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1392B1 -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1392B1
KR101101392B1 KR1020040082290A KR20040082290A KR101101392B1 KR 101101392 B1 KR101101392 B1 KR 101101392B1 KR 1020040082290 A KR1020040082290 A KR 1020040082290A KR 20040082290 A KR20040082290 A KR 20040082290A KR 101101392 B1 KR101101392 B1 KR 101101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tag
tag
radio
wireless identification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2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3279A (ko
Inventor
김재형
홍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040082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392B1/ko
Publication of KR20060033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4Multichannel or multilink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인식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에 대한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무선 인식 태그(A)에서 특정 무선 인식 태그(B)로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경로 설정시,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에서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와의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정보를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 송출하는 제1단계;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에서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 중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에서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의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제3단계; 상기 제2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 중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 부재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에서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와의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정보를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 송출하는 제4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에서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 중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에서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의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제6단계; 상기 제5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 중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 부재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에서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와의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정보를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 확인 때까지 진행하는 제7단계; 및 상기 제7단계 진행 중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에서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의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 및 그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이에 의해, 소정의 무선 인식 태그(A)에서 특정 무선 인식 태그(B)로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경로가 자동으로 설정 및 연결하는 이점이 있으며, 상기와 같은 무선 인식 태그 간 경로 설정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소정의 RFID 단말기로 소정의 무선 인식 태그(A)와 직접 인터페이싱 하는 것으로 상기 무선 인식 단말기에 구비된 무선 인식 리더기의 무선 주파수 도달 범위 밖에 위치하는 무선 인식태그(B)와 간접적으로 인터페이싱하는 이점이 있다.
무선인식태그,통신경로

Description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Method for Setting up the Path for RFID Communication}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경로 설정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라 무선 통신 경로 설정 기능이 구비된 무선 인식 태그의 기능 구성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 인식 태그의 메모리 구조와 기능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 인식 태그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 인식 태그 간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바람직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 인식 태그 간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바람직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 인식 태그 간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바람직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 인식 태그 간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바람직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무선인식 태그(A) 105 : 무선인식 태그(B)
110 : 무선인식 리더기 115 : 무선인식 단말기
200 : 안테나부 205 : 수신부
210 : 송신부 215 : 전원부
220 : 제어부 225 : 메모리부
본 발명은 무선 인식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에 대한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무선 인식 태그(A)에서 특정 무선 인식 태그(B)로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경로 설정시,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에서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와의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정보(또는 경로 요청 신호)를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1,2,…,N)로 송출하면, 상기 무선 인식 태그(1,2,…,N)에서 상기 정보(또는 경로 요청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무선 인식 태그(1,2,…,N)가 무선 인식 태그(B)에 해당하는지 확인하여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 무선 인식 태그(B) 간 통신 경로를 자동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 인식 태그(1,2,…,N)에서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2,…,N)로 상기 무선 인식 태그(A)로부터 송출된 소정의 정보(또는 경로 요청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 무선 인식 태그(B) 간 통신 경로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무선 인식(RFID)은 소정의 상품에 부착하는 태그(Tag)에 상품정보(예컨대, 상품을 식별 또는 판별하기 위한 정보, 또는 상품의 생산, 유통, 보관, 소비의 전 과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무선 인식 태그정보를 저장하고, 소정의 무선 인식 리더기(Reader)로 하여금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정보를 읽고, 정보통신기술에 기반하는 소정의 정보시스템 및/또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 인식 태그정보를 판독 및 가공하여 소정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장치 및/또는 시스템의 총칭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인식은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 칩과 무선 주파수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선 칩에 소정의 무선 인식 태그정보를 저장하는 트랜스폰더(Transponder)에 해당하는 무선 인식 태그와, 소정의 무선 주파수를 통해 상기 무선 인식 태그로 전원을 공급 및 상기 무선 인식 태그와 소정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상기 무선 인식 태그를 활성화 및 상기 활성화된 무선 인식 태그로부터 소정의 무선 인식 태그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인식 리더기와 상기 무선 인식 리더기를 통해 수신된 상기 무선 인 식 태그정보를 판독하는 무선 인식 단말기 및/또는 상기 무선 인식 단말기를 통해 판독된 소정의 무선 인식 태그정보에 대한 정보처리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현재 상기 무선 인식과 관련된 상세한 규격은 ISO/IEC 18001/15961~3/18046~7에 정의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무선 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식 태그를 통해 소정의 무선 인식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무선 인식 단말기에서 소정의 무선 인식 리더기를 통해 각각의 무선 인식 태그를 인식 및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무선 인식 단말기에서 상기 독출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직접 판독하거나 또는 상기 서버로 전송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무선 인식 단말기는 상기 서버와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데, 상기 무선 인식 태그를 직접 판독할 수 없거나 또는 상기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지 않은 무선 인식 단말기(예컨대, 무선 인식 리더기가 구비된 고객 소지 휴대폰)는 무선 인식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는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 프로토콜 또는 멀티채널을 지원하는 소정의 무선 인식 태그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해 특정 무선 인식 태그로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경로를 확보 및 자동으로 설정하는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과 그 시스템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무선 인식 단말기에서 소정의 무선 인식 리더기를 통해 소정의 무선 인식 태그와 직접 인터페이싱 하면, 상기 무선 인식 태그에서 소정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해 상기 무선 인식 리더기의 주파수 도달 범위 밖의 특정 무선 인식 태그와 무선 통신 경로를 확보 및 자동으로 설정함으로써, 하여 상기 무선 인식 단말기와 직접 인터페이싱 되는 상기 무선 인식 태그를 통해 상기 주파수 도달 범위 밖의 특정 무선 인식 태그와 간접 인터페이싱 하는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과 그 시스템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무선 인식 태그(A)에서 특정 무선 인식 태그(B)로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경로 설정시,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에서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와의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정보를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 송출하는 제1단계;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에서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 중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에서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의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제3단계; 상기 제2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 중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 그(B) 부재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에서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와의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정보를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 송출하는 제4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에서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 중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에서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의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제6단계; 상기 제5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 중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 부재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에서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와의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정보를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 확인 때까지 진행하는 제7단계; 및 상기 제7단계 진행 중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에서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의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에서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의 통신 경로 설정시, 상기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간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와의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정보는,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를 확 인하기 위한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의 고유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및/또는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와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소정의 명령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시스템은 소정의 무선 인식 태그(A)에서 특정 무선 인식 태그(B)로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경로 설정시,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와의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정보를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 송출하는 무선 인식 태그(A);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에서 송출하는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와의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의 통신 경로를 설정하며,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 부재시,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와의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정보를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 송출하는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무선 인식 태그(A)는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와의 통신 경로 설정시, 상기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와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따르는 다른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은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무선 인식 태그(A)에서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와의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경로 설정시,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에서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와의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경로 요청 신호를 송출하는 제1단계;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 중 상기 경로 요청 신호를 인식한 무선 인식 태그(1)에서 상기 무선 인식 태그(A)로 응답 신호를 송출하는 제2단계;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 상기 무선 인식 태그(1)간 제1경로를 설정하는 제3단계; 상기 무선 인식 태그(1)가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인지 확인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무선 인식 태그(1)가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인 경우, 경로 요청 신호 송출을 중단하는 제5단계; 상기 제4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무선 인식 태그(1)가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와 다른 경우,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에서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와의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경로 요청 신호를 송출하는 제6단계;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 중 상기 경로 요청 신호를 인식한 무선 인식 태그(2)에서 상기 무선 인식 태그(1)로 응답 신호를 송출하는 제7단계;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와 상기 무선 인식 태그(2)간 제2경로를 설정하는 제8단계; 상기 무선 인식 태그(2)가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인지 확인하는 제9단계; 상기 제9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무선 인식 태그(2)가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인 경우, 경로 요청 신호 송출을 중단하는 제10단계; 상기 제9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무선 인식 태그(2)가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와 다른 경우,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가 확인될 때까지 상기 제6단계 내지 제9단계를 반복하여 제3경로 내지 제N경로를 설정하는 제11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에서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의 통신 경로(제1경로 내지 제N경로) 설정시, 상기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간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와의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경로 요청 신호는,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를 확인하기 위한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의 고유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및/또는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와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소정의 명령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시스템은 소정의 무선 인식 태그(A)에서 특정 무선 인식 태그(B)로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경로 설정시,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와의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경로 요청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경로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응답신호를 송출하는 무선 인식 태그와 소정의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무선 인식 태그(A); 및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 중 상기 경로 요청 신호를 인식하고, 상기 무선 인식 태그(A)로 응답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 인식 태그(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 인식 태그(1)가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가 아닌 경우, 상기 무선 인식 태그(1)는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와의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경로 요청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 중 상기 경로 요청 신호를 인식한 무선 인식 태그(2)에서 상기 무선 인식 태그(1)로 응답 신호를 송출시, 상기 무선 인식 태그(2)와의 제2경로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에서 상기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경로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송출할 때까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접 무선 인식 태그에서 상기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경로 요청 신호를 계속적으로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따르는 또 다른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은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무선 인식 태그(A)에서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와의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경로 설정시,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에서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확인하는 제1단계;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에서 상기 확인된 신호를 근거로,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 중 특정 무선 인식 태그(1)와 제1경로를 설정하는 제2단계; 상기 무선 인식 태그(1)가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인지 확인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무선 인식 태그(1)가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인 경우, 상기 제1경로를 통해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간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4단계; 상기 제3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무선 인식 태그(1)가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와 다른 경우,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에서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확인하는 제5단계;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에서 상기 확인된 신호를 근거로,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 중 특정 무선 인식 태그(2)와 제2경로를 설정하는 제6단계; 상기 무선 인식 태그(1)가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인지 확인하는 제7단계; 상기 제7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무선 인식 태그(2)가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인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2경로를 통해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간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8단계; 상기 제7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무선 인식 태그(2)가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와 다른 경우,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가 확인될 때까지 상기 제5단계 내지 제7단계를 반복하여 제3경로 내지 제N경로를 설정하는 제9단계; 및 상기 설정된 제1경로 내지 제N경로를 통해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간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0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시스템은 소정의 무선 인식 태그(A)에서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와의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경로 설정시,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부터 전송되 는 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신호를 근거로,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 중 특정 무선 인식 태그(1)와 제1경로를 설정하는 무선 인식 태그(A); 및 상기 무선 인식 태그(A)로 소정의 신호를 송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1)가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인 경우, 상기 무선 인식 태그(A)는 상기 제1경로를 통해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1)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1)가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와 다른 경우,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1)는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신호를 근거로,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 중 특정 무선 인식 태그(2)와 제2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제약된 통신 범위와 트랜스폰더 기능에 의해 한정되는 무선 인식 태그에 있어서, 무선 인식 태그 간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소정의 멀티 프로토콜 및/또는 멀티 채널 기능이 구비된 능동형 무선 인식 태그(A)에서 다음 홉 라우팅(Next-Hop Routing) 방식을 기반으로 특정의 무선 인식 태그(B)로 소정의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방법과 그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도면과 설명을 근거로 수동형 무선 인식 태그 및/또는 다음 홉 라우팅 이외의 방식을 이용하는 무선 인식 태그 간 라우팅 방법 및 시스템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무선 인식 태그의 종류와 특성 및/또는 라우팅 방식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경로 설정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무선 통신 경로 설정 시스템의 기술적 사상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다음 홉 라우팅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 프로토콜 및/또는 멀티 채널 기능이 구비된 능동형 무선 인식 태그(예컨대, 통신 경로 설정을 요청하는 무선 인식 태그(A)(100), 통신 경로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1,2,…N))가 등간격으로 배치된 경우에 있어서, 소정의 무선 인식 단말기(115)가 소정의 무선 인식 리더기(110)를 통해 무선 인식 태그(A)(100)와 인터페이싱 하면,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에서 특정의 무선 인식 태그(B)(105)로 통신 경로를 연결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본 도면1에 도시된 무선 인식 태그는 다음 홉 라우팅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 프로토콜 및/또는 멀티 채널 기능을 제공하고 동일한 기능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지만, 편의상 통신 경로를 요청하는 무선 인식 태그를 무선 인식 태그(A)(100)라고 하고,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와 통신 경로가 연결되는 무선 인식 태그를 무선 인식 태그(B)(105)라고 하고,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 및/또는 무선 인식 태그(B)(105) 주위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를 무선 인식 태그(1,2,…,N)라고 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면2 내지 도면3에서 설명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는 무선 인식 태그(1, 3, 4)이고,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는 무선 인식 태그(A)(100)와 무선 인식 태그(2, 3, 4, 5)이며, 상기 무선 인식 태그(B)(105)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는 무선 인식 태그(2, 5, 6)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해 특정 무선 인식 태그(B)(105)와의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정보를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1,2,…,N)로 송출하거나, 및/또는 무선 인식 태그(B)(105)와의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경로 요청 신호를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1,2,…,N)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와 같이 무선 인식 태그(A)(100)에서 송출되는 소정의 정보 및/또는 경로 요청 신호에는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105)를 확인하기 위한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105)의 고유정보 및/또는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소정의 명령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해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신호를 근거로,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 중 특정 무선 인식 태그(1)와 제1경로를 설정한 후,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 그(1)가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105)인 경우,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는 상기 제1경로를 통해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1)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1)가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105)와 다른 경우,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1)로 무선 인식 태그(B)(105)와 통신 경로를 연결하도록 요청하는 소정의 정보 및/또는 경로 요청 신호를 송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 인식 태그(B)(105) 내지 무선 인식 태그(1,2,…,N)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해 인접한 소정의 무선 인식 태그로부터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와 무선 인식 태그(B)(105) 사이의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정보 및/또는 경로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소정의 정보 및/또는 경로 요청 신호를 판독하여 자신이 상기 무선 인식 태그(B)(105)인지 확인하고, 상기 확인결과 상기 무선 인식 태그(B)(105)라면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와 소정의 통신 경로를 설정하고, 반대로 무선 인식 태그(B)(105)가 아니라면 상위 무선 인식 태그와 소정의 통신 경로를 설정한 후,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와 같이 상기 수신된 소정의 정보 및/또는 경로 요청 신호를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2는 본 발명에 따라 무선 통신 경로 설정 기능이 구비된 무선 인식 태그의 기능 구성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2를 참조하면, 통신 경로 설정 기능이 구비된 무선 인식 태그 무선 인식 태그는 무선 인식 리더기(110)와 소정의 주파수대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안테나부(200)와, 수동형 무선 인식 태그의 경우 상기 안테나부(200)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소정의 전압치를 갖는 소정의 전원을 생성하거나 능동형 무선 인식 태그의 경우 소정의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에 해당하는 전원부(215)와, 상기 안테나부(200)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MCU(Micro Controller Unit) 블록 내의 제어부(220)로 제공하는 수신부(205)와, 상기 제어부(220)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신호를 소정의 무선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송신부(210)와, 무선 인식 태그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며, 상기 수신부(205)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털 신호를 판독 및 그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를 생성 메모리부(225)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수신부(205)로 제공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220) 및 무선 인식 태그 간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2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안테나부(200)는 상기 무선 인식 태그가 RFID 단말기에 구비된 소정의 무선 인식 리더기(110)의 무선 주파수 영역(Radio Frequency Field)으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무선 인식 리더기(110)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에 포함된 에너지(예컨대, 무선 주파수의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전원부(215)로 제공(또는 인가)하고,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해 소정의 활성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활성 신호를 상기 수신부(205)로 제공(또는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부(200)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해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무선 인식 태그의 안테나부(200)와 소정의 정보 또는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송수신되는 정보 또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부(205)로 제공(또는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부(215)는 상기 무선 인식 태그 내에 구비되는 전원저장수단(예컨대, 배터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는 상기 안테나부(200)를 통해 제공(또는 인가)되는 무선 주파수의 아날로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인식 리더기(110) 주위의 에너지 필드에 대응하는 소정의 전원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원을 상기 무선 인식 태그 내에 구비된 수신부(205)와 송신부(210) 및 제어부(220)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신부(205)는 상기 안테나부(200)를 통해 제공(또는 인가)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소정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복조기(Demodulator)로서, 상기 안테나부(200)를 통해 제공(또는 인가)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무선 인식 리더기(110)로부터 상기 무선 인식 태그로 전송하는 정보 또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여 MCU 블록 내의 제어부(22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신부(205)는 상기 안테나부(200)를 통해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정보 또는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신부(210)는 무선 인식 태그 내에서(예컨대, 제어부에 의해) 생성 또는 추출(예컨대, 메모리부로부터 추출)되는 디지털 신호(예컨대, 펄스 신호 내지 비트)를 상기 안테나부(200)를 통해 상기 무선 인식 리더기(110)로 전송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변조기(Modulator)로서, 상기 MCU 블록 내의 제어부(220)로부터 생성 및/또는 추출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상기 안테나부(200)를 통해 상기 무선 인식 리더기(110)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정보 또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를 소정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안테나부(20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송신부(210)는 무선 인식 태그 간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정보 또는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안테나부(200)를 통해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 송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220)는 무선 인식 태그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며, 상기 수신부(205)를 통해 상기 무선 인식 리더기(110)의 요청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디지털 신호를 판독 및 그에 대응하는 제어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송신부(210)를 통해 상기 무선 인식 리더기(110)로 전송할 소정의 디지털 신호를 생성 및/또는 메모리부(225)로부터 추출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 로직(Control Logic)을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보다 진보적인 무선 인식 태그의 경우 소정의 연산 기능이 구비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수신부(205)를 통해 무선 인식 태그 간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정보 및/또는 경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정보 및/또는 경로 요청 신호를 판독하여 해당 무선 인식 태그가 통신 경로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인지 확인하는 기능, 및/또는 무선 인식 태그(A)(100)에서 무선 인식 태그(B)(105) 사이의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225)는 읽기전용 및/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읽기/쓰기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소정의 태그정보를 저장하고 있거나, 및/또는 상기 무선 인식 리더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및/또는 무선 인식 태그(A)(100)에서 무선 인식 태그(B)(105) 사이의 통신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 홉 라우팅 방식을 사용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225)에는 계층적 통신 경로 상에서 상위 무선 인식 태그에 해당하는 이전 홉(Previous Hop)을 저장하는 저장영역과 하위 무선 인식 태그에 해당하는 다음 홉(Next Hop)을 저장하는 저장영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라우팅 테이블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225)에는 무선 인식 태그 간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라우팅 테이블이 저장되는 저장영역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 인식 태그의 메모리 구조와 기능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포함하는 본 도면3은 다음 홉 라우팅을 위한 무선 인식 태그의 메모리부(225) 구조와 통신 경로 설정 과정에서 상기 메모리부(225)에 저장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위한 바람직한 저장영역을 도시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소정의 해더(Header), 서비스 식별자(Service Identifier), 서비스 데이터(Service Data), 및 소정의 오류검출코드(Error Detecting Code; ED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무선 인식 태그의 메모리 상에 다음 홉 라우팅을 위한 이전 홉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영역 및 다음 홉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영역이 구비된 경우에 대한 것이다. 다만, 무선 인식 태그에 대한 표준이 정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무선 인식 태그의 메모리 구조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당업자의 의도 또는 기술 특성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에 도시된 메모리 구조를 기반으로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무선 인식 태그의 메모리 구조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도면3의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따르는 무선 인식 태그의 메모리 구조를 도시한 것인데, 상기 도면3의 (나)를 참조하면, 무선 인식 태그의 메모리 구조는 소정의 칩 버전, 서비스 식별자의 길이 등과 같은 소정의 제어 데이터가 저장되는 해더(Header) 영역과, 사용자(예컨대, 무선 인식 태그에 탑재되는 칩 제조회사 및/또는 무선 인식 태그가 부착되는 상품 제조회사 및/또는 무선 인식 태그를 통해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회사)의 서비스 식별번호(또는 코드)가 저장되는 서비스 식별자 영역, 상기 무선 인식 태그를 통해 미리 정의된 RFID 태그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소정의 태그정보(예컨대, 무선 인식 태그가 부착된 상품에 대한 식별코드)를 저장하는 서비스 데이터 영역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 또는 데이터에 대한 오류검출을 위한 CRC(Cyclic Redundancy Check) 정보가 저장되는 EDC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서비스 데이터 영역과 EDC 사이에 다음 홉 라우팅 방식으로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해 이전 홉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영역과 다음 홉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영역이 구비된다.
본 도면3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따르는 무선 인식 태그 간 통신 경로 설정 과정에서 통신 경로 설정을 요청하는 상위 무선 인식 태그(예컨대, 무선 인식 태그(A)(100) 및/또는 무선 인식 태그(1,2,…,N))로부터 상기 도면3의 (나)에 해당하는 무선 인식 태그로 전송되는 소정의 정보 및/또는 경로 요청 신호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면3의 (가)를 참조하면, 무선 인식 태그 간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정보 또는 경로 요청 신호의 데이터 구조는 통신 경로 설정을 요청하도록 미리 정의된 소정의 명령어와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예컨대,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서비스 식별자 및/또는 서비스 데이터)와 수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예컨대, 수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서비스 식별자 및/또는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도면3의 (가)와 같은 데이터 구조에 포함된 명령어가 통신경로 설정 명령어인 경우, 상기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는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출하는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는 통신 경로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도면3의 (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따르는 무선 인식 태그 간 통신 경로 설정 과정에서 상기 도면3의 (나)에 해당하는 무선 인식 태그로부터 소정의 정보 및/또는 경로 요청 신호를 수신한 하위 무선 인식 태그(예컨대, 무선 인식 태그(1,2,…,N) 및/또는 무선 인식 태그(B)(105))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신호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면3의 (가)와 같이 통신 경로 설정을 승인하는 응답에 대응하도록 미리 정의된 소정의 명령어와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예컨대,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서비스 식별자 및/또는 서비스 데이터)와 수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예컨대, 수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서비스 식별자 및/또는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도면3의 (다)와 같은 데이터 구조에 포함된 명령어가 통신경로 설정을 승인하는 명령어인 경우, 상기 송신측 무 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는 상기 데이터 구조에 대응하는 소정의 응답신호를 송출하는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는 상기 응답신호를 수신하는(예컨대, 하위 무선 인식 태그로 무선 인식 태그 간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정보 또는 경로 요청 신호를 송출한)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도면3의 (가) 내지 (다)에 포함된 명령어는 통신 경로 설정을 요청하는지 또는 통신 경로 설정이 승인되었는지 판별하기 위한 소정의 플래그, 및/또는 상기 정보 또는 경로 요청 신호가 자가 소멸되기 위한 정보(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를 통해 송출될 수 있는 최대 횟수, 또는 자가 소멸 시간 등)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 인식 태그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2 내지 도면3과 같은 기능구성을 포함하는 바람직한 무선 인식 태그에서 무선 인식 태그(A)(100)와 무선 인식 태그(B)(105) 사이의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해 요구되는 소정의 무선 인식 태그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본 도면4에 도시된 무선 인식 태그의 동작방법은 후술되는 도면5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위한 무선 인식 태그의 동작에 대한 것으 로서, 도면6 내지 도면7 내지 도면8에 도시된 실시예를 위해서 본 도면4의 일부 동작이 생략 또는 추가되거나 각 단계의 순서가 일부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실시하는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위배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도면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따르는 무선 인식 태그는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n)로부터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해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하는데(400), 상기 무선 인식 태그는 상기 수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정보 또는 데이터가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해 인접한 무선 인식 태그(n)로부터 수신된 정보 또는 경로 요청 신호인지 판단한다(40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멀티 프로토콜 및/또는 멀티 채널을 제공하는 무선 인식 태그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가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 스펙 중에서 어떤 프로토콜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기능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수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가 무선 인식 태그 간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정보 또는 경로 요청 신호가 아니라면(예컨대, 수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도면3의 (가) 내지 도면3의 (다)에 도시된 데이터 구조에 대입한 결과 명령어가 통신 경로 설정과 관련되지 않는 경우, 또는 무선 인식 리더기(110)를 통해 소정의 무선 인식 단말기(115)로부터 수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인 경우)(410), 상기 무선 인식 태그는 상기 수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소정의 무선 인식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다(415).
반면 상기 수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가 무선 인식 태그 간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정보 또는 경로 요청 신호라면(410), 상기 무선 인식 태그는 상기 무선 인식 태그 내에 이전에 설정되어 아직까지 해제되지 않은 통신 경로가 존재하는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정보 또는 경로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신규 통신 경로를 설정할 수 있는지 판단한다(420).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 인식 태그는 한정된 메모리에 의해 상기 도면3과 같이 오직 하나의 통신 경로만을 설정할 수 있는데, 신규 통신 경로가 설정되기 위해서는 현재 해당 무선 인식 태그에 기 설정된 통신 경로가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 인식 태그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통신 경로를 다중으로 설정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과정은 무선 인식 태그 내에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경로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무선 인식 태그 내에 신규 통신 경로를 설정할 수 없다면(425), 상기 무선 인식 태그는 통신 경로 설정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종료되며, 이에 의해 상기 무선 인식 태그에 대한 무선 인식 태그 간 통신 경로 설정 과정은 생략된다.
반면 상기 무선 인식 태그 내에 신규 통신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면(425), 상기 무선 인식 태그는 무선 인식 태그 간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해 수신된 상기 정보 또는 경로 요청 신호로부터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무선 인식 태그의 메모리부(225)에 구비된 이전 홉 정보 저장영역에 저장한다(430).
상기와 같이 이전 홉 정보가 저장되면, 상기 무선 인식 태그는 상기 수신된 정보 또는 경로 요청 신호로부터 수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에 포함된 통신 경로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의 고유정보를 추출 및 판독하여 상기 무선 인식 태그가 상기 통신 경로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인지 확인한다(435).
만약 상기 무선 인식 태그가 통신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라면(440), 상기 무선 인식 태그는 소정의 통신 경로 승인신호를 생성하여 상위 무선 인식 태그(n)로 전송하는데(445), 상기 무선 인식 태그가 통신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인 경우, 상기 무선 인식 태그에 이전 홉 정보가 저장되고 소정의 통신 경로 승인신호가 생성되어 상위 무선 인식 태그(n)로 전송되는 것으로 통신 경로가 설정된다.
반면 상기 무선 인식 태그가 통신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가 아니 라면(440), 상기 무선 인식 태그는 무선 인식 태그 간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해 상기 무선 인식 태그(n)로부터 수신된 정보 또는 경로 요청 신호의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를 상기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로 대체함으로써 상기 무선 인식 태그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n’)로 전송할 소정의 정보 또는 경로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450), 상기 생성된 정보 또는 경로 요청 신호를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n’)로 전송한 후(455), 상기 무선 인식 태그(n’)로부터 상기 전송된 정보 또는 경로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소정의 응답신호(예컨대, 통신 경로 승인신호, 또는 통신 경로 오류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대기한다(460).
만약 상기 무선 인식 태그(n’)로부터 소정의 응답신호가 수신된다면(465), 상기 무선 인식 태그는 상기 수신된 응답신호를 판독하여 하위 무선 인식 태그에서 무선 인식 태그 간 통신 경로 설정이 승인되었는지 판단한다(470).
만약 상기 응답신호의 판독결과 하위 무선 인식 태그에서 무선 인식 태그 간 통신 경로 설정에 오류가 발생했다면(475), 상기 무선 인식 태그는 이전 홉 정보를 삭제하고 무선 인식 태그 간 통신 경로 설정 과정을 종료한다(495).
반면 하위 무선 인식 태그에서 무선 인식 태그 간 통신 경로 설정이 승인되었다면(475), 상기 무선 인식 태그는 상기 응답신호로부터 무선 인식 태그(n’)의 고유정보(예컨대, 무선 인식 태그(n’)로부터 수신된 응답신호의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무선 인식 태그의 다음 홉 정보로 저장하고(480), 소정의 통신 경로 승인신호를 생성하여 상위 무선 인식 태그(n)로 전송한다(44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무선 인식 태그 간 통신 경로가 설정되면,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는 상기 무선 인식 태그 간 통신 경로를 통해 무선 인식 태그(B)(105)로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상기 과정에서 상기 무선 인식 태그는 상기 설정된 통신 경로가 해제되는지 확인 및 판단한다(485).
만약 상기 무선 인식 태그 간 통신 경로 설정이 해제된다면(490), 상기 무선 인식 태그는 상기 무선 인식 태그 내 메모리부(225)에 저장된 이전 홉 정보 및/또는 다음 홉 정보를 삭제하고 무선 인식 태그 간 통신 경로 설정 과정을 종료한다(495).
도면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 인식 태그 간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바람직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상기 도면4와 같이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무선 통신 경로 설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면3의 (가) 내지 (다)와 같은 데이터 구조를 포함하는 소정의 정보를 통해 무선 인식 태그 간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통신 경로 설정을 요청하는 무선 인식 태그(A)(100)에서 무선 인식 태그(1) 및 무선 인식 태그(2)를 통해 통신 경로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와 통신 경로가 설정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도면5를 참조하면, 통신 경로를 요청하는 무선 인식 태그(A)(100)는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105)와의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해 소정의 통신 경로 설정을 요청하는 명령어와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에 해당하는 무선 인식 태그(A)(100)의 고유정보 및 수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에 해당하는 무선 인식 태그(B)(105)의 고유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정의 정보를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 송출하는데(500), 이것은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가 무선 인식 태그(B)(105)와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 공지하는 것이며, 상기 송출된 정보는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와 인접한 모든 무선 인식 태그로 전송되며, 상기 도면5에 도시된 상기 무선 인식 태그(1)로도 수신된다.
상기와 같은 소정의 정보를 수신한 무선 인식 태그(1)는 상기 도면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소정의 과정을 통해 상기 수신된 정보로부터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에 해당하는 무선 인식 태그(A)(100)의 고유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도면3의 (나)와 같은 메모리 상의 이전 홉 정보 저장영역에 임시 저장하고(505), 상기 수신된 정보에 포함된 수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와 무선 인식 태그(1)의 고유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무선 인식 태그(1)가 통신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 (B)(105)에 해당하는지 확인 및 판단한다(510).
본 도면5의 경우, 상기 무선 인식 태그(1)는 통신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가 아니므로, 무선 인식 태그(1)는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로부터 수신된 정보의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 정보를 무선 인식 태그(1)의 고유정보로 대체하여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 송출한다(51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에서 송출된 상기 정보는 무선 인식 태그(A)(100)에도 수신되는데,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는 상기 수신된 정보의 수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를 판독(예컨대, 수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가 통신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임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정보가 이전에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에서 무선 인식 태그(1)로 송출한 소정의 정보의 응답에 해당함을 인지한다. 또한,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는 상기 수신된 정보로부터 상기 무선 인식 태그(1)가 통신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가 아니며,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에서 무선 인식 태그(A)(100)를 대신하여 통신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와 통신 경로 설정을 시도하는 것을 인지하게 된다.
상기 무선 인식 태그(1)로부터 송출된 정보는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와 인접한 무선 인식 태그(2)로 수신되는데, 상기 무선 인식 태그(2)는 상기 수신된 정 보로부터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에 해당하는 무선 인식 태그(1)의 고유정보를 추출하여 이전 홉 정보 저장영역에 임시 저장하고(520), 상기 수신된 정보에 포함된 수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와 무선 인식 태그(1)의 고유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무선 인식 태그(1)가 통신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에 해당하는지 확인 및 판단한다(525).
본 도면5의 경우, 상기 무선 인식 태그(2)는 통신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가 아니므로, 무 선 인식 태그(2)는 상기 무선 인식 태그(1)로부터 수신된 정보의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 정보를 무선 인식 태그(2)의 고유정보로 대체하여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 송출한다(530). 물론 상기 무선 인식 태그(2)에서 송출된 정보는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에도 수신되면, 상기 무선 인식 태그(1)는 상기 수신된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수신된 정보가 이전에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에서 무선 인식 태그(2)로 송출한 소정의 정보의 응답에 해당함을 인지한다
상기 무선 인식 태그(2)로부터 송출된 정보는 상기 무선 인식 태그(2)와 인접한 무선 인식 태그(B)(105)로 수신되는데, 상기 무선 인식 태그(B)(105)는 상기 수신된 정보로부터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에 해당하는 무선 인식 태그(2)의 고유정보를 추출하여 이전 홉 정보 저장영역에 임시 저장하고(535), 상기 수신된 정보에 포함된 수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와 무선 인식 태그(B)(105)의 고유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무선 인식 태그(B)(105)가 통신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에 해당하는지 확인 및 판단한다(540).
본 도면5의 경우, 상기 무선 인식 태그(B)(105)는 통신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와 일치하므로, 무선 인식 태그(B)(105)는 상기 무선 인식 태그(2)로부터 수신된 정보의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와 수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 위치를 서로 바꾸고, 상기 정보의 명령어를 통신 경로 승인 명령으로 대체하여 상기 무선 인식 태그(2)로 송출한다(54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와 수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 위치가 서로 바뀌고, 상기 명령어가 소정의 통신 경로 승인 명령어로 대체되어 송출되는 정보는 상기 무선 인식 태그(2) 및 무선 인식 태그(1)를 거쳐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까지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통신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로부터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와 수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 위치가 바뀌고 소정의 통신 경로 승인 명령어가 포함된 소정의 정보가 상기 무선 인식 태그(2)로 수신되면, 상기 무선 인식 태그(2)는 상기 수신된 정보로부터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에 해당하는 무선 인식 태그(B)(105)의 고유정보를 추출하여 다음 홉 정보 저장영역에 임시 저장하고(550), 상기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를 무선 인식 태그(2)의 고유정보로 대체하고, 상기 수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는 상 기 무선 인식 태그(2)의 이전 홉 정보에 해당하는 무선 인식 태그(1)의 고유정보로 대체하여 무선 인식 태그(1)로 송출한다(555).
상기와 같이 무선 인식 태그(2)로부터 송출된 상기 정보는 무선 인식 태그(1)로 수신되는데, 상기 무선 인식 태그(1)는 상기 수신된 정보로부터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에 해당하는 무선 인식 태그(2)의 고유정보를 추출하여 다음 홉 정보 저장영역에 임시 저장하고(560), 상기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를 무선 인식 태그(1)의 고유정보로 대체하고, 상기 수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는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의 이전 홉 정보에 해당하는 무선 인식 태그(A)(100)의 고유정보로 대체하여 무선 인식 태그(A)(100)로 송출한다(565).
상기와 같이 무선 인식 태그(1)로부터 송출된 상기 정보는 무선 인식 태그(A)(100)로 수신되는데,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는 상기 수신된 정보로부터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에 해당하는 무선 인식 태그(1)의 고유정보를 추출하여 다음 홉 정보 저장영역에 임시 저장한다.(570)
상기와 같은 소정의 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의 이전 홉 정보 저장영역은 블랭크(Blank) 및 다음 홉 정보 저장영역은 무선 인식 태그(1)의 고유정보가 임시 저장되고,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의 이전 홉 정보 저장영역은 무선 인식 태그(A)(100)의 고유정보 및 다음 홉 정보 저장영역은 무선 인식 태그(2)의 고유정보가 임시 저장되고, 상기 무선 인식 태그(2)의 이전 홉 정보 저장영 역은 무선 인식 태그(1)의 고유정보 및 다음 홉 정보 저장영역은 무선 인식 태그(B)(105)의 고유정보가 임시 저장되고, 상기 무선 인식 태그(B)(105)의 이전 홉 정보 저장영역은 무선 인식 태그(2)의 고유정보 및 다음 홉 정보 저장영역은 블랭크가 임시 저장되는데, 상기와 같은 각 무선 인식 태그의 이전 홉 정보 저장영역 및 다음 홉 정보 저장영역을 통해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와 무선 인식 태그(B)(105) 사이에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경로가 설정된다.
도면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 인식 태그 간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바람직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상기 도면3의 (가) 내지 (다)와 같은 데이터 구조를 포함하는 소정의 경로 요청 신호를 통해 무선 인식 태그 간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통신 경로 설정을 요청하는 무선 인식 태그(A)(100)에서 무선 인식 태그(1) 및 무선 인식 태그(2)를 통해 통신 경로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와 통신 경로가 설정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도면6을 참조하면, 통신 경로를 요청하는 무선 인식 태그(A)(100)는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105)와의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해 소정의 통신 경로 설정을 요청하는 명령어와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에 해당하는 무선 인식 태그(A)(100)의 고유정보 및 수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에 해당하는 무선 인식 태그(B)(105)의 고유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정의 경로 요청 신호를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 송출하며(600), 상기 송출된 경로 요청 신호는 무선 인식 태그(1)로 수신된다.
상기와 같은 소정의 경로 요청 신호를 수신한 무선 인식 태그(1)는 상기 수신된 경로 요청 신호에 포함된 명령어를 소정의 응답신호에 대응하는 명령어로 대체하고,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를 수신측 무선 인식 태그 고유정보로 이동하고, 상기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를 무선 인식 태그(1)의 고유정보로 대체하여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로 송출한 후(605), 상기 송출된 수신측 무신 인식 태그 고유정보를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의 이전 홉 정보 저장영역에 임시 저장한다(610). 또한, 상기와 같은 응답신호를 수신한 무선 인식 태그(A)(100)는 상기 응답신호로부터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 고유정보에 해당하는 무선 인식 태그(1)의 고유정보를 추출하여 무선 인식 태그(A)(100)의 다음 홉 정보 저장영역에 임시 저장한다(615).
상기와 같이 무선 인식 태그(1)에서 무선 인식 태그(A)(100)로 소정의 응답신호가 송출 및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의 이전 홉에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의 고유정보가 저장되면, 상기 무선 인식 태그(1)는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로부터 수신된 경로 요청 신호에 포함된 수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와 무선 인식 태그(1)의 고유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무선 인식 태그(1)가 통신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에 해당하는지 확인 및 판단한다(620).
본 도면6의 경우, 상기 무선 인식 태그(1)는 통신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가 아니므로, 무선 인식 태그(1)는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로부터 수신된 경로 요청 신호의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 경로 요청 신호를 무선 인식 태그(1)의 고유정보로 대체하여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 송출한다(62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에서 송출된 상기 경로 요청 신호는 무선 인식 태그(A)(100)에도 수신되는데,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는 상기 수신된 경로 요청 신호의 수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를 판독(예컨대, 수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가 통신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임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무선 인식 태그(1)가 통신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가 아니며,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에서 무선 인식 태그(A)(100)를 대신하여 통신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와 통신 경로 설정을 시도하는 것을 인지하게 된다.
상기 무선 인식 태그(1)로부터 송출된 경로 요청 신호는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와 인접한 무선 인식 태그(2)로 수신되는데, 상기 무선 인식 태그(2)는 상기 수신된 경로 요청 신호에 포함된 명령어를 소정의 응답신호에 대응하는 명령어로 대체하고,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를 수신측 무선 인식 태그 고유정보로 이동하고, 상기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를 무선 인식 태그(2)의 고유정 보로 대체하여 상기 무선 인식 태그(1)로 송출한 후(630), 상기 송출된 수신측 무신 인식 태그 고유정보를 상기 무선 인식 태그(2)의 이전 홉 정보 저장영역에 임시 저장한다(635). 또한, 상기와 같은 응답신호를 수신한 무선 인식 태그(1)는 상기 응답신호로부터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 고유정보에 해당하는 무선 인식 태그(2)의 고유정보를 추출하여 무선 인식 태그(1)의 다음 홉 정보 저장영역에 임시 저장한다(640).
상기와 같이 무선 인식 태그(2)에서 무선 인식 태그(1)로 소정의 응답신호가 송출 및 상기 무선 인식 태그(2)의 이전 홉에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의 고유정보가 저장되면, 상기 무선 인식 태그(2)는 상기 무선 인식 태그(1)로부터 수신된 경로 요청 신호에 포함된 수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와 무선 인식 태그(2)의 고유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무선 인식 태그(2)가 통신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에 해당하는지 확인 및 판단한다(645).
본 도면6의 경우, 상기 무선 인식 태그(2)는 통신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가 아니므로, 무선 인식 태그(2)는 상기 무선 인식 태그(1)로부터 수신된 경로 요청 신호의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 경로 요청 신호를 무선 인식 태그(2)의 고유정보로 대체하여 상기 무선 인식 태그(2)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 송출한다(650).
상기 무선 인식 태그(2)로부터 송출된 경로 요청 신호는 상기 무선 인식 태 그(2)와 인접한 무선 인식 태그(B)(105)로 수신되는데, 상기 무선 인식 태그(B)(105)는 상기 수신된 경로 요청 신호에 포함된 명령어를 소정의 응답신호에 대응하는 명령어로 대체하고,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를 수신측 무선 인식 태그 고유정보로 이동하고, 상기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를 무선 인식 태그(B)(105)의 고유정보로 대체하여 상기 무선 인식 태그(2)로 송출한 후(655), 상기 송출된 수신측 무신 인식 태그 고유정보를 상기 무선 인식 태그(B)(105)의 이전 홉 정보 저장영역에 임시 저장한다(660). 또한, 상기와 같은 응답신호를 수신한 무선 인식 태그(2)는 상기 응답신호로부터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 고유정보에 해당하는 무선 인식 태그(B)(105)의 고유정보를 추출하여 무선 인식 태그(2)의 다음 홉 정보 저장영역에 임시 저장한다(665).
상기와 같이 무선 인식 태그(B)(105)에서 무선 인식 태그(2)로 소정의 응답신호가 송출 및 상기 무선 인식 태그(B)(105)의 이전 홉에 상기 무선 인식 태그(2)의 고유정보가 저장되면, 상기 무선 인식 태그(B)(105)는 상기 무선 인식 태그(2)로부터 수신된 경로 요청 신호에 포함된 수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와 무선 인식 태그(B)(105)의 고유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무선 인식 태그(B)(105)가 통신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에 해당하는지 확인 및 판단한다(670).
본 도면6의 경우, 상기 무선 인식 태그(B)(105)는 통신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와 일치하므로 상기 무선 인식 태그(B)(105)는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 상기와 같은 경로 요청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소정의 과정이 수행된 후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의 이전 홉 정보 저장영역은 블랭크(Blank) 및 다음 홉 정보 저장영역은 무선 인식 태그(1)의 고유정보가 임시 저장되고,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의 이전 홉 정보 저장영역은 무선 인식 태그(A)(100)의 고유정보 및 다음 홉 정보 저장영역은 무선 인식 태그(2)의 고유정보가 임시 저장되고, 상기 무선 인식 태그(2)의 이전 홉 정보 저장영역은 무선 인식 태그(1)의 고유정보 및 다음 홉 정보 저장영역은 무선 인식 태그(B)(105)의 고유정보가 임시 저장되고, 상기 무선 인식 태그(B)(105)의 이전 홉 정보 저장영역은 무선 인식 태그(2)의 고유정보 및 다음 홉 정보 저장영역은 블랭크가 임시 저장되는데, 상기와 같은 각 무선 인식 태그의 이전 홉 정보 저장영역 및 다음 홉 정보 저장영역을 통해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와 무선 인식 태그(B)(105) 사이에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경로가 설정된다.
도면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 인식 태그 간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바람직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상기 도면3의 (가) 내지 (다)와 같은 데이터 구조에 소정의 목표 홉(Destination Hop)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영역(도시 생략)을 더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 무선 인식 태그 사이에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교환 하는 과정을 통해 통신 경로 설정을 요청하는 무선 인식 태그(A)(100)에서 무선 인식 태그(1) 및 무선 인식 태그(2)를 통해 통신 경로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와 통신 경로가 설정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도면7을 참조하면, 통신 경로를 요청하는 무선 인식 태그(A)(100)는 인접한 무선 인식 태그(1)로부터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는데(700), 상기 수신된 신호의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를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의 다음 홉에 임시 저장한 후(705), 상기 수신된 신호의 수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무선 인식 태그(1)가 통신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인지 확인 및 판단한다(710).
도면7의 경우, 상기 무선 인식 태그(1)가 통신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가 아니므로,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는 상기 무선 인식 태그(1)로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105)와의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해 소정의 통신 경로 설정을 요청하는 명령어와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에 해당하는 무선 인식 태그(A)(100)의 고유정보 및 수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에 해당하는 무선 인식 태그(B)(105)의 고유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정의 경로 요청 신호를 송출한다(715).
상기와 같은 소정의 경로 요청 신호를 수신한 무선 인식 태그(1)는 상기 경로 요청 신호의 수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를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에 구 비된 목표 홉 정보 저장영역에 임시 저장한 후(720), 인접한 무선 인식 태그(2)로부터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수신되는 신호(725)로부터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 고유정보를 추출하여 다음 홉에 임시 저장(730), 및 판독하여 상기 신호를 송출한 무선 인식 태그(2)가 상기 목표 홉 정보 저장영역에 저장된 통신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735).
도면7의 경우, 상기 무선 인식 태그(2)가 통신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가 아니므로, 상기 무선 인식 태그(1)는 상기 무선 인식 태그(2)로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105)와의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해 소정의 통신 경로 설정을 요청하는 명령어와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에 해당하는 무선 인식 태그(1)의 고유정보 및 수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에 해당하는 무선 인식 태그(B)(105)의 고유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정의 경로 요청 신호를 송출한다(740).
상기와 같은 소정의 경로 요청 신호를 수신한 무선 인식 태그(2)는 상기 경로 요청 신호의 수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를 상기 무선 인식 태그(2)에 구비된 목표 홉 정보 저장영역에 임시 저장한 후(745), 인접한 무선 인식 태그(B)(105)로부터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수신되는 신호(750)로부터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 고유정보를 추출하여 다음 홉에 임시 저장(755), 및 판독하여 상기 신호를 송출한 무선 인식 태그(B)(105)가 상기 목표 홉 정보 저장영역에 저장된 통신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760).
도면7의 경우, 상기 무선 인식 태그(B)(105)가 통신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와 일치하므로, 상기 무선 인식 태그(2)는 상기 무선 인식 태그(1)로 상기 목표 홉 정보 저장영역에 저장된 통신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가 검색되었음을 포함하는 소정의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고(765), 상기 신호를 수신한 무선 인식 태그(1) 역시 상기 목표 홉 정보 저장영역에 저장된 통신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가 검색되었음을 포함하는 소정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로 송출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로 통신 경로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와 소정의 통신 경로가 연결되었음을 인지시킨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무선 인식 태그(A)(100)와 통신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 사이에 통신 경로가 연결되면,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와 상기 무선 인식 태그(B)(105)는 상기 통신 경로를 통해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한다(775).
도면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 인식 태그 간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바람직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다음 홉 라우팅 방식 이외의 라우팅 방식, 예컨대 동적 생성되는 라우팅 테이블 교환(Routing Table Exchange) 방식으로 확장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및/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당업자에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된 도면5 내지 도면6 내지 도면7의 실시예는 무선 인식 태그의 메모리 구조가 상기 도면3과 같이 구비되어 다음 홉 라우팅 방식을 제공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며, 본 도면8은 상기 무선 인식 태그의 메모리에 이전 홉 정보 및 다음 홉 정보 및/또는 목표 홉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영역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상기 도면5 내지 도면6에 도시 및 기술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여 통신 경로를 설정하되, 상기 통신 경로에 대응하는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가 상기 무선 인식 태그의 메모리부(225)에 저장되지 않고, 상기 무선 인식 태그 사이에 송수신되는 소정의 정보 및/또는 경로 요청 신호에 누적되어 저장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도면8을 참조하면, 통신 경로를 요청하는 무선 인식 태그(A)(100)는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105)와의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해 소정의 통신 경로 설정을 요청하는 명령어와 송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에 해당하는 무선 인식 태그(A)(100)의 고유정보 및 수신측 무선 인식 태그의 고유정보에 해당하는 무선 인식 태그(B)(105)의 고유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정의 정보 및/또는 경로 요청 신호를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 송출하는데(800), 상기 소정의 정보 및/또는 경로 요청 신호를 수신한 무선 인식 태그(1)에서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로부터 송출된 소정의 정보 및/또는 경로 요청 신호에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의 고유정보를 누적 및 추가하여 인접한 무선 인식 태그(2)로 송출하고 (805), 상기 무선 인식 태그(2)에서 상기 무선 인식 태그(1)로부터 송출된 소정의 정보 및/또는 경로 요청 신호에 상기 무선 인식 태그(2)의 고유정보를 누적 및 추가하여 인접한 무선 인식 태그(B)(105)로 송출하는(810) 일련의 과정을 통해 상기 정보 및/또는 경로 요청 신호에 라우팅 테이블을 동적으로 생성한 후, 상기 무선 인식 태그(B)(105)에서 상기 라우팅 테이블을 포함하는 정보 또는 경로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을 무선 인식 태그(2)로 송출하고(815), 상기 무선 인식 태그(2)에서 상기 라우팅 테이블을 포함하는 정보 또는 경로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을 무선 인식 태그(1)로 송출하고(820),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에서 상기 라우팅 테이블을 포함하는 정보 또는 경로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을 무선 인식 태그(A)(100)로 송출하는(825) 일련의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무선 인식 태그(A)(100)와 통신 연결 대상 무선 인식 태그(B)(105) 사이에 통신 경로를 설정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도시된 도면과 설명 및 청구범위를 기반으로 상술된 실시예 이외에 다른 라우팅 방식을 기반으로 무선 인식 태그 간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 프로토콜 또는 멀티채널을 지원하는 소정의 무선 인식 태그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해 특정 무선 인식 태그로 무선 통신 경로를 확보 및 자동으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무선 통신 경로를 통해 무선 인식 태그 간 소정 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무선 인식 단말기에서 소정의 무선 인식 리더기를 통해 소정의 무선 인식 태그와 직접 인터페이싱 하는 과정에서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과 그 시스템을 통해 무선 인식 리더기의 무선 주파수 도달 범위 밖의 특정 무선 인식 태그와 무선 통신 경로를 확보 및 자동으로 설정함으로써, 하여 상기 무선 인식 단말기와 상기 무선 주파수 도달 범위 밖의 특정 무선 인식 태그와 간접적으로 인터페이싱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과 그 시스템을 상품에 부착된 무선 인식 태그에 적용하는 경우, 특정 상품에 부착된 무선 인식 태그와 직접 인터페이싱하는 소정의 무선 인식 단말기는 상기 무선 인식 태그의 무선 통신 경로 설정 기능을 통해 소정의 서버에 접속하지 않고 상기 무선 인식 태그와 연계된 다른 상품에 부착된 무선 인식 태그와 간접적으로 인터페이싱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과 그 시스템을 USN(Ubiquitious Sensor Network)에 적용하는 경우, 소정의 무선 인식 단말기에서 상기 무선 센서 간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과 시스템을 통해 상기 무선 인식 단말기에 구비된 무선 인식 리더기의 무선 주파수 도달 범위의 무선 센서는 물론 상기 무선 주파수 도달 범위 밖의 무선 센서를 제어 및 관리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과 그 시스템을 USN에 적용하는 경우 상기 무선 센서 간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과 시스템을 통해 USN에 구비된 다수의 무선 센서 중에서 오류가 발생하거나 특정 검출 값을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센서를 자동으로 검출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6)

  1.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무선인식 태그(A)에서 특정 무선 인식 태그(B)로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경로 설정시,
    상기 무선인식 태그(A)에서 상기 특정 무선인식 태그(B)와의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정보를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 송출하는 제1단계;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에서 상기 특정 무선인식 태그(B)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 중 상기 특정 무선인식 태그(B)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 무선인식 태그(B)에서 상기 무선인식 태그(A)와의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제3단계;
    상기 제2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 중 상기 특정 무선인식 태그(B) 부재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에서 상기 특정 무선인식 태그(B)와의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정보를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 송출하는 제4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에서 상기 특정 무선인식 태그(B)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 중 상 기 특정 무선인식 태그(B)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 무선인식 태그(B)에서 상기 무선인식 태그(A)와의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제6단계;
    상기 제5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 중 상기 특정 무선인식 태그(B) 부재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에서 상기 특정 무선인식 태그(B)와의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정보를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무선인식 태그(B)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상기 특정 무선인식 태그(B) 확인 때까지 진행하는 제7단계; 및
    상기 제7단계 진행 중 상기 특정 무선인식 태그(B)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 무선인식 태그(B)에서 상기 무선인식 태그(A)와의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제6단계 및 제8단계 중 어느 한 단계를 통해 특정 무선인식 태그(B)에서 상기 무선인식 태그(A)와의 통신 경로 설정시, 상기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무선인식 태그(A)와 상기 특정 무선인식 태그(B)간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무선인식 태그(B)와의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정보는,
    상기 특정 무선인식 태그(B)를 확인하기 위한 상기 특정 무선인식 태그(B)의 고유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무선인식 태그(B)와의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정보는,
    상기 특정 무선인식 태그(B)와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소정의 명령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인식 태그(A) 및 무선인식 태그(B)는,
    멀티 프로토콜 또는 멀티채널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
  6.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무선인식 태그(A)에서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와의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경로 설정시,
    상기 무선인식 태그(A)에서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 상기 특정 무선인식 태그(B)와의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경로 요청 신호를 송출하는 제1단계;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 중 상기 경로 요청 신호를 인식한 무선 인식 태그(1)에서 상기 무선 인식 태그(A)로 응답 신호를 송출하는 제2단계;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 상기 무선 인식 태그(1)간 제1경로를 설정하는 제3단계;
    상기 무선 인식 태그(1)가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인지 확인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무선 인식 태그(1)가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인 경우, 경로 요청 신호 송출을 중단하는 제5단계;
    상기 제4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무선 인식 태그(1)가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와 다른 경우, 상기 무선인식 태그(1)에서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 상기 특정 무선인식 태그(B)와의 통신 경로 설정을 위한 소정의 경로 요청 신호를 송출하는 제6단계;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 중 상기 경로 요청 신호를 인식한 무선 인식 태그(2)에서 상기 무선 인식 태그(1)로 응답 신호를 송출하는 제7단계;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와 상기 무선 인식 태그(2)간 제2경로를 설정하는 제8단계;
    상기 무선 인식 태그(2)가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인지 확인하는 제9단 계;
    상기 제9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무선 인식 태그(2)가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인 경우, 경로 요청 신호 송출을 중단하는 제10단계;
    상기 제9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무선 인식 태그(2)가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와 다른 경우,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가 확인될 때까지 상기 제6단계 내지 제9단계를 반복하여 제3경로 내지 제N경로를 설정하는 제11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무선인식 태그(A)에서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와의 소정의 정보(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경로 설정시,
    상기 무선인식 태그(A)에서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확인하는 제1단계;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에서 상기 확인된 신호를 근거로, 상기 무선 인식 태그(A)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 중 특정 무선 인식 태그(1)와 제1경로를 설정하는 제2단계;
    상기 무선 인식 태그(1)가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인지 확인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무선 인식 태그(1)가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인 경우, 상기 제1경로를 통해 상기 무선인식 태그(A)와 상기 특정 무선인식 태그(B)간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4단계;
    상기 제3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무선 인식 태그(1)가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와 다른 경우, 상기 무선인식 태그(1)에서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확인하는 제5단계;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에서 상기 확인된 신호를 근거로, 상기 무선 인식 태그(1)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인식 태그 중 특정 무선 인식 태그(2)와 제2경로를 설정하는 제6단계;
    상기 무선 인식 태그(1)가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인지 확인하는 제7단계;
    상기 제7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무선 인식 태그(2)가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인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2경로를 통해 상기 무선인식 태그(A)와 상기 특정 무선인식 태그(B)간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8단계;
    상기 제7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무선 인식 태그(2)가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와 다른 경우, 상기 특정 무선 인식 태그(B)가 확인될 때까지 상기 제5단계 내지 제7단계를 반복하여 제3경로 내지 제N경로를 설정하는 제9단계; 및
    상기 설정된 제1경로 내지 제N경로를 통해 상기 무선인식 태그(A)와 상기 특정 무선인식 태그(B)간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0단계;를 포함하 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040082290A 2004-10-14 2004-10-14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 KR101101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290A KR101101392B1 (ko) 2004-10-14 2004-10-14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290A KR101101392B1 (ko) 2004-10-14 2004-10-14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856A Division KR101131467B1 (ko) 2009-10-14 2009-10-14 무선 통신 경로 설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279A KR20060033279A (ko) 2006-04-19
KR101101392B1 true KR101101392B1 (ko) 2012-01-02

Family

ID=37142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2290A KR101101392B1 (ko) 2004-10-14 2004-10-14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3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598B1 (ko) * 2009-02-02 2011-06-1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홉 통신을 갖는 항만 물류용 능동형 rfid 시스템 및 그 통신 방법
KR101139733B1 (ko) * 2010-10-29 2012-04-26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교차로 상에서 자동운송차량의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215A (ko) * 2000-10-27 2003-07-07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멀티홉 네트워크에서 전송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215A (ko) * 2000-10-27 2003-07-07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멀티홉 네트워크에서 전송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279A (ko) 200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607B1 (ko) 송수신 장치, 송수신 방법 및 송수신 시스템
CN101884178B (zh) 用于在近场通信网络中的通信的方法和系统
CN107172051A (zh) 一种物联网设备发现和管理的方法
CN101647028B (zh) 在自动化组件和移动操作终端之间建立无线通信连接的方法
CN103489304A (zh) 中转设备、中转处理系统及方法
CN103713608A (zh) 无线物联家居系统分级网络架构及其组网通信方法
CN101151848A (zh) 中继装置
CN103646521B (zh) 一种无线遥控装置的对码方法及其系统
CN108012305A (zh) 智能设备配网方法、系统及智能设备
CN106470458A (zh) 在WiFi网络中进行控制的方法和设备
US7991292B2 (en) Terminal and information relay apparatus
JP2006526324A (ja) 無線通信接続を確立する方法
US10085268B2 (en) Communications device and communications system
KR101101392B1 (ko) 무선 통신 경로 설정 방법
CN103501192A (zh) 终端间的数据传输方法和装置
KR101131467B1 (ko) 무선 통신 경로 설정 시스템
CN101262480B (zh) 通信设备、通信方法以及移动电话
KR101231285B1 (ko) Rfid 시스템 및 rfid 통신 방법
CN104902350B (zh) 一种数字对讲机及其数据处理装置、数据发送方法
CN105847156A (zh) 在nfc装置中默认数据分组路由传输
US7573845B2 (en) Communication partner device for communication with another communication partner device over a first communication channel
KR100824261B1 (ko) 일반전화기의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전자제품 제어 및상태감시 시스템
JP7245188B2 (ja) 通信装置及びシステム
JP703049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CN104574121A (zh) 一种基于网络的商品防伪识别系统及其识别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