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704B1 -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 동적 할당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 동적 할당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704B1
KR101103704B1 KR1020090099858A KR20090099858A KR101103704B1 KR 101103704 B1 KR101103704 B1 KR 101103704B1 KR 1020090099858 A KR1020090099858 A KR 1020090099858A KR 20090099858 A KR20090099858 A KR 20090099858A KR 101103704 B1 KR101103704 B1 KR 101103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wireless terminal
transmission
transmission stat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2969A (ko
Inventor
김윤식
정진수
이성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099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704B1/ko
Publication of KR20110042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무선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단말의 전파 환경을 기준으로 무선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 동적 할당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 전송의 대상인 무선 단말의 전파수신환경을 판단하는 전파수신환경 판단부, 상기 판단된 전파수신환경이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양호한 경우 상기 무선 단말의 전송 상태를 집중 전송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판단된 전파수신환경이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열악한 경우 상기 무선 단말의 전송 상태를 일반 전송 상태로 설정하는 전송 상태 설정부 및 상기 집중 전송의 대상인 무선 단말에 상기 집중 전송 상태에 대응하는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무선 자원 할당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중 전송 상태에 할당된 무선 자원은 상기 일반 전송 상태에 할당된 무선 자원보다 큰 것일 수 있다.
무선 자원, 할당, 전파 수신 환경

Description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 동적 할당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DYNAMICAL ALLOCATING RADIO RESOURCE FOR DATA TRANSMISSION}
본 발명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무선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단말의 전파 환경을 기준으로 무선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선 단말에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는 제한된 채널만을 전송하였기 때문에 무선 자원의 효율적 사용의 여지가 없었다. 그러나, 최근 모바일 아이피티브이 등 사용자가 선택한 다양한 컨텐츠를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가 증가함에 따라 무선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 사이의 전파 환경이 좋을수록 보다 적은 데이터로 적은 자원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이 보다 양호한 전파 수신 환경에 위치할 때 또는 통신망의 부하가 낮을 때 데이터를 집중적으로 전송하면, 동일한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무 선 자원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많은 사용자에게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에서 동일한 전송 파워(transmission), 채널 대역(channel bandwidth) 및 전송 시간을 갖는 채널의 경우 통신 시스템의 측면에서 동일한 자원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파 신호 환경이 우수하다면 64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을 사용하여 하나의 신호에 6 비트(bit)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나, 전파 신호 환경이 열악하다면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를 사용하여 하나의 신호에 1 비트(bit)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파 신호 환경이 매우 열악한 경우, 1 비트의 정보를 산포(spreading) 또는 반복(repetition)하여 전송하므로, 신호 환경이 매우 열악한 경우에 하나의 신호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의 양은 신호 환경이 우수한 경우에 비하여 12배 내지 24배 이상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위하여 보다 양호한 신호 환경에 있는 무선 단말에 자원을 보다 많이 할당하여 통신 시스템의 측면에서 보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신속하게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종래의 기술은 무선자원이 부족하여 과부하인 경우 무선 자원을 추가로 할당하고, 방송요청이 지속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우선순위에 따라 방송주기를 증가/감소시켜 과부하를 제어하는 구성을 통해 무선 자원 및 방송 주기 조절하여 셀 방송 서비스 중에 발생되는 과부하 상태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거나, 특정 단말에 대한 대역폭의 추가 할당이 필요한지 여부를 검사한 후 기본 주파수 대역 이외의 별도의 주파수 대역의 자원을 추가로 할당하여 단말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적응적으로 조절하고,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같은 데이터를 적재하여 다이버시티 효과를 내며 별도의 주파수 대역을 공용으로 사용하여 방송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대역폭을 낭비하는지 여부 및 패킷손실확률을 기준으로 대역폭을 적응적으로 할당하고 대역폭을 조절하여 제어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시스템의 성능과 사용자가 요구하는 통신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거나, 송수신 유닛의 그룹에 무선 자원을 할당하고 송수신 유닛에 무선 자원할당을 시그널링하는 구성 및 음성레벨상태에 기초하여 할당된 무선 자원을 조절하여 사용자 실시간 서비스들을 그룹화하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전파 환경에 따라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이 상이함을 이용하여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파 수신 환경을 기준으로 많은 양의 무선 자원을 소수의 무선 자원에 할당함으로써, 데이터 전송률이 높은 무선 단말에 무선 자원을 보다 많이 할당하여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상기 데이터 전송의 대상인 무선 단말의 전파수신환경을 판단하는 전파수신환경 판단부, 상기 판단된 전파수신환경이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양호한 경우 상기 무선 단말의 전송 상태를 집중 전송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판단된 전파수신환경이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열악한 경우 상기 무선 단말의 전송 상태를 일반 전송 상태로 설정하는 전송 상태 설정부 및 상기 집중 전송의 대상인 무선 단말에 상기 집중 전송 상태에 대응하는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무선 자원 할당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중 전송 상태에 할당된 무선 자원은 상기 일반 전송 상태에 할당된 무선 자원보다 큰 것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 동적 할당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서, 상기 전송 상태 설정부는 동일한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의 전파수신환경을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한 전송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서, 상기 무선 단말의 전파수신환경의 상태가 동일한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의 전파수신환경의 상태와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이하인 경우, 상기 전송 상태 설정부는 상기 무선 단말의 전송 상태를 일반 전송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커버리지(coverage) 내의 무선 단말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의 전파 수신 환경 및 상기 커버리지 내의 하나 이상의 다른 무선 단말의 전파 수신 환경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단말의 전파 수신 환경의 레벨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 데이터의 집중 전송을 위한 미리 설정된 무선 자원을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의 집중 전송을 위한 미리 설정된 무선 자원은 상기 무선 단말의 전파 수신 환경의 레벨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에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되는 무선 자원보다 큰 것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 동적 할당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전파 수신 환경이 일정 레벨 이상인 무선 단말에 대하여 집중 전송 상태에 대응하는 무선 자원을 할당하여 데이터를 집중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전송률을 향상시켜, 많은 양의 데이터를 보다 짧은 시간 이내에 전송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 동적 할당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S105)에서, 기지국의 커버리지(coverage) 내에 위치한 무선 단말을 감지한다. 무선 단말은 다른 커버리지에서 현재 기지국의 커버리지로 이동하거나 또는 현재 커버리지에서 전원을 온(on)하여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게 되므로, 이처럼 무선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무선 단말을 감지할 수 있다.
단계(S110)에서는, 단계(S105)에서 감지된 무선 단말의 전송 상태를 대기 상 태로 설정한다. 대기 상태로 설정된 무선 단말은 무선 단말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 데이터 등의 요청 신호 등 기본적인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거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자원만을 할당받는다.
단계(S115)에서, 단계(S110)에서 대기 상태로 설정된 무선 단말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한다. 전송 요청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는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의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며, 전송 방식은 스트림(stream)의 버퍼링(buffering)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20)에서는, 단계(S115)에서 수신한 데이터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무선 단말의 전송 상태를 일반 전송 상태로 설정한다. 일반 전송 상태로 설정된 무선 단말은 요청된 데이터를 전송받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무선 자원만을 할당받는다. 일반 전송 상태에서 할당되는 기본 무선 자원의 크기는 무선 단말이 제공받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이 VOD(video on demand) 서비스를 위해 동영상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동영상 컨텐츠가 끊기지 않고 재생될 정도의 무선 자원이 일반 전송 상태로 설정된 무선 단말에 할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S120)에서, 대기 상태로 설정된 무선 단말이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고, 대기 상태에서 일반 전송 상태로 설정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대기 상태, 일반 전송 상태, 집중 전송 대기 상태 또는 집중 전송 상태로 설정된 무선 단말이 데이터 전송을 요청한 경우 다시 일반 전송 상태로 설정될 수도 있다.
단계(S125)에서, 무선 단말로 전송된 데이터의 전송량이 미리 설정된 전송 레벨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송 레벨 임계값은 무선 단말이 집중 전송 상태로 설정되어 수신하도록 설정된 데이터의 전송량의 임계값이다. 따라서, 전송 레벨 임계값은 무선 단말을 집중 전송 상태로 설정할 것인지 또는 일반 전송 상태로 설정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단계(S130)에서는, 단계(S125)에서 무선 단말로 전송된 데이터의 전송량이 미리 설정된 전송 레벨 임계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무선 단말이 위치한 커버리지를 담당하는 기지국에 유휴 무선 자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단말로부터 데이터 전송을 요청받으면 우선 대기 상태로 설정된 무선 단말을 일반 전송 상태로 설정한다. 따라서, 모든 무선 단말이 대기 상태 또는 일반 전송 상태로 설정된 경우에 기지국에 유휴 무선 자원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집중 전송 상태로 설정된 무선 단말에 할당되는 무선 자원의 크기에 따라 일부의 무선 단말이 집중 전송 상태로 설정되더라도 기지국에 유휴 무선 자원이 존재할 수 있다.
단계(S135)에서는, 단계(S135)에서 기지국에 유휴 무선 자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단계(S115)에서 데이터 전송을 요청한 무선 단말의 전파 수신 환경을 동일 커버리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의 전파 수신 환경과 비교하여 데이터 전송을 요청한 무선 단말의 전파 수신 환경의 레벨을 판단한다. 전파 수신 환경은 기지국과 무선 단말 사이의 거리, 무선 단말을 둘러싼 구조물의 종류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단계(S140)에서는, 단계(S135)에서의 비교의 결과에서, 데이터 전송을 요청한 무선 단말의 전파 수신 환경의 레벨이 미리 설정된 전파 수신 환경 레벨 이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데이터 전송을 요청한 무선 단말의 전파 수신 환경이 다른 무선 단말에 비하여 무선 자원이 집중적으로 할당될 정도로 우수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파 수신 환경 레벨은 무선 단말의 전파 수신 환경을 절대적 또는 상대적으로 평가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파 수신 환경을 상대적으로 판단하는 경우, 데이터 전송을 요청한 무선 단말의 전파 수신 환경의 상태를 다른 무선 단말의 전파 수신 환경의 상태와 비교하여 상태의 양호함을 기준으로 순위를 판단함으로써 전파 수신 환경 레벨이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미리 설정된 레벨은 할당될 무선 자원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무선 단말에 집중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을 모두 할당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순위는 1순위가 될 수 있다. 또한, 10개의 무선 단말에 집중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순위는 10 순위가 될 수 있다.
단계(S145)에서는, 단계(S140)에서 무선 단말의 전파 수신 환경의 우수성에 대한 순위가 미리 설정된 순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무선 단말의 전송 상태를 집중 전송 대기 상태로 설정한다.
집중 전송 대기 상태로 설정되더라도, 무선 단말은 일반 전송 상태와 동일한 크기의 무선 자원을 할당받을 수 있으므로 단계(S115)에서 요청한 데이터를 계속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단계(S140)에서 무선 단말의 전파 수신 환경의 우수성에 대한 순위가 미리 설정된 순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무선 단말의 전송 상태를 집중 전송 대기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생략하고 일반 전송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단계(S150)에서, 단계(S140)에서 무선 단말의 전파 수신 환경의 우수성에 대한 순위가 미리 설정된 순위에 해당하는 경우, 무선 단말의 전송 상태를 집중 전송 상태로 설정한다.
집중 전송 상태로 설정된 무선 단말은 일반 전송 상태로 설정될 때 할당받는 무선 자원과 비교하여 더 많은 무선 자원을 할당받으며, 할당된 무선 자원을 통해 일반 전송 상태의 경우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보다 더 신속하게 수신할 수 있다.
단계(S155)에서는, 단계(S150)에서 집중 전송 상태로 설정된 무선 단말로 전송된 데이터의 전송량이 미리 설정된 전송 레벨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무선 단말로 전송된 데이터의 전송량과 미리 설정된 전송 레벨 임계값과의 비교는 무선 단말이 집중 전송 상태로 설정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수행되거나, 또는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동시에 데이터 전송량과 전송 레벨 임계값의 비교가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송 레벨 임계값은 무선 단말을 집중 전송 상태로 설정할 것인지 또는 일반 전송 상태로 설정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전송 레벨 임계값은 예를 들어, 전체 데이터의 80 내지 90 퍼센트(%), 또 는 100 퍼센트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S160)에서는, 단계(S155)에서 무선 단말로 전송된 데이터의 전송량이 미리 설정된 전송 레벨 임계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무선 단말의 전송 상태를 일반 전송 상태로 설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 전송 상태로 설정된 무선 단말은 요청된 데이터를 전송받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자원만을 할당받는다.
단계(S165)에서, 무선 단말이 단계(S115)에서 요청한 데이터를 모두 수신하여 무선 단말에 대한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170)에서는, 단계(S165)에서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된 무선 단말의 전송 상태를 대기 상태로 설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 동적 할당 방법에서 무선 단말이 설정되는 전송 상태의 천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무선 단말이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경우, 무선 단말의 전송 상태를 대기 상태(10)로 설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기 상태는 무선 단말이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자원만을 할당받은 상태이다.
무선 단말이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면, 무선 단말의 전송 상태는 대기 상태(10)에서 일반 전송 상태로 변경된다(S11). 일반 전송 상태(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단말이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자원만을 할당받은 상태이다.
일반 전송 상태(20)로 설정된 무선 단말의 전파 수신 환경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 무선 단말의 전송 상태는 일반 전송 상태(20)에서 집중 전송 상 태(40)로 변경된다(S21). 집중 전송 상태(40)는, 무선 단말이 요청한 데이터를 보다 짧은 시간 이내에 수신하기 위하여 일반 전송 상태에서 할당되는 무선 자원보다 많은 양의 무선 자원을 할당받는 상태이다.
또한, 일반 전송 상태(20)로 설정된 무선 단말의 전파 수신 환경이 미리 설정된 레벨 미만인 경우, 무선 단말의 전송 상태는 일반 전송 상태(20)에서 집중 전송 대기 상태(30)로 변경된다(S22). 집중 전송 대기 상태(30)에서, 무선 단말은 일반 전송 상태와 동일한 크기의 무선 자원을 할당받는다. 집중 전송 대기 상태(30)에서, 무선 단말의 전파 수신 환경은 집중 전송 상태(40)로의 변경을 위하여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또는 데이터 전송과 동시에 분석된다.
일반 전송 상태(20)로 설정된 무선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이 종료된 경우, 무선 단말의 전송 상태는 일반 전송 상태(20)에서 대기 상태(10)로 변경된다(S23). 데이터 전송의 종료는 데이터 전송의 완료 또는 중단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집중 전송 대기 상태(30)로 설정된 무선 단말의 전파 수신 환경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 무선 단말의 전송 상태는 집중 전송 대기 상태(30)에서 집중 전송 상태(40)로 변경된다(S31).
집중 전송 대기 상태(20)에서 무선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이 종료된 경우, 무선 단말의 전송 상태는 집중 전송 상태(40)를 거치지 않고 집중 전송 대기 상태(30)에서 대기 상태(10)로 변경된다(S32).
집중 전송 상태(40)로 설정된 무선 단말의 전파 수신 환경이 미리 설정된 레벨 미만으로 악화되는 경우, 무선 단말의 전송 상태는 집중 전송 대기 상태(30)로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무선 단말의 전파 수신 환경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으로 유지되면서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된 경우, 무선 단말의 전송 상태는 집중 전송 상태(40)에서 대기 상태(10)로 변경된다.
이처럼 무선 단말의 전송 상태는 무선 단말의 전파 수신 환경 및 데이터 전송 종료 여부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 동적 할당 시스템에서 커버리지 내에서의 무선 단말의 전파 수신 환경 및 전송 상태에 따라 무선 단말에 할당되는 무선 자원의 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무선 단말(300)은 기지국(400)의 커버리지(410)를 A1 지점부터 A6 지점까지의 이동 경로(420)를 따라 이동하면서 기지국(40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A1 지점에서, 무선 단말(300)은 커버리지(410)에 진입하고, 자원 할당 시스템은 무선 단말(300)이 커버리지(410) 내에 위치하였음을 감지한다. 자원 할당 시스템은 무선 단말(300)의 전송 상태를 대기 상태(10)로 설정하고, 이에 따른 무선 자원(11)을 무선 단말(300)로 할당한다.
A2 지점에서, 무선 단말(300)은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고, 자원 할당 시스템은 데이터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무선 단말(300)의 전송 상태를 일반 전송 상태(20)로 설정한다. 이에 무선 단말(300)은 데이터 수신을 위해 필요한 기본 무선 자원(21)을 할당 받는다.
A3 지점에서, 자원 할당 시스템은 분석한 무선 단말(300)의 전파 수신 환경 이 미리 설정된 레벨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고, 무선 단말(300)의 전송 상태를 집중 전송 대기 상태(30)로 설정한다. 집중 전송 대기 상태(30)에서 무선 단말은 기본 무선 자원(21)을 할당 받을 수 있다.
A4 지점에서, 무선 단말(300)의 위치가 기지국에 근접함에 따라 무선 단말(300)의 전파 수신 환경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이 되면, 자원 할당 시스템은 무선 단말(300)의 전송 상태를 집중 전송 상태로 설정하고, 무선 단말(300)에 집중 전송에 따른 무선 자원(41)을 할당한다. 무선 단말(300)에 보다 많은 무선 자원이 할당됨에 따라, 무선 단말(300)로의 데이터 전송률이 상승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가 증가한다.
A5 지점에서, 무선 단말(300)로의 데이터 전송이 종료되면, 자원 할당 시스템은 무선 단말(300)의 전송 상태를 대기 상태(10)로 설정하고, 이에 따른 무선 자원(11)을 무선 단말(300)에 할당한다.
이처럼, 자원 할당 시스템은 데이터 전송을 요청한 무선 단말(300)에 대해 전파 수신 환경을 기준으로 무선 자원을 집중적으로 할당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이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상술한 예시에서, 전파 수신 환경은 무선 단말(300)과 기지국(400) 사이의 거리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무선 단말(300)과 기지국(400) 사이의 거리뿐만 아니라 무선 단말(300)의 주위 환경에 따라 전파 수신 환경이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파가 차단되는 환경에 위치하는 경우, 무선 단말(300)의 전파 수신 환경이 악화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 동적 할당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 할당 시스템(100)은 신호 수신부(110), 전파 수신 환경 판단부(120), 전송 상태 설정부(130) 및 무선 자원 할당부(140)를 포함한다.
신호 수신부(110)는 무선 단말(300)로 요청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제공 서버(200)로부터 데이터 전송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신호 수신부(110)는 무선 단말(300)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전파수신환경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무선 단말(300)로부터 수신한다.
전파수신환경 판단부(120)는 신호 수신부(110)로부터 수신한 무선 단말(300)의 정보로부터 전파수신환경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무선 단말(300)의 전파 수신 환경 레벨을 판단한다.
전파수신환경 판단부(120)는, 예를 들어 동일한 신호에 의해 무선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을 이용하여 무선 단말(300)의 전파 수신 환경 레벨을 판단할 수 있다.
전송 상태 설정부(130)는 전파수신환경 판단부(120)에 의해 판단된 무선 단말(300)의 전파 수신 환경의 레벨 및 신호 수신부(1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전송량에 대한 정보에 따라 무선 단말(300)의 전송 상태를 설정한다.
전송 상태 설정부(130)는 무선 단말(100)의 전송 상태를 대기 상태, 일반 전송 상태, 집중 전송 대기 상태 또는 집중 전송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 다.
대기 상태는 무선 단말이 기지국으로 신호를 전송하거나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하는 상태이며, 대기 상태로 설정된 무선 단말은 신호 송수신을 대기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의 무선 자원만을 할당받는다.
일반 전송 상태는 무선 단말이 할당받은 기본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상태이다. 일반 전송 상태로 설정된 무선 단말은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본적인 무선 자원을 할당받으며, 무선 단말로 할당되는 무선 자원은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집중 전송 대기 상태는 무선 단말의 전파 수신 환경이 미리 설정된 레벨 미만인 경우, 주기적으로 또는 계속적으로 무선 단말의 전송 환경 상태를 분석하여 무선 단말로의 집중 전송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상태이다.
집중 전송 대기 상태로 설정된 무선 단말은 일반 전송 상태와 동일한 무선 자원을 할당 받아 데이터는 수신할 수 있다.
집중 전송 상태는 무선 단말의 전파 수신 환경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 보다 많은 무선 자원을 무선 단말로 할당하여 데이터 전송을 신속하게 수행하는 상태이다.
집중 전송 상태에서는, 보다 데이터 전송에 적합한 환경에서 보다 많은 양의 무선 자원을 통해 데이터가 전송되므로, 일반 전송 상태에서의 데이터 전송에 비해 보다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무선 자원 할당부(140)는 전송 상태 설정부(130)에 의해 설정된 전송 상태에 따라 미리 설정된 무선 자원을 무선 단말(300)에 할당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기 상태에서 기지국과 신호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최소의 무선 자원이 무선 자원에 할당된다. 또한, 일반 전송 상태 및 집중 전송 대기 상태에서는, 데이터 전송을 통한 서비스 제공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기본적인 무선 자원이 무선 단말에 할당된다. 집중 전송 상태에서는, 데이터 전송의 효율을 증가시키도록 설정된, 보다 많은 양의 무선 자원이 무선 단말에 할당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처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 동적 할당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 동적 할당 방법에서 무선 단말이 설정되는 전송 상태의 천이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 동적 할당 시스템에서 커버리지 내에서의 무선 단말의 전파 수신 환경 및 전송 상태에 따라 무선 단말에 할당되는 무선 자원의 크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 동적 할당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Claims (9)

  1.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 동적 할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의 대상인 무선 단말의 전파수신환경을 판단하는 전파수신환경 판단부,
    상기 판단된 전파수신환경이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양호하고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된 데이터의 양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의 양 미만인 경우 상기 무선 단말의 전송 상태를 집중 전송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판단된 전파수신환경이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보다 열악한 경우 상기 무선 단말의 전송 상태를 일반 전송 상태로 설정하는 전송 상태 설정부 및
    상기 집중 전송의 대상인 무선 단말에 상기 집중 전송 상태에 대응하는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무선 자원 할당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집중 전송 상태에 할당된 무선 자원은 상기 일반 전송 상태에 할당된 무선 자원보다 큰 것인 무선 자원 동적 할당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상태 설정부는 동일한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의 전파수신환경을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한 전송 상태를 설정하는 것인 무선 자원 동적 할당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된 데이터의 양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량 미만이고 상기 무선 단말의 전파수신환경의 상태가 동일한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의 전파수신환경의 상태와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전송 상태 설정부는 상기 무선 단말의 전송 상태를 집중 전송 상태로 설정하는 것인 무선 자원 동적 할당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의 전파수신환경의 상태가 동일한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의 전파수신환경의 상태와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이하인 경우, 상기 전송 상태 설정부는 상기 무선 단말의 전송 상태를 일반 전송 상태로 설정하는 것인 무선 자원 동적 할당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된 데이터의 양이 전송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량 이상인 경우, 상기 전송 상태 설정부는 상기 무선 단말의 전송 상태를 일반 전송 상태 로 설정하는 것인 무선 자원 동적 할당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전송 상태 설정부는 상기 무선 단말의 전송 상태를 대기 상태로 설정하는 것인 무선 자원 동적 할당 시스템.
  7.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 동적 할당 시스템이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커버리지(coverage) 내의 무선 단말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무선 단말의 전파 수신 환경 및 상기 커버리지 내의 하나 이상의 다른 무선 단말의 전파 수신 환경을 비교하는 단계 및
    (c) 상기 무선 단말의 전파 수신 환경의 레벨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이고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된 데이터의 양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량 미만인 경우, 데이터의 집중 전송을 위한 미리 설정된 무선 자원을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의 집중 전송을 위한 미리 설정된 무선 자원은 상기 무선 단말의 전파 수신 환경의 레벨이 미리 설정된 레벨 미만인 경우에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되는 무선 자원보다 큰 것인 무선 자원 동적 할당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무선 단말의 전파 수신 환경의 레벨이 미리 설정된 레벨 미만인 경우, 데이터 전송에 의한 서비스 제공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기본 무선 자원을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자원 동적 할당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2) 상기 전송 요청된 데이터의 전송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데이터 전송에 의한 서비스 제공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기본 무선 자원을 상기 무선 단말에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자원 동적 할당 방법.
KR1020090099858A 2009-10-20 2009-10-20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 동적 할당 시스템 및 방법 KR101103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858A KR101103704B1 (ko) 2009-10-20 2009-10-20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 동적 할당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858A KR101103704B1 (ko) 2009-10-20 2009-10-20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 동적 할당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969A KR20110042969A (ko) 2011-04-27
KR101103704B1 true KR101103704B1 (ko) 2012-01-11

Family

ID=44048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858A KR101103704B1 (ko) 2009-10-20 2009-10-20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 동적 할당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7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100B1 (ko) * 2012-07-27 2015-07-15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자원 할당 시스템 및 방법
KR101691214B1 (ko) * 2012-09-21 2016-12-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성을 이용한 트래픽 제어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9912A (ko) * 2006-09-28 2008-04-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대역 이동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에서의 채널상태정보전송 방법과, 그에 따른 기지국에서의 무선자원 할당 방법
KR20080052156A (ko) * 2006-12-05 2008-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자원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80073026A (ko) * 2007-02-05 2008-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스케줄링 장치 및방법
KR20090005782A (ko) * 2007-07-10 2009-01-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중계기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자원 할당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9912A (ko) * 2006-09-28 2008-04-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대역 이동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에서의 채널상태정보전송 방법과, 그에 따른 기지국에서의 무선자원 할당 방법
KR20080052156A (ko) * 2006-12-05 2008-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자원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80073026A (ko) * 2007-02-05 2008-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스케줄링 장치 및방법
KR20090005782A (ko) * 2007-07-10 2009-01-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중계기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자원 할당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969A (ko)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5544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radio communication
KR101130586B1 (ko) Cdma 역방향 링크에 대한 중앙집중화된 매체 액세스 제어 알고리즘
US7130311B2 (en) Adaptive data rate control for mobile data transfer
US8320382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mobile station, a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200701492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configuration of hybrid sub-carrier allocation
WO20000384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reservation in a mobile radio communications system
KR20080026183A (ko) 셀룰러 시스템에서의 적응 섹터화
JP2003264869A (ja) 移動局、基地局、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US11381997B2 (en) Feedback for RAN-assisted rate adaptation
US20050070293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base station selection method
JP2006054597A (ja) スロット割当装置及びその方法
WO2005070031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source allocation of multiple antenna arrays
US1071602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lculating uplink pathloss in a WLAN
US20070049317A1 (en)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reverse link of a feedback-based spread spectrum wireless network
JP4971637B2 (ja) セクタ割り当て方法、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40003052A (ko) 상대적 스루풋 산포도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로의 데이타패킷 송신을 스케쥴링하는 다중 임계 스케쥴러
CN106105349A (zh) 一种资源分配方法及基站控制器
CN101207570A (zh) 数据传输方法、数据发送速率控制方法及基站
Mhaidat et al. A cross-layer video multicasting routing protocol for cognitive radio networks
KR101103704B1 (ko)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 동적 할당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43566A (ko) 주파수 스펙트럼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
JP5207903B2 (ja) 周波数帯域割当装置および周波数帯域割当方法
US20110149923A1 (en) Wireless base st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EP2322006B1 (en) Optimized connection admission control for systems using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techniques
US10873531B2 (en) Data flow manager for distributing data for a data stream of a user equipmen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