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759B1 -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 - Google Patents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759B1
KR101099759B1 KR1020090086721A KR20090086721A KR101099759B1 KR 101099759 B1 KR101099759 B1 KR 101099759B1 KR 1020090086721 A KR1020090086721 A KR 1020090086721A KR 20090086721 A KR20090086721 A KR 20090086721A KR 101099759 B1 KR101099759 B1 KR 101099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conduction
conduction speake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6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9037A (ko
Inventor
홍상우
박명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6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759B1/ko
Publication of KR20110029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가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특정 골전도스피커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출력하는 도중 다른 골전도스피커로부터 무선통신 연결 요청을 수신하여 세션을 설정하고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외부의 환경에서 들려오는 소리를 들으면서 간단한 일회성 동작만으로 다른 사용자와 같이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동일한 음향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골전도스피커, 음향청취, 무선통신

Description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System and method for output using multiple bone conduction speaker, and terminal thereof}
본 발명은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특정 골전도스피커에서 출력 중인 데이터를 단말기와 다른 골전도스피커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동일하게 출력할 수 있는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골전도 기술이란 골전도 진동자(bone conduction Transducer)를 이용하여 음파가 두개골에 전도되어 직접 내이에 전달되는 현상을 의미하며, 현재 골전도 기술을 이용하여 음파를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골전도 기술은 이어폰이나 헤드폰 등으로 귀를 덮지 않아 사용자의 답답함을 없앨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어폰이나 헤드폰 등의 출력장치를 장시간 사용함으로 인한 피로감 및 청각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골전도 기술은 청각에 문제가 있는 사람뿐 아니라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도 그 기술적 효용이 있다.
그런데, 골전도 기술은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맞닿아 음파를 전도하는 것이기 때문에, 공개된 장소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과 같이 동일한 음향을 여러 사람이 함께 들을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동일한 음향을 골전도 방식으로 복수의 사람이 청취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며, 특히, 청각뿐 아니라 다른 신체의 거동이 불편한 사람의 경우에 버튼 하나만을 누르는 등 간단한 동작만으로 다른 사람이 청취중인 음향을 같이 들을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골전도스피커의 사용자가 간단한 동작으로 다른 사람이 청취중인 음향을 동시에 들을 수 있는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시스템은,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골전도방식으로 출력하는 제1골전도스피커, 무선통신 연결 요청을 전송하고 무선통신 연결이 이루어진 후 연결된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제1골전도스피커가 수신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골전도방식으로 출력하는 제2골전도스피커, 및 상기 제1골전도스피커에 데이터를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제2골전도스피커로부터 무선통신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제2골전도스피커가 무선통신 연결이 허용된 골전도스피커임을 확인하고 무선통신 연결을 하며, 상기 제1골전도스피커로 전송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상기 제2골전도스피커로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시스템에서의 단말기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 무선통신 연결이 허용된 골전도스피커의 식별자 정보를 저장한 저장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모듈,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부,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무선통신 연 결된 제1골전도스피커에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제2골전도스피커로부터 무선통신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식별자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2골전도스피커가 무선통신 연결이 허용된 골전도스피커임을 확인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무선통신 연결을 한 후,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1골전도스피커로 전송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상기 제2골전도스피커로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시스템에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통신 연결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시스템에서의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골전도스피커로부터 수신한 무선통신 연결 요청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골전도스피커의 식별자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식별자를 비교하여 무선통신 연결이 허용된 골전도스피커인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방법은, 단말기가 무선통신 연결된 제1골전도스피커에 데이터를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제1출력단계, 상기 단말기가 제2골전도스피커로부터 무선통신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제2골전도스피커가 무선통신 연결이 허용된 골전도스피커임을 확인하고 무선통신 연결을 하는 연결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골전도스피커로 전송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상기 제2골전도스피커로 전송하여 출력하도 록 하는 제2출력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계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통신 연결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무선통신 연결 요청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골전도스피커의 식별자를 참조하여 무선통신 연결이 허용된 골전도스피커인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계는, 상기 단말기 내부에 기저장된 무선통신 연결이 허용된 골전도스피커의 식별자와 상기 제2골전도스피커의 식별자를 비교하여 무선통신 연결이 허용된 골전도스피커인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골전도 스피커의 사용자가 간단한 동작으로 다른 사람이 청취중인 음향을 동시에 들을 수 있고, 청취를 위한 음향 데이터가 하나의 단말에만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도 복수의 사람이 동시에 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향 데이터의 전송 주체가 하나만 요구되므로, 이동 중인 복수의 사람이 밴드 형태와 같이 각각의 신체에 부착된 골전도 스피커를 이용하여 하나의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음향을 동시에 청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운동 또는 작업 중인 경우 등에 있어 복수의 사람이 귀로 청취되는 음향과 동시에 단말기로부터의 음향 정보를 같이 청취할 수 있 고, 특히, 재난, 재해 등의 비상 상황시와 같이 상황 정보를 청취하면서 외부에서 들려오는 음향을 같이 청취해야 하는 경우, 간단한 동작으로 단일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대피 정보 등을 복수의 사람이 청취하면서 대피할 수 있으며, 몸이 불편한 사람도 버튼을 누르는 등 일회성의 간단한 동작만으로 강의장소와 같은 곳에 구비된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내용을 공유하여 청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시스템은, 제1골전도스피커(100), 제2골전도스피커(200) 및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상 공기로 전해지는 음파의 진동은 귀속에 있는 고막으로 전달된다. 고막 속에는 이소골이라 불리는 3개의 뼈가 있는데, 고막의 진동은 이 뼈를 통하여 나사모양의 달팽이관에 전달된다. 달팽이관에는 린바액이라는 액체가 차 있고 이 액체의 진동이 전기신호로 바뀌면서 청각신경에 전달되면, 사람의 뇌는 소리를 인식하 게 된다.
골전도란 이러한 소리인식 메커니즘에서 진동이 고막과 이소골을 경유하는 과정을 생략한 것으로 음파의 진동을 두개골을 통하여 직접 달팽이관에 보내게 된다. 즉, 골전도스피커(100, 200)는 골전도 진동자(bone conduction Transducer)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신체에 맞닿은 골전도스피커(100, 200)의 골전도 진동자는 사람의 뼈에 음파에 대응하는 진동을 전달하며, 음파는 사람의 뼈를 통해 두개골로 전도되고 내이에 전달된다. 따라서, 고막이나 이소골에 이상이 있는 난청자라도, 달팽이관이나 청각신경이 정상이라면 골전도를 이용해 소리를 들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골전도스피커(100) 및 제2골전도스피커(200)는 이러한 골전도 방식으로 음파를 내이로 전달하는 음향출력장치이다. 통상 진행방향과 파동 방향이 같은 소밀파는 매질의 밀도가 큰 곳에서 잘 전달되며, 제1골전도스피커(100) 및 제2골전도스피커(200)는 피부, 장기보다 매질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큰 사람의 뼈를 이용하여, 음파의 진동을 사용자의 달팽이관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에, 소밀파 진동의 강도가 손목, 팔목, 어깨 등의 관절에서 감쇄될 수 있으므로, 제1골전도스피커(100) 및 제2골전도스피커(200)의 사용자는 두개골, 정확히는 달팽이관과 근접한 위치에 스피커(100, 200)가 닿도록 하여 진동이 전달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제1골전도스피커(100) 및 제2골전도스피커(200)는 밴드, 헤드폰, 모자, 목걸이, 시계, 안경, 치아 등 인간의 신체에 부착되어 뼈를 통해 음파를 출력할 수 있는 모든 장치 중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나, 골전도 방식을 위한 진동 의 최대 전달을 위해 두개골에 직접 맞닿은 안경, 치아, 모자, 목걸이 등의 형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차선책으로 두개골과 인접하며 어깨 바로 밑에 부착 가능한 암 밴드(arm band) 형태를 이용하여 골전도스피커(100, 200)를 제작할 수도 있다.
제1골전도스피커(100) 및 제2골전도스피커(200)는 단말기(300)와 무선통신 세션(session) 연결을 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단말기(300)가 전송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골전도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단말기(300)는 PC(Personal Computer), 가전기기, 이동통신기기 등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장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단말기(300)는 신체에 부착된 제1골전도스피커(100) 및 제2골전도스피커(200)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며 사람이 휴대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일 수 있다. 단말기(300)는 제1골전도스피커(100) 및 제2골전도스피커(200)와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단말기(300)는 제1골전도스피커(100)와 무선통신 세션설정을 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며, 제1골전도스피커(100)는 단말기(3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대응하는 음향을 골전도 방식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제1골전도스피커(100)가 단말기(3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도중 단말기(300)가 제2골전도스피커(200)로부터 무선통신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제2골전도스피커(200)가 무선통신 연결이 허용된 골전도스피커임을 확인하고 무선통신 연결을 한다.
이때, 단말기(300)는 지그비(zigbee), 피코캐스트(picocast), 블루투 스(bluetooth), UWB, Wi-Fi, WGB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2골전도스피커(200)와 무선통신 연결을 할 수 있으며, 이는 제1골전도스피커(100)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 등은 상기의 기술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현재 개발 중이거나 미래에 개발이 완료되어 상용화될 모든 무선통신 기술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제2골전도스피커(200)가 단말기(300)로 무선통신 연결 요청을 할 때에는 무선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 등의 헤더에 제2골전도스피커(200)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골전도스피커(200)는 단말기(300)로 무선통신 연결 요청을 하기 위한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골전도스피커(200)에 포함된 입력장치는, 예를 들어, 비상 상황에 처한 사람이나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쉽게 무선통신 연결을 할 수 있도록, 간단한 한 번의 동작으로 누를 수 있는 버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말기(300)는 제2골전도스피커(200)로부터 수신한 무선통신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자와, 내부에 기 저장된 무선통신이 허용된 골전도스피커의 식별자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없이 자동으로 무선통신 연결을 한다. 이를 위해, 단말기(300)는 사전에 사용자 입력을 받아 무선통신 연결이 허용된 골전도스피커의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다.
단말기(300)와 제2골전도스피커(200) 간에 무선통신 연결이 되면, 단말기(300)는 제1골전도스피커(100)로 전송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제2골전도 스피커(200)로 전송하여, 제1골전도스피커(100)의 사용자와 제2골전도스피커(200)의 사용자가 동일한 내용을 골전도방식으로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골전도스피커에 무선통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음향을 출력하도록 하는 단말기(3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시스템에서의 단말기(300)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단말기(300)는 송수신부(310), 입력부(320), 저장부(330), 무선통신모듈(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수신부(310)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제1골전도스피커(100) 및 제2골전도스피커(200)와 데이터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입력부(320)는 단말기(300) 사용자가 정보 입력을 위해 사용하는 버튼, 키패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입력부(320)는 사용자 입력을 받으면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350)로 전달한다.
저장부(330)는 무선통신 연결이 허용된 골전도스피커의 식별자 정보를 저장한 저장소이다. 또한, 저장부(330)는 제1골전도스피커(100) 및 제2골전도스피커(200)로 전송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330)에 저장된 데이터는 골전도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는 음향 정보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모듈(340)은 제1골전도스피커(100) 및 제2골전도스피커(200)와 무선 통신을 이용해 데이터송수신을 하기 위한 논리적 연결을 한다. 무선통신모듈(340)은 지그비, 피코캐스트, 블루투스, UWB, Wi-Fi 및 WGB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임의의 골전도스피커와의 무선통신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송수신부(310), 입력부(320), 저장부(330) 및 무선통신모듈(34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35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입력부(320)로부터 신호를 받아 단말기(300)와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허용할 제1골전도스피커(100) 및 제2골전도스피커(200)의 식별자를 저장부(330)에 저장한다. 또는, 무선통신모듈(340)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이 가능한 거리 내에 있는 모든 골전도스피커를 스캐닝하고, 그 중 입력부(32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제1골전도스피커(100) 및 제2골전도스피커(200)의 식별자를 저장부(330)에 저장한다. 제어부(350)가 입력부(32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단말기(300)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을 허용할 다른 골전도스피커의 식별자를 저장부(330)에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350)는 무선통신모듈(340)을 이용하여 제1골전도스피커(100) 및 제2골전도스피커(200)와 무선통신 세션 설정을 제어한다.
단말기(300)와 제1골전도스피커(100) 간에 무선통신 연결이 되었다면, 제어부(350)는 송수신부(310)를 통해 제1골전도스피커(100)로 저장부(3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여 골전도 방식으로 출력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350)가 송수신부(310)를 통해 제2골전도스피커(200)로부터 무선통신 연결을 위한 요청을 수신하면, 수신한 무선통신 연결 메시지의 헤더 등에 포함된 제2골전도스피커(200)의 식별자와 저장부(330)에 저장된 식별자가 일치하는지 비교한다. 만일, 식별자가 일치하는 경우라면, 제어부(350)는 무선통신모듈(340)을 이용하여 제2골전도스피커(200)와 무선통신 연결을 한다.
제어부(350)는 단말기(300)와 제2골전도스피커(200) 간에 무선통신 연결이 되면 제1골전도스피커(100)로 전송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제2골전도스피커(200)로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골전도스피커(100) 사용자가 단말기(3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골전도방식으로 청취하는 도중에 제2골전도스피커(200)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등의 간단한 동작으로 동일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청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가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하여 단말기(300)가 전송한 데이터를 청취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300)와 제1골전도스피커(100) 간에 무선통신연결을 하고(S310), 단말기(300)가 제1골전도스피커(10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S320). 그리고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제1골전도스피커(100)는 단계(S320)에서 수신한 데이터에 대응되는 음향을 골전도 방식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S330).
단계(S310)에서 지그비, 피코캐스트, 블루투스, UWB, Wi-Fi, WGB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연결을 할 수 있음은 상기와 같다.
단말기(300)가 제1골전도스피커(100)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출력하는 도중 제2골전도스피커(200)로부터 무선통신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S340), 단말기(300)는 제2골전도스피커(200)가 단말기(300)와 무선통신 연결을 하고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이 허용된 골전도스피커임을 확인한다(S350).
단계(S340)에서는 제2골전도스피커(200)가 자체 구비된 버튼 등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받아 단말기(300)로 무선통신 연결 요청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S340)에서 제2골전도스피커(200)가 단말기(300)로 무선통신 연결을 요청하기 위해 전송하는 메시지의 헤더 등에는 제2골전도스피커(200)의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단계(S350)에서 단말기(300)는 해당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자와 내부의 저장소에 기 저장된 식별자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무선통신 연결이 허용된 골전도스피커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S340)는 단계(S320) 또는 단계(S330)의 전후에 그 순서를 바꾸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단계(S350)에서 제2 골전도스피커(200)가 무선통신 연결이 허용된 스피커임을 확인한 단말기(300)는 제2골전도스피커(200)와 무선통신 연결을 한다(S370). 단계(S370)에서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통신 연결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300)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제2골전도스피커(200)로 데이터를 전송하여(S380),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향이 골전도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한다(S390).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단말기를 통해 동일한 음향을 골전도방식으로 청취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며, 지인들 간에 동일한 음향을 청취하거나 또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강의장소 등에서 간단한 동작만으로 복수의 사용자가 청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신체에 부착된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하므로, 이동 중인 복수의 사람, 신체 거동이 불편한 사람, 긴급한 상황에 처한 다수의 사람 등이 외부의 환경에서 들려오는 음향을 청취함과 동시에 특정 단말에서 전송하는 동일한 음향을 청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시스템에서의 단말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방법의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제1골전도스피커 200: 제2골전도스피커
300: 단말기 310: 송수신부
320: 입력부 330: 저장부
340: 무선통신모듈 350: 제어부

Claims (8)

  1.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골전도방식으로 출력하는 제1골전도스피커;
    무선통신 연결 요청을 전송하고 무선통신 연결이 이루어진 후 연결된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제1골전도스피커가 수신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골전도방식으로 출력하는 제2골전도스피커; 및
    상기 제1골전도스피커에 데이터를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제2골전도스피커로부터 무선통신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제2골전도스피커가 무선통신 연결이 허용된 골전도스피커임을 확인하고 무선통신 연결을 하며, 상기 제1골전도스피커로 전송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상기 제2골전도스피커로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단말기;
    를 포함하는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시스템.
  2.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
    무선통신 연결이 허용된 골전도스피커의 식별자 정보를 저장한 저장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모듈;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부;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무선통신 연결된 제1골전도스피커에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제2골전 도스피커로부터 무선통신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식별자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2골전도스피커가 무선통신 연결이 허용된 골전도스피커임을 확인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무선통신 연결을 한 후,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1골전도스피커로 전송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상기 제2골전도스피커로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시스템에서의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통신 연결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시스템에서의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골전도스피커로부터 수신한 무선통신 연결 요청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골전도스피커의 식별자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식별자를 비교하여 무선통신 연결이 허용된 골전도스피커인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시스템에서의 단말기.
  5. 단말기가 무선통신 연결된 제1골전도스피커에 데이터를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제1출력단계;
    상기 단말기가 제2골전도스피커로부터 무선통신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제2골전도스피커가 무선통신 연결이 허용된 골전도스피커임을 확인하고 무선통신 연결을 하는 연결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골전도스피커로 전송하는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상기 제2골전도스피커로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제2출력단계;
    를 포함하는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계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통신 연결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무선통신 연결 요청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2골전도스피커의 식별자를 참조하여 무선통신 연결이 허용된 골전도스피커인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계는
    상기 단말기 내부에 기저장된 무선통신 연결이 허용된 골전도스피커의 식별자와 상기 제2골전도스피커의 식별자를 비교하여 무선통신 연결이 허용된 골전도스피커인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방법.
KR1020090086721A 2009-09-14 2009-09-14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 KR101099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721A KR101099759B1 (ko) 2009-09-14 2009-09-14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721A KR101099759B1 (ko) 2009-09-14 2009-09-14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037A KR20110029037A (ko) 2011-03-22
KR101099759B1 true KR101099759B1 (ko) 2011-12-28

Family

ID=43935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721A KR101099759B1 (ko) 2009-09-14 2009-09-14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975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083B1 (ko) 2006-10-11 2007-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소리 재생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083B1 (ko) 2006-10-11 2007-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소리 재생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037A (ko) 2011-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343585A1 (en) Multisensor hearing assist device for health
WO2020107466A1 (zh) 一种点对多点的数据传输方法及设备
CN109089330B (zh) 一种音频数据传输方法及终端
US20230217195A1 (en) Bluetooth enabled intercom with hearing aid functionality
EP3921756A1 (en) Assistive listening device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audio streams within sound fields
EP2874410A1 (en) Communication system
US20200275216A1 (en) Detecting user&#39;s eye movement using sensors in hearing instruments
KR102452140B1 (ko) 공기 전도 스피커와 조직 전도 스피커 사이의 지능적인 전환
WO2014127126A1 (en) Handphone
AU2021225419B2 (en) Hearing protector systems
US20240105177A1 (en) Local artificial intelligence assistant system with ear-wearable device
US11893997B2 (en) Audio signal processing for automatic transcription using ear-wearable device
KR101132661B1 (ko)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시스템 및 방법, 그 골전도스피커
WO2018072346A1 (zh) 数据转发设备,数据转发方法、装置和系统
KR101099759B1 (ko) 복수의 골전도스피커를 이용한 출력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
Hosoi Cartilage Conduction Hearing Aids: the third pathway for sound transmission and its application
CN209806070U (zh) 一种可穿戴定向声音系统
US9668290B1 (en) Wireless communication headset system
CN110972051B (zh) 一对二式骨传导助听方法
KR20180136167A (ko) 골전도 안경
KR102076350B1 (ko) 가상 데이터 입력 화면을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입출력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
CN204318787U (zh) 一种听诊器设备
TW202044848A (zh) 智慧型骨傳導耳機
CN114630223A (zh) 一种优化听戴式设备功能的方法及听戴式设备
KR20090008612A (ko) 일측성 난청인을 위한 무선보청기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