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5467B1 -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5467B1
KR101105467B1 KR1020110029143A KR20110029143A KR101105467B1 KR 101105467 B1 KR101105467 B1 KR 101105467B1 KR 1020110029143 A KR1020110029143 A KR 1020110029143A KR 20110029143 A KR20110029143 A KR 20110029143A KR 101105467 B1 KR101105467 B1 KR 101105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video
service providing
item
provid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
오정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스디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스디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스디웍스
Priority to KR1020110029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54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6Advertisement cre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1) 광고주 단말기로부터 광고 아이템을 입력받는 단계; (2) 동영상 내에서 광고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설정한 광고 구간의 최초 프레임에 상기 광고 아이템의 초기 위치를 등록하는 단계; (4) 상기 단계 (3)에서 등록한 초기 위치에 상기 광고 아이템을 생성하는 단계; (5) 상기 광고 구간 내의 프레임 변화에 따른 특징 벡터를 추출하는 단계; (6) 상기 특징 벡터에 따른 변화량을 반영하여 상기 광고 아이템을 갱신하는 단계; 및 (7) 상기 단계 (3)에서 등록한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광고 아이템의 위치 포인트를 자동 추적하여, 상기 단계 (6)에서 갱신한 광고 아이템을 상기 추적한 위치 포인트에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광고주로부터 광고 아이템을 전송받아 동영상에 광고 아이템을 자연스럽게 합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제작 시에는 없던 광고를 추가 삽입할 수 있어 디지털 시대를 준비하는 방송사 및 콘텐츠 배급사 등의 재원 마련에 기여하고, 동영상의 배포 시에 광고 아이템의 교체가 가능하여 비용이 절감되며, 동영상의 배포 매체에 따라 서로 다른 광고를 삽입할 수 있어 타깃 광고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A ADVERTISEMENT PROVIDING METHOD USING COMPOSITE VIDEO}
본 발명은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방송법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됨에 따라 간접, 가상 광고의 허용 범위가 종전보다 넓어졌으며, 이에 따라 간접 광고 및 가상 광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즉, 일정 기준 이내에서 상품과 로고를 노출시킬 수 있는 간접 광고가 허용된 것이다. 간접 광고(間接廣告, Products in Placement, PPL)는 영화, 드라마 등에 상품을 등장시켜 간접적으로 광고하는 마케팅 기법의 하나이다. 원래는 영화나 드라마를 제작할 때 소품 담당자가 영화에 사용할 소품들을 배치하는 업무를 뜻하던 용어였으나, 최근 이의 광고 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남에 따라 광고를 노리고 영화에 제품을 등장시킨다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
종래에는 방송을 통해 로고 등을 직접 노출할 수 없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소비자가 방송을 통해 간접 광고를 인식하지 못하고 지나쳐 가는 경우가 많아, 제대로 된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그러나 방송법 시행령 시행 후 브랜드의 노출에 대한 허용 범위가 넓어지자 최근 패션 시장에서는 PPL 마케팅을 펼치는 패션 업체들의 프로그램 선점 경쟁이 과열 양상을 띠고 있다. 최근, 인기 드라마를 통해 브랜드의 로고와 상품을 노출시켜 간접 광고 마케팅을 펼친 결과, 브랜드 인지도 상승은 물론 간접 광고로 노출된 상품이 매진되는 등 매출 파워로 연결되는 효과를 얻은 사례도 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의 간접 광고에 대한 관심은 더욱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가상 광고(假想廣告, virtual advertising)는,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해 실제 현장에는 없는 가상의 이미지를 만들어 이를 프로그램에 삽입해 상품을 광고하는 광고 기법이다. 예를 들어, 축구 경기를 방송할 경우 경기장에서 직접 경기를 관람하는 관중의 눈에는 광고가 보이지 않지만, 방송을 보는 시청자의 눈에는 보이는 광고를 말한다. 이때, 삽입된 가상 광고는 시청자의 눈에는 마치 경기장에 부착된 광고처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즉, 카메라가 전후좌우로 움직여도 화면 안의 광고 이미지는 현장 속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시청자들이 볼 때는 현장에 실제로 광고물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각종 스포츠 경기를 중계할 때 많이 응용되는데, 미국이나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일반화되어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가상 광고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간접 광고를 위해서는, 한국방송공사, 드라마 제작사, 출연진 등에 막대한 비용을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기업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케이블 등 다른 매체를 통해 동일한 방송 동영상을 제공할 때에도 간접 광고를 부가, 교체할 수가 없어서, 비용은 더욱 상승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광고주로부터 광고 아이템을 전송받아 동영상에 광고 아이템을 자연스럽게 합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제작 시에는 없던 광고를 추가 삽입할 수 있어 디지털 시대를 준비하는 방송사 및 콘텐츠 배급사 등의 재원 마련에 기여하고, 동영상의 배포 시에 광고 아이템의 교체가 가능하여 비용이 절감되며, 동영상의 배포 매체에 따라 서로 다른 광고를 삽입할 수 있어 타깃 광고를 할 수 있는,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은,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1) 광고주 단말기로부터 광고 아이템을 입력받는 단계;
(2) 동영상 내에서 광고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설정한 광고 구간의 최초 프레임에 상기 광고 아이템의 초기 위치를 등록하는 단계;
(4) 상기 단계 (3)에서 등록한 초기 위치에 상기 광고 아이템을 생성하는 단계;
(5) 상기 광고 구간 내의 프레임 변화에 따른 특징 벡터를 추출하는 단계;
(6) 상기 특징 벡터에 따른 변화량을 반영하여 상기 광고 아이템을 갱신하는 단계; 및
(7) 상기 단계 (3)에서 등록한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광고 아이템의 위치 포인트를 자동 추적하여, 상기 단계 (6)에서 갱신한 광고 아이템을 상기 추적한 위치 포인트에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고 아이템은,
2차원 정지 영상, 2차원 동영상, 3차원 정지 영상, 3차원 동영상, 텍스트 또는 사운드 형식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광고 구간은 상기 광고주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5)에서는,
상기 광고 구간에서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특징점에 대하여, 매 프레임마다 변화되는 특징점의 변화량을 특징 벡터로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영상의 광고 구간과 동일한 구간을 다른 동영상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구간에 대하여 상기 광고 아이템을 자동으로 합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7)에서 상기 광고 아이템이 합성된 동영상을 상기 광고주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징 벡터는,
상기 광고 아이템의 색상, 위치, 크기 및 조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징 벡터는,
상기 광고 아이템의 회전 또는 왜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광고주로부터 광고 아이템을 전송받아 동영상에 광고 아이템을 자연스럽게 합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제작 시에는 없던 광고를 추가 삽입할 수 있어 디지털 시대를 준비하는 방송사 및 콘텐츠 배급사 등의 재원 마련에 기여하고, 동영상의 배포 시에 광고 아이템의 교체가 가능하여 비용이 절감되며, 동영상의 배포 매체에 따라 서로 다른 광고를 삽입할 수 있어 타깃 광고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단계 S500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다른 동영상에 대해 광고를 합성하는 과정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광고주 단말기(100), 서비스 제공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광고주 단말기(100)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광고 아이템을 전송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광고주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받은 광고 아이템을 각종 동영상에 합성함으로써, 제작 당시에는 없었던 광고를 삽입하여 추가적인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300)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접속하여 원하는 광고 구간이 설정되도록 하거나, 광고 아이템을 합성하고자 하는 동영상을 전송 또는 지정할 수 있다. 광고 아이템이 합성된 동영상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의해 광고주 단말기(100)에 전송되거나,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될 수 있고, 또는 동영상을 배포하는 배포 업체나 동영상을 감상하고자 하는 고객에게 직접 동영상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광고 구간 설정부(210), 광고 아이템 위치 생성부(220), 광고 아이템 생성부(230), 자동 추적부(240), 광고 아이템 제어점 처리부(250), 광고 아이템 합성부(260), 및 광고 검색부(2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동영상 저장부(2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광고 구간 설정부(210)는, 전체 동영상 내에서 광고 아이템을 삽입할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광고 구간은 광고 아이템을 삽입하는 구간으로서,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광고 구간 설정부(210)는 사용자 또는 광고주로부터 최초 프레임과 최종 프레임의 선택을 입력받아, 광고 아이템이 삽입될 광고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광고 아이템 위치 생성부(220)는, 광고 아이템의 초기 위치를 등록할 수 있다. 광고 구간 내에서 광고 아이템은 다양한 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나 드라마 등의 배경이 되는 건물에 광고를 부착할 수 있고, 출연자가 상품을 들고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광고 아이템 위치 생성부(220)는, 사용자로부터 광고 아이템이 삽입될 위치를 선택 받거나, 자동으로 광고 아이템이 삽입될 위치를 선정함으로써, 광고 아이템이 삽입될 초기 위치를 등록할 수 있다.
광고 아이템 생성부(230)는, 광고 아이템 위치 생성부(220)에서 등록한 초기 위치에 광고 아이템을 생성하고, 광고 구간 내의 매 프레임마다 광고 아이템을 갱신하여 생성할 수 있다. 즉, 광고 아이템 생성부(230)에서는, 광고주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광고 아이템을 영화나 드라마 등의 동영상에 자연스럽게 삽입하기 위해 광고 구간 내의 매 프레임마다 광고 아이템을 변형시켜 생성할 수 있다.
자동 추적부(240)는, 광고 아이템의 위치 포인트를 자동 추적할 수 있다. 즉, 자동 추적부(240)는, 광고 아이템 위치 생성부(220)에서 등록된 광고 아이템의 초기 위치를 기초로, 영상 획득 및 객체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광고 구간의 매 프레임마다 광고 아이템이 삽입되어야 할 위치 포인트를 추적할 수 있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광고를 삽입하고자 하는 프레임마다 광고 아이템의 위치를 수동으로 설정하는 작업이 요청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자동 추적부(240)가 자동으로 광고 구간 내의 매 프레임에서 광고 아이템이 삽입되어야 할 위치 포인트를 추적하기 때문에, 복잡한 작업이 요청되지 않고, 카메라 이동에 따라 자연스럽게 광고 아이템을 배치 및 합성할 수 있게 된다.
광고 아이템 제어점 처리부(250)는, 광고 구간 설정부(210)에서 설정한 광고 구간에서 매 프레임마다 변화되는 특징값들을 벡터로 구성하여 광고 아이템 생성부(23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광고 아이템 생성부(230)에서는, 초기 프레임뿐 아니라 광고 구간 내의 매 프레임에서의 광고 아이템을 생성해야 하는데, 광고 아이템 제어점 처리부(250)에서 프레임에 따라 광고 아이템이 갱신되어야 할 정보를 벡터로 구성하여 광고 아이템 생성부(230)에 전달함으로써, 광고 아이템 생성부(230)에서 광고 아이템이 각 프레임에 잘 맞도록 광고 아이템의 갱신할 수 있다.
광고 아이템 합성부(260)는, 자동 추적부(240)에서 추적한 위치 포인트에 광고 아이템 생성부(230)에서 생성한 광고 아이템을 자연스럽게 합성할 수 있다 즉, 광고 아이템 합성부(260)에서는, 디지털 합성 기술 등을 이용하여 동영상에 광고 아이템을 자연스럽게 합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광고 아이템의 합성을 통해 동영상의 제작 시에는 없었던 광고 아이템을 삽입하여 배포할 수 있게 된다.
동영상 저장부(270)는, 영화, 드라마, 스포츠 중계 등 각종 동영상을 저장하며, 동일한 동영상이더라도 다양한 포맷이나 형태로 된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동영상은 광고주 단말기(100) 또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으나,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자체적으로 또는 다른 통로를 통해 보유하고 있는 동영상일 수도 있다.
광고 검색부(280)는, 두 동영상에서 동일한 구간을 검색할 수 있다. 즉, 동영상 저장부(270)에 저장된 두 개의 동영상에서 동일한 구간을 검색함으로써, 광고주 또는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설정이 없더라도 동일한 광고 아이템을 동일한 광고 구간에 삽입하여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광고 검색부(280)에서는, 객체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영상 및 음성 패턴을 비교함으로써, 동일한 구간을 검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은, 광고주 단말기(100)로부터 광고 아이템을 입력받는 단계(S100), 동영상 내에서 광고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S200), 광고 구간의 최초 프레임에 광고 아이템의 초기 위치를 등록하는 단계(S300), 등록한 초기 위치에 광고 아이템을 생성하는 단계(S400), 광고 구간 내의 프레임 변화에 따른 특징 벡터를 추출하는 단계(S500), 특징 벡터에 따른 변화량을 반영하여 광고 아이템을 갱신하는 단계(S600), 및 광고 아이템의 위치 포인트를 자동 추적하여 갱신한 광고 아이템을 합성하는 단계(S7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합성된 동영상을 광고주 단말기(100)에 전송하는 단계(S800)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1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광고주 단말기(100)로부터 광고 아이템을 전송받을 수 있다. 단계 S100에서 전송받을 수 있는 광고 아이템은, 2차원 정지 영상, 2차원 동영상, 3차원 정지 영상, 3차원 동영상, 텍스트, 또는 사운드 형식일 수 있다. 이러한 광고 아이템은 광고주의 상품을 직접 노출하는 광고일 수도 있으나, 기업 이미지 광고 등일 수도 있다.
단계 S2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동영상 내에서 광고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동영상은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단계 S200에서는, 동영상 내에 광고 아이템이 삽입될 수 있는 광고 구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광고 구간은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계 S200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광고 구간 설정부(2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최초 프레임과 최종 프레임의 선택을 입력받아, 광고 아이템이 삽입될 광고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3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단계 S200에서 설정한 광고 구간의 최초 프레임에 광고 아이템의 초기 위치를 등록할 수 있다. 단계 S300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광고 아이템 위치 생성부(2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광고 구간의 최초 프레임에서 광고 아이템이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를 선정하고,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선택을 입력받아, 광고 아이템의 초기 위치를 등록할 수도 있다.
단계 S4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단계 S300에서 등록한 초기 위치에 광고 아이템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400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광고 아이템 생성부(2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광고 아이템을 단순히 삽입하는 것이 아니라, 광고 구간의 최초 프레임의 색상이나 조명 등을 고려하고, 단계 S300에서 등록한 초기 위치의 특성을 고려하여 회전, 스케일, 왜곡 등의 처리를 하여 광고 아이템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5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광고 구간 내의 프레임 변화에 따른 특징 벡터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 S500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광고 아이템 제어점 처리부(2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 추출되는 특징 벡터는, 광고 아이템의 색상, 위치, 크기 및 조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광고 아이템의 회전 또는 왜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00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추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6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특징 벡터에 따른 변화량을 반영하여 광고 아이템을 갱신할 수 있다. 단계 S600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광고 아이템 생성부(2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동영상의 광고 구간 내에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프레임이 포함될 수 있는데, 화면이 전환되지 않더라도 각 프레임에 따라 색상, 조명, 인물이나 배경의 위치 등이 미묘하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동영상 프레임의 변화에 따라 광고 아이템이 변경 또는 갱신되어 삽입되어야 광고 아이템이 자연스럽게 동영상 내에 합성될 수 있다.
단계 S7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단계 S300에서 등록한 초기 위치로부터 광고 아이템의 위치 포인트를 자동 추적하여 갱신한 광고 아이템을 추적한 위치 포인트에 합성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자동 추적부(240)에서는, 프레임 변화에 따라 변화되어야 하는 광고 아이템의 위치를 자동 추적할 수 있다. 단계 S300에서 등록한 위치는 광고 아이템의 초기 위치로서, 광고 구간 내에서 프레임이 변경되면서 해당 위치가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광고 아이템의 위치 포인트도 변경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단계 S300에서 광고 아이템인 캔 음료의 초기 위치로 주인공의 손이 등록되어 있다면, 캔 음료는 주인공의 손에 계속 들려있어야 하므로, 프레임이 바뀌면서 주인공의 손이 이동함에 따라 광고 아이템의 위치 포인트는 주인공의 손 위치로 변경된다. 단계 S700에서는, 이와 같이 변경되는 광고 아이템의 위치 포인트를 자동 추적하여, 단계 S600에서 갱신되는 광고 아이템을 자동 추적된 위치에 합성함으로써, 광고 아이템이 동영상에 자연스럽게 합성되도록 할 수 있다.
광고 아이템이 동영상과 분리되어 보이거나, 제작 후 인위적으로 삽입된 것과 같은 인상을 강하게 주게 되면, 시청자가 거부감 또는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는, 이미 제작된 동영상에 광고 아이템을 합성함으로써, 간접 광고 또는 가상 광고의 효과를 얻고자 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거부감 또는 불편함을 최소화해야 한다. 따라서 단계 S600에서 갱신된 아이템을 자동 추적된 위치에 합성함으로써 광고주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효과적인 간접 광고 또는 가상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는, 단계 S500 내지 단계 S700을 광고 구간의 최종 프레임까지 반복 수행함으로써 광고 구간의 모든 프레임에 자연스럽게 광고 아이템이 합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500 내지 단계 S700을 실시간으로 수행하게 되면, 동영상의 배포 시마다 서로 다른 광고 아이템을 합성하여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광고주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받은 광고 아이템을 광고주의 의견에 따라 다양하게 동영상에 반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단계 S8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합성된 동영상을 광고주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광고주는 동영상에 광고가 적절하게 삽입 및 합성되었는지 여부를 궁금해 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S80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단계 S700까지 수행하여 광고 구간에 합성이 완료된 동영상을 광고주 단말기(100)에 전송하여, 광고주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단계 S500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단계 S500은, 광고 구간에서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S510) 및 프레임마다 변화되는 특징점의 변화량을 벡터로 구성하는 단계(S52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51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광고 구간에서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다. 단계 S510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광고 아이템 제어점 처리부(250)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단계 S200에서 설정되는 광고 구간에서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다. 특징점들은, 광고 구간 내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광고 구간을 특징지을 수 있는 점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특징점을 추출함으로써, 프레임 변화에 따른 화면의 변화 등을 알 수 있다.
단계 S52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단계 S510에서 추출한 특징점들에 대하여, 매 프레임마다 변화되는 특징점의 변화량을 특징 벡터로 구성할 수 있다. 즉, 광고 구간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점들이 프레임 변화에 따라 변화함으로써, 프레임에 따른 특징점의 변화량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징점의 변화량을 단계 S520에서 특징 벡터로 구성함으로써, 단계 S600에서 각 프레임의 특징에 따른 특징 벡터를 광고 아이템에 적용하여 갱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다른 동영상에 대해 광고를 합성하는 과정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다른 동영상에 대해 광고를 합성하는 과정은, 광고 구간과 동일한 구간을 다른 동영상에서 검색하는 단계(S910) 및 검색된 구간에 대하여 광고 아이템을 합성하는 단계(S92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91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영상 및 음성 패턴을 비교하여 동영상과 다른 동영상에서 동일한 구간을 검색할 수 있다. 단계 S910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광고 검색부(28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동일한 동영상이더라도 다른 코덱, 포맷 등으로 변형된 동영상이 다수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동영상이더라도, 시리즈 물 등에서 회상 장면 등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동일한 구간이 있을 수 있다. 단계 S910에서는, 이와 같이 두 동영상에서 동일한 구간을 검색하여 찾아낼 수 있다. 특히, 단계 S100 내지 단계 S700에 의해 광고 아이템이 합성된 동영상의 광고 구간과 다른 동영상을 서로 비교하여 동일한 구간을 검색하여 찾아낼 수 있다.
단계 S92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검색된 동일한 구간에 대하여 광고 아이템을 합성할 수 있다. 즉, 단계 S100 내지 단계 S700에 의해 광고 아이템이 합성된 동영상의 광고 구간과 동일한 구간이 다른 동영상에 있을 경우, 자동으로 광고 아이템을 합성할 수 있다. 이때, 합성은 단계 S600에서 갱신된 광고 아이템을 단계 S700에서 자동 추적한 위치 포인트에 합성 기술을 이용하여 합성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합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광고주 단말기 200: 서비스 제공 서버
210: 광고 구간 설정부 220: 광고 아이템 위치 생성부
230: 광고 아이템 생성부 240: 자동 추적부
250: 광고 아이템 제어점 처리부 260: 광고 아이템 합성부
270: 동영상 저장부 280: 광고 검색부
300: 사용자 단말기
S100: 광고주 단말기로부터 광고 아이템을 입력받는 단계
S200: 동영상 내에서 광고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S300: 광고 구간의 최초 프레임에 광고 아이템의 초기 위치를 등록하는 단계
S400: 등록한 초기 위치에 광고 아이템을 생성하는 단계
S500: 광고 구간 내의 프레임 변화에 따른 특징 벡터를 추출하는 단계
S510: 광고 구간에서 특징 점을 추출하는 단계
S520: 프레임마다 변화되는 특징 점의 변화량을 벡터로 구성하는 단계
S600: 특징 벡터에 따른 변화량을 반영하여 광고 아이템을 갱신하는 단계
S700: 광고 아이템의 위치 포인트를 자동 추적하여 갱신한 광고 아이템을 합성하는 단계
S800: 합성된 동영상을 광고주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S910: 광고 구간과 동일한 구간을 다른 동영상에서 검색하는 단계
S920: 검색된 구간에 대하여 광고 아이템을 합성하는 단계

Claims (8)

  1.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1) 서비스 제공 서버가, 광고주 단말기로부터 광고 아이템을 입력받는 단계;
    (2)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동영상 내에서 광고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3)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계 (2)에서 설정한 광고 구간의 최초 프레임에 상기 광고 아이템의 초기 위치를 등록하는 단계;
    (4)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계 (3)에서 등록한 초기 위치에 상기 광고 아이템을 생성하는 단계;
    (5)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광고 구간 내의 프레임 변화에 따른 특징 벡터를 추출하는 단계;
    (6)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특징 벡터에 따른 변화량을 반영하여 상기 광고 아이템을 갱신하는 단계; 및
    (7)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계 (3)에서 등록한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광고 아이템의 위치 포인트를 자동 추적하여, 상기 단계 (6)에서 갱신한 광고 아이템을 상기 추적한 위치 포인트에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동영상의 광고 구간과 동일한 구간을 다른 동영상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검색된 구간에 대하여 상기 광고 아이템을 자동으로 합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아이템은,
    2차원 정지 영상, 2차원 동영상, 3차원 정지 영상, 3차원 동영상, 텍스트 또는 사운드 형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광고 구간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광고주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5)에서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광고 구간에서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추출한 특징점에 대하여, 매 프레임마다 변화되는 특징점의 변화량을 특징 벡터로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단계 (7)에서 상기 광고 아이템이 합성된 동영상을 상기 광고주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벡터는,
    상기 광고 아이템의 색상, 위치, 크기 및 조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벡터는,
    상기 광고 아이템의 회전 또는 왜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10029143A 2011-03-30 2011-03-30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105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143A KR101105467B1 (ko) 2011-03-30 2011-03-30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143A KR101105467B1 (ko) 2011-03-30 2011-03-30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5467B1 true KR101105467B1 (ko) 2012-01-17

Family

ID=45614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143A KR101105467B1 (ko) 2011-03-30 2011-03-30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54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911B1 (ko) * 2012-03-15 2014-03-28 애드컴티에스 주식회사 Mms를 이용한 동영상 광고 서비스 제공방법
KR20190137924A (ko) * 2017-12-08 2019-12-11 구글 엘엘씨 디지털 비디오 컨텐츠 수정
CN112613451A (zh) * 2020-12-29 2021-04-06 民生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跨模态文本图片检索模型的建模方法
KR102670709B1 (ko) * 2021-12-15 2024-05-30 주식회사 엠브레이스 방송영상의 영역 및 객체 인식을 이용한 가상광고 삽입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404A (ko) * 2000-12-22 2001-04-06 유명현 카메라 동작 분석을 이용한 가상 광고 삽입 장치 및 방법
KR20030070446A (ko) * 2002-02-25 2003-08-30 (주)버추얼미디어 동영상의 영상합성장치 및 그 방법
KR100941749B1 (ko) 2008-08-25 2010-02-11 에이알비전 (주) 증강 현실 장치 및 가상 이미지 합성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404A (ko) * 2000-12-22 2001-04-06 유명현 카메라 동작 분석을 이용한 가상 광고 삽입 장치 및 방법
KR20030070446A (ko) * 2002-02-25 2003-08-30 (주)버추얼미디어 동영상의 영상합성장치 및 그 방법
KR100941749B1 (ko) 2008-08-25 2010-02-11 에이알비전 (주) 증강 현실 장치 및 가상 이미지 합성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911B1 (ko) * 2012-03-15 2014-03-28 애드컴티에스 주식회사 Mms를 이용한 동영상 광고 서비스 제공방법
KR20190137924A (ko) * 2017-12-08 2019-12-11 구글 엘엘씨 디지털 비디오 컨텐츠 수정
KR102200317B1 (ko) 2017-12-08 2021-01-08 구글 엘엘씨 디지털 비디오 컨텐츠 수정
CN112613451A (zh) * 2020-12-29 2021-04-06 民生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跨模态文本图片检索模型的建模方法
KR102670709B1 (ko) * 2021-12-15 2024-05-30 주식회사 엠브레이스 방송영상의 영역 및 객체 인식을 이용한 가상광고 삽입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2192B2 (en) Automatic localization of advertisements
US76890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content placement
US10078920B2 (en) Personalized video-based augmented reality
US103879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offering and billing advertisement opportunities
CN100466722C (zh) 根据观众的度量标准形成数字电影内容的方法
JP2004304794A (ja) 映画を表示する方法
US201001649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ipulating adverts and interactive
EP2722808A1 (en) Automatic localization of advertisements
US10726443B2 (en) Deep product placement
CN101595503A (zh) 产品置入
JP2004304791A (ja) デジタルシネマフレームコンテンツを修正する方法及び装置
CN114615517A (zh) 内容发布服务器、内容发布方法以及内容发布系统
KR101105467B1 (ko) 동영상 합성을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US109117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lert using tags on delivering digital content
JP2004304792A (ja) 観客測定基準に基づいてデジタルシネマコンテンツを供給する方法
CN112866764A (zh) 一种广告素材自动制作系统和方法
CN114760517B (zh) 图像活动嵌入方法及其装置、设备、介质、产品
KR20140004341A (ko) 시청자 선택형 증강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230276082A1 (en) Producing video for content insertion
EP27285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offering and billing advertisement opportunities
KR101221540B1 (ko) 인터랙티브 미디어 매핑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30055325A1 (en) Online advertising relating to feature film and television delivery over the internet
KR20190097961A (ko) 광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230024698A (ko) 실공간 변형 합성 기술을 이용한 가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079872A (ko) 가상 이미지를 중개하는 시스템, 가상 이미지를 삽입하는 장치 및 그것들의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