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856B1 - 내충격성이 우수하게 개선된 토목용 생분해성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내충격성이 우수하게 개선된 토목용 생분해성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856B1
KR101099856B1 KR1020100003071A KR20100003071A KR101099856B1 KR 101099856 B1 KR101099856 B1 KR 101099856B1 KR 1020100003071 A KR1020100003071 A KR 1020100003071A KR 20100003071 A KR20100003071 A KR 20100003071A KR 101099856 B1 KR101099856 B1 KR 101099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impact resistance
polylactic acid
civil engineering
aliph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3058A (ko
Inventor
원동호
유배근
심상헌
박양호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3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856B1/ko
Publication of KR20110083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8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6Degradable
    • B32B2307/7163Biodegradable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 공사시 절개면의 표면유실을 방지하고 식물의 활착을 원활하게 하는 흙을 안정되게 모아둘 수 있는 단위 셀 용 시트로 사용될 수 있도록 폴리유산을 주성분으로 하여 생분해성을 보유하면서 내충격성을 개선하기 위해 내충격 보강물질이 적합한 구조로 포함된 폴리유산계의 다층시트로 내충격성이 우수하게 개선된 토목용 생분해성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본 발명의 내충격성이 우수하게 개선된 토목용 생분해성 시트는 시트의 내층(A)은 폴리유산과 지방족/방향족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며, 시트의 외층(B)은 폴리유산으로 이루어진 B/A/B의 3층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겔-셀(Gel-cell) 공법에 사용되는 단위 셀 용 폴리유산계 다층 시트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내충격성이 우수하게 개선된 토목용 생분해성 시트는 내층과 외층의 구성이 다른 3층 구조의 다층시트로 되어 생분해성이 우수하면서도 우수한 내충격성과 형태 유지성을 보유하여, 토목용 단위 셀로 가공했을 때 생분해성과 내충격성 및 강성의 물성이 우수하여 식생의 사용목적에 충분히 적합하게 사용되고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사용된 단위 셀이 완전히 분해가 될 수 있어 종래의 문제점을 완전하게 해결한 상업적 가치가 우수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내충격성이 우수하게 개선된 토목용 생분해성 시트 및 그 제조 방법{Biodegradable sheet retaining an excellent impact resistance and preparing process thereof}
본 발명은 내충격성이 우수하게 개선된 토목용 생분해성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토목 공사시 절개면의 표면유실을 방지하고 식물의 활착을 원활하게 하는 흙을 안정되게 모아둘 수 있는 단위 셀 용 시트로 사용될 수 있도록 폴리유산을 주성분으로 하여 생분해성을 보유하면서 내충격성을 개선하기 위해 내충격 보강물질이 적합한 구조로 포함된 폴리유산계의 다층시트로 내충격성이 우수하게 개선된 토목용 생분해성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 토목공사 절개면의 안정화를 위해 사용되는 시공법은 시드 스프레이(Seed Spray), 거적덮기 공법 등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들어 우수한 안정화 공법으로 겔-셀(Gel-cell) 공법이 소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현재 겔-셀 공법에 사용되는 단위 셀의 재질은 합성수지로 된 부직포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들 합성 수지는 그 사용목적을 다하고도 거의 영구히 분해되지 않고 토양 중에 잔류하기 때문에 지구환경보호의 측면에서 식물의 식생이 완료된 후에는 사용된 단위 셀이 완전히 분해가 될 수 있는 재질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으며, 따라서 단위 셀이 일정 시간 경과 후 생분해될 수 있는 소위 생분해성 단위 셀의 개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 다양한 기술과 원료로부터, 상기한 목적으로 단위 셀로 사용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분해성 플라스틱이 개발되어 오고 있으며, 이중 폴리유산(이하, PLA라 함)은 L-유산의 발효법 개발에 의해 대량 또한 값싸게 제조되고 있으며, 퇴비화 조건에서 분해속도가 빠르고, 곰팡이에 대한 저항성, 식품에 대한 내착취성 등 우수한 특징을 보유해 그 이용 분야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이러한 PLA는 현재 각국에서 용도에 적합한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어 상기 토목 공사용 단위 셀로도 사용이 제안될 수 있다. 하지만, PLA의 경우 낮은 내충격성으로 인해, 이를 개질하지 않고는 토목용 재료로는 적절한 수지라 보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PLA의 단점이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PLA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기술로는 일본국 특허공개번호 제1999-241008호(출원인: 미쯔이 화학 주식회사)는 "폴리유산계 수지 조성물"이라는 명칭으로, 폴리유산과 융점이 80 내지 250℃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로 된 고분자 조성물과 가소제로 된 수지조성물에 천연물을 첨가하여 유연성과 내열성을 유지하고 생분해성을 제어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0055645호(출원인: 이래화학)는 "인열강도가 보강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이라는 명칭으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와 방향족-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유산(PLA) 3~65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발명 외에도 내충격성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제안되어 오고 있으나, 이들 PLA 내충격성 개선용 원료는 토목용에 적합한 내충격성과 강성을 동시에 실현시키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번호 제1999-241008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0055645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일의 목적은 생분해성을 충족하면서 토목용에 적합한 내충격성과 강성을 동시에 실현하기에 충분한 특성을 갖는 내충격성이 우수하게 개선된 토목용 생분해성 시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분해성과 내충격성 및 강성이 우수하게 개선된 토목용 생분해성 시트를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이러한 목적 및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토목용 폴리유산계 시트의 내충격성 및 강성 부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폴리유산과 지방족/방향족폴리에스테르가 일정량 함유된 것을 시트의 내층으로 하고, 외층은 폴리유산으로 만 이루어진 다층구조의 폴리유산계 다층시트를 제공하므로 시트의 생분해성을 유지하면서 내충격성과 강성이 확보된 다층시트를 제공할 수 있어 달성되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내충격성이 우수하게 개선된 토목용 생분해성 시트는;
시트의 내층(A)은 폴리유산과 지방족/방향족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며, 시트의 외층(B)은 폴리유산으로 이루어진 B/A/B의 3층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겔-셀(Gel-cell) 공법에 사용되는 단위 셀 용 폴리유산계 다층 시트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내층(A)은 전체 함량 중에서 폴리유산의 함량이 70.0 내지 90.0중량부이고, 지방족/방향족폴리에스테르의 함량이 10.0 내지 30.0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시트의 3층(B/A/B) 구조의 층비는 0.5/9.0/0.5 내지 2.0/6.0/2.0인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폴리유산은 L-락트산, D-락트산 또는 L,D-락트산으로 구성되며, 수평균분자량이 10,000 이상인 것으로, 이들이 단독 혹은 복합으로 사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지방족/방향족폴리에스테르가 방향족 성분으로 ROOC-Ar-COOR'(R, R'은 수소 또는 알킬기)구조의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지방족 성분으로 ROOC-(CH2)n-COOR'(R, R'은 수소 또는 알킬기, n은 2 내지 14의 정수임)구조의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며, 글리콜류는 HO-(CH2)n-OH (n은 2 이상의 정수임)구조의 디올 또는 폴리알킬렌글리콜이나 일반식(1)로 표현되는 구조의 지방족 2가 알콜류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일반식 (1)
Figure 112010002170690-pat00001
상기 일반식(1)에서 R1은 C2~C8의 알킬렌기이며, R2는 C2~C8의 알킬기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다층 시트는 그 두께가 0.20 내지 1.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내충격성이 우수하게 개선된 토목용 생분해성 시트의 제조 방법은;
폴리유산 70.0 내지 90.0중량부와 지방족/방향족폴리에스테르 10.0 내지 30.0중량부를 드라이 믹싱 후 메인 압출기를 통해 용융시켜 피더 블럭(FEEDER BLOCK)을 통해 시트의 내층(A)으로 통과시키고, 폴리유산만을 서브 압출기를 통해 용융시켜 피더 블럭을 통해 시트 외층(B)으로 통과시킨 후 슬립(SLIP)형 다이를 통해 토출시켜 B/A/B의 3층 구조의 시트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내충격성이 우수하게 개선된 토목용 생분해성 시트는 내층과 외층의 구성이 다른 3층 구조의 다층시트로 되어 생분해성이 우수하면서도 우수한 내충격성과 형태 유지성을 보유하여, 토목용 단위 셀로 가공했을 때 생분해성과 내충격성 및 강성의 물성이 우수하여 식생의 사용목적에 충분히 적합하게 사용되고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사용된 단위 셀이 완전히 분해가 될 수 있어 종래의 문제점을 완전하게 해결한 상업적 가치가 우수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의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겔-셀(Gel-cell) 공법에 사용되는 단위 셀 용 폴리유산계 다층 시트로서 본 발명의 내충격성이 우수하게 개선된 토목용 생분해성 시트는 외층(B)/내층(A)/외층(B)의 3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층은 폴리유산과 지방족/방향족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며, 외층은 폴리유산만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폴리유산은 L-락트산, D-락트산 또는 L,D-락트산으로 구성되며, 수평균분자량은 10,000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폴리유산은 단독 혹은 복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라 내층의 일 성분으로 사용된 지방족/방향족 폴리에스테르는 방향족 성분으로 ROOC-Ar-COOR'(R, R'은 수소 또는 알킬기)구조의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 테레프탈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 디페닐술폰산디카르복실산, 디페닐메탄디카르복실산, 디페닐에테르디카르복실산, 디페녹시에탄디카르복실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알킬렌에스테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는 ROOC(CH2)nCOOR'(R, R'은 수소 또는 알킬기, n은 2 내지 14의 정수임)구조를 가지는 숙신산, 글루탈산, 말론산, 옥살산, 아디프산, 세바신산, 아젤라산, 노난디카르복실산과 이들의 알킬 또는 아릴에스테르유도체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며, 글리콜류는 HO-(CH2)n-OH (n은 2 이상의 정수임)구조를 가지는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이나 프로필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올, 헥사메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로 구성되는 알킬렌글리콜이나 폴리알킬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이나 일반식(1)로 표현되는 분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지방족 2가 알콜인 1,2-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1,2-펜탄디올, 1,3-펜탄디올, 1,4-펜탄디올, 1,2-헥산디올, 1,3-헥산디올, 1,4-헥산디올, 1,5-헥산디올, 1,2-옥탄디올, 1,3-옥탄디올, 1,4-옥탄디올, 1,5-옥탄디올, 1,6-옥탄디올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식 (1)
Figure 112010002170690-pat00002
상기 일반식(1)에서 R1은 C2~C8의 알킬렌기이며, R2는 C2~C8의 알킬기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내층(A)은 전체 함량 중에서 폴리유산의 함량이 70.0 내지 90.0중량부이고, 지방족/방향족폴리에스테르의 함량이 10.0 내지 30.0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B/A/B구조의 폴리유산계 다층시트에서 내층(A)의 폴리유산 함량이 70.0중량부보다 적게 되면 다이(DIE)에서 용융 압출되는 전체 용융 폴리머(polymer)의 유동을 제어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반대로 상기 폴리유산의 함량이 90.0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시트가 충분한 내충격성을 발휘하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외층(B)은 폴리유산만으로 이루어진다. 외층에 폴리유산만을 적용하는 이유는 시트의 강성을 발휘하기 위함으로 폴리유산만으로 이루어진 시트의 외층은 시트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시트의 3층(B/A/B) 구조를 구성하는 각층의 층 비는 0.5/9.0/0.5 내지 2.0/6.0/2.0로 함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각층의 층 비를 1.0/8.0/1.0로 하는 것인데, 이는 상기 층 비에서 생분해성과 내충격성의 물성 면에서 가장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상기 B/A/B 구조의 폴리유산계 다층시트는 다이로부터 용융 압출되어 형성되며, 이때 또한 가장 중요한 것이 온도조건인데, 바람직하기로는 180 내지 250℃의 온도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30℃의 온도범위에서 가공을 하는 것이 좋다. 이는 수지 조성물의 열분해를 최소로 하여 시트를 구성하는 조성물의 유연성을 배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충분한 용융온도를 유지함으로써 다이에서부터 토출되는 용융 폴리머의 유동제어를 하기에 가장 적합하기 때문이다. 토목용 시트, 특히 겔-셀 공법에 사용되는 단위 셀 용 시트의 경우 시트의 절단공정, 천공공정, 접착공정, 시공, 토사주입, 배수시험 등의 작업공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요구되는 특성은 시트의 가공작업에서 시트가 깨어지지 않아야 하며, 또한 토사 주입 후 단위 셀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하는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층시트는 상기의 단위 셀 용 시트에서 요구하는 물성을 충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층 시트는 그 두께가 0.20 내지 1.20mm로 되는 경우에 상기 토목용 단위 셀로서 요구되는 제반 물성을 가장 효과적으로 충족할 수 있다는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시트에는 용도에 따라 자외선 방지제, 항균/항취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산화방지제, 착색제 등의 물질을 첨가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시트에 대해 내충격성과 강성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시트 물성을 갖추고 있는지를 아래의 조건에서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1) 내충격성:
TOYO SEIKI SEISAKU-SHO사의 FILM IMPACT TESTER기를 통해 내충격성을 측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계산식을 통해 충격강도로 표시하였다;
충격강도(kN.m/mm) = 시편이 파괴될 때에 소요된 힘(kg.cm)/시편두께(mm) X 0.09807
(2) 형태유지성:
100mm 폭의 겔-셀 공법용 허니웰 셀을 제작하여 45도 각도로 세운 후 토사를 주입하여 셀의 형태변형을 관찰하였다. 이때 변형이 없으면;○, 변형은 있으나 무너지지 않으면;△, 셀이 무너지는 경우;Ⅹ로 각각 표시하였다.
실시예 1
N.W LLC사의 PLA수지 90.0kg과 지방족/방향족폴리에스테르(이래화학의 EnPol-G8060) 10.0kg을 드라이 믹싱(DRY MIXING) 후 메인 압출기를 통해 용융시켜 피더 블럭(FEEDER BLOCK)을 통해 시트의 내층(A)으로 통과시키고, N.W LLC사의 PLA수지 22kg을 서브 압출기를 통해 용융시켜 피더 블럭(FEEDER BLOCK)을 통해 시트 외층(B)으로 통과시킨 후 슬립(SLIP)형 다이를 통해 토출시켜 500㎛ 두께의 시트를 제조하였고, 제조된 시트에서 시편을 제작하여 내충격성을 측정하고, 허니웰 셀을 제작하여 형태유지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N.W LLC사의 PLA수지 70.0kg과 지방족/방향족폴리에스테르(이래화학의 EnPol-G8060) 30.0kg을 드라이 믹싱 후 메인 압출기를 통해 용융시켜 피더 블럭을 통해 시트 내층(A)으로 통과시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트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시트를 통해 내충격성과 형태유지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N.W LLC사의 PLA수지 11.0kg을 서브 압출기를 통해 용융시켜 피더 블럭을 통해 시트 외층(B)으로 통과시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트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시트를 통해 내충격성과 형태유지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N.W LLC사의 PLA수지 66.0kg을 서브 압출기를 통해 용융시켜 피더 블럭을 통해 시트 외층(B)으로 통과시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트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시트를 통해 내충격성과 형태유지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N.W LLC사의 PLA수지 100.0kg을 메인 압출기를 통해 용융시켜 피더 블럭을 통해 시트 내층(A)으로 통과시키고, N.W LLC사의 PLA수지 22.0kg을 서브 압출기를 통해 용융시켜 피더 블럭을 통해 시트 외층(B)으로 통과시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트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시트를 통해 내충격성과 형태유지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N.W LLC사의 PLA수지 90.0kg과 지방족/방향족폴리에스테르(이래화학의 EnPol-G8060) 10.0kg을 드라이 믹싱 후 메인 압출기를 통해 용융시켜 피더 블럭을 통해 시트 내층(A)으로 통과시키고, N.W LLC사의 PLA수지 18.0kg과 지방족/방향족폴리에스테르(이래화학의 EnPol-G8060) 2.0kg을 드라이 믹싱 후 서브 압출기를 통해 용융시켜 피더 블럭을 통해 시트 외층(B)으로 통과시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트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시트를 통해 내충격성과 형태유지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N.W LLC사의 PLA수지 95.0kg과 지방족/방향족폴리에스테르(이래화학의 EnPol-G8060) 5.0kg을 드라이 믹싱 후 메인 압출기를 통해 용융시켜 피더 블럭을 통해 시트 내층(A)으로 통과시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트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시트를 통해 내충격성과 형태유지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N.W LLC사의 PLA수지 60.0kg과 지방족/방향족폴리에스테르(이래화학의 EnPol-G8060) 40.0kg을 드라이 믹싱 후 메인 압출기를 통해 용융시켜 피더 블럭을 통해 시트 내층(A)으로 통과시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트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시트를 통해 내충격성과 형태유지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조성
(kg)
내층
(A)
PLA-
2002D
90.0 70.0 90.0 90.0 100.0 90.0 95.0 60.0
EnPol-
G8060
10.0 30.0 10.0 10.0 - 10.0 5.0 40.0
외층
(B)
PLA-
2002D
22.0 22.0 11.0 66.0 22.0 18.0 22.0 22.0
EnPol-
G8060
- - - - - 2.0 - -
물성 충격강도
(kN.m/mm)
2.87 3.22 2.96 2.58 1.79 2.89 1.88 3.29
형태유지성

Claims (6)

  1. 시트의 내층(A)은 폴리유산과 지방족/방향족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며, 시트의 외층(B)은 폴리유산으로 이루어진 B/A/B의 3층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겔-셀(Gel-cell) 공법에 사용되는 단위 셀 용 폴리유산계 다층 시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하게 개선된 토목용 생분해성 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A)은 전체 함량 중에서 폴리유산의 함량이 70.0 내지 90.0중량부이고, 지방족/방향족폴리에스테르의 함량이 10.0 내지 30.0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하게 개선된 토목용 생분해성 시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3층(B/A/B) 구조의 층비는 0.5/9.0/0.5 내지 2.0/6.0/2.0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하게 개선된 토목용 생분해성 시트.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유산은 L-락트산, D-락트산 또는 L,D-락트산으로 구성되며, 수평균분자량이 10,000 이상인 것으로, 이들이 단독 혹은 복합으로 사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하게 개선된 토목용 생분해성 시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방향족폴리에스테르가 방향족 성분으로 ROOC-Ar-COOR'(R, R'은 수소 또는 알킬기)구조의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지방족 성분으로 ROOC-(CH2)n-COOR'(R, R'은 수소 또는 알킬기, n은 2 내지 14의 정수임)구조의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며, 글리콜류는 HO-(CH2)n-OH (n은 2 이상의 정수임)구조의 디올 또는 폴리알킬렌글리콜이나 일반식(1)로 표현되는 구조의 지방족 2가 알콜류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하게 개선된 토목용 생분해성 시트:
    일반식 (1)
    Figure 112010002170690-pat00003

    상기 일반식(1)에서 R1은 C2~C8의 알킬렌기이며, R2는 C2~C8의 알킬기이다.
  6. 폴리유산 70.0 내지 90.0중량부와 지방족/방향족폴리에스테르 10.0 내지 30.0중량부를 드라이 믹싱 후 메인 압출기를 통해 용융시켜 피더 블럭(FEEDER BLOCK)을 통해 시트의 내층(A)으로 통과시키고, 폴리유산만을 서브 압출기를 통해 용융시켜 피더 블럭을 통해 시트 외층(B)으로 통과시킨 후 슬립(SLIP)형 다이를 통해 토출시켜 B/A/B의 3층 구조의 시트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하게 개선된 토목용 생분해성 시트의 제조 방법.












KR1020100003071A 2010-01-13 2010-01-13 내충격성이 우수하게 개선된 토목용 생분해성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099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071A KR101099856B1 (ko) 2010-01-13 2010-01-13 내충격성이 우수하게 개선된 토목용 생분해성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071A KR101099856B1 (ko) 2010-01-13 2010-01-13 내충격성이 우수하게 개선된 토목용 생분해성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058A KR20110083058A (ko) 2011-07-20
KR101099856B1 true KR101099856B1 (ko) 2011-12-28

Family

ID=44920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071A KR101099856B1 (ko) 2010-01-13 2010-01-13 내충격성이 우수하게 개선된 토목용 생분해성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98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0340A (ja) 2000-11-24 2002-06-04 Mitsubishi Plastics Ind Ltd 生分解性導電性複合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成形体又はキャリアテープ
JP2009013271A (ja) 2007-07-04 2009-01-22 Lonseal Corp ポリ乳酸系シートまたは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0340A (ja) 2000-11-24 2002-06-04 Mitsubishi Plastics Ind Ltd 生分解性導電性複合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成形体又はキャリアテープ
JP2009013271A (ja) 2007-07-04 2009-01-22 Lonseal Corp ポリ乳酸系シートまたは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058A (ko) 201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42268B1 (de) Biologisch abbaubare dreischichtfolie
US7326659B2 (en) Biodegradable netting
DE60213142T2 (de) Ternäre Mischung von bioabbaubaren Polyestern und daraus hergestellten Produkten
DE60214913T2 (de) Ternäre Mischungen von bioabbaubaren Polyestern und daraus hergestellten Produkten
US6235815B1 (en) Biodegradable polymeric mixtures based on thermoplastic starch
EP3079907B1 (de) Polymermischung für barrierefolie
US20080268190A1 (en) Degradable, soft-feel netting
JP2020511565A (ja) 高分解性フィルムのためのポリマー組成物
DE19754418A1 (de) Stabilisierte Formmassen biologisch abbaubarer Materialien
KR101149833B1 (ko) 생분해성이 제어된 생분해성 합성수지 조성물, 필라멘트 및 이를 이용한 침식방지 매트
KR20080067424A (ko) 다층구조를 가진 생분해성 시트
KR101436200B1 (ko) 사슬이 연장된 폴리락트산을 이용한 발포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5601017B2 (ja) 生分解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99856B1 (ko) 내충격성이 우수하게 개선된 토목용 생분해성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17179080A (ja) 脂肪族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該組成物からなるドレーン材
JP5060848B2 (ja) 生分解性樹脂製管状成形体
KR101099941B1 (ko) 내열성과 내충격성이 개선된 토목용 생분해성 다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63063A (ko) 폴리락트산의 블렌드 방사를 통한 생분해성과 낮은 탄소배출 특성을 갖는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45588A (ko)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유산계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용기
KR101082397B1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0525476B1 (ko) 컷팅성 및 기계적강도가 향상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공중합체 의 제조방법
KR20120082565A (ko) 폴리유산계 다층 시트 및 이를 사용한 포장 케이스
JP2010089268A (ja) 管状の成形体
KR20060035384A (ko) 유연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JP2023152802A (ja) ポリ乳酸系フィルム、食品包装用フィルム、青果物包装用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