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157B1 - 영상통화 매크로 시스템 및 매크로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통화 매크로 시스템 및 매크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157B1
KR101104157B1 KR1020080000436A KR20080000436A KR101104157B1 KR 101104157 B1 KR101104157 B1 KR 101104157B1 KR 1020080000436 A KR1020080000436 A KR 1020080000436A KR 20080000436 A KR20080000436 A KR 20080000436A KR 101104157 B1 KR101104157 B1 KR 101104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al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acro
cal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0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4598A (ko
Inventor
김진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0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157B1/ko
Publication of KR20090074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4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15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이동통신단말의 영상통화를 통해 미리 저장된 영상통화 데이터를 착신자에게 전달한 후, 착신자의 응답에 따라서 다르게 분기되어 다음 단계의 영상통화 데이터를 보여줌으로써, 착신자에 대한 일련의 질문조사 및 상품광고를 체계적으로 자동으로 진행하는 영상통화 매크로 시스템 및 매크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이동통신단말, 제2 이동통신단말,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가 포함된다. 제1 이동통신단말은 영상 입출력장치와 음성 입출력장치를 구비하여 영상통화가 가능하며, 영상통화 데이터를 전송한다. 하나 이상의 제2 이동통신단말은 영상 입출력장치와 음성 입출력장치를 구비하여 영상통화가 가능하며, 제1 이동통신단말로부터 발신된 영상통화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는 제1 이동통신단말의 요청에 따라 제2 이동통신단말의 번호를 등록하며, 제1 이동통신단말의 전송에 따라 트리구조로 각 단계별로 영상통화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한 뒤 제2 이동통신단말로 전달하고, 제1 이동통신단말에서 제2 이동통신단말로 전송된 각 단계별 착신자의 반응을 판단하여 집계하여, 기존의 음성통화만 되던 통신단말을 이용한 텔레마케팅이나 원격조사의 경우 보다 상세하고 실감나는 정보 전달 및 조사가 가능하다.
영상통화, 매크로 트리, 매크로 서버, 통신단말, 텔레마케팅

Description

영상통화 매크로 시스템 및 매크로 방법{Video Telephony Macro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이동통신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이동통신단말의 영상통화를 통해 미리 저장된 영상통화 데이터를 착신자에게 전달한 후, 착신자의 응답에 따라서 다르게 분기되어 다음 단계의 영상통화 데이터를 보여줌으로써, 착신자에 대한 일련의 질문조사 및 상품광고를 체계적으로 자동으로 진행하는 영상통화 매크로 시스템 및 매크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로 기지국으로부터 전파의 수신범위가 미치는 곳이라면 어디서든 언제나 음성통화뿐만 아니라 영상통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기술발달과 함께, 이동통신단말 상에서 TV 시청, 원하는 영화, 동영상, 음악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화상회의 서비스, 원격 강의 등의 다양하고 향상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즉, 기존의 음성통화만 가능했던 이동통신단말이 단순한 인사, 안부, 소식, 용건 등을 전하는 기존의 일차적인 통화 서비스에 그쳤던 것과는 달리, 현재의 영상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로는 이동통신 사업자뿐만 아니라 이용자에게까지 고도의 부가가치를 창출해내고 있다.
한편,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텔레마케팅이나 원격조사를 할 경우를 살펴보면, 기존의 음성통화를 이용할 경우는 상품 정보의 전달 및 구매자의 선호도 조사에 있어서 제한이 많다. 즉, 상품의 영상이나 동영상 정보의 제공이 제한적이었으며, 상품을 설명하는 동안 착신 고객의 반응을 볼 수도 없다. 또한, 상품 설명 도중 해당 상품에 관련된 더욱 상세한 정보를 착신 고객이 요구할 경우에도 미디어의 제약 상 제공하지 못하거나 단순한 음성정보만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요청 고객들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였다. 그로 인해 성공적인 상품 구매로 이어지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해당 기술분야에서는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텔레마케팅이나 원격조사 등의 경우에 영상통화를 이용하여 더욱 정확한 정보전달을 통해 요청 고객들의 요구 또는 구매력을 향상시킬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동통신단말로의 텔레마케팅이나 원격조사 등의 경우 보다 상세하고 실감나는 정보 전달 및 조사가 가능하며, 착신 고객이 상세정보를 요청할 시에는 서버로부터 해당 상품들의 상세정보를 즉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결합시스템은 영상 입출력장치와 음성 입출력장치를 구비하여 영상통화가 가능하며, 영상통화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 이동통신단말; 영상 입출력장치와 음성 입출력장치를 구비하여 영상통화가 가능하며, 제1 이동통신단말로부터 발신된 영상통화 데이터를 전송받는 하나 이상의 제2 이동통신단말; 제1 이동통신단말의 요청에 따라 제2 이동통신단말의 번호를 등록하며, 제1 이동통신단말의 전송에 따라 트리구조로 각 단계별로 영상통화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한 뒤 제2 이동통신단말로 전달하고, 제1 이동통신단말에서 제2 이동통신단말로 전송된 각 단계별 착신자의 반응을 판단하여 집계하는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 가 포함된다.
상기 각 단계별 착신자의 반응은, 긍정 또는 부정의 의사표시가 될 수 있다.
상기 영상통화 매크로 시스템은, 유선망을 통해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에 접속하여 각 단계별 착신자의 반응과 집계를 조회하는 유선단말;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을 통해서도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에 접속하여 각 단계별 착신자의 반응과 집계를 조회할 수 있다.
상기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는, 상기 저장된 트리구조의 각 단계별 영상통화 데이터를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로 전달한 후, 각 단계별 착신자의 반응을 판단하여 다음 단계에 전송될 영상통화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는, 제1 이동통신단말로부터 발신된 영상통화 데이터를 전송받을 하나 이상의 제2 이동통신단말의 번호를 등록하는 등록 모듈; 제1 이동통신단말로부터 각 단계별 영상통화 데이터를 전송받아, 트리구조로 저장하는 매크로 모듈; 제1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영상통화 데이터를 수신받고, 제2 이동통신단말로 영상통화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전송 모듈; 데이터 전송 모듈에 따라 트리구조로 저장된 각 단계별 영상통화 데이터의 전송에 따른 각 단계별 착신자의 반응을 판단하고, 반응의 결과를 집계하는 판단 모듈;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리구조는, 상기 착신자의 반응을 미리 설정하여, 상기 반응에 따라 상기 트리구조의 1 단계에 저장된 영상통화 데이터에서 분기되어 저장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결합 방법은, 제1 이동통신단말, 제2 이동통신단말,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를 이용한 영상통 화 전달 방법에 있어서, 제1 이동통신단말과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 간에 영상통화 경로가 연결되어 제1 이동통신단말이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로 x 번째 (1≤ x ≤ n-1, n은 자연수) 영상통화 데이터를 전달하면,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가 x 번째 영상통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단계; 제1 이동통신단말이 저장된 x 번째 영상통화 데이터에서 분기될 영상통화 데이터인 x+1 번째 영상통화 데이터를 트리구조로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에 전달하면,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가 x+1 번째 영상통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단계; 제2 이동통신단말과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 간에 영상통화 경로가 연결되면,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가 저장된 x 번째 영상통화 데이터를 제2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는 제3 단계; 저장된 x 번째 영상통화 데이터에 대한 착신자의 반응에 따라, 트리구조로 저장된 x+1 번째 영상통화 데이터를 제2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통화 매크로 방법은 각 단계별 착신자의 반응을 판단하여 집계하는 제5 단계; 제2 이동통신단말 또는 유선단말이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에 접속하여 각 단계별 착신자의 반응과 집계를 조회하는 제6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신자의 반응은, 긍정 또는 부정의 의사표시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 또는 제2 단계는, 제1 이동통신단말이 영상통화 데이터를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에 저장하는 동시에, 각 단계에서 제1 이동통신단말의 요청시 전달될 상품의 상세정보 및 구매가 가능한 웹페이지의 메시지 또는 이미지를 상기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에 따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 또는 제4 단계는,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가 영상통화 데이터를 제2 이동통신단말에 전송하는 동시에, 각 단계에서 제2 이동통신단말의 요청시 전달될 상품의 상세정보 및 구매가 가능한 웹페이지의 메시지 또는 이미지를 제2 이동통신단말에 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트리구조는, 착신자의 반응을 미리 설정하여, 반응에 따라 저장된 첫 번째 영상통화 데이터에서 분기되어 저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영상통화 매크로 시스템 및 매크로 방법은 미리 저장된 영상통화 매크로의 영상통화 데이터를 착신 고객에게 보여줌으로써, 보다 상세하고 실감나는 정보 전달 및 조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착신 고객이 상세정보를 요청할 시에는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로부터 해당 상품들의 상세정보를 즉시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영상통화 매크로의 단계가 진행되면서, 제공되는 상품 및 각 단계의 영상통화 데이터를 보고 있는 착신 고객의 표정을 분석하여 저장한 후, 요청자에게 전달함으로써, 각 단계별 상품 및 영상통화 데이터에 대한 고객의 만족도 및 선호를 집계하여 요청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의미를 간략히 설명한다. 그러나 용어의 설명은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을 명시적으로 한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하의 용어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되는 것이 아님을 주의 해야 한다.
- 매크로 트리: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에 저장되는 하나의 단위를 말한다. 매크로 트리는 각 단계별로 영상통화 데이터를 저장한다. 매크로 트리의 단계는 본 발명에서 1부터 n(n은 자연수)까지 존재하며, 각 단계별로 분기된 영상통화 데이터를 저장한다.
- 영상통화 데이터: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말한다. 영상통화 채널은 비디오 채널, 오디오 채널, 데이터 채널로 구성된다. 비디오 채널은 영상 데이터를 전달하며, 오디오 채널은 음성 데이터를 전달하며, 데이터 채널은 메시지 및 이미지를 전달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매크로 시스템(1)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영상통화 매크로 시스템(1)은 제1 이동통신단말(100),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를 포함하는 통신망(200), 제2 이동통신단말(300), 유선 단말(400)을 포함한다.
제1 이동통신단말(100)은 영상 입출력장치와 음성 입출력장치가 구비됨으로 써, 영상통화가 가능한 단말기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영상 입출력장치는 일반적으로 입력에는 디지털 카메라가 쓰이며, 출력에는 LCD 화면이 쓰일 수 있다. 한편, 음성 입출력장치는 일반적으로 입력에는 레코더와 출력에는 스피커가 쓰일 수 있다. 제1 이동통신단말(100)은 제2 이동통신단말(200)의 번호로 영상통화를 발신하고,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와 세션을 연결한다. 세션이 연결된 후, 제1 이동통신단말(100)은 영상통화 데이터를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로 전송하여, 매크로 트리의 각 단계에 저장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착신 단말인 제2 이동통신단말(300)에 보여질 메시지 및 이미지도 저장할 수 있다. 메시지는 상품의 상세정보 및 구매가 가능한 웹페이지의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이미지는 착신 단말인 제2 이동통신단말(300)에서 영상통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기 전에 원하는 상품에 대한 개략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사진의 데이터 또는 영상통화 데이터가 시작되는 첫 프레임의 데이터일 수 있다.
통신망(200)은 이동통신망(210)과 인터넷망(250)으로 구성된다.
이동통신망(210)은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예로서, EVDO rA(Evolution Data Only revision A)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으며,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동통신망(210)은 제1, 제2 이동통신단말(100, 30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1, 제2 이동통신단말(100, 300)를 제어하고 통화 채널을 연결시켜 주는 기지국(212, 222)과, 여러 대의 기지국(212, 222)들을 관리하면서 교환기(216, 226)와 연동하는 기지국 제어기(214, 224)와, 이동통신망(210)의 핵심 망 요소로서, 음성 통화 및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어하고, 통화로를 설정하며, 여러 다른 장비들 및 외부 망과의 연결 기능을 제공하는 교환기(216, 226)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교환기는 발신 교환기(216), 착신 교환기(226)로 구성되며, 발신 교환기(216),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 착신 교환기(226)가 연결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이동통신망(210)이 EVDO rA 방식의 통신망이면, 기지국(212, 222), 기지국 제어기(214, 224), 및 교환기(216, 226)는 각각 BTS(Base station Tranceiver Subsystem), BSC(Base Station Controller) 및 동기식 MSC(Mobile Switching Center)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동통신망(210)이 WCDMA 방식의 통신망이면 기지국(212, 222), 기지국 제어기(214, 224), 및 교환기(216, 226)는 각각 노드 B(Node B),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및 비동기식 MSC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망(210)은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미도시)와, 방문자 위치 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 VLR)(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홈 위치 등록기(미도시)는 이동통신단말(100, 300)의 전화번호, 이동통신단말 가입자 혹은 이동통신단말(100, 300)의 식별번호, 인전 정보, 서비스 종류, 인증 정보 등의 고정 정보와 현재의 동적인 이동통신단말(100, 300)의 위치 정보(현재 위치한 곳의 VLR 주소, 교환기(216, 226)에 설치되거나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동통신단말(100, 300)은 전원을 켜는 순간부터 지속적으로 자신의 홈 위치 등록기(미도시)에게 자신의 현재 위치("어느 기지국(212, 222), 교환기(216, 226) 밑에 있다" 등)를 등록한다. 홈 위치 등록기(미도시)에 저장된 이동통신단말(100, 300)의 현재 위치 정보는 교환기(216, 226)에 의해 입수되고, 입수된 단말(100, 300)의 현재 위치 정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100, 300) 가입자에 대한 착신을 가능하게 한다. 방문자 위치 등록기(미도시)는 교환기(216, 226)의 관할 영역으로 들어오는 이동통신단말(100, 300)의 위치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며, 새로 획득한 이동통신단말기(100, 300)의 위치 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로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방문자 위치 등록기는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수신한 이동통신단말(100, 300)의 프로파일(Profile) 정보의 복사본을 넘겨받아 관리하면서, 이동통신단말기(100, 300)의 위치 제어, 호 처리, 부가 서비스 처리 등에 활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프로파일 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100, 300)의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ical Serial Number), 부가 서비스 정보 등을 말한다.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는 발신 교환기(216)과 착신 교환기(226)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는 제1 이동통신단말(100)로부터 영상통화 데이터를 전달받아 트리구조로 저장한다. 트리구조로 저장된 각 단계의 영상통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제2 이동통신단말(300)로 전송한 후, 각 단계별로 착신자의 반응을 판단한 후, 다음 단계의 영상통화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부가적으로, 각 단계별 착신자의 반응을 집계하여 통신망(200)을 통해 접속 가능한 단말들에게 결과를 전송해줄 수 있다. 따라서,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는 영상통화 매크로 시스템내에서 상품 판매자(제1 이동통신단말)과 상품 구매자(제2 이동통신단말)간의 물품의 판매 및 교환 등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의 주요 기능을 살펴본다. 첫째로, 제1 이동통신단말(100)로 착신자인 하나 이상의 제2 이동통신단말(300)의 번호를 등록한다.
둘째로, 제1 이동통신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매크로 트리의 1 단계부터 n(n은 자연수이다) 단계까지 영상통화 데이터를 저장한다.
셋째로, 매크로 트리의 1 단계에서 n 단계까지의 각 단계별로 착신자의 표정을 분석하여, 반응결과를 판별하고, 집계한 결과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긍정·부정의 여부를 판별하여 집계한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넷째로, 매크로 트리의 각 단계별의 영상통화 데이터를 제1 이동통신단말(100)로부터 전송받아, 제2 이동통신단말(300)로 전송한다. 한편,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과 기능 등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하기로 한다.
인터넷망(250)은 게이트웨이(이하, 'G/W' 라고 함.)(2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G/W(252)는 프로토콜 변환기의 하나이며, 이동통신망(210)과 프로토콜이 서로 다른 통신망인 인터넷망(250)과 접속하여 이동통신망(210)을 통해 무선으로 접속하는 이동통신단말(100, 300)과 인터넷망(250)을 통해 유선으로 접속하는 유선단말(4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제2 이동통신단말(300)은 제1 이동통신단말(100)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이런 제2 이동통신단말(300)은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에 저장된 번호에 해당하는 단말이다. 따라서, 제2 이동통신단말(300)은 제1 이동통신단말(100)로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에 n 단계까지 저장한 영상통화 데이터를 영상통화 매크로 서 버(218)를 거쳐 전달받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매크로 트리의 각 단계별로 저장된 영상통화 데이터와 함께 상기 메시지 및 이미지도 전달받음으로써, 상품정보확인 및 구매가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제2 이동통신단말(300)에서는 특정 버튼을 눌러 메시지 및 이미지의 요청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매크로 트리의 각 단계에 대한 긍정의 버튼은 단말의 1번 입력 버튼, 부정의 버튼은 단말의 2번 입력 버튼, 상품에 대한 메시지 및 이미지의 요청 버튼은 3번 입력 버튼일 수 있다. 한편, 제2 이동통신단말(300)은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이동통신단말(300)이 복수 개일 경우 동시에 영상통화 데이터를 전달받는다. 그러나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의 등록 모듈(218a)에 저장된 제2 이동통신단말(300)의 번호가 많아 동시에 모든 제2 이동통신단말(300)에 전달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는 제2 이동통신단말(300)은 영상통화 데이터를 복수의 제2 이동통신단말(300) 중 일부의 제2 이동통신단말(300)로 전송한 후, 다음 차례로 나머지 제2 이동통신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영상통화를 통해 기존의 음성전화로 행하던 텔레마케팅의 경우보다 상세하고 실감나는 정보 전달 및 조사가 가능하다. 또한, 착신 고객이 상세정보를 요청할 시에는 서버로부터 해당 상품들의 상세정보(메시지 및 이미지)를 즉시 제공된다.
유선 단말(400)은 유선으로 인터넷망(250)을 거쳐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에 접속함으로써, 단계별 착신자들의 답변 및 반응의 집계결과를 확인 가능하다. 유선 단말(400)은 개인 PC, 노트북등과 유선으로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을 모두 포함하는 총괄적인 개념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유선 단말(400)이 인터넷망을 통해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에 접속하여 영상통화 데이터를 매크리 트리의 1단계부터 n(n은 자연수이다) 단계까지 영상통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제1 이동통신단말(100)이 하는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 또한, 유선 단말(400)은 인터넷망을 통해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에 접속하여 영상통화 데이터를 단계별로 전송받을 수 있다. 즉, 전술한 제2 이동통신단말(300)이 하는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매크로 시스템(2)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즉, 도 1b는 IP망에서의 영상통화 매크로 시스템(2)을 나타낸다.
도 1a와 구성은 같으나, 이동통신망(210)내부에 IP망(210a)이 형성되어 있다. IP망(210a)은 데이터서비스노드(216a, 226a)를 포함한다.
IP망(210a)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을 의미한다. 또한, ALL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이동통신 망일 수 있다.
데이터서비스노드(216a, 226a)는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시스템으로, 패킷 라우팅 및 전송, 이동성관리, 논리적 링크 관리, 멀티미디어 세션 제어 등의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데이터서비스노드(216a, 226a)는 제1 이동통신단말(100)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받아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로 전달하고,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받아 제2 이동통신단말(30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도1a에서 설명한 영상통화 매크로 시스템(1)은 도 1b와 같은 IP망 을 기반으로 한 통신망에서도 당업자에 의해 변형 가능하다.
등록 모듈(218a)은 제1 이동통신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제2 이동통신단말(300)의 번호를 등록한다. 등록한 제2 이동통신단말(300)의 번호는 저장되기 위하여 후술할 제1 데이터베이스(218b)로 전송된다.
제1 데이터베이스(218b)는 등록 모듈(218a)에 등록된 제2 이동통신단말(300)의 번호를 전송받아 저장한다.
매크로 모듈(218c)은 제1 이동통신단말(100)의 요청과 전송에 따라 매크로 트리의 각 단계별(1 단계부터 n 단계)로 영상통화 데이터를 전달받아 트리구조로 등록하여 후술할 제2 데이터베이스(218d)로 전송한다. 또한, 매크로 모듈(218c)은 영상통화 데이터에 대한 트리구조로 등록함과 동시에 마지막 단계까지의 영상통화 데이터까지 저장한 것인지를 확인한다.
매크로 모듈(218c)의 제1 실시예로, 매크로 트리의 1 단계에서 저장된 영상통화 데이터에서 긍정 또는 부정의 두 갈래로 분기할 2 단계에 있어서, 각각 긍정과 부정에 대해 각각 2개의 영상통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에 대한 텔레마케팅의 경우에 상품인 일반 LCD 모니터에 대한 영상통화 데이터를 영상 채널과 음성 채널로 저장함과 동시에, "1->2 단계에 대한 질문: 피벗 가능 모니터를 보시겠습니까?"라는 질문을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긍정의 답변의 경우에는 피벗 가능한 LCD 모니터에 대한 영상통화 데이터를 영상 채널과 음성 채널로 저장함과 동시에, "2->3 단계에 대한 질문: 명암비가 1000:1 이상인 모니터를 보시겠습니까?"라는 질문을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부정의 답변의 경우에도 피벗이 가능하지 않은 LCD 모니터에 대한 영상통화 데이터를 영상 채널과 음성 채널로 저장함과 동시에, 긍정의 답변의 경우와 같은 질문인 "2->3 단계에 대한 질문: 명암비가 1000:1 이상인 모니터를 보시겠습니까?"라는 질문을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n 단계까지 분기될 영상통화 데이터와 질문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n 단계에 저장된 영상통화 데이터의 누적수는 "2n-1"이다.
매크로 모듈(218b)의 제2 실시예로, 매크로 트리의 1 단계에서 저장된 영상통화 데이터에 대한 부정의 선택을 할 경우에만 분기할 매크로 트리의 2 단계의 영상통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에 대한 영상통화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시에, "본 상품에 대한 구매를 원하십니까?"라는 질문을 함께 등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긍정의 답변의 경우에는 상품에 대한 구매가 완료된다. 한편 이에 대한 부정의 답변의 경우에는 다른 종류의 모니터에 영상통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시에, 같은 질문인 "본 상품에 대한 구매를 원하십니까?"라는 질문을 함께 등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n 단계까지 분기될 영상통화 데이터와 질문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n 단계에 저장된 영상통화 데이터의 누적수는 "n"이다.
매크로 모듈(218c)의 제3 실시예로, 매크로 트리의 1 단계에서 저장된 영상통화 데이터에서 분기할 2 단계의 영상통화 데이터는 1번부터 m(m은 자연수이다)번까지로 분기하는 방식에 의할 수도 있다. 즉, 1 단계의 영상통화 데이터에선 기본 제품에 대한 정보를 담은 영상통화 데이터를 제공하고 2 단계에선 제품의 제1 옵션에 대한 정보를 담을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1 단계부터 n 단계까지의 영상통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영상통화데이터와 함께 1 단계에서는 '본 상품(예: 자동차)에 대한 구매를 원하십니까?"라는 질문을 함께 등록할 수 있으며, 부정의 경우에는 상품에 구매를 안 하는 것으로 완료된다. 한편, 긍정의 경우에는 본 상품에 대한 물품의 옵션(예: 네비게이션 장치)에 대한 1부터 m에 대한 영상통화 데이터를 저장함과 동시에 "어떤 옵션을 선택하시겠습니까"라는 질문을 함께 등록할 수 있다. 다음 단계에선, 선택된 옵션에 대한 보다 세분화된 옵션(예: DMB 기능)을 상기 옵션 선택 긍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공되는 방식으로 매크로 트리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3가지 예들은 n 단계까지 저장된 매크로 트리를 하나의 객체로 보면, 상기 객체는 매크로 번호를 설정하여 다수의 개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데이터베이스(218d)는 제1 이동통신단말(100)로부터 전달받은 영상통화 데이터를 매크로 모듈(218c)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한다.
데이터 전송 모듈(218e)은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과 제1, 제2 이동통신단말(100, 300) 간의 영상통화를 위한 세션을 연결한다. 또한, 데이터 전송 모듈(218e)은 제1, 제2 이동통신단말(100)과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 사이의 영상통화 데이터의 수신 및 송신을 수행한다. 또한, 유선 단말(400)이 유선망인 인터넷망(250)을 거쳐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로 세션을 연결되면, 데이터 전송 모듈(218e)은 매크로 트리의 각 단계별(1 단계부터 n 단계까지) 착신자들의 답변 및 반응의 집계결과를 유선 단말(400)의 요청에 따라 유선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판단 모듈(218f)은 제1 이동통신단말(100)에서 제2 이동통신단말(300)로 전송된 영상통화 데이터에 따른 매크로 트리의 각 단계별 착신자의 반응을 판단하고 집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착신자의 반응은 매크로 트리의 각 단계에 대한 긍정 또는 부정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때, 긍정 또는 부정의 판별은 감독관이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를 감시하는 수동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는, 각 화상을 추출하여 입꼬리와 눈초리의 변화상태 등의 변화상태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작성된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긍정 또는 부정을 판단할 수도 있다. 판단 모듈(218f)에 의해 각 단계별 상품 및 영상통화 데이터에 대한 고객의 만족도 및 선호를 집계하여 요청자에게 알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판단 모듈(218d218f)은 제1 이동통신단말(100)에 의해 매크로 트리의 각 단계가 영상통화 데이터가 마지막임을 표시할 수 있는데, 요청에 따라 영상통화 데이터의 저장이 끝임을 인식하게 된다. 판단 모듈(218f)이 저장이 끝임을 인식하면, 데이터 전송 모듈(218b)로 더 이상 제1 이동통신단말(100)로부터 영상통화 데이터를 받지 않도록 요청하며, 매크로 모듈(218c)로 더 이상 매크로 트리의 단계를 생성하지 않도록 요청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매크로 방법을 나타내는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이동통신단말(100)이 보내준 영상통화 데이터를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의 매크로 트리의 1 단계에 저장한다(S301). 제1 이동통 신단말(100)은 매크로 트리로 영상통화 데이터를 저장하기 전에, 미리 제1 이동통신단말(100)은 제2 이동통신단말(300)의 번호로 영상통화를 발신하고,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와 영상통화를 위한 세션을 연결한다. 한편, 영상통화 발신시 매크로 트리의 번호도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에, 제1 이동통신단말(100)의 송신에 의해 영상통화 데이터가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에 저장된다.
제1 이동통신단말(100)을 이용하여 1 단계 이후 매크로 트리의 각 단계(2 단계에서 n 단계까지)에서 저장될 유형을 선택한다(S302). 저장될 유형은 긍정 또는 부정에 따라 분기될 수 있으며, 각 단계마다 1부터 m까지의 옵션으로 분기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2의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 중 매크로 모듈(218c)의 실시예로 설명한 것들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했으므로 생략한다.
한편, 선택된 유형에 따라 매크로 트리의 2 단계부터 n 단계까지 진행하면서 영상통화 데이터를 저장한다(S303).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는 매크로 트리에 현재 저장된 영상통화 데이터의 상태를 제1 이동통신단말(100)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도 6a 참조). 이때,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는 영상 채널 또는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제1 이동통신단말(100)로 현재 저장된 영상통화 데이터의 상태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매크로 트리의 각 단계에 대한 입력이 진행함에 따라,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는 제1 이동통신단말(100)로 n 단계까지 확장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제1 이동통신단말(100)을 통해 1 단계부터 저장이 완료되는 단 계까지의 영상통화 데이터를 저장한 것을, 하나의 매크로 번호로 지정하는 방식에 의해 다수 개의 매크로 트리를 저장할 수 있다.
매크로 트리에 저장이 완료되면,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는 제2 이동통신단말(300)로 영상통화 착신을 통해 세션을 연결한다(S304).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는 매크로 트리의 1 단계에 저장된 영상통화 데이터를 전송한다(S305).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는 매크로 트리의 1단계에 저장된 영상통화 데이터 전송에 따른 착신자의 얼굴 표정을 분석한다(S306). 얼굴 표정 분석 결과에 따라, 다음 단계의 영상통화 데이터를 선택하여 전달할 준비를 한다. 한편, 착신자의 얼굴 표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는 제2 이동통신단말(300)로부터 영상 채널 및 음성 채널을 통해 영상통화 데이터를 전달받는다. 이후,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의 판단 모듈(218f)은 전달된 영상통화 데이터를 기초로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착신자가 웃는 표정인 눈과 입 주변의 움직임을 통해 1 단계에서 전달된 상품에 대해 만족함을 인식할 수 있다. 반대로, 착신자가 찡그린 표정으로 눈과 입 주변의 움직임이 변하면 상품에 대한 불만족을 나타내는 방식에 의해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판단은 기계화된 모듈 또는 인간의 수작업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상기 준비가 되면 착신자인 제2 이동통신단말(300)로 2 단계의 영상통화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전송에 따른 착신 가입자의 얼굴 표정을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대한 집계를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n 단계까지 영상통화 데이터를 전송하 고, 전송에 따른 착신 가입자의 얼굴 표정을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대한 집계를 한다(S307, S308) 한편, n 단계 이전이라도 착신자의 표정이 분석을 통해 상기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조건이 만족되면 프로세스는 n 단계 전에 종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품에 대한 만족을 나타내면 상품 구매단계로 진행하는 프로세스에 있어서는 매크로 트리의 각 단계마다 상품에 대해 긍정(웃는 표정)의 의사표시가 전달되면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한편, 영상통화 매크로의 단계가 진행되면서,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는 제공되는 상품에 대한 각 단계의 영상통화 데이터를 보고 있는 착신자의 표정을 분석하여 저장한 후, 요청자인 제2 이동통신단말의 착신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는 유선 단말(400)의 요청에 의해서도 유선 단말(4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각 단계별 상품에 대한 고객의 만족도 및 선호도를 자동으로 집계하여 결과를 알려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매크로 등록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이동통신단말(100)이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로 영상통화 데이터를 전송할 제2 이동통신단말(300)의 번호를 등록한다(S401). 구체적으로는, 제1 이동통신단말(100)을 이용하여 제2 이동통신단말의 번호로 영상통화를 위한 발신을 함으로써, 미리 저장된 영상통화 데이터를 전송받을 하나 이상의 제2 이동통신단말(300)의 번호를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에 등록한다. 상기 등록시, 제2 이동통신단말(300)이 하나일 경우에는 영상통화 발신시 "제2 이동통신단말의 번호+#+ 등록할 매크로 번호"로 영상통화를 발신할 수 있다. 한편, 제2 이동 통신단말(300)이 두 개 이상일 경우에는 제1 이동통신단말(100)을 통해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에 접속하여 제2 이동통신단말(300)들과 그룹번호를 사전에 등록한다. 따라서, 제2 이동통신단말(300)이 두 개 이상일 경우 "그룹번호+#+매크로 번호"로 영상통화를 발신할 수 있다.
제1 이동통신단말(100)이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로 1 단계에 저장될 데이터를 영상통화 경로로 전달하여 저장한다(S402).
제1 이동통신단말의 특정버튼을 선택하여, 1 단계 이후의 각 단계(2 단계에서 n 단계까지) 진행시 유형을 선택한다(S403). 상기 저장할 유형은 긍정 또는 부정이 될 수 있고, 1부터 m까지 분기될 수 있다. 유형에 대한 설명은 상기에서 설명하였는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도 2 참조).
상기 선택된 단계 진행시 유형에 따라 2 단계부터 n 단계까지 데이터를 저장한다(S404).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는 상기 저장이 끝까지 저장되었는가를 판단한다(S405). 이런 판단은 제1 이동통신단말(100)의 발신 사용자가 영상통화 데이터가 마지막임을 표시할 수 있는 미리 지정된 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에 의할 수 있다. 또한, 수동적인 판단이 아닌, 미리 매크로 트리의 구조를 정하여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 내에 프로그램화함으로써,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의 매크로 모듈(218c)이 스스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판단결과, 영상통화 데이터 저장이 완료되지 않았거나, 잘못 저장된 경우에는 S404 단계로 돌아가서 영상통화 데이터를 추가로 저장하거나, 처음부터 다 시 저장할 수 있다(S406).
한편, 상기 판단 결과, 저장한 단계가 최종 단계인 경우는 영상통화 매크로 번호 지정 및 저장이 완료된다(S407).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매크로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에서 설명한 매크로 모듈(218b)의 제1 실시예를 기준으로, 도 5a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제1 이동통신단말(100)은 제2 이동통신단말(300)의 번호로 영상통화를 발신하는 방식으로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와 세션을 연결한다(S501). 구체적인 예로는, 제2 이동통신단말(200)이 하나일 경우에는 "제2 이동통신단말(200)의 번호+#+매크로 번호"로 영상통화를 발신한다. 한편, 제2 이동통신단말(200)이 2개 이상의 복수가 영상통화를 착신할 경우에는 "그룹번호+#+매크로 번호"로 영상통화를 발신한다. 상기 그룹번호는 사전에 무선데이터 통신으로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에 접속하여 등록해둔 제2 이동통신단말 번호들의 집합이다. 한편, 상기 매크로 번호는 제1 이동통신단말(100)을 통해 1 단계부터 n(n은 자연수) 단계까지의 영상통화 데이터를 저장한 하나의 객체에 대한 일련의 번호가 될 수 있다. 여기서 n 단계는 영상통화 데이터가 최종적으로 저장된 마지막 단계를 나타낸다.
상기 연결된 경로로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는 상기 지정된 매크로 번호의 매크로 트리에 1 단계에 해당하는 영상통화 데이터를 전송한다(S502). 즉, 제1 이동통신단말(100)이 영상통화를 발신하는 방식에 의해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에 저장한 매크로 트리의 1 단계에 해당하는 영상통화 데이터가 제2 이동통신단 말(300)로 전송된다.
매크로 트리의 1 단계에 해당하는 영상통화 데이터의 전송에 의해 제2 이동통신단말(300)의 착신자의 반응을 판단한다(S503). 예를 들어, 매크로 트리의 1 단계에 해당하는 영상통화 데이터가 제2 이동통신단말(300)로 전송되면,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는 제2 이동통신단말(300)로부터 착신자의 얼굴 표정을 전송받아 분석하여, 전송된 영상통화 데이터에 해당되는 상품에 대한 긍정 또는 부정을 의사를 판단한다. 상기 착신자의 반응은 제2 이동통신단말의 영상입력장치인 디지털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기초로 판단된다. 즉,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f)의 판단 모듈(218(d)f)에서 착신자의 얼굴 표정에 대해 분석과 판단이 이루어진다.
판단에 따라 긍정과 부정의 경우로 분기하여 해당되는 상품에 대한 영상통화 데이터가 전송된다(S504). 상기 영상통화 데이터 전송, 착신자의 얼굴 분석 및 분석에 따른 판단 및 집계가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에서 이루어지며, 이런 과정은 n 단계까지 계속될 수 있다. 여기서 n 단계는 영상통화 데이터가 최종적으로 저장된 마지막 단계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영상통화 매크로의 단계가 진행되면서, 제공되는 상품 및 각 단계의 영상통화 데이터를 보고 있는 착신 고객의 표정을 분석하여 저장한 후, 요청자에게 전달함으로써, 각 단계별 상품 및 영상통화 데이터에 대한 고객의 만족도 및 선호도를 자동으로 집계하여 결과를 알려준다.
한편, 도 2에서 설명한 매크로 모듈(218c)의 제3 실시예를 기준으로, 도 5b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S511에서 S512까지의 과정은 상기 도 5a의 S501에서 S502과 같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가 상기 지정된 매크로 번호의 매크로 트리에 1 단계에 해당하는 영상통화 데이터를 전송하면, 제1 이동통신단말(100)이 매크로 트리의 1 단계에 해당하는 영상통화 데이터의 전송에 의해 제2 이동통신단말(300)의 착신자의 반응을 판단한다(S513). 예를 들어, 매크로 트리의 1 단계에 해당하는 영상통화 데이터가 제2 이동통신단말(300)로 전송되면,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는 제2 이동통신단말(300)로부터 착신자의 얼굴 표정을 전송받아 분석하여, 전송된 영상통화 데이터에 해당되는 상품에 대한 긍정 또는 부정을 의사를 판단한다. 착신자의 반응은 제2 이동통신단말의 영상입력장치인 디지털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기초로 판단된다. 즉,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의 판단 모듈(218f)에서 착신자의 얼굴 표정에 대해 분석과 판단이 이루어진다. 판단 모듈(218f)판단에 따라 부정의 경우에는 상품을 구매하지 않는 것으로 과정이 종료된다. 한편, 판단에 따라 긍정의 경우에는 매크로 트리의 2 단계에 해당하는 제1 옵션에 대한 각 상품(1부터 m번까지, m은 자연수)으로 분기하여 해당되는 상품에 대한 영상통화 데이터가 제2 이동통신단말(300)로 전송된다(S514). 도면과 같이, 제1 옵션의 1부터 시작해서 제1 옵션의 m(m은 자연수)번째까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1 옵션에 대한 선택까지만 하고 상기 과정이 종료될 수 있다. 한편, 도 5b와 같이, 제1 옵션의 1에 대한 선택의 경우에는 매크로 트리의 3 단계에 해당하는 제2 옵션에 대한 각 상품(1부터 m번까지, m은 자연수)으로 분기하여 해당되는 상품에 대한 영상통화 데이터가 전송된다(S515). 도 5b에서는 제1 옵션의 1에 대한 선택의 경우에만 분기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제1 옵션의 각각(제1 옵션의 2에서 m까지, m 은 자연수)에 대해서도 S514 단계에서 선택할 경우에도 제1 옵션의 1에 대한 선택의 경우와 같이 분기될 수 있다. 영상통화 데이터 전송, 착신자의 얼굴 분석 및 분석에 따른 판단 및 집계는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에서 이루어지며, 이런 과정은 n(n은 자연수) 단계까지 계속될 수 있다. 여기서 n 단계는 영상통화 데이터가 최종적으로 저장된 마지막 단계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영상통화 매크로의 단계가 진행되면서, 제공되는 상품 및 각 단계의 영상통화 데이터를 보고 있는 착신 고객의 표정을 분석하여 저장한 후, 요청자에게 전달함으로써, 각 단계별 상품 및 영상통화 데이터에 대한 고객의 만족도 및 선호도를 자동으로 집계하여 결과를 알려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매크로 시스템(1) 및 매크로 방법에서 제1 이동통신단말(100) 및 제2 이동통신단말(300)에 서비스가 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매크로 트리 등록시에 서비스가 제공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b는 매크로 트리 사용시 서비스가 제공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설명한 매크로 모듈(218b)의 제1 실시예를 기준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6a를 참조하면, 매크로 트리의 1 단계에는 해당 상품인 모니터에 대해 지정하여, 영상통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매크로 트리의 1 단계에서 2 단계로 넘어가는 질문에는 "1-> 2단계: 피벗 가능 모니터를 보시겠습니까?"라는 질문을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질문에 대한 긍정(YES) 또는 부정(NO)의 단 계로 나눠 2개로 분기되는 영상통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긍정(YES)를 선택하면 피벗 가능한 모니터가 제시되며 다음 단계가 진행되며, 부정(NO)을 선택하면 피벗 기능이 없는 모니터가 제시되면서 다른 다음 단계가 진행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매크로 트리의 3단계에는 긍정(YES), 부정(NO)에 따라 각각 2개씩 다시 분기하며, 매크로 트리 저장 과정은 n 단계까지 계속될 수 있다.
한편, 제1 이동통신단말(100)의 사용자가 영상통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입력 측면에서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제1 이동통신단말(100)의 입력버튼(120)을 이용하여 저장 명령을 실행하도록 모듈화시킬 수 있다. 즉,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에 접속하여 초기화면을 전송받고, 입력버튼(120) 중 '*'를 누름으로써 매크로 트리의 1단계 영상통화 데이터의 저장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다음 단계로 제1 이동통신단말(100)의 사용자가 입력버튼부(110) 중 '1'을 누름으로써, 착신자의 반응 중 YES에 대한 영상통화 데이터의 저장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이동통신단말(110)의 사용자가 입력버튼부(110) 중 '2'을 누름으로써, 착신자의 반응 중 NO에 대한 영상통화 데이터의 저장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제1 이동통신단말(110)의 사용자는 매크로 트리로의 저장을 계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매크로 트리 사용시 서비스가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로부터 제2 이동통신단말(300)로 제공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제 2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가 등록된 매크로 트리를 사용하여 텔레마케팅이나 원격조사시의 화면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매크로 트리의 1 단계에 저장된 일 반적인 모니터에 해당하는 영상통화 데이터가 제시되며, 제2 이동통신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310) 하단에는 피벗 가능 모니터를 보시겠습니까?(YES/NO)라는 질문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때, 긍정(YES) 또는 부정(NO)에 따라 각각 등록된 영상통화 데이터가 분기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한편, 제2 이동통신단말(300)의 사용자가 영상통화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 측면에서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218)에 접속하여 초기화면을 전송받고, 입력버튼(120) 중 '#'를 누름으로써 매크로 트리의 1단계 영상통화 데이터의 전송받을 수 있다. 다음 단계로 제2 이동통신단말(300)의 사용자가 입력버튼부(310) 중 '1'을 누름으로써, 착신자의 반응 중 YES에 대한 영상통화 데이터의 전송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제2 이동통신단말(300)의 사용자가 입력버튼부(310) 중 '2'을 누름으로써, 착신자의 반응 중 NO에 대한 영상통화 데이터의 전송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제2 이동통신단말(300)의 사용자는 매크로 트리로의 전송을 계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양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기존의 음성통화에서 이루어지던 텔레마케팅이나 원격조사 등이 영상통화에서도 가능하도록 된다. 이에 의해, 이동통신 사업체로서는 고품질의 부가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보다 상세하고 실감나는 정보 전달 및 상품들의 상세정보를 즉시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유용하고 실용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매크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매크로 방법을 나타내는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매크로 등록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매크로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매크로 시스템 및 매크로 방법에서 제1 이동통신단말 및 제2 이동통신단말에 서비스가 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1 이동통신단말 110: 제1 이동통신단말의 입력버튼부
200: 통신망 210: 이동통신망
216: 발신 교환기 226: 착신 교환기
250: 인터넷망 252: 게이트웨이
300: 제2 이동통신단말 310: 제2 이동통신단말의 입력버튼부

Claims (12)

  1. 영상 입출력장치와 음성 입출력장치를 구비하여 영상통화가 가능하며, 영상통화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 이동통신단말;
    영상 입출력장치와 음성 입출력장치를 구비하여 영상통화가 가능하며,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로부터 발신된 상기 영상통화 데이터를 전송받는 하나 이상의 제2 이동통신단말; 및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의 번호를 등록하며,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의 전송에 따라 트리구조로 각 단계별로 영상통화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한 뒤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에서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로 전송된 각 단계별 착신자의 반응을 판단하여 집계하는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트리구조는,
    상기 착신자의 반응을 미리 설정하여, 상기 반응에 따라 기 저장된 영상통화 데이터에서 분기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매크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계별 착신자의 반응은,
    긍정 또는 부정의 의사표시가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매크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유선망을 통해 상기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에 접속하여 각 단계별 착신자의 반응과 집계를 조회하는 유선단말;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을 통해서도 상기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에 접속하여 각 단계별 착신자의 반응과 집계를 조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매크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는,
    상기 저장된 트리구조의 각 단계별 영상통화 데이터를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로 전달한 후, 각 단계별 착신자의 반응을 판단하여 다음 단계에 전송될 영상통화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매크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는,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로부터 발신된 상기 영상통화 데이터를 전송받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의 번호를 등록하는 등록 모듈;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로부터 각 단계별 영상통화 데이터를 전송받아, 트리구조로 저장하는 매크로 모듈;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상기 영상통화 데이터를 수신받고,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로 영상통화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전송 모듈;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모듈에 따라 상기 트리구조로 저장된 각 단계별 영상통화 데이터의 전송에 따른 각 단계별 착신자의 반응을 판단하고, 반응의 결과를 집계하는 판단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매크로 시스템.
  6. 삭제
  7. 제1 이동통신단말, 제2 이동통신단말,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를 이용한 영상통화 전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과 상기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 간에 영상통화 경로가 연결되어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로 x 번째 (1≤ x ≤ n-1, n은 자연수) 영상통화 데이터를 전달하면, 상기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가 상기 x 번째 영상통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저장된 x 번째 영상통화 데이터에서 분기될 영상통화 데이터인 x+1 번째 영상통화 데이터를 트리구조로 상기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에 전달하면, 상기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가 상기 x+1 번째 영상통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과 상기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 간에 영상통화 경로가 연결되면, 상기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가 상기 저장된 x 번째 영상통화 데이터를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저장된 x 번째 영상통화 데이터에 대한 착신자의 반응에 따라, 상기 트리구조로 상기 저장된 x+1 번째 영상통화 데이터를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로 전송 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매크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및 제4 단계의 수행 후 x 및 x+1 번째 영상 통화 데이터에 대한 착신자의 반응을 판단하여 집계하는 제5 단계;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 또는 유선단말이 상기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착신자의 반응과 집계를 조회하는 제6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매크로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자의 반응은,
    긍정 또는 부정의 의사표시가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매크로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또는 제2 단계는,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이 영상통화 데이터를 상기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에 저장하는 동시에, 각 단계에서 상기 제1 이동통신단말의 요청시 전달될 상품의 상세정보 및 구매가 가능한 웹페이지의 메시지 또는 이미지를 상기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에 따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매크로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또는 제4 단계는,
    상기 영상통화 매크로 서버가 영상통화 데이터를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에 전송하는 동시에, 각 단계에서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의 요청시 전달될 상품의 상세정보 및 구매가 가능한 웹페이지의 메시지 또는 이미지를 상기 제2 이동통신단말에 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 매크로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구조는,
    상기 착신자의 반응을 미리 설정하여, 상기 반응에 따라 기 저장된 첫 번째 영상통화 데이터에서 분기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매크로 방법.
KR1020080000436A 2008-01-02 2008-01-02 영상통화 매크로 시스템 및 매크로 방법 KR101104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436A KR101104157B1 (ko) 2008-01-02 2008-01-02 영상통화 매크로 시스템 및 매크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436A KR101104157B1 (ko) 2008-01-02 2008-01-02 영상통화 매크로 시스템 및 매크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4598A KR20090074598A (ko) 2009-07-07
KR101104157B1 true KR101104157B1 (ko) 2012-01-16

Family

ID=41331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0436A KR101104157B1 (ko) 2008-01-02 2008-01-02 영상통화 매크로 시스템 및 매크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1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592B1 (ko) * 2019-04-11 2020-02-21 주식회사 아바트립 원격 대리 업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2601A (ja) * 2002-09-20 2004-04-08 Canon Inc Tv電話を用いた広告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2601A (ja) * 2002-09-20 2004-04-08 Canon Inc Tv電話を用いた広告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4598A (ko) 2009-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1900B1 (ko) 화상 통화를 위한 감정표현 애니메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
CN100373851C (zh) 通信方法、通信服务器装置、通信终端设备和通信系统
KR100605623B1 (ko) 이동단말기의 영상통화 선택방법
RU2554564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коммерческой связи
KR101104157B1 (ko) 영상통화 매크로 시스템 및 매크로 방법
CN114760490B (zh) 视频流处理方法及装置
US9942408B2 (en) Conference management system, conference management device, wireless terminal, conference management method, and conference management program
KR101522183B1 (ko) 컨텐츠 공유서비스 이용에 따른 화상통화 해상도 변경 방법 및 시스템
KR100484074B1 (ko)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CN112804402A (zh) 一种视频彩铃显示方法及装置
KR100854406B1 (ko) 영상 통화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JP4835490B2 (ja) コールセンタサーバ
KR100811700B1 (ko) 음성통화중 영상블로그 서비스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 실행방법
KR100797373B1 (ko) 화상 통화에서의 영상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장치
CA2958657C (en) Conference management system, conference management device, wireless terminal, conference management method, and conference management program
US20070172043A1 (en) Ultimedia conference system
KR100689460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방식의 이동통신망에서 패킷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한 설문조사방법
KR100629143B1 (ko) 무선 통신망을 통한 마케팅정보 서비스 방법
KR20000037103A (ko) 인터넷과 화상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광고 방법
KR101306816B1 (ko) 방송 참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149707B1 (ko) 무선 통신망을 통한 농수산물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KR101230923B1 (ko) 동영상 데이터 결합 시스템 및 방법
KR100554373B1 (ko) 음성문자 통합 자동응답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0892749B1 (ko) 영상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60370A (ko) 화상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광고와 무료통화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