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2320B1 - 연료전지 차량용 냉각수 주입기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차량용 냉각수 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2320B1
KR101102320B1 KR1020090090801A KR20090090801A KR101102320B1 KR 101102320 B1 KR101102320 B1 KR 101102320B1 KR 1020090090801 A KR1020090090801 A KR 1020090090801A KR 20090090801 A KR20090090801 A KR 20090090801A KR 101102320 B1 KR101102320 B1 KR 101102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olant
tms
pipe
coo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3347A (ko
Inventor
강대경
Original Assignee
헤스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스본주식회사 filed Critical 헤스본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0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2320B1/ko
Publication of KR20110033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29Heat exchange us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3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 B60L58/3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fuel cells, e.g. by controlling the electric load
    • B60L58/33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fuel cells, e.g. by controlling the electric load by 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el Cell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 차량용 냉각수 주입기에 관한 것으로, 일측은 제1 배관(H1)으로 차량의 TMS(10)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2 배관(H2)으로 물 리저버(3)와 연결되어 TMS 내부의 냉각수 및 공기를 흡입하여 설정압력(PSET)에 도달할 때까지 진공상태로 만들고 냉각수의 순환 동력을 제공하는 진공펌프(2)와; 일측은 상기 진공펌프(2)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3 배관(H3)으로 이온제거필터(4)와 연결되며 냉각수가 충전되는 물 리저버(3)와; 차량의 TMS(10)로 공급될 냉각수 중의 금속이온을 걸러내는 이온제거필터(4)와; 차량의 TMS(10)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제어부(미도시)에 송신하는 전기전도도센서(11)와; 상기 전기전도도센서(11)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전기전도도가 설정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그 정보를 경고음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한 시각정보로 작업자에게 전달하거나 상기 진공펌프(2)의 작동을 정지시켜 냉각수가 주입을 차단하는 제어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용 냉각수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 냉각수, 주입기, 이온교환수지

Description

연료전지 차량용 냉각수 주입기 { Cooling Water Injection Device For Fuel Cell Stack }
본 발명은 연료전지 차량용 진공/흡입 방식 냉각수 주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전지 차량의 발전모듈인 스택(Stack)을 냉각시키는 시스템인 TMS(Thermal management system) 루프(Loop)에 냉각수를 주입하기 위한 연료전지 차량용 냉각수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 차량의 냉각수는 일반 자동차용 냉각수인 부동액과 달리 전기전도도(conductivity)가 기준치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일반 차량용 냉각수 주입기는 연료전지 차량의 냉각수와 같은 전기전도도에 대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냉각수의 전기전도도에 대한 제작 기준 및 추가 장치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연료전지 차량의 시스템 특성을 고려한 전용의 냉각수 주입기가 없기 때문에 연료전지 차량의 양산시에 큰 어려움이 예상되며, 이에 연료전지 차량에 냉각수를 주입시키기 위한 연료전지 차량 전용의 냉각수 주입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스택의 내구성(수명)과 성능 유지를 위하여 금속이온의 유입이 있어서는 안되므로, 스택을 냉각시키는 TMS라인의 냉각수는 금속이온이 제거된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 2μS/cm 이하의 증류수(Deionized Water)를 사용해야 한다.
이로 인하여, 초기 연료전지 차량에 냉각수 주입 시에는 전기전도도 2μS/cm이하의 초순수 냉각수를 주입하여야 한다. 첨부한 도 1의 연료전지 시스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재 연료전지 차량에서 냉각수는 초순수 제조장치에서 제조된 냉각수를 냉각루프의 보조물 탱크에 주입하고, 구동용 물펌프를 수차례 온/오프(on/off)시키는 것을 반복하여, 루프(Loop) 내부의 기포를 제거하면서 주입하는 바, 그러나 양산성을 고려할 경우 이러한 냉각수 주입방법은 적용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료전지 차량에 적용하는 냉각수 주입기는 별도 제작되어져 있지않다. 현재 양산차량에 적용하는 냉각수 주입기는 1barv 가량 흡입력을 가지는 진공펌프를 장착한 장비를 이용하여 차량의 냉각 Loop를 진공상태로 만든다음 여기에 1barg의 압력으로 냉각수를 급속하게 주입하게 된다. 이러한 장비를 연료전지차량에 적용하여 냉각수를 주입할 경우 연료전지시스템에서 특정 압력차 (0.5 bar) 이상에서 스택 및 기타 주변 장치의 파손이 생길 수 있다.
연료전지시스템의 냉각수 측 Loop에 특정압력 이상이 가해 지게 되면 Bipolar Plate 및 MEA 가 공기/수소 유로와의 압력차에 의하여 파손되어진다. 또한 기존 냉각수 주입기 내부의 냉각수가 닿는 부위는 이온이 용출되어 나올 수 있는 PVC와 같은 일반 플라스틱으로 되어져 있다.
따라서 연료전지 차량에 상기 구조/재질의 냉각수 주입기를 사용하게 되면 연료전지차량 냉각시스템은 파손의 위험성 및 이온전도도가 높은 냉각수가 흐르게 되며 이로인해 스택에 치명적인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그리고 냉각수 주입기에 설치된 Filter 역시 냉각수내 미세 먼지만을 잡을수 있어 이온성 입자를 Filtering 할 수가 없다.
본 기술은 연료전지차량의 발전모듈인 스택(Stack)을 냉각시키는 시스템인 TMS(Thermal management system) Loop에 냉각수를 주입하기 위한 냉각수 주입 장치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료전지 차량은 일반 자동차용 냉각수인 부동액과 달리 전기전도도(conductivity)가 기준치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일반 차량용 냉각수 주입기는 이러한 전기전도도에 대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냉각수의 전기전도도에 대한 제작 기준 및 추가 장치가 설치되어져 있지 않다. 또한 연료전지차량의 시스템 특성을 고려한 전용의 냉각수 주입기가 없기 때문에 연료전지차량의 양산시에 큰 어려움이 예상된다. 본 발명에서는 연료전지차량에 냉각수를 주입시키기 위한 연료전지차량 전용의 냉각수 주입기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차량용 냉각수 주입기는,
일측이 제1 배관(H1)으로 차량의 TMS(10)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2 배관(H2)으로 물 리저버(3)와 연결되어 TMS 내부의 냉각수 및 공기를 흡입하여 설정압력(PSET)에 도달할 때까지 진공상태로 만들고 냉각수의 순환 동력을 제공하는 진공펌프(2)와;
일측은 상기 진공펌프(2)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3 배관(H3)으로 이온제거필 터(4)와 연결되며 냉각수가 충전되는 물 리저버(3)와;
일측은 상기 물 리저버(3)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4 배관(H4)으로 차량의 TMS(10)와 연결되며 차량의 TMS(10)로 공급될 냉각수 중의 금속이온을 걸러내는 이온제거필터(4)와;
상기 이온제거필터(4)와 차량의 TMS(10)를 연결하는 제4 배관(H4)에 위치하여 차량의 TMS(10)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2)에 송신하는 전기전도도센서(11)와;
상기 전기전도도센서(11)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전기전도도가 설정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그 정보를 경고음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한 시각정보로 작업자에게 전달하거나 상기 진공펌프(2)의 작동을 정지시켜 냉각수가 주입을 차단하는 제어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되며, 본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연료전지차량에 주입하는 냉각수를 효과적으로 주입할 수가 있다. 먼저, 작업성을 개선하여 M/H를 단축할 수 있고, 작업시간이 단축된어 작업 효율성이 향상된다. 연료전지차량 냉각수의 전기전도도 효과적 유지/보수 가능하며, 냉각수 주입기에 이온제거기를 장착함으로써 전기전도도 낮은 냉각수의 주입이 가능하다.
종래기술에서 살펴보았듯이 일반차량에서 적용하는 냉각수 주입기를 연료전지차량에 적용하기에는 스택을 포한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파손 및 이온전도도에 문 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기술에서는 진공 흡입 방식의 연료전지차량 전용의 냉각수 주입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냉각수 주입기에서 냉각수가 닿는 부위의 재질을 이온이 용출되지 않는 재질로 바꾸고 냉각수 내에 존재하는 이온을 제거할 수 있는 이온제거필터를 설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 차량용 냉각수 주입기는 진공펌프를 이용한 진공/흡입방식 냉각수 주입 시스템이며, 이온제거필터를 통하여 냉각수 내 이물질 및 이온성 입자를 제거한다. 냉각수 주입기 재질과 관련하여 냉각수가 접촉할 수 있는 부위의 재질을 비용출성 재질로 대체하여 제작한다. 이온성 입자를 Filtering 할 수 있는 이온제거기를 In-line 상태로 장착한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전지 차량용 냉각수 주입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차량용 냉각수 주입기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전지 차량용 냉각수 주입기는 진공펌프(2)와 물 리저버(3)와 이온제거필터(4)와 전기전도도센서(11)와 제어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아 같이, 진공펌프(2)에 있어서, 그 일측은 제1 배관(H1)으로 차량의 TMS(10)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2 배관(H2)으로 물 리저버(3)와 연결되어 TMS 내부의 냉각수 및 공기를 흡입하여 설정압력(PSET)에 도달할 때까지 진공상태로 만들고 냉각수의 순환 동력을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아 같이, 물 리저버(3)의 일측은 상기 진공펌프(2)와 연결되고 물 리저버(3)의 타측은 제3 배관(H3)으로 이온제거필터(4)와 연결된다. 물 리저버(3)에 냉각수가 충전된다.
이온제거필터(4)의 일측은 물 리저버(3)와 연결되고 그 타측은 제4 배관(H4)으로 차량의 TMS(10)와 연결된다. 이온제거필터(4)는 차량의 TMS(10)로 공급될 냉각수 중의 금속이온을 걸러낸다. 이온제거필터(4)는 이온교환수지를 충전한 이온제거기를 냉각수 line에 In-Line으로 연결하여 차량에 주입되기 전 냉각수의 전기전도도를 연료전지차량 요구 수준 이하로 유지시켜 준다.
전기전도도센서(11)는 이온제거필터(4)와 차량의 TMS(10)를 연결하는 제4 배관(H4)에 위치하여 차량의 TMS(10)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2)에 송신한다.
제어부(12)는 전기전도도센서(11)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전기전도도가 설정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그 정보를 경고음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한 시각정보로 작업자에게 전달하거나 상기 진공펌프(2)의 작동을 정지시켜 냉각수가 주입을 차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전지 차량용 냉각수 주입기는, 제어부(12)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1 배관(H1)을 개폐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6)와, 제어부(12)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4 배관(H4)에 개폐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5)와, 물 리저버(3)에 구비되어 기포를 배출하는 제3 솔레노이드 밸브(7)와, 제어부(12)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1 배관(H1), 제4 배관(H4), 및 차량의 TMS(10) 내에 설치된 배관 중 에서 선택된 하나의 배관의 압력을 측정하여 제어부(12)에 송신하는 압력센서(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전지 차량용 냉각수 주입기에 있어서, 제어부(12)는,
a) 제1 솔레노이드 밸브(6) 개방, 제2 솔레노이드 밸브(5) 폐쇄 상태에서 진공펌프(2)를 가동시키고, b) 압력센서(8)에서 측정된 압력이 설정압력(PSET)과 같다고 판단되면 제2 솔레노이드 밸브(5)를 개방하여 냉각수를 차량의 TMS(10) 내관으로 주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전지 차량용 냉각수 주입기에는 차량의 TMS(10)에 충분한 냉각수가 주입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레벨센서(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2)는 레벨센서(9)로부터 냉각수가 설정한 레벨까지 주입되었다는 정보가 수신되면 제1 솔레노이드 밸브(6)와 제2 솔레노이드 밸브(5)를 모두 폐쇄하고 진공펌프(2)를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솔레노이드 밸브(7)는 냉각수를 차량의 TMS(10)에 충전하는 경우 개방된다.
도 2에서 냉각수 주입기 내부의 냉각수가 접촉할 있는 부위는 장시간 냉각수와 접촉하더라도 금속이온이 용출되지 않는 비용출성 재질 (ex : SUS316L, Teflon, Silicone Hose(Food Grade), PP etc)을 사용하여 이온이 냉각수로 용출되지 않도록 제작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전지 차량용 냉각수 주입기에 있어서, 제1 배관(H1)은 차량의 TMS(10)와 진공 펌프(2)를 연결하고, 제2 배관(H2)은 진공 펌프(2)와 물 리저버(3)를 연결한다. 제3 배관(H3)은 물 리저버(3)와 이온제거필터(4)를 연결한다. 제4 배관(H4)은 이온제거필터(4)와 차량의 TMS(10)를 연결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발명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단순히 발명의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을 밝히며 기재된 도면부호에 의해 권리범위가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사용되는 연료전지차량 TMS(Thermal management system)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차량용 냉각수 주입기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H1, H2, H3, H4 : 제1, 2, 3, 4 배관
2 : 진공펌프
3 : 물 리저버
4 : 이온제거필터
5 : 제2 솔레노이드 밸브
6 : 제1 솔레노이드 밸브
7 : 제3 솔레노이드 밸브
8 : 압력센서
9 : 레벨센서
10 : 차량의 TMS
11 : 전기전도도센서
12 : 제어부

Claims (5)

  1. 삭제
  2. 일측이 제1 배관(H1)으로 차량의 TMS(10)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2 배관(H2)으로 물 리저버(3)와 연결되어 TMS 내부의 냉각수 및 공기를 흡입하여 설정압력(PSET)에 도달할 때까지 진공상태로 만들고 냉각수의 순환 동력을 제공하는 진공펌프(2)와;
    일측은 상기 진공펌프(2)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3 배관(H3)으로 이온제거필터(4)와 연결되며 냉각수가 충전되는 물 리저버(3)와;
    일측은 상기 물 리저버(3)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4 배관(H4)으로 차량의 TMS(10)와 연결되며 차량의 TMS(10)로 공급될 냉각수 중의 금속이온을 걸러내는 이온제거필터(4)와;
    상기 이온제거필터(4)와 차량의 TMS(10)를 연결하는 제4 배관(H4)에 위치하여 차량의 TMS(10)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2)에 송신하는 전기전도도센서(11)와;
    상기 전기전도도센서(11)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전기전도도가 설정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그 정보를 경고음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한 시각정보로 작업자에게 전달하거나 상기 진공펌프(2)의 작동을 정지시켜 냉각수가 주입을 차단하는 제어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12)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1 배관(H1)을 개폐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6)와,
    상기 제어부(12)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4 배관(H4)에 개폐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5)와,
    상기 물 리저버(3)에 구비되어 기포를 배출하는 제3 솔레노이드 밸브(7)와,
    상기 제어부(12)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1 배관(H1), 제4 배관(H4), 및 차량의 TMS(10) 내에 설치된 배관 중 에서 선택된 하나의 배관의 압력을 측정하여 제어부(12)에 송신하는 압력센서(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용 냉각수 주입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는,
    a) 제1 솔레노이드 밸브(6) 개방, 제2 솔레노이드 밸브(5) 폐쇄 상태에서 진공펌프(2)를 가동시키고,
    b) 압력센서(8)에서 측정된 압력이 설정압력(PSET)과 같다고 판단되면 제2 솔레노이드 밸브(5)를 개방하여 냉각수를 차량의 TMS(10) 내관으로 주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용 냉각수 주입기.
  4. 제3항에 있어서,
    차량의 TMS(10)에 충분한 냉각수가 주입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레벨센서(9)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레벨센서(9)로부터 냉각수가 설정한 레벨까지 주입되었다는 정보가 수신되면 제1 솔레노이드 밸브(6)와 제2 솔레노이드 밸브(5)를 모두 폐쇄하고 진공펌프(2)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용 냉각수 주입기.
  5. 일측이 제1 배관(H1)으로 차량의 TMS(10)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2 배관(H2)으로 물 리저버(3)와 연결되어 TMS 내부의 냉각수 및 공기를 흡입하여 설정압력(PSET)에 도달할 때까지 진공상태로 만들고 냉각수의 순환 동력을 제공하는 진공펌프(2)와;
    일측은 상기 진공펌프(2)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3 배관(H3)으로 이온제거필터(4)와 연결되며 냉각수가 충전되는 물 리저버(3)와;
    일측은 상기 물 리저버(3)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4 배관(H4)으로 차량의 TMS(10)와 연결되며 차량의 TMS(10)로 공급될 냉각수 중의 금속이온을 걸러내는 이온제거필터(4)와;
    상기 이온제거필터(4)와 차량의 TMS(10)를 연결하는 제4 배관(H4)에 위치하여 차량의 TMS(10)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2)에 송신하는 전기전도도센서(11)와;
    상기 전기전도도센서(11)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전기전도도가 설정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그 정보를 경고음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한 시각정보로 작업자에게 전달하거나 상기 진공펌프(2)의 작동을 정지시켜 냉각수가 주입을 차단하는 제어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냉각수가 접촉하는 부위의 재질은 Teflon, Silicone Hose(Food Grade), 및 PP 중에서 선택되는 금속이온이 용출되지 않는 비용출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용 냉각수 주입기.
KR1020090090801A 2009-09-25 2009-09-25 연료전지 차량용 냉각수 주입기 KR101102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801A KR101102320B1 (ko) 2009-09-25 2009-09-25 연료전지 차량용 냉각수 주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801A KR101102320B1 (ko) 2009-09-25 2009-09-25 연료전지 차량용 냉각수 주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347A KR20110033347A (ko) 2011-03-31
KR101102320B1 true KR101102320B1 (ko) 2012-01-03

Family

ID=43937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801A KR101102320B1 (ko) 2009-09-25 2009-09-25 연료전지 차량용 냉각수 주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23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75500B2 (en) 2013-04-04 2016-03-01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condition of a coolant in a vehicle
CN106185778A (zh) * 2016-07-12 2016-12-07 北京长城华冠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热管理管路的液体加注设备和方法
KR101858728B1 (ko) * 2016-01-27 2018-05-16 (주)정우프랜트 순환식 연료전지 차량용 냉각수 주입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978B1 (ko) * 2017-04-12 2021-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냉각수 관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8157A (ja) * 1999-01-14 2000-07-28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運転システム
KR20020065118A (ko) * 2001-02-05 2002-08-1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를 위한 자동 실험 및 성능 평가장치
JP2004071331A (ja) 2002-08-06 2004-03-04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システムの冷却媒体循環制御装置
JP2004192959A (ja) 2002-12-11 2004-07-08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の冷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8157A (ja) * 1999-01-14 2000-07-28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運転システム
KR20020065118A (ko) * 2001-02-05 2002-08-1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를 위한 자동 실험 및 성능 평가장치
JP2004071331A (ja) 2002-08-06 2004-03-04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システムの冷却媒体循環制御装置
JP2004192959A (ja) 2002-12-11 2004-07-08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の冷却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75500B2 (en) 2013-04-04 2016-03-01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condition of a coolant in a vehicle
KR101858728B1 (ko) * 2016-01-27 2018-05-16 (주)정우프랜트 순환식 연료전지 차량용 냉각수 주입기
CN106185778A (zh) * 2016-07-12 2016-12-07 北京长城华冠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热管理管路的液体加注设备和方法
CN106185778B (zh) * 2016-07-12 2019-01-08 北京长城华冠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热管理管路的液体加注设备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347A (ko) 201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7441B2 (en) Injector flow measurement for fuel cell applications
KR101102320B1 (ko) 연료전지 차량용 냉각수 주입기
CN101874324B (zh) 燃料电池系统
CN109148914B (zh) 一种燃料电池汽车氢气管理系统
JP2006214512A (ja) ガス充填異常診断システム
US11411234B2 (en) Fuel cell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ity of fuel cell system
CN108448132B (zh) 燃料电池电堆不同工况下温度分布模拟装置及方法
DE102008018276A1 (de) Geschlossener Kühlmittelkreislauf mit Ausdehnungsvorrichtung für ein Brennstoffzellensystem
WO2005096420A2 (en) Fuel cel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2538880B (zh) 基于燃料电池系统中的阳极压力响应的流量估计
US9458004B2 (en) Fueling nozzle for gaseous fuels with integrated means for gas detection
KR20150033841A (ko) 연료전지 스택의 성능 회복 방법
CN111022915A (zh) 燃料电池汽车高压快速加氢方法及系统
CN102225738B (zh) 一种便携式密闭容腔真空注液方法及装置
CN104165739B (zh) 采用集热器流道立式自动试压机进行试压的方法
CN201281647Y (zh) 燃料电池质子交换膜及膜电极的测漏仪
CN205740346U (zh) 自动加油控制装置
KR101724476B1 (ko) 연료전지 차량의 이온 필터 관리 방법
CN203587338U (zh) 压力开关寿命检测工装
KR20090020172A (ko) 연료전지 차량용 가압 순환식 냉각수 주입 장치
JP2007329105A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の異常検出装置、および同システムの異常検出方法
JP2010287578A (ja) 燃料電池劣化診断装置
CN205035194U (zh) 一种edi系统
KR101858728B1 (ko) 순환식 연료전지 차량용 냉각수 주입기
CN115939462A (zh) 一种非侵入式多堆燃料电池系统故障诊断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