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931B1 -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과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터치입력 수신방법 - Google Patents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과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터치입력 수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931B1
KR101104931B1 KR1020100016481A KR20100016481A KR101104931B1 KR 101104931 B1 KR101104931 B1 KR 101104931B1 KR 1020100016481 A KR1020100016481 A KR 1020100016481A KR 20100016481 A KR20100016481 A KR 20100016481A KR 101104931 B1 KR101104931 B1 KR 101104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axis
touch screen
voltage
touc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6920A (ko
Inventor
이상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비스
Priority to KR1020100016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931B1/ko
Publication of KR20110096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3Peripheral electrode pattern in resistive digitisers, i.e. electrodes at the periphery of the resistive sheet are shaped in patterns enhancing linearity of induced fie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터치스크린 이외 영역을 통해서도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이 개시된다. 상기 터치패널은, 디스플레이 평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스크린 이외의 영역인 터치확장영역으로부터의 터치입력을 감지하고, 터치입력이 감지된 지점에 대한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결정하는 터치입력부 및 터치입력이 감지된 지점에 대응하여 결정된 X축 좌표 및 Y축 좌표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결정하고, 그 명령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과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터치입력 수신방법{Structure of touch panel using resistance film type and system comprising the touch panel and method for receiving touch input}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스크린 이외 영역을 통해서도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는 컴퓨터가 발달함에 따라 보조 장치들도 함께 개발되고 있다.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전송장치, 또한 그 밖의 개인전용 정보처리장치 등은 키보드, 마우스, 디지타이저(Digitizer) 등의 다양한 입력장치(Input Device)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그래픽 처리 등을 수행한다.
현재는 입력 장치의 일반적인 기능과 관련된 필요성을 충족시키는 수준을 뛰어넘어 고신뢰성, 새로운 기능의 제공, 내구성, 재료나 물질을 포함한 설계 및 가공과 관련된 제조 기술 등과 같이 미세한 기술로 관심이 바뀌고 있다. 이러한 목적에 부응하여 간단하고 오조작이 적으며, 다른 입력기기 없이도 문자 입력 등의 데이터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서 터치패널(Touch Panel)이 개발되었다.
터치패널은 전자수첩,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luminescense)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CRT(Cathod Ray Tube) 등과 같은 화상 표시장치의 표시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보면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는데 이용되는 도구이다. 터치패널은 크게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전기자기장형 방식(EM, Electro-Magnetic Type), 소오형(Saw Type) 및 인프라레드형(Infrared Type) 등으로 구분된다.
터치패널은 신호 증폭의 문제, 해상도의 차이, 설계 및 가공 기술의 난이도뿐만 아니라 각각의 터치패널의 광학적 특성, 전기적 특성, 기계적 특성, 내환경 특성, 입력 특성, 내구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선택된다. 특히 전자수첩, PDA, 휴대용 PC 및 핸드폰 등에는 저항막 방식 또는 정전용량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 중 저항막 방식은 박형, 소형, 경량 그리고 저소비전력 측면에서 다른 방식에 유리한 설계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저항막 방식의 입력 검출방법은 매트릭스식과 아날로그식이 있으며, 기판 재료로서 필름기판, 글래스 기판 및 플라스틱 기판이 있으며, 이러한 것들을 조합하여 상/하부 전극으로 구성된다. 또한 저항막 방식은 전극의 배선에 따라 아날로그 검출방식에서는 4선식, 5선식 또는 8선식 등으로 다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영역을 터치스크린 이외의 영역으로 확장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과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터치입력 수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은, 디스플레이 평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영역인 터치확장영역으로부터의 터치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입력이 감지된 지점에 대한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결정하는 터치입력부; 및 상기 터치입력이 감지된 지점에 대응하여 결정된 상기 X축 좌표 및 Y축 좌표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결정하고, 상기 명령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시스템은,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디스플레이 평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영역인 터치확장영역으로부터의 터치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입력이 감지된 지점에 대한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X축 좌표 및 Y축 좌표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결정하고, 상기 명령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터치패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의 터치패널의 터치입력 수신방법은, 디스플레이 평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영역인 터치확장영역으로부터의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입력이 감지된 지점에 대한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터치입력이 감지된 지점에 대응하여 결정된 상기 X축 좌표 및 Y축 좌표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명령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은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영역을 터치스크린 이외의 영역으로 확장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의 대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 개의 버튼을 포함한 터치확장영역을 통하여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터치패널에서의 레이아웃 및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두 개의 버튼을 포함하는 터치확장영역을 통하여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에서의 터치입력 수신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의 대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터치패널(100)은 터치입력부(10), 제어부(20), 표시부(30) 및 메모리(40)를 포함한다.
터치입력부(10)는 사용자로부터의 터치입력을 수신한다. 터치입력부(10)는 터치스크린 입력부(12)와 확장입력부(14)를 포함한다.
터치스크린 입력부(12)는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되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은 터치패널(100)에서 디스플레이 평판을 포함하는 영역으로서, 표시부(30)에서 출력되는 표시 데이터가 표시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확장입력부(14)는 터치스크린을 제외한 터치패널(100)의 다른 부분, 예를 들어 터치패널(100)의 버튼 등을 통하여 입력되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이하, 터치패널(100)에서 터치스크린 이외에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터치확장영역'이라 한다.
터치입력부(10)는 터치패널 처리부(22)의 제어 하에 터치입력이 수신된 지점, 즉 터치포인트(Touch Point)에 대한 좌표, 즉 X축 좌표와 Y축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산출하기 위하여 터치입력부(10)는 상기 터치입력이 감지된 지점에서의 전압값을 구한다. 터치패널(100)은 저항막 방식이므로, 저항막의 양단에 일정한 전류가 흐르고 있고, 저항막이 저항 성분을 가지는 저항체와 같이 작용하여 양단에 전압이 걸리게 된다.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터치패널(100)에 터치입력을 가하면, 터치패널(100)의 상판과 하판이 접속된다. 그에 따라 저항막의 저항들이 병렬연결된 것과 같은 형태로 되면서 저항값의 변화가 일어난다. 저항값의 변화가 일어나면, 저항막의 양단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전압의 변화도 일어난다. 터치입력부(10)는 상기 터치입력에 의한 전압의 변화 정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이 감지된 지점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산출한다.
제어부(20)는 터치패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0)는 터치입력부(10)를 통하여 입력되는 터치입력을 분석 또는 처리하기 위한 터치패널 처리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패널 처리부(22)는 터치스크린 입력부(12) 또는 확장입력부(14)에 의하여 감지된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이 감지된 지점의 좌표를 추출한다. 또한 터치패널 처리부(22)는 추출된 상기 좌표를 참조하여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Command)를 결정하고, 터치패널(100)이 결정된 상기 명령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터치패널 처리부(22)는 터치패널(100)의 상판 또는 하판에 배선된 적어도 하나의 X축 전극 또는 Y축 전극이 등전압을 유지하도록 터치패널(100)을 제어한다.
표시부(30)는 TFT LCD, LED 또는 DLED 등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터치패널(100)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LCD를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30)는 입력수단과 디스플레이 수단으로서 동작한다. 표시부(30)가 입력수단 및 디스플레이 수단을 겸하여 사용되는 경우, 터치패널(100)은 상기 표시부(30)와 터치스크린 입력부(12)가 일체화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40)에는 터치패널(100)의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40)에는 터치입력이 감지된 각 지점에 대응하는 명령어가 저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 개의 버튼을 포함한 터치확장영역을 통하여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는 터치패널(100) 중 X축 전극이 배선된 상판을, (b)는 Y축 전극이 배선된 하판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터치패널(100)은 터치스크린(110), 홀(hole; 102) 및 두 개의 버튼(104 및 106)을 포함한다. 터치패널(100)의 X축 전극은 터치패널(100)의 좌측 세로축, 우측 세로축 및 홀(102)을 덮는 구조로 배선될 수 있다. X축 전극 중 X1은 터치패널(100)의 좌측 세로축에 배선되어 좌측 버튼(104)의 좌측에 위치한다. X2는 터치패널(100)의 우측 세로축에 배선되어 우측버튼(106)의 우측에 위치한다. X3은 다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홀(102)을 덮는 구조이다. 또한 X1, X2 및 X3은 각기 다른 등전압을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X1이 5V, X2가 0V, X3이 3V일 수 있다.
터치패널(100)에서의 X축 전극의 배선이 홀(102)을 덮는 구조를 취하는 동시에 등전압을 유지함으로써, 터치패널(100)은 홀(10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사용자로부터의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즉, 터치패널(100)은 터치스크린(110) 및 좌우측 버튼(104 및 106)을 포함한 영역에서 사용자로부터의 터치입력을 수신한다. 도 2에서는 터치스크린(110) 및 좌우측 버튼(104 및 106)을 포함한 영역이 터치확장영역에 해당한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터치패널(100)의 Y축 전극 중 Y1은 터치패널(100)의 최상단 가로축에 배선된다. Y2는 터치패널(10)의 최하단 가로축에 배선되고, Y3는 Y1과 Y2의 사이인 좌우측 버튼(104 및 106)의 상단 가로축에 배선된다. Y1, Y2 및 Y3는 X축 전극과 마찬가지로 각기 다른 등전압을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Y1은 5V, Y2는 3V, Y3는 0V일 수 있다.
X축 전극 및 Y축 전극이 유지하는 각 등전압의 값은 터치패널(100)의 설계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한 사항으로써, 당업자가 터치패널(100)을 설계할 시 편이에 따라 임의의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터치패널에서의 레이아웃 및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X축 전극 및 Y축 전극을 포함하여 터치패널(100)에서의 레이아웃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의 (a)를 참조하면, X축 전극은 X1, X1', X2, X2' 및 X3을 포함한다. 도 3의 (a)에서는 터치패널(100)의 좌측 세로축의 X1과 X1'이 별개이고, X2와 X2'가 별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X1'은 X1이 연장된 것이고, X2'는 X2가 연장된 것이다. 즉, X1과 X1'은 실제로 동일한 X축 전극이고, X2와 X2'는 동일한 X축 전극으로서 설명 상의 편이를 위해 분리하여 나타냈을 뿐이다.
X축 전극인 X1과 X2의 사이에는 저항 Ra과 저항 Rb가 위치하여 두 개의 전극들을 연결한다. X1'과 X3의 사이에는 저항 Re과 저항 Rf가, X3와 X2'의 사이에는 저항 Ri과 저항 Rj가 연결되어 있다.
저항 Ra와 저항 Rb, 저항 Re와 저항 Rf, 또는 저항 Ri와 저항 Rj 각각은 터치패널(100)에 터치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하나의 저항으로서 연결된 형태를 취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터치패널(100) 상의 특정한 지점이 터치된 경우, 그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가 저항 Ra와 저항 Rb, 저항 Re와 저항 Rf 또는 저항 Ri와 저항 Rj로 구분된다.
Y축 전극은 Y1, Y2 및 Y3을 포함한다. 저항 Rc와 저항 Rd는 Y1과 Y2의 사이에 접속된다. 저항 Rg와 저항 Rh, 또는 저항 Rk와 저항 Rl은 Y2와 Y3의 사이에 접속된다.
X축 전극인 X3는 저항 Rf 및 저항 Ri의 사이에 배선된다. Y3를 기준으로 상측의 터치입력이 가능한 영역을 제1영역(122)이라 하고, 하측의 터치입력이 가능한 영역, 즉 터치확장영역을 제2영역(124)이라 하기로 한다.
X3 및 Y2는 0~5V 사이에 존재하는 특정한 값의 전압값, 즉 등전압을 유지한다. 따라서 터치패널(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홀(102) 이외의 좌우측 버튼(104 및 106)을 포함한 나머지 영역, 즉 제2영역(124)은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Y2가 2V를 유지하고, X3가 3V를 유지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X1, X1' 및 Y1이 최대 전압인 5V를 유지하는 (X+)축 전극 또는 (Y+)축 전극이고, X2, X2' 및 Y3가 0V를 유지하는 (X-)축 전극 또는 (Y-)축 전극이라 가정한다. X1'과 X3의 사이에 있는 저항 Re와 저항 Rf는 3~5V 사이의 전압값을 가진다. 이로부터 터치패널 처리부(22)는 터치포인트 B(134)의 X축 좌표를 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터치포인트 B(134)는 Y2와 Y3 사이에 있으므로, 저항 Rg와 저항 Rh에 인가되는 전압은 0~2V 사이의 전압값이 된다. 이로부터 터치패널 처리부(22)는 터치포인트 B(134)의 Y축 좌표를 구할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Y1, Y2 및 Y3는 모두 등전압을 유지한다. Y1과 Y3의 사이에 연결된 저항값은, 저항 Rc와 저항 Rd를 합한 (Rc+Rd)이다. Y1과 Y3 및 Y3와 Y2 사이에는 균일한 저항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저항 (Rc+Rd)에는 Y1과 Y3의 전압차에 해당하는 전압값이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Y2와 Y3의 사이를 연결하는 저항의 저항값은 (Rg+Rh) 또는 (Rk+Rl)의 일정한 저항값을 가지며, 저항 (Rg+Rh) 또는 저항 (Rk+Rl)에는 Y3와 Y2의 전압차에 해당하는 전압값이 공급된다.
도 3의 (b)에서, Y1은 5V를 가지는 (Y+)축 전극이고 Y2는 0V를 가지는 (Y-)축 전극이다. 터치입력이 제1영역(122)을 통하여 수신되었다면, 상기 터치입력이 수신된 지점, 즉 터치포인트의 Y축 좌표는 (b)와 같이 저항 Rc와 저항 Rd를 구별하는 지점이 된다. 따라서 터치포인트 A(132)의 Y축 좌표는 Y1과 Y3의 전압차 및 터치포인트 A(132)에 의하여 결정된 저항 Rc와 저항 Rd의 길이의 비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터치포인트가 B(134)와 같이 좌우버튼(104 및 106)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는 Y3와 Y2의 사이에 위치하는 저항 (Rg+Rh) 또는 저항 (Rk+Rl)을 저항 Rg와 저항 Rh 또는 저항 Rk와 저항 Rl로 구별하는 지점이 발생한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Y3와 Y2의 사이에 위치한 터치포인트 B(134)는 저항 (Rg+Rh)를 저항 Rg와 저항 Rh로 구별하도록 한다. 그에 따라 터치포인트 B(134)의 Y축 좌표는 등전압을 유지하는 Y3와 Y2의 전압차 및 터치포인트 B(134)에 의하여 결정된 저항 Rg와 저항 Rh의 길이의 비에 의하여 결정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두 개의 버튼을 포함하는 터치확장영역을 통하여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터치패널(100)의 X축 전극, (b)는 Y축 전극 및 (c)는 터치패널(100)에서의 터치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개략적인 레이아웃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a) 및 (b)를 참조하면, 터치패널(100)은 터치스크린(110), 홀(102) 및 좌우측 버튼(104 및 106)를 포함한다. 또한 터치패널(100)의 상판 및 하판에는 다수의 X축 전극 및 Y축 전극이 배선된다.
X축 전극은 X1, X2 및 X3를 포함하고, Y축 전극은 Y1, Y2, Y3 및 Y4를 포함한다. 도 4의 X축 전극 및 Y축 전극은 도 2의 터치패널(100)과 마찬가지로 홀(102) 이외의 영역을,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영역으로 확장하기 위하여 0 또는 5V를 제외한 다른 전압값을 유지하는 등전압 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영역으로 확장된 영역이 도 4의 터치확장영역에 해당한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X1은 터치패널(100)의 좌측 세로축에, X2는 우측 세로축에 배선된다. 또한 X3은 홀(102)을 덮는 다각형의 구조로서 배선될 수 있다. 도 4의 (a)에서 X3은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면서 홀(102)을 덮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X1, X2 및 X3은 모두 등전압을 유지하는 X축 전극이며, 각 X축 전극이 유지하는 전압값은 각기 다를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Y1은 터치패널(100)의 최상단 가로축에, Y2 및 Y3는 터치스크린(110)과 좌우측 버튼(104 및 106)의 사이에 배선되며, Y4는 터치패널(100)의 최하단에 배선된다. 도 4의 (b)에서는 설명의 편이를 위하여 Y2가 Y3보다 상단에 배선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X1과 X1'이 (X+)축 전극으로서 5V를 유지하고, X2와 X2'가 (X-)축 전극으로서 0V를 유지한다. 또한 X3은 0~5V 사이의 등전압을 유지한다. X3은 홀(102)을 덮는 부분에 해당하므로, 동일한 전압을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홀(102)을 덮는 X3가 등전압을 유지하고 있어야 사용자가 홀(102)을 터치하여도 홀(102)의 터치에 따른 전압차가 터치패널(100)에서 발생하지 않는다. 즉, 홀(102)에서는 전압차가 발생하지 않고, 좌우측 버튼(104 및 106)에서만 전압차가 발생하므로 제어부(20)는 터치확장영역으로부터의 터치입력과 홀(102)로부터의 입력을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X3이 3V를 유지하고 있다고 가정하면, X1'과 X3 간의 전압차는 2V이며 X2'와 X3 간의 전압차는 3V이다. 터치입력이 X1'과 X3의 사이에 수신되었다면 상기 터치입력이 수신된 지점과 X2', 즉 (X-)축 전극과의 전압차는 3~5V가 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터치입력이 X2' 와 X3의 사이에 수신되었다면 상기 터치입력이 수신된 지점과 X2'의 전압차는 0~3V가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터치입력의 X축 좌표를 구할 수 있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Y1이 (Y+)축 전극으로서 5V를 유지하고, Y4가 (Y-)축 전극으로서 0V를 유지한다. Y2 및 Y3는 각기 다른 값을 가지는 등전압 전극이며, Y1이 (Y+)축 전극으로서 5V를 유지하고 있다면, Y2 및 Y3는 0~5V 사이의 값을 가지되 Y2가 Y3보다 커야 한다. 반대로 Y4가 (Y+)축 전극이라고 한다면 Y2 및 Y3는 0~5V 사이의 값을 가지되 Y3가 Y2보다 커야 한다. 도 4에서는 Y2가 3V이고 Y3가 2V를 유지한다고 가정한다. Y3와 Y4의 사이에 터치입력이 수신된다면 상기 터치입력이 수신된 지점과 Y4, 즉 (Y-)축 전극과의 전압차는 0~2V 사이의 값이 된다. 터치입력이 Y2와 Y3의 사이에 수신되면, 상기 터치입력이 수신된 지점과 Y4와의 전압차는 2~3V 사이의 값이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터치입력이 수신된 지점에 대한 Y축 좌표를 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100)을 포함한 시스템(200)은 상기 터치패널(100), 프로세서(210) 및 버스(Bus)(22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0)는 터치패널(100)의 모든 동작을 제어한다. 터치패널(100)은 프로세서(210)의 제어 하에 사용자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터치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실행한다. 또한 버스(220)는 프로세서(210)와 터치패널(100)이 송수신하는 데이터가 전달되는 통로에 해당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에서의 터치입력 수신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터치패널(100)은 터치스크린(110) 또는 터치확장영역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의 터치입력을 수신한다(S142). 터치입력이 수신되면 터치패널(100)은 상기 터치입력이 수신된 지점, 즉 터치포인트의 좌표를 결정한다(S144).
상기 터치포인트의 좌표가 결정되면, 터치패널(100)은 상기 좌표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결정하고(S146), 결정된 상기 명령어에 따라 동작을 수행한다(S148).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터치입력부 12 : 터치스크린 입력부
14 : 확장입력부 20 : 제어부
22 : 터치패널 처리부 30 : 표시부
40 : 메모리 100 : 터치패널
102 : 홀 104 : 좌측버튼
106 : 우측버튼 110 : 터치스크린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디스플레이 평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영역인 터치확장영역으로부터의 터치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입력이 감지된 지점에 대한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결정하는 터치입력부; 및
    상기 터치입력이 감지된 지점에 대응하여 결정된 상기 X축 좌표 및 Y축 좌표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결정하고, 상기 명령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입력부는,
    상기 X축 좌표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좌우측에 배선되어 최대 전압 및 최소 전압을 각각 유지하는 제1X축 전극들;
    상기 터치스크린의 하단에 위치한 홀(hole)을 덮는 다각형의 구조로 배선되어 상기 최대 전압보다 작고 상기 최소 전압보다 큰 전압을 유지하는 제2X축 전극;
    상기 Y축 좌표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하측에 배선되어 최대 전압 및 최소 전압이 각각 유지하는 제1Y축 전극들; 및
    상기 터치확장영역으로부터 감지되는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Y축 좌표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Y축 전극들 사이에 상기 최대 전압보다 작고 상기 최소 전압보다 큰 전압을 유지하는 제2Y축 전극을 포함하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
  4. 디스플레이 평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영역인 터치확장영역으로부터의 터치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입력이 감지된 지점에 대한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결정하는 터치입력부; 및
    상기 터치입력이 감지된 지점에 대응하여 결정된 상기 X축 좌표 및 Y축 좌표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결정하고, 상기 명령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확장영역에 홀이 포함된 경우, 상기 홀을 덮는 다각형의 구조로 등전압이 인가되는 전극이 배선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및 상기 홀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상기 터치확장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터치입력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확장영역으로부터 상기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
  5. 디스플레이 평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영역인 터치확장영역으로부터의 터치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입력이 감지된 지점에 대한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결정하는 터치입력부; 및
    상기 터치입력이 감지된 지점에 대응하여 결정된 상기 X축 좌표 및 Y축 좌표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결정하고, 상기 명령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입력부는,
    상기 X축 좌표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좌우측에 배선되어 최대 전압 및 최소 전압을 각각 유지하는 제1X축 전극들;
    상기 터치스크린의 하단에 위치한 홀을 덮는 다각형의 구조로 배선되어 상기 최대 전압보다 작고 상기 최소 전압보다 큰 전압을 유지하는 제2X축 전극;
    상기 Y축 좌표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하측에 배선되어 최대 전압 및 최소 전압이 각각 유지하는 제1Y축 전극들;
    상기 터치확장영역으로부터 감지되는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Y축 좌표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Y축 전극들 사이에 상기 최대 전압보다 작고 상기 최소 전압보다 큰 전압을 유지하는 제2Y축 전극; 및
    상기 제2Y축 전극의 하단에 배선되어 상기 제2Y축 전극보다 크거나 작은 전압을 유지하는 제3Y축 전극을 포함하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
  6. 삭제
  7.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디스플레이 평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영역인 터치확장영역으로부터의 터치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입력이 감지된 지점에 대한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X축 좌표 및 Y축 좌표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결정하고, 상기 명령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패널은,
    상기 X축 좌표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좌우측에 배선되어 최대 전압 및 최소 전압을 각각 유지하는 제1X축 전극들;
    상기 터치스크린의 하단에 위치한 홀을 덮는 다각형의 구조로 배선되어 상기 최대 전압보다 작고 상기 최소 전압보다 큰 전압을 유지하는 제2X축 전극;
    상기 Y축 좌표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하측에 배선되어 최대 전압 및 최소 전압이 각각 유지하는 제1Y축 전극들; 및
    상기 터치확장영역으로부터 감지되는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Y축 좌표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Y축 전극들 사이에 상기 최대 전압보다 작고 상기 최소 전압보다 큰 전압을 유지하는 제2Y축 전극을 포함하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시스템.
  8.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디스플레이 평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영역인 터치확장영역으로부터의 터치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입력이 감지된 지점에 대한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X축 좌표 및 Y축 좌표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결정하고, 상기 명령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패널은,
    상기 터치확장영역에 홀이 포함된 경우, 상기 홀을 덮는 다각형의 구조로 등전압이 인가되는 전극이 배선되고,
    상기 터치스크린 및 상기 홀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상기 터치확장영역으로 결정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확장영역으로부터 상기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시스템.
  9.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디스플레이 평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영역인 터치확장영역으로부터의 터치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입력이 감지된 지점에 대한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X축 좌표 및 Y축 좌표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결정하고, 상기 명령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패널은,
    상기 X축 좌표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좌우측에 배선되어 최대 전압 및 최소 전압을 각각 유지하는 제1X축 전극들;
    상기 터치스크린의 하단에 위치한 홀을 덮는 다각형의 구조로 배선되어 상기 최대 전압보다 작고 상기 최소 전압보다 큰 전압을 유지하는 제2X축 전극;
    상기 Y축 좌표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하측에 배선되어 최대 전압 및 최소 전압이 각각 유지하는 제1Y축 전극들;
    상기 터치확장영역으로부터 감지되는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Y축 좌표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Y축 전극들 사이에 상기 최대 전압보다 작고 상기 최소 전압보다 큰 전압을 유지하는 제2Y축 전극; 및
    상기 제2Y축 전극의 하단에 배선되어 상기 제2Y축 전극보다 크거나 작은 전압을 유지하는 제3Y축 전극을 포함하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시스템.
  10. 삭제
KR1020100016481A 2010-02-24 2010-02-24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과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터치입력 수신방법 KR101104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481A KR101104931B1 (ko) 2010-02-24 2010-02-24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과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터치입력 수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481A KR101104931B1 (ko) 2010-02-24 2010-02-24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과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터치입력 수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920A KR20110096920A (ko) 2011-08-31
KR101104931B1 true KR101104931B1 (ko) 2012-01-12

Family

ID=44932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481A KR101104931B1 (ko) 2010-02-24 2010-02-24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과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터치입력 수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9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9463A (ja) * 1992-11-13 1994-05-27 Fujitsu Ltd 座標入力装置
JP2007164470A (ja) 2005-12-14 2007-06-28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およびこの入力装置を使用した電子機器
KR100904960B1 (ko) 2007-11-09 2009-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20090130572A (ko) * 2008-06-16 2009-12-24 한국터치스크린(주) 복수의 터치영역을 구비한 터치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9463A (ja) * 1992-11-13 1994-05-27 Fujitsu Ltd 座標入力装置
JP2007164470A (ja) 2005-12-14 2007-06-28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およびこの入力装置を使用した電子機器
KR100904960B1 (ko) 2007-11-09 2009-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20090130572A (ko) * 2008-06-16 2009-12-24 한국터치스크린(주) 복수의 터치영역을 구비한 터치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920A (ko) 201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5752B2 (en) Touch-control display panel and touch-control display device
US9207801B2 (en) Force sensing input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force information
KR101970971B1 (ko) 압력 감지 터치스크린에 대한 입력 위치의 오차 보상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및 휴대단말
JP6577967B2 (ja) ディスプレイ対象の移動方向調節方法及び端末機
US20170308240A1 (en) Pressure sensing touch display device
US20100149122A1 (en) Touch Panel with Multi-Touch Function and Method for Detecting Multi-Touch Thereof
US200903227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wo simultaneous touches and gestures on a resistive touchscreen
US20110273396A1 (en) Touch screen device
JP2008165801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パネルのタッチ感度調節装置及び方法と、これを利用したタッチ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装置
US10521056B2 (en) Touch screen panel and display device
US20150084921A1 (en) Floating touch method and touch device
US20120007825A1 (en) Operating module of hybrid touch pane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30124084A (ko)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와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
KR101077308B1 (ko) 터치패널의 압력센싱 모듈 및 그 작동방법
KR20180017852A (ko) 터치 입력 장치의 압력 터치 방법
US20140347314A1 (en) Method of detecting touch force and detector
US8643620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12128676A (ja) タッチパネル
KR101104930B1 (ko)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과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터치입력 수신방법
KR101104931B1 (ko)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과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터치입력 수신방법
KR101117328B1 (ko) 터치스크린 패널을 이용한 커패시터 캘리브레이션 방법
US20170160864A1 (en) Display method and terminal including touch screen performing the same
US20150138102A1 (en) Inputting mode switching method and system utilizing the same
KR101890665B1 (ko) 터치 입력 장치의 압력 터치 방법
KR20220157707A (ko) 다수의 센서 기능이 통합된 터치 스크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