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8907B1 - 매설관로의 비굴착 보수 및 보강 구조 - Google Patents

매설관로의 비굴착 보수 및 보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8907B1
KR101098907B1 KR1020110054981A KR20110054981A KR101098907B1 KR 101098907 B1 KR101098907 B1 KR 101098907B1 KR 1020110054981 A KR1020110054981 A KR 1020110054981A KR 20110054981 A KR20110054981 A KR 20110054981A KR 101098907 B1 KR101098907 B1 KR 101098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ing tube
buried
inner circumferential
reinforcing mesh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정진
Original Assignee
(주)알파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파에코 filed Critical (주)알파에코
Priority to KR1020110054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89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1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the flexible liner being ever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materials for flexible l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Abstract

본 발명은 매설관로의 비굴착 보수 및 보강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매설관로의 내주면에 보강용 메시가 밀착되고, 보강용 메시의 내주부에 라이닝 튜브가 가열, 경화에 의하여 피복되는 것으로 라이닝 튜브의 펠트층이 보강용 메시와 접합됨과 아울러 매설관로의 내주면에 접합되는 것이므로 라이닝 튜브가 보다 견고하게 피복되며, 시공후 장기간의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기존 매설관로와 보강된 복합관을 형성하게 되어 장기간의 강도 안정계수를 유지하게 되고 오히려 신관보다도 강하게 되어 상당량의 토하중 및 윤하중이 요구되는 지역에서는 강력한 구조를 갖게 된다.

Description

매설관로의 비굴착 보수 및 보강 구조{Structure for repairing and reinforcing underground pipe line without digging}
본 발명은 라이닝 튜브를 반전시켜 노후된 매설관로에 삽입하여 열경화시킴으로써 땅을 파지 않고 노후된 매설관로를 보수 및 보강하는 매설관로의 비굴착식 보수 및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매설관로와 라이닝 튜브에 보강재를 더한 노후된 매설관로의 비굴착 보수 및 보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관로 또는 하수관로 등 노후된 매설관로를 보수하기 위해서는 도로를 굴착한 후 관 자체를 교체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매설관로의 보수방법은 다음과 같은 여러 문제가 있다.
시공 전구간의 교통을 차단해야 하므로 15~30일 정도의 장기간 도로 통제로 교통체증을 유발한다.
관 파손 및 이음부 불량에 의한 하수유출로 토양 및 지하수를 오염시키며, 지하수 유입으로 하수처리장 효율이 감소되고, 건설 폐자재가 다량 발생하는 등 환경적 문제를 야기한다.
간헐적 보수공사로 인한 민원이 발생하고 행정불신을 초래하며, 예측 불허의 긴급보수로 장기적 계획에 차질을 가져온다.
가시설 공사비를 감안할 때 비경제적이다.
콘크리트 하수관을 단순히 교체하는 것이므로 내화학성이 취약하고 또 다시 쉽게 부식되고 노후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또 다시 보수공사를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로굴착으로 인한 소음과 분진, 악취 등 대기오염을 초래하며, 공사로 인한 주민의 주거환경을 악화시킨다.
굴착으로 인한 주변의 지반침하를 야기하며, 굴착시 가스관 등 타 매설관의 파손 위험이 상존한다.
굴착작업으로 인한 작업인원 및 주민의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다.
시공후 도로의 재포장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도로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교체된 매설관로의 연결부의 정밀시공과 수밀성 확보를 위한 작업이 필요하므로 공기가 더욱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땅을 굴착하지 않고 매설관로를 보수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매설관로의 비굴착 보수 및 보강 구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33060호, 제0555026호, 제0615070호, 제0921481호 등과 같이 노후된 매설관로의 내주면에 튜브형태의 라이닝 튜브를 피복하는 것이다.
상기 라이닝 튜브는 매설관로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폴리에스터 펠트층과 폴리에스터 필름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펠트층은 열경화성 수지로 함침되어 관 라이닝 튜브로 구성된다.
라이닝 튜브는 제조 당시에는 폴리에스터 필름 내부에 구성된 펠트층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시공직전의 상태로 준비해 둔다.
종래의 매설관로의 비굴착 보수 및 보강 구조를 시공함에 있어서는 상기의 관 라이닝 튜브를 하수맨홀을 통하여 기존 매설관로에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반전장치에 의하여 반전된 상태로 기존 매설관로 순차적으로 뒤집히며 삽입이 완료되게 된다. 이때 반전삽입으로 인하여 관 라이닝 튜브의 외부 필름층이 매설관로의 하수접촉 내부면을 구성하게 되고 수지가 함침된 펠트층은 매설관로에 밀착되게 한다.
라이닝 튜브가 보수하고자 하는 매설관로의 일정 구간, 예를 들면 맨홀과 맨홀 사이의 구간에 삽입 완료되면, 라이닝 튜브의 내부로 가열경화용수를 주입하여 열경화성 수지로 함침된 펠트층이 가열되면서 매설관로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경화되도록 한다.
라이닝 튜브의 경화가 완료되면 라이닝 튜브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절단함으로써 시공을 완료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매설관로의 비굴착 보수 및 보강 구조는 단순히 열경화성 수지로 함침된 펠트층이 매설관로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경화시키는 보수에 목적을 두고 있으나 토하중 및 윤하중이 상당부분 요구되는 지역에서는 장기적인 안정에 미흡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와 지반을 굴착하지 않고서도 노후된 매설관로를 보수할 수 있음과 아울러 매설관로와 라이닝 튜브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일체화가 되도록 하여 보강효과를 부여한 매설관로의 비굴착 보수 및 보강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강재에 의해 매설관로와 라이닝 튜브간의 밀착도를 높여 보강에 목적을 두고 매설관로의 비굴착 보수 및 보강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매설관로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보강용 메시와; 상기 보강용 메시의 내주측에 피복되는 열경화성 재질의 라이닝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매설관로의 비굴착 보수 및 보강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라이닝 튜브는 상기 보강용 메시의 내주측을 감싸는 식으로 상기 보강용 메시의 내주측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매설관로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접합된다.
상기 라이닝 튜브는 상기 매설관로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폴리에스터수지가 함침된 펠트층과, 상기 펠트층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폴리에스터 필름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보강용 메시는 상기 라이닝 튜브와 동일 재질의 코팅층으로 코팅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매설관로의 비굴착 보수 및 보강 구조는 매설관로의 내주면에 보강용 메시가 밀착되고, 상기 보강용 메시의 내주부에 라이닝 튜브가 가열, 경화에 의하여 피복되는 것으로 라이닝 튜브의 열경화성 폴리에스터 수지로 함침된 펠트층이 보강용 메시와 접합됨과 아울러 상기 매설관로의 내주면에 접합되는 것이므로 라이닝 튜브가 보다 견고하게 피복되며, 시공후 장기간의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장기간의 보강 안정계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매설관로의 비굴착 보수 및 보강 구조는 기존관로와 라이닝 튜브간의 밀착도를 높임에 따라 보강 구조의 강도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매설관로의 비굴착 보수 및 보강 구조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종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2는 라이닝 튜브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매설관로의 비굴착 보수 및 보강 구조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3은 종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4는 보강용 메시와 라이닝 튜브의 사시도
도 5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매설관로의 비굴착 보수 및 보강 구조의 시공과정을 보인 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매설관로의 비굴착 보수 및 보강 구조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에서 "1"은 매설관로이고, "2A, 2B"는 매설관로(1)가 연결되는 맨홀로서, 편의상 상기 맨홀(2A)을 "시점(始點) 맨홀"이라 하고, 상기 맨홀(2B)을 "종점(終點 맨홀"이라 한다. "3"은 매설관로(1)와 맨홀(2A,2B)이 매설된 지반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매설관로의 비굴착 보수 및 보강 구조는 매설관로(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보강용 메시(10)(mesh)와; 상기 보강용 메시(10)의 내주측에 피복되는 라이닝 튜브(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강용 메시(10)는 세로 소재(11)와 가로 소재(12)가 격자형으로 결합된 것을 말아 감아서 그 양단이 중첩되도록 한 다음 그 중첩된 부분을 철사 등으로 결속하여 원통형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보강용 메시(10)는 말아 감았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시점 맨홀(2A)과 종점 맨홀(2B)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의 매설관로(1)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준비한다.
상기 라이닝 튜브(20)는 튜브형으로 성형한 것이 사용되며, 상기 라이닝 튜브(20)는 펠트(Felt)층(21)과 폴리에스터 필름층(22)으로 구성된다.
상기 라이닝 튜브(20)는 성형 시에는 상기 펠트층(21)이 외주부를 구성하고, 상기 폴리에스터 필름층(22)이 내주부를 구성하도록 한다.
상기 펠트층(21)은 매설관로(1)의 내주면 및 보강용 메시(10)에 직접 접합되는 부분으로서 폴리에스터 수지(23)를 함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펠트층(21)은 내약품성과 내부식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Polyester) 수지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라이닝 튜브(20)의 펠트층(21)은 상기 보강용 메시(10)에 접합됨과 아울러 상기 매설관로(1)의 내주면에 접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매설관로의 비굴착 보수 및 보강 구조는 상기 매설관로(1)의 내주면에 보강용 메시(10)가 밀착되고, 상기 보강용 메시(10)의 내주부에 라이닝 튜브(20)가 가열, 경화에 의하여 피복되는 것으로 라이닝 튜브(20)의 펠트층(21)이 보강용 메시(10)와 접합됨과 아울러 상기 매설관로(1)의 내주면에 접합되는 것이므로 라이닝 튜브(20)가 보다 견고하게 피복되며, 장기간의 보강 안정계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매설관로의 비굴착 보강공법은 기존관로와 라이닝 튜브 간의 밀착도를 높임에 따라 보강 구조의 강도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라이닝 튜브(20)는 상기 시점 맨홀(2A)과 종점 맨홀(2B) 사이에 연결되는 하나의 매설관로(1)의 길이보다 용접여유만큼 길게 삽입하고, 그 양단을 상기 맨홀(2A)(2b)의 내벽면과 매설관로(1)의 내주면 사이를 용접하여 상기 매설관로(1)의 내주면과 라이닝 튜브(20)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매설관로의 비굴착 보수 및 보강 구조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매설관로의 비굴착 보수 및 보강 구조는 상기 보강용 메시(10)를 상기 세로 소재(11)와 가로 소재(12) 및 상기 세로 소재(11)와 가로 소재(12)에 코팅된 합성수지 코팅층(13)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합성수지 코팅층(13)은 상기 라이닝 튜브(20)의 펠트층(21)과 폴리에스터 필름층(22)과 동일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된다.
상기 합성수지 코팅층(13)은 보강용 메시(10)의 내주측에 라이닝 튜브(20)를 가열, 경화하여 결합할 때 보강용 메시(10)와 라이닝 튜브(2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 의한 매설관로의 비굴착 보수 및 보강 구조를 시공하는 과정을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보강용 메시의 설치 단계]
원통형으로 말아 감은 상기 보강용 메시(10)(도 2 참조)를 상기 시점 맨홀(2A)을 통해 매설관로(1)의 내부에 삽입한다(도 5 참조).
상기 보강용 메시(10)는 말아 감았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시점 맨홀(2A)과 종점 맨홀(2B)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의 매설관로(1)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준비하여 그 양단이 상기 매설관로(1)의 양단에 일치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보강용 메시(10)는 시점 맨홀(2A)을 통해 상기 매설관로(1)에 삽입하는 과정에서는 양단부가 단지 중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매설관로(1)에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매설관로(1)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함과 아울러 그 중첩부를 철사 등으로 결속한다.
이때, 상기 시점 맨홀(2A)과 종점 맨홀(2B) 사이에서 매설관로(1)의 중간에 연결관(4)이 있는 경우(도 14 참조)에는 상기 보강용 메시(10)의 상기 연결관(4)에 대응하는 상기 보강용 메시(10)의 부분을 미리 절단해둔다.
[라이닝 튜브 삽입 단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점(始點) 맨홀(2A)측에 상부노즐(110)과 하부노즐(120) 및 상기 상부노즐(110)과 하부노즐(120)을 연결하는 가이드호스(130)를 포함하는 라이닝 튜브 반전장치(100)를 설치한다. 상기 상부노즐(110)은 상기 시점 맨홀(2A)의 상부측에 배치하는 것으로 상기 지반(3)에 반전장치 가대(140)에 의하여 지지하고, 상기 하부노즐(120)은 상기 시점 맨홀(2A)의 하부, 즉 상기 매설관로(1)의 시점 단부에서 상기 시점 맨홀(2A)의 하부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한다. 상기 가이드 호스(130)는 라이닝 튜브(20)를 안내함과 아울러 물을 채우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부노즐(120)에는 열경화용 온수의 복귀구(121)가 구비된다.
상기 시점 맨홀(2A)에 인접한 종점 맨홀(2B)의 하부에는 라이닝 튜브(20)가 상기 매설관로(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라이닝 튜브(20)가 불필요하게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림방지판(150)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시점 맨홀(2A)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매설관로(1)의 바닥에 에어백(160)을 설치한다. 상기 에어백(160)에는 에어호스(161)를 연결하여 상기 하부노즐(120)과 가이드 호스(130)의 바깥쪽과 상기 시점 맨홀(2A)의 안쪽 사이를 통해 외부로 인출한다.
상기 종점 맨홀(2B)측에는 송풍기(170)를 설치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펠트층(21)이 내주측에 위치하고 폴리에스터 필름층(22)이 외주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된 라이닝 튜브(20)를 납작하게 하고 지그재그 형으로 접어서 보랭(保冷) 컨테이너(200)에 담긴 상태로 준비한다.
상기 보랭 컨테이너(200)에 담긴 라이닝 튜브(20)를 인출하여 상기 상부노즐(110)과 가이드 호스(130) 및 하부노즐(120)을 통하여 상기 매설관로(1)의 내주면에 설치된 보강용 메시(10)의 안쪽으로 삽입하고, 그 선단 부분을 뒤집어서 반전부(T)를 형성하고, 그 선단부는 상기 라이닝 튜브 반전장치(100)를 구성하는 하부노즐(120)에 고정한다(도 7 참조). 상기 라이닝 튜브(20)는 상기 시점 맨홀(2A)과 종점 맨홀(2B) 사이에 연결된 하나의 매설관로(1)의 길이보다 여유분만큼 길게 준비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라이닝 튜브 반전장치(100)를 구성하는 상부노즐(110)과 가이드 호스(130) 및 하부노즐(120)을 통하여 상기 라이닝 튜브(20)의 내부에 급수 호스(300)를 삽입하고, 상기 급수 호스(300)를 통하여 상기 라이닝 튜브(20)의 내부에 물(W)을 주입한다.
상기 라이닝 튜브(20)의 내부에 물(W)이 주입됨에 따라 상기 라이닝 튜브(20)의 반전부(T)에는 물(W)의 수위에 따른 수압이 걸리게 되고, 이 수압에 의하여 상기 라이닝 튜브(20)가 상기 보랭 컨테이너(200)에서 풀려나오면서 상기 라이닝 튜브(20)의 반전부(T)가 전진하게 된다(도 8 참조).
물의 주입이 완료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노즐(110)과 가이드 호스(130)를 통해 상기 라이닝 튜브(20)의 내부에 에어 호스(400)를 삽입하고, 상기 하부노즐(120)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라이닝 튜브(20)를 파이프 서포트 또는 잭(jack)(410)을 사용하여 누른다. 이때 상기 라이닝 튜브(20)가 눌리면서 상기 에어 호스(400)로 누르게 된다. 또한 상기 에어백(160)에 에어를 주입하여 부풀어 오르게 한다.
상기 에어호스(400)는 상기 급수 호스(300)에 의해 물을 주입하기 전에 급수 호스(300)를 설치할 때 미리 설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서 상기 에어 호스(400)를 통해 상기 라이닝 튜브(20) 내부에 에어를 주입한다. 상기 에어 호스(400)를 통해 주입되는 에어의 압력은 최대 1㎏/㎠로 한다.
상기 라이닝 튜브(20) 내에 에어가 주입됨에 따라 상기 라이닝 튜브(20)의 반전부(T)는 전진하게 되고, 상기 반전부(T)가 상기 밀림방지판(150)에 닿을 때까지 진행된다(도 9 참조).
[라이닝 튜브 열경화 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라이닝 튜브(20)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라이닝 튜브(20)를 누르고 있던 상기 파이프 서포트 또는 잭(jack)(410)을 제거함과 아울러 상기 에어백(160)에 주입된 에어를 배출시키고, 상기 에어백(160)과 에어호스(161)는 인출해낸다(도 10 참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노즐(110)과 가이드 호스(130) 및 하부노즐(120)을 통해 상기 라이닝 튜브(20) 내에 온수 호스(500)를 삽입하고, 상기 하부노즐(120)에 형성된 온수복귀공(121)에 온수복귀호스(510)를 연결하며, 상기 상부노즐(110)에 밀봉 캡(600)을 씌워 상기 상부노즐(110)과 하부노즐(120)과 가이드 호스(130) 및 반전된 라이닝 튜브(20)의 내부를 기밀하게 밀봉한다. 상기 밀봉 캡(600)에는 압력계(610)를 설치한다.
상기 온수 호스(500)와 온수복귀호스(510)는 보일러(710)에 연결되는 것으로, 보일러 차량(700)에 탑재하여 시공 현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상기 온수 호스(500)와 온수복귀호스(510)는 상기 보일러(710)에 구비된 온수펌프(72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보일러 차량(700)에는 발전기(730)와 컴프레서(740) 및 물탱크(750)가 탑재된다.
상기 온수 호스(500)는 상기 라이닝 튜브(20)의 내부에 삽입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온수분사공이 천공된 것이 사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온수보일러(710)와 온수펌프(720)를 가동시키면 상기 온수보일러(710)에서 발생한 온수가 상기 온수 호스(500)를 통해 상기 라이닝 튜브(20) 내에 공급된다. 상기 라이닝 튜브(20) 내에 공급된 온수는 상기 하부노즐(120)에 구비된 온수복귀공(121)과 온수복귀호스(510)를 통해 상기 온수보일러(710)로 복귀된다.
상기 라이닝 튜브(20)에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는 라이닝 튜브(20)의 열경화 온도에 상당하는 온도로 유지시킨다.
상기 라이닝 튜브(20) 내에 온수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 라이닝 튜브(20)를 구성하는 펠트층(21)과 폴리에스터 필름층(22)의 열경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라이닝 튜브(20)는 그 펠트층(21)이 상기 보강용 메시(10)의 가로 소재(12)를 감싸는 식으로 상기 보강용 메시(10)와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매설관로(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접합된다(도 11 참조).
이때, 상기 펠트층(21)의 외주면에는 상기 열경화성 폴리에스터 수지(23)가 함침되어 있으므로 상기 열경화성 폴리에스터 수지(23)에 의하여 견고한 접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열경화성 폴리에스터 수지(23)는 상기 펠트층(21)이 상기 폴리에스터 필름층(22)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상기 라이닝 튜브 준비 단계에서는 상기 펠트층(21)의 내주면에 함침되는 것이며, 상기 라이닝 튜브 삽입 단계에서 상기 라이닝 튜브(20)가 반전됨에 따라 상기 펠트층(21)이 상기 폴리에스터 필름층(22)의 외주측에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펠트층(21)의 외주측에 함침된 상태로 되는 것이다.
상기 라이닝 튜브(20)의 열경화가 완료되면, 상기 온수 호스(500), 온수복귀호스(510), 밀봉 캡(600), 압력계(610)를 제거하고, 온수보일러(710), 온수펌프(720), 발전기(730), 컴프레서(740) 및 물탱크(750)가 탑재된 보일러 차량(700)을 현장에서 이동시킨다(도 11 참조).
[마무리 단계]
상기 라이닝 튜브(20)의 열경화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매설관로(1)의 양단에서 불필요한 라이닝 튜브(20)를 절단해낸다(도 12 참조).
절단된 라이닝 튜브(20)의 양단부는 상기 시점 맨홀(2A)과 종점 맨홀(2B)의 내주면과 상기 매설관로(1)의 내주면에 용접한다. 용접은 폴리에스터 수지를 용융시켜 실링하는 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맨홀(2)과 맨홀(2) 사이에서 매설관로(1)의 중간에 연결관(4)이 있는 경우로서 상기 보강용 메시(10)의 상기 연결관(4)에 대응하는 부분을 절단해둔 경우에는 상기 라이닝 튜브(20)의 상기 연결관(4)에 대응하는 부분을 천공한다.
상기 라이닝 튜브(20)를 천공함에 있어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공 완료된 라이닝 튜브(20) 내에 천공기(810)를 진입시키고 상기 연결관(4)을 통하여 카메라(820)를 투입하여 카메라(820)에 의하여 천공할 부위를 관찰하면서 천공기(810)에 의하여 천공한다.
상기 천공기(810)와 카메라(820)는 천공용 차량(800)에 구비된 조작부와 모니터에 연결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고유사상의 범위 내에서 해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매설관로 2 : 맨홀
10 : 보강용 메시 13 : 코팅층
20 : 라이닝 튜브 21 : 펠트층
22 : 폴리에스터필름 100 : 반전장치
200 : 보랭 컨테이너 300 : 급수 호스
400 : 에어 호스 500 : 온수 호스
600 : 밀봉 캡

Claims (4)

  1. 양단이 중첩되고 그 중첩된 부분이 결속되어 원통형을 이루며, 매설관로(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보강용 메시(10)와;
    상기 보강용 메시(10)의 내주측을 감싸는 식으로 상기 보강용 메시(10)의 내주측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매설관로(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접합되는 열경화성 재질의 라이닝 튜브(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매설관로의 비굴착 보수 및 보강 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닝 튜브(20)는 상기 매설관로(1)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열경화성 폴리에스터 수지(23)가 함침된 펠트층(21)과, 상기 펠트층(2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폴리에스터 필름층(22)으로 구성되며,
    상기 보강용 메시(10)는 상기 라이닝 튜브(20)의 펠트층(21)에 함침된 폴리에스터 수지(23)와 폴리에스터 필름층(22)과 동일 재질인 폴리에스터 수지의 코팅층(13)으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관로의 비굴착 보수 및 보강 구조.
  4. 삭제
KR1020110054981A 2011-06-08 2011-06-08 매설관로의 비굴착 보수 및 보강 구조 KR101098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981A KR101098907B1 (ko) 2011-06-08 2011-06-08 매설관로의 비굴착 보수 및 보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981A KR101098907B1 (ko) 2011-06-08 2011-06-08 매설관로의 비굴착 보수 및 보강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8907B1 true KR101098907B1 (ko) 2011-12-27

Family

ID=45506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981A KR101098907B1 (ko) 2011-06-08 2011-06-08 매설관로의 비굴착 보수 및 보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89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3628A (en) * 2017-06-21 2018-12-26 Brown Davy A pipe sea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7171A (ja) * 2004-07-20 2006-02-02 Chubu Electric Power Co Inc 既設配管内面のライニング工法
KR100784617B1 (ko) * 2001-07-23 2007-12-11 (주)엔코텍 하수도관 갱생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617B1 (ko) * 2001-07-23 2007-12-11 (주)엔코텍 하수도관 갱생공법
JP2006027171A (ja) * 2004-07-20 2006-02-02 Chubu Electric Power Co Inc 既設配管内面のライニング工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3628A (en) * 2017-06-21 2018-12-26 Brown Davy A pipe se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16210A1 (en) Duct repairing material, repairing structure, and repairing method
KR101157080B1 (ko) 하수관과 가지관 접합부의 비굴착 보수 장치 및 보수 방법
JP5501664B2 (ja) 既設管路の耐震止水構造
KR100732864B1 (ko) 비 굴착식 관로 보수용 메쉬철망 설치공법
KR101098907B1 (ko) 매설관로의 비굴착 보수 및 보강 구조
KR100336372B1 (ko) 관로 비굴착 내면 보수공법
KR101188724B1 (ko) 반전탱크를 이용한 매설관로 비굴착 전체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체 보수 시공방법
KR20160145977A (ko) 형상기억합금이 삽입된 관거 보수보강용 튜브
JP4632592B2 (ja) 耐震化更生方法及び耐震化更生構造
KR102598805B1 (ko) 주입관 회수식 터널 라이닝 배면그라우팅 시공 방법
KR101098908B1 (ko) 매설관로의 비굴착 보수 및 보강 공법
CN115898469A (zh) 一种隧道二次衬砌施工方法
KR100756437B1 (ko) 경화형 도관 보수공법
KR100872593B1 (ko) 슬라이드 패커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 보수 공법
JP2018193732A (ja) 既設水路構造物を更生する方法および構造、ならびに既設水路構造物用の更生管
KR100783180B1 (ko) 양단 보강구조를 갖는 도관 보수용 보수재
CN113108154A (zh) 一种检查井及管道的cipp水翻转修复方法
JP4396017B2 (ja) 排水管補修装置及び排水管補修方法
Koerner et al. Geosynthetic use in trenchless pipe remediation and rehabilitation
KR102495267B1 (ko) 갱생 시트 고정체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의 갱생방법
JP5512492B2 (ja) 下水管路の補修方法
KR102398729B1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유연성이 있는 플렉시블 타입 관로 부분 보수장치를 이용한 관로의 부분보수공법
KR200190166Y1 (ko) 관로 비굴착 내면 보수재
KR100532826B1 (ko) 지하 매설관의 보수 보강기구 및 이를 이용한 수지의 균일안배방법
KR101215618B1 (ko) 비굴착식 상하수도 보수 공법용 매니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