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181B1 - 선박용 wbs/activity 생성 방법, 시스템 및 wbs/activity 생성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 Google Patents

선박용 wbs/activity 생성 방법, 시스템 및 wbs/activity 생성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181B1
KR101103181B1 KR1020090125162A KR20090125162A KR101103181B1 KR 101103181 B1 KR101103181 B1 KR 101103181B1 KR 1020090125162 A KR1020090125162 A KR 1020090125162A KR 20090125162 A KR20090125162 A KR 20090125162A KR 101103181 B1 KR101103181 B1 KR 101103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activity
wbs
generating
gen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8282A (ko
Inventor
정선희
조재홍
김세현
안호성
엄정준
김상환
송경근
허성웅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5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181B1/ko
Publication of KR20110068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생산, 관리등을 위한 WBS/ACTIVITY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a) 블록 디비젼 확인부에서 선박의 구조등과 관련된 블록 디비젼을 확인하는 단계; b) WBS구조 생성부에서 상기 확인된 블록 디비젼의 블록정보에 따라 WBS구조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ACTIVITY 생성부에서 상기 생성된 WBS구조에 따라 블록 특성에 맞추어 ACTIVITY를 생성하며 WBS/ACTIVITY를 생성함으로서, 선박 생산, 관리에서 효율을 도모할 수 있고, 이를 자동으로 생성하도록 함으로서 선박 생산, 관리를 위한 WBS/ACTIVITY 생성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블록 디비전(BLOCK DIVISION)이 변경될 경우 새로운 구조로 WBS/ACTIVITY를 생성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선박 생산량이 증가할 경우 WBS/ACTIVITY 생성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WBS, ACTIVITY

Description

선박용 WBS/ACTIVITY 생성 방법, 시스템 및 WBS/ACTIVITY 생성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METHOD TO MAKE WBS/ACTIVITY, SYSTEM THEREFORE AND COMPUTER READABLE RECODING MEDIUM HAVING THEREON PROGRAMED METHOD TO MAKE WBS/ACTIVITY FOR A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생산, 관리등을 위한 선박용 WBS/ACTIVITY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선박의 구조등과 관련된 블록 디비젼을 확인하여 블록 디비젼의 블록정보에 따라 WBS구조 및 ACTIVITY를 생성하는 방법, 시스템 및 선박용 WBS/ACTIVITY 생성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관한 것이다.
기업은 제품을 가장 효율적으로 만들어 최고의 품질을 갖춘 제품을 경제적으로 생산해야 한다. 이에 현재 기업에서는 자원을 최적화 하고, 정보의 흐름을 실시간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을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다. 생산 현장 관리(Production Activity Control)로서의 ERP 시스템의 의미는 생산 작업자가 제품을 생산하는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원 및 작 업 소요 시간, 원가정보와 같은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JOB ORDER (작업지시서)를 발행하는데 있다.
JOB ORDER를 발행하기 위해서는 BOM (Bills of Material: 상위 품목을 만드는 데 필요한 모든 자재와 각각의 필요량을 나타내는 일련의 목록)과 ROUTING (아이템을 만드는데 필요한 일련의 작업들에 대한 상세 정보) 및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활동으로, 일정 및 소요 자원 계획을 수립하는 단위)가 요구된다.
따라서 기준정보에서 설계의 정보(BOM)과 생산정보(ROUTING)를 연결해주는 WBS 구조를 작성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다. 각 프로젝트 별로 WBS 및 그 하부 구조인 ACTIVITY를 생성하며, ERP 데이타(DATA) 형식에 맞추어 시스템에 반영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에 따른 것으로, 선박 생산 및 관리를 위한WBS/ACTIVITY가 효율적으로 생성되도록하여 각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각 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선박 생산 관리에서 시간을 단축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WBS/ACTIVITY 생성방법은
a) 블록 디비젼 확인부에서 선박의 구조등과 관련된 블록 디비젼을 확인하는 단계; b) WBS구조 생성부에서 상기 확인된 블록 디비젼의 블록정보에 따라 WBS구조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ACTIVITY 생성부에서 상기 생성된 WBS구조에 따라 블록 특성에 맞추어 ACTIVITY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a) 단계는 확인된 상기 블록 디비젼에 따라 WBS/ACTIVITY생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블록 디비젼 정보가 정확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b) 단계는 상기 확인된 블록 디비젼에 따라 최상위 태스크(task)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최상위 태스크 하위에 탑재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탑재블록 하위에 P.E(Pre-erection)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및
상기 생성된 P.E블록 하위에 조립블록 생성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최상위 태스크를 생성하는 단계는 스트럭쳐(structure)를 생성하고, 상기 최상위 태스크 넘버(number)와 네임(name)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c) 단계는 조립블록의 ACTIVITY 생성단계;
상기 생성된 조립블록의 ACTIVITY 상위에 P.E블록의 ACTIVITY 생성단계;및
상기 생성된 P.E블록의 ACTIVITY 상위에 탑재블록의 ACTIVITY 생성단계를 포 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조립블록 ACTIVITY 생성단계는 선박의 작업장소와 작업방법에 따라 구분하여 ACTIVITY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P.E블록의 ACTIVITY 생성단계는 상기 생성된 스트럭쳐에 따라 구분하여 ACTIVITY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선박용 WBS/ACTIVITY 생성시스템은 선박의 구조등과 관련된 블록 디비젼을 확인하는 블록 디비젼 확인부;
상기 확인된 블록 디비젼의 블록정보에 따라 WBS구조를 생성하는 WBS구조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WBS구조에 따라 블록 특성에 맞추어 ACTIVITY를 생성하는 ACTIVITY 생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블록 디비젼 확인부는 확인된 상기 블록 디비젼에 따라 WBS/ACTIVITY생성 여부를 판단하는 제1판단부와 블록 디비젼 정보가 정확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판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WBS구조 생성부는 상기 확인된 블록 디비젼에 따라 최상위 태스크(task)를 생성하는 최상위 태스크 생성부;
상기 생성된 최상위 태스크 하위에 탑재블록을 생성하는 탑재블록 생성부;
상기 생성된 탑재블록 하위에 P.E(Pre-erection)블록을 생성하는 P.E블록 생성부;및 상기 생성된 P.E블록 하위에 조립블록 생성하는 조립블록 생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최상위 태스크 생성부는 스트럭쳐(structure)를 생성하고, 상기 최상위 태스크 넘버(number)와 네임(name)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ACTIVITY 생성부는 조립블록의 ACTIVITY 생성부;
상기 생성된 조립블록의 ACTIVITY 상위에 P.E블록의 ACTIVITY 생성하는 P.E블록의 ACTIVITY 생성부;및 상기 생성된 P.E블록의 ACTIVITY 상위에 탑재블록의 ACTIVITY 생성하는 탑재블록의 ACTIVITY 생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조립블록 ACTIVITY 생성부는 선박의 작업장소와 작업방법에 따라 구분하여 ACTIVITY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P.E블록의 ACTIVITY 생성부는 스트럭쳐에 따라 구분하여 ACTIVITY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WBS/ACTIVITY 생성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a) 선박의 구조등과 관련된 블록 디비젼을 확인하여 확인된 상기 블록 디비젼에 따라 WBS/ACTIVITY생성 여부 및 블록 디비젼 정보가 정확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확인된 블록 디비젼의 블록정보에 따라 WBS구조를 상기 확인된 블록 디비젼에 따라 최상위 태스크(task)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최상위 태스크 하위에 탑재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탑재블록 하위에 P.E(Pre-erection)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및 상기 생성된 P.E블록 하위에 조립블록 생성단계에 따라 WBS구조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생성된 WBS구조에 따라 블록 특성에 맞추어 조립블록의 ACTIVITY 생성단계; 상기 생성된 조립블록의 ACTIVITY 상위에 P.E블록의 ACTIVITY 생성단계; 및 상기 생성된 P.E블록의 ACTIVITY 상위에 탑재블록의 ACTIVITY 생성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WBS/ACTIVITY를 생성함으로서, 선박 생산, 관리에서 효율을 도모할 수 있고, 이를 자동으로 생성하도록 함으로서, 선박 생산, 관리를 위한 WBS/ACTIVITY 생성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블록 디비전(BLOCK DIVISION)이 변경될 경우 새로운 구조로 WBS/ACTIVITY를 생성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선박 생산량이 증가할 경우 WBS/ACTIVITY 생성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블록디비전(BLOCK DIVISION)이란 선박의 구조적 특징과 현장 작업성을 고려하여 선박을 기준작업단위인 블록(BLOCK)으로 분할하고 블록 넘버(NUMBER) 및 P.E 넘버, 탑재 넘버를 부여한 도면이다. 과거 리벳 접합에 의한 일품건조방식에서 용 접의 개발로 블록 건조 방식으로 변화된 것이다. 이는 블록 건조 방식이 대량 생산에 유리하여 2차 세계 대전 및 전후 복구의 필요성에 의해 설계, 재료 개선 및 개발은 물론 공작법의 꾸준한 발전을 통하여 오늘날의 블록 건조방식 확립된 것이다.
블록 건조방식은 대량 생산을 위한 컨베이어 시스템 적용이 가능하며 각 단위 블록의 조립 작업 극대화, 단순화, 표준화 및 지상 작업을 극대화 하여 독(DOCK) 작업일수를 단축시켜 생산량의 증가를 가져오게 된다.
이를 위해 선종별 특성에 따라 WBS/ACTIVITY관리 체계를 표준화하여 관리 범위 및 수준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WBS 구축으로 프로젝트의 제품 또는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WBS별로 계획 및 실적 데이터를 집계, 분석하는 체계를 확립하는 것이 가능하고, ACTIVITY작성으로 생산계획(APS)의 중일정 및 목표예산의 관리 범위와 수준을 결정하고 생산계획의 정확도 및 목표예산 대비 실적관리 체계를 확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생산, 관리등을 위한 WBS/ACTIVITY 생성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WBS/ACTIVITY 생성 방법은 블록 디비젼 확인부에서 선박의 구조등과 관련된 블록 디비젼을 확인하는 단계를 거치고, 블록 디비젼 확인부에서 확인된 블록 디비젼의 블록정보에 따라 WBS구조 생성부에서 WBS구조를 생성한다. 생성된 WBS구조에 따라 ACTIVITY 생성부에서 블록 특성에 맞추어 ACTIVITY를 생성하는 단계를 거쳐 선박에서의 WBS/ACTIVITY를 생성한다.
표1은 블록 디비젼과 WBS/ACTIVITY사이의 매핑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표1에 나타난 BLK DIV가 블록 디비젼을 의미한다. 즉 블록 디비젼 상에 A,E,M,H,F,D,Q,C등으로 표시된 것이 각각 AFT, E/ROOM, MID PART, DK HOUSE, FORE BODY, DOCK, QUAY, 호선 공통을 나타내는 WBS/ACTIVITY와 매핑되는 것이다.
<표1>
STRCTURE
(BLK DIV)
MAPPING CODE
(WBS/ACTIVITY DES.)
STRCTURE
(BLK DIV)
MAPPING CODE
(WBS/ACTIVITY DES.)
A AFT F FORE BODY
E E/ROOM D DOCK
M MID PART Q QUAY
H DK HOUSE C 호선공통
블록 디비젼 확인부에서 우선 블록 디비젼 확인을 통해 선박의 구조적 특성 및 현장 작업성을 파악하고, 확인된 정보를 가져와서 WBS/ACTIVITY 생성에 당해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블록 디비젼 확인을 거쳐 가져온 블록정보를 바탕으로 WBS구조를 생성하고, 생성된 WBS구조를 바탕으로 ACTIVITY를 생성하는 것이다. ACTIVITY는 생성된 WBS구조를 바탕으로 WBS구조 생성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ACTIVITY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WBS구조가 먼저 생성되어야 한다.
블록 디비젼 확인부에서는 블록 디비젼 확인을 통해 확인된 블록 디비젼을 바탕으로 WBS/ACTIVITY를 생성할 것인지 여부와, 블록 디비젼 정보가 정확한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WBS/ACTIVITY생성하는데 규칙을 갖기 어려운 도장 작업이나 보온 작업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 WBS/ACTIVITY생성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WBS/ACTIVITY를 생성하기로 결정된 경우에는 블록 디비젼 정보가 정확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다음 단계로 진행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WBS구조를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WBS/ACTIVITY생성을 결정하고, 블록 디비젼 정보를 확인한 이후에는 먼저 WBS구조를 생성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WBS구조 생성 단계는 최상위 태스크(task) 생성단계;탑재블록 생성단계;P.E(Pre-erection)블록 생성단계 및 조립블록 생성단계를 거치게 된다.
즉 가장 최상위인 최상위 태스크를 생성한 후 그 하위 단계인 탑재블록 생성단계를 거치고, 탑재블록의 하위인 P.E블록 생성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최하위 단위인 조립블록 생성단계를 거치게 되는 것이다. 또한 P.E블록 생성단계는 선박 생산과정에 따라서는 1차 또는 2차 P.E 단계로 구분하여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P.E는 Pre-erection의 줄임말로서, 선형탑재를 의미한다. 이는 조립과 도장이 완료된 블럭을 드라이 독(DRY DOCK)에 탑재하기 전에 대형화하는 작업이다. 완성된 개개의 블럭은 용도 및 형상에 따라 크레인이 들어올릴 수 있는 범위인 2 내지 10개의 블럭을 결합하여 대형블럭을 만드는데 이 작업이 선형탑재이다. 따라서 보통 한번의 선형탑재가 이루어 지기 보다는 2차에 걸쳐 선형탑재가 이루어 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최상위 태스크 생성 단계는 스트럭쳐(structure)를 생성하고, 자신의 태스크 넘버(number)와 네임(name)을 생성하는데, 생성된 스트럭쳐에 따라서 하위 블록들이 형성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CTIVITY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ACTIVITY는 생성된 WBS를 기초로 하여 그 역으로 생성하게 된다. 즉 ACTIVITY 생성하는 단계는 조립블록의 ACTIVITY 생성단계; P.E블록의 ACTIVITY 생성단계 및 탑재블록의 ACTIVITY 생성단계를 거치면서, 가장 먼저 조립블록의 ACTIVITY를 생성하고 다음으로 P.E블록의 ACTIVITY 그 다음으로 탑재블록의 ACTIVITY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조립블록 ACTIVITY는 선박을 생산하는 작업장소와 작업방법에 따라 구분된다. 왜냐하면 선박을 생산하는 작업장소와 작업방법에 따라 필요한 정보가 상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박을 생산하는 작업장소와 하려는 작업이 무엇인지에 따라 그 ACTIVITY가 구분되어 생성되게 된다.
P.E블록의 ACTIVITY 생성은 상기 생성된 스트럭쳐에 따라 구분하여 ACTIVITY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도 4에 도시하였다. 스트럭쳐 E는 엔지니어링 룸(ENGINEERING ROOM)을 의미하며, A는 애프터바디(AFTER BODY), M은 미드파트(MID PART)를 의미한다. 이밖에도 F 포어바디(FORE BODY), D 독(DOCK) 등에 구분된 스트럭쳐에 따라 P.E블록의 ACTIVITY가 생성되게 된다. 왜냐하면 각각의 스트럭쳐에 따라 필요한 작업이 상이하므로, 스트럭쳐에 따라 필요한 정보가 상이하므로 구분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탑재블록의 ACTIVITY 생성하고, 도면상에는 기재되지 않았지만 이를 바탕으로 그 상위의 ACTIVITY를 생성하게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만들어 지는 것이 블록 디비전을 바탕으로 하여 모든 원가 집계 및 일정 정보를 가지고 있는 WBS/ACTIVITY이다.
생성된 WBS/ACTIVITY를 통해 ACTIVITY가 가지고 있는 일정 정보 및 원가 정보, 공정 정보 및 아이템(ITEM)을 대상으로 작업 지시서를 발행하게 되고, 이것을 바탕으로 하여 생산현장에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WBS/ACTIVITY를 생성하여 JOB ORDER를 만들어 현장에서 이를 기반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WBS/ACTIVITY 생성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박용 WBS/ACTIVITY 생성시스템은 블록 디비젼 확인부, WBS구조 생성부, ACTIVITY 생성부를 포함한다.
블록 디비젼 확인부는 선박의 구조등과 관련된 블록 디비젼을 확인하는 부분으로서, 최종적으로 생성될 WBS/ACTIVITY의 기초 정보가 된다. 블록 디비젼 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블록 디비젼 정보를 바탕으로 WBS구조 생성부에서 WBS 구조를 생성하고, 생성성 WBS구조에 따라 ACTIVITY 생성부에서 ACTIVITY를 생성한다.
블록 디비젼 확인부는 제1판단부와 제2판단부를 포함한다. 제1판단부는 블록디비젼에 따라 WBS/ACTIVITY생성여부를 판단하는 부분으로서, WBS/ACTIVITY생성하는데 규칙을 정하기 어려운 도장 작업이나 보온 작업에 대하여 WBS/ACTIVITY를 생성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2판단부는 블록 디비젼 정보가 정확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정확한 경우에 한하여 WBS구조 생성부로 정보를 전달한다.
WBS구조 생성부는 최상위 태스크 생성부, 탑재블록 생성부, P.E블록 생성부, 조립블록 생성부를 포함한다.
최상위 태스크 생성부는 블록 디비젼 확인부에서 확인된 블록 디비젼에 따라 최상 태스크를 생성하는 부분으로서, 스트럭쳐를 생성하고, 최상위 태스 크 넘버와 네임을 생성한다.
탑재블록 생성부는 최상위 태스크 생성부에서 생성된 최상위 태스크를 기초로 하여 그 하위에 탑재블록을 생성하는 부분이다.
P.E블록 생성부는 탑재블록 생성부에서 생성된 탑재 블록을 기초로 하여 P.E블록을 생성한다. P.E블록은 선박의 생산과정에 따라 1차P.E블록과 2차 P.E블록으로 구분하여 생성한다.
조립블록 생성부는 P.E블록 생성부에서 생성된 P.E블록 하위에 조립블록을 생성한다. 조립블록은 WBS구조의 최하위 블록으로 조립블록을 생성함으로서, WBS구조가 완성된다.
ACTIVITY생성부에서는 WBS구조 생성부에서 생성된 WBS구조를 기초로하여 ACTIVITY를 생성한다.
ACTIVITY생성부는 조립블록 ACTIVITY생성부, P.E블록 ACTIVITY생성부, 탑재블록 ACTIVITY생성부를 포함한다.
ACTIVITY생성부에서는 WBS구조 생성과정과는 역순으로 조립블록부터 ACTIVITY를 생성한다. 즉 조립블록 ACTIVITY생성부에서 먼저 조립블록 ACTIVITY를 생성하고, 생성된 조립블록 ACTIVITY를 기초로 하여 P.E블록 ACTIVITY에서 P.E블록 ACTIVITY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P.E블록 ACTIVITY를 기초로 하여 조립블록 ACTIVITY를 생성한다.
조립블록 ACTIVITY생성부에서는 선박의 작업장소와 작업방법에 따라 구분하여 ACTIVITY를 생성한다. 즉 선박의 생산, 관리를 위한 작업장소와 수행하여할 작업의 종류를 구분하여 ACTIVITY를 생성하는 것이다.
P.E블록 ACTIVITY생성부에서는 스트럭쳐에 따라 구분하여 ACTIVITY를 생성한다. 즉 생성된 조립블록 ACTIVITY를 기초로 하여 이를 스트럭쳐에 따라 구분하여 P.E블록의 ACTIVITY를 생성하는 것이다.
표2와 표3, 도6에 의해 WBS/ACTIVITY생성과정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표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코드 값에 따라 스트럭쳐(STRUCTURE)를 구분하여, 이를 기준으로 하여 WBS/ACTIVITY를 생성한다.
<표2>
CODE STRUCTURE 구분 CODE STRUCTURE 구분
1 E/R 선미 6 C/H UPPER DECK
2 C/H DOUBLE BOTTOM 7 HATCH COAMING, DK. STORE
3 C/H STOOL 8 FORE BODY
4 C/H TRANS. BHD 9 DECK HOUSE
5 C/H SIDE SHELL 0 HATCH COVER
도 6은 선박의 측면(PROFILE)과 MIDSHIP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부분의 ACTIVITY는 표3에 구분된 것과 같이 생성된다.
<표3>
CODE Activity 구분
1XX 절단, 가공, 소중조, 대조립, 발판, IN SHOP의장, 선행의장, 도장
2XX
5XX
6XX
절단, 가공, 소중조, 대조립, 발판,
IN SHOP의장, 선행의장, 도장
3XX
4XX
절단, 가공, 대조립, 선행의장, 발판, 도장
8XX 절단, 가공, 소중조, 대조립,
IN SHOP의장, 도장
도7과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WBS/ACTIVITY가 생성된 모습을 도시한 일실시예이다.
도7에서 보는 바와 선박의 스트럭쳐에 따라 탑재PE, 2차PE, 1차PE, 조립블럭의 생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블록 디비젼의 내용에 따라 WBS구조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8은 블록 특징에 맞추어 규칙대로 ACTIVITY가 생성된 모습을 나타낸 일 실시예이다. 생성된 ACTIVITY내용에 따라 생산계획(APS)의 중일정 및 목표예산의 관리 범위와 수준을 결정하고 생산계획의 정확도 및 목표예산 대비 실적관리체계를 확립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WBS/ACTIVITY 생성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WBS 구조 생성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ACTIVITY 생성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P.E블록 ACTIVITY 생성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WBS/ACTIVITY 생성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6는 본 발명에 따른 WBS/ACTIVITY 생성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7는 본 발명에 따른 WBS/ACTIVITY 생성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8는 본 발명에 따른 WBS/ACTIVITY 생성 예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15)

  1. a) 블록 디비젼 확인부에서 선박의 구조등과 관련된 블록 디비젼을 확인하는 단계;
    b) WBS구조 생성부에서 상기 확인된 블록 디비젼의 블록정보에 따라 WBS구조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ACTIVITY 생성부에서 상기 생성된 WBS구조에 따라 블록 특성에 맞추어 ACTIVITY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는 확인된 상기 블록 디비젼에 따라 WBS/ACTIVITY생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블록 디비젼 정보가 정확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서의 WBS/ACTIVITY 생성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확인된 블록 디비젼에 따라 최상위 태스크(task)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최상위 태스크 하위에 탑재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탑재블록 하위에 P.E(Pre-erection)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및
    상기 생성된 P.E블록 하위에 조립블록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박에서의 WBS/ACTIVITY 생성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위 태스크를 생성하는 단계는 스트럭쳐(structure)를 생성하고, 상기 최상위 태스크 넘버(number)와 네임(name)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서의 WBS/ACTIVITY 생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조립블록의 ACTIVITY 생성단계;
    상기 생성된 조립블록의 ACTIVITY 상위에 P.E블록의 ACTIVITY 생성단계;및
    상기 생성된 P.E블록의 ACTIVITY 상위에 탑재블록의 ACTIVITY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서의 WBS/ACTIVITY 생성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블록 ACTIVITY 생성단계는 선박의 작업장소와 작업방법에 따라 구분하여 ACTIVITY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서의 WBS/ACTIVITY 생성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P.E블록의 ACTIVITY 생성단계는 상기 생성된 스트럭쳐에 따라 구분하여 ACTIVITY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서의 WBS/ACTIVITY 생성 방법.
  8. 선박의 구조등과 관련된 블록 디비젼을 확인하는 블록 디비젼 확인부;
    상기 확인된 블록 디비젼의 블록정보에 따라 WBS구조를 생성하는 WBS구조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WBS구조에 따라 블록 특성에 맞추어 ACTIVITY를 생성하는 ACTIVITY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 디비젼 확인부는 확인된 상기 블록 디비젼에 따라 WBS/ACTIVITY생성 여부를 판단하는 제1판단부와 블록 디비젼 정보가 정확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서의 WBS/ACTIVITY 생성 시스템.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WBS구조 생성부는 상기 확인된 블록 디비젼에 따라 최상위 태스크(task)를 생성하는 최상위 태스크 생성부;
    상기 생성된 최상위 태스크 하위에 탑재블록을 생성하는 탑재블록 생성부;
    상기 생성된 탑재블록 하위에 P.E(Pre-erection)블록을 생성하는 P.E블록 생성부;및
    상기 생성된 P.E블록 하위에 조립블록 생성하는 조립블록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서의 WBS/ACTIVITY 생성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위 태스크 생성부는 스트럭쳐(structure)를 생성하고, 상기 최상위 태스크 넘버(number)와 네임(name)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서의 WBS/ACTIVITY 생성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CTIVITY 생성부는 조립블록의 ACTIVITY 생성부;
    상기 생성된 조립블록의 ACTIVITY 상위에 P.E블록의 ACTIVITY 생성하는 P.E블록의 ACTIVITY 생성부;및
    상기 생성된 P.E블록의 ACTIVITY 상위에 탑재블록의 ACTIVITY 생성하는 탑재블록의 ACTIVITY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서의 WBS/ACTIVITY 생성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블록 ACTIVITY 생성부는 선박의 작업장소와 작업방법에 따라 구분하여 ACTIVITY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서의 WBS/ACTIVITY 생성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P.E블록의 ACTIVITY 생성부는 스트럭쳐에 따라 구분하여 ACTIVITY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서의 WBS/ACTIVITY 생성 시스템.
  15. 선박관리 시스템에서 WBS/ACTIVITY를 생성하기 위해
    a) 선박의 구조등과 관련된 블록 디비젼을 확인하여 확인된 상기 블록 디비젼에 따라 WBS/ACTIVITY생성 여부 및 블록 디비젼 정보가 정확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확인된 블록 디비젼의 블록정보에 따라 WBS구조를 상기 확인된 블록 디비젼에 따라 최상위 태스크(task)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최상위 태스크 하위에 탑재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탑재블록 하위에 P.E(Pre-erection)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및 상기 생성된 P.E블록 하위에 조립블록 생성단계에 따라 WBS구조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생성된 WBS구조에 따라 블록 특성에 맞추어 조립블록의 ACTIVITY 생성단계; 상기 생성된 조립블록의 ACTIVITY 상위에 P.E블록의 ACTIVITY 생성단계; 및 상기 생성된 P.E블록의 ACTIVITY 상위에 탑재블록의 ACTIVITY 생성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20090125162A 2009-12-16 2009-12-16 선박용 wbs/activity 생성 방법, 시스템 및 wbs/activity 생성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1103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162A KR101103181B1 (ko) 2009-12-16 2009-12-16 선박용 wbs/activity 생성 방법, 시스템 및 wbs/activity 생성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162A KR101103181B1 (ko) 2009-12-16 2009-12-16 선박용 wbs/activity 생성 방법, 시스템 및 wbs/activity 생성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282A KR20110068282A (ko) 2011-06-22
KR101103181B1 true KR101103181B1 (ko) 2012-01-04

Family

ID=44400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162A KR101103181B1 (ko) 2009-12-16 2009-12-16 선박용 wbs/activity 생성 방법, 시스템 및 wbs/activity 생성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1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910A (ko) * 2004-02-20 2005-08-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건조 시 작업 시수의 객관화 방법
KR20090063704A (ko) * 2007-12-14 2009-06-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건조를 위한 단위생산작업 체계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910A (ko) * 2004-02-20 2005-08-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건조 시 작업 시수의 객관화 방법
KR20090063704A (ko) * 2007-12-14 2009-06-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건조를 위한 단위생산작업 체계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282A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166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deling an asset-based business 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Lee et al. Study on a process-centric modeling methodology for virtual manufacturing of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in shipyards
Kostidi et al. Is it time for the maritime industry to embrace 3d printed spare parts?
US20180253085A1 (en) Integrated solution for simulation-based production of ships and offshore plants
KR20130119559A (ko) 선박 부재의 조립 트리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871300B1 (ko) 선박설계 시 형강류 절단도면 자동 생성 및 자재 bom 자동 추출 방법
Chandima Ratnayake Enabling RDM in challenging environments via additive layer manufacturing: enhancing offshore petroleum asset operations
KR101103181B1 (ko) 선박용 wbs/activity 생성 방법, 시스템 및 wbs/activity 생성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1392644B1 (ko) 조선해양 생산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 기반 응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091407B1 (ko) 표준 bom 구조 자동 생성 방법
Förster et al. Cross-industry methods for strategic planning of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Okumus et al. Circular economy approach in the maritime industry: Barriers and the path to sustainability
KR20140115104A (ko) 피디엠스 배관 볼트 설계 관리 방법
KR20130122408A (ko) 모바일을 이용한 원격 시뮬레이션 기반 조선 생산 시스템 및 방법
KR101392575B1 (ko) 조선해양 생산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 기반 블록 및 물류 관제 시뮬레이션 시스템
Hsieh et al. Resilient logistics to mitigate supply chain uncertainty: A case study of an automotive company
KR20130006858A (ko) Pdms를 이용한 블록 bom 자동화시스템
Al Amri Study of technologies and processes in shipbuilding industry
Lee et al. Study on a layout design method for leisure ship production factories using a heuristic location-allocation algorithm
Medina et al. A distributed simulation model of the maritime logistics in an iron ore supply chain management
KR20200071895A (ko) 3d캐드기반 단일 설계통합db를 통한 구조설계프로세스
KR102476450B1 (ko) 선박 생산 블록의 기하 및 생산 정보를 활용한 조립시수 산출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48025A (ko) Mrp프로그램을 이용한 강재 정산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강재 정산 시스템
Sriram et al. Taxonomy of engineer-to-order companies
KR20130134589A (ko) 실적호선 물량정보 구축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