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858A - Pdms를 이용한 블록 bom 자동화시스템 - Google Patents

Pdms를 이용한 블록 bom 자동화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858A
KR20130006858A KR1020110061700A KR20110061700A KR20130006858A KR 20130006858 A KR20130006858 A KR 20130006858A KR 1020110061700 A KR1020110061700 A KR 1020110061700A KR 20110061700 A KR20110061700 A KR 20110061700A KR 20130006858 A KR20130006858 A KR 20130006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lock
bom
pdms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수
정성만
류수영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1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6858A/ko
Publication of KR20130006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8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5Vehicle, aircraft or watercraft desig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DMS를 이용한 블록 BOM 자동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부서단말을 통해 PDMS에 접속가능한 환경이 구축된 상태에서 PDMS로 3D 모델링된 도면 정보를 활용하여 블록 BOM을 자동화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PDMS에 구비된 CPU인 제어부; 수주된 해양 공사 블록에 대한 블록 및 블록 디비젼 정보가 저장되고, 제어부와 연결된 블록정보DB; 제어부의 제어하에 3D 모델링된 도면정보에서 블록 볼륨을 정의하고, 볼륨 모델을 공사 일정 시스템에서 정의한 블록 이름으로 할당하는 블록3D정보생성모듈; 블록3D정보생성모듈에서 생성된 정보를 제어부의 제어하에 저장하는 블록볼륨 3D정보DB; 3D 오토캐드의 오브젝트를 분류하는 조건인 룰셋을 저장하고, 이 룰셋에 따라 추출 분류된 부서별 BOM을 제어부의 제어하에 저장하는 BOM추출 룰셋정보DB; 블록3D정보생성모듈로부터 생성된 정보로부터 할당된 블록 내부에 존재하는 BOM 물량을 제어부의 제어하에 추출하는 BOM정보추출모듈; 제어부와 연결되고, BOM정보추출모듈로부터 추출된 BOM 정보를 저장하는 BOM정보DB; 제어부와 연결되고, 부서단말의 요청에 따라 BOM정보DB에 접근하여 BOM 정보를 부서단말로 조회할 수 있도록 채널을 형성하는 BOM정보조회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MS를 이용한 블록 BOM 자동화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3D 캐드를 사용하여 블록 정보를 모델링함으로써 정확한 블록의 형상을 사전에 알 수 있어 사업부의 계획 수립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3D 캐드에서 BOM 물량이 자동으로 추출되므로 3D 캐드가 작성되는 시점이 바로 자재 발주 시점이 되어 작업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고, 사전 점검이 가능하여 조립 체크가 용이함은 물론 문제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체크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이고 생산성 향상에 일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PDMS를 이용한 블록 BOM 자동화시스템{PDMS BLOCK BOM AUTOMATION SYSTEM}
본 발명은 PDMS를 이용한 블록 BOM 자동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양 공사 진행시 3D 모델링 된 PDMS 시스템을 이용하여 3D 캐드 상에서 블록 조립정보를 형상과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자동으로 블록 내부에 속한 물량을 추출하여 자재 발주에 활용하며, 조립정보를 사전에 검증함으로써 설계 및 제작,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한 PDMS를 이용한 블록 BOM 자동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조선산업을 비롯한 각종 산업분야에서는 세계경제의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자구적인 노력들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조선산업의 경우 이러한 세계경제의 환경변화는 기업의 생존과 직결되기 때문에 경쟁력 유지를 위해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를 도입하여 제품(Item)의 설계에서부터 회계처리까지 원스텝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보다 능동적이고 체계적이며 효율적인 시스템을 갖춰가고 있다.
하지만, 선박 설계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도면의 경우는 여전히 페이퍼(Paper)로 관리되고 있어 이러한 시스템에 적용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다.
더욱이, 산업의 글로벌화, 속도화로 인해 도면의 전자화가 요구되고 있으나 그에 대한 보안 유지 및 도면 정보의 실시간 공유를 위한 시스템이 구현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를 테면, 해양 공사 수행시 블록을 나누어 조립할 수 있도록 계획을 수립하고, 블록별 일정을 수립하는 업무를 블록 디비젼(Block Division)이라고 하는데, 종래에는 이 블록 디비젼 작업을 오토캐드를 이용하여 2D로 블록을 나누고, 나눈 블록에 대한 도면을 작성하여 관련 설계 부서로 배포하였다.
그러면, 설계부서에서는 배포된 블록 디비젼 도면을 참고하여 설계공정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는 등 공사 관련 모든 업무에 사용하는 기본 지표로 활용하게 된다.
그러나, 2D 캐드로 작성되는 블록 디비젼 도면의 작성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설계부에 제공되는 블록 도면의 제공 시점이 늦어져 공사 수행 계획을 수립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이는 도면과 연계된 전자화 시스템의 결여로 인한 손실로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3D 캐드로 작성된 모델링 정보를 이용하여 블록 디비젼 구획 정보를 입력하고, 그 블록 공간 정보를 활용하여 블록에 속한 모든 물량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한 후 시스템적으로 분류하여 사용함으로써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PDMS를 이용한 블록 BOM 자동화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부서단말을 통해 PDMS에 접속가능한 환경이 구축된 상태에서 오토캐드로 3D 모델링된 도면 정보를 활용하여 블록 BOM을 자동화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PDMS에 구비된 CPU인 제어부; 수주된 해양 공사 블록에 대한 블록 및 블록 디비젼 정보가 저장되고, 제어부와 연결된 블록정보DB; 제어부의 제어하에 3D 모델링된 도면정보에서 블록 볼륨을 정의하고, 볼륨 모델을 공사 일정 시스템에서 정의한 블록 이름으로 할당하는 블록3D정보생성모듈; 블록3D정보생성모듈에서 생성된 정보를 제어부의 제어하에 저장하는 블록볼륨 3D정보DB; 3D 캐드의 오브젝트를 분류하는 조건인 룰셋을 저장하고, 이 룰셋에 따라 추출 분류된 부서별 BOM을 제어부의 제어하에 저장하는 BOM추출 룰셋정보DB; 블록3D정보생성모듈로부터 생성된 정보로부터 할당된 블록 내부에 존재하는 BOM 물량을 제어부의 제어하에 추출하는 BOM정보추출모듈; 제어부와 연결되고, BOM정보추출모듈로부터 추출된 BOM 정보를 저장하는 BOM정보DB; 제어부와 연결되고, 부서단말의 요청에 따라 BOM정보DB에 접근하여 BOM 정보를 부서단말로 조회할 수 있도록 채널을 형성하는 BOM정보조회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MS를 이용한 블록 BOM 자동화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에는 BOM 3D뷰어조회모듈이 더 연결 설치되어, 부서단말의 요청시 관련 BOM 형상을 입체적으로 활성화시켜 디스플레이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부서단말의 요청에 따라 블록에 대한 3D 모델링이 완성되고, 블록에 대한 BOM에 대한 정보가 생성되면 자재발주 가능한 상태로 채널을 활성화시키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3D 캐드를 사용하여 블록 정보를 모델링함으로써 정확한 블록의 형상을 사전에 알 수 있어 사업부의 계획 수립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3D 캐드에서 BOM 물량이 자동으로 추출되므로 3D 캐드가 작성되는 시점이 바로 자재 발주 시점이 되어 작업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고, 사전 점검이 가능하여 조립 체크가 용이함은 물론 문제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체크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이고 생산성 향상에 일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DMS를 이용한 블록 BOM 자동화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DMS를 이용한 블록 BOM 자동화시스템의 활용예를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3D 캐드에서 박스(Box) 형태의 공간을 차지하는 모델 정보를 입력하고, 블록 간의 상관관계 및 블록 정보를 정의하여 해양 공사에 대한 블록 트리(Tree)를 완성하고, 이후 박스(Box) 형태의 공간 내부에 속하는 3D 캐드 항목, 즉 구조 플레이트, 빔, 배관, 파이프 라인, 전계장 트레이, 선장 덕트 등 모든 BOM(Bill Of Material) 항목들을 자동으로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목록화시키며, 이를 정보로 제공하여 필요처에서 즉시 전자화된 정보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효율성 제고를 위해 PDMS(Plant Design Management System)를 활용하고 있는데, PDMS란 해양 Plant 제품의 설계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3D 형상을 모델링 하고 도면을 생성하는 3D CAD 시스템 이다.
본 발명은 PDMS 내에 블록 볼륨(Volume)을 정의할 수 있는 모델링 모듈을 구성하고, 볼륨 모델을 공사 일정 시스템에 정의된 블록 이름으로 할당하는 모듈을 구성하며, 할당된 블록 내부에 존재하는 BOM 물량을 추출하는 모듈을 구성하고, 추출된 BOM 정보를 정의된 부서별 BOM으로 분류하는 룰셋(Rule Set) 모듈을 구성하며, 추출된 BOM 정보를 조회하는 모듈로 구성하여 이들을 상호 연계 구동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블록 볼륨을 모델링하는 방법은 PDMS 상에서 사각형태의 박스(Box)를 사용하여 블록 형상을 3D 캐드상에서 생성하고 입력한다.
그런 다음, 상기 사각형태의 박스 내부에 존재하는 모든 3D 캐드 오브젝트(Object)들을 분류하는 조건인 룰셋에 해당하는 아이템만 분류하는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속성 정보에 관련 블록 정보를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한다.
이후, BOM 조회 모듈을 사용하여 관련 블록별로 BOM을 조회함으로써 간편하면서도 매우 효율적으로 이를 업무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시스템은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PDMS에 구비된 메인컨트롤러 혹은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에는 후술되는 여러 DB와 모듈이 연결되는데, 이들 DB와 모듈은 수주된 해양 공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부서에서 모두 인증받은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통해 접속가능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시스템은 블록정보DB(110)가 상기 제어부(100)와 통신가능한 상태로 연결된다.
상기 블록정보DB(110)는 해양 공사에 필요한 블록 디비젼 정보를 포함하며, 해당 정보가 저장, 갱신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에는 또다른 데이터베이스로서, 블록볼륨 3D정보DB(120)가 연결된다.
상기 블록볼륨 3D정보DB(120)는 블록의 볼륨에 대한 정보를 저장, 갱신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부(100)에는 BOM추출 룰셋정보DB(130)도 연결된다.
상기 BOM추출 룰셋정보DB(130)는 후술되는 BOM정보 추출모듈(160)을 통해 추출된 BOM 정보를 정의된 부서별 BOM으로 분류하여 저장, 갱신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100)에는 BOM정보DB(140)도 구축 연결된다.
상기 BOM정보DB(140)는 BOM(Bill Of Material)에는 도면기준정보가 포함되는데, 여기에서 도면기준정보란 도면 번호별 정보, 작성부서, 배포부서 등의 정보를 말한다.
덧붙여,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00)에는 명령 제어나 설정 등을 위한 키보드, 마우스 등을 통한 입력부(미도시), 그리고 필요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부(미도시)가 더 구비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100)에는 블록3D정보생성모듈(150)이 연결된다.
상기 블록3D정보생성모듈(150)은 블록의 볼륨을 정의하고, 정의된 볼륨 모델을 공사 일정 시스템에서 정의한 블록 이름으로 할당하는 등의 일련이 업무를 처리하도록 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PDMS를 통해 블록별로 3D 모델링이 이루어진 것을 전제조건으로 한다.
이때, 상기 블록3D정보생성모듈(150)은 상기 3D 모델링된 PDMS 상에서 사각형태의 박스를 이용하여 캐드상에 입력된 오브젝트 정보를 추출하는 형태로 업무를 처리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에는 BOM정보추출모듈(160), BOM정보조회모듈(170), BOM 3D뷰어조회모듈(180)이 더 연결된다.
여기에서, 이들 모듈들은 모두 할당된 블록 내부에 있는 정보들을 추출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3D 뷰어의 경우 블록의 형상을 미리 입체적으로 도시하여 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를 포함한 각종 DB와 모듈이 속한 PDMS에는 부서단말(200)이 연결된다.
상기 부서단말(200)은 앞서 설명하였듯이, 정보를 원하는 각 부서에 구비된 단말로서 상기 PDMS와는 공지된 인증방식을 통해 인증 후 접속(로그인)될 수 있다.
덧붙여, 상술한 모듈은 특별한 의미를 가진 것이 아니라, 제어부(100)와 통신하면서 필요로 하는 절차와 제어부(100)에 따른 명령신호를 수행할 수 있는 일종 '부'의 개념으로서, 이를 테면 '블록3D정보생성모듈'은 '블록3D정보생성부'로 이해하면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예컨대, 도 2에 제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활용될 수 있다.
도시된 예는 자재발주, 블록별 생산 시뮬레이션 등에 관한 사항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시스템을 이용하여 관련 부서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과 달리 관련 부서에서는 PDMS를 통해 수주된 해양 공사에 대한 블록이 3D 모델링되는 순간 발주에서부터 블록 시뮬레이션까지 처리시간을 단축시키는 큰 장점을 가진다.
이를 테면, PDMS를 통해 블록에 대한 3D 모델링이 완료되면 부서단말(200) 혹은 제어부(100)의 명령신호에 따라 블록3D정보생성모듈(150)은 3D 모델링된 도면으로부터 블록에 대한 볼륨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블록볼륨3D정보DB(120)에 수록한다(S100).
이때, 블록정보DB(110)에는 수주된 해양 공사 블록에 대한 블록 디비젼 정보를 포함한 블록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어, 제어부(100)는 블록정보DB(110)와 블록볼륨3D정보DB(120)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 정보를 서로 매핑하여 블록의 3차원 형상을 인식하고, BOM 3D뷰어조회모듈(180)를 통해 접근가능하게 채널을 형성하며, 부서단말(200)로 하여금 접근하여 확인할 수 있는 상태로 활성화시킨다(S200).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부서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3D 모델링된 PDMS의 오브젝트를 분류하는 조건인 룰셋을 정의하고, 정의된 룰셋은 BOM추출 룰셋정보DB(130)에 저장하며, 이 룰셋에 해당되는 아이템만 분류하여 BOM정보DB(140)에 저장한다(S300).
뿐만 아니라, 상기 BOM추출 룰셋정보DB(130)에는 추출된 BOM 정보를 설정된 룰셋에 따라 부서별 BOM으로 분류되어 저장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BOM정보추출모듈(160)을 통해 블록에 대한 BOM을 생성하고(S400), 생성된 BOM을 조회하여(S500), 자재발주(S600), 블록별 생산 시뮬레이션을 돌려 블록의 3차원 형상을 확인하면서 부서단말(200)로 하여금 실시간 점검이 가능하도록 채널을 형성하게 된다(S70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시스템은 3D 캐드를 사용하여 블록정보를 모델링하고, 이를 통해 블록의 정확한 형상을 사전에 알 수 있으므로 연계된 관련 부서들의 업무처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자재를 발주하는 시점도 블록의 3D 모델링이 완료되는 순간 발주 가능하게 되므로 작업시간의 단축, 처리효율 향상 등을 더 얻을 수 있음은 물론 블록 조립전에 조립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사전에 체크할 수 있어 후처리 과정도 극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100 : 제어부 110 : 블록정보DB
120 : 블록볼륨3D정보DB 130 : BOM추출 룰셋정보DB
140 : BOM정보DB 150 : 블록3D정보생성모듈
160 : BOM정보추출모듈 170 : BOM정보조회모듈
180 : BOM 3D뷰어조회모듈

Claims (3)

  1. 부서단말을 통해 PDMS에 접속가능한 환경이 구축된 상태에서 PDMS로 3D 모델링된 도면정보를 활용하여 블록 BOM을 자동화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PDMS에 구비된 CPU인 제어부;
    수주된 해양 공사 블록에 대한 블록 및 블록 디비젼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블록정보DB;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3D 모델링된 도면정보에서 블록 볼륨을 정의하고, 볼륨 모델을 공사 일정 시스템에서 정의한 블록 이름으로 할당하는 블록3D정보생성모듈;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블록3D정보생성모듈에서 생성된 정보를 저장하는 블록볼륨 3D정보DB;
    3D PDMS의 오브젝트를 분류하는 조건인 룰셋을 저장하고, 상기 룰셋에 따라 추출 분류된 부서별 BOM을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저장하는 BOM추출 룰셋정보DB;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블록3D정보생성모듈로부터 생성된 정보로부터 할당된 블록 내부에 존재하는 BOM 물량을 추출하는 BOM정보추출모듈;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BOM정보추출모듈로부터 추출된 BOM 정보를 저장하는 BOM정보DB;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부서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BOM정보DB에 접근하여 상기 BOM 정보를 부서단말로 조회할 수 있도록 채널을 형성하는 BOM정보조회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MS를 이용한 블록 BOM 자동화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BOM 3D뷰어조회모듈이 더 연결 설치되어, 부서단말의 요청시 관련 BOM 형상을 입체적으로 활성화시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MS를 이용한 블록 BOM 자동화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부서단말의 요청에 따라 블록에 대한 3D 모델링이 완성되고, 블록에 대한 BOM에 대한 정보가 생성되면 자재발주 가능한 상태로 채널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MS를 이용한 블록 BOM 자동화시스템.
KR1020110061700A 2011-06-24 2011-06-24 Pdms를 이용한 블록 bom 자동화시스템 KR201300068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700A KR20130006858A (ko) 2011-06-24 2011-06-24 Pdms를 이용한 블록 bom 자동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700A KR20130006858A (ko) 2011-06-24 2011-06-24 Pdms를 이용한 블록 bom 자동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858A true KR20130006858A (ko) 2013-01-18

Family

ID=47837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700A KR20130006858A (ko) 2011-06-24 2011-06-24 Pdms를 이용한 블록 bom 자동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68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68933A1 (en) * 2015-03-02 2018-03-08 Bk Technology Co., Ltd Lead frame and semiconductor package including the same
CN110110166A (zh) * 2019-05-14 2019-08-09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零件清单的获取方法、系统、设备和存储介质
KR102411112B1 (ko) 2021-07-30 2022-06-22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플랜트 장치기계류의 bm 자동 산출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68933A1 (en) * 2015-03-02 2018-03-08 Bk Technology Co., Ltd Lead frame and semiconductor package including the same
CN110110166A (zh) * 2019-05-14 2019-08-09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零件清单的获取方法、系统、设备和存储介质
KR102411112B1 (ko) 2021-07-30 2022-06-22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플랜트 장치기계류의 bm 자동 산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 et al. Smart manufacturing standardization: Architectures, reference models and standards framework
König et al. Intelligent BIM-based construction scheduling using discrete event simulation
CN113408853B (zh) 基于工程和制造物料清单的中性bom构建方法及系统
CN109298685A (zh) 数字化工厂实现方法、数字化工厂实现系统和数字化工厂
Ang et al. Smart design for ships in a smart product through-life and industry 4.0 environment
Balderas et al. Empowering Digital Twin for Industry 4.0 using metaheuristic optimization algorithms: case study PCB drilling optimization
Demkovich et al. Multiscale modeling and simulation for industrial cyber-physical systems
Leitão et al. Quo vadis industry 4.0? Position, trends, and challenges
Oh et al. Production planning for mass customization in additive manufacturing: build orientation determination, 2D packing and scheduling
Wallis et al. Intelligent Utilization of Digital Manufacturing Data in Modern Product Emergence Processes.
Lee et al. Simulation-based work plan verification in shipyards
KR20130006858A (ko) Pdms를 이용한 블록 bom 자동화시스템
Pilz et al. Systematic analysis of comparative studies between additive and conventional manufacturing focusing on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logistics operations
Landahl et al. Assessing Producibility of Product Platforms Using Set-Based Concurrent Engineering.
US2018015773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lustering engineering data in a multidisciplinary engineering system
Krenczyk et al. Semi-automatic simulation model generation of virtual dynamic networks for production flow planning
Moufaddal et al. Industry 4.0: A roadmap to digital Supply Chains
Milde et al. Simulation of order processing in global production networks
Szajna et al. The management of digital data using innovative technologies
Rautio et al. Supporting military maintenance and repair with additive manufacturing
Ustundag et al. Advances in virtual fact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Kim et al. Computational shipyard dynamics
Rambabu et al. Gap analysis and optimization of process involved in product design and development by integrating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Kuehn Digital factory: Integration of simulation from product and production planning towards operative control
Lee et al. Study on a layout design method for leisure ship production factories using a heuristic location-allocation algorith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