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2378B1 - 다목적 안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다목적 안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2378B1
KR101102378B1 KR1020090058227A KR20090058227A KR101102378B1 KR 101102378 B1 KR101102378 B1 KR 101102378B1 KR 1020090058227 A KR1020090058227 A KR 1020090058227A KR 20090058227 A KR20090058227 A KR 20090058227A KR 101102378 B1 KR101102378 B1 KR 101102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re
magnet
massage
massag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8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906A (ko
Inventor
이흥규
Original Assignee
이흥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규 filed Critical 이흥규
Priority to KR1020090058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2378B1/ko
Publication of KR20110000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마그네트와 일체로 연결되며 안마력을 제공하는 안마 헤드; 제1코일이 권선되는 제1코어; 상기 제1코어에 적층되는 것으로, 제2코일이 권선되는 제2코어; 를 포함하는 다목적 안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기재된다.

Description

다목적 안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MULTI PURPOSE MASSAGE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다목적 안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저주파 진동 및 고주파 진동을 발생하여 전신의 피로를 풀어주는 다목적 안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안마는 신체의 일부를 일정 압력으로 두드리거나 가압하여 뭉친 근육을 풀어주거나 혈액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직접 손이나 발 등으로 신체를 가압하는 것 이외에 수동으로 작동하는 지압기나 마사지기 등이 있다.
자동으로 작동하는 안마기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모터나 솔레노이드 등을 작동시켜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가압력으로 신체의 일부를 안마하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안마기는 일정 주파수의 진동만을 발생할 뿐이므로 주파수를 높여 피부 깊숙히 진동력을 전달하거나 진폭을 늘려 강한 힘으로 안마를 하는 등 다양한 모드로 동작하기 곤란한 구조로 되어 있어 제어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저주파 진동, 고주파진동은 물론 이들을 중첩시킨 중첩 진동파 등 다양한 형태의 진동파를 발생할 수 있는 다목적 안마 장치를 제공하여 안마 효과를 높이고 다양하고 능동적인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목적 안마 장치는, 마그네트와 일체로 연결되며 안마력을 제공하는 안마 헤드; 제1코일이 권선되는 제1코어; 상기 제1코어에 적층되는 것으로, 제2코일이 권선되는 제2코어;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목적 안마 장치의 제어 방법은, 초기 위치인 제1위치 및 안마력을 제공하는 제2위치를 향하여 왕복 이동되는 마그네트가 안마 헤드에 연결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자극이 구분 착자되며, 상기 마그네트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코어 및 제2코어의 함몰부에 제1코일 및 제2코일이 각각 권선되고, 상기 제1코일 및 상기 제2코일에 전원 인가시 상기 함몰부를 기준으로 일측 및 타측의 전자력 극성이 구분되는 안마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제1위치에 상기 마그네트가 대기하는 단계; 상기 제1코일 및 상기 제2코일에 양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마그네트가 상기 제1위치를 이탈하는 단계; 상기 제1코일에 양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제2코일에 음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마그네트가 계속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1코일 및 상기 제2코일에 음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마그네트가 상기 제2위치에 도달하는 단계; 상기 제1코일 및 상기 제2코일에 양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마그네트가 상기 제2위치를 이탈하는 단계; 상기 제1코일에 음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제2코일에 양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마그네트가 계속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1코일 및 상기 제2코일에 음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마그네트가 상기 제1위치에 복귀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마 효과인 근육 이완 작용을 하는 저주파 진동과 근육의 깊은 곳에 침투할 수 있는 고주파 진동을 동시에 발생시켜 안마 효과가 탁월하고 여러 증상의 사용자에게 적합하도록 적응성이 뛰어난 여러 가지의 사용 모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전기적 효율이 좋고 제작이 용이하고 소음이 적으며 내구력이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조합된 전자기력은 인력과 척력이 동시에 작용하므로 진폭 증가 및 힘(토오크) 증가의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파워의 장치에 있어서 에너지 일정 조건을 감안하면, 고주파 진동시 진폭이 감소되고 저주파 진동시 진폭이 증가되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고주파 안마기는 인체를 주무르는 안마 효과는 감소되고 고주파 진동에 의한 치료 또는 세정 효과가 탁월하며, 저주파 안마기는 치료 또는 세정 효과는 감소되지만 안마 효과를 증가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안마 장치는 저주파는 물론 고주파 진동이 중첩된 형태로 제어가 용이한 구조를 가지므로, 안마 효과를 위한 저주파 진동 성능은 물론, 인체의 깊숙한 곳에 침투하거나 치료 또는 세정 효과를 위한 고주파 진동 성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다목적 안마 장치이다.
더우기, 진동부를 복합적으로 여러 개 병행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필요시 진동 주파수 및 진폭과 힘(토르크)도 함께 늘어나는 이중효과를 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코일에 인가되는 신호는 침투력을 높이기 위한 고주파(초음파)신호와 안마용 진동을 느낄 수 있는 저주파 신호(싸인파나 구형파)가 혼합 변조하여 신호를 인가하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근육 이완 작용(안마)과 침투 효과가 뛰어난 초음파를 동시에 발생시킬 수 있어 근육 이완작용을 하는 안마 효과와 피부깊이 침투하는 초음파(치료기) 효과를 동시에 낼 수 있다.
먼저 초음파 세정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초음파세척기에서 사용되는 주파수는 28㎑(28,000번/1초), 40㎑(40,000번 /1초)의 진동을 주로 사용한다. 초음파를 물에 방사하였을 때 발생되는 초음파 공동화(ultrasonic cavitation)의 메카니즘은, 핵의 생성, 수많은 기포(bubble)의 발생, 그리고 충분히 성장한 버블(bubble)의 폭발적 파열 등 3단계로 이루어지며 발생된 기포내의 온도와 압력이 각각 4,500℃와 수백 기압에 이르고 충분히 성장한 기포가 깨어질 때에는 국부적인 온도가 약 1,500℃이고 압력 또한 수백 기압에 달하는 충격파가 발생된다.
이러한 수많은 작은 기포에 발생된 충격파가 사람의 손이 미치지 않는 미세한 부분까지 깨끗하게 세척해주며 그 효능은 실로 놀랍다. 초음파 미용기의 피부 세정 효과를 알아 보기 위하여 비커에 물을 담아 초음파 치료기의 금속 헤드 부분을 물에 대고 초음파를 인가할 때, 작은 기포(물방울)가 생성됨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이미 언급한 초음파의 세정 작용이 초음파 미용기에서도 똑같이 발생되는 것을 사실로서 입증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발열판 또는 마찰열을 발생하는 부재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온열 효과를 갖는다.
종래의 치료기에도 온열효과를 이용하는 많은 기기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온열 기구는 그 온열 효과가 피부표면에만 전달되는 한계성을 지니고 있다. 그 러나, 본 발명에서 발생하는 초음파 진동은 피부 깊숙히 물리적인 힘을 가할 수 있으며, 이때 진동에 의한 분자간 마찰열을 발생하므로 초음파에 의한 마찰로 인한 온열이 피부 속 깊숙히 침투할 수 있게 되며, 추가적으로 발열판이나 마찰열을 발생하는 부재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때 열원이 추가되는 효과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전기 히타식이 아닌 압전 세라믹은 수백만 헤르쯔의 진동이 가능하다. 이때 1초에 수백만 번 고속 진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해 온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불을 피우기 위해 나무 막대를 비비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피부 미용시 얼굴을 마사지하는 것도 이러한 마찰에 의한 자극을 주기 위함이다.
즉, 초음파의 에너지 변환 메카니즘은 전기 에너지가 물리적 운동 에너지로 바뀌고 다시 열에너지로 변환되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열에너지가 곧 초음파에 의한 온열 효과가 된다. 초음파는 피부 표면에서의 효과보다는 피부 내부로 깊숙이 전달되는 효과가 더 중요한 것임을 인지해야 한다.
피부 조직의 온도는 통상 32℃ 정도이다. 실험에 의하면 열을 참을 수 없는 정도가 되지 않는 정도의 초음파를 10분 정도 인가시, 1㎒대역의 초음파를 조사해본 결과, 초음파의 power출력이 0.5wt/㎠에서는 0.04℃, 1.0wt/㎠에서는 0.16℃, 1.5wt/㎠에서는 0.3℃, 2.0wt/㎠에서는 0.38℃로 증가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목적 안마 장치의 절단 사시도로서, 마그네트가 제1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목적 안마 장치의 절단 사시도로서, 마그네트가 제2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목적 안마 장치는 진동부(100)와 고정부(200)를 포함한다. 진동부(100)는 안마 헤드(110)와 마그네트(120)를 구비한다. 안마 헤드(110)는 안마를 위한 진동을 발생하는 것으로 신체와 접촉되어 안마력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마그네트(120)는 안마 헤드(110)에 연결되며 제1코일(210a) 및 제2코일(210b)의 전자기력이 작용하는 부분이다.
마그네트(120)는 기둥 형상이며, 분극선(125)을 기준으로 마그네트(120)의 이동 방향인 길이 방향을 따라 자극이 구분 착자되고, 제1코어(220a)와 대면되는 도 1의 제1위치 및 제2코어(220b)와 대면되는 도 2의 제2위치를 왕복 이동됨으로써 안마력을 발생한다.
안마 헤드(110)는 원적외선 또는 음이온을 발생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신체와 접촉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가요성을 갖는 고무나 플라스틱, 실리콘 테프론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200)는 제1코일(210a)이 권선된 제1코어(220a)와, 제2코일(210b)이 권선된 제2코어(220b)를 구비한다. 물론, 제3코일이 권선된 제3코일이 제2코어(220b) 위에 더 적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코어의 수에 비례하여 안마 헤드(110)의 진폭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단일 코어에 비하여 안마력을 손실 보지 않고 진폭을 늘릴 수 있고, 깊은 스트로크의 안마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안마 장치의 안마 특성을 고려하여 코어의 개수가 결정된다.
제1코일(210a) 및 제2코일(210b)은 마그네트(120)와 대면되어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부분이며, 제1코어(220a) 및 제2코어(220b)는 제1코일(210a) 및 제2코 일(210b)이 권선되는 부분이다. 제1코어(220a) 및 제2코어(220b)는 제1코일(210a) 및 제2코일(210b)이 각각 권선되는 함몰부(221)를 중앙에 구비하며, 제1코일(210a) 및 제2코일(210b)에 전원 인가시 함몰부(221)를 기준으로 그 일측 및 타측의 전자력 극성이 구분된다.
도 3은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하나의 도면에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일 실시예로서, 제1코어(220a) 및 제2코어(220b)의 중심부(225)에 관통 삽입됨으로써 진동부(100)의 운동을 안내하는 중심축(150)이 안마 헤드(110)에 돌출된다. 이는 진동부(100)의 운동시 기구적 안정성을 확보하며, 필요에 따라 마찰열을 발생하여 안마 헤드(110)에 전달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로서, 온열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1코일(210a) 또는 제2코일(210b)을 감싸서 전자기 유도에 의하여 발열되는 발열용 2차 코일(240)과, 발열용 2차 코일(240)에 연결되어 안마 헤드(110)를 가열하는 발열판(230)이 마련된다.
치료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발열판(230)은 원적외선 세라믹으로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목적 안마 장치는 하우징(10), 중심축(150), 슬리브(155), 마찰판(290), 쿠션 링(2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0)은 다목적 안마 장치의 본체가 되는 것으로서 고정부(200)와 연결되어 하중을 지지하며 진동 발생시 베이스가 된다. 중심축(150)은 안마 헤드(1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중심부(225)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슬리브(155)는 안마 헤드(110)의 중심축(150) 또는 중심부(225)의 마모 방지 또는 진동 운동시 윤활을 위하여 중심축(150)과 중심부(225) 사이에 삽입되는 내구성 부재이다. 쿠션 링(20)은 진동부(100) 및 하우징(10)을 연결하는 것으로 진동부(10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 재질의 가요성 부재이다.
마찰판(290)은 제1코어(220a) 또는 제2코어(220b)에 인접 배치된 채 진동부(100) 또는 구체적으로 마그네트(120)에 마찰됨으로써 마찰열을 발생한다. 따라서, 안마 헤드(110)를 가열하여 온열 효과를 증대시키는 부재이다. 마찰판(290)은 안마 헤드(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마찰판(290)은 고정부(200)에 고정되며, 진동부(100)에 접촉되어 진동부(100)의 이동시 접촉 마찰됨으로써 마찰열을 발생시키는 구조이면 어떠한 실시예라도 무방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목적 안마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도 4의 참조 부호별로 분류하였다. 양전원과 음전원은 서로 다른 위상의 전원을 의미한다.
(a) 제1위치에 마그네트(120)가 대기하는 단계
(b) 제1코일(210a) 및 제2코일(210b)에 양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참조부호 (A)는 척력으로 참조부호 (B)는 인력으로 상호 작용하며 마그네트(120)가 제1위치를 이탈하는 단계
(c) 제1코일(210a)에 양전원을 인가하고 제2코일(210b)에 음전원을 인가함으로써 마그네트(120)가 계속 이동하는 단계
(d) 제1코일(210a) 및 제2코일(210b)에 음전원을 인가함으로써 마그네 트(120)가 제2위치에 도달하는 단계
(f) 제1코일(210a) 및 제2코일(210b)에 양전원을 인가함으로써 마그네트(120)가 제2위치를 이탈하는 단계
(g) 제1코일(210a)에 음전원을 인가하고 제2코일(210b)에 양전원을 인가함으로써 마그네트(120)가 계속 이동하는 단계
(h) 제1코일(210a) 및 제2코일(210b)에 음전원을 인가함으로써 마그네트(120)가 제1위치에 복귀하는 단계
일 실시예로서, 상기 양전원 및 상기 음전원은 제1주파수를 갖는 구형파 또는 사인파 전원이다. 여기서, 제1주파수는 참조 부호 t1,t5,t7 중 적어도 하나의 역수이다. 참조 부호 t1,t5,t7은 모두 제1주파수의 역수와 동일한 주기가 될 수 있지만, 다양한 안마 모드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값을 갖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제1주파수는 도 4의 참조 부호 (e)에 도시된 사인파 또는 구형파 전원의 제2주파수보다 낮은 저주파이므로, 상기 양전원 및 상기 음전원은 고주파 진동이 아니라 저주파 진동 성분의 소스가 되며 주로 안마 효과를 위한 진동 성분에 해당한다.
이러한 제어 방법은 진동과 자장을 동시에 발생시켜 인체에 침투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전기적 효율이 좋고 제작이 용이하고 소음이 적으며, 내구력이 우수한 등의 장점이 있다.
비교 실시예로서, 단일의 코어가 설치되는 경우, 진동의 진폭 스트로크를 크게 하기 어려운 점이 존재한다. 만약, 진폭을 크게 키우기 위하여 N극과 S극의 거 리를 멀게 늘릴 경우 힘(안마력)이 약해지게 된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과 같이 설계치에 맞게 복수로 마련되는 코어(220a,220b)의 개수를 최적화시키면, 이동 거리에 해당하는 스트로크를 얼마든지 증가시킬 수 있음은 물론, 힘(안마력)도 동일한 수준을 유지하거나 몇 배로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치료 효과나 온열 효과를 보기 위한 고주파 진동 성분을 발생하기 위하여 다음의 실시예가 마련된다. 작동 중 발생하는 고주파와 자기장을 인체에 침투시키면 적혈구 속의 철분에 자기장이 작용하여 뭉쳐진 적혈구가 풀어지고 혈액의 작용 기전이 활발해지며 이온 효과를 촉진함으로써 혈액의 산소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적외선과 같은 형태로 온열을 인체에 침투시키면 혈액 순환을 활발하게 하며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도 4의 참조 부호 (e)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그네트(120)가 제2위치에 도달하면 제1코일(210a) 및 제2코일(210b)에 사인파 또는 구형파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양전원 및 상기 음전원의 주파수보다 높은 제2주파수로 마그네트(120)를 진동시키는 단계가 그 중의 하나이다.
여기서, 제2주파수는 참조 부호 t4의 역수이다. 제2주파수의 상기 전원은 충분한 고주파 진동 성분을 발생하기 위하여 양부호 및 음부호를 교대로 반복하는 사인파 또는 구형파 전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별도로 고주파 진동 소스가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바로 제1위치 및 제2 위치를 향한 왕복 이동 소스인 상기 양전원 및 상기 음전원에 고주파 진동 성분을 중첩시키는 것이다.
즉, 제1주파수에 이보다 높은 고주파가 중첩되도록 상기 양전원 및 상기 음전원을 시분할함으로써 안마 헤드(110)를 제1주파수 및 상기 고주파가 중첩된 형태로 진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주파수는 참조 부호 t1,t5,t7 중 적어도 하나의 역수이고, 여기에 중첩되는 고주파는 t1',t5',t7' 중 적어도 하나의 역수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목적 안마 장치의 절단 사시도로서, 마그네트가 제1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목적 안마 장치의 절단 사시도로서, 마그네트가 제2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은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하나의 도면에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목적 안마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하우징(housing) 20...쿠션 링(coushion ring)
100...진동부 110...안마 헤드
120...마그네트(magnet) 125...분극선
150...중심축 155...슬리브(sleeve)
200...고정부 210a...제1코일(coil)
210b...제2코일 220a...제1코어(core)
220b...제2코어 221...함몰부
225...중심부 230...발열판
240...발열용 2차 코일 290...마찰판

Claims (9)

  1. 마그네트와 일체로 연결되며 안마력을 제공하는 안마 헤드;
    제1코일이 권선되는 제1코어;
    상기 제1코어에 적층되는 것으로, 제2코일이 권선되는 제2코어; 를 포함하며,
    상기 마그네트는 기둥 형상이며 분극선을 기준으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자극이 구분 착자되고, 상기 제1코어와 대면되는 제1위치 및 상기 제2코어와 대면되는 제2위치를 향하여 왕복 이동되며,
    상기 마그네트의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안마 헤드의 안마력이 발생되는 다목적 안마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어 및 상기 제2코어는 상기 제1코일 및 상기 제2코일이 각각 권선되는 함몰부를 중앙에 구비하며 상기 제1코일 및 상기 제2코일에 전원 인가시 상기 함몰부를 기준으로 일측 및 타측의 전자력 극성이 구분되는 다목적 안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 및 상기 제2코일 중 적어도 하나를 감싸서 전자기 유도에 의하여 발열되는 발열용 2차 코일과,
    상기 발열용 2차 코일에 연결되어 상기 안마 헤드를 가열하는 발열판을 구비하는 다목적 안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마 헤드는 원적외선 또는 음이온을 발생하는 재질 또는 가요성을 갖는 탄성 재질을 포함하는 다목적 안마 장치.
  6.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안마 헤드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코어 또는 상기 제2코어의 중심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중심축,
    마모 방지 또는 윤활을 위하여 상기 중심축과 상기 제1코어 또는 상기 제2코어의 중심부 사이에 삽입되는 슬리브,
    상기 안마 헤드에 접촉 마찰됨으로써 마찰열을 발생하여 상기 안마 헤드를 가열하는 마찰판,
    상기 안마 헤드 및 상기 하우징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안마 헤드를 이동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는 쿠션 링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다목적 안마 장치.
  7. 초기 위치인 제1위치 및 안마력을 제공하는 제2위치를 향하여 왕복 이동되는 마그네트가 안마 헤드에 연결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자극이 구분 착자되며, 상기 마그네트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코어 및 제2코어의 함몰부에 제1코일 및 제2코일이 각각 권선되고, 상기 제1코일 및 상기 제2코일에 전원 인가시 상기 함몰부를 기준으로 일측 및 타측의 전자력 극성이 구분되는 안마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제1위치에 상기 마그네트가 대기하는 단계;
    상기 제1코일 및 상기 제2코일에 양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마그네트가 상기 제1위치를 이탈하는 단계;
    상기 제1코일에 양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제2코일에 음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마그네트가 계속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1코일 및 상기 제2코일에 음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마그네트가 상기 제2위치에 도달하는 단계;
    상기 제1코일 및 상기 제2코일에 양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마그네트가 상기 제2위치를 이탈하는 단계;
    상기 제1코일에 음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제2코일에 양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마그네트가 계속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1코일 및 상기 제2코일에 음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마그네트가 상기 제1위치에 복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목적 안마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가 상기 제2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제1코일 및 상기 제2코일에 사인파 또는 구형파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양전원 및 상기 음전원의 주파수보다 높은 제2주파수로 진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목적 안마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양전원 및 상기 음전원은 제1주파수를 갖는 구형파 전원이며,
    간헐적으로 단속되거나 상기 제1주파수에 이보다 높은 고주파가 중첩되도록 상기 양전원 및 상기 음전원을 시분할함으로써 상기 안마 헤드를 상기 제1주파수 및 상기 고주파가 중첩된 형태로 진동시키는 다목적 안마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90058227A 2009-06-29 2009-06-29 다목적 안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102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227A KR101102378B1 (ko) 2009-06-29 2009-06-29 다목적 안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227A KR101102378B1 (ko) 2009-06-29 2009-06-29 다목적 안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906A KR20110000906A (ko) 2011-01-06
KR101102378B1 true KR101102378B1 (ko) 2012-01-05

Family

ID=43609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8227A KR101102378B1 (ko) 2009-06-29 2009-06-29 다목적 안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23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3432B (zh) * 2019-05-11 2024-02-06 卓德邦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高频线性震动按摩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098B1 (en) * 2001-08-09 2002-10-07 D P Tech Hanna Corp Vibrational apparatus for electric mattress
KR100383311B1 (ko) * 2000-10-13 2003-05-12 박선영 건강용 전기 안마매트
KR20030070261A (ko) * 2002-02-23 2003-08-30 주식회사 엠베스트 전자기식 타격기
KR20100068682A (ko) * 2008-12-15 2010-06-24 김주윤 휴대용 마사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311B1 (ko) * 2000-10-13 2003-05-12 박선영 건강용 전기 안마매트
KR100355098B1 (en) * 2001-08-09 2002-10-07 D P Tech Hanna Corp Vibrational apparatus for electric mattress
KR20030070261A (ko) * 2002-02-23 2003-08-30 주식회사 엠베스트 전자기식 타격기
KR20100068682A (ko) * 2008-12-15 2010-06-24 김주윤 휴대용 마사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906A (ko) 201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7323B1 (ko) 음향 압력을 이용하는 진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체 자극 장치
RU2738992C2 (ru) Массажер для массажа волной давления
US10172763B2 (en) Skin and scalp massaging apparatus using acoustic pressure
KR200173222Y1 (ko) 초음파피부마사지기
US20060224091A1 (en) Massage device utilizing an unanchored magnet for primary force generation
JP2008126059A (ja) 筋肉弛緩装置
WO2011148855A1 (ja) マッサージ装置
KR101102375B1 (ko) 안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979306B1 (ko) 마사지기
KR20160078162A (ko) 서브모터가 구비한 휴대용 안마기
KR20160064907A (ko) 음향 압력을 이용한 눈 마사지 장치
KR101102378B1 (ko) 다목적 안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07752B1 (ko) 피부 미용기
KR101625430B1 (ko) 음파를 이용한 국소 진동기
KR200247219Y1 (ko) 초음파 피부 마사지기
CN211485618U (zh) 一种强磁共振按摩器
CN209392356U (zh) 一种振动马达按摩机构
JP7145951B2 (ja) 機械的なクリックオン型アクセサリによる二重運動洗浄
KR200476874Y1 (ko) 온열 음파 진동 마사지기
KR102121561B1 (ko) 피부 관리 장치
CN201578551U (zh) 一种点穴加温按摩器
JP2010284372A (ja) 磁気健康器具
KR102506577B1 (ko) 온열 음파 마사지기
JP3238168U (ja) ケーゲルボールを有するマッサージ装置
CN111035551B (zh) 一种强磁共振按摩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