상태가 된다.
고정덮개(160)를 직선이동 시킨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덮개(160)를 회전시켜 들어올린다.
이후 메인 프레임(110)(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각각의 플립 커버(150)(150′)를 들어 올려 메인 프레임(110)(110′)과 수평 상태가 되게 한다. 그리고 플립 커버(150)(150′)가 들려진 상태에서 보호 커버(140)가 설치된 보조 프레임(130)을 플립 커버(150)(150′)와 동일한 방향으로 들어 올려 보조 프레임(130)이 경사진 상태가 되게 한다.
이후 기존에 사용되던 광고용 이미지 시트(미도시)의 하단 부분을 하부측에 위치한 고정 클립(미도시)에서 빼내고, 광고용 이미지 시트의 하단 부분을 잡고 아래쪽으로 잡아당겨 고정 클립(120)에서 상단 부분이 베이스 플레이트(112) 상에서 슬라이딩 하는 형태로 이탈시킨다. 이 경우 보조 프레임(130)에 설치된 보호 커버(140) 역시 보조 프레임(130)과 동일한 경사로 위치하고 있어 광고용 이미지 시트(S)의 교체작업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새로운 광고용 이미지 시트(S)를 베이스 플레이트(112)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딩 상태로 밀어 올려 상단 부분을 고정 클립(120)에 삽입한다.
광고용 이미지 시트(S)의 상단 부분의 삽입이 완료된 후 하단 부분을 고정 클립(미도시)에 삽입한다.
광고용 이미지 시트(S)의 설치가 완료되면, 앞서 설명한 작동의 역순으로 보조 프레임(130), 플립커버(150)(150′), 고정덮개(160) 및 보조 고정덮개(164)를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교체작업을 완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은 도 10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의 형태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은 고정덮개(160)를 메인 프레임(110)(110′)의 모서리 부분이 아닌 플립커버(150)(150′)의 일정부분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고정덮개(160)는 플립커버(150)(150′)의 일정 부분이 제거되어 형성된 공간(176)에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형태의 광고용 이미지 시트를 교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덮개(160)를 고정하기 위해 삽입되어 있는 체결볼트(198)를 돌출편(166)의 고정홀(166a)에서 분리한 후 고정덮개(160)를 좌측 방향(도시된 도면 기준)으로 직선이동 시킨다. 고정덮개(160)의 양측에 위치한 플립커버(150)(150′)와의 사이에는 고정덮개(160)의 직선이동을 위한 간격(c1)(c2)이 각각 형성된다. 직선이동을 하기 전의 경우 고정덮개(160) 좌측의 공간(c2)이 우측의 공간(c1) 보다 넓은 상태이지만, 직선이동이 실시되면 고정덮개(160)가 이동하여 우측의 공간(c1)이 좌측의 공간(c2) 보다 넓은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가압되어 있던 돌출부재(168)는 고정덮개(160)로부터 가압이 해제되어 플립커버(150)(150′)는 회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덮개(160)를 회전시켜 들어올린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10)(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각각의 플립 커버(150)(150′)를 들어 올려 메인 프레임(110)(110′)과 수평 상태가 되게 한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립 커버(150)(150′)가 들려진 상태에서 보호 커버(140)가 설치된 보조 프레임(130)을 플립 커버(150)(150′)와 동일한 방향으로 들어 올려 보조 프레임(130)을 경사진 상태가 되게 한다.
이후 기존에 사용되던 광고용 이미지 시트(미도시)의 하단 부분을 하부측에 위치한 고정 클립(미도시)에서 빼내고, 광고용 이미지 시트의 하단 부분을 잡고 아래쪽으로 잡아당겨 고정 클립(120)에서 상단 부분이 베이스 플레이트(112) 상에서 슬라이딩 하는 형태로 이탈시킨다. 이 경우 보조 프레임(130)에 설치된 보호 커버(140) 역시 보조 프레임(130)과 동일한 경사로 위치하고 있어 광고용 이미지 시트(S)의 교체작업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새로운 광고용 이미지 시트(S)를 베이스 플레이트(112)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딩 상태로 밀어 올려 상단 부분을 고정 클립(120)에 삽입한다.
광고용 이미지 시트(S)의 상단 부분의 삽입이 완료된 후 하단 부분을 고정 클립(미도시)에 삽입한다.
광고용 이미지 시트(S)의 설치가 완료되면, 앞서 설명한 작동의 역순으로 보조 프레임(130), 플립커버(150)(150′) 및 고정덮개(160)를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교체작업을 완료한다.
한편,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을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수평 또는 수직 메인 프레임(110)(110′)에 탈부착되어 플립커버(150)(150′)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한 분리덮개(160a)와 분리덮개(160a)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회동하는 회동덮개(160b)를 구비한다.
분리덮개(160a)는 직선이동에 의해 수평 또는 수직 메인 프레임(110)(110′)에 탈부착된다. 분리덮개(160a) 또는 회동덮개(160b)에는 수평 또는 수직 메인 프레임측(110)(110′)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편(166)이 형성된다.
분리덮개(160a)와 회동덮개(160b)는 일부분이 중첩된 상태가 되게 하여 회동덮개(160b)의 회동이 제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회동덮개(160b)에는 분리덮개(160a)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재(168)를 구비하여 돌출부재(168)가 분리덮개(160a)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회동덮개(160b)의 회동이 제한되는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덮개(160a) 또는 회동덮개(160b)는 플립커버(150)(150′)의 단부와 중첩된 상태가 되게 하여 플립커버(150)(150′)의 회동이 제한되게 할 수 있으며, 분리덮개(160a)와 회동덮개(160b)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재(168)를 플립커버(150)(150′)에 구비하여 돌출부재(168)가 가압되는 방법에 의해 플립커버(150)(150′)의 회동을 제한되게 할 수 있다.
돌출 부재(168)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립커버(150)(150′)에 삽입된 볼트 등과 같은 축 형태의 바(Bar) 또는 일체로 형성된 돌기의 형태이다.
그리고 분리덮개(160a) 및 회동덮개(160b)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평 및 수직 메인 프레임(110)(110′)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형태 이외에 플립커버(150)(150′)의 일정 부분이 제거되어 형성된 공간에 설치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 구성될 경우, 먼저 보조 고정덮개(164)를 분리하고, 체결볼트(198)를 분리한 후 분리덮개(160a)를 메인 프레임(110)(110′)으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회동덮게(160b)를 들어 올려 플립커버(150)(150′)의 가압상태를 해제한다. 이후의 방법은 앞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분리덮개(160a)와 회동덮개(160b)는 도 15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프레임은 직선이동 및 회전운동이 혼합된 형태의 고정 장치를 구비하여 파손의 방지 및 교체의 용이성을 향상시킨다는 기술적 사상을 가진 것이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지 않은 형태로 고정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이 직선이동 및 회전운동이 혼합되는 고정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이라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10(110′) : 메인 프레임 112 : 베이스 플레이트
120 : 고정 클립 130 : 보조 프레임
140 : 보호 커버 150(150′) : 플립 커버
160 : 고정덮개 166 : 돌출편
190 : 조명

Claims (8)

  1. 외곽 틀을 이루도록 복수개가 연결되며 광고용 이미지 시트가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광고용 이미지 시트의 테두리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어 회동하는 플립커버;
    상기 메인 프레임에 탈부착되어 상기 플립커버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한 분리덮개;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플립커버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플립커버는 일정 부분이 제거되어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덮개 및 상기 회동덮개는 상기 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덮개 및 상기 회동덮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플립커버와 일부분이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커버에는 상기 분리덮개 및 상기 회동덮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돌출되어 상기 분리덮개 및 상기 회동덮개에 의해 고정되어 회동이 제한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부재는 상기 플립커버에 삽입된 축 형태의 바(B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부재는 상기 플립커버에 일체로 형성된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덮개 및 상기 회동덮개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모서리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덮개 및 상기 회동덮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고정홀이 형성된 돌출편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측에서 삽입되어 상기 고정홀에 체결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덮개와 상기 회동덮개는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
KR1020110123001A 2011-11-23 2011-11-23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 KR101106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001A KR101106743B1 (ko) 2011-11-23 2011-11-23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001A KR101106743B1 (ko) 2011-11-23 2011-11-23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683A Division KR101106738B1 (ko) 2010-01-29 2010-01-29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380A KR20110130380A (ko) 2011-12-05
KR101106743B1 true KR101106743B1 (ko) 2012-01-18

Family

ID=45499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001A KR101106743B1 (ko) 2011-11-23 2011-11-23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7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248A (ko) * 2001-08-27 2003-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의 핀응력 저감 구조
KR20040036579A (ko) * 2002-10-23 2004-04-3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배터리 팩
KR100882446B1 (ko) 2008-06-16 2009-02-06 최창호 광고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248A (ko) * 2001-08-27 2003-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의 핀응력 저감 구조
KR20040036579A (ko) * 2002-10-23 2004-04-3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배터리 팩
KR100882446B1 (ko) 2008-06-16 2009-02-06 최창호 광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380A (ko) 2011-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1478B1 (ko) 지하철 광고판
KR101106743B1 (ko)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
KR101106738B1 (ko) 고정 장치가 구비된 광고용 패널
WO2006120471A3 (en) Display screen system comprising a screen
CN105347242A (zh) 一种暗藏在地下的升降机
KR101197700B1 (ko) 간판 설치구조
KR101502516B1 (ko) 굽힘형 고정 프레임을 구비한 엘이디 표시장치
KR101484676B1 (ko) 표지판
KR101151282B1 (ko) 광고용 패널의 조명모듈 설치구조
CN209988540U (zh) 一种煤矿用设有防护机构的输送装置
KR100828303B1 (ko) 조립용 반사커버
JPH08301564A (ja) 乗客運搬装置
CN201882004U (zh) 公交车驾驶室安全防护板
KR101238851B1 (ko) 광고용 패널
KR101051479B1 (ko) 완충장치를 이용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광고장치
GB2489876A (en) Security screen
KR100679451B1 (ko) 광고판 내장형 스크린도어
KR102591661B1 (ko) 엘이디 모듈 교체가 용이한 엘이디 교통 표지판
JP2015014168A (ja) 表示コーン
CN104075259A (zh) 一种灯具壳体及具有该灯具壳体的照明装置
KR20180015368A (ko) 엘이디를 이용한 슬림형 방향 유도 표지판
KR102091080B1 (ko) 개폐와 탈부착이 가능한 방향유도 안내판
KR101628716B1 (ko) 방범망 조립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조립된 방범망 조립체
KR20200080745A (ko) 타일형 디스플레이 장치
CN102079277B (zh) 一种公交车驾驶室安全防护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