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8219B1 - 고형연료 열분해 연소장치 - Google Patents

고형연료 열분해 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8219B1
KR101098219B1 KR1020100105052A KR20100105052A KR101098219B1 KR 101098219 B1 KR101098219 B1 KR 101098219B1 KR 1020100105052 A KR1020100105052 A KR 1020100105052A KR 20100105052 A KR20100105052 A KR 20100105052A KR 101098219 B1 KR101098219 B1 KR 101098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solid fuel
tank
power transmis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규
Original Assignee
김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규 filed Critical 김민규
Priority to KR1020100105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82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2Heat utilisation in combustion or incineration of waste

Landscapes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형연료의 열분해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측이 개방되고 중공이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고형연료를 공급받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호퍼를 통해 공급된 고형연료를 이송하기 위해 둘레 외측면에 나선상의 스크류가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공급관 내부로 공급된 고형연료를 일차적으로 연소시키는 연소부재 및 상기 회전축에 회전을 전달하는 링부재와 볼베어링 및 덮개로 구성되는 연결부재로 구성된 제1연소부와, 상기 제1연소부를 통과하면서 연소 된 고형연료 및 공기가 혼합되어 유입되는 연소탱크의 일측면 중앙에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기 위해 구비된 공기유입구에 연장 형성된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연소탱크 내부에 공급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연소관이 내부에 장착되고, 외측면의 둘레를 따라 좌우측면에 회전지지대에 대응되도록 지지구가 장착되며, 외측면 중심부에 동력전달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동력전달수용구가 장착되어 회전 가능한 연소탱크와,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연소탱크 내부로 유입시킴으로써 연소를 활성화하여 고형연료의 완전연소를 위해 구비되는 공기밸브와,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연소탱크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동력전달부와, 상기 연소탱크의 외측으로 내화벽돌로 밀폐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연소탱크가 연결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하우징으로 구성된 제2연소부와, 상기 연소탱크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고형연료의 연소가스를 재연소시키는 보일러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고형연료 열분해 연소장치는 고형연료의 잔류물이 연소장치 내에 침적되지 않도록 하여 고형연료와 그 잔류물을 완전 연소시킴으로써 다이옥신 등 유해가스 배출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연료효율을 상승시키는 장점이 있으며, 연소로 내부에 고형연료의 잔류물이 침적되지 않아 연소로 내부를 청소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청소나 점검을 위해 연소장치를 정지시키지 않아 연소장치의 활용성을 향상시키며 연소로 내부의 청소를 위한 인건비의 절감과 더불어 정지 없이 연속된 연소장치의 활용으로 경제성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고형연료 열분해 연소장치{Combustion furnace for thermal- depolimerization of Refuse derived fuel}
본 발명은 고형연료의 열분해를 위한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소로 내에 고형연료 잔류물의 침적을 방지하기 위해 연소로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형성함으로써, 고형연료의 열분해를 가속화함과 동시에 연소로 내부에서 완전연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고형연료 열분해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유가급등으로 인하여 다양한 에너지원을 이용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쓰레기를 포함한 폐기물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계획 및 정책이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이에 따라 폐기물을 이용한 친환경적이면서 경제적인 보일러 기술분야의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현재 가정이나 농촌, 각종 산업분야에서 버려지는 폐비닐 등과 같은 합성수지 및 고무류, 기타 유기물질 제품의 배출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에 있고, 이러한 폐기물은 미생물에 의해서 분해되지 않아 환경오염의 주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폐기물을 다시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들이 제안된 바 있고, 그 중에 열원을 얻기 위한 연료로서 재활용되기도 하는 것으로, 이러한 고형연료는 RDF(Refuse Derived Fuel)로 불리며, 가연성 생활폐기물을 고형연료로 만드는 것을 RDF라 한다.
이러한 고형연료(RDF)의 원료로는 PVC(염화비닐수지), 수분, 철/캔 등의 비가연성 물질을 제외한 쓰레기는 고형연료(RDF)의 원료로 사용되며, 이러한 가연성 물질을 건조, 파쇄, 분쇄, 성형하여 제조한 고체형태의 연료를 일컫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성형 된 고형연료(RDF)는 환경오염의 근원인 각종 생활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측면과 아울러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성형 된 고형연료(RDF)는 고체형 연료이다 보니 연소시 완전연소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연소과정에서 다이옥신이나 기타 이산화탄소 등의 각종 공해물질이 배출되는 단점과 함께 합성수지류 등은 연소시 자기보호, 즉 외부를 감싸는 특성이 있어 고열에 의해 그 내부까지 완전 연소 되지 않기 때문에 그대로 버려지는 경우가 있어 이러한 고형연료(RDF)를 효과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는 전용 연소장치에서 연소시켜 각종 산업시설에 필요로 하는 열원을 공급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형연료 전용 연소장치는 고형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한 고온의 연소가스를 별도의 처리시설 없이 산업시설에 열원으로 공급함에 따라 연소과정에서 발생한 다이옥신이나 이산화탄소 등의 각종 공해물질이 대기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소장치 내에서 발화중인 고형연료에 연소공기가 충분히 제공되지 못함에 따라 완전연소가 되지 않아 연료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연소장치 내로 공급되는 고형연료가 연소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아 잔류물이 연소로 내에 침적됨으로써 완전연소를 방해하는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침적된 고형연료의 잔류물을 처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소각방식의 활용은 에너지원인 고형연료의 이용에 있어 비효율적이며 환경적인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으므로, 고형연료의 완전연소를 이루기 위해 고형연료의 잔류물까지도 연소시킬 수 있는 방법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형연료의 잔류물을 연소로 내에 침적되지 않도록 하며, 발생 된 고형연료의 잔류물을 완전연소할 수 있는 고형연료 열분해 연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두 번째 목적은 연소장치 내에 고형연료의 잔류물이 침적되지 않게 함으로써 고형연료 열분해 연소장치를 내부 청소나 점검을 위해 정지시키지 않고 계속하여 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의 고형연료 열분해 연소장치는 양측이 개방되고 중공이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고형연료를 공급받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호퍼를 통해 공급된 고형연료를 이송하기 위해 둘레 외측면에 나선상의 스크류가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공급관 내부로 공급된 고형연료를 일차적으로 연소시키는 연소부재 및 상기 회전축에 회전을 전달하는 링부재와 볼베어링 및 덮개로 구성되는 연결부재로 구성된 제1연소부와, 상기 제1연소부를 통과하면서 연소 된 고형연료 및 공기가 혼합되어 유입되는 연소실에 연장 형성된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서, 연소물이 유출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연소관이 내부에 장착되고, 외측면의 둘레를 따라 좌우측면에 회전지지대에 대응되도록 지지구가 장착되며, 외측면 중심부에 동력전달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동력전달수용구가 장착되어 회전 가능한 연소탱크와,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연소탱크 내부로 유입시킴으로써 연소를 활성화하여 고형연료의 완전연소를 위해 구비되는 공기밸브와,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연소탱크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동력전달부와, 상기 연소탱크의 외측으로 내화벽돌로 밀폐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연소탱크가 연결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하우징으로 구성된 제2연소부와, 상기 연소탱크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고형연료의 연소가스를 재연소시키는 보일러부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형연료 열분해 연소장치는 고형연료의 잔류물이 연소장치 내에 침적되지 않도록 하여 고형연료와 그 잔류물을 완전 연소시킴으로써 다이옥신 등 유해가스 배출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연료효율을 상승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소로 내부에 고형연료의 잔류물이 침적되지 않아 연소로 내부를 청소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청소나 점검을 위해 연소장치를 정지시키지 않아 연소장치의 활용성을 향상시키며 연소로 내부의 청소를 위한 인건비의 절감과 더불어 정지 없이 연속된 연소장치의 활용으로 경제성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의한 고형연료 연소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고형연료 열분해 연소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고형연료 열분해 연소장치의 제1연소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고형연료 열분해 연소장치의 제1연소부를 나타내는 투명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고형연료 열분해 연소장치의 히팅부재 장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고형연료 열분해 연소장치의 제2연소부의 내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고형연료 열분해 연소장치의 제2연소부의 외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측이 개방되고 중공이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고형연료를 공급받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호퍼를 통해 공급된 고형연료를 이송하기 위해 둘레 외측면에 나선상의 스크류가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공급관 내부로 공급된 고형연료를 일차적으로 연소시키는 연소부재 및 상기 회전축에 회전을 전달하는 링부재와 볼베어링 및 덮개로 구성되는 연결부재로 구성된 제1연소부와, 상기 제1연소부를 통과하면서 연소 된 고형연료 및 공기가 혼합되어 유입되는 연소탱크의 일측면 중앙에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기 위해 구비된 공기유입구에 연장 형성된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연소탱크 내부에 공급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연소관이 내부에 장착되고, 외측면의 둘레를 따라 좌우측면에 회전지지대에 대응되도록 지지구가 장착되며, 외측면 중심부에 동력전달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동력전달수용구가 장착되어 회전 가능한 연소탱크와,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연소탱크 내부로 유입시킴으로써 연소를 활성화하여 고형연료의 완전연소를 위해 구비되는 공기밸브와,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연소탱크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동력전달부와, 상기 연소탱크의 외측으로 내화벽돌로 밀폐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연소탱크가 연결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하우징으로 구성된 제2연소부와, 상기 연소탱크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고형연료의 연소가스를 재연소시키는 보일러부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의한 고형연료 연소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제1연소부(A)와 제2연소부(B) 및 보일러(C)로 구성되며, 제1연소부를 통과하면서 연소 된 고형연료가 제2연소부 내로 공급되면서 연소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아 고형연료의 잔류물(900)이 연소탱크(220) 내의 바닥에 침적됨으로써 고형연료의 완전연소를 방해하는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침적된 고형연료의 잔류물을 처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소각방식의 활용은 에너지원인 고형연료의 이용에 있어 비효율적이며 2차적인 환경문제를 발생시키고 있으므로, 고형연료의 완전연소를 이루기 위해 고형연료의 잔류물까지도 연소시킬 수 있는 방법이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형연료 열분해 연소장치를 제안하는바,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고형연료 열분해 연소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제1연소부(A)와 제2연소부(B) 및 보일러(C)로 구성되며, 제1연소부(A)를 통과하면서 연소 된 고형연료가 제2연소부(B) 내로 공급되고, 공급된 고형연료가 제2연소부(B)의 연소탱크(220) 내의 바닥에 침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2연소부(B)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연소탱크(220) 외측면에 지지구(221) 및 동력전달수용구(222)를 장착하고, 상기 동력전달수용구(222)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240)를 구비함으로써 제2연소부(200)의 연소탱크(220) 내 바닥면에 고형연료의 잔류물이 침적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고형연료의 완전연소를 방해하는 요인을 제거함으로써 완전연소를 이루는 것과 동시에 고형연료의 잔류물을 처리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고형연료 열분해 연소장치의 제1연소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고형연료 열분해 연소장치의 제1연소부를 나타내는 투명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고형연료 열분해 연소장치의 히팅부재 장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고형연료 열분해 연소장치의 제1연소부는 공급관(110), 회전축(120), 연소부재(130), 연결부재(140)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관(110)은 폐플라스틱 등의 다양한 재료 및 크기의 고형연료(Refuse Derived Fuel, RDF)를 공급받아 이송하고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공급관(110)은 외부로부터 고형연료를 공급받기 위해 일측 가장자리에 호퍼(121)를 구비함으로써 고형연료는 호퍼(121)를 통해 공급되어 회전축(120)에 의해 공급관(110)의 타측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때, 회전축(120)이 상기 공급관(110) 내부에서 회전되며 고형연료를 강제 이송하기 때문에 공급관(110)은 원통관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공급관(110)은 일측 단부에 연소부재(130)를 연결하고, 타측 단부에 제2연소부의 연소탱크(220)를 연결함에 따라 양측으로 개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공급관(110) 내부에는 회전축(120)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즉, 회전축(120)은 공급관(110) 내부에 축 삽입되어 외력에 의해 회전된다.
또한, 회전축(120)은 둘레면에 나선상으로 스크류(122)를 형성하며, 상기 스크류(122)는 회전축(120)과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회전축(120)과 함께 회전된다.
아울러, 공급관(110)과 회전축(120)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공급관(110)과 회전축(120)은 한 쌍씩 구비되는 쌍축 구조로 도시하며 이를 도 4에 도시하였다.
상기 연소부재(130)는 연소실(131), 연소물유입구(132), 히팅부재(133), 공기유로(134), 오일관(135)으로 구성되며, 상기 공급관(110) 내부에서 점화 유도하여 고형연료를 일차적으로 연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소물유입구(132)는 스크류(122)에 의해 강제 이송되며 연소되는 고형연료가 연소실(131)로 유입되는 통로로서, 연소실(131)에 유입되는 고형연료는 상기 연소실에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와 혼합하여 제2연소부(B)의 연소탱크(220)로 유입된다.
상기 오일관(135)은 회전축(120)의 중심축을 따라 양측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오일관(135)은 외부의 오일을 회전축(120)의 타측으로 유동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기유로(134)는 외부의 공기(Air)를 회전축(120)의 타측으로 유동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회전축(120)의 둘레면에는 히팅부재(133)가 구비되며, 상기 히팅부재(133)는 회전축(120)에 의해 강제 이송되는 고형연료를 데움과 동시에 연소실(131)과 회전축(120)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와 오일을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고형연료와 공기 및 오일을 데워 낮은 온도에서도 쉽게 점화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때, 히팅부재(133)는 일반적인 히터봉이 바람직하고, 회전축(120)은 둘레면에 안착홈(136)을 파서 히팅부재(133)를 수용하여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결부재(140)는 링부재(141)와 볼베어링(142) 및 덮개(143)로 구성되며, 상기 링부재(141)는 회전축(12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고, 외력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링부재(141)는 구동모터(150)의 구동력을 간접적으로 전달받아 회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부재(141)의 둘레면에는 볼베어링(142)이 형성되고, 볼베어링(142)에는 덮개(143)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링부재(141)는 단독으로 회전되고, 덮개(143)는 볼베어링(142)을 기준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고형연료 열분해 연소장치의 제2연소부의 내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고형연료 열분해 연소장치의 제2연소부의 외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형연료 열분해 연소장치의 제2연소부는 연소탱크(220)와 공기밸브(230), 동력전달부(240), 내화벽돌(250) 및 하우징(2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소탱크(220)의 내부에는 연소관(210)이 장착되고, 상기 연소관(210)은 상기 제1연소부(100)를 통과하면서 연소 된 고형연료 및 공기가 혼합되어 유입되는 연소탱크(220)의 일측면 중앙에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기 위해 구비된 공기유입구(910)에 연장 형성된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연소탱크(220) 내부에 공급될 수 있도록 관통공(211)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211)의 크기와 모양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유입구(910)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연소탱크(220) 내부로 확산 되며, 상기 연소탱크(220)의 중심에서 상기 연소실(131)로부터 유입되는 기화된 고형연료 및 미연소된 고형연료의 연소를 촉진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또한, 연소탱크(220)의 외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좌우측면에 회전지지대(245)에 대응되도록 지지구(221)가 장착되며, 외측면 중심부에 동력전달부(24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동력전달수용구(222)가 장착되어 회전 가능하다.
상기 회전지지대(245)는 지지구(221)에 대응되어 상기 연소탱크(220)를 지지하면서 회전될 수 있도록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지지구(221)와 회전지지대(245)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는 구성으로 베어링이나, 롤러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소탱크(220)의 일측에는 제1연소부(A)의 연소실(131)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소탱크(220)의 타측에는 배출구(270)가 형성되어 있어, 제3연소부에 해당하는 보일러(C)로 연결된다.
즉, 상기 배출구(270)를 통과한 연소가스는 보일러(C)로 유입되며 상기 보일러(C)에서 재연소되어 보일러(C)를 가동하게 된다.
또한, 제2연소부(B)에는 상기 연소탱크(22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전달부(240)가 구비되며, 상기 동력전달부(240)는 구동모터(241), 감속기(242), 구동기(243), 동력전달구(244), 회전지지대(245)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동력전달부(240)는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연소탱크(220)를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서, 상기 구동모터(24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감속기(242)가 속도를 조절하며, 상기 감속기(242)의 제어된 동력을 동력전달구(244)에 전달하는 구동기(243)와 상기 연소탱크(220)의 외측면 중심부에 장착된 동력전달수용구(222)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소탱크(220)의 외측면에 고정 장착된 동력전달수용구(222)는 상기 동력전달구(244)와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243)의 동력전달을 받은 동력전달구(244)는 회전하고, 회전하는 동력전달구(244)에 맞물린 동력전달수용구(222)가 회전하면서 연소탱크(220)는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240)의 동력전달구(244) 및 동력전달수용구(222)는 벨트, 기어, 체인, 풀리, 베어링 등의 구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서로 대응되어 일측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는 구성은 모두 해당된다.
또한, 상기 연소탱크(220)의 외측 및 하우징(260)의 내측으로는 내화벽돌(250)로 밀폐되어 연소열이 쉽게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며, 하우징(260)의 내부에 형성된 연소탱크(220)와 외부에 장착되는 동력전달부(240)의 구성과 연결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260)의 일측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형연료 열분해 연소장치는 고형연료의 잔류물이 연소장치 내에 침적되지 않도록 하여 고형연료와 그 잔류물을 완전 연소시킴으로써 다이옥신 등 유해가스 배출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연료효율을 상승시키는 장점이 있고, 연소로 내부에 고형연료의 잔류물이 침적되지 않아 연소로 내부를 청소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청소나 점검을 위해 연소장치를 정지시키지 않아 연소장치의 활용성을 향상시키며 연소로 내부의 청소를 위한 인건비의 절감과 더불어 정지 없이 연속된 연소장치의 활용으로 경제성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1연소부 110 : 공급관
120 : 회전축 121 : 호퍼
122 : 스크류 130 : 연소부재
131 : 연소실 132 : 연소물유입구
133 : 히팅부재 134 : 공기유로
135 : 오일관 136 : 안착홈
140 : 연결부재 141 : 링부재
142 : 볼베어링 143 : 덮개
150, 241 : 구동모터 200 : 제2연소부
210 : 연소관 211 : 관통공
220 : 연소탱크 221 : 지지구
222 : 동력전달수용구 230 : 공기밸브
240 : 동력전달 242 : 감속기
243 : 구동기 244 : 동력전달구
245 : 회전지지대 250 : 내화벽돌
260 : 하우징 270 : 배출구
300 : 보일러 900 : 고형연료 분말
910 : 공기유입구
A : 제1연소부 B : 제2연소부
C : 보일러

Claims (2)

  1. 양측이 개방되고 중공이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고형연료를 공급받는 공급관(110)과, 상기 공급관(1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호퍼(121)를 통해 공급된 고형연료를 이송하기 위해 둘레 외측면에 나선상의 스크류(122)가 형성된 회전축(120)과, 상기 공급관(110) 내부로 공급된 고형연료를 일차적으로 연소시키는 연소부재(130) 및 상기 회전축(120)에 회전을 전달하는 링부재(141)와 볼베어링(142) 및 덮개(143)로 구성되는 연결부재(140)로 구성된 제1연소부(100);와
    상기 제1연소부(100)를 통과하면서 연소 된 고형연료 및 공기가 혼합되어 유입되는 연소탱크(220)의 일측면 중앙에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기 위해 구비된 공기유입구(910)에 연장 형성된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연소탱크(220) 내부에 공급될 수 있도록 관통공(211)이 형성된 연소관(210)이 내부에 장착되고, 외측면의 둘레를 따라 좌우측면에 회전지지대(245)에 대응되도록 지지구(221)가 장착되며, 외측면 중심부에 동력전달부(24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동력전달수용구(222)가 장착되어 회전 가능한 연소탱크(220)와,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연소탱크(220) 내부로 유입시킴으로써 연소를 활성화하여 고형연료의 완전연소를 위해 구비되는 공기밸브(230)와,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연소탱크(220)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동력전달부(240)와, 상기 연소탱크(220)의 외측으로 내화벽돌(250)로 밀폐되고, 상기 동력전달부(240)와 상기 연소탱크(220)가 연결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하우징(260)으로 구성된 제2연소부(200);와
    상기 연소탱크(220)의 배출구(270)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고형연료의 연소가스를 재연소시키는 보일러부(300);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연료 열분해 연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24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241)와 상기 구동모터(241)의 동력을 전달받아 속도를 조절하는 감속기(242)와 상기 감속기(242)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243) 및 상기 구동기(24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전달구(24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연료 열분해 연소장치
KR1020100105052A 2010-10-27 2010-10-27 고형연료 열분해 연소장치 KR101098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052A KR101098219B1 (ko) 2010-10-27 2010-10-27 고형연료 열분해 연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052A KR101098219B1 (ko) 2010-10-27 2010-10-27 고형연료 열분해 연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8219B1 true KR101098219B1 (ko) 2011-12-28

Family

ID=45506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052A KR101098219B1 (ko) 2010-10-27 2010-10-27 고형연료 열분해 연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82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9466A (ko) * 2019-04-10 2020-10-20 차순복 다단계 연소공간을 갖는 소각보일러
KR20220138231A (ko) * 2021-04-05 2022-10-12 김민규 폐기물 소각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316Y1 (ko) 2006-03-16 2006-06-20 박죽랑 혼합유와 고형연료를 함께 사용할 수 있게 한 연소장치
KR100882854B1 (ko) 2008-02-15 2009-02-10 박죽랑 고형연료 열분해 가스연소버너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316Y1 (ko) 2006-03-16 2006-06-20 박죽랑 혼합유와 고형연료를 함께 사용할 수 있게 한 연소장치
KR100882854B1 (ko) 2008-02-15 2009-02-10 박죽랑 고형연료 열분해 가스연소버너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9466A (ko) * 2019-04-10 2020-10-20 차순복 다단계 연소공간을 갖는 소각보일러
KR102228767B1 (ko) * 2019-04-10 2021-03-18 차순복 다단계 연소공간을 갖는 소각보일러
KR20220138231A (ko) * 2021-04-05 2022-10-12 김민규 폐기물 소각장치
KR102489840B1 (ko) * 2021-04-05 2023-01-17 김민규 폐기물 소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92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waste
WO2017010691A1 (ja) 高温熱分解焼却炉
JP3602504B2 (ja) 過熱蒸気を用いた熱処理設備
CN204648254U (zh) 农村生活垃圾焚烧系统
KR100312137B1 (ko) 열분해식 폐기물 자동 소각장치
KR101098219B1 (ko) 고형연료 열분해 연소장치
KR20080101522A (ko) 분말화된 음식물 쓰레기 소각 장치
KR101415450B1 (ko) 고형 폐기물의 연소설비
US8240258B2 (en) Burner for waste plastic
KR102077097B1 (ko) 유전발열체를 이용한 탄화장치
CN111412467A (zh) 基于热解气化炉与隧道砖窑的生活垃圾处理系统及方法
KR20040061708A (ko) 폐고무 가공 고형연료를 사용하는 하향식 다단 연소장치
KR101004765B1 (ko) 폐기물 탄화 처리장치
KR100413188B1 (ko) 가연성 분체연료 연소기
US76212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waste
KR200408326Y1 (ko) 연소기의 연소실 내 공기 공급장치
KR102046329B1 (ko) 온수 및 열풍용 소각 장치
KR100666043B1 (ko) 연소기의 연소실 내 공기 공급장치
KR20090128949A (ko) 폐열 회수효율 및 유지관리성이 향상된 소각보일러
KR101134350B1 (ko) 고형연료 연소장치
JP2004263193A (ja) 過熱蒸気を用いた熱処理設備
KR200422220Y1 (ko) 폐기물 소각 장치
KR100613436B1 (ko) 수평형 폐기물 소각로
KR101520090B1 (ko) 고체연료 버너의 연소공기 공급 재처리장치
KR100564881B1 (ko) 연소로의 공기흐름을 이용한 원심분리 연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