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881B1 - 선상용 집어등 소켓 - Google Patents

선상용 집어등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881B1
KR101097881B1 KR1020100001060A KR20100001060A KR101097881B1 KR 101097881 B1 KR101097881 B1 KR 101097881B1 KR 1020100001060 A KR1020100001060 A KR 1020100001060A KR 20100001060 A KR20100001060 A KR 20100001060A KR 101097881 B1 KR101097881 B1 KR 101097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protection member
bulb
socket protection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1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0709A (ko
Inventor
김금자
Original Assignee
김금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금자 filed Critical 김금자
Priority to KR1020100001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881B1/ko
Publication of KR20110080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6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point-like light sources, e.g. incandescent or halogen lamps, with screw-threaded or bayonet b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965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holders
    • H01R33/9651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holders for screw type coup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식이나 방전됨을 방지하고, 전구와 소켓 사이 틈새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전구를 보다 오랜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선상용 집어등 소켓을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구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소켓부와, 상기 소켓부를 감싸며 바닷물이 상기 소켓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소켓보호부재 및 상기 소켓보호부재의 상단에 볼트 체결되며 상기 소켓보호부재를 어선에 매달아 고정시키는 소켓지지부재로 구성한 선상용 집어등 소켓에 있어서, 상기 소켓보호부재는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되며 그 하단은 전구가 소켓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개방시켜 구성하며, 상기 소켓보호부재의 하단 내주면에는 상기 소켓보호부재와 전구 사이 틈새를 차단하는 실링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소켓지지부재는 이형 사출 방식으로 금속플레이트의 외면에 합성수지가 피복 처리되도록 구성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선상용 집어등 소켓{A socket for a fish-luring light}
본 발명은 선상용 집어등 소켓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식이나 방전됨을 방지하고, 전구와 소켓 사이 틈새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전구를 보다 오랜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선상용 집어등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멸치나 고등어 및 오징어 등의 양성 주광성(走光性)이 있는 어류를 다량으로 포획하기 위한 방식으로 집어선(集魚船)에 집어등(集魚燈)을 설치하여 빛을 제공함으로써 주광성 어류를 집어선 주변으로 모여들게 하는 방식이 주로 채택되고 있다.
주광성 어류를 모여들게 하는 집어등 기구는 전기적인 결합을 위한 소켓부와 상기 소켓부에 연결 형성되어 주광성의 어류에 집어력을 형성하기 위한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발광부로는 백열전구나 할로겐램프, 형광등, 수은등 및 메탈할라이드(metal halide) 램프 등이 사용되고 있다.
첨부된 도 1은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집어등 기구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종래 집어등 기구는 발광수단인 전구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소켓부를 감싸며 바닷물의 유입을 방지토록 고무재질로 제작되는 소켓보호부재(120)와, 상기 소켓부를 지지하는 소켓지지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러나, 종래 집어등 기구는 사용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먼저, 소켓지지부재(140)는 변덕스러운 바다 날씨 등 혹독한 조건을 고려하여 금속 재질로 제작되어 지는 데, 이는 많은 개수의 전구로 전류를 한번에 인가하는 과정에서 금속성의 소켓지지부재(140)로 전류가 흘려나와 자칫 감전 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유발하게 되며, 또한 방전이 잘되어 다른 기종 특히 조상기에 내장되어 있는 회로기판으로 전류가 인가되어 회로기판이 손상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또한, 소켓지지부재(140)는 금속재질이긴 하나, 그 두께가 대략 1mm 정도의 비교적 얇게 제작됨에 따라 바람이나 기타 외력에 의해 쉽게 휘어질 우려가 있으며, 따라서 현재 조업중에는 임시방편으로 대나무를 덧대어 사용하고 있음으로서 작업이 불편할 뿐 아니라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소켓지지부재(140)의 표면은 분체도장으로 마감 처리하고 있으나, 일정시간이 지나고 나면 염분이 침투하여 소켓지지부재(140)를 부식시키게 되며, 이러한 부식으로 인해 생성된 녹물은 소켓에 결합되어 있는 전구로 흘러내려 전구 표면을 오염시키게 된다. 특히 전구는 대략 200℃ 이상의 열을 발산하게 됨으로서 전구 표면에 녹물이 묻을 경우에는 쉽게 지워지지 않아 전구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소켓부를 보호하는 소켓보호부재(120)는 통상 상기 소켓에 결합되어 있는 전구의 외면에 접촉하게 되는 데, 이때 전구에서 발산되는 열원에 의해 고무재질의 소켓보호부재(120)가 전구 표면에 눌어붙게 됨으로서 소켓보호부재(120)가 쉽게 손상되며, 이와 같이 소켓보호부재(120)의 손상이 가중되면 소켓부의 기밀성을 보장할 수 없어 염분이 소켓부로 침투하여 단자를 부식시키는 문제를 가져오게 된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집어등기구를 사용하는 시기, 즉 오징어를 조업하는 시기는 7월에서 1월까지 약 5개월 정도 조업을 하며, 그 이후에는 다른 조업을 하기 때문에 집어등기구에서 전구를 분리하게 되는 데, 이때 전구를 분리하고 나면 소켓보호부재(120)의 하단이 개방된 상태가 됨으로서 바닷물이 쉽게 침투하여 소켓부의 단자를 부식시켜 등기구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을 가져왔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켓지지부재를 구성하는 금속플레이트 표면을 합성수지재로 이형 사출 성형하여 부식 발생을 방지토록 한 선상용 집어등 소켓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소켓보호부재를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하고, 상기 소켓보호부재와 전구간의 직접적인 접촉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전구의 열원으로 인한 소켓보호부재의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는 선상용 집어등 소켓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소켓보호부재의 내면에 실링부재를 내설하여 소켓보호부재와 전구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선상용 집어등 소켓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소켓보호부재의 전선체결구에 누수 방지용 고무패킹을 삽입시키도록 한 선상용 집어등 소켓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소켓부에서 전구를 분리하고 난 뒤에는 소켓보호부재의 하단 개방구를 캡으로 밀폐 구성토록 한 선상용 집어등 소켓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구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소켓부와, 상기 소켓부를 감싸며 바닷물이 상기 소켓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소켓보호부재 및 상기 소켓보호부재의 상단에 볼트 체결되며 상기 소켓보호부재를 어선에 매달아 고정시키는 소켓지지부재로 구성한 선상용 집어등 소켓에 있어서, 상기 소켓보호부재는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되며 그 하단은 전구가 소켓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개방시켜 구성하며, 상기 소켓보호부재의 하단 내주면에는 상기 소켓보호부재와 전구 사이 틈새를 차단하는 실링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소켓지지부재는 이형 사출 방식으로 금속플레이트의 외면에 합성수지가 피복 처리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켓보호부재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소켓부로 전류를 인가하는 전선이 통과하기 위한 통로부를 제공하는 전선체결구를 형성하되, 상기 전선체결구의 입구는 고무패킹으로 밀봉한 상태에서 체결볼트를 체결시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켓보호부재의 하단에는 캡이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부재의 내주면에는 요철형태의 주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선상용 집어등 소켓은 다음과 같은 많은 효과들을 달성한다.
첫 번째로, 본 발명은 소켓지지부재를 구성하는 금속플레이트 표면을 합성수지재로 이형 사출 성형하여 강도를 가지면서도 부식 발생을 방지시켜 녹물로 인한 전구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두 번째로, 본 발명은 소켓보호부재를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하고, 상기 소켓보호부재와 전구간의 직접적인 접촉이 일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서 전구의 열원으로 인한 소켓보호부재의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세 번째로, 본 발명은 소켓보호부재의 내면에 실링부재를 내설하고, 아울러소켓보호부재의 전선체결구에 누수 방지용 고무패킹을 삽입시켜 바닷물이 소켓보호부재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네 번째로, 본 발명은 전구를 분리하고 난 뒤에는 소켓보호부재의 하단 개방구를 캡으로 밀폐 구성함으로서 바닷물이 소켓보호부재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집어등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상용 집어등 소켓의 구성을 분해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선상용 집어등 소켓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상용 집어등 소켓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선상용 집어등 소켓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상용 집어등 소켓(100)은 전구(200)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소켓부(10)와, 상기 소켓부(10)를 감싸며 바닷물이 상기 소켓부(1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소켓보호부재(20) 및 상기 소켓보호부재(20)의 상단에 볼트(42) 체결되며 상기 소켓보호부재(20)를 어선에 매달아 고정시키는 소켓지지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소켓보호부재(20)는 선상용 집어등 소켓(100)의 외형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상기 소켓부(10)가 결합되기 위한 체결홈(22)이 함몰 형성되고, 그 하단은 개방(24)시켜 상기 소켓부(10)로 전구(2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소켓보호부재(20)는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되며, 이러한 재질 특성을 통해 소켓보호부재(20)는 종래 고무재질에 비해 전구에서 발생한 열원에 의해 쉽게 녹아내리지 않고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실링부재(28)를 통해 소켓보호부재(20)가 전구(200)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전구(200)의 열원에 의한 소켓보호부재(20)의 손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소켓보호부재(20)의 하단에는 보호캡(25)이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27) 체결된다. 상기 보호캡(25)은 상기 소켓보호부재(20)와 다른 재질,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켓보호부재(20)와 같이 합성수지로만 사출 성형하지 않고, 합성수지 70%에 크라스 30%을 혼합한 후, 이 혼합물로 사출 성형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크라스가 가지는 내화성을 통해 보호캡(25)이 내화력을 가지도록 하여 전구(200)에서 전해지는 열원에 의해 소켓보호부재(20)가 녹아내리는 등의 손상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통상 전구(200)가 점등되면 소켓보호부재(20)의 둘레면은 대략 38~45℃ 정도의 온도를 전달받음에 반해, 전구(200)의 병목부에 위치하는 소켓보호부재(20)의 하단은 170℃의 정도의 높은 온도가 발생함으로서 단순히 합성수지로만 성형된 소켓보호부재(20)는 높은 온도에 의해 녹아내릴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상기 소켓보호부재(20)의 하단에 합성수지 70%에 크라스 30%을 혼합으로 사출 성형된 보호캡(25)을 끼워 구성함으로서 열에 의한 소켓보호부재(20)의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보호캡(25)의 외주면은 열을 보다 적게 받을 수 있도록 내측방향으로 테이퍼(R)지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캡(25)의 내주면에는 끼움턱(26)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끼움턱(26)에는 링 형상의 실링부재(28)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실링부재(28)는 소켓부(10)에 결합되는 전구(200)의 외경에 밀착되며 상기 전구(200)와 소켓보호부재(20) 사이 틈새를 차단시켜 사용과정에서 바닷물이 소켓보호부재(20) 내부로 유입되어 합선이나 부식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이때 상기 전구(200)의 외경에 밀착되는 실링부재(28)의 내주면은 요철 형태의 주름부(28a)를 형성하여 전구(200)의 외경에 실링부재(28)의 내주면이 접촉될 때, 보다 뛰어난 밀착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끼움턱(26)은 전구(200)가 소켓보호부재(2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실링부재(28)가 밀려나지 않도록 상기 실링부재(28)를 걸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소켓보호부재(20)의 일측 상단에는 전선 체결구(30)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전선 체결구(30)는 중앙으로 전선(80)이 통과하기 위한 통로부(32)를 제공하며, 상기 통로부(23)로 삽입된 전선(80)은 소켓부(10)에 결속되어 상기 소켓부(10)에 결합되어 있는 전구(200)로 전류를 인가시키게 된다.
상기 전선(80)이 삽입된 전선 체결구(30)의 통로부(32) 입구는 고무패킹(34)으로 밀봉한 상태에서 체결볼트(36)로 체결시켜, 사용과정에서 바닷물이 통로부(32)를 통해 소켓부(1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토록 한다.
상기 소켓보호부재(20)의 하단 개방구(24)에는 캡(50)이 분리 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캡(50)은 소켓부(10)에서 전구(200)가 분리되고 난 뒤, 소켓보호부재(20)의 하단 개방구(24)를 폐쇄시켜 바닷물이 소켓보호부재(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소켓지지부재(40)는 소켓보호부재(20)의 상단에 볼트(42) 체결되며 상기 소켓보호부재(20)를 어선에 매달아 고정시키는 부재로서, 두개의 나뉘어진 상태로 볼트(44) 및 너트(46)로 체결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소켓지지부재(40) 사이로 노출되는 볼트(44)의 외경에는 캡(48)이 씌워지며 바닷물로 인한 볼트(44)의 부식을 방지토록 한다.
한편, 상기한 소켓지지부재(40)는 소켓보호부재(20)를 지지하는 특성상 강도가 우수한 금속플레이트(40a)로 구성하되, 바닷물에 의해 부식되지 않도록 상기 금속플레이트(40a) 외면에 합성수지를 이형 사출방식으로 피복 처리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소켓지지부재(40)는 소켓보호부재(20)를 지지하기 위한 강성은 금속플레이트(40a)가 제공하고, 상기 금속플레이트(40a)의 내식성은 합성수지(40b)가 제공토록 함으로서 종래 부식으로 인해 금속플레이트(40a)에서 생겨난 녹물이 전구(200)로 흘러내려 전구(200)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상용 집어등 소켓의 작용을 첨부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선상용 집어등 소켓(100)을 사용할 때에는 먼저, 소켓보호부재(20)의 상단에 소켓지지부재(40)를 볼트(42) 체결한 다음, 상기 소켓지지부재(40)를 어선에 설치되어 있는 와이어에 연결시켜 소켓보호부재(20)를 어선에 고정시키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소켓보호부재(20)의 체결홈(22)에 삽입되어 있는 소켓부(10)로 전구(200)를 결합시킨 다음, 상기 소켓부(10)로 전류를 인가하게 되면 전구(200)는 발광하며 빛을 발산하게 된다. 이때 소켓보호부재(20)는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되고, 특히 실링부재(28)를 통해 전구(200)와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서 전구(200)에서 빛을 발산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열원에 의해 쉽게 녹아내리지 않아 소켓보호부재(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구(200)의 외면에 밀착되는 실링부재(28)의 내주면에 요철형태의 주름부(28a)를 형성함에 따라 밀착부위의 기밀성을 높혀 바닷물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켓부(10)에 연결되는 전선(80)이 통과하기 위한 통로부(32)를 제공하는 전선 체결구(30)의 입구에는 고무패킹(34)으로 밀봉한 상태에서 체결볼트(36)로 체결 구성하여 상기 전선 체결구(30)의 통로부(32)를 통해 바닷물이 소켓부(10)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켓보호부재(20)를 지지하는 소켓지지부재(40)는 이형 사출방식을 통해 금속플레이트(40a)와, 상기 금속플레이트(40a)의 외면에 피복 처리되는 합성수지(40b)로 구성하여 소켓보호부재(20)를 지지할 수 있는 강도는 금속플레이트(40a)가 제공하고, 상기 금속플레이트(40a)의 내식성은 합성수지(40b)가 제공토록 함으로서 부식으로 인해 금속플레이트(40a)에서 생겨난 녹물이 전구(200)로 흘러내려 전구(200)를 오염시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소켓부 20: 소켓보호부재
28: 실링부재 30: 전선 체결구
32: 통로부 34: 고무패킹
36: 체결볼트 40: 소켓지지부재
40a: 금속플레이트 40b: 합성수지

Claims (4)

  1. 전구(200)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소켓부(10)와, 상기 소켓부(10)를 감싸며 바닷물이 상기 소켓부(1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소켓보호부재(20) 및 상기 소켓보호부재(20)의 상단에 볼트(42) 체결되며 상기 소켓보호부재(20)를 어선에 매달아 고정시키는 소켓지지부재(40)로 구성한 선상용 집어등 소켓에 있어서,
    상기 소켓보호부재(20)는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되며 그 하단은 전구(200)가 소켓부(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개방(24)시켜 구성하며;
    상기 소켓보호부재(20)의 하단 내주면에는 상기 소켓보호부재(20)와 전구(200) 사이 틈새를 차단하는 실링부재(28)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소켓지지부재(40)는 이형 사출 방식으로 금속플레이트(40a)의 외면에 합성수지(40b)가 피복 처리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상용 집어등 소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보호부재(20)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소켓부(10)로 전류를 인가하는 전선이 통과하기 위한 통로부(32)를 제공하는 전선체결구(30)를 형성하되, 상기 전선체결구(30)의 입구는 고무패킹(34)으로 밀봉한 상태에서 체결볼트(36)를 체결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상용 집어등 소켓.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보호부재(20)의 하단에는 캡(50)이 분리 가능하게 끼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상용 집어등 소켓.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28)의 내주면에는 요철 형태의 주름부(28a)가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상용 집어등 소켓.
KR1020100001060A 2010-01-07 2010-01-07 선상용 집어등 소켓 KR101097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060A KR101097881B1 (ko) 2010-01-07 2010-01-07 선상용 집어등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060A KR101097881B1 (ko) 2010-01-07 2010-01-07 선상용 집어등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709A KR20110080709A (ko) 2011-07-13
KR101097881B1 true KR101097881B1 (ko) 2011-12-23

Family

ID=44919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1060A KR101097881B1 (ko) 2010-01-07 2010-01-07 선상용 집어등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78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850B1 (ko) 2012-03-12 2013-06-21 김금자 선상용 집어등 소켓
KR101396985B1 (ko) 2012-07-10 2014-05-20 (주)에이엠에스 집어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007B1 (ko) * 2018-01-25 2019-10-24 박종선 소켓 마감 커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7779A (ja) 2002-01-18 2003-07-31 Meiyo Denki Seisakusho:Kk 船上集魚灯用ソケット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7779A (ja) 2002-01-18 2003-07-31 Meiyo Denki Seisakusho:Kk 船上集魚灯用ソケット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850B1 (ko) 2012-03-12 2013-06-21 김금자 선상용 집어등 소켓
KR101396985B1 (ko) 2012-07-10 2014-05-20 (주)에이엠에스 집어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709A (ko)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7881B1 (ko) 선상용 집어등 소켓
US20090251923A1 (en) Water-resistant and replaceable led lamps
US9533742B2 (en) Marine navigation light apparatus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1908407B1 (ko) 높은 수압에도 방수 및 방습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엘이디 수중등
JP2008010374A (ja) 照明器具
KR101076287B1 (ko) 선상용 집어등 소켓
US9188225B2 (en) Underwater swimming pool light repair device
JP2008077842A (ja) 照明灯
KR200425465Y1 (ko) 방수수단을 구비한 사찰용 램프
CN203848189U (zh) 防水灯壳体
KR200411202Y1 (ko) 밀폐형 형광등 소켓의 구조
KR101277850B1 (ko) 선상용 집어등 소켓
CN208566359U (zh) 一种防水投射灯具
JP4384000B2 (ja) 水中蛍光灯
CN209909804U (zh) 一种抗氧化腐蚀的led灯具驱动底座
KR100764238B1 (ko) 방수구조를 갖는 집어등
JP5530329B2 (ja) 固体発光素子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
CN205535473U (zh) 一种渔船用led灯具
CN209054536U (zh) 泳池用铝包塑灯
KR200447645Y1 (ko) 천장 매립형 등기구
KR20170132521A (ko) 병렬 연결이 용이한 엘이디 형광 바 램프
JP2024038717A (ja) 船舶等用の照明器具及びその電蝕防止方法
BE1025582B1 (fr) Un joint de fixation de cable et un equipement electrique
CN207514869U (zh) 一种潜水灯进线防水进线口
CN207364786U (zh) 一种深海诱鱼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9