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700B1 - 컨테이너의 유출 작업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장치위치 결정 방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의 유출 작업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장치위치 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700B1
KR101099700B1 KR1020090115159A KR20090115159A KR101099700B1 KR 101099700 B1 KR101099700 B1 KR 101099700B1 KR 1020090115159 A KR1020090115159 A KR 1020090115159A KR 20090115159 A KR20090115159 A KR 20090115159A KR 101099700 B1 KR101099700 B1 KR 101099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ndidate
work
evaluation value
j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8389A (ko
Inventor
류광렬
박태진
손민제
박기역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15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700B1/ko
Publication of KR20110058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2Container cra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gebra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벽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수직 배치 장치장을 대상으로, 컨테이너 자체의 특정보다는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수행되는 작업의 종류에 따른 특성을 고려하여 장치위치를 결정하므로 장치장의 공간 활용률을 높이고 적절한 장치위치를 결정하여 터미널에서 발생 가능한 지연을 줄일 수 있는 컨테이너의 유출 작업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장치위치 결정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치장으로 이송되는 컨테이너의 정보를 추출하여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컨테이너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컨테이너의 유출 작업의 종류에 따른 후보 장치위치별 평가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평가치 중 평가치가 가장 낮은 후보 장치위치를 상기 컨테이너의 장치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있다.
Figure R1020090115159
컨테이너 유출 작업,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 수직 배치 장치장, 장치위치 결정 방법

Description

컨테이너의 유출 작업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장치위치 결정 방법{Method for Locating Container at a Container Yard respecting the Outflow job of a Container}
본 발명은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수직 배치 장치에서 컨테이너 장치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테이너가 장치장에서 유출되는 방법에 따라 컨테이너의 종류를 구분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것으로 전체적인 터미널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위치 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는 터미널에서 작업되어 외부로 나가기 전에 장치장에 쌓여있게 된다. 이때, 상기 장치장이란 컨테이너가 해외로 또는 국내로 이송되기 전에 작업을 대기하며 쌓여있는 곳으로, 이러한 장치장은 선박이 접안하는 안벽의 배치관계에 따라 수평 배치와 수직 배치로 나누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터미널에서 수행되는 작업들은 장치장을 중심으로 수행된다.
외부트럭에 실려 장치장으로 들어오는 작업을 반입작업, 선박에 실려있다가 장치장으로 들어오는 작업을 양하작업이라고 부르며, 장치장에 쌓여있다가 외부트럭에 실려 나가게 되는 작업을 반출작업, 장치장에 쌓여있다가 선박에 실려 나가게 되는 작업을 적하 작업이라고 부른다. 이들 중 장치장으로 들어오는 반입작업, 양하작업을 컨테이너 유입 작업, 장치장에서 나가는 적하 작업, 반출작업을 컨테이너 유출 작업이라고 일컫는다.
이러한 유입 작업과 유출 작업은 일반적으로 짝을 이뤄 수행된다. 즉, 수출되는 컨테이너의 경우 장치장으로 반입되어 장치되어 있다가 모선이 입항한 후 적하되어 해외로 나가며, 수입되는 컨테이너의 경우 양하되어 장치장에 쌓여있다가 외부트럭이 들어와 반출되어 국내로 들어온다. 또한, 환적되는 컨테이너의 경우 양하되어 장치장에 쌓여있다가 다시 적하되어 국외로 나간다.
한편, 컨테이너가 장치장으로 유입될 때, 장치위치를 결정하게 되는데 이때는 유출 작업의 편의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즉, 반입되어 적하될 컨테이너 또는 환적되는 컨테이너의 경우 적하 시 지연이 최소가 되는 위치에 장치해야한다. 또한, 양하되어 반출될 컨테이너의 경우 언제 어떤 외부트럭이 들어올지 모르기 때문에 최대한 재취급을 피할 수 있도록 쌓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들은 작업의 특성을 고려하기 보다는 컨테이너 자체의 특성을 고려하였다. 즉, 일반적으로 컨테이너의 종류와 화주 또는 선사의 요청에 따라 특정한 영역을 지정해두고 그 영역 내에 컨테이너가 장치되도록 위치를 결정하였다. 그러나 그 영역 내에 소속되어야 할 컨테이너가 언제 들어올지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에 미리 예약된 영역은 자칫 낭비되는 공간이 되기 쉽다. 또한, 영역 예약에 사용된 컨테이너의 정보가 실제 정보와 다를 경우에는 그 영역이 잘못된 영역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기술들은 현재까지 널리 쓰이고 있는 도 1과 같이 안벽과 장치장의 컨테이너 배치가 평행한 수평 배치 장치장을 대상으로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수평배치 장치장과 도 2와 같은 수직배치 장치장은 컨테이너의 배치가 다름으로 인해서 크레인의 이동거리 및 컨테이너가 작업되는 위치가 상이하고, 장비 역시 달라 같은 방안을 사용하여 컨테이너의 위치를 결정할 경우 효율적인 작업을 보장하기 힘들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안벽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수직 배치 장치장을 대상으로, 컨테이너 자체의 특정보다는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수행되는 작업의 종류에 따른 특성을 고려하여 장치위치를 결정하므로 장치장의 공간 활용률을 높이고 적절한 장치위치를 결정하여 터미널에서 발생 가능한 지연을 줄일 수 있는 컨테이너의 유출 작업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장치위치 결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달라지고 있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추세를 반영하고 그에 맞는 운영방법을 고안한 것으로, 적하, 반출, 환적, 재취급 후 적하, 재취급 후 반출 컨테이너로 컨테이너를 구분하여 장치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요소에 곱해지는 가중치를 조절함으로써 각 터미널에 알맞으며 서로 다른 장치위치를 결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유출 작업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장치위치 결정 방법의 특징은 (A) 장치장으로 이송되는 컨테이너의 정보를 추출하여 확인하는 단계와, (B) 상기 확인된 컨테이너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컨테이너의 유출 작업의 종류에 따른 후보 장치위치별 평가치를 산출하는 단계와, (C) 상기 산출된 평가치 중 평가치가 가장 낮은 후보 장치위치를 상기 컨테이너의 장치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확인된 컨테이너의 정보를 이용하여 컨테이너의 유출 작업이 어떤 종류의 작업인지를 선별하는 제 1 선별단계와, (B2) 상기 제 1 선별단계를 통해 적하작업, 반출작업, 환적작업으로 각각 선별하고, 각 작업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위치 결정 요소의 가중합으로 후보 장치위치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B2) 단계는 상기 제 1 선별결과, 적하 작업인 경우 현재 적하될 컨테이너가 신규 반입작업인지 재취급 반입작업인지를 선별하는 제 2 선별단계와, 상기 제 2 선별결과, 현재 작업이 신규 반입작업인 경우 다음 수식
Figure 112009072843490-pat00001
을 통해 후보 장치위치들의 평가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선별결과, 현재 작업이 재취급 반입작업인 경우 다음 수식
Figure 112009072843490-pat00002
를 통 해 후보 장치위치들의 평가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선별결과, 반출 작업인 경우 현재 반출될 컨테이너가 양하 예정 반출 작업인지 재취급 반출 작업 것인지를 선별하는 제 3 선별단계와, 상기 제 3 선별결과, 현재 작업이 양하 예정 반출 작업인 경우 다음 수식
Figure 112009072843490-pat00003
을 통해 후보 장치위치들의 평가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 3 선별결과, 현재 작업이 재취급 반출 작업인 경우 다음 수식
Figure 112009072843490-pat00004
를 통해 후보 장치위치들의 평가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선별결과, 환적 작업인 경우 다음 수식
Figure 112009072843490-pat00005
를 통해 후보 장치위치들의 평가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유출 작업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장치위치 결정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수직 배치 장치장에서 발생하는 작업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현재 수행되고 있는 작업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유출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 유입 시 장치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재취급 작업 역시 근거리의 임의의 위치가 아닌 명확한 위치를 제시하 므로 추가적인 재취급 상황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수행되는 작업들의 특성에 따라 장치위치를 결정하여 부적절한 위치에 적재된 컨테이너로 인해 발생하는 추가적인 작업 또는 그로 인해 발생하는 작업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작업의 특성보다는 컨테이너 자체의 특성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컨테이너가 장치장에서 나갈 때 작업의 지연이 적게 발생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유출 작업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장치위치 결정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유출 작업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장치위치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장치장으로 이송되는 컨테이너의 정보를 추출하여 확인하고(S100), 상기 확인된 컨테이너 정보를 참고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유출 작업의 종류에 따른 후보 장치위치 별로 평가치를 산출한다(S200).
이어, 상기 산출된 평가치 중 평가치가 가장 낮은 후보 장치위치를 상기 컨테이너의 장치위치로 결정하고(S300), 내부 이송 차량(AGV) 또는 중앙 운영통제 시스템으로 결정된 장치위치를 출력한다(S400).
도 4 는 도 3의 후보 장치위치별 평가치를 산출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확인된 상기 컨테이너의 정보를 이용하여 컨테이너의 유출 작업이 어떤 종류의 작업인지를 선별한다(이하 “제 1 선별”이라함)(S210). 참고로 컨테이너의 유출 작업으로는 적하작업, 반출작업, 환적작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선별결과(S210), 유입된 컨테이너가 적하될 컨테이너인 경우는 현재 적하될 컨테이너가 신규로 반입될 것인지 아니면 이미 컨테이너가 반입되어 장치장에 쌓여 있다가 다른 작업에 의해 재취급될 것인지를 선별한다(이하 “제 2 선별”이라함)(S220).
그리고 상기 제 2 선별결과(S220), 현재 작업이 컨테이너의 신규 반입작업인 경우는 다음 수학식 1을 통해 후보 장치위치들의 평가치를 각각 산출한다(S230).
Figure 112009072843490-pat00006
이때, x는 후보위치의 스택번호(∈{1,…,10}), y는 후보위치의 베이번호(∈{1,…,41}), s는 반입컨테이너의 길이(∈{20, 40}), o는 선적까지 남은 일수(∈{1,2,3})를 나타낸다.
이때,
Figure 112011055675891-pat00030
(y) 및
Figure 112011055675891-pat00031
(y)는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유입 작업 및 유출 작업 시 발생하는 지점에서 후보 위치(y)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기 위한 함수로서, 후보위치의 베이번호(∈{1,…,41})를 이용한 거리를 나타낸다. 또한, H(x,y)는 y번째 베이의 x번째 스택의 높이를 나타내기 위한 함수로서, 후보위치의 베이번호(y) 및 스택번호(x)를 이용한 높이를 나타낸다. 또한 G(x,y,o)는 스택(x,y)에 적재된 컨테이너들의 소속 그룹, 선적 예정 선박 정보를 바탕으로 그룹 작업 순서, 선바 입항 순서를 고려하여 재취급 발생 확률을 추정하기 위한 함수로서, 스택(x,y)에 적치된 컨테이너들의 선적까지 남은 일수(o)를 바닥에 쌓인 컨테이너부터 순서대로 나열한 것을 나타낸다.
이처럼 상기한 수학식 1은 장치장에 반입되어 쌓여 있다가 적하 작업을 통해 유출될 컨테이너의 반입 시 장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수식이다. 적하될 반입 컨테이너 경우의 그룹 정보에 따른 점수(G(x,y,o))는 재취급 작업을 최소화하기 위해 후보 장치위치에 적재되어 있는 컨테이너들의 모선의 입항 순서와 그룹 정보를 고려하게 된다. 특히 동일한 선박에 작업하는 컨테이너들은 최대한 같은 스택에 적재하여 공간 활용률을 높이고자 한다.
이러한 반입 컨테이너는 선적까지 남은 일자에 따라 3일 안에 선적될 컨테이너와, 3일 이후에 선적될 컨테이너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자의 경우는 곧 유출될 것이기 때문에 최대한 재취급을 막을 수 있도록 선적 순서를 지키도록 한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는 미래의 수출 컨테이너인 경우 아직 그룹 정보가 정해지지 않은 경우도 있기 때문에 블록의 공간 낭비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반입 컨테이너의 경우 그의 유출 작업인 적하 작업이 터미널에서 가장 중요한 작업으로 분류되므로 작업에 유리하도록 위치를 잡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기존의 지식을 활용하여 더 나은 위치에 적재하기 위해 유출 작업에 따른 선호 위치(P)를 이용한다.
이러한 반입 컨테이너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도 5와 같은 반입 시점에 따른 선호위치의 분포를 가질 수 있다. 적하되기 3일 이전에 반입되는 컨테이너의 경우는 아직 그룹 정보가 정해지지 않았을 수 있으며 다른 작업이 수행되고 있을 수 있으므로 블록의 육측 가까이에 놓는 것이 좋다. 그리고 적하되기 2일 전에 반입되는 컨테이너의 경우는 그룹정보가 어느 정도 정해졌지만 아직 다른 작업이 수행되고 있을 수 있으므로 적하 작업의 용이성을 위하여 블록의 중간쯤에 분포시킬 확률이 높다. 또한 적하되기 전날 반입되는 컨테이너는 정보가 확실하고 다른 작업이 수행 중이지만 당장 익일에 유출될 컨테이너들이기 때문에 작업의 용이성을 위해 블록의 해측에 분포시킬 확률이 높게 된다. 이것을 점수화하여 수식으로 나타낸 것이 수학식 1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선별결과(S220), 현재 작업이 기존에 반입되어 쌓여있던 컨테이너를 재취급하는 작업인 경우는 다음 수학식 2를 통해 후보 장치위치들의 평가치를 각각 산출한다(S240).
Figure 112009072843490-pat00007
이때, x는 후보위치의 스택번호(∈{1,…,10}), y는 후보위치의 베이번호(∈{1,…,41}), s는 반입컨테이너의 길이(∈{20, 40}), o는 선적까지 남은 일수(∈{1,2,3})를 나타낸다.
상기한 수학식 2는 반입되어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가 다른 컨테이너의 작업을 위해 재취급되어 위치가 옮겨지는 경우에 후보 위치를 평가하는 수식이다. 여기서
Figure 112009072843490-pat00008
는 기존에 컨테이너가 장치되어 있던 곳으로부터 새로운 후보 장치위치까지의 거리를 베이 개수로 반환하는 함수이다. 나머지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적하될 컨테이너는 재취급이 되더라도 그 위치가 중요하지만 임시로 위치를 옮기는 작업이기 때문에 적하 시점에 따른 선호 위치를 고려하지는 않는다. 이것을 점수화하여 수식으로 나타낸 것이 수학식 2이다.
한편, 상기 제 1 선별결과(S210), 유입된 컨테이너가 반출될 컨테이너인 경우는 현재 반출될 컨테이너가 양하될 예정인지 아니면 이미 컨테이너가 양하되어 장치장에 쌓여 있다가 다른 작업에 의해 재취급될 것인지를 선별한다(이하 “제 3 선별”이라함)(S250).
그리고 상기 제 3 선별결과(S250), 현재 작업이 재취급 반출 작업이 아닌 경우는 다음 수학식 3을 통해 후보 장치위치들의 평가치를 각각 산출한다(S260).
Figure 112009072843490-pat00009
이때, x는 후보위치의 스택번호(∈{1,…,10}), y는 후보위치의 베이번호(∈{1,…,41}), s는 반입컨테이너의 길이(∈{20, 40})를 나타낸다.
상기한 수학식 3은 반출될 컨테이너의 장치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후보 위치들을 평가하는 수식이다. 여기서 P는 반출 작업의 용이성에 따른 선호위치에 대한 점수를 반환한다. 그러나 반출될 컨테이너의 경우 반출 시점을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에 이 값은 육측 크레인의 이동거리가 짧을수록 좋은 평가를 받도록 하였다. 이것을 점수화하여 수식으로 나타낸 것이 수학식 3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3 선별결과(S250), 현재 작업이 기존에 양화되어 쌓여있던 컨테이너를 재취급하는 반출 작업인 경우는 다음 수학식 4를 통해 후보 장치위치들의 평가치를 각각 산출한다(S240).
Figure 112009072843490-pat00010
이때, x는 후보위치의 스택번호(∈{1,…,10}), y는 후보위치의 베이번호(∈{1,…,41}), s는 반입컨테이너의 길이(∈{20, 40})를 나타낸다.
상기한 수학식 4는 장치장에 쌓여있는 반출 대상 컨테이너가 재취급될 때 후보 장치위치들을 평가하는 식이며, 수학식 2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단, 수학식 2는 적하될 컨테이너를 대상으로 하고, 수학식 4는 반출될 컨테이너를 대상으로 하므로 두 컨테이너의 유출 지점이 달라 다른 값을 얻게 된다. 즉, 여기서
Figure 112009072843490-pat00011
은 컨테이너의 현재 위치로부터 재취급될 후보 위치까지의 거리로 같으나
Figure 112009072843490-pat00012
는 후보 장치위치에서 육측 HP까지의 거리를 반환한다. 이것을 점수화하여 수식으로 나타낸 것이 수학식 4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 1 선별결과(S210), 유입된 컨테이너가 환적될 컨테이너인 경우는 다음 수학식 5를 통해 후보 장치위치들의 평가치를 각각 산출한 다(S280).
Figure 112009072843490-pat00013
이때, x는 후보위치의 스택번호(∈{1,…,10}), y는 후보위치의 베이번호(∈{1,…,41}), s는 반입컨테이너의 길이(∈{20, 40}), o는 선적까지 남은 일수(∈{1,2,3})를 나타낸다.
상기한 수학식 5는 작업의 특성상 적하 컨테이너의 장치위치를 평가하는 수학식 3과 유사하다. 단, 환적 컨테이너의 경우 유입 지점에서 장치위치까지의 거리와 장치위치에서 유출 지점까지의 거리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둘 중 하나의 값을 사용하도록 한다. 이것을 점수화하여 수식으로 나타낸 것이 수학식 5이다.
그리고 이렇게 산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장치위치의 평가치를 해당 컨테이너별로 후보 장치위치 평가값으로 각각 설정한다(S290).
한편, 상기한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5들은 여러 가지 장치위치 결정 요소의 가중합으로 후보 장치위치를 평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위치 결정 요소는 상기한 유입 작업이 발생하는 지점과 후보 위치 사이의 거리(
Figure 112011055675891-pat00032
), 현재 장치 위치와 후보 위치 사이의 거리(
Figure 112011055675891-pat00033
), 유출 작업이 발생할 지점과 후보 위치 사이의 거리(
Figure 112011055675891-pat00016
), 기존에 후보 장치위치에 쌓여있던 컨테이너 개수(H), 컨테이너의 모선, 목적항, 무게, 선사 등에 의해 정해진 그룹 정보에 따른 점수(G), 컨테이너를 장치하게 되었을 경우 손실되는 공간에 따른 점수(S), 마지막으로 유출 작업에 따른 선호 위치에 대한 점수(P)가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컨테이너가 장치장에서 외부로 유출될 때 어떤 종류의 작업이 수행되느냐에 따라 조금씩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참고로, 상기한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5에 기재된 exp는 수출 컨테이너를, rexp는 수출 컨테이너의 재취급을, imp는 수입 컨테이너를, rimp는 수입 컨테이너의 재취급을, tr은 환적을 나타내며,
Figure 112011055675891-pat00034
,
Figure 112011055675891-pat00035
,
Figure 112011055675891-pat00036
,
Figure 112011055675891-pat00037
,
Figure 112011055675891-pat00038
은 해당 컨테이너들의 유입거리에 대한 가중치를 의미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Figure 112011055675891-pat00039
는 수출 컨테이너를 장치장에 적치할 때의 유입거리에 대한 가중치를 의미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안벽과 장치장의 컨테이너 배치가 평행한 수평 배치 장치장의 환경을 도시한 실시예
도 2 는 일반적인 안벽과 장치장의 컨테이너 배치가 수직 배치 장치장의 환경을 도시한 실시예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유출 작업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장치위치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 는 도 3의 후보 장치위치별 평가치를 산출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 는 도 4의 반출 컨테이너 장치위치 평가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Claims (6)

  1. (A) 장치장으로 이송되는 컨테이너의 정보를 추출하여 확인하는 단계와,
    (B) 상기 확인된 컨테이너의 정보를 이용하여 컨테이너의 유출 작업이 어떤 종류의 작업인지를 선별하는 제 1 선별단계와,
    (C) 상기 제 1 선별단계를 통해 적하작업, 반출작업, 환적작업으로 각각 선별하고, 각 작업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위치 결정 요소의 가중합으로 후보 장치위별 평가치를 산출하는 단계와,
    (D) 상기 산출된 평가치 중 평가치가 가장 낮은 후보 장치위치를 상기 컨테이너의 장치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 1 선별결과, 적하 작업인 경우 현재 적하될 컨테이너가 신규 반입작업인지 재취급 반입작업인지를 선별하는 제 2 선별단계와,
    상기 제 2 선별결과, 현재 작업이 신규 반입작업인 경우 다음 수식
    Figure 112011055675891-pat00040
    을 통해 후보 장치위치들의 평가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선별결과, 현재 작업이 재취급 반입작업인 경우 다음 수식
    Figure 112011055675891-pat00041
    를 통해 후보 장치위치들의 평가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선별결과, 반출 작업인 경우 현재 반출될 컨테이너가 양하 예정 반출 작업인지 재취급 반출 작업 것인지를 선별하는 제 3 선별단계와,
    상기 제 3 선별결과, 현재 작업이 양하 예정 반출 작업인 경우 다음 수식
    Figure 112011055675891-pat00042
    을 통해 후보 장치위치들의 평가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 3 선별결과, 현재 작업이 재취급 반출 작업인 경우 다음 수식
    Figure 112011055675891-pat00043
    를 통해 후보 장치위치들의 평가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선별결과, 환적 작업인 경우 다음 수식
    Figure 112011055675891-pat00044
    를 통해 후보 장치위치들의 평가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x는 후보위치의 스택번호(∈{1,…,10}), y는 후보위치의 베이번호(∈{1,…,41}), s는 반입컨테이너의 길이(∈{20, 40}), o는 선적까지 남은 일수(∈{1,2,3})를 나타내고,
    상기
    Figure 112011055675891-pat00045
    (y) 및 상기
    Figure 112011055675891-pat00046
    (y)는 유입 작업 및 유출 작업 시 발생하는 지점에서 후보 위치(y)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기 위한 함수로서, 후보위치의 베이번호를 이용한 거리를 나타내고, 상기 H(x,y)는 y번째 베이의 x번째 스택의 높이를 나타내기 위한 함수로서, 후보위치의 베이번호(y) 및 스택번호(x)를 이용한 높이를 나타내고, 상기 G(x,y,o)는 스택(x,y)에 적재된 컨테이너들의 소속 그룹, 선적 예정 선박 정보를 바탕으로 그룹 작업 순서, 선바 입항 순서를 고려하여 재취급 발생 확률을 추정하기 위한 함수로서, 스택(x,y)에 적치된 컨테이너들의 선적까지 남은 일수(o)를 바닥에 쌓인 컨테이너부터 순서대로 나열한 것을 나타내고, 상기 exp는 수출 컨테이너를, 상기 rexp는 수출 컨테이너의 재취급을, 상기 imp는 수입 컨테이너를, 상기 rimp는 수입 컨테이너의 재취급을, 상기 tr은 환적을 나타내며, 상기
    Figure 112011055675891-pat00047
    ,
    Figure 112011055675891-pat00048
    ,
    Figure 112011055675891-pat00049
    ,
    Figure 112011055675891-pat00050
    ,
    Figure 112011055675891-pat00051
    은 해당 컨테이너들의 유입거리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유출 작업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장치위치 결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유출 작업의 종류는 적하작업, 반출작업, 환적작업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유출 작업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장치위치 결정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위치 결정 요소는 상기한 현재 위치(유입 작업이 발생하는 지점 또는 장치 되어있던 위치)와 후보 위치 사이의 거리(
    Figure 112011055675891-pat00052
    ,
    Figure 112011055675891-pat00018
    ), 유출 작업이 발생할 지점과 후보 위치사이의 거리(
    Figure 112011055675891-pat00019
    ), 기존에 후보 장치위치에 쌓여있던 컨테이너 개수(H), 컨테이너의 모선, 목적항, 무게, 선사에 의해 정해진 그룹 정보에 따른 점수(G), 컨테이너를 장치하게 되었을 경우 손실되는 공간에 따른 점수(S), 유출 작업에 따른 선호 위치에 대한 점수(P)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유출 작업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장치위치 결정 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식들에 적용되는 장치장은 안벽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수직 배치 장치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유출 작업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장치위치 결정 방법.
KR1020090115159A 2009-11-26 2009-11-26 컨테이너의 유출 작업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장치위치 결정 방법 KR101099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159A KR101099700B1 (ko) 2009-11-26 2009-11-26 컨테이너의 유출 작업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장치위치 결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159A KR101099700B1 (ko) 2009-11-26 2009-11-26 컨테이너의 유출 작업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장치위치 결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389A KR20110058389A (ko) 2011-06-01
KR101099700B1 true KR101099700B1 (ko) 2011-12-28

Family

ID=44393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159A KR101099700B1 (ko) 2009-11-26 2009-11-26 컨테이너의 유출 작업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장치위치 결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97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022B1 (ko) * 2019-11-20 2021-11-3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로로선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
CN115959493B (zh) * 2022-12-20 2024-02-23 国能黄骅港务有限责任公司 一种散货的装船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2854A (ja) 2001-12-20 2003-07-03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テナターミナル運用最適化システム
JP2003276850A (ja) 2002-03-22 2003-10-02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の荷役システム、及び、その荷役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2854A (ja) 2001-12-20 2003-07-03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テナターミナル運用最適化システム
JP2003276850A (ja) 2002-03-22 2003-10-02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の荷役システム、及び、その荷役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389A (ko)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Storage space allocation in container terminals
Carlo et al. Transport operations in container terminals: Literature overview, trends, research directions and classification scheme
Chen et al. The storage location assignment problem for outbound containers in a maritime terminal
Imai et al. Marine container terminal configurations for efficient handling of mega-containerships
Tao et al. Joint planning of berth and yard allocation in transshipment terminals using multi-cluster stacking strategy
Güven et al. Trip allocation and stacking policies at a container terminal
Lin et al. The container retrieval problem with respect to relocation
Wu et al. An integrated programming model for storage management and vehicle scheduling at container terminals
Martin et al. Container ship size and the implications on port call workload
Al-Hammadi et al. An integrated berth allocation and yard assignment problem for bulk ports: Formulation and case study
Imai et al. The containership loading problem
Guldogan Simulation-based analysis for hierarchical storage assignment policies in a container terminal
Ozcan et al. A reward-based algorithm for the stacking of outbound containers
Alcalde et al. Optimal space for storage yard considering yard inventory forecasts and terminal performance
KR20090115274A (ko) 개별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 방법
Jacyna et al. Road vehicle sequencing problem in a railroad intermodal terminal–simulation research
KR101099700B1 (ko) 컨테이너의 유출 작업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장치위치 결정 방법
CN114331075A (zh) 堆场拖车调度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0841682B1 (ko) 안벽크레인의 양적하 작업 계획 산출 방법
KR100298268B1 (ko) 컨테이너 터미널의 규모 예측 방법
Rahsed et al. A rule-based greedy algorithm to solve stowage planning problem
CN113822637A (zh) 一种基于互联网的集装箱物流云管理系统
Chao et al. Minimizing overstowage in master bay plans of large container ships
Zhu et al. A heuristic approach for transportation planning optimization in container yard
Perez et al. Integrated dedicated berth allocation and specialised handling equipment assignment in bulk po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