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2254B1 -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2254B1
KR101102254B1 KR1020090000698A KR20090000698A KR101102254B1 KR 101102254 B1 KR101102254 B1 KR 101102254B1 KR 1020090000698 A KR1020090000698 A KR 1020090000698A KR 20090000698 A KR20090000698 A KR 20090000698A KR 101102254 B1 KR101102254 B1 KR 101102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battery
bulb
main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1457A (ko
Inventor
박영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90000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2254B1/ko
Publication of KR20100081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1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40Hand grips
    • F21V21/406Hand grip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구비되는 측판과,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배터리삽입부(111)에 구비되는 배터리와,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조명부삽입부(113)에 삽입 설치되며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PCB기판(141)과 상기 PCB기판(141)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제1 전구(143)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조명부(140)와, 상기 조명부삽입부(113)에 이웃하여 본체(110)에 형성된 렌즈삽입부(117)에 삽입 설치되며 단면이 원형인 투명 막대인 렌즈(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전구(143)는 렌즈(150)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100)에 관한 것으로; 상하 폭은 좁고 좌우 범위는 넓게 광량이 유지되어 빛이 평면 수평 방향으로 조사되며 조사되는 범위에 있어서 조도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지면 등에 잔존하는 족적, 지문, 머리카락 등과 같은 증거물을 용이하게 탐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조명, 증거물, 탐색

Description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AN LIGHTING DEVICE FOR SEARCHING EVIDENCES}
본 발명은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면이 원형인 투명 막대인 렌즈와 상기 렌즈에 이웃하게 설치되어 렌즈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며 렌즈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전구로 이루어지는 조명부를 구비하여 상하 폭은 좁고 좌우 범위는 넓게 광량이 유지되어 빛이 평면 수평 방향으로 조사되며 조사되는 범위에 있어서 조도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지면 등에 잔존하는 족적, 지문, 머리카락 등과 같은 증거물을 용이하게 탐색할 수 있는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사건 사고 현장에서 잔존하는 증거물을 빠짐없이 수집하고, 촬영하는 작업은 형사 사건을 해결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초기 업무 중의 하나이다. 도 1은 증거물 탐색 작업에 사용된 종래 기술에 의한 조명기구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조명기구(1)는 축전지 또는 건전지가 내부에 안착되며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으로 개구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개구된 부분으로 나사 체결되는 뚜껑(20)과, 상기 몸체(10) 내측의 안착부(11)에 삽입되며 건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구(50)와, 상기 몸체(10)의 내측으로 구 비되며 상기 전구(50)를 둘러싸는 오목한 형상의 반사경(30)과, 상기 몸체(10)의 개구된 부분으로 위치하여 뚜껑(20)에 의하여 고정되는 판상의 투명유리(40)로 구성된다.
상기 반사경(30)은 전구(50)에 대하여 오목하게 만곡 형성되며 전구(50)를 향하는 면에 반사체(31)가 도포된다. 도 1에서 도면부호 25는 스위치로 건전지와 전구(50)의 전기적 연결을 단속하는 구성이다. 상기 뚜껑(40)과 몸체(10)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상기 전구(50)는 소비전력이 크게 절감되는 LED램프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조명기구(1)로 사건 사고 현장에 잔존하는 증거물을 탐색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원형 단면을 가지고 조사되므로, 바닥면에 면적이 좁고 길게 형성되며 조사 면적에서의 조도 차이가 발생하여 증거물 탐색이 용이하지 않으며, 바닥으로부터 높이나 조사 각도에 따라 다른 형태의 조사 면적 및 다른 조도로 조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상하 폭은 좁고 좌우 범위는 넓게 광량이 유지되어 빛이 평면 수평 방향으로 조사되며, 사건 현장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작업하는 것이 용이하며, 특히 탐색 단계에서 지문이나 족적의 전체적인 형상을 명확하게 탐색할 수 있는 증거물 탐색용 조명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구비되는 측판과, 상기 본체에 형성된 배터리삽입부에 구비되는 배터리와, 상기 본체에 형성된 조명부삽입부에 삽입 설치되며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PCB기판과 상기 PCB기판에 설치된 복수의 제1 전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삽입부에 이웃하여 본체에 형성된 렌즈삽입부에 삽입 설치되며 단면이 원형인 투명 막대인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전구는 렌즈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본체는 렌즈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평면을 가진다.
상기에서 제1 전구는 LED램프이며, 상기 제1 전구와 렌즈는 서로 접하거나, 상기 제1 전구와 렌즈 사이에는 2.0㎜보다 작은 틈새가 형성된다.
상기에 있어서, 렌즈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기 제1 전구 사이의 간격은 3.0∼3.5㎝ 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는 직육면체 형태로서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 연통된 통공인 배터리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삽입부에 이웃하고 배터리삽입부가 형성된 면으로 연통되며 상기 배터리삽입부와 반대 방향을 향하여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배터리삽입부가 형성된 서로 마주보는 면에 구비되는 측판과, 상기 배터리삽입부에 삽입되며 양측에서 측판으로 지지되는 배터리와, 상기 개구부에 배터리삽입부의 형성 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에 이웃하여 상기 개구부에 배터리삽입부의 형성 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단면이 원형이며 투명한 막대인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는 배터리삽입부와 하나 이상의 연결공으로 연통되고 배터리삽입부의 형성 방향으로 형성된 서로 마주보는 오목한 홈으로 이루어지는 조명부삽입부와, 상기 조명부삽입부와 이격되어 배터리삽입부의 형성 방향으로 형성된 서로 마주보는 오목한 원호로 이루어지는 렌즈삽입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명부는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으로 상하 양측이 상기 조명부삽입부에 삽입되는 PCB기판과, 상기 PCB기판에 구비되며 조명부삽입부에 삽입된 때 배터리삽입부의 형성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전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렌즈는 렌즈삽입부에 슬라이딩 삽입되며, 상기 본체는 렌즈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평면을 가진다.
상기에서 개구부는 상기 렌즈삽입부에 이웃하며 개구된 방향으로 폭이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의 경사각은 20°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1 전구는 LED램프이고 상기 제1 전구와 렌즈는 서로 접하거나, 상기 제1 전구와 렌즈 사이에는 2.0㎜보다 작은 틈새가 형성되며, 상기 렌즈의 지름은 15∼15.5㎜ 범위이며,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렌즈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12∼13㎜ 범위로 형성된다.
상기에 있어서, 배터리삽입부의 형성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기 제1 전구 사이의 간격은 3.0∼3.5㎝ 범위이다.
상기에서 제1 전구의 일측으로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전구를 더 포함하 며, 상기 제2 전구에서 방출되는 빛의 파장은 440∼460㎚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전구에서 방출되는 빛의 파장은 450㎚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100)를 사용하여 증거물을 탐색하는 경우, 상하 폭은 좁고 좌우 범위는 넓게 광량이 유지되어 빛이 평면 수평 방향으로 조사되며 조사되는 범위에 있어서 조도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지면 등에 잔존하는 족적, 지문, 머리카락 등과 같은 증거물을 용이하게 탐색할 수 있으며, 사건 현장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작업하는 것이 용이하며, 특히 지문이나 족적이 탐색 단계에서 전체적인 형상이 명확하게 나타나므로 동일성 분석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으며, 440∼460㎚ 범위의 파장 바람직하게는 450㎚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제2 전구(145)를 더 포함하여 육안으로 관찰이 용이하지 않은 지문, 정액 등을 명확하게 탐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종래 기술과 동등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을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에 구비되는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3의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에 구비되는 측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도 3의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에 구비되는 조명 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며, 도 10은 도 3의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에 구비되는 렌즈를 도시한 것이며, 도 11은 도 4의 본체에 조명부와 렌즈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가 제2 전구를 구비하는 경우 제2 전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의 조사 상태를 측방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100)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측판(120, 130)과, 상기 본체(100) 내로 상기 측판(120, 130) 사이에 구비되는 배터리(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본체(110) 내로 측판(120, 130) 사이에 구비되는 조명부(140)와, 상기 본체(110) 내로 측판(120, 130) 사이로 구비되며 본체(110)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렌즈(150)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측판(120, 130) 중 어느 하나는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운반이나 증거물 탐색을 용이하게 위하여 상기 본체(110)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101)가 구비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01)는 고무밴드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양단이 본체(110)의 일면에 고정된다. 상기 렌즈(150)가 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본체(110)에는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태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 연통된 통공인 배터리삽입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 삽입부(111)에 이웃하고 배터리삽입부(111)가 형성된 면으로 연통되며 배터리삽입부(111)와 반대 방향을 향하여 개구된 개구부(116)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116)의 외측으로 상하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8면체 형태로부터 배터리삽입부(111)와 개구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직육면체 형태는 모서리가 직각인 직육면체 형태 또는 이루는 면이 육면인 형태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육면체에서 경사면이 추가되거나, 모서리에 라운딩면이 추가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경사면의 형성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8면체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배터리삽입부(111)와 개구부(116)가 형성되기 전에 전체적인 형상이 직육면체 형태와 유사한 형태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하에서 본체(110)의 길이 방향 또는 배터리삽입부(111) 형성 방향은 도 4에서 배터리삽입부(111)가 연통된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개구부(116)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삽입부(111)와 개구부(116) 사이에 구비되는 격벽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연결공(115)을 통하여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16)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삽입부(111)와 하나 이상의 연결공(115)으로 연통되고 배터리삽입부(111)의 형성 방향으로 형성된 서로 마주보는 오목한 홈으로 이루어지는 조명부삽입부(113)와, 상기 조명부삽입부(113)와 이격되어 배터리삽입부(111)의 형성 방향으로 형성된 서로 마주보는 오목한 원호로 이루어지는 렌즈삽입부(117)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렌즈삽입부(117)에 이웃하며 개구된 방향으로 폭이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19)를 더 포함한다. 상기 조명부삽입부(113)와 렌즈삽입부(117) 사이에는 조명부삽입부(113)보다 작은 상하 폭을 가지며, 조명부삽입부(113)에 삽입된 조명부(140)의 제1 전구(143)가 위치하는 전구위치부(114)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119)의 경사각(θ)은 20°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10)의 양측에는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판(120, 130)이 구비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삽입부(111)가 형성된 본체(11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하나 이상의 나사공(112)을 형성하고, 상기 각 측판(120, 130)에 하나 이상의 조립공(123, 135)을 형성하여 도시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나사를 조립공(123, 135)을 통하여 나사공(112)에 체결하여 측판(120, 130)을 본체(110)에 고정시킨다.
상기 측판(12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 형태로서 하나 이상의 조립공(123)이 형성된다. 상기 측판(13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 형태로서 하나 이상의 조립공(135)이 형성되며, 조명부(140)와 배터리의 전기적 연결 사이에 구비되는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기 위하여 스위치설치공(133)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배터리가 축전지인 경우 충전 잭을 연결하기 위한 충전잭연결공(13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판(120, 130) 중 어느 하나는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판(120, 130) 중 어느 하나가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삽입부(111)는 본체(110)의 어느 일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홈이 된다.
상기 렌즈(15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인 투명 막대이며, 유리나 아크릴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렌즈(150)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삽입부(117)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렌즈(150)는 렌즈삽입부(117)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116)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개구부(116)의 끝단부에 투명판을 더 구비하여 렌즈(150)를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삽입부(113)에 삽입되는 조명부(14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PCB기판(141)과, 상기 PCB기판(141)에 간격을 가지도록 설치된 복수의 제1 전구(143)로 이루어진다. 도 8 및 도 9에서 도면부호 147은 PCB기판(141)에 구비되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이다. 상기 제1 전구(143)의 일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2 전구(145)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명부(140)가 복수의 제2 전구(145)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에 더하여 제1 전구(143) 또는 제2 전구(145)로 전원을 연결하는 전환 스위치를 더 구비한다. 도 9에서 PCB기판(141)의 상하 양단이 조명부삽입부(113)에 슬라이딩 삽입하면서 상기 조명부(140)가 본체(110)에 설치되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구(143)는 렌즈(150)를 향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구(143)의 일측으로 제2 전구(145)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제2 전구(145)도 렌즈(150)를 향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에서 제1 전구(143) 및/또는 제2 전구(145)의 중심을 렌즈(150)의 중심과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전구(143)는 LED램프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구(145)도 LED램프로 할 수 있다. 배터리에 연결된 제1 전구(143)로부터 조사된 빛은 단면이 원형 인 렌즈(150)를 통과하면서 개구부(116)를 통하여 조사된다. 상기 제1 전구(143)는 백색 가시광선을 방출하며, 상기 제2 전구(145)는 청색광을 방출한다. 상기 제2 전구(145)에서 방출되는 빛의 파장은 440∼460㎚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450㎚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렌즈삽입부(117)로 렌즈(150)가 삽입되고, 조명부삽입부(113)로 조명부(140)가 삽입된 때, 상기 제1 전구(143)와 제2 전구(145)는 렌즈(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구(143) 및 제2 전구(145)와 렌즈(150) 사이에는 틈새(t)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전구(143)를 렌즈(150)와 접촉하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연속적인 증거물 탐색을 위하여 상기 본체(110)는 렌즈(15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평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예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 렌즈(150)의 단면을 원형으로 하고 지름(D)을 15∼15.5㎜ 범위로 하며, 상기 렌즈(150)와 제1 전구(143) 및/또는 제2 전구(145)를 접촉시키는 구조로 하거나 상기 틈새(t)를 2㎜보다 작게 하며, 상기 제1 전구(143) 사이의 간격(L)을 3.0∼3.5㎜ 범위로 하여 증거물 탐색을 실시하였다. 제2 전구(145)를 구비하는 경우 제2 전구(145) 사이의 간격도 제1 전구(143)와 같은 간격 범위 갖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렌즈(150), 틈새(t), 제1 전구(143) 사이의 간격(L) 범위로 실시하는 경우 도 12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폭은 좁고 좌우 범위는 넓 게 광량이 유지되어 빛이 평면 수평 방향으로 조사되었으며, 조사되는 부분에서 조도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육안으로 조도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따라서 조사되는 영역에 존재하는 족적을 정밀하게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틈새(t)를 2㎜보다 크게 하는 경우 빛이 상하로 분산되어 평면 수평 방향으로 조사되지 않게 되었으며, 제1 전구(143) 사이의 간격(L)을 3.0∼3.5㎜ 범위보다 작게 하는 경우 필요 이상으로 많은 전구를 설치하게 되며 3.0∼3.5㎜ 범위보다 크게 하는 경우 조사되는 전구 사이에 공백 부분이 형성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0)에 형성되는 평면으로부터 렌즈(150) 중심까지의 높이를 12∼13㎜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높이가 12㎜보다 낮으면 지면 조사 면적이 감소하였고, 13㎜보다 높으면 지면을 비추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3 및 도 14는 제1 전구(143)를 '오프'시키고, 제2 전구(145)를 '온'상태로 하여 사건 현장에 잔존하는 지문, 정액 등을 검색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제2 전구(145)에서 방출되는 빛의 파장이440∼460㎚ 범위, 바람직하게는 450㎚인 경우 백색광의 조사시 관찰할 수 없었던 지문, 정액 등을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는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조명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및 일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조명기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에 구비되는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3의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에 구비되는 측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3의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에 구비되는 조명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3의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에 구비되는 렌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4의 본체에 조명부와 렌즈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가 제2 전구를 구비하는 경우 제2 전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의 조사 상태를 측방에서 도시한 것이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직육면체 형태로서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 연통된 통공인 배터리삽입부(111)와 상기 배터리삽입부(111)에 이웃하고 배터리삽입부(111)가 형성된 면으로 연통되며 상기 배터리삽입부(111)와 반대 방향을 향하여 개구된 개구부(116)가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배터리삽입부(111)가 형성된 서로 마주보는 면에 구비되는 측판(120, 130)과, 상기 배터리삽입부(111)에 삽입되며 양측에서 측판(120, 130)으로 지지되는 배터리와, 상기 개구부(116)에 배터리삽입부(111)의 형성 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조명부(140)와, 상기 조명부(140)에 이웃하여 상기 개구부(116)에 배터리삽입부(111)의 형성 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단면이 원형이며 투명한 막대인 렌즈(150)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116)는 배터리삽입부(111)와 하나 이상의 연결공(115)으로 연통되고 배터리삽입부(111)의 형성 방향으로 형성된 서로 마주보는 오목한 홈으로 이루어지는 조명부삽입부(113)와, 상기 조명부삽입부(113)와 이격되어 배터리삽입부(111)의 형성 방향으로 형성된 서로 마주보는 오목한 원호로 이루어지는 렌즈삽입부(117)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명부(140)는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으로 상하 양측이 상기 조명부삽입부(113)에 삽입되는 PCB기판(141)과, 상기 PCB기판(141)에 구비되며 조명부삽입부(113)에 삽입된 때 배터리삽입부(111)의 형성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전구(143)로 이루어지며; 상기 렌즈(150)는 렌즈삽입부(117)에 슬라이딩 삽입되며, 상기 본체(110)는 렌즈(15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평면을 가지며, 상기 제1 전구(143)는 LED램프이고 상기 제1 전구(143)와 렌즈(150)는 서로 접하거나, 상기 제1 전구(143)와 렌즈(150) 사이에는 2.0㎜보다 작은 틈새(t)가 형성되며, 상기 렌즈(150)의 지름(D)은 15∼15.5㎜ 범위이며, 본체(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렌즈(150)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12∼13㎜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100).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16)는 상기 렌즈삽입부(117)에 이웃하며 개구된 방향으로 폭이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19)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119)의 경사각(θ)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100).
  6. 삭제
  7. 제4 항에 있어서, 배터리삽입부(111)의 형성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기 제1 전구(143) 사이의 간격은 3.0∼3.5㎝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100).
  8. 삭제
  9. 제4 항, 제5 항 및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구(143)의 일측으로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전구(14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구(145)에서 방출되는 빛의 파장은 440∼46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100).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구(145)에서 방출되는 빛의 파장은 4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100).
KR1020090000698A 2009-01-06 2009-01-06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 KR101102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698A KR101102254B1 (ko) 2009-01-06 2009-01-06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698A KR101102254B1 (ko) 2009-01-06 2009-01-06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457A KR20100081457A (ko) 2010-07-15
KR101102254B1 true KR101102254B1 (ko) 2012-01-05

Family

ID=42641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698A KR101102254B1 (ko) 2009-01-06 2009-01-06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22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538B1 (ko) 2015-03-10 2016-10-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크래시패드의 제조 장치
KR200483249Y1 (ko) * 2015-07-23 2017-05-11 주식회사 보아스린 자외선 경화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0534A (ja) * 1996-03-29 1997-10-14 Iwasaki Electric Co Ltd 線状光源
JP2008108819A (ja) * 2006-10-24 2008-05-08 Imac Co Ltd 画像処理用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0534A (ja) * 1996-03-29 1997-10-14 Iwasaki Electric Co Ltd 線状光源
JP2008108819A (ja) * 2006-10-24 2008-05-08 Imac Co Ltd 画像処理用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457A (ko) 201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68966B1 (en) Lighting apparatus using light emitting diode
US7572034B2 (en) Multiple side illumination assembly
DE60220484D1 (de) Weisses Licht emittierende Vorrichtung mit verbessertem Wirkungsgrad
US9175840B2 (en) LED wall light fixture
KR101102254B1 (ko) 증거물 탐색용 조명기구
JP2009151967A (ja) Ledランプ
KR20180096400A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CN101846291A (zh) 发光二极管灯具
CN104728774A (zh) 具有罩架的无盖式线性光源光导引装置
KR101478628B1 (ko) 엘이디 등기구 본체
US10295133B2 (en) Modular solid state high bay lighting fixture
DE60029994D1 (de) Beleuchtungsvorrichtung zum einbau in eine ebene oberfläche
KR20150123633A (ko) 렌즈, 커버부재 및 led조명장치
KR101082548B1 (ko) 횡단보도용 조명등
KR101201881B1 (ko) 엘이디 점광원 도광판과 이를 이용한 도광판 모듈
KR101664425B1 (ko) 조명 장치
CN219606902U (zh) 一种道路照明用观赏路灯
KR102455366B1 (ko) 엘이디조명장치
KR101448389B1 (ko) 광 분산 제어판을 가진 고효율 엘이디 배광 모듈
KR101734400B1 (ko) 조명장치
KR20190067987A (ko) Led 보안등 또는 가로등
KR20190043904A (ko) Led 조명장치
KR20160144039A (ko) 장착 편리성을 구비한 조명등
KR102647849B1 (ko) 듀얼조명장치
CN212377859U (zh) 一种线型地埋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