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1553B1 - 입력 플러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하는 아답터 - Google Patents

입력 플러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하는 아답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1553B1
KR101101553B1 KR1020100056499A KR20100056499A KR101101553B1 KR 101101553 B1 KR101101553 B1 KR 101101553B1 KR 1020100056499 A KR1020100056499 A KR 1020100056499A KR 20100056499 A KR20100056499 A KR 20100056499A KR 101101553 B1 KR101101553 B1 KR 101101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lug
reinforcing member
input plu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6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6462A (ko
Inventor
이재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6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553B1/ko
Publication of KR20110136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01R12/585Terminals having a press fit or a compliant portion and a shank passing through a hole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기기의 입력 플러그를 회로 기판과 전기적, 물리적으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입력 플러그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하는 아답터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아답터는 내부에 적어도 한 쌍의 플러그 홀이 형성되는 회로 기판, 일단이 플러그 홀을 관통하며 삽입되어 회로 기판에 체결되는 한 쌍의 입력 플러그, 입력 플러그와 플러그 홀의 내벽 사이에 개재되어 회로 기판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 부재, 및 입력 플러그의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회로 기판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력 플러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하는 아답터{ASSEMBLY OF INPUT PLUG AND ADAPT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입력 플러그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하는 아답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기기의 입력 플러그를 회로 기판과 전기적, 물리적으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입력 플러그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하는 아답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기기의 입력 플러그는 콘센트에 삽입되어 전원을 전자 기기로 제공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입력 플러그는 전자 기기의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데, 종래의 경우, 별도의 전선을 이용하여 입력 플러그와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조가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입력 플러그 어셈블리는 별도의 연결 와이어를 이용하므로, 입력 플러그 조립 시 연결 와이어를 회로 기판과 입력 플러그에 접합해야 하는 별도의 공정이 수행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입력 플러그가 체결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연결 와이어가 설치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게 되므로, 입력 플러그 하우징의 소형화를 저해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되어진 것으로, 입력 플러그가 회로 기판에 직접 결합되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입력 플러그 하우징의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한 입력 플러그 어셈블리 와, 이를 이용하는 아답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 플러그 어셈블리는 내부에 적어도 한 쌍의 플러그 홀이 형성되는 회로 기판, 일단이 플러그 홀을 관통하며 삽입되어 회로 기판에 체결되는 한 쌍의 입력 플러그, 및 입력 플러그와 플러그 홀의 내벽 사이에 개재되어 회로 기판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입력 플러그는 일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구비하며, 돌기가 절곡되어 회로 기판의 일면에 코킹되며 회로 기판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회로 기판은 플러그 홀의 둘레를 따라 단자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입력 플러그는 돌기가 단자부와 접촉하도록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강 부재는 플러그 홀의 형상과 대응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로 기판의 두께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강 부재는 일단에서 관의 외부면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랜지부는 회로 기판의 단자부와 유사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강 부재는 플러그 홀의 내벽 중 돌기가 절곡되는 방향과 대응하는 내벽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보강 부재는 끝단에서 플러그 홀의 내벽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강 부재는 금속, 수지, 세라믹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강 부재는 플러그 홀의 내벽과 접하는 면에 절연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답터는 내부에 적어도 한 쌍의 플러그 홀이 형성되는 회로 기판, 일단이 플러그 홀을 관통하며 삽입되어 회로 기판에 체결되는 한 쌍의 입력 플러그, 입력 플러그와 플러그 홀의 내벽 사이에 개재되어 회로 기판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 부재, 및 입력 플러그의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회로 기판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 플러그를 회로 기판 상에 직접 고정시키므로, 회로 기판과 플러그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을 배제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강 부재를 이용하여 회로 기판의 강성을 보강하므로, 입력 플러그 체결 시 회로 기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하여 입력 플러그가 회로 기판 상에 직접 결합되어 연결와이어 등 별도의 연결부재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가 있으므로 아답터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플러그 어셈블리를 갖는 아답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보강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아답터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와 이를 구비한 아답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와 이를 구비한 아답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플러그 어셈블리를 갖는 아답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보강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아답터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플러그(30) 어셈블리는 아답터(100) 등에서 입력 플러그(30)와 회로 기판(20)이 연결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아답터(100)는 하우징(10), 회로 기판(20), 입력 플러그(30), 및 보강 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0)은 하부 케이스(11)와 상부 케이스(15)로 구성되고,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되는 구성요소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하부 케이스(11)에는 한 쌍의 삽입 홀(12)이 형성된다. 삽입 홀(12)은 후술되는 입력 플러그(30)가 삽입되는 곳으로, 입력 플러그(30)의 단면과 대응하는 크기와 형태로 형성된다. 상부 케이스(15)는 하부 케이스(11)와 끼움 결합 또는 나사 부재에 의한 나사 결합 등으로 결합되며, 내부에 후술되는 회로 기판(20)이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회로 기판(20)은 하부 케이스(11)와 상부 케이스(15)의 결합으로 형성된 공간 내에 설치되며, 입력 플러그(30)로부터 인가되는 교류전압이 변압기(도시되지 않음) 등을 통하여 원하는 레벨의 직류전압으로 정류되어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회로 기판(20)은 하부 케이스(11)의 삽입 홀(12)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한 쌍의 플러그 홀(22)이 형성된다. 플러그 홀(22)은 후술되는 입력 플러그(3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곳이다. 따라서 입력 플러그(30)의 단면과 대응하는 크기와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회로 기판(20)은 플러그 홀(22) 둘레 부분에 단자부(24)가 형성된다. 단자부(24)는 후술되는 입력 플러그(30)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며 입력 플러그(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플러그 홀(22)과 단자부(24)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입력 플러그(30)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입력 플러그(30)는 한 쌍의 도전성 막대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이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되고, 타단은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외부로 노출된 타단은 콘센트에 삽입되어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또한 입력 플러그(3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하부 케이스(11)를 지지하도록 외주면을 따라 돌출부(32)가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32)는 하우징(10)의 내에서 입력 플러그(30)의 유동을 방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플러그(30)는 일단이 하부 케이스(11)의 삽입 홀(12)과, 회로 기판(20)의 플러그 홀(22)을 관통하며 회로 기판(20)에 체결된다. 이때 입력 플러그(30)는 회로 기판(20)에 물리적, 전기적으로 체결된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플러그(30)는 타단에 2개의 돌기(34)가 형성된다. 이 2개의 돌기(34)는 회로 기판(20)을 관통하여 회로 기판(20)의 일면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또는 코킹, caulking)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플러그(30)는 회로 기판(20)에 물리적으로 고정 체결된다.
또한 2개의 돌기(34)가 절곡됨에 따라, 2개의 돌기(34)는 회로 기판(20)에 형성된 단자부(24)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 입력 플러그(30)는 전기적으로도 회로 기판(20)과 연결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34)가 2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개 또는 2개 이상의 개수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보강 부재(40)는 입력 플러그(30)와 플러그 홀(22)의 내벽 사이에 개재되어 회로 기판(20)의 강성을 보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40)는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로 기판(20)의 플러그 홀(22)에 삽입된다. 보강 부재(40)의 내부에는 입력 플러그(30)의 일단이 관통하며 삽입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40)는 회로 기판(20)의 두께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플러그 홀(22)의 형상에 대응하는 외형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러그 홀(2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이 플러그 홀(22)의 단면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입력 플러그(30)의 단면보다 큰 크기로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 부재(40)는 입력 플러그(30)의 돌기(34)를 절곡하는 과정에서 회로 기판(20)에 인가되는 힘에 의해 회로 기판(2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회로 기판(2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 부재(4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강성을 갖는 수지나 세라믹 등 다양한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보강 부재(40)로 금속 재질을 이용하는 경우, 회로 기판(20)에 형성된 회로 패턴들(도시되지 않음)과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단락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플러그 홀(22)의 내벽과 접하게 되는 보강 부재(40)의 외부면에 절연물질을 코팅하여 절연층을 형성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아답터(100)는 입력 플러그(30)의 일단에 형성된 돌기(34)가 절곡되며 회로 기판(20)에 직접 체결되고, 이로 인해 회로 기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입력 플러그(30)는 회로 기판(20)에 직접 고정된 상태에서 전력을 회로 기판(20)으로 제공하게 된다.
이하,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답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1)에 안착된 회로 기판(20)의 플러그 홀(22)에 보강 부재(40)가 삽입된다.
이어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1)의 플러그 홀(22)과, 회로 기판(20)의 삽입 홀(12)에 삽입된 보강 부재(40)에 입력 플러그(30)의 일단을 관통시킨다. 이에 돌기(34)가 형성된 입력 플러그(30)의 일단은 회로 기판(20)의 일면 위로 돌출되도록 위치된다.
이어서 입력 플러그(30)의 일단을 가압하여 입력 플러그(30)의 일단에 형성된 2개의 돌기(34)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코킹(caulking)한다. 이때, 2개의 돌기(34)는 회로 기판(20)의 단자부(24)에 접촉하도록 절곡된다. 이후, 이에 상부 케이스(15)를 체결하여 하우징(10)을 형성함으로써 완성된 아답터(100)를 제조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플러그 어셈블리는 보강 부재(40)를 통해 회로 기판(20)의 파손을 방지한다. 즉, 코킹 과정에서 외압에 의해 돌기(34)가 회로 기판(20)을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나,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40)는 회로 기판(20)의 두께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돌기(34)를 하부에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돌기(34)가 절곡되더라도 보강 부재(40)에 의해 절곡되는 범위가 억제되므로, 돌기(34)가 과도하게 절곡되어 회로 기판(20)을 파손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아답터(100)의 입력 플러그(30)를 콘센트(도시되지 않음)에 삽입시키면, 콘센트로부터 인가되는 교류전압이 입력 플러그(30)의 돌기(34)를 통해 회로 기판(20)의 단자부(24)로 인가된다. 이에 회로 기판(20)에 인가된 교류전압은 회로 기판(20)과, 회로 기판(20)에 연결된 변압기(도시되지 않음)의 작용에 의하여 원하는 레벨의 직류전압으로 정류된 후, 회로 기판(20)의 출력단자(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출력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 플러그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보강 부재(4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의 입력 플러그 어셈블리는 전술된 실시예의 아답터(도 1의 100)의 입력 플러그 어셈블리와 유사한 구조로 구성되며, 보강 부재의 형태에 있어서만 차이를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보강 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와 이를 구비한 아답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140)는 전술한 실시예의 보강 부재(도 3의 40)와 유사한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관(142)의 일단에서 관의 외부면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플랜지부(14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랜지부(144)는 회로 기판(20)에 형성된 단자부(24)와 유사한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140)가 회로 기판(20)의 플러그 홀(22)에 삽입되는 경우, 플랜지부(144)는 회로 기판(20)의 단자부(24)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한편, 플랜지부(144)가 형성되는 경우, 입력 플러그(30)는 플랜지부(144)를 통해 단자부(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140)는 도전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홀(22)의 내벽과 보강 부재(140)간에 전기적으로 단락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140)는 플랜지부(144)를 제외한 관(142) 부분에 있어서, 플러그 홀(22)의 내벽과 접촉하는 외부면에 절연층(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사각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관(142)의 사방으로 플랜지부(144)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돌기(34)가 절곡되는 방향과 대응하는 부분에만 플랜지부(144)를 형성하고 다른 부분에는 플랜지부(144)를 형성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이처럼 보강 부재(140)에 플랜지부(144)가 형성된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플러그(30)가 코킹될 때, 돌기(34)는 플랜지부(144)의 일면을 가압하며 고정 체결된다.
따라서 절곡된 돌기(34)에 직접 회로 기판(20)의 단자부(24)가 접촉함으로 인하여 단자부(24)가 파손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와 이를 구비한 아답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240)는 플러그 홀(22)의 내벽 중 돌기(34)가 절곡되는 방향과 대응하는 내벽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돌기(34)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240)는 2개로 분리되어 각각 대응하는 플러그 홀(22)의 내벽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240)는 끝단에서 플러그 홀(22)의 내벽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부(24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양 끝단에 모두 플랜지부(244)가 형성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처럼 양 끝단에 모두 플랜지부(244)가 형성되는 경우, 보강 부재(240)를 플러그 홀(22)에 삽입하여 고정시키기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돌기(34)가 절곡되는 부분에만 보강 부재(240)를 삽입하여 이용하는 경우, 보다 작은 크기의 보강 부재(240)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조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의 경우 입력 플러그(30)는 플랜지부(244)를 통해 단자부(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240)는 플랜지부(244)를 제외한 부분에 있어서, 플러그 홀(22)의 내벽과 접촉하는 면에는 절연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 플러그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하는 아답터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아답터에 이용되는 입력 플러그의 어셈블리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입력 플러그와 회로 기판이 직접 연결될 수 있는 전자 기기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100....아답터
10.....하우징
11....하부 케이스 12.....삽입 홀
15.....상부 케이스
20.....회로 기판 22....플러그 홀
24.....단자부
30.....입력 플러그 32....돌출부
34.....돌기
40, 140, 240.....보강 부재
144, 244....플랜지부

Claims (12)

  1. 내부에 적어도 한 쌍의 플러그 홀이 형성되는 회로 기판;
    일단이 상기 플러그 홀을 관통하며 삽입되어 상기 회로 기판에 체결되는 한 쌍의 입력 플러그; 및
    상기 입력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 홀의 내벽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로 기판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플러그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플러그는,
    상기 일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돌기가 절곡되어 상기 회로 기판의 일면에 코킹되며 상기 회로 기판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플러그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플러그 홀의 둘레를 따라 단자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플러그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플러그는,
    상기 돌기가 상기 단자부와 접촉하도록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플러그 어셈블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플러그 홀의 형상과 대응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로 기판의 두께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플러그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일단에서 관의 외부면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플러그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플러그 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단자부와 유사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플러그 어셈블리.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플러그 홀의 내벽 중 상기 돌기가 절곡되는 방향과 대응하는 내벽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입력 플러그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끝단에서 상기 플러그 홀의 내벽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플러그 어셈블리.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금속, 수지, 세라믹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플러그 어셈블리.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플러그 홀의 내벽과 접하는 면에 절연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플러그 어셈블리.
  12. 내부에 적어도 한 쌍의 플러그 홀이 형성되는 회로 기판;
    일단이 상기 플러그 홀을 관통하며 삽입되어 상기 회로 기판에 체결되는 한 쌍의 입력 플러그;
    상기 입력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 홀의 내벽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로 기판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 부재; 및
    상기 입력 플러그의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회로 기판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답터.
KR1020100056499A 2010-06-15 2010-06-15 입력 플러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하는 아답터 KR101101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499A KR101101553B1 (ko) 2010-06-15 2010-06-15 입력 플러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하는 아답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499A KR101101553B1 (ko) 2010-06-15 2010-06-15 입력 플러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하는 아답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462A KR20110136462A (ko) 2011-12-21
KR101101553B1 true KR101101553B1 (ko) 2012-01-02

Family

ID=45503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6499A KR101101553B1 (ko) 2010-06-15 2010-06-15 입력 플러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하는 아답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5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298B1 (ko) * 2017-02-15 2018-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팩
WO2023121309A1 (ko) * 2021-12-21 2023-06-29 주식회사 솔루엠 충전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6196U (ko) * 1996-09-16 1998-06-25 정재용 아답터의 플러그 고정구조
KR20010090106A (ko) * 2000-03-23 2001-10-18 이형도 아답터의 플러그 연결구조
KR200248044Y1 (ko) 2001-05-11 2001-10-29 주식회사 다내기술 어댑터용 플러그 및 이를 이용한 어댑터
KR20020048044A (ko) * 2000-12-15 2002-06-22 류정열 엔진오일 교환시기 알림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6196U (ko) * 1996-09-16 1998-06-25 정재용 아답터의 플러그 고정구조
KR20010090106A (ko) * 2000-03-23 2001-10-18 이형도 아답터의 플러그 연결구조
KR20020048044A (ko) * 2000-12-15 2002-06-22 류정열 엔진오일 교환시기 알림장치 및 그 방법
KR200248044Y1 (ko) 2001-05-11 2001-10-29 주식회사 다내기술 어댑터용 플러그 및 이를 이용한 어댑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462A (ko) 201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7473B2 (en) Board connector assembly,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thereof
CN110474201B (zh) 电缆连接器装置
JP4943930B2 (ja) 立体回路部品の取付構造
KR101113591B1 (ko) 마이크로 usb 소켓
JP6319210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US20120154087A1 (en) Signal Isolation Transformer
JP2019036500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21101463A (ja) 抵抗器
KR101101553B1 (ko) 입력 플러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하는 아답터
KR200496224Y1 (ko) 플랫타입 트랜스포머
JP6399594B2 (ja) 絶縁性能を高めた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JP2010272244A (ja) 同軸電気コネクタ
CN101640351A (zh) 固定件以及使用该固定件的电连接器
JP2008172053A (ja) コイル部品
US9466906B2 (en) Resilient contact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same
JP7266513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KR101705076B1 (ko)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JP6188638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回路基板付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プラグコネクタ
KR101141446B1 (ko) 트랜스포머
JP4106312B2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7081120A (ja) インダクタ
JP2015118872A (ja) 電子基板
JP6200830B2 (ja) トランスモジュール
JP2008041273A (ja) Fコネクタおよびfコネクタ搭載製品
JP7233230B2 (ja) 端子、端子付き電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