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0901B1 - 광섬유의 어댑터 연결부위에서 광신호 유무를 확인하는 센싱 어댑터 - Google Patents

광섬유의 어댑터 연결부위에서 광신호 유무를 확인하는 센싱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0901B1
KR101100901B1 KR1020090030981A KR20090030981A KR101100901B1 KR 101100901 B1 KR101100901 B1 KR 101100901B1 KR 1020090030981 A KR1020090030981 A KR 1020090030981A KR 20090030981 A KR20090030981 A KR 20090030981A KR 101100901 B1 KR101100901 B1 KR 101100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optical fiber
light source
connecto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2463A (ko
Inventor
이재성
서기원
이상우
강상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090030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0901B1/ko
Publication of KR20100112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8Testing mechanical properties
    • G01M11/088Testing mechanical properties of optical fibres; Mechanical features associated with the optical testing of optical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Accessories for testing or observation of conn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74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의 어댑터 연결부위에서 광신호 유무를 확인하는 센싱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어댑터(30)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며, 커넥터(50)의 광섬유로 광신호가 전달되면 접속부위에서 광원의 일부가 외부로 새어나와 작업자가 바로 광섬유의 신호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검지부(4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어댑터에 끼워지는 커넥터의 광섬유에 광신호가 통과하고 있는지 또는 단선 되어있는지를 외부에서 한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는 결과적으로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Figure R1020090030981
센싱 어댑터, 커넥터, 검지부.

Description

광섬유의 어댑터 연결부위에서 광신호 유무를 확인하는 센싱 어댑터{A sensing adapter}
본 발명은 광섬유의 어댑터 연결부위에서 광신호 유무를 확인하는 센싱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댑터에 끼워지는 커넥터의 광섬유에 광신호가 통과하고 있는지 또는 단선 되어있는지를 외부에서 한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는 결과적으로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광섬유 커넥터(Fiber Optic Connector)는 보통 페룰(Ferrule)에 의해 수용된 연마 단면(Polished End Face)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커넥터에 의해 수용된 광섬유의 위치 변경을 가능하게 하여 신호를 다른 광섬유나 광학 광원에 송수신한다. 상기 커넥터에 수용된 광섬유와의 광 송수신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이러한 연마 단면이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섬유와의 광 송수신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는 그와 같은 오염물에는 먼지나 지문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광섬유 장치는 굴절률이 다른 재료로 도핑된 내부 원형 유리코어와 클래드를 갖는 단일 또는 다중 가닥의 섬유를 이용한다. 광은 코어를 따라 전송되고 코어와 피복재 사이의 경계면으로부터 전반사 된다. 이 장치는 정보보유 광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한 전송라인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송라인은 단일섬유로부터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함께 다발로 된 복수의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각각 분리된 라인을 따라 정보의 동시전송을 위하여 몇 개의 전송라인을 평행하게 정렬시킬 수도 있다.
상기 광섬유 커넥터는 섬유 단부를 쉽게 결합 및 분리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도록 대향하는 섬유 단부들에 사용된다. 전기커넥터기술에서 일반화되어 있는 수형(플러그) 및 암형(리셉터클) 커넥터가 제공되기보다는 광섬유 커넥터가 한 쌍의 대향하는 광섬유 커넥터를 상호 연결한 뿐만 아니라, 소정 상호 연결경계면에서 전송손실을 막도록 광섬유를 쉽게 정렬시키는 어댑터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광섬유 커넥터 설계의 한가지 형태는 일본의 니폰 텔레그래프 및 텔레폰사(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에서 처음 제조된 'SC' 커넥터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의 상호 연결은 푸시 풀(push-pull) 개념에 근거한다. 플러그형 결합부 또는 커넥터는 대향 광섬유 단부에서 종단된다. 어댑터가 사용될 때 어댑터는 대향 광섬유 커넥터를 수납하기 위한 이중 단부식 리셉터클로서 설계되지만 푸시 풀 형태(push-pull fashion)이다. 어댑터 및 커넥터를 상호연결하기 위하여 커넥터 및 어댑터는 래치 보스와 맞물리기 위한 후크식 래치 아암과 같은 보족 상호 맞물림 래치수단을 갖는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151759호에서는 한 쌍의 대향 광섬유 커넥터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어댑터의 일례를 제시하고 있다. 도 1 은 이 등록특허에서 제시한 어댑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어댑터(100)는 양분되는 하우징(110,110')을 갖는다. 이 두 하우징(110,110')은 훅(hook)(112,112')과 리세스(recess)(114,114')로 이루어지는 체결구조에 의해서 서로 결합된다. 물론 두 하우징(110,110')은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훅(112,112')과 리세스(114,114')도 서로 결합되도록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 두 하우징(110,110')의 내부에는 광섬유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리셉터클(receptacle)(120,120')이 결합된다. 이 리셉터클(120,120')은 양분되어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 두 리셉터클(120,120') 각각은 서로 대응되는 하우징(110,110')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하우징(110,110')의 체결력에 의해서 지지되어 고정된다. 이 두 리셉터클(120,120')에는 광섬유의 삽입을 위한 슬리브(130)가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갖는 어댑터(100)는 먼저 각 리셉터클(120,120')을 대응되는 하우징(110,110')에 각각 위치시키고 슬리브(130)를 어느 하나의 리셉터클(120,120')에 삽입시킨 다음 두 하우징(110,110')을 결합시키므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어댑터(100)는 외부에서 커넥터를 뽑아보지 않는 이상 커넥터의 광섬유에 광신호가 전송되고 있는지를 전혀 알 수 없다는 커다란 문제 점이 발생 되었다.
때문에 작업자는 다수의 커넥터에 연결된 광섬유를 일일이 점검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과 아울러 다수의 시간이 소요되어 결과적으로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상기 광섬유에 신호가 전송되지 않으면 많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광섬유의 전송특성은 빛의 파장 자체에 의존하고 있는 전송손실과 그 빛에 중첩되고 있는 기저대역(base band) 신호의 속도 또는 주파수에 의존하게 된다. 통신용 전송선로에 요구되는 기본적 특성은, 전송손실이 적을 것, 광대역일 것, 기계적 강도가 높을 것, 신뢰성이 높을 것 등이다. 현재, 장거리 전송선로로서 사용되는 광섬유는 거의 석영계이며, 이 광섬유는 현재 어떤 광섬유보다도 투명하며, 기계적으로 강하고, 광섬유로서의 독특한 굴절률 분포를 갖게 하기 위한 가공성에 우수하다. 석영계 광섬유는 실리콘을 산화시킨 실리카(silica)와 굴절률을 다소 높이기 위해 첨가(dope)된 이산화게르마늄으로 되어 있어, 융통성이 있다는 것이, 그 원재료는 지금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반도체 재료의 기본이 되는 것과 똑같은 것이다. 따라서, 이들 고 순도의 원재료가 비교적 용이하게 입수되고, 또한 가격이 저렴하다. 또한 광섬유의 손실요인을 큰 순으로 나열하면, ① 레일리 산란(Rayleigh Scattering) ② 광섬유 축의 휨, 코어 직경 및 굴절률의 길이 방향 변화, 구조결함 등에 의한 반사 및 산란 ③ 적외부, 자외부에서의 고유손실 ④ OH기, 천이금속 이온 등의 불순물에 의한 흡수 등이다. 그리고 1.6[㎛]이하의 단파장측에서는 레일리 손실이 주된 요인이며, 1.6[㎛]이상의 장파장측에서는 고유 흡수손실이 주요인이 되는 문제 점이 발생 되었다.
따라서 광섬유가 전송라인에서 광섬유 상호간 연결시켜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경우, 전화국 또는 관련 기관에서는 신속한 조치를 취해 주어야 한다. 하지만 이 경우, 신속한 조치를 위해서는 부여된 고유 번호를 따라 추적하여 해당 전화국 또는 분배반(또는 분배함체류)에서 문제된 광섬유를 교체해 주어야 하는데, 기존의 방식으로는 이 작업이 워낙 복잡하여 쉽지가 않을 뿐만 아니라 번호 자체가 잘못 추적이 될 수 있어서 교체 작업 시에 살아 있는 광섬유에 손을 댐으로서 문제점을 유발시키는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어댑터에 끼워지는 커넥터의 광섬유에 광원이 흐르게 되면, 그 광원의 일부가 슬리브를 통해 외부로 새어나오므로 이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를 장착함이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제2목적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해 제조된 어댑터에 끼워지는 커넥터의 광섬유에 신호가 전송되고 있는지 또는 단선 되었는지를 외부에서 한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 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따라서 광선로 라인에 시설된 분배/단자/아웃렛의 광운용의 현황을 확실히 체크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어뎁터에서 광신호가 살아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가 달려 있는 어뎁터가 구비되므로 비록 번호 추적이 잘못되었다 하더라도 현장 작업자들이 살아 있는 심선에 손을 대는 실수를 사전에 방지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5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광섬유의 어댑터 연결부위에서 광신호 유무를 확인하는 센싱 어댑터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광섬유 커넥터를 광섬유축에 평행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며, 커넥터의 광섬유로 광신호가 전달되면 접속부위에서 광원의 일부가 외부로 새어나와 작업자가 바로 광섬유의 신호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검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의 어댑터 연결부위에서 광신호 유무를 확인하는 센싱 어댑터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어댑터에 끼워지는 커넥터의 광섬유에 광원이 흐르게 되면, 그 광원의 일부가 슬리브를 통해 외부로 새어나오므로 이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해 제조된 어댑터에 끼워지는 커넥터의 광섬유에 신호가 전송되고 있는지 또는 단선 되었는지를 외부에서 한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 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선로 라인에 시설된 분배/단자/아웃렛 등에서 활용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어뎁터에서 광신호가 살아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가 달려 있는 어뎁터가 구비되므로 비록 번호 추적이 잘못되었다 하더라도 현장 작업자들이 살아 있는 심선에 손을 대는 실수를 사전에 방지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된 광섬유의 어댑터 연결부위에서 광신호 유무를 확인하는 센싱 어댑터는 도 2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광섬유 커넥터를 광섬유축에 평행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30)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며, 커넥터(50)의 광섬유로 광신호가 전달되면 광섬유간 접속부위에서 광원의 일부가 외부로 새어나와 작업자가 어댑터에서 커넥터를 뽑지 않은 상태에서도 광섬유의 신호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검지부(40)가 구비되어 광섬유 커넥터 교체작업시에 살아 있는 광섬유를 건드리는 실수를 법하지 않도록 하는 센싱 어댑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검지부(40)의 기술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지부(40)는 커넥터(50)의 페룰(ferrule)(51)이 양단에 끼워지며, 다수의 커넥터(50)에 연결된 광섬유 내로 광원이 통과될 경우 광섬유의 광원이 효과적으로 배출되게 확장된 슬릿홈(11)이 형성된 홀더슬리브(1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홀더슬리브(10)가 내장된 상태에서 어댑터(30)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며, 슬릿홈(11)으로 빠져나온 광원이 배출되게 제1통공(21)이 형성된 리셉터클(20)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어댑터(30)에는 제1통공(21)과 같은 선상에 위치하며, 광원이 제1통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제2통공(31)이 형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리셉터클(20)의 외주면에는 제1통공(21)을 빠져나온 광원이 리셉터클 외주면을 통해 사방으로 배출되게 제1요홈(22)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어댑터(30)의 내주면에는 제2통공(31)과 연결되어 제1통공(21)을 통해 빠져나온 광원이 어댑터의 내주면을 통해 사방으로 배출되게 제2요홈(32)이 형성된다.
더하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제2통공(31)의 입구 또는 배출구 쪽에는 광원을 받으면 색깔이 변하거나 또는 이를 인식하는 변화인식부(41)가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변화인식부(41)는 통신 광섬유의 650∼1550의 파장대의 영역 값을 감지하여 색분산(chromatic dispersion)을 일으키는 LED 또는 글라스 또는 이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삭제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광섬유의 어댑터 연결부위에서 광신호 유무를 확인하는 센싱 어댑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어댑터(30)에 끼워지는 커넥터(50)의 광섬유로 전송신호가 전달되면 광원이 외부로 새어나와 작업자가 바로 광섬유의 신호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검지부(40)가 구비되는 것으로, 특히 광섬유로 신호가 전송되고 있는지 또는 단선 되었는지를 외부에서 한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 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따라서 광선로 라인에 시설된 분배/단자/아웃렛의 광운용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먼저, 어댑터(30)의 양단에 광섬유가 일측에 연결된 커넥터(50)를 끼운다. 그러면 커넥터(50)의 전방 중심에 설치된 페룰(51)이 홀더슬리 브(10)의 내측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 설치된 상태에서 커넥터(50)를 어뎁터에서 빼어 내지 않는 한 광섬유 신호가 있는지의 유무를 확인할 수가 없고 만일 분배반/단자함/아웃렛 등에 설치된 다수의 커넥터(50) 중에서 어느 하나의 광섬유를 교체해야 될 경우, 이를 찾아내기란 매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경우 감지부(40)에 의해 어느 커넥터(50)의 광섬유 신호가 살아 있는지를 쉽게 찾아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다수의 커넥터(50)에 연결된 광섬유 내로 광원이 통과될 경우 광원의 일부가 홀더슬리브(10)의 슬릿홈(11)으로 배출된다. .
그리고 상기 슬릿홈(11)으로 배출된 광원은 리셉터클(20)의 제1통공(21)과 어댑터(30)의 제2통공(31)을 통해 외부로 바로 배출되어 작업자는 어느 커넥터(50)의 광섬유가 수리되어야 하는지 바로 확인이 되어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1통공(21)을 통해 배출된 광원이 제1요홈(22)에 의해 사방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제1통공(21)의 위치가 도면상에 있는 위치가 아닌 다른 곳에 있을 경우에도 제2통공(31)을 통해 바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제1통공(31)의 하단에 제2요홈(32)을 형성한 것으로, 이는 제1통공(21)을 통해 배출된 광원이 도면상에는 하나의 제2통공(31)을 통해 배출되도록 형성한 것이나, 제2통공(31)이 도면상의 다른 곳에 위치하거나 또는 다수개가 형성될 경우에도 광원이 배출되도록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제2통공(31)의 입구 또는 배출구 쪽에는 광원 을 받으면 색깔이 변하는 변화인식부(41)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변화인식부(41)는 통신 광섬유의 650~1550의 파장대의 영역 값을 감지하여 색분산(chromatic dispersion)을 일으키는 글라스 또는 LED 또는 이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변화인식부(41)는 통신 광섬유의 광원이 통과될 때만 반응하는 필터로 구비되어 사용된다.
즉, 구체적으로 광통신에 사용되는 광원(light source)에서 방출되는 광은, 단일파장에 가까우나 완전히 단일은 아니고, 어느 폭을 갖는 파장특성(파장 스펙트럼)을 갖고 있어 일어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굴절률 n의 물질 중을 전송하는 광의 속도 Vn은, 진공중의 광의 속도를 c라 하면, Vn=c/n으로 표시된다. 그러므로, 굴절율 n이 파장에 따라 다른 경우, 어떤 파장 폭의 광 펄스가 입사하면 광의 전파속도가 파장에 의해 다르므로, 도달시간에 차가 생기고 파형이 벌어지게 된다.
상기한 원리에 의해 광원이 글라스 또는 이를 감지하는 장치(LED 등)에 전달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 광섬유의 어댑터 연결부위에서 광신호 유무를 확인하는 센싱 어댑터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 1 은 종래 광섬유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광섬유의 어댑터 연결부위에서 광신호 유무를 확
인하는 센싱 어댑터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홀더슬리브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광섬유의 어댑터 연결부위에서 광신호 유무를 확
인하는 센싱 어댑터의 정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광섬유의 어댑터 연결부위에서 광신호 유무를 확
인하는 센싱 어댑터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광섬유의 어댑터 연결부위에서 광신호 유무를 확
인하는 센싱 어댑터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홀더슬리브
20: 리셉터클
30: 어댑터
40: 검지부
50: 커넥터

Claims (7)

  1. 삭제
  2.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광섬유 커넥터를 광섬유축에 평행하게 연결시키는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며, 커넥터의 광섬유로 광신호가 전달되면 접속부위에서 광원의 일부가 외부로 새어나와 작업자가 바로 광섬유의 신호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검지부가 구비된 광섬유의 어댑터 연결부위에서 광신호 유무를 확인하는 센싱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40)는,
    커넥터(50)의 페룰(51)이 양단에 끼워지며, 다수의 커넥터(50)에 연결된 광섬유 내로 광원이 통과될 경우 광섬유의 광원이 효과적으로 배출되게 확장된 슬릿홈(11)이 형성된 홀더슬리브(10);
    상기 홀더슬리브(10)가 내장된 상태에서 어댑터(30)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며, 슬릿홈(11)으로 빠져나온 광원이 배출되게 제1통공(21)이 형성된 리셉터클(20);
    상기 어댑터(30)에는 제1통공(21)과 같은 선상에 위치하며, 광원이 제1통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제2통공(31); 및
    상기 리셉터클(20)의 외주면에는 제1통공(21)을 빠져나온 광원이 리셉터클 외주면을 통해 사방으로 배출되게 제1요홈(22)과, 상기 어댑터(30)의 내주면에는 제2통공(31)과 연결되어 제1통공(21)을 통해 빠져나온 광원이 어댑터의 내주면을 통해 사방으로 배출되게 제2요홈(3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의 어댑터 연결부위에서 광신호 유무를 확인하는 센싱 어댑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90030981A 2009-04-09 2009-04-09 광섬유의 어댑터 연결부위에서 광신호 유무를 확인하는 센싱 어댑터 KR101100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981A KR101100901B1 (ko) 2009-04-09 2009-04-09 광섬유의 어댑터 연결부위에서 광신호 유무를 확인하는 센싱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981A KR101100901B1 (ko) 2009-04-09 2009-04-09 광섬유의 어댑터 연결부위에서 광신호 유무를 확인하는 센싱 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463A KR20100112463A (ko) 2010-10-19
KR101100901B1 true KR101100901B1 (ko) 2012-01-02

Family

ID=43132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981A KR101100901B1 (ko) 2009-04-09 2009-04-09 광섬유의 어댑터 연결부위에서 광신호 유무를 확인하는 센싱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09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547B1 (ko) 2009-12-15 2013-05-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어뎁터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광섬유의 길이 차이 보상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61661B (zh) * 2018-06-22 2024-05-10 江苏安昌光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光纤连接法兰以及取光模块
WO2020191645A1 (zh) * 2019-03-27 2020-10-01 南京续点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取光适配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0488A (ja) * 2002-11-18 2004-06-17 Nec Engineering Ltd 光ファイバコネクタ
KR20080003318A (ko) * 2005-04-25 2008-01-07 교와 가부시키가이샤 소화관 운동 부활 조정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0488A (ja) * 2002-11-18 2004-06-17 Nec Engineering Ltd 光ファイバコネクタ
KR20080003318A (ko) * 2005-04-25 2008-01-07 교와 가부시키가이샤 소화관 운동 부활 조정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547B1 (ko) 2009-12-15 2013-05-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어뎁터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광섬유의 길이 차이 보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463A (ko) 2010-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3791B2 (en) Communication light detecting device
JP5199883B2 (ja) 許容スプライス成端接続を検証する装置及び方法
US10862584B2 (en) Apparatus for monitoring fiber signal traffic at a fiber connector
JP6087510B2 (ja) ケーブルおよびケーブル判別方法
JP4927028B2 (ja) 通信光検知器
CN109073841B (zh) 具有光电检测器的光连接器、用于光连接器的适配器、以及系统
JP4967144B2 (ja) 光コネクタ
EP3556029B1 (en) Optical fiber test apparatus with combined light measurement and fault detection
US7334944B1 (en) Optical connector
JP2009145676A (ja) 通信光検知器
US7347628B2 (en) Optical interface identification system
KR101100901B1 (ko) 광섬유의 어댑터 연결부위에서 광신호 유무를 확인하는 센싱 어댑터
JP5003969B2 (ja) 光接続部材
CN109283628A (zh) 一种具有故障可视功能的预埋式光纤快速连接器及故障检测方法
CN211061735U (zh) 一种光纤适配器及其光路侧向显示器
CN201532474U (zh) 塑料光纤连接器
CN212463217U (zh) 光纤跳线收发光检测装置
CN209911602U (zh) 一种光纤适配器
JP2009204319A (ja) 光検出コネクタ
CN219105214U (zh) 一种sc型光纤连接器
CN208506319U (zh) 一种新型lc连接头
CN209842152U (zh) 一种低损耗光纤耦合器
CN210775913U (zh) 一种防止毛细管尾纤损伤的装置
CN101571614B (zh) 一种光纤光束转换器
JP2013113871A (ja) 通信光検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824

Effective date: 201112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